KR101719608B1 - 마스크 팩 입수장치 - Google Patents

마스크 팩 입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9608B1
KR101719608B1 KR1020160063701A KR20160063701A KR101719608B1 KR 101719608 B1 KR101719608 B1 KR 101719608B1 KR 1020160063701 A KR1020160063701 A KR 1020160063701A KR 20160063701 A KR20160063701 A KR 20160063701A KR 101719608 B1 KR101719608 B1 KR 101719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packaging material
hole
unit
pres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3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태석
이한광
정기현
Original Assignee
(주)이시스코스메틱
엘앤피코스메틱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858708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71960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시스코스메틱, 엘앤피코스메틱 (주) filed Critical (주)이시스코스메틱
Priority to KR1020160063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96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9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9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14Packaging paper or like sheets, envelopes, or newspapers, in flat, folded, or rolled form
    • B65B25/145Packaging paper or like sheets, envelopes, or newspapers, in flat, folded, or rolled form packaging fol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02Feeding sheets or wrappe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02Feeding sheets or wrapper blanks
    • B65B41/04Feeding sheets or wrapper blanks by grippers
    • B65B41/06Feeding sheets or wrapper blanks by grippers by suction-operated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02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8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discharging completed packages from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3/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63/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for folding or winding articles, e.g. gloves or stock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마스크 팩 입수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롤 형태로 감긴 시트가 안착되는 지지판, 및 지지판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통과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절첩가이드부; 및 지지판에 안착된 시트를 하부방향으로 가압하되, 가압점을 중심으로 시트가 절첩되며 통과홀을 통과하도록 시트의 이동을 유도하면서 통과홀의 하부에 위치된 포장재의 내부로 시트를 투입하는 절첩투입유도유닛;을 포함하고, 절첩투입유도유닛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통과홀을 통과할 수 있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지지판에 안착된 시트를 하부방향으로 눌러 통과홀을 통과시키며 통과홀의 하부에 위치된 포장재의 내부로 투입하는 가압부재와; 가압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 및 가압부재가 시트를 포장재의 내부로 투입하는 방향을 향해 에어를 분사하는 양압발생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마스크 팩 입수장치{APPARATUS FOR INSERTING MASK PACK INTO PACKING MATERIAL}
본 발명은 마스크 팩 입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 미용을 위해 얼굴 등에 착용되는 마스크 팩을 포장하는데 이용되는 마스크 팩 입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피부 미용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얼굴 피부 관리를 위한 마스크 팩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마스크 팩은 얼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부직포 재질의 시트에 보습, 미백, 영양 공급 효과 등이 있는 다양한 성분의 에센스 제형의 액상을 함침시킨 형태로 제조된다.
이러한 마스크 팩은, 부직포 재질의 시트를 얼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재단한 후, 재단된 시트를 소정의 크기로 접어 한쪽 입구가 개방된 포장재 안에 넣고, 이와 같이 시트가 투입된 포장재 안에 에센스 제형의 액상을 주입한 후, 포장재 내부의 공기를 빼고 포장재를 밀봉하는 복잡한 포장 과정을 거쳐 제조된다.
이와 같은 마스크 팩 포장 과정에 따르면, 각 단계에서의 과정이 대부분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마스크 팩 포장 작업에 따르면, 포장 과정에서 이물질이 혼입될 우려가 크고, 작업 속도를 올리는데 한계가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인건비 증가로 인해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34096호(등록일: 2012년 03월 30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마스크 팩 제조 및 포장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마스크 팩의 제조성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불량률을 낮출 수 있으며, 제품의 품질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마스크 팩 입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팩 입수장치는: 롤 형태로 감긴 시트가 안착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통과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절첩가이드부; 및 상기 지지판에 안착된 시트를 하부방향으로 가압하되, 가압점을 중심으로 시트가 절첩되며 상기 통과홀을 통과하도록 시트의 이동을 유도하면서 상기 통과홀의 하부에 위치된 포장재의 내부로 시트를 투입하는 절첩투입유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절첩투입유도유닛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통과홀을 통과할 수 있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에 안착된 시트를 하부방향으로 눌러 상기 통과홀을 통과시키며 상기 통과홀의 하부에 위치된 포장재의 내부로 투입하는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 및 상기 가압부재가 시트를 포장재의 내부로 투입하는 방향을 향해 에어를 분사하는 양압발생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양압발생부는, 상기 가압부재의 하부방향 이동이 완료된 후 원위치 복귀를 위한 상기 가압부재의 상부방향으로의 이동이 시작되기 전 사이에 시트를 향해 에어를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시트가 평면 형태로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시트를 롤 형태로 감는 롤링유닛; 및 상기 롤링유닛의 외주면을 감싸며 롤 형태로 감긴 시트가 위치하는 제1위치와 롤 형태로 감긴 시트의 장변방향을 따라 제1위치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제2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위치에서 롤 형태로 감긴 시트를 파지하여 상기 제2위치로 이동시키며 상기 지지판에 안착시키는 토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롤링유닛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밀착된 시트가 외주면을 감싸며 롤 형태로 감기도록 길이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롤러부재; 및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시트를 상기 롤러부재에 밀착시키는 음압을 제공하는 롤러음압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롤러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상기 롤러음압발생부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위치에서는, 롤 형태로 감긴 시트의 장변방향 중앙 부분이 상기 통과홀의 상부와 상기 가압부재의 하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통과홀은, 상기 장변방향에 따른 길이가 상기 장변방향에 따른 시트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가압부재에 의해 눌려 상기 통과홀을 통과하는 시트는, 상기 롤링유닛에 의해 감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절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통과홀 하부에서 시트가 투입되는 투입위치로 포장재를 공급하는 포장재공급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장재공급유닛은, 포장재가 적재되는 포장재적재부와; 상기 포장재적재부에 적재된 포장재를 픽업하는 포장재픽업부와; 상기 포장재픽업부에 의해 픽업된 포장재가 시트 투입 가능한 상태로 안착되는 포장재홀더부; 및 포장재가 안착된 상기 포장재홀더부를 상기 투입위치로 이동시키는 포장재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마스크 팩 입수장치에 따르면, 마스크 팩을 제조하기 위한 시트를 포장재에 수용되기 적합한 사이즈로 절첩하는 작업, 절첩된 시트를 포장재에 투입하는 작업, 시트 투입이 완료된 포장재를 각 수량 단위 별로 적재하는 작업 등과 같은 마스크 팩 포장 작업을 위한 각 과정이 수작업 없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포장 과정에서 이물질이 혼입될 위험성을 효율적으로 낮출 수 있으므로, 제품의 불량률을 낮추고 제품의 품질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스크 팩 포장 작업을 위한 각 과정이 수작업 없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제품의 불량률을 낮춤으로써 작업 속도를 효과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고, 마스크 팩 제조 과정에서의 인건비 비중을 감소시켜 마스크 팩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 입수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롤링유닛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롤링유닛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롤링유닛에 시트가 밀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롤링유닛이 시트를 롤 형태로 감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토잉유닛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토잉유닛이 제1위치에서 시트를 파지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토잉유닛이 시트를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절첩가이드부와 절첩투입유도유닛을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절첩가이드부에 시트가 안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절첩투입유도유닛의 가압 동작에 의해 시트가 절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롤 형태로 말린 시트가 시트의 장변방향을 따라 두 번 접힌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시트의 장변방향을 따라 두 번 접힌 시트가 그 이전에 접힌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한 번 더 접힌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절첩투입유도유닛의 가압 동작에 의해 시트가 포장재에 투입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은 양압발생부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에 도시된 포장재공급유닛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포장재공급유닛의 포장재 픽업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포장재공급유닛이 포장재를 투입위치로 이동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포장재공급유닛이 포장재의 입구를 벌리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1은 도 1에 도시된 제품적재유닛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제1수납트레이와 제2수납트레이의 위치 이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팩 입수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 입수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롤링유닛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롤링유닛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롤링유닛에 시트가 밀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롤링유닛이 시트를 롤 형태로 감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토잉유닛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토잉유닛이 제1위치에서 시트를 파지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토잉유닛이 시트를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절첩가이드부와 절첩투입유도유닛을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절첩가이드부에 시트가 안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절첩투입유도유닛의 가압 동작에 의해 시트가 절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절첩투입유도유닛의 가압 동작에 의해 시트가 포장재에 투입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2는 롤 형태로 말린 시트가 시트의 장변방향을 따라 두 번 접힌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13은 시트의 장변방향을 따라 두 번 접힌 시트가 그 이전에 접힌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한 번 더 접힌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절첩투입유도유닛의 가압 동작에 의해 시트가 포장재에 투입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5 및 도 16은 양압발생부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17는 도 1에 도시된 포장재공급유닛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포장재공급유닛의 포장재 픽업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포장재공급유닛이 포장재를 투입위치로 이동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포장재공급유닛이 포장재의 입구를 벌리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21은 도 1에 도시된 제품적재유닛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제1수납트레이와 제2수납트레이의 위치 이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 입수장치(100)는, 안착부(110)와 롤링유닛(120)과 토잉유닛(130)과 절첩가이드부(140)와 절첩투입유도유닛(150)과 포장재공급유닛(160) 및 제품적재유닛(170)을 포함한다.
안착부(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 팩을 제조하기 위한 시트(1)를 안착시키기 위한 용도로 마련된다.
시트(1)는, 마스크 팩을 착용하는 착용자의 피부 내에 미용성분을 공급하기 위해 신체에 접촉, 고정되기 위한 수단으로 마련되는 것으로서, 수용성 액체의 흡수가 가능한 부직포, 천, 망사 등과 같은 원단을 이용하여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트(1)가 얼굴 형태와 유사한 대략 원형 형상으로 재단되고 눈, 코, 입이 닿는 위치에 그와 유사한 형상으로 절개된 절개부가 마련된 형태인 것으로 예시된다.
안착부(110)에는 상기와 같이 마련된 시트(1)가 평면 형태로 안착된다. 시트(1)가 안착되는 안착부(110)의 상부면에는 시트(1)가 안착될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안착가이드면(111)이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안착가이드면(111)은 시트(1)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안착부(110)에는 시트(1)가 안착부(110)에 제대로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시트감지부(115)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시트감지부(115)는, 적외선 센서 등과 같이 광을 이용하여 물체의 근접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트(1)가 안착부(110)의 안착가이드면(111)에 제대로 안착되는 위치가 시트(1)의 중앙 부분이 아닌 시트(1)의 어느 한 측으로 치우친 부분, 즉 시트(1)의 일측이 후술할 롤러부재(121)의 하부에 놓여지는 위치인 것으로 예시된다.
롤링유닛(120)은, 안착부(110)에 안착된 시트(1)를 롤 형태로 감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롤링유닛(12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부재(121)와 롤러음압발생부(123)를 포함한다.
롤러부재(121)는, 안착부(110)에 안착된 시트(1)를 롤 형태로 감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안착부(110)에 원형 형태의 시트가 안착되고, 롤러부재(121)는 시트(1)의 지름보다 2~3㎝ 정도 짧은 길이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롤러부재(121)는, 그 외주면에 밀착된 시트(1)가 외주면을 감싸며 롤 형태로 감기도록 그 길이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롤러음압발생부(123)는, 안착부(110)에 안착된 시트(1)를 롤러부재(121)에 밀착시키는 음압을 제공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롤러음압발생부(123)는, 진공압을 발생시키는 진공펌프(미도시)와, 진공펌프와 연결되며 롤러부재(121) 상에 롤러부재(121)의 외주면으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진공압을 전달받는 노즐(n)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롤러음압발생부(123)에 따르면, 롤러부재(121)의 외주면에서 음압을 직접 발생시키는 노즐(n)이 롤러부재(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롤러부재(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3개의 노즐(n)이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이 3개의 노즐(n)은 서로 일정 간격을 이루며 일렬로 배치되되, 롤러부재(121)에 밀착시키고자 하는 시트(1)의 해당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복수개의 노즐(n)을 포함하는 롤러음압발생부(123)는, 시트(1)가 롤러부재(121)에 밀착되기에 충분한 음압이 복수의 지점으로 분배되며 시트(1)에 작용되도록 함으로써, 시트(1)가 부직포, 천, 망사 등와 같은 원단 등과 같이 어느 정도 통기성이 있는 소재로 형성된 경우에도 시트(1)의 밀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롤러음압발생부(123)의 작용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110)에 안착된 시트(1)가 롤러부재(121) 측으로 끌어 당겨져 롤러부재(121)에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시트(1)의 중앙 부분이 아닌 시트(1)의 일측이 롤러부재(121)에 접촉되는 형태로 롤러부재(121)에 시트(1)가 밀착된다.
이와 같이 시트(1)가 밀착되는 롤러부재(121)의 형상과 동작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롤러부재(121)는, 그 외주면 둘레 길이가 시트(1)의 장변 길이 또는 지름보다 짧게 형성되도록 마련된다.
즉 롤러부재(121)는, 시트(1)가 롤러부재(121)의 외주면을 한 바퀴 둘러 완전히 감싸고도 시트(1)의 양측 단부가 서로 겹쳐질 수 있을 정도의 둘레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롤러부재(12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110)에 안착된 시트(1)를 롤 형태로 감되, 시트(1)의 일측과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시트(1)의 일측이 그 반대편인 시트(1)의 타측과 겹쳐진 겹침영역(o)이 형성된 롤 형태로 시트(1)가 감기도록 동작된다.
즉 시트(1)의 일측이 롤러부재(121)의 하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롤러부재(121)의 외주면에 시트(1)의 일측이 밀착된 상태에서, 롤러부재(121)에 밀착된 시트(1)의 일측이 다시 원위치에 복귀하도록 롤러부재(121)가 회전하면, 시트(1)가 롤러부재(121)의 외주면을 감싸며 롤 형태로 말리게 된다.
이때 시트(1)의 지름보다 롤러부재(121)의 외주면 둘레 길이가 짧음으로 인해, 상기 시트(1)는 시트(1)의 일측 바깥쪽에 시트(1)의 타측이 겹쳐진 형태로 말리게 되며, 롤러음압발생부(123)에 의해 발생되는 음압에 의해 시트(1)의 타측이 시트(1)의 일측 바깥쪽에 밀착된다.
이로써 롤 형태로 말린 시트(1)에 시트(1)의 일측과 타측이 겹쳐진 겹침영역(o)이 롤러부재(12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즉 롤러부재(121)에는 시트(1)가 롤러부재(121)의 외주면을 감싸는 롤 형태로 감기게 되고, 이와 같이 롤 형태로 감겨 말린 시트(1)에는 시트(1)의 일측과 타측이 겹쳐진 겹침영역(o)이 롤러부재(121)의 하부를 향하는 부분에 형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롤 형태로 말린 시트(1)의 장변방향 단부는, 롤러부재(121)의 단부로부터 후술할 토잉유닛(130)을 향한 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될 수 있다. 이는 롤러부재(121)가 시트(1)의 지름보다 2~3㎝ 정도 짧은 길이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됨으로 인해 가능하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토잉유닛(130)은 제1위치(A)와 제2위치(B)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토잉유닛(130)은, 제1위치(A)에서 롤 형태로 감긴 시트를 파지하여 제2위치(B)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구성에 해당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위치(A)는 롤러부재(121)에 롤 형태로 감긴 시트(1)가 위치하는 위치인 것으로, 제2위치(B)는 제1위치(A)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로서 롤 형태로 감긴 시트(1)의 장변방향 중앙 부분이 후술할 통과홀(141; 도 10 참조)의 상부와 가압부재(151; 도 10 참조)의 하부 사이에 위치되는 위치인 것으로 정의된다.
토잉유닛(130)은, 제1위치(A)에서 롤 형태로 감긴 시트(1)를 파지하고 제2위치(B)에서 시트(1)의 파지 상태를 해제하도록 마련되는 파지부(131)와, 파지부(131)를 제1위치(A)와 제2위치(B)로 왕복 이동시키는 수평이동부(133)를 포함한다.
파지부(131)는, 서로 간의 간격이 상하방향으로 변화될 수 있도록 마련된 한 쌍의 막대부재를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파지부(131)는, 한 쌍의 막대부재가 서로 밀착된 형태로 시트(1)를 파지할 수 있고, 한 쌍의 막대부재가 서로 이격된 형태로 시트(1)의 파지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롤러부재(121)는 토잉유닛(130), 좀 더 구체적으로는 파지부(131)가 시트(1)를 파지할 수 있는 위치에 겹침영역(o)이 위치하게 시트(1)가 감기도록 동작된다.
즉 롤러부재(121)는 겹침영역(o)이 롤러부재(121)의 하부를 향하는 부분에 위치되게 동작되고, 이로써 시트(1)는 겹침영역(o)이 롤러부재(121)의 하부를 향하는 부분에서 파지부(131)의 이동 영역 내에 겹침영역(o)이 위치되도록 롤 형태로 말리게 된다.
그리고 토잉유닛(130), 좀 더 구체적으로는 파지부(131)는, 이와 같이 롤 형태로 말린 시트(1)에서 토잉유닛(130)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된 장변방향 단부를 잡아 시트(1)를 파지하되, 겹침영역(o)이 형성된 부분을 잡아 시트(1)를 파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시트(1)를 파지하는 토잉유닛(130)은, 시트(1)를 롤 형태로 말려진 형태로 유지하며 끌어 제2위치(B)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토잉유닛(130)에 의해 시트(1)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동안 롤러음압발생부(123)에 의한 음압의 작용이 계속해서 유지됨으로써, 시트(1)가 롤 형태로 말려진 형태가 유지되며 시트(1)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수평이동부(133)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구동모터(미도시)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한 쌍의 스프라켓(부호 생략) 및 스프라켓에 의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무한궤도 이동되는 체인(부호 생략)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체인에 결합된 파지부(131)가 체인의 일방향 이동에 의해 제1위치(A)로 이동되거나 체인의 타방향 이동에 의해 제2위치(B)로 이동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수평이동부(133)는 파지부(131)를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엘엠 가이드(LM Guide)를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등 여러 형태의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토잉유닛(13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위치(A)에서 롤 형태로 말려진 시트(1)를 파지하고, 이처럼 시트(1)를 파지한 상태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위치(B)로 이동하여 시트(1)를 제2위치(B)로 끌어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2위치(B)로 이동된 시트(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 형태로 말려진 시트(1)의 장변방향 중앙 부분이 후술할 통과홀(143)의 상부와 가압부재(151)의 하부 사이에 위치된다.
도 1 및 도 9를 참조하면, 절첩가이드부(140)는 제2위치(B)로 이동된 시트(1)가 안착되는 지지판(141), 및 지지판(141)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통과홀(1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과홀(143)은 지지판(141)의 상부에 위치된 후술할 가압부재(151)와 지지판(141)의 하부에 위치된 포장재(2; 도 14 참조)를 연결한 상하방향 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롤 형태로 말려진 시트(1)의 장변방향에 따른 길이와 그 동일방향에 따른 통과홀(143)의 길이를 비교할 때, 통과홀(143)이 시트(1)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롤 형태로 말려진 시트(1)의 장변방향 길이가 20㎝ 정도라고 하면, 그와 동일한 방향으로의 통과홀(143)의 길이는 2㎝ 정도가 되도록 통과홀(143)이 형성된다.
절첩투입유도유닛(150)은, 지지판(141)에 안착된 시트(1)를 하부방향으로 가압하되, 절첩투입유도유닛(150)에 의해 시트(1)가 가압되는 가압점을 중심으로 시트(1)가 절첩되며 통과홀(143)을 통과하도록 시트(1)의 이동을 유도하면서 통과홀(143)의 하부에 위치된 포장재(2)의 내부로 시트(1)를 투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절첩투입유도유닛(150)은 가압부재(151)와 상하이동부(1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가압부재(151)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통과홀(143)을 통과할 수 있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가압부재(151)는, 지지판(141)에 안착된 시트(1)를 하부방향으로 눌러 통과홀(143)을 통과시키며 통과홀(143)의 하부에 위치된 포장재(2)의 내부로 투입한다.
그리고 상하이동부(153)는, 가압부재(151)를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데, 전술한 수평이동부(133; 도 6 참조)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스프라켓과 체인이 조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엘엠 가이드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토잉유닛(130)에 의해 시트(1)가 제2위치(B)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롤 형태로 말려진 시트(1)의 장변방향 중앙 부분이 후술할 통과홀(143)의 상부와 가압부재(151)의 하부 사이에 위치되면, 그 상부에 위치되어 있던 가압부재(151)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로 이동하여 시트(1)를 가압하게 된다.
이에 따라 롤 형태로 말려진 시트(1)의 장변방향 중앙 부분이 가압부재(151)와 접촉되며 가압부재(151)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점이 되고, 가압부재(151)에 가압된 시트(1)는 그 가압점을 중심으로 가압부재(151)에 의해 눌려 하부로 이동하면서 통과홀(143)을 통과하게 된다.
이때 가압부재(151)에 의해 눌려 통과홀(143)을 통과하는 시트(1)는, 통과홀(143)을 통과하는 동안 반으로 절첩된다. 이때 시트(1)가 절첩되는 방향은, 롤링유닛(120)에 의해 말려진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이 된다.
이에 따라 시트(1)는, 롤 형태로 말려진 상태로 인해 그 장변방향을 따라 두 번 접히고(도 12 참조), 가압부재(151)에 눌려 통과홀(143)을 통과하는 동안 그 이전에 접힌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한 번 더 접히는 형태(도 13 참조)로 절첩되면서 포장재(2)의 내부로 투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절첩되며 가압부재(151)에 의해 눌려 이동되는 시트(1)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재(2)에 수용되기에 적합한 사이즈로 절첩된 상태로 통과홀(143)의 하부, 즉 투입위치에 위치되어 있던 포장재(2)의 내부로 투입된다.
이때 가압부재(151)는, 가압부재(151)와 접촉된 시트(1)의 가압점 부분이 포장재(2)의 내부에서 포장재(2)의 바닥면에 닿도록 시트(1)를 눌러줌으로써, 시트(1)가 포장재(2)의 내부에 완전히 밀어넣어진 상태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의 절첩투입유도유닛(150)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재(151)가 시트(1)를 포장재(2)의 내부로 투입하는 방향을 향해 에어를 분사하는 양압발생부(1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양압발생부(155)는, 압축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펌프(미도시)와, 에어펌프와 연결되며 가압부재(151)의 하측 단부에 노출되게 설치되어 에어를 분사하는 노즐(부호 생략)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양압발생부(155)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1)를 포장재(2) 내부로 투입시키기 위한 가압부재(151)의 하부방향 이동이 완료된 후, 원위치, 즉 통과홀(143)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로 복귀하기 위한 가압부재(151)의 상부방향으로의 이동이 시작되기 전 사이에 시트(1)를 향해 에어를 분사한다.
이와 같이 에어를 분사하는 양압발생부(155)는, 시트(1)가 포장재(2)의 바닥면에 닿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시트(1)를 밀어 넣는 작용을 한다.
특히 양압발생부(155)는, 시트(1)를 포장재(2) 내부로 투입시키기 위한 가압부재(151)의 하부방향 이동이 완료된 후 가압부재(151)가 원위치로 다시 복귀하는 과정에서, 포장재(2)의 내부에 투입된 시트(1)가 가압부재(151)에 붙어 가압부재(151)를 따라 포장재(2)로부터 빠져나오는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차단하는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시트(1)는, 그 하단부가 포장재(2)의 바닥면에 닿도록 포장재(2)의 내부에 완전히 수용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후공정에서 시트(1)가 투입된 포장재(2)의 내부에 액상의 미용성분이 채워질 때 시트(1)가 포장재(2)의 외부로 빠져나오는 등의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17을 참조하면, 포장재공급유닛(160)은 통과홀(143) 하부에서 시트(1; 도 14 참조)가 투입되는 투입위치로 포장재(2)를 공급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포장재공급유닛(160)은, 포장재적재부(161)와 포장재픽업부(163)와 포장재홀더부(165) 및 포장재이동부(167)를 포함한다.
포장재적재부(161)는, 시트()를 입수시키기 위한 포장재(2)가 적재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서, 복수개의 포장재(2)를 상하방향으로 적재시키기에 적합한 형상, 예를 들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사면체 형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후술할 포장재적재부(161)의 퍽업부재(161a)가 포장재(2)와 접촉될 수 있도록 그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포장재픽업부(163)는, 포장재적재부(161)에 적재된 포장재(2)를 픽업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포장재픽업부(163)는, 포장재적재부(161)에 적재된 복수개의 포장재(2)를 각각 하나씩 순차적으로 픽업하여 포장재홀더부(165) 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포장재픽업부(163)는 픽업부재(163a)와 픽업부재회전부(163b)와 픽업부재이동부(163c) 및 슈트(163d)를 포함한다.
픽업부재(163a)는, 포장재적재부(161)에 적재된 포장재(2)를 흡착하기 위한 음압을 발생시키는 픽업음압발생부(부호생략)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된다.
픽업음압발생부는, 롤러음압발생부(123; 도 2 참조)와 마찬가지로 진공압을 발생시키는 진공펌프 및 노즐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 구성 및 작용이 롤러음압발생부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픽업음압발생부를 포함하는 픽업부재(163a)는, 포장재적재부(161)에 적재된 포장재(2)와 접촉된 상태에서 포장재(2)를 흡착하여 포장재(2)를 각각 하나씩 순차적으로 픽업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포장재(2)를 픽업한 상태에서 슈트(163d)의 상부로 이동한 후, 픽업음압발생부를 통해 제공되는 음압이 차단되도록 하여 포장재(2)를 슈트(163d)를 향해 낙하시킬 수 있다.
즉 픽업부재(163a)는, 포장재적재부(161)에 적재된 포장재(2)를 픽업위치에서 각각 하나씩 픽업하여 낙하위치로 이동시킨 후, 낙하위치에서 슈트(163d)에 투입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픽업부재(163a)에 의해 포장재(2)의 흡착, 픽업이 이루어지는 위치가 픽업위치인 것으로, 픽업된 포장재(2)를 낙하시켰을 때 낙하된 포장재(2)가 슈트(163d) 내부로 투입될 수 있는 슈트(163d)의 상부에 해당하는 위치가 낙하위치인 것으로 정의된다.
픽업부재회전부(163b)는 픽업부재(163a)를 회전시켜 픽업부재(163a)의 위치를 픽업위치로 변화시키거나 낙하위치로 변화시키는 구성으로 마련된다.
일례로서, 픽업부재회전부(163b)는 픽업부재(163a)의 상측 단부에 구동모터의 구동축이 결합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련된 픽업부재회전부(163b)는,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결합된 픽업부재(163a)의 상측 단부를 중심으로 픽업부재(163a)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픽업부재(163a)를 픽업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고, 픽업부재(163a)를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픽업부재(163a)를 낙하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픽업부재이동부(163c)는, 픽업부재(163a)의 상하방향 위치를 변화시키는 구성으로 마련되며, 한 쌍의 스프라켓과 체인이 조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엘엠 가이드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픽업부재이동부(163c)는, 포장재(2)가 적재된 높이에 따라 픽업부재(163a)의 상하방향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픽업부재(163a)에 의해 이루어지는 포장재(2)의 픽업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낙하위치에서 픽업부재(163a)로부터 낙하되는 포장재(2)는 슈트(163d)로 투입된다. 이처럼 포장재(2)가 투입되는 슈트(163d)는, 투입된 포장재(2)가 포장재홀더부(165)에 안착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안내하기 위한 이동 경로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슈트(163d)로 투입된 포장재(2)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슈트(163d)에 의해 그 낙하 위치가 안내되어 포장재홀더부(165)에 안착된다.
이때 포장재(2)는, 포장재(2)의 내부로 시트(1; 도 14 참조)의 투입이 가능한 상태, 즉 포장재(2)의 개방된 부분이 상부방향을 향하도록 세워진 상태로 포장재홀더부(165)에 안착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포장재(2)가 안착되는 포장재홀더부(165)는, 포장재(2)가 안착되는 안착위치와 포장재(2) 내부로 시트(1)의 투입이 이루어지는 투입위치로 그 위치가 변화될 수 있다.
포장재이동부(167)는, 포장재홀더부(165)의 위치가 안착위치 또는 투입위치로 변화되도록 포장재홀더부(165)를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마련되며, 한 쌍의 스프라켓과 체인이 조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엘엠 가이드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포장재이동부(167)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포장재홀더부(165)는, 슈트(163d)를 통해 공급되는 포장재(2)를 안착위치에서 안착시키고,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재(2)가 안착된 상태에서 투입위치로 이동하여 포장재(2) 내부로 시트(1; 도 14 참조)의 투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시트(1)의 투입이 완료되면 다시 안착위치로 복귀하여 포장재(2)를 공급받고 다시 투입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포장재공급유닛(160)은, 개방유도부재(168,16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방유도부재(168,169)는, 롤러음압발생부(123; 도 2 참조)와 마찬가지로 진공압을 발생시키는 진공펌프 및 노즐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 구성 및 작용이 롤러음압발생부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개방유도부재(168,169)는, 포장재홀더부(165)에 설치되는 제1개방유도부재(168), 그리고 절첩가이드부(140) 하부의 투입위치에 인접한 위치에 제1개방유도부재(169)와 마주보도록 설치된 제2개방유도부재(169)로 구분될 수 있다.
제1개방유도부재(168)는 포장재홀더부(165)에 안착된 포장재(2)의 일측면을 흡착하며, 제2개방유도부재(169)는 포장재홀더부(165)가 투입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포장재(2)의 타측면을 포장재(2)의 일측면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흡착함으로써 포장재(2)의 내부가 벌어지도록 유도한다.
이에 따라 포장재(2)의 개방된 부분의 폭이 확장되어 포장재(2) 내부로의 시트(1) 투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포장재홀더부(165)에 안착된 포장재(2)의 일측면이 제1개방유도부재(168)에 의해 흡착되어 포장재(2)가 포장재홀더부(165)에 고정될 수 있게 되므로 포장재(2)의 투입위치로의 이동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포장재(2) 내부로의 시트(1) 투입이 완료되면, 개방유도부재(168,169)에 의해 포장재(2)에 작용되던 음압이 해제되고, 이에 따라 시트(1) 투입이 완료된 포장재(2)가 포장재홀더부(165)로부터 분리되어 후술할 제품적재유닛(170; 도 21 참조) 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1을 참조하면, 제품적재유닛(170)은 시트(1)가 투입된 포장재(2)가 적재되는 구성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제품적재유닛(170)은, 배출부(171)와 제1수납트레이(173)와 제2수납트레이(175) 및 트레이이동부(177)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은 절첩 및 투입 과정을 통해 시트(1) 투입이 완료된 포장재(2)는, 포장재공급유닛(160)의 후단에 설치된 벨트 컨베이어 형태의 이송부(C)에 의해 배출부(171) 측으로 이동된다.
배출부(171)는, 이와 같이 시트(1) 투입이 완료된 포장재(2)가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배출부(171)는 후술할 제1수납트레이(173)와 제2수납트레이(175)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제1수납트레이(173) 및 제2수납트레이(175)는, 각각 배출부(171)를 통해 배출되는 포장재(2)를 수납하도록 마련된다.
제1수납트레이(173) 및 제2수납트레이(175)는 각각 포장재(2)를 수납하기에 적합한 형상, 예를 들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사면체 형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배출부(171)와 인접한 각각의 측면에는 각각의 수용공간을 배출부(171)와 연결시키기 위한 투입구(부호생략)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수납트레이(173)와 제2수납트레이(175)가 서로 인접되게 배치되며, 이와 같이 배치된 두 수납트레이(173,175) 중 선택된 하나의 투입구가 배출부(171)와 연결되어 배출부(171)를 통해 배출되는 포장재(2)를 수납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배치된 두 수납트레이(173,175)는 그 배치방향을 따라 위치가 변화될 수 있게 설치된다.
예를 들어, 제1수납트레이(173)의 투입구가 배출부(171)와 연결되는 위치에 수납트레이(173,175)가 위치하도록 수납트레이(173,175)의 위치가 설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배출부(171)를 통해 배출되는 포장재(2)가 제1수납트레이(173)에 적재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수납트레이(175)의 투입구가 배출부(171)와 연결되는 위치에 수납트레이(173,175)가 위치하도록 수납트레이(173,175)의 위치가 설정되면, 배출부(171)를 통해 배출되는 포장재(2)가 제2수납트레이(175)에 적재된다.
트레이이동부(177)는, 제1수납트레이(173)와 제2수납트레이(175)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배출부(171)와 연결되도록 제1수납트레이(173)와 제2수납트레이(175)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구성에 해당된다.
이러한 트레이이동부(177)는, 제1수납트레이(173) 및 제2수납트레이(175)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체인이 한 쌍의 스프라켓과 조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엘엠 가이드를 이용하여 제1수납트레이(173) 및 제2수납트레이(175)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형태의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품적재유닛(170)은 배출부(171)를 통해 배출되는 포장재(2)의 적재가 제1수납트레이(173)와 제2수납트레이(175)에 의해 교대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품적재유닛(170)은, 배출부(171)와 연결된 제1수납트레이(173)에서 지정된 수량만큼의 포장재(2) 적재가 이루어지면 제1수납트레이(173) 대신 제2수납트레이(175)가 배출부(171)와 연결되도록 수납트레이(173,175)의 위치를 이동시켜 제2수납트레이(175)를 통해 포장재(2)의 적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제2수납트레이(175)에서 지정된 수량만큼위 포장재(2) 적재가 이루어지면 다시 수납트레이(173,175)의 위치를 이동시켜 제1수납트레이(173)를 통해 포장재(2)의 적재가 다시 이루어지도록 동작된다.
예를 들어 제품적재유닛(170)은, 제1수납트레이(173)에서 100개 만큼의 포장재(2) 적재가 이루어지도록 한 후, 수납트레이(171,173)의 위치를 이동시켜 제2수납트레이(175)에서 다시 100개 만큼의 포장재(2) 적재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반복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작되는 제품적재유닛(170)은, 시트(1) 투입이 완료된 포장재(2)를 원하는 수량 단위 별로 적재하여 후공정으로 공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포장재(2) 적재가 복수개의 트레이(173,175)를 통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스크 팩 제품 포장 작업의 속도가 효과적으로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마스크 팩 입수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측정부(180)와 수량측정부(185) 및 수량판별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량측정부(180)는, 제1수납트레이(173)에 수납된 포장재(2)와 제2수납트레이(175)에 수납된 포장재(2)의 중량을 각각 측정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중량측정부(180)는, 제1수납트레이(173)와 제2수납트레이(175)에 각각 설치되는 로드셀(Load cell) 등과 같은 하중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수량측정부(185)는, 포장재(2)의 내부에 투입되는 시트(1)의 수량을 측정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수량측정부(185)는, 롤링유닛(120)의 롤러부재(121)가 회전된 횟수, 절첩투입유도유닛(150)의 가압부재(151)가 동작된 횟수에 관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포장재(2)의 내부에 투입되는 시트(1)의 수량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롤러부재(121)가 회전된 횟수가 102회, 가압부재(151)가 동작된 횟수가 101회이고, 롤러부재(121)에 의해 시트(1)가 롤 형태로 감기는 과정에서 1회의 동작 에러가, 가압부재(151)에 의해 시트(1)가 포장재(2)에 투입되는 과정에서 1회의 동작 에러가 발생되었다고 하면, 수량측정부(185)는 총 100개의 시트(1)가 포장재(2)에 투입되었다고 포장재(2)의 내부에 투입되는 시트(1)의 수량을 측정할 수 있다.
수량판별부(190)는, 중량측정부(180)에 의해 측정된 중량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제1수납트레이(173) 또는 제2수납트레이(175)에 수납된 포장재(2)의 개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량판별부(190)는, 측정된 제1수납트레이(173) 또는 제2수납트레이(175)의 중량에서 수납트레이(171,173)가 차지하는 중량을 제한 후 이 값을 시트(1)가 투입된 각 포장재(2)의 개당 중량에 해당되는 값으로 나누어 제1수납트레이(173) 또는 제2수납트레이(175)에 수납된 포장재(2)의 개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수량판별부(190)는, 이와 같이 산출된 값을 수량측정부(185)에 의해 측정되는 수량 값과 비교하여 비교된 두 값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수량판별부(190)에 의해 비교된 두 값이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이는 제품적재유닛(170)에 적재된 포장재(2)의 수량이 중량측정부(180)를 통해 파악된 수량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경고를 출력하기 위한 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중량측정부(180)에 의해 측정된 중량이 기설정된 기준중량, 예를 들면 100개 만큼의 포장재(2) 적재가 이루어진 중량에 도달되고, 이와 함께 수량판별부(190)에 의해 비교된 두 값이 일치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이는 수납트레이(171,173)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트레이이동부(177)는 배출부(171)와의 연결대상이 변경되도록 제1수납트레이(173)와 제2수납트레이(175)의 위치를 이동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제품적재유닛(170)은 제1수납트레이(173)와 제2수납트레이(175)의 위치의 위치 이동을 반복하며 기설정된 수량만큼의 포장재(2) 적재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동작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포장재공급유닛(160)이 두 개의 수납트레이(171,173)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장재공급유닛(160)이 세 개 이상의 수납트레이를 포함하여 이들 수납트레이의 위치 이동을 반복하는 형태로 동작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포장재공급유닛(160)의 동작에 의해 시트(1)의 투입이 완료된 포장재(2)들의 단위 수량별 적재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이로써 시트(1)의 투입이 완료된 포장재(2)들이 각 단위 수량별로 묶여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 입수장치(100)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 팩을 제조하기 위한 시트(1)가 안착부(110)에 안착되고, 이러한 시트(1)의 안착이 시트감지부(115)에 의해 감지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음압발생부(123)가 동작되어 롤러부재(121)의 외주면에 음압이 작용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안착부(110)에 안착되어 있던 시트(1)의 일측이 롤러부재(121) 측으로 끌어 당겨져 롤러부재(121)에 밀착된다.
이와 같이 시트(1)가 롤러부재(121)에 밀착됨과 동시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부재(121)가 회전하여 시트(1)의 일측이 그 반대편인 시트(1)의 타측과 겹쳐진 겹침영역(o)이 형성된 롤 형태로 시트(1)가 감기도록 동작된다.
이에 따라 롤러부재(121)에는 시트(1)가 롤러부재(121)의 외주면을 감싸는 롤 형태로 감기게 되고, 이와 같이 롤 형태로 감겨 말린 시트(1)에는 시트(1)의 일측과 타측이 겹쳐진 겹침영역(o)이 롤러부재(121)의 하부를 향하는 부분에 형성된다.
이와 같니 롤 형태로 말려진 시트(1)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잉유닛(130)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된 장변방향 단부가 파지부(131)에 파지된 상태로 토잉유닛(130)에 의해 끌어 당겨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위치(B)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토잉유닛(130)에 의해 시트(1)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동안 롤러음압발생부(123)에 의한 음압의 작용이 계속해서 유지됨으로써, 시트(1)가 롤 형태로 말려진 형태가 유지되며 시트(1)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토잉유닛(130)에 의해 시트(1)가 제2위치(B)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롤 형태로 말려진 시트(1)의 장변방향 중앙 부분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과홀(143)의 상부와 가압부재(151)의 하부 사이에 위치되면, 그 상부에 위치되어 있던 가압부재(151)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로 이동하여 시트(1)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 가압부재(151)에 의해 눌려 통과홀(143)을 통과하는 시트(1)는, 통과홀(143)을 통과하는 동안 반으로 절첩된다. 이때 시트(1)가 절첩되는 방향은, 롤링유닛(120)에 의해 말려진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이 된다.
이에 따라 시트(1)는, 롤 형태로 말려진 상태로 인해 그 장변방향을 따라 두 번 접히고(도 12 참조), 가압부재(151)에 눌려 통과홀(143)을 통과하는 동안 그 이전에 접힌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한 번 더 접히는 형태(도 13 참조)로 포장재(2)에 수용되기에 적합산 사이즈로 절첩되면서 포장재(2)의 내부로 투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절첩되며 가압부재(151)에 의해 눌려 이동되는 시트(1)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방향으로의 이동을 계속하는 가압부재(151)에 의해 눌려 통과홀(143)의 하부, 즉 투입위치에 위치되어 있던 포장재(2)의 내부로 투입된다.
그리고,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1)를 포장재(2) 내부로 투입시키기 위한 가압부재(151)의 하부방향 이동이 완료된 후, 원위치, 즉 통과홀(143)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로 복귀하기 위한 가압부재(151)의 상부방향으로의 이동이 시작되기 전 사이에 양압발생부(155)가 시트(1)를 향해 에어를 분사하여 주면, 이와 같이 분사된 에어에 의해 시트(1)가 가압부재(151)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며 포장재(2)의 내부에 완전히 수용되도록 시트(1)의 투입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시트(1)가 투입되는 포장재(2)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재공급유닛(160)에 의해 픽업된 후,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과홀(143) 하부의 투입위치로 이동되는 방식으로 자동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투입위치로 공급된 포장재(2)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재공급유닛(160)에 의해 그 입구가 벌려져 시트(1)의 투입이 가능한 상태로 준비된다.
한편 시트(1)의 투입이 완료된 포장재(2)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적재유닛(170)에 순차적으로 적재된다.
제품적재유닛(170)에서는, 배출부(171)를 통해 배출되는 포장재(2)가 제1수납트레이(173)와 제2수납트레이(175)에 의해 교대로 적재되는 형태로 포장재(2)의 적재가 이루어진다.
즉 제품적재유닛(170)은, 배출부(171)와 연결된 제1수납트레이(173)에서 지정된 수량만큼의 포장재(2) 적재가 이루어지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납트레이(173) 대신 제2수납트레이(175)가 배출부(171)와 연결되도록 수납트레이(173,175)의 위치를 이동시켜 제2수납트레이(175)를 통해 포장재(2)의 적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제2수납트레이(175)에서 지정된 수량만큼위 포장재(2) 적재가 이루어지면 다시 수납트레이(173,175)의 위치를 이동시켜 제1수납트레이(173)를 통해 포장재(2)의 적재가 다시 이루어지도록 동작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포장재공급유닛(160)의 동작에 의해 시트(1)의 투입이 완료된 포장재(2)들의 단위 수량별 적재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이로써 시트(1)의 투입이 완료된 포장재(2)들이 각 단위 수량별로 묶여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마스크 팩 입수장치(100)는, 마스크 팩을 제조하기 위한 시트(1)를 포장재(2)에 수용되기 적합한 사이즈로 절첩하는 작업, 절첩된 시트(1)를 포장재(2)에 투입하는 작업, 시트(1) 투입이 완료된 포장재(2)를 각 수량 단위 별로 적재하는 작업 등과 같은 마스크 팩 포장 작업을 위한 각 과정이 수작업 없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포장 과정에서 이물질이 혼입될 위험성을 효율적으로 낮출 수 있으므로, 제품의 불량률을 낮추고 제품의 품질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마스크 팩 입수장치(100)는, 마스크 팩 포장 작업을 위한 각 과정이 수작업 없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제품의 불량률을 낮춤으로써 작업 속도를 효과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고, 마스크 팩 제조 과정에서의 인건비 비중을 감소시켜 마스크 팩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시트
2 : 포장재
100 : 마스크 팩 입수장치
110 : 안착부
111 : 안착가이드면
115 : 시트감지부
120 : 롤링유닛
121 : 롤러부재
123 : 롤러음압발생부
130 : 토잉유닛
131 : 파지부
133 : 수평이동부
140 : 절첩가이드부
141 : 지지판
143 : 통과홀
150 : 절첩투입유도유닛
151 : 가압부재
153 : 상하이동부
155 : 양압발생부
160 : 포장재공급유닛
161 : 포장재적재부
163 : 포장재픽업부
163a : 픽업부재
163b : 픽업부재회전부
163c : 픽업부재이동부
163d : 슈트
165 : 포장재홀더부
167 : 포장재이동부
168 : 제1개방유도부재
169 : 제2개방유도부재
170 : 제품적재유닛
171 : 배출부
173 : 제1수납트레이
175 : 제2수납트레이
177 : 트레이이동부
180 : 중량측정부
185 : 수량측정부
190 : 수량판별부
A : 제1위치
B : 제2위치
I : 투입위치
n : 노즐
o : 겹침영역

Claims (8)

  1. 시트가 평면 형태로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시트를 롤 형태로 감는 롤링유닛;
    상기 롤링유닛의 외주면을 감싸며 롤 형태로 감긴 시트가 위치하는 제1위치와 롤 형태로 감긴 시트의 장변방향을 따라 제1위치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제2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위치에서 롤 형태로 감긴 시트를 파지하여 상기 제2위치로 이동시키며 지지판에 안착시키는 토잉부;
    롤 형태로 감긴 시트가 안착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통과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절첩가이드부; 및
    상기 지지판에 안착된 시트를 하부방향으로 가압하되, 가압점을 중심으로 시트가 절첩되며 상기 통과홀을 통과하도록 시트의 이동을 유도하면서 상기 통과홀의 하부에 위치된 포장재의 내부로 시트를 투입하는 절첩투입유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절첩투입유도유닛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통과홀을 통과할 수 있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에 안착된 시트를 하부방향으로 눌러 상기 통과홀을 통과시키며 상기 통과홀의 하부에 위치된 포장재의 내부로 투입하는 가압부재;
    상기 가압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 및
    상기 가압부재가 시트를 포장재의 내부로 투입하는 방향을 향해 에어를 분사하는 양압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팩 입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압발생부는, 상기 가압부재의 하부방향 이동이 완료된 후 원위치 복귀를 위한 상기 가압부재의 상부방향으로의 이동이 시작되기 전 사이에 시트를 향해 에어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팩 입수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유닛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밀착된 시트가 외주면을 감싸며 롤 형태로 감기도록 길이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롤러부재; 및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시트를 상기 롤러부재에 밀착시키는 음압을 제공하는 롤러음압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팩 입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상기 롤러음압발생부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팩 입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위치에서는, 롤 형태로 감긴 시트의 장변방향 중앙 부분이 상기 통과홀의 상부와 상기 가압부재의 하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통과홀은, 상기 장변방향에 따른 길이가 상기 장변방향에 따른 시트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가압부재에 의해 눌려 상기 통과홀을 통과하는 시트는, 상기 롤링유닛에 의해 감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팩 입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과홀 하부에서 시트가 투입되는 투입위치로 포장재를 공급하는 포장재공급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팩 입수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공급유닛은,
    포장재가 적재되는 포장재적재부;
    상기 포장재적재부에 적재된 포장재를 픽업하는 포장재픽업부;
    상기 포장재픽업부에 의해 픽업된 포장재가 시트 투입 가능한 상태로 안착되는 포장재홀더부; 및
    포장재가 안착된 상기 포장재홀더부를 상기 투입위치로 이동시키는 포장재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팩 입수장치.
KR1020160063701A 2016-05-24 2016-05-24 마스크 팩 입수장치 KR101719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701A KR101719608B1 (ko) 2016-05-24 2016-05-24 마스크 팩 입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701A KR101719608B1 (ko) 2016-05-24 2016-05-24 마스크 팩 입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9608B1 true KR101719608B1 (ko) 2017-04-05

Family

ID=58587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3701A KR101719608B1 (ko) 2016-05-24 2016-05-24 마스크 팩 입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960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4086A (ko) 2019-12-11 2021-06-21 (주)이시스코스메틱 마스크팩용 마스크시트 절첩장치
KR20210074084A (ko) 2019-12-11 2021-06-21 (주)이시스코스메틱 마스크팩용 마스크시트 3차원 폴딩장치
KR20210074085A (ko) 2019-12-11 2021-06-21 (주)이시스코스메틱 마스크팩용 시트 선별공급장치
KR20210074459A (ko) 2019-12-11 2021-06-22 (주)이시스코스메틱 마스크팩용 시트 연속 포장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3262B1 (ko) * 2014-07-10 2014-12-16 이계식 향상된 폴딩효과를 갖는 마스크 팩 포장장치
KR101571624B1 (ko) * 2014-04-18 2015-11-24 최창순 마스크 시트의 자동 절첩이 이루어지는 마스크팩 제조 장치
CN105197269A (zh) * 2015-11-10 2015-12-30 厦门佳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带插板改进结构的面膜折叠入袋机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1624B1 (ko) * 2014-04-18 2015-11-24 최창순 마스크 시트의 자동 절첩이 이루어지는 마스크팩 제조 장치
KR101473262B1 (ko) * 2014-07-10 2014-12-16 이계식 향상된 폴딩효과를 갖는 마스크 팩 포장장치
CN105197269A (zh) * 2015-11-10 2015-12-30 厦门佳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带插板改进结构的面膜折叠入袋机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4086A (ko) 2019-12-11 2021-06-21 (주)이시스코스메틱 마스크팩용 마스크시트 절첩장치
KR20210074084A (ko) 2019-12-11 2021-06-21 (주)이시스코스메틱 마스크팩용 마스크시트 3차원 폴딩장치
KR20210074085A (ko) 2019-12-11 2021-06-21 (주)이시스코스메틱 마스크팩용 시트 선별공급장치
KR20210074459A (ko) 2019-12-11 2021-06-22 (주)이시스코스메틱 마스크팩용 시트 연속 포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9603B1 (ko) 자동식 마스크 팩 입수장치
KR101719608B1 (ko) 마스크 팩 입수장치
US9845169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packaging loose product
DE4434866C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inführen von zusammendrückbaren Packungen in Behälter
KR101297461B1 (ko) 마스크 팩 포장장치
KR101473261B1 (ko) 낱장 공급이 용이한 마스크 팩 포장장치
KR101673895B1 (ko) 마스크 팩 입수장치
KR20070087584A (ko) 자동 완충재 충진 시스템 및 방법
TW200306272A (en) Procedure and device for sticking
KR101853359B1 (ko) 시트 마스크 패킹장치
CN115135176A (zh) 卷烟机
FI74255C (fi) Foerpackningsanordning foer fast artikel.
DE102018203909A1 (de) Vorrichtung zum Einlegen eines Produkts in einen Beutel
KR101853360B1 (ko) 시트 마스크 패킹장치
KR101738120B1 (ko) 이물질 검출 기능을 갖는 자동식 마스크 팩 입수장치
KR101718535B1 (ko) 밀폐식 자동 마스크 팩 입수장치
KR20210050220A (ko) 마스크 팩 입수장치
KR20210050216A (ko) 마스크 팩 입수장치
KR101444239B1 (ko) 자동포장장치
KR20210050939A (ko) 자동식 마스크 팩 입수장치
KR20210050964A (ko) 밀폐식 자동 마스크 팩 입수장치
KR102348109B1 (ko) 한방침 자동 포장장치
KR101970277B1 (ko) 자동 포장 및 묶음이 가능한 김자반 제조 장치
DK154410B (da) Fremgangsmaade og apparat til indpakning af emner
CN211520395U (zh) 一种便于棉花运输的棉花打包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0002155;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00717

Effective date: 20210831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