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2697B1 - 안정감과 견고함이 향상된 부분 교체형 높낮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안정감과 견고함이 향상된 부분 교체형 높낮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2697B1
KR102432697B1 KR1020220016509A KR20220016509A KR102432697B1 KR 102432697 B1 KR102432697 B1 KR 102432697B1 KR 1020220016509 A KR1020220016509 A KR 1020220016509A KR 20220016509 A KR20220016509 A KR 20220016509A KR 102432697 B1 KR102432697 B1 KR 102432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ody
height
adapter
manipulation
support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6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진
성조현
권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로바가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로바가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로바가구
Priority to KR1020220016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26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2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2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 A47B91/022Adjustable feet using screw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27Feet
    • A47B2220/003Height-adjustable feet or gliders for tables or desks

Landscapes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 케이스에 내장된 상태에서 조작부가 운용되는 개선된 구조로 제공됨에 따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지 않고도 높낮이를 편의하게 조절할 수 있어 가구의 사용 및 활용 가치가 극대화될 뿐 아니라 흔들림 없이 안정감 있게 운용할 수 있는 등 기존과 차별화된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조작의 편의성 내지 사용상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안정감과 견고함이 향상된 부분 교체형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각 다리 하단에 장착되어 지면을 지지하고 수직방향에 대한 높이 조절에 기인하여 수평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써, 지면에 밀착되는 지지부(100); 지지부 상단에 적층되며,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커버체(200); 지지부와 커버체 사이에 내장되고, 조작면 일부가 지지부의 측면으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조작을 유도하며, 사용자의 회전 조작을 매개로 커버체를 승하강시키는 승강부(30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안정감과 견고함이 향상된 부분 교체형 높낮이 조절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height}
본 발명은 가구 따위에 범용으로 활용 가능한 높이조절장치의 기술사상을 개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 케이스에 내장된 상태에서 조작부가 운용되는 개선된 구조로 제공됨에 따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지 않고도 높낮이를 편의하게 조절할 수 있어 각종 가구의 사용 및 활용 가치가 극대화될 뿐 아니라 흔들림 없이 안정감 있게 운용할 수 있는 등 기존과 차별화된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조작의 편의성 내지 사용상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안정감과 견고함이 향상된 부분 교체형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책상이나 의자, 옷장 등의 가구는 물론 세탁기나 냉장고 등의 전자제품은 지면과의 정확한 수평이 요구되므로 하부에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높이 조절장치는 설치, 기능, 조작 등의 편의를 위해 지속적으로 구조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일례로 등록특허공보 제10-1704526호 "내진용 조절발"이 게재되어 있다. 해당 기술은 가구에 고정 결합하는 고정 몸체부와, 고정 몸체부에 결합하는 높이조절 몸체부와, 고정볼트에 의해 높이조절 몸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지지부와, 회전 지지부에 결합하는 회전 지지부 작동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술은 지진 발생시 바닥면에 맞닿아 있는 회전 지지부 작동수단에 의해 높이조절 몸체부에서 회전 지지부가 슬라이딩 작용이 이루어지면서 가구가 이동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지진 발생에 따른 가구의 이동에 의한 2차 피해를 방지할 수 있고, 회전 지지부가 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지진 발생시 어떠한 방향으로 가구가 이동되더라도 이를 방지할 수 있으며, 가구가 설치되는 바닥면의 재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가구의 이동을 방지하여 다양한 위치에 적용 가능한 내진용 조절발을 제공한다.
하지만, 상기 기술은 높낮이를 조절하여 가구의 수평을 맞추기 위해서는 가구를 들어올려 지면으로부터 이격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따라 가구나 제품을 들어올리지 않고도 높낮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었으며, 일례로 등록특허공보 제10-2286630호 "높낮이 조절발"이 게재되어 있다. 해당 기술은 중앙에 하방으로 체결포트가 연장되고 체결포트의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상부몸체와, 상부 몸체의 하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몸체와, 하부몸체의 하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 암나사산과 맞물리는 수나사산이 형성되며 중앙에 둘레를 따라 제1 베벨기어가 형성된 회전샤프트와, 하부몸체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에 제1베벨기어와 맞물리는 제2베벨기어가 형성되며 회전에 따라 회전샤프트를 회전시켜 상부몸체를 이동시키는 구동샤프트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술은 , 가구와 같은 대상물의 하단에 결합되는 상부몸체 및 하부몸체가 베벨기어에 의해 결합되어 높이 조절됨으로써 가구와 같은 대상물을 들지 않고도 조절발의 측면을 통해 조절발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편의성 제공한다.
하지만, 상기 기술은 바벨기어를 회전 반경이 슬롯의 범위에 한정되어 있으므로 높낮이 기능의 기대치를 충족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기어어 치합에 의한 구조적 특성상 제조 난이도가 높아 생산성이 떨어지고, 마모에 민감하여 유지와 관리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아울러 가구나 전자제품의 하중을 견디기 위해 스틸 소재로 제조되어 높낮이 조작시 구성요소간 마찰로 인해 소음이 발생하므로 제품 파손에 대한 심리적 불안감이 조성됨은 물론 제품의 퀄리티를 저해하는 등 또 다른 문제점이 야기되었는바, 이의 개선책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04526호 "내진용 조절발" 등록특허공보 제10-2286630호 "높낮이 조절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기존과 차별화된 제반 구성으로 인해 각종 가구 등을 들어올리지 않고도 높이 조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높낮이와 수평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주된 해결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 제품 대비 뛰어난 내구성을 보유하면서도 소음 발생이 최소화되는 우수한 품질의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다른 해결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가구의 하중을 견뎌야 하는 제품의 특성상 마모가 가장 빠르게 이루어지는 부위를 부분적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한 높낮이 조절장치의 제공을 또 다른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안정감과 견고함이 향상된 부분 교체형 높낮이 조절장치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높낮이 조절장치(1)는 가구의 각 다리 하단에 장착되어 지면을 지지하고 수직방향에 대한 높이 조절에 기인하여 가구의 수평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써, 지면에 밀착되는 지지부(100); 지지부 상단에 적층되며,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커버체(200); 지지부와 커버체 사이에 내장되고, 조작면 일부가 지지부의 측면으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조작을 유도하며, 사용자의 회전 조작을 매개로 커버체를 승하강시키는 승강부(3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부(300)는 커버체(200) 상단에서 하향 개입되고, 내경을 따라 나사홀이 형성되며, 나사홀의 마모 정도에 따라 커버체로부터 탈거 가능하게 설치되는 어뎁터(310); 지지부(100) 내부에 안착되되 외경 일부가 지지부의 측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조작을 유도하는 조작면(321) 및 조작면의 중심에서 상향 돌출되며 외경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어뎁터(310)와 결합하는 조절축(322)으로 이루어진 조작부(3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승강부(300)는 커버체(200)와 조작부(320) 사이에 밀착 개재되어 커버체의 승하강에 대한 경로를 안내하는 하우징(33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어뎁터(310)는 커버체(200) 상단을 관통하여 수직 개입되며 내경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조작부(320)의 조절축(322)과 결합되는 삽입툴(311); 삽입툴의 상단에 확장된 직경으로 연장 형성되어 커버체의 상단에 거치됨에 따라 삽입툴의 개입 위치를 고정시키는 거치부(3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어뎁터(310)는 좌우로 양분되어 서로 분리 및 조립 가능한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어뎁터(310)는 좌우 양분된 어느 하나의 삽입툴(311)에 갈고리 형상의 결합편(311a)이 형성되고, 이웃하는 삽입툴은 결합편의 개입과 구속을 유도하는 결합공(311b)이 더 형성되어 상호 결합에 의한 일체화가 유도되는 것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어뎁터(310)는 좌우로 양분된 어느 하나의 삽입툴(311) 측면을 기설정 범위만큼 관통함에 따라 나사산 일부가 제거됨으로써 조절축(322)과의 마찰면이 축소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버체(200)는 하우징(330)의 내부 인입 시 결합력 강화 내지 진입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절개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부와 커버체 사이에 개입된 승강부의 조작으로 커버체의 승하강이 이루어짐에 따라 지지부를 지면으로부터 이탈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도 높낮이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가구 사용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재 및 구조적 특성에 기인하여 조작 시 마찰에 의한 소음이 최소화될 뿐 아니라 특히 가구의 하중을 견디면서 회전 조작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되는 높낮이 조절장치의 특성상 집중적으로 마모가 이루어지는 부위별로 부분 교체가 가능하므로 제품의 관리비용을 적극적으로 절감할 수 있어 효과적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제반 구성들이 기존 대비 극히 간소화되고 서로 긴밀하게 유기적으로 구현됨에 따라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이 확보되는 이점 또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높이 조절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높이 조절장치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승강부의 조작에 의한 커버체의 구동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어뎁터의 상세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및 평면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높이 조절장치의 구분 동작에 대한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각종 가구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하여 개진한다.
무엇보다 본 발명은 별도 케이스에 내장된 상태에서 조작부가 운용되는 개선된 구조로 제공됨에 따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지 않고도 높낮이를 편의하게 조절할 수 있어 각종 가구의 사용 및 활용 가치가 극대화될 뿐 아니라 흔들림 없이 안정감 있게 운용할 수 있는 등 기존과 차별화된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조작의 편의성 내지 사용상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안정감과 견고함이 향상된 부분 교체형 높낮이 조절장치(1)에 관련됨을 주지한다.
도 1 내지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제안하는 높낮이 조절장치(1)는 상하 적층된 지지부(100)와 케이스(200) 사이에 승강부(300)에 내장 설치되고, 지지부의 측부로 소정 노출된 승강부의 회전 조작으로 케이스의 개별 승강을 유도함에 따라 가구 등을 들어올리지 않고도 높낮이 및 수평이 간편하게 조절되는 것에 주된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높낮이 조절장치는 잦은 마모가 예상되는 부위를 부분적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것에 다른 목적을 가진다.
상기의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높낮이 조절장치(1)는 가구의 각 다리 하단에 장착되어 지면을 지지하고, 수직방향에 대한 높이 조절에 기인하여 수평을 제어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의 높낮이 조절장치(1)는 각 다리 하단에 배치되어 지면에 밀착되는 지지부(100);와, 하단은 지지부 상단에 적층되며 상단은 다리와 결부되고 내부에는 중공부를 갖는 커버체(200);와, 지지부와 커버체 사이에 내장되고, 조작면 일부가 지지부의 측면으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조작을 유도하며, 사용자의 회전 조작을 매개로 커버체를 승하강시키는 승강부(300);로 구분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100)와 커버체(200)는 플라스틱 소재로 성형 가능하며, 전체적인 외형이 직육면체의 큐브 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기존 스틸 소재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상응하는 내구성이 보유되면서 지면과의 안정적인 지지를 유도 및 확보한다.
이러한 지지부(100)는 지면에 안착되는 지지판재(101)와, 지지판재의 각 모서리 영역에서 설정 높이 상향 돌출되는 벽체(10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버체(200)는 지지부(100)의 상단에서 벽체(102)에 의해 지지판재(101)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된 상태로 적층된다.
상기 커버체(200)는 승강부(300)가 내부 설치되도록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단 중심부에는 아래 후술할 어뎁터(310)의 개입을 허용하기 위한 관통홀(201)이 더 마련된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커버제(200)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교체 활용 가능함으로써 별도의 높이 조절 기능 또한 부여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300)는 커버체(200) 상단에서 하향 개입되고, 내경을 따라 나사홀이 형성되며, 나사홀의 마모 정도에 따라 커버체로부터 탈거 가능하게 설치되는 어뎁터(310);와, 지지부(100) 내부에 안착되되 외경 일부가 지지부의 측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조작을 유도하는 조작면(321) 및 조작면의 중심에서 상향 돌출되며 외경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어뎁터(310)와 결합하는 조절축(322)으로 이루어진 조작부(320);로 구성된다.
상기 어뎁터(310)는 커버체(200)의 상단에 형성된 관통홀(201)을 통해 커버체의 내부로 진입 배치되고, 내경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조작부(320)의 조절축(322)과 결합되는 삽입툴(311);과, 삽입툴의 상단에서 확장된 면적으로 연장 형성되어 커버체의 상단에 거치됨에 따라 삽입툴의 진입 위치를 결정 및 고정되게 하는 거치부(312);로 구분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어뎁터(310)는 삽입툴(311)이 케이스(200) 상단에서 케이스의 내부로 인입되고 거치부(312)에 의해 게이스 상단에 단순히 거치되는 결합구조로 이루어지는바, 삽입툴의 내경을 따라 형성된 나사산이 잦은 사용으로 마모될 경우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케이스로부터 어뎁터를 손쉽게 탈거하여 새로운 어뎁터로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상기 삽입툴(311)은 상하 내통된 원통형의 외형을 가지며, 내경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조작부(320)의 볼트 결합을 유도한다. 상기 삽입툴(311)은 커버체(200)에 형성된 관통홀(201)에 수직으로 개입되며, 관통홀과의 간극으로 인해 요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통홀과 일대일 대응하는 직경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치부(312)는 삽입툴(311)의 상단에서 확장된 면적으로 연장 형성되고,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름모의 외형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커버체(200)는 관통홀(201)의 동심원 상에 함몰 형성된 단턱부(202)를 포함하며, 상기 단턱부(202)는 거치부(312)의 외형과 대응하는 사각의 턱으로 이루어져 거치부의 개재시 삽입툴의 원치 않는 회전이 방지된다.
상기 어뎁터(310)는 원통의 외형을 가진 삽입툴(311)과 마름모의 외형을 가진 거치부(312)가 일체로 이루어지고, 내경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출 성형시 정밀한 품질을 얻기 힘들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원활한 사출 성형을 위해 어뎁터(310)를 좌우로 양분하였으며, 그 기준은 거치부(312)의 어느 하나의 모서리 및 해당 모서리와 대각에 위치한 모서리를 대각으로 하여 양분하였다.
아래는 원활한 이해를 위해 양분된 어뎁터(310) 중 어느 하나를 제1바디(310a)로 명칭하고, 이웃하는 하나를 제2바디(310b)로 명칭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제1바디(310a)는 제2바디(310b)와 맞닿는 면 양측으로 갈고리 형상의 결합편(311a)이 2개1조로 구성된다. 상기 제2바디(310b)는 제1바디와 맞닿는 면 양측으로 2개1조의 결합공(311b)이 마련되어 상호 끼움에 의해 일체화되고, 결합편(311a)의 갈고리를 결합공으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간단하게 분리된다.
상기와 같이 제1바디(310a)와 제2바디(310b)로 양분된 어뎁터(310)는 기존과 같이 나사홀을 밀링머신으로 가공하지 않고, 사출 성형으로 형성시키기 때문에 오차없이 정교한 품질로 제공할 수 있으며, 서로 양분된 어뎁터는 조작부(320)의 결합시 맞닿는 부위가 미세하게 벌어지므로 원활한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바디(310b)는 측부의 일부가 관통되어 나사산 일부가 제거되고, 결과적으로 삽입툴(311)의 내경과 조절축(322)의 외경의 마찰면적이 축소됨에 따라 마찰력이 감소되면서 마모의 발생이 적극적 감소되어 장수명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320)는 지지부(100) 내부에 안착되되 외경 일부가 지지부의 측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조작을 유도하는 조작면(321)과, 조작면의 중심에서 상향 돌출되며 외경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어뎁터(310)와 결합하는 조절축(322)으로 구분 구성된다.
상기 조작면(321)은 원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지지부(100)의 내부에 안착되며, 저면 중심부에는 소정의 작은 축이 하향 돌출되어 지지부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조작면(321)은 소정의 두께로 이루어지고, 외주연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돌기가 마련되어 사용자의 원활한 조작감을 유도한다.
상기 조절축(322)은 조작면(321)의 상단 중심부에서 기설정 높이의 원기둥이 상향 돌출된 형태이고, 어뎁터(310)와의 결합을 위해 외주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절축(322)은 어뎁터(310)와의 결합시 선단이 어뎁터의 상단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그 높이에 제약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승강부(300)는 커버체(200)와 조작부(320) 사이에 밀착 개재되어 커버체의 승하강에 대한 경로를 안내하는 하우징(33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330)은 커버체(200)의 내부공간과 일대일 대응하는 직육면체의 외형을 가지며, 중심부는 삽입툴(311)의 외경과 일대일 대응하는 직경의 홀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330)은 측면에 세로방향으로 복수의 절개홈(331)을 반복적으로 형성시켜 커버체(200)와 하우징(330)간에 부분적인 간극을 마련함으로써 커버체와 하우징간의 마찰면 감소 및 마찰열을 외부로 배출 유도되게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하우징(330)은 상면에 대각으로 형성된 절개면(332)을 더 포함함으로써 커버체(200)와 하우징 간에 형성된 압을 외부로 배출 유도되게 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부와 커버체 사이에 개입된 승강부의 조작으로 커버체의 승하강이 이루어짐에 따라 지지부를 지면으로부터 이탈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도 높낮이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가구 사용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재 및 구조적 특성에 기인하여 조작 시 마찰에 의한 소음이 최소화될 뿐 아니라 특히 가구의 하중을 견디면서 회전 조작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되는 높낮이 조절장치의 특성상 집중적으로 마모가 이루어지는 부위별로 부분 교체가 가능하므로 제품의 관리비용을 적극적으로 절감할 수 있어 효과적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제반 구성들이 기존 대비 극히 간소화되고 서로 긴밀하게 유기적으로 구현됨에 따라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이 확보되는 이점 또한 기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지지부
200. 케이스
300. 승강부
310. 어뎁터
320. 조작부
1. 높낮이 조절장치

Claims (5)

  1. 지면에 밀착되는 지지부(100);와, 지지부 상단에 적층되며,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커버체(200);와, 지지부와 커버체 사이에 내장되고, 조작면 일부가 지지부의 측면으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조작을 유도하며, 사용자의 회전 조작을 매개로 커버체를 승하강시키는 승강부(300);로 구성되는 높낮이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300)는 커버체(200) 상단에서 하향 개입되고, 내경을 따라 나사홀이 형성되며, 나사홀의 마모 정도에 따라 커버체로부터 탈거 가능하게 설치되는 어뎁터(310);와, 지지부(100) 내부에 안착되되 외경 일부가 지지부의 측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조작을 유도하는 조작면(321) 및 조작면의 중심에서 상향 돌출되며 외경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어뎁터(310)와 결합하는 조절축(322)으로 이루어진 조작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어뎁터(310)는 커버체(200) 상단을 관통하여 수직 개입되며 내경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조작부(320)의 조절축(322)과 결합되는 삽입툴(311); 및 삽입툴의 상단에 확장된 직경으로 연장 형성되어 커버체의 상단에 거치됨에 따라 삽입툴의 개입 위치를 고정시키는 거치부(312);로 이루어지되, 상기 어뎁터(310)는 좌우로 양분되어 서로 분리 및 조립 가능한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포함하는 안정감과 견고함이 향상된 부분 교체형 높낮이 조절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300)는 커버체(200)와 조작부(320) 사이에 밀착 개재되어 커버체의 승하강에 대한 경로를 안내하는 하우징(330);을 포함하는 안정감과 견고함이 향상된 부분 교체형 높낮이 조절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뎁터(310)는 좌우 양분된 어느 하나의 삽입툴(311)에 갈고리 형상의 결합편(311a)이 형성되고, 이웃하는 삽입툴은 결합편의 개입과 구속을 유도하는 결합공(311b)이 더 형성되어 상호 결합에 의한 일체화가 유도되는 것을 포함하는 안정감과 견고함이 향상된 부분 교체형 높낮이 조절장치.
KR1020220016509A 2022-02-08 2022-02-08 안정감과 견고함이 향상된 부분 교체형 높낮이 조절장치 KR102432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509A KR102432697B1 (ko) 2022-02-08 2022-02-08 안정감과 견고함이 향상된 부분 교체형 높낮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509A KR102432697B1 (ko) 2022-02-08 2022-02-08 안정감과 견고함이 향상된 부분 교체형 높낮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2697B1 true KR102432697B1 (ko) 2022-08-16

Family

ID=83063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6509A KR102432697B1 (ko) 2022-02-08 2022-02-08 안정감과 견고함이 향상된 부분 교체형 높낮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2697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2736U (ko) * 1990-03-29 1991-12-13
JP2005137715A (ja) * 2003-11-07 2005-06-02 Okamura Corp 脚の高さ調節装置
JP2012239643A (ja) * 2011-05-19 2012-12-10 Aron Kasei Co Ltd 脚部構造
KR20130001974U (ko) * 2011-09-19 2013-03-27 양영희 수평조절장치
KR101704526B1 (ko) 2016-12-02 2017-02-10 주식회사 우드메탈 내진용 조절발
KR101847740B1 (ko) * 2016-06-27 2018-04-10 이의진 기둥 및 이를 위한 기둥 고정 장치
KR20200030236A (ko) * 2018-09-12 2020-03-20 김종원 테이블 다리용 레벨러
KR102206067B1 (ko) * 2019-01-24 2021-01-20 김두철 가구 다리높이 조절장치
KR102286630B1 (ko) 2021-02-16 2021-08-06 김평환 높낮이 조절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2736U (ko) * 1990-03-29 1991-12-13
JP2005137715A (ja) * 2003-11-07 2005-06-02 Okamura Corp 脚の高さ調節装置
JP2012239643A (ja) * 2011-05-19 2012-12-10 Aron Kasei Co Ltd 脚部構造
KR20130001974U (ko) * 2011-09-19 2013-03-27 양영희 수평조절장치
KR101847740B1 (ko) * 2016-06-27 2018-04-10 이의진 기둥 및 이를 위한 기둥 고정 장치
KR101704526B1 (ko) 2016-12-02 2017-02-10 주식회사 우드메탈 내진용 조절발
KR20200030236A (ko) * 2018-09-12 2020-03-20 김종원 테이블 다리용 레벨러
KR102206067B1 (ko) * 2019-01-24 2021-01-20 김두철 가구 다리높이 조절장치
KR102286630B1 (ko) 2021-02-16 2021-08-06 김평환 높낮이 조절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2697B1 (ko) 안정감과 견고함이 향상된 부분 교체형 높낮이 조절장치
KR200476510Y1 (ko) 가구용 다리 높이 조절장치
KR101006695B1 (ko) 전동식 리프트 칼럼
TW202003143A (zh) 機床
KR101033004B1 (ko) 전동식 테이블 높낮이 조절장치
CN208485467U (zh) 一种曳引机减震装置
CN213447590U (zh) 一种巾类布草用拷边机
CN216393546U (zh) 一种高度可调式塑料凳
KR20230047964A (ko) 풋 조절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CN110883246B (zh) 一种用于房屋建筑工程安全支架的冲压装置
KR200145432Y1 (ko) 가구의 수평 조절구
CN212613533U (zh) 一种模块化瓷砖铺设支架
CN219047701U (zh) 桌腿组件及支撑桌
CN212895227U (zh) 基于大板的三层安装机构
GB2381446A (en) Height adjusting mechanism
KR200405920Y1 (ko) 칼 연마기
TWM513308U (zh) 機械水平調整座
CN216766628U (zh) 一种龙骨调整组件、调平支撑龙骨组件和装配式墙体
CN214443342U (zh) 多片槽针床数控铣床
CN219170496U (zh) 平面自动旋转抛光机
CN219542791U (zh) 一种床身结构及磨床
CN215254805U (zh) 一种建筑工程的加固支撑装置
CN218455097U (zh) 一种多角度显示器的调节机构
CN217409691U (zh) 一种具有调节机构的乒乓球桌
EP4056936B1 (en) Installation device and built-in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