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8388A - 조립 및 높이조절이 용이한 진열장 포스트 - Google Patents

조립 및 높이조절이 용이한 진열장 포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8388A
KR20200068388A KR1020180155320A KR20180155320A KR20200068388A KR 20200068388 A KR20200068388 A KR 20200068388A KR 1020180155320 A KR1020180155320 A KR 1020180155320A KR 20180155320 A KR20180155320 A KR 20180155320A KR 20200068388 A KR20200068388 A KR 20200068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thread
cap
outer diamet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5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기
Original Assignee
김민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기 filed Critical 김민기
Priority to KR1020180155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8388A/ko
Publication of KR20200068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83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5Composite members, i.e. made up of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83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with four vertical uprigh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 A47B57/2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consisting of clamping means, e.g. with sliding bolts or sliding wed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A47B87/0207Stackable racks, trays or shelf units
    • A47B87/0223Shelves stackable by means of poles or tubular members as distance-holders therebetwe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play 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 및 높이조절이 용이한 진열장 포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 개의 선반이 층을 이루어 형성되는 진열장에 사용되는 포스트가 다양한 위치에서 상하 선반과 간단하고 견고하게 조립되면서 필요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상하로 길게 연장되는 원형 단면의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하단 내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단 외경이 단턱지게 축소되어 나사산이 형성되는 하부캡이 결합되고, 상기 하부캡의 중앙에는 수직 관통된 제1 축홀이 형성되며, 내측 중간에는 수직으로 관통되어 내경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홀을 구비하는 고정블록이 고정되는 하부포스트와;
원형 단면의 파이프로 이루어져 하부가 상기 하부포스트의 상부로 삽입되고, 상단 내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하단 외경이 단턱지게 축소되어 나사산이 형성되는 상부캡이 결합되며, 상기 상부캡에는 수직으로 관통되는 고정홀과 상기 고정홀의 상부로 내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확장 단턱부와, 상단 외경이 단턱지게 축소되어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부의 선반에 형성되는 나사홀과 결합하는 상부 결합부를 구비하는 상부포스트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부는 상기 상부캡의 고정홀 상부와 하부에 밀착하도록 결합되는 두 개의 너트에 의하여 고정되고 하부는 상부포스트의 하단에서 하부포스트 길이의 1/4 이상 돌출 연장되어 상기 고정블록의 나사홀과 결합하는 스크류봉과;
상면은 상기 하부캡의 저면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고 중앙에는 제1 축홀에 상응하는 제2 축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축홀이 형성된 저면은 제2 축홀을 중심으로 상부로 함몰된 함몰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 안착부에 안착되는 헤드를 구비하고 제2와 제1 축홀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너트에 의하여 고정되는 축핀이 형성되며, 하단 외경은 단턱지게 축소되어 하부에 위치한 선반의 나사홀과 결합하는 하부 결합부를 구비하는 하부 고정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및 높이조절이 용이한 진열장 포스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 및 높이조절이 용이한 진열장 포스트{The display case posts that can easy to assemble and adjust height}
본 발명은 조립 및 높이조절이 용이한 진열장 포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복수 개의 선반이 층을 이루어 형성되는 진열장에 사용되는 포스트가 다양한 위치에서 상하 선반과 간단하고 견고하게 조립되면서 필요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조립 및 높이조절이 용이한 진열장 포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진열장의 형상은 마트나 매장에서 볼 수 있는 단순히 복층의 직육각 구조물을 형성하여 많은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종류가 있는 반면에 가정이나 카페 등에서 많은 물품을 올려놓지 않고 화분과 책을 포함하는 각종 장식품을 사용하여 공간을 꾸미는 용도로 사용하는 진열장도 있다.
후술한 진열장의 경우 구입자는 다양한 진열장 중에 가장 적합한 하나를 선택하거나 필요한 부분을 부품으로 구입하여 조립하는 방법과 디자인하여 제작하도록 하는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이때 가장 일반적인 형상은 상하 선반을 고정하는 방법은 전후 및 좌우 4개의 기둥 즉 포스트가 입설되거나 한 쌍의 수직 판재가 입설되고 이러한 포스트에 선반이 순차적으로 고정되는 형상이지만 이러한 구조는 직육면체의 형상을 벗어나기 힘들다.
반면에 상하 선반 사이에 포스트가 입설되는 방법의 경우 선반의 형상을 다양화할 수 있으며, 선반의 확장과 연결 또는 축소에 의한 다양한 형상의 진열장을 만들수 있으며 장식성이 뛰어나지만 포스트 결합 구조에서 단점을 가지고 있다.
즉 선반의 포스트에 결합하는 면에 홀을 형성하고 포스트의 끝단을 억지끼움 삽입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외력에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사이에 접착제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억지끼움 과정에서 포스트나 선반이 손상되거나 외력에 쉽게 분리되는 우려가 있으며, 반대로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재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265460-0000호 (2002년02월07일)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345795-0000호 (2002년07월11일)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568878-0000호 (2006년04월03일)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455133-0000호 (2011년08월11일)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조립과 분리작업이 용이하면서도 선반과 선반 사이의 간격을 필요에 따라 조절가능하며 선반의 크기와 길이 및 형상에 상관없이 적용할 수 있는 조립 및 높이조절이 용이한 진열장 포스트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하로 길게 연장되는 원형 단면의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하단 내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단 외경이 단턱지게 축소되어 나사산이 형성되는 하부캡이 결합되고, 상기 하부캡의 중앙에는 수직 관통된 제1 축홀이 형성되며, 내측 중간에는 수직으로 관통되어 내경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홀을 구비하는 고정블록이 고정되는 하부포스트와;
원형 단면의 파이프로 이루어져 하부가 상기 하부포스트의 상부로 삽입되고, 상단 내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하단 외경이 단턱지게 축소되어 나사산이 형성되는 상부캡이 결합되며, 상기 상부캡에는 수직으로 관통되는 고정홀과 상기 고정홀의 상부로 내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확장 단턱부와, 상단 외경이 단턱지게 축소되어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부의 선반에 형성되는 나사홀과 결합하는 상부 결합부를 구비하는 상부포스트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부는 상기 상부캡의 고정홀 상부와 하부에 밀착하도록 결합되는 두 개의 너트에 의하여 고정되고 하부는 상부포스트의 하단에서 하부포스트 길이의 1/4 이상 돌출 연장되어 상기 고정블록의 나사홀과 결합하는 스크류봉과;
상면은 상기 하부캡의 저면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고 중앙에는 제1 축홀에 상응하는 제2 축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축홀이 형성된 저면은 제2 축홀을 중심으로 상부로 함몰된 함몰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 안착부에 안착되는 헤드를 구비하고 제2와 제1 축홀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너트에 의하여 고정되는 축핀이 형성되며, 하단 외경은 단턱지게 축소되어 하부에 위치한 선반의 나사홀과 결합하는 하부 결합부를 구비하는 하부 고정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하부포스트의 상단에는 내경은 상부포스트의 외경에 상응하고, 외경은 하부포스트의 내경에 상응하며 상단은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어 하부포스트의 상단에 걸리도록 하는 가이드부쉬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캡의 저면과 하부 고정부의 상면 사이에는 상기 축핀이 관통하는 원판형의 마찰판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하 선반에 각각 상부캡과 하부 고정부에 나사 결합하도록 하여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고 하부포스트를 회전하면 상부포스트가 승하강하면서 상하 선반의 간격을 최적의 간격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면서, 위치에 상관없이 상하로 이격된 선반을 연결할 수 있어 기존의 틀에 박힌 직육면체의 형상에서 다양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선반이나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반을 상호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진열장이 위치할 장소에 적합한 다양한 형상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적용된 진열장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적용된 진열장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적용된 진열장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포스트와 상부포스트의 결합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캡과 하부 고정부의 결합부를 나타낸 단면도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적용된 진열장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적용된 진열장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적용된 진열장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하로 길게 연장되는 원형 단면의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하단 내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단 외경이 단턱지게 축소되어 나사산이 형성되는 하부캡(111)이 결합되고, 상기 하부캡(111)의 중앙에는 수직 관통된 제1 축홀(112)이 형성되며, 내측 중간에는 수직으로 관통되어 내경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홀(113)을 구비하는 고정블록(114)이 고정되는 하부포스트(11)와;
원형 단면의 파이프로 이루어져 하부가 상기 하부포스트(11)의 상부로 삽입되고, 상단 내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하단 외경이 단턱지게 축소되어 나사산이 형성되는 상부캡(121)이 결합되며, 상기 상부캡(121)에는 수직으로 관통되는 고정홀(122)과 상기 고정홀(122)의 상부로 내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확장 단턱부(123)와, 상단 외경이 단턱지게 축소되어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부의 선반(2)에 형성되는 나사홀과 결합하는 상부 결합부(124)를 구비하는 상부포스트(12)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부는 상기 상부캡(121)의 고정홀(122) 상부와 하부에 밀착하도록 결합되는 두 개의 너트(124)에 의하여 고정되고 하부는 상부포스트(12)의 하단에서 하부포스트(11) 길이의 1/4 이상 돌출 연장되어 상기 고정블록(114)의 나사홀(113)과 결합하는 스크류봉(13)과;
상면은 상기 하부캡(111)의 저면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고 중앙에는 제1 축홀(112)에 상응하는 제2 축홀(142)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축홀(142)이 형성된 저면은 제2 축홀(142)을 중심으로 상부로 함몰된 함몰 안착부(143)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 안착부(143)에 안착되는 헤드를 구비하고 제2와 제1 축홀(142, 112)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너트에 의하여 고정되는 축핀(144)이 형성되며, 하단 외경은 단턱지게 축소되어 하부에 위치한 선반(2)의 나사홀과 결합하는 하부 결합부(146)를 구비하는 하부 고정부(1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및 높이조절이 용이한 진열장 포스트를 나타내었다.
본원의 포스트(1)는 기본적으로 하부포스트(11)에 상부포스트(12)의 하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스크류봉(13)이 고정블록(114)의 나사홀(113)에 결합되면 하부포스트(11)의 회전에 따라 상부포스트(12)가 승하강하여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일반 공장에서 생산하는 진열장이 아니라 사용자가 직접 제작할 경우 진열장이 설치될 위치 및 진열될 물품에 적합하도록 높이 조절기능을 부여한 것이다.
본원의 가장 큰 특징은 상부와 하부에 위치한 선반(2)과 포스트(1)의 양 끝단이 나사결합이 이루어진다는 것으로 억지끼움 및 접착제를 사용하는 방법과 비교하면 시간이 걸리더라도 조립이 용이하며 분리 후 재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또 상부포스트(12)와 하부포스트(11)가 상호 회전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포스트(12)는 상부캡(121)에 상부 결합부(124)를 형성하여 결합하도록 하였으며, 하부는 별도의 하부 고정부(14)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고 선반(2)에 나사결합하는 구조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2)의 크기를 달리하여 입체적인 형상을 형성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2)의 길이가 길 경우에 중간에 이를 보강하는 용도로 사용 가능한 것이다.
또한, 선반(2)과 결합하는 상부캡(121)와 하부 고정부(14)는 외경면이 정육면체가 되도록 하여 조립 또는 분리 과정에서 공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포스트와 상부포스트의 결합부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상기 하부포스트(11)의 상단에는 내경은 상부포스트(12)의 외경에 상응하고, 외경은 하부포스트(11)의 내경에 상응하며 상단은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어 하부포스트(11)의 상단에 걸리도록 하는 가이드부쉬(115)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 예는 상부포스트(12)가 승하강하는 과정에서 하부포스트(11)와 이격된 공간이 있을 경우 포스트(1)가 전체적으로 수직이 아닌 중간이 살짝 꺾인 형상이 되며, 반대로 이격된 공간을 최소화하였을 경우 마찰에 의하여 승하강 과정에서 많은 힘이 소모되며 특히 삽입되었다가 노출되는 상부포스트(12)의 일부는 긁힘미 발생하게 되여 외관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본원은 상부포스트(12)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면서 마찰력을 줄이고 긁힘을 방지할 수 있는 소재로 가이드부쉬(115)를 제공하여 원활한 승하강이 가능하면서 포스트(1)의 수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캡과 하부 고정부의 결합부분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상기 하부캡(111)의 저면과 하부 고정부(14)의 상면 사이에는 상기 축핀(144)이 관통하는 원판형의 마찰판(145)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 예는 하부포스트(11)에 장착되는 하부캡(111)과 하부 고정부(14)의 사이에서 마찰력을 줄이기 위한 방안이며 특히 하부캡(111)이 하부포스트(11)와 나사결합하기 때문에 마찰력이 클 경우 회전방향에 따라 하부캡(111)과 하부포스트(11)가 분리될 우려가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마찰판(145)는 외관에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최소한의 얇은 두께를 가짐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마찰판(145)이 안착될 홈을 하부캡(111) 또는 하부 고정부(14)에 형성할 수도 있다.
1 : 포스트
11 : 하부포스트
111 : 하부캡 112 : 제1 축홀
113 : 나사홀 114 : 고정블록
115 : 가이드부쉬
12 : 상부포스트
121 : 상부캡 122 : 고정홀
123 : 확장 단턱부 124 : 상부 결합부
13 : 스크류봉
14 : 하부 고정부
142 : 제2 축홀 143 : 함몰 안착부
144 : 축핀 145 : 마찰판
146 : 하부 결합부
2 : 선반

Claims (3)

  1. 상하로 길게 연장되는 원형 단면의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하단 내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단 외경이 단턱지게 축소되어 나사산이 형성되는 하부캡(111)이 결합되고, 상기 하부캡(111)의 중앙에는 수직 관통된 제1 축홀(112)이 형성되며, 내측 중간에는 수직으로 관통되어 내경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홀(113)을 구비하는 고정블록(114)이 고정되는 하부포스트(11)와;
    원형 단면의 파이프로 이루어져 하부가 상기 하부포스트(11)의 상부로 삽입되고, 상단 내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하단 외경이 단턱지게 축소되어 나사산이 형성되는 상부캡(121)이 결합되며, 상기 상부캡(121)에는 수직으로 관통되는 고정홀(122)과 상기 고정홀(122)의 상부로 내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확장 단턱부(123)와, 상단 외경이 단턱지게 축소되어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부의 선반(2)에 형성되는 나사홀과 결합하는 상부 결합부(124)를 구비하는 상부포스트(12)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부는 상기 상부캡(121)의 고정홀(122) 상부와 하부에 밀착하도록 결합되는 두 개의 너트(124)에 의하여 고정되고 하부는 상부포스트(12)의 하단에서 하부포스트(11) 길이의 1/4 이상 돌출 연장되어 상기 고정블록(114)의 나사홀(113)과 결합하는 스크류봉(13)과;
    상면은 상기 하부캡(111)의 저면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고 중앙에는 제1 축홀(112)에 상응하는 제2 축홀(142)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축홀(142)이 형성된 저면은 제2 축홀(142)을 중심으로 상부로 함몰된 함몰 안착부(143)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 안착부(143)에 안착되는 헤드를 구비하고 제2와 제1 축홀(142, 112)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너트에 의하여 고정되는 축핀(144)이 형성되며, 하단 외경은 단턱지게 축소되어 하부에 위치한 선반(2)의 나사홀과 결합하는 하부 결합부(146)를 구비하는 하부 고정부(1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및 높이조절이 용이한 진열장 포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포스트(11)의 상단에는 내경은 상부포스트(12)의 외경에 상응하고, 외경은 하부포스트(11)의 내경에 상응하며 상단은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어 하부포스트(11)의 상단에 걸리도록 하는 가이드부쉬(115)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및 높이조절이 용이한 진열장 포스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111)의 저면과 하부 고정부(14)의 상면 사이에는 상기 축핀(144)이 관통하는 원판형의 마찰판(145)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및 높이조절이 용이한 진열장 포스트.
KR1020180155320A 2018-12-05 2018-12-05 조립 및 높이조절이 용이한 진열장 포스트 KR202000683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320A KR20200068388A (ko) 2018-12-05 2018-12-05 조립 및 높이조절이 용이한 진열장 포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320A KR20200068388A (ko) 2018-12-05 2018-12-05 조립 및 높이조절이 용이한 진열장 포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8388A true KR20200068388A (ko) 2020-06-15

Family

ID=71081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5320A KR20200068388A (ko) 2018-12-05 2018-12-05 조립 및 높이조절이 용이한 진열장 포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8388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460Y1 (ko) 2001-11-08 2002-02-21 변정은 파이프 지지대
KR100345795B1 (ko) 1999-07-08 2002-07-24 박재성 오디오기기의장식장조립방법및오디오기기의장식장
KR100568878B1 (ko) 2005-05-16 2006-04-10 선용재 장식장용 지지대와 그 조립방법
KR200455133Y1 (ko) 2008-11-07 2011-08-19 이재전 중첩되는 연결 구조를 갖는 다단 조립식 수납구의 지지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5795B1 (ko) 1999-07-08 2002-07-24 박재성 오디오기기의장식장조립방법및오디오기기의장식장
KR200265460Y1 (ko) 2001-11-08 2002-02-21 변정은 파이프 지지대
KR100568878B1 (ko) 2005-05-16 2006-04-10 선용재 장식장용 지지대와 그 조립방법
KR200455133Y1 (ko) 2008-11-07 2011-08-19 이재전 중첩되는 연결 구조를 갖는 다단 조립식 수납구의 지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7834B2 (en) Vertical frame for display stand and multipurpose prefabricated display stand using same
JP3717527B2 (ja) 早替え棚特性を備えたモジュラ棚システム
US20070227994A1 (en) Build-Up Furniture
US20050056604A1 (en) Connecting structure for sectional rack
US20080089742A1 (en) Combinational commodity engaging unit
US3638803A (en) Modular construction frame
KR20110101969A (ko) 목재 조립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목재 제품
US11215211B2 (en) Ready-to-assemble mattress foundations
KR200441498Y1 (ko) 수납가구의 선반 고정시스템
KR20200068388A (ko) 조립 및 높이조절이 용이한 진열장 포스트
EP3058853B1 (en) Sectional piece of furniture
KR101712494B1 (ko) 조립식 가구 세트
KR20200068385A (ko) 다양한 형상을 구현할 수 있는 진열장 포스트
KR200487788Y1 (ko) 행거용 지주받침대
KR101145902B1 (ko) 조립식 가구
KR200344269Y1 (ko) 가구용 기둥체
KR102015877B1 (ko) 조립 선반
US6837556B1 (en) Method and kit for constructing a cabinet
KR200318684Y1 (ko) 진열장
US20230276944A1 (en) Self-supported exhibitor shelf system, and said shelf mounting method
KR200381800Y1 (ko) 상품진열대
KR102657308B1 (ko) 조립식 가구
JP4143815B2 (ja) 支柱スタンド
JPH07265135A (ja) 多段棚
KR200321928Y1 (ko) 조립식 서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