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5460Y1 - 파이프 지지대 - Google Patents

파이프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5460Y1
KR200265460Y1 KR2020010034277U KR20010034277U KR200265460Y1 KR 200265460 Y1 KR200265460 Y1 KR 200265460Y1 KR 2020010034277 U KR2020010034277 U KR 2020010034277U KR 20010034277 U KR20010034277 U KR 20010034277U KR 200265460 Y1 KR200265460 Y1 KR 2002654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elevating
ceiling
support
p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42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정은
Original Assignee
변정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정은 filed Critical 변정은
Priority to KR20200100342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54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54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5460Y1/ko

Links

Abstract

본고안은 옷거리나 욕실의 코너 선반 또는 수납선반을 다단식으로 설치할 수 있는 파이프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부에 받침판을 결합하고 있는 받침관의 상측 내부에 신축자재토록 결합되는 조절관 상측으로 승강체를 결합하고 승강체에 형성된 숫나사부에는 승강관의 암나사부를 나사결합시킨뒤 상기 승강체의 상측부에는 승강체와 함께 움직이는 핀을 결합시키고 상기 승강관의 상측부에는 홀더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상측부에 점착제층을 적층하고 있는 패킹을 결합시켜서 된 것으로 파이프지지대를 합판천정에 설치할 경우에는 핀을 합판천정으로 박아 파이프 지지대를 설치할 수 있고 파이프지지대를 콘크리트천정에 설치할 경우에는 패킹 및 점착제층에 의해 부착하여 고정시킴으로서 보다 견고하고 안정된 상태의 파이프지지대를 얻을 수 있으며 한개의 파이프지지대를 합판천정이나 콘크리트천정등을 구분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매우 간편한 사용이 가능한 파이프지지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파이프 지지대 {A HANGER}
본고안은 옷거리나 욕실의 코너 선반 또는 수납선반을 다단식으로 설치할 수 있는 파이프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부에 받침판을 결합하고 있는 받침관의 상측 내부에 신축자재토록 결합되는 조절관 상측으로 승강체를 결합하고 승강체에 형성된 숫나사부에는 승강관의 암나사부를 나사결합시킨뒤 상기 승강체의 상측부에는 승강체와 함께 움직이는 핀을 결합시키고 상기 승강관의 상측부에는 홀더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상측부에 점착제층을 적층하고 있는 패킹을 결합시켜서 된 것으로 파이프지지대를 합판천정에 설치할 경우에는 핀을 합판천정으로 박아 파이프 지지대를 설치할 수 있고 파이프지지대를 콘크리트천정에 설치할 경우에는 패킹 및 점착제층에 의해 부착하여 고정시킴으로서 보다 견고하고 안정된 상태의 파이프지지대를 얻을 수 있으며 한개의 파이프지지대를 합판천정이나 콘크리트천정등을 구분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매우 간편한 사용이 가능한 파이프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파이프 지지대의 구성은 하측받침판을 결합하고 있는 받침관과,
상기 받침관으로 신축자재하게 결합되는 조절관과,
상기 조절관의 유동을 단속하기 위해 받침관으로 나사결합되어 조절관을 죄는 조절볼트와,
상기 조절관 상측부로 결합되어 천정과 접촉되는 상측받침판과,
상기 상측받침판과 조절관 상측 사이로 탄설되어 상측받침판으로 탄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는 종래의 파이프 지지대는 천정과 접촉하는 상측받침판이 탄성부재의 탄력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콘크리트천정에서는 사용가능하지만 합판천정일 경우에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즉, 상기 탄성부재의 탄력강도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베니아로 되어 있는 합판천정이 곡선상으로 휘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합판천정의 휘는 양이 너무 클 경우에는 파이프 지지대의 상측 지지점이 없어지기 때문에 설치를 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상기 합판천정이 비교적 강도가 강하더라도 지속적으로 탄성부재의 탄력을 받게 되면 점차적으로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상측 지지점이 느슨해져 파이프 지지대가 쓰러지는 등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의해 종래에는 천정이 합판으로 되어 있는지 아니면 콘크리트로 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구조가 다른 파이프지지대를 각각 선택하여 사용을 하여야 하는 불편하고 번거로운 문제점등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등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본고안의 목적은,
파이프지지대를 합판천정에 설치할 경우에는 핀을 합판천정으로 박아 파이프 지지대를 설치할 수 있고 파이프지지대를 콘크리트천정에 설치할 경우에는 패킹 및 점착제층에 의해 부착하여 고정시킴으로서 보다 견고하고 안정된 상태의 파이프지지대를 얻을 수 있으며 한개의 파이프지지대를 합판천정이나 콘크리트천정등을 구분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매우 간편한 사용이 가능토록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고안은,
저부에 받침판을 결합하고 있는 받침관의 상측 내부에 신축자재토록 결합되는 조절관 상측으로 승강체를 결합하고 승강체에 형성된 숫나사부에는 승강관의 암나사부를 나사결합시킨뒤 상기 승강체의 상측부에는 승강체와 함께 움직이는 핀을 결합시키고 상기 승강관의 상측부에는 홀더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상측부에 점착제층을 적층하고 있는 패킹을 결합시키면 본고안의 목적을 달성 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고안 파이프 지지대를 합판천정에 부착시의 단면도
도2는 본고안 파이프 지지대를 콘크리트천정에 부착시의 단면도
도3은 본고안 도1의 요부 확대단면도
도4는 본고안 도2의 요부 확대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1-받침관 102-조절관
103-조절볼트 104-승강체
105-숫나사부 106-핀
111-승강관 112-암나사부
121-홀더 122-삽입홈
123-패킹 124-이형지
131-받침판 132-요홈
133-패킹 141-합판천정
142-콘크리트천정
본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저부에 받침판(131)을 결합하고 있는 받침관(101)의 상측 내부에 신축자재토록 결합된 조절관(102)상측으로 삽입되는 승강체(104)에 형성된 숫나사부(105)와,
상기 숫나사부(105)로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112)가 형성된 승강관(111)과,
상기 승강관(111)에 나사결합된 승강체(104)와 함께 승강하면서 합판천정 (141)으로 박히도록 승강체(104)에 부착된 핀(106)을 구비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승강관(111)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승강관(111)의 상측으로 안착되어 콘크리트천정(142)으로 밀착되는 패킹(123)과
상기 패킹(123)을 안정된 상태로 승강관(111)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승강관 (111)의 상측면으로 안착되어 패킹(123)을 삽입홈(122)에 삽입하고 있는 홀더(121)를 구비하였다.
또한, 상기 패킹(123)을 콘크리트천정(142)에 부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패킹 (123)의 상면으로 적층되는 점착제층(125)과,
상기 점착제층(125)을 보호하는 동시에 합판천정(141)과 접촉하도록 점착제층(125)으로 덮혀지는 이형지(124)를 더 구비하였다.
이와같이된 본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고안 파이프 지지대를 합판천정에 부착시의 단면도이고, 도3은 본고안 도1의 요부 확대단면도로서, 본고안의 파이프 지지대를 합판천정(141)에 설치할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받침판(131)을 바닥면에 위치시키면 받침판(131)의 요홈(132)으로 결합되어 있는 패킹(133)이 바닥면에 밀착되므로 미끄럼이 발생하지 않는 안정된 상태로 지지가 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받침관(101)에 나사결합된 조절볼트(103)를 풀어 조절관(102)을 하측으로 하강시킨뒤 승강관(111)을 회전시킨다.
상기의 승강관(111)을 회전시키면 승강관(111)의 암나사부(112)가 승강체 (104)의 숫나사부(105)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승강관(111)상측에 안착된 홀더(121)와 패킹(123)그리고 패킹(123)상측에 적층된 점착제층(125)과 이형지(124)등이 상승을 하게 된다.
그리고, 계속되는 상측 이동에 의해 이형지(124)가 합판천정(141)과 접촉을 하면 승강관(111)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대신 조절관(102)을 회전시킨다.
상기 조절관(102)의 회전에 의해 조절관(102)상측부로 결합된 승강체(104)가 숫나사부(105)및 암나사부(112)에 의해 회전을 하면서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승강체(104)상측부로 결합되어 있는 핀(106)도 회전이동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계속적으로 회전이동되는 핀(106)의 끝단부가 합판천정 (141)과 접촉하면 상기의 회전력에 의해 핀(106)이 합판천정(141)을 뚫고 박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핀(106)의 지지에 의해 견고한 파이프지지대의 상측부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핀(106)이 합판천정(106)에 박히면 받침관(101)의 조절볼트(103)를 죄어 조절관(102)을 고정시킴으로서 견고하고 안정된 상태의 파이프지지대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해체시에는 전술한바와 역순으로 조절볼트(103)를 풀고 조절관(102)을 역회전시키면 핀(106)을 합판천정(141)으로 부터 분리시킬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핀(106)은 압정형태의 핀이나 나사못 또는 목재용 못등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도2는 본고안 파이프 지지대를 콘크리트천정에 부착시의 단면도이고, 도4는 본고안 도2의 요부 확대단면도로서, 본고안의 파이프지지대를 콘크리트천정 (142)에 설치할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파이프지지대를 콘크리트천정(142)에 설치할 경우에는 핀 (106)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고안에서는 핀(106)대신 승강관(111)상측부에 안착된 패킹 (123)을 이용하여 파이프지지대의 상측부를 지지시키게 된다.
즉, 받침관(101)하측의 받침판(131)을 전술한바와 동일한 수단으로 바닥면에 안착시킨뒤 패킹(123)의 점착제층(125)를 덮고 있는 이형지(124)를 분리시킨다.
그리고, 받침관(101)의 조절볼트(103)를 풀어 조절관(102)을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조절관(102)의 상측이동은 승강관(111)의 패킹(123)에 적층된 점착제층 (125)을 콘크리트천정(142)의 근접거리까지 이동시킨뒤 조절볼트(103)를 죄어 조절관(102)을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천정(142)에 점착제층(125)이 근접된 후에는 승강관 (111)을 회전시키게 된다.
즉, 상기 승강관(111)은 승강체(104)에 형성된 숫나사부(105)의 안내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을 하게 되고 아울러 승강관(111)에 안착되어 있는 홀더(121)와 패킹(123)그리고 점착제층(125)이 상승을 하여 접착제층(125)이 콘크리트천정(142)면과 접촉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점착제층(125)에 의해 패킹(123)이 콘크리트천정(142)에 밀착되면서 부착되는 것이므로 견고하고 안정된 상태의 파이프지지대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된 본고안은, 저부에 받침판을 결합하고 있는 받침관의 상측 내부에 신축자재토록 결합되는 조절관 상측으로 승강체를 결합하고 승강체에 형성된 숫나사부에는 승강관의 암나사부를 나사결합시킨뒤 상기 승강체의 상측부에는 승강체와 함께 움직이는 핀을 결합시키고 상기 승강관의 상측부에는 홀더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상측부에 점착제층을 적층하고 있는 패킹을 결합시킴으로서, 파이프지지대를 합판천정에 설치할 경우에는 핀을 합판천정으로 박아 파이프 지지대를 설치할 수 있고 파이프지지대를 콘크리트천정에 설치할 경우에는 패킹 및 점착제층에 의해 부착하여 고정시킴으로서 보다 견고하고 안정된 상태의 파이프지지대를 얻을 수 있으며 한개의 파이프지지대를 합판천정이나 콘크리트천정등을 구분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매우 간편한 사용이 가능한 유익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저부에 받침판(131)을 결합하고 있는 받침관(101)의 상측 내부에 신축자재토록 결합된 조절관(102)상측으로 삽입되는 승강체(104)에 형성된 숫나사부(105)와,
    상기 숫나사부(105)로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112)가 형성된 승강관(111)과,
    상기 승강관(111)에 나사결합된 승강체(104)와 함께 승강하면서 합판천정 (141)으로 박히도록 승강체(104)에 부착된 핀(106)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지지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관(111)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승강관(111)의 상측으로 안착되어 콘크리트천정(142)으로 밀착되는 패킹(123)과
    상기 패킹(123)을 안정된 상태로 승강관(111)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승강관 (111)의 상측면으로 안착되어 패킹(123)을 삽입홈(122)에 삽입하고 있는 홀더(12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지지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123)을 콘크리트천정(142)에 부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패킹 (123)의 상면으로 적층되는 점착제층(125)과,
    상기 점착제층(125)을 보호하는 동시에 합판천정(141)과 접촉하도록 점착제층(125)으로 덮혀지는 이형지(124)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지지대.
KR2020010034277U 2001-11-08 2001-11-08 파이프 지지대 KR2002654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277U KR200265460Y1 (ko) 2001-11-08 2001-11-08 파이프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277U KR200265460Y1 (ko) 2001-11-08 2001-11-08 파이프 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5460Y1 true KR200265460Y1 (ko) 2002-02-21

Family

ID=73111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277U KR200265460Y1 (ko) 2001-11-08 2001-11-08 파이프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546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166B1 (ko) * 2016-03-16 2016-11-02 김태연 쐐기핀을 갖는 흡착구
KR101847740B1 (ko) * 2016-06-27 2018-04-10 이의진 기둥 및 이를 위한 기둥 고정 장치
KR20200068388A (ko) 2018-12-05 2020-06-15 김민기 조립 및 높이조절이 용이한 진열장 포스트
KR20200068385A (ko) 2018-12-05 2020-06-15 흥진개발 주식회사 다양한 형상을 구현할 수 있는 진열장 포스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166B1 (ko) * 2016-03-16 2016-11-02 김태연 쐐기핀을 갖는 흡착구
KR101847740B1 (ko) * 2016-06-27 2018-04-10 이의진 기둥 및 이를 위한 기둥 고정 장치
KR20200068388A (ko) 2018-12-05 2020-06-15 김민기 조립 및 높이조절이 용이한 진열장 포스트
KR20200068385A (ko) 2018-12-05 2020-06-15 흥진개발 주식회사 다양한 형상을 구현할 수 있는 진열장 포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496544S1 (en) Dual shelving unit
CA2478635C (en) A screw having a head with concave underside
US7516991B1 (en) Pipework with a fastening device
CN1130491C (zh) 用于双玻璃板的紧固元件
USD493640S1 (en) Flat end panel with curved sides, for a storage unit or the like
CA2455458A1 (en) System and technique for mounting a faucet
WO2011094576A2 (en) Wall mountable holder system
KR200265460Y1 (ko) 파이프 지지대
WO2008137882A1 (en) System, tool, and method for attaching a drain assembly to a plumbing fixture
WO2003075631A3 (en) Method for installing a pile anchor
KR20040007637A (ko) 절삭나사
US20170152988A1 (en) Resuable hanging device
CA2365468A1 (en) Device for protecting lifting inserts having a tubular body during their embedding in a prefabricated concrete component
USD543443S1 (en) Support bracket
US10378193B2 (en) Sink clamp and methods
KR200420174Y1 (ko) 수납 선반용 고정구
USD537754S1 (en) Handyman cufflinks
US20090010733A1 (en) Countertop connecting fastener securing device
WO1992014012A3 (en) A device for laying rigid flooring modules
KR102435829B1 (ko) 건축물의 천정에 대한 랙 모듈러 고정용 빔 클램프
KR20070072839A (ko) 실내 다용도걸이. 길이조절 봉 설치.
CN110629956A (zh) 一种具有无应力功能的旋进式背栓
CN211473183U (zh) 一种具有无应力功能的旋进式背栓
USD485525S1 (en) On/offshore anchoring spike
WO2003059578A2 (en) Fastener assembly having grooves for use with a power actuated gu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0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