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7740B1 - 기둥 및 이를 위한 기둥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기둥 및 이를 위한 기둥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7740B1
KR101847740B1 KR1020160142071A KR20160142071A KR101847740B1 KR 101847740 B1 KR101847740 B1 KR 101847740B1 KR 1020160142071 A KR1020160142071 A KR 1020160142071A KR 20160142071 A KR20160142071 A KR 20160142071A KR 101847740 B1 KR101847740 B1 KR 101847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elastic member
mounting
threaded
threade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2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1410A (ko
Inventor
이의진
웨이밍 조우
Original Assignee
이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의진 filed Critical 이의진
Publication of KR20180001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7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7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천장 등의 고정대상물에 기둥의 단부에 설치된 침이 박혀 고정되므로, 천장이 상방으로 변형되더라도 기둥이 기울어지거나 넘어지지 않는 기둥과 이를 위한 기둥 고정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기둥 고정 장치는 길이 조정이 가능한 신축부재의 단부에 결합하기 위한 장착부가 형성된 장착몸체, 침 및 상기 침을 지지하고 상기 장착몸체에 나사 결합되어 회동 방향에 따라 상기 침을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침작동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한다.

Description

기둥 및 이를 위한 기둥 고정 장치{Post and fixing device for the same}
본 발명은 조립식 선반이나 기둥행거 등의 조립식 가구에 사용되는 기둥 및 이를 위한 기둥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닥과 천장 사이에 기둥을 1개 또는 복수 개 설치하고 그 기둥에 선반을 설치하여 물품을 올려둘 수 있게 하거나 가로봉 등을 설치하여 옷 등을 걸어둘 수 있게 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되는 기둥 및 이를 위한 기둥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품을 올려두기 위한 조립식 선반이나 옷을 걸어두기 위한 기둥행거가 일반 가정의 방이나 거실 또는 화장실 또는 사무실에 많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조립식 선반의 일례가 공개번호 10-2009-0125980호(발명의 명칭: 위치 가변형 브래킷을 갖는 조립식 선반 및 이를 이용한 칸막이, 발명자: 박찬성)의 공개특허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조립식 선반에 사용되는 기둥은 여러 개의 봉을 서로 끼워서 연결한 것을 바닥과 천장 사이에 설치하는 데, 기둥 속에 설치된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거나 기둥 끝에 설치된 나사의 가압력으로 기둥을 고정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식은 설치 초기에는 기둥이 천장과 바닥 사이에 튼튼하게 고정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판으로 된 천장이 위쪽으로 밀려서 기둥의 고정상태가 느슨해져 기둥이 똑바로 서있지 못하고 옆으로 기울어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때에 따라 기둥이 넘어지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천장과 바닥 사이에 기둥을 설치한 후에 시간이 오래 지나더라도 기둥이 넘어지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조립식 선반이나 기둥행거 등의 조립식 가구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기둥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기둥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기둥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둥은 길이 조정이 가능한 신축부재; 및 상기 신축부재의 단부에 장착되고 침을 상기 신축부재의 길이방향으로 바깥으로 돌출시켜 상기 침이 고정대상물에 박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둥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구성을 한다.
상기 기둥 고정 장치는, 상기 신축부재의 단부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장착몸체; 상기 침: 및 상기 침과 연결되고 상기 장착몸체에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회동방향에 따라 상기 침을 상기 신축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이동시키는 침작동부를 구비한다.
상기 장착몸체에 상기 신축부재의 길이방향으로 결합하기 위한 제1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침작동부는 상기 제1나사부에 결합되는 제2나사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착몸체는 상기 장착부를 통해 상기 신축부재의 단부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중심부에 상기 제1나사부가 형성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신축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침작동부를 외부에서 작동시킬 수 있도록 측면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침이 통과될 수 있는 침구멍이 형성된 침안내부를 구비하는 것이 더욱 좋다.
상기 신축부재는 한쪽 끝단에 제3나사부가 구비된 바와 상기 제3나사부에 결합되는 제4나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3나사부에 상기 제4나사부가 결합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신축부재의 길이가 조정될 수 있게 하는 길이조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는 제1바와 제2바가 연결구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구는 상기 제1바에 결합되고 테이퍼가 진 내주면을 따라 암나선이 형성된 제1나선부재 및 상기 제2바에 결합되고 테이퍼가 진 외주면을 따라 상기 암나선에 결합되는 수나선을 구비하는 제2나선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기둥 고정 장치는 길이 조정이 가능한 신축부재의 단부에 결합하기 위한 장착부가 형성된 장착몸체; 침; 및 상기 침을 지지하고 상기 장착몸체에 나사 결합되어 회동 방향에 따라 상기 침을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침작동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한다.
상기 장착몸체는 중심부에 제1나사부가 형성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가장자리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침작동부를 외부에서 작동시킬 수 있도록 측면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침이 통과될 수 있는 침구멍이 형성된 침안내부를 구비하고, 상기 침작동부는 상기 제1나사부에 결합되는 제2나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침은 상기 침작동부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천장 등의 고정대상물에 기둥의 단부에 설치된 침이 박혀 고정되므로, 천장이 상방으로 변형되더라도 기둥이 기울어지거나 넘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기둥 고정 장치는 전용의 신축바와 함께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때에 따라 기둥 고정 장치만 별도로 만드는 경우,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여타의 기둥의 단부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둥을 정위치에 설치한 상태에서 손잡이를 회전시킴에 따라 침이 회전되면서 천장을 파고들어가므로, 힘이 적게 들고 누구나 쉽게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둥 고정 장치를 이용한 기둥의 사시도,
도 2는 도 1 기둥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 기둥의 확대 측면도,
도 4는 기둥 고정 장치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둥을 이용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둥 고정 장치의 변형 예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둥 고정 장치를 이용한 기둥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기둥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 기둥의 확대 측면도, 도 4는 기둥 고정 장치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둥을 이용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둥(100)은 길이 조정이 가능한 신축부재(110)와 신축부재(110)의 단부, 바람직하게 상단에 장착되는 기둥 고정 장치(150)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둥 고정 장치(150)는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을 이루는 부분으로, 신축부재(110) 단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침(151)을 신축부재(110)의 길이방향으로 바깥으로 돌출시켜 침(151)이 천장(CE) 등의 고정대상물에 박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신축부재(110)의 단부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152a)가 형성되어 있는 장착몸체(152)와 침(151) 및 침(151)을 신축부재(110)의 길이 방향(이하, "상하 방향"으로 칭함)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침작동부(160)를 갖춘다.
신축부재(110)가 원형의 파이프인 경우, 장착몸체(152)에 형성되는 장착부(152a)는 신축부재(110)의 단부가 일정 깊이까지 삽입될 수 있는 원형의 홈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장착몸체(152)의 외면 역시 원형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장착몸체(152)는 장착부(152a)를 통해 신축부재(110)의 단부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더 자세하게, 장착몸체(152)는 장착부(152a) 위쪽에서 장착부의 상부를 막는 벽부(159)의 중심부에 제1나사부(153)가 형성된 고정부(154)를 갖춘다. 원형의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장착부(152a)는 이 고정부(154)에 설치된다. 고정부(154)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상방으로 연장되고 침의 배치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며 고정부(154)와 상하 2층의 층상으로 배치되는 연장부(155)가 형성되며, 연장부(155)의 단부에는 침(151)이 통과할 수 있는 침구멍(156a)이 형성된 침안내부(156)가 구비된다. 침안내부(156)의 상면에는 천장(CE)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도록 고무덮개(157)가 설치되며, 이 고무덮개(157)의 중앙부에도 침(151)이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다.
연장부(155)는 뒤에서 설명되는 침작동부(160)를 외부에서 작동시킬 수 있도록 측면에 개방부(155a)가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침(151)은 철 등의 금속재로 된 것이 바람직하지만 때에 따라 플라스틱 등 금속 이외의 재료로 된 것도 사용될 수 있다.
침작동부(160)는 침(151)을 신축부재(1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켜 침(151)이 외부로 돌출되게 함으로써, 침(151)이 천장(CE) 등의 고정대상물을 뚫고 들어가서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도 기둥(100)이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침작동부(160)는, 바람직하게, 제1나사부(153)에 결합되는 제2나사부(162)를 구비하며, 제2나사부(162)를 사람이 손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제2나사부(152)보다 큰 직경의 회동손잡이(164)를 가진다. 침작동부(160)는 제2나사부(162)를 통해 장착몸체(152)에 결합되어 그 회동방향에 따라 침(151)을 신축부재(110)의 길이방향으로 안쪽으로(하방향) 또는 바깥쪽으로(상방향) 이동시킨다.
신축부재(110)는 바(112)와 바(112)의 하단에 나사결합하는 길이조정부재(120)를 구비한다. 바(112)의 한쪽 끝단에는 제3나사부(113)가 구비되고 길이조정부재(120)에는 제3나사부(113)에 결합되는 제4나사부(122)가 형성된다. 제3나사부(113)는 바(112)의 단부에 직접 형성하여도 되지만,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주면에 제3나사부(113)가 형성된 별도의 부재를 바(112)의 단부에 결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3나사부(113)에 제4나사부(122)가 결합하는 정도에 따라 신축부재(110)의 길이가 조정된다. 길이조정부재(120)의 저면에 PVC 등으로 마개(124)가 설치된다. 마개(124)는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제1돌기(125a)를 통해 길이조정부재(120)에 직접 결합된 제1마개(125)와 외주면에 형성된 제2돌기(126a)를 통해 제1마개(125)에 결합된 제2마개(126)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바(112)는 제1바(112a)와 제2바(112b) 등 2개 이상의 바가 연결구(130)를 통해 서로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구(130)로는 제1바(112a)에 결합되고 테이퍼가 진 내주면을 따라 암나선이 형성된 제1나선부재(132) 및 제2바(112b)에 결합되고 테이퍼가 진 외주면을 따라 암나선에 결합되는 수나선을 구비하는 제2나선부재(134)를 갖춘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 제1나선부재(132)의 일 측면에는 측면개구(132a)가 형성되고, 제2나선부재(134)의 하단에 걸림부(135)를 형성하여, 제1나선부재(132)를 측면개구(132a)를 통해 제2나선부재(134)에 장착하고, 이 상태에서 제1바(112a) 내부로 삽입하여 잠그면 제1나선부재(132)가 점점 벌어지면서 제1바(112a) 내면에 압착되어 제2바(112b)가 제1바(112a)에 고정될 수 있다. 때에 따라, 제1나선부재(132)의 외면과 제1바(112a)의 내면에 제1나선부재(132)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홈과 돌기가 대응하는 위치에 제1바(112a)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둥(100)을 바닥(BO)과 천장(CE) 사이에 고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 제2나선부재(132, 134)를 통해 제1바(112a)와 제2바(112b)를 결합하여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의 천장(BO)과 바닥(CE) 사이의 간격보다 길이가 조금 작은 바(112)를 조립한다. 그리고 바(112)의 하단에는 제3나선부(113)와 제4나선부(122)를 통해 길이조정부재(120)를 결합하여 신축부재(110)를 만든다. 또한, 바(112)의 상단에는 장착부(152a)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기둥 고정 장치(150)를 결합한다.
이렇게 조립된 기둥(100)을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 위치시키고 길이조정부재(120)를 회전시켜서 신축부재(110)의 길이를 증가시켜 기둥 고정 장치(150)의 상면이 천장(CE)에 닿도록 한다. 기둥(100)의 위치를 정확하게 잡은 후에 길이조정부재(120)를 더 회전시켜 신축부재(110)의 길이를 더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기둥(100)은 천장(CE)과 바닥(BO) 사이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렇게 고정된 기둥(100)이 원하는 위치에 정확히 설치가 된 후에 침작동부(160)의 회동손잡이(164)를 한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에 따라 침작동부(160)는 제1나사부(153)에 결합된 제2나사부(162) 통해 위로 상승하고, 침작동부(160)에 설치된 침(151)도 상승하여 침안내부(156)에 형성된 침구멍(156a)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면서 천장(CE)을 파고 들어가서 고정된다. 이에 따라 기둥(100)은 바닥(BO)과 천장(CE) 사이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오랜 시간이 지나서 천장(CE)이 상방으로 어느 정도 변형되더라도 침(151)이 천장(CE)에 박혀 있으므로 기둥(100)이 넘어지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바닥(BO)과 천장(CE) 사이에 기둥(100)을 고정하고, 기둥(100) 외주면의 적당한 높이에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반(SH) 등을 설치하여 사용하면 된다.
또한, 기둥(100)은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 또는 3개 이상 여러 개 설치될 수 있고, 여러 개의 기둥(100) 사이에 수평으로 행거를 걸 수평 바(BA) 등을 결합하여 기둥 행거로 사용하거나 긴 선반을 한 층, 또는 다단으로 설치하여 조립식 선반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둥 고정 장치의 변형 예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5를 함께 참고하면서 설명한다.
때에 따라 침(151)으로는 외주면에 나사산(TH)이 형성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침(151a)이 천장(CE) 등 고정 대상물에 쉽게 파고 들어갈 수 있고, 천장(CE)이 상방으로 들리면서 변형되는 것도 방지되어 견고한 상태를 오래 유지할 수 있다.
나머지는 도 1 내지 5를 통해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본 발명은 일반 가정의 방이나 화장실 또는 사무실 등에 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선반이나 기둥 행거 등을 만드는 데 이용될 가능성이 있다.
100: 기둥 110: 신축부재
120: 길이조정부재 150: 기둥 고정 장치
151: 침 152: 장착몸체
152a: 장착부 154: 고정부
155: 연장부 156: 침안내부
156a: 침구멍 157: 고무덮개

Claims (8)

  1. 길이 조정이 가능한 신축부재; 및
    상기 신축부재의 단부에 장착되고 침을 상기 신축부재의 길이방향으로 바깥으로 돌출시켜 상기 침이 고정대상물에 박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둥 고정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기둥 고정 장치는,
    상기 침;
    상기 신축부재의 상기 단부에 장착할 수 있는 장착부가 설치되고 상기 장착부 위쪽에 상기 장착부의 상부를 막는 벽부가 배치되며 상기 벽부의 중심부에 제1나사부가 형성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상부 가장자리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내부에 상기 침의 배치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며 측면에 개방부가 형성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침이 통과될 수 있는 침구멍이 형성된 침안내부를 구비하여 상기 고정부와 상기 연장부가 상하 2층의 층상으로 형성된 장착몸체: 및
    상기 침이 고정되고, 상기 제1나사부에 결합되는 제2나사부와 상기 제2나사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를 통해 손으로 상기 제2나사부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회동손잡이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나사부를 통해 상기 제1나사부에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회동방향에 따라 상기 침을 상기 연장부의 안쪽으로 또는 상기 연장부의 바깥쪽으로 이동시키는 침작동부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신축부재는 한쪽 끝단에 제3나사부를 구비하는 바와 상기 제3나사부에 결합되는 제4나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3나사부에 상기 제4나사부가 결합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신축부재의 길이가 조정될 수 있게 하는 길이조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침이 천장을 향하게 하여 상기 신축부재를 바닥과 상기 천장 사이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침작동부를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침작동부가 상기 신축부재의 지지를 받으면서 상기 침을 상승시켜 상기 침이 상기 천장에 박힐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침:
    신축부재의 단부에 장착할 수 있는 장착부가 설치되고 상기 장착부 위쪽에 상기 장착부 상부를 막는 벽부가 배치되며 상기 벽부의 중심부에 제1나사부가 형성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상부 가장자리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내부에 상기 침의 배치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며 측면에 개방부가 형성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침이 통과될 수 있는 침구멍이 형성된 침안내부를 구비하여 상기 고정부와 상기 연장부가 상하 2층의 층상으로 형성된 장착몸체; 및
    상기 침이 고정되고, 상기 제1나사부에 결합되는 제2나사부와 상기 제2나사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를 통해 손으로 상기 제2나사부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회동손잡이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나사부를 통해 상기 제1나사부에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회동방향에 따라 상기 침을 상기 연장부의 안쪽으로 또는 상기 연장부의 바깥쪽으로 이동시키는 침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고정 장치.
  8. 삭제
KR1020160142071A 2016-06-27 2016-10-28 기둥 및 이를 위한 기둥 고정 장치 KR1018477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20639445.9 2016-06-27
CN201620639445.9U CN206043906U (zh) 2016-06-27 2016-06-27 一种立式支撑置物架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410A KR20180001410A (ko) 2018-01-04
KR101847740B1 true KR101847740B1 (ko) 2018-04-10

Family

ID=58373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2071A KR101847740B1 (ko) 2016-06-27 2016-10-28 기둥 및 이를 위한 기둥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47740B1 (ko)
CN (1) CN20604390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3838B1 (ko) * 2021-06-04 2021-12-27 라온시스템가구(주) 시스템 가구용 레벨링 장치
KR102432697B1 (ko) * 2022-02-08 2022-08-16 주식회사 크로바가구 안정감과 견고함이 향상된 부분 교체형 높낮이 조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95504A (zh) * 2018-01-31 2018-06-01 陈孝很 一种结构简单且便于组装的置物架
KR101909872B1 (ko) * 2018-05-20 2018-10-18 이용백 높이조절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49022U (ko) * 1976-05-10 1977-11-11
KR200265460Y1 (ko) * 2001-11-08 2002-02-21 변정은 파이프 지지대
KR200334963Y1 (ko) * 2003-08-18 2003-12-03 박우희 행거포스트
KR200368889Y1 (ko) * 2004-09-03 2004-12-03 박성희 조립식 행거용 서포트
JP2006015104A (ja) * 2004-07-02 2006-01-19 Kg Paltec Co Ltd 支柱の取付装置
KR200436737Y1 (ko) * 2007-06-19 2007-09-28 주식회사 창신산업 시스템가구용 높이조절장치
KR101296988B1 (ko) * 2013-02-13 2013-08-14 (주)유피스 책상용 파티션 결합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49022U (ko) * 1976-05-10 1977-11-11
KR200265460Y1 (ko) * 2001-11-08 2002-02-21 변정은 파이프 지지대
KR200334963Y1 (ko) * 2003-08-18 2003-12-03 박우희 행거포스트
JP2006015104A (ja) * 2004-07-02 2006-01-19 Kg Paltec Co Ltd 支柱の取付装置
KR200368889Y1 (ko) * 2004-09-03 2004-12-03 박성희 조립식 행거용 서포트
KR200436737Y1 (ko) * 2007-06-19 2007-09-28 주식회사 창신산업 시스템가구용 높이조절장치
KR101296988B1 (ko) * 2013-02-13 2013-08-14 (주)유피스 책상용 파티션 결합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3838B1 (ko) * 2021-06-04 2021-12-27 라온시스템가구(주) 시스템 가구용 레벨링 장치
KR102432697B1 (ko) * 2022-02-08 2022-08-16 주식회사 크로바가구 안정감과 견고함이 향상된 부분 교체형 높낮이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6043906U (zh) 2017-03-29
KR20180001410A (ko) 2018-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7740B1 (ko) 기둥 및 이를 위한 기둥 고정 장치
KR101505001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선반체결 지주봉
US20170290426A1 (en) Cabinet foot and cabinet foot system
KR200189530Y1 (ko) 가변 조절 기능을 갖는 배수트랩
KR101359491B1 (ko) 조립식 가구 시스템
KR101599413B1 (ko) 양방향 연동승강식 가구 받침다리
KR102325389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지지포스트를 구비한 드레스 선반
KR20170100949A (ko) 가구용 걸이대
KR200214931Y1 (ko) 조립식 선반
KR200309569Y1 (ko) 선반의 고정장치
KR200460781Y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주방용 선반기둥
KR101026922B1 (ko) 천장용 캐링채널 지지장치
JP3113206U (ja) ポール設立装置
KR200320996Y1 (ko) 주방용 식기건조대의 길이조절봉 고정구조
KR200490022Y1 (ko) 욕실용 선반
CN209779808U (zh) 洁具壁挂装置及卫生间
CN202636535U (zh) 一种用于安装置物架的撑杆
EP4244437A1 (en) An improved fixing device for wall-hung toilets
KR102556837B1 (ko) 시스템 가구용 비노출형 높이조절장치
KR200308466Y1 (ko) 벽걸이 겸용 코너 정리대
AU2009200739B2 (en) Partition Wall Support Leg
KR20190001585U (ko) 가구용 옷걸이봉 지지구
CN110870748B (zh) 一种电器水管固定结构及移动式洗碗机
KR200321253Y1 (ko) 조립 선반
KR20200034984A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지지포스트를 구비한 드레스 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