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8385A - 다양한 형상을 구현할 수 있는 진열장 포스트 - Google Patents

다양한 형상을 구현할 수 있는 진열장 포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8385A
KR20200068385A KR1020180155311A KR20180155311A KR20200068385A KR 20200068385 A KR20200068385 A KR 20200068385A KR 1020180155311 A KR1020180155311 A KR 1020180155311A KR 20180155311 A KR20180155311 A KR 20180155311A KR 20200068385 A KR20200068385 A KR 20200068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cap
fixed
inner diamet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5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호
Original Assignee
흥진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흥진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흥진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5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8385A/ko
Publication of KR20200068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83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djustable, foldable or easily dismoun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5Composite members, i.e. made up of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10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play 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형상을 구현할 수 있는 진열장 포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 개의 선반이 층을 이루어 형성되는 진열장에 사용되는 포스트가 다양한 위치에서 상하 선반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상하로 길게 연장되는 원형 단면의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하단 내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단 외경이 단턱지게 축소되어 나사산이 형성되는 하부캡이 결합되고, 상기 하부캡의 중앙에는 수직 관통된 제1 축홀이 형성되며, 내측 중간에는 수직으로 관통되어 내경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홀을 구비하는 고정블록이 고정되는 하부포스트와;
원형 단면의 파이프로 이루어져 하부가 상기 하부포스트의 상부로 삽입되고, 상단 내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하단 외경이 단턱지게 축소되어 나사산이 형성되는 상부캡이 결합되며, 상기 상부캡에는 수직으로 관통되는 고정홀과 상기 고정홀의 상부로 내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확장 단턱부를 구비하는 상부포스트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부는 상기 상부캡의 고정홀 상부와 하부에 밀착하도록 결합되는 두 개의 너트에 의하여 고정되고 하부는 상부포스트의 하단에서 하부포스트 길이의 1/4 이상 돌출 연장되어 상기 고정블록의 나사홀과 결합하는 스크류봉과;
일측이 개구된 'ㄷ'의 형상으로 절곡되어 하부에 위치한 선반의 측단이 삽입된 후 하나 이상의 고정피스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하고, 상면에는 상기 하부캡의 저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돌출되어 중앙에는 제1 축홀에 상응하는 제2 축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축홀이 형성된 저면은 제2 축홀을 중심으로 상부로 함몰된 함몰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 안착부에 안착되는 헤드를 구비하고 제2와 제1 축홀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너트에 의하여 고정되는 축핀이 형성되는 하부 고정부와;
일측이 개구된 'ㄷ'의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부에 위치한 선반의 측단이 삽입된 후 하나 이상의 고정피스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상부캡의 상면과 저면이 접합 고정되는 상부 고정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형상을 구현할 수 있는 진열장 포스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양한 형상을 구현할 수 있는 진열장 포스트{The display case posts for different shapes}
본 발명은 다양한 형상을 구현할 수 있는 진열장 포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복수 개의 선반이 층을 이루어 형성되는 진열장에 사용되는 포스트가 다양한 위치에서 상하 선반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다양한 형상을 구현할 수 있는 진열장 포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진열장의 형상은 마트나 매장에서 볼 수 있는 단순히 복층의 직육각 구조물을 형성하여 많은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종류가 있는 반면에 가정이나 카페 등에서 많은 물품을 올려놓지 않고 화분과 책을 포함하는 각종 장식품을 사용하여 공간을 꾸미는 용도로 사용하는 진열장도 있다.
후술한 진열장의 경우 구입자는 다양한 진열장 중에 가장 적합한 하나를 선택하거나 필요한 부분을 부품으로 구입하여 조립하는 방법과 디자인하여 제작하도록 하는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이때 일반적인 고정 관념은 상하 선반을 고정하는 방법은 전후 및 좌우 4개의 기둥 즉 포스트가 입설되고 이러한 포스트에 선반이 순차적으로 고정되는 형상을 떠올리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포스트가 아닐 경우에는 수직으로 입설되는 양측 판재의 사이에 선반이 고정되는 것을 떠올리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는 전체적인 형상의 다양화에 한계가 있으며, 단순한 구조의 진열장이지만 여기에 시각적인 미려함을 부여하기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다.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265460-0000호 (2002년02월07일)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345795-0000호 (2002년07월11일)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568878-0000호 (2006년04월03일)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455133-0000호 (2011년08월11일)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조립작업이 용이하면서도 선반과 선반 사이를 견고하게 지지하고 선반의 크기와 길이 및 형상에 상관없이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을 구현할 수 있는 진열장 포스트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하로 길게 연장되는 원형 단면의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하단 내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단 외경이 단턱지게 축소되어 나사산이 형성되는 하부캡이 결합되고, 상기 하부캡의 중앙에는 수직 관통된 제1 축홀이 형성되며, 내측 중간에는 수직으로 관통되어 내경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홀을 구비하는 고정블록이 고정되는 하부포스트와;
원형 단면의 파이프로 이루어져 하부가 상기 하부포스트의 상부로 삽입되고, 상단 내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하단 외경이 단턱지게 축소되어 나사산이 형성되는 상부캡이 결합되며, 상기 상부캡에는 수직으로 관통되는 고정홀과 상기 고정홀의 상부로 내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확장 단턱부를 구비하는 상부포스트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부는 상기 상부캡의 고정홀 상부와 하부에 밀착하도록 결합되는 두 개의 너트에 의하여 고정되고 하부는 상부포스트의 하단에서 하부포스트 길이의 1/4 이상 돌출 연장되어 상기 고정블록의 나사홀과 결합하는 스크류봉과;
일측이 개구된 'ㄷ'의 형상으로 절곡되어 하부에 위치한 선반의 측단이 삽입된 후 하나 이상의 고정피스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하고, 상면에는 상기 하부캡의 저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돌출되어 중앙에는 제1 축홀에 상응하는 제2 축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축홀이 형성된 저면은 제2 축홀을 중심으로 상부로 함몰된 함몰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 안착부에 안착되는 헤드를 구비하고 제2와 제1 축홀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너트에 의하여 고정되는 축핀이 형성되는 하부 고정부와;
일측이 개구된 'ㄷ'의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부에 위치한 선반의 측단이 삽입된 후 하나 이상의 고정피스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상부캡의 상면과 저면이 접합 고정되는 상부 고정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하부포스트의 상단에는 내경은 상부포스트의 외경에 상응하고, 외경은 하부포스트의 내경에 상응하며 상단은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어 하부포스트의 상단에 걸리도록 하는 가이드부쉬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캡의 저면과 하부 고정부의 상면 사이에는 상기 축핀이 관통하는 원판형의 마찰판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부포스트를 회전하면 상부포스트가 승하강하면서 상하 선반의 간격을 최적의 간격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면서, 위치에 상관없이 상하로 이격된 선반의 측단에 장착 고정되도록 하는 구조로 인하여 기존의 틀에 박힌 직육면체의 형상에서 다양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선반이나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반을 상호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진열장이 위치할 장소에 적합한 다양한 형상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적용된 진열장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적용된 진열장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적용된 진열장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포스트와 상부포스트의 결합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캡과 하부 고정부의 결합부를 나타낸 단면도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적용된 진열장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적용된 진열장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적용된 진열장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하로 길게 연장되는 원형 단면의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하단 내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단 외경이 단턱지게 축소되어 나사산이 형성되는 하부캡(111)이 결합되고, 상기 하부캡(111)의 중앙에는 수직 관통된 제1 축홀(112)이 형성되며, 내측 중간에는 수직으로 관통되어 내경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홀(113)을 구비하는 고정블록(114)이 고정되는 하부포스트(11)와;
원형 단면의 파이프로 이루어져 하부가 상기 하부포스트(11)의 상부로 삽입되고, 상단 내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하단 외경이 단턱지게 축소되어 나사산이 형성되는 상부캡(121)이 결합되며, 상기 상부캡(121)에는 수직으로 관통되는 고정홀(122)과 상기 고정홀(122)의 상부로 내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확장 단턱부(123)를 구비하는 상부포스트(12)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부는 상기 상부캡(121)의 고정홀(122) 상부와 하부에 밀착하도록 결합되는 두 개의 너트에 의하여 고정되고 하부는 상부포스트(12)의 하단에서 하부포스트(11) 길이의 1/4 이상 돌출 연장되어 상기 고정블록(114)의 나사홀(113)과 결합하는 스크류봉(13)과;
일측이 개구된 'ㄷ'의 형상으로 절곡되어 하부에 위치한 선반(2)의 측단이 삽입된 후 하나 이상의 고정피스(141)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하고, 상면에는 상기 하부캡(111)의 저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돌출되어 중앙에는 제1 축홀(112)에 상응하는 제2 축홀(142)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축홀(142)이 형성된 저면은 제2 축홀을 중심으로 상부로 함몰된 함몰 안착부(143)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 안착부(143)에 안착되는 헤드를 구비하고 제2와 제1 축홀(142, 112)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너트에 의하여 고정되는 축핀(144)이 형성되는 하부 고정부(14)와;
일측이 개구된 'ㄷ'의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부에 위치한 선반(2)의 측단이 삽입된 후 하나 이상의 고정피스(151)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상부캡(121)의 상면과 저면이 접합 고정되는 상부 고정부(1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형상을 구현할 수 있는 진열장 포스트를 나타내었다.
본원의 포스트(1)는 기본적으로 하부포스트(11)에 상부포스트(12)의 하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스크류봉(13)이 고정블록(114)의 나사홀(113)에 결합되면 하부포스트(11)의 회전에 따라 상부포스트(12)가 승하강하여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일반 공장에서 생산하는 진열장이 아니라 사용자가 직접 제작할 경우 진열장이 설치될 위치 및 진열될 물품에 적합하도록 높이 조절기능을 부여한 것이다.
본원의 가장 큰 특징은 상하 선반(2)을 이격되도록 장착되는 포스트(1)가 선반의 가장자리를 끼워 삽입되도록 한 후 고정하도록 하는 구조를 제시한 것이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2)이 직사각형의 선반과 곡선이 있는 선반과의 결합이 가능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방에서 볼 수 있도록 하는 진열장에도 적용이 가능한 것이다.
이때 고정피스(141, 151)의 경우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선반(2)의 저면을 통하여 고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고정피스(141, 151)가 삽입될 홀이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선반(2)의 상부 고정부(15)와 하부 고정부(14)가 결합되는 부분은 함몰되도록 가공하여 돌출되지 않도록 하면 외관이 보다 향상된 미감을 줄 것이다.
또한, 본원의 높이 조절을 위하여 구성한 포스트(1)의 회전구조는 하부 고정부(14)와 상부 고정부(15)의 개구된 방향을 서로 어긋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반과 결합이 가능하고 180도 대칭되는 선반과도 결합이 가능하게 되어 진열장이 다양한 형상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포스트와 상부포스트의 결합부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상기 하부포스트(11)의 상단에는 내경은 상부포스트(12)의 외경에 상응하고, 외경은 하부포스트(11)의 내경에 상응하며 상단은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어 하부포스트(11)의 상단에 걸리도록 하는 가이드부쉬(115)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 예는 상부포스트(12)가 승하강하는 과정에서 하부포스트(11)와 이격된 공간이 있을 경우 포스트(1)가 전체적으로 수직이 아닌 중간이 살짝 꺾인 형상이 되며, 반대로 이격된 공간을 최소화하였을 경우 마찰에 의하여 승하강 과정에서 많은 힘이 소모되며 특히 삽입되었다가 노출되는 상부포스트(12)의 일부는 긁힘미 발생하게 되여 외관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본원은 상부포스트(12)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면서 마찰력을 줄이고 긁힘을 방지할 수 있는 소재로 가이드부쉬(115)를 제공하여 원활한 승하강이 가능하면서 포스트(1)의 수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캡과 하부고정부의 결합부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상기 하부캡(111)의 저면과 하부 고정부(14)의 상면 사이에는 상기 축핀(144)이 관통하는 원판형의 마찰판(145)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 예는 하부포스트(11)에 장착되는 하부캡(111)과 하부 고정부(14)의 사이에서 마찰력을 줄이기 위한 방안이며 특히 하부캡(111)이 하부포스트(11)와 나사결합하기 때문에 마찰력이 클 경우 회전방향에 따라 하부캡(111)과 하부포스트(11)가 분리될 우려가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마찰판(145)는 외관에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최소한의 얇은 두께를 가짐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마찰판(145)이 안착될 홈을 하부캡(111) 또는 하부 고정부(14)에 형성할 수도 있다.
1 : 포스트
11 : 하부포스트
111 : 하부캡 112 : 제1 축홀
113 : 나사홀 114 : 고정블록
115 : 가이드부쉬
12 : 상부포스트
121 : 상부캡 122 : 고정홀
123 : 확장 단턱부
13 : 스크류봉
14 : 하부 고정부
141 : 고정피스 142 : 제2 축홀
143 : 함몰 안착부 144 : 축핀
145 : 마찰판
15 : 상부 고정부
151 : 고정피스
2 : 선반

Claims (3)

  1. 상하로 길게 연장되는 원형 단면의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하단 내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단 외경이 단턱지게 축소되어 나사산이 형성되는 하부캡(111)이 결합되고, 상기 하부캡(111)의 중앙에는 수직 관통된 제1 축홀(112)이 형성되며, 내측 중간에는 수직으로 관통되어 내경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홀(113)을 구비하는 고정블록(114)이 고정되는 하부포스트(11)와;
    원형 단면의 파이프로 이루어져 하부가 상기 하부포스트(11)의 상부로 삽입되고, 상단 내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하단 외경이 단턱지게 축소되어 나사산이 형성되는 상부캡(121)이 결합되며, 상기 상부캡(121)에는 수직으로 관통되는 고정홀(122)과 상기 고정홀(122)의 상부로 내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확장 단턱부(123)를 구비하는 상부포스트(12)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부는 상기 상부캡(121)의 고정홀(122) 상부와 하부에 밀착하도록 결합되는 두 개의 너트에 의하여 고정되고 하부는 상부포스트(12)의 하단에서 하부포스트(11) 길이의 1/4 이상 돌출 연장되어 상기 고정블록(114)의 나사홀(113)과 결합하는 스크류봉(13)과;
    일측이 개구된 'ㄷ'의 형상으로 절곡되어 하부에 위치한 선반(2)의 측단이 삽입된 후 하나 이상의 고정피스(141)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하고, 상면에는 상기 하부캡(111)의 저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돌출되어 중앙에는 제1 축홀(112)에 상응하는 제2 축홀(142)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축홀(142)이 형성된 저면은 제2 축홀을 중심으로 상부로 함몰된 함몰 안착부(143)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 안착부(143)에 안착되는 헤드를 구비하고 제2와 제1 축홀(142, 112)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너트에 의하여 고정되는 축핀(144)이 형성되는 하부 고정부(14)와;
    일측이 개구된 'ㄷ'의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부에 위치한 선반(2)의 측단이 삽입된 후 하나 이상의 고정피스(151)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상부캡(121)의 상면과 저면이 접합 고정되는 상부 고정부(1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형상을 구현할 수 있는 진열장 포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포스트(11)의 상단에는 내경은 상부포스트(12)의 외경에 상응하고, 외경은 하부포스트(11)의 내경에 상응하며 상단은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어 하부포스트(11)의 상단에 걸리도록 하는 가이드부쉬(115)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형상을 구현할 수 있는 진열장 포스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111)의 저면과 하부 고정부(14)의 상면 사이에는 상기 축핀(144)이 관통하는 원판형의 마찰판(145)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형상을 구현할 수 있는 진열장 포스트.
KR1020180155311A 2018-12-05 2018-12-05 다양한 형상을 구현할 수 있는 진열장 포스트 KR202000683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311A KR20200068385A (ko) 2018-12-05 2018-12-05 다양한 형상을 구현할 수 있는 진열장 포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311A KR20200068385A (ko) 2018-12-05 2018-12-05 다양한 형상을 구현할 수 있는 진열장 포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8385A true KR20200068385A (ko) 2020-06-15

Family

ID=71081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5311A KR20200068385A (ko) 2018-12-05 2018-12-05 다양한 형상을 구현할 수 있는 진열장 포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8385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460Y1 (ko) 2001-11-08 2002-02-21 변정은 파이프 지지대
KR100345795B1 (ko) 1999-07-08 2002-07-24 박재성 오디오기기의장식장조립방법및오디오기기의장식장
KR100568878B1 (ko) 2005-05-16 2006-04-10 선용재 장식장용 지지대와 그 조립방법
KR200455133Y1 (ko) 2008-11-07 2011-08-19 이재전 중첩되는 연결 구조를 갖는 다단 조립식 수납구의 지지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5795B1 (ko) 1999-07-08 2002-07-24 박재성 오디오기기의장식장조립방법및오디오기기의장식장
KR200265460Y1 (ko) 2001-11-08 2002-02-21 변정은 파이프 지지대
KR100568878B1 (ko) 2005-05-16 2006-04-10 선용재 장식장용 지지대와 그 조립방법
KR200455133Y1 (ko) 2008-11-07 2011-08-19 이재전 중첩되는 연결 구조를 갖는 다단 조립식 수납구의 지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7834B2 (en) Vertical frame for display stand and multipurpose prefabricated display stand using same
US20050056604A1 (en) Connecting structure for sectional rack
US3638803A (en) Modular construction frame
US7997429B2 (en) Pot and pan storage unit
US6182841B1 (en) Display system for lamp shades
KR20200068385A (ko) 다양한 형상을 구현할 수 있는 진열장 포스트
US1970473A (en) Wall fixture
KR20200068388A (ko) 조립 및 높이조절이 용이한 진열장 포스트
US4488698A (en) Connection joint for article of furniture
KR20110067428A (ko) 벽체 부착형 선반 본체 고정구를 갖는 선반
US6837556B1 (en) Method and kit for constructing a cabinet
FR2558359A1 (fr) Ensemble destine a la composition d'une structure evolutive pour la constitution d'echafaudages ou de mobiliers en forme de colonne
KR200344269Y1 (ko) 가구용 기둥체
KR20100018150A (ko) 조립식선반용 지주의 높이조절장치
JPH0426034Y2 (ko)
JP3086955U (ja) 組立式置物棚
KR200318684Y1 (ko) 진열장
CN211011490U (zh) 一种便于拆卸清洗的智能双灶
KR200400407Y1 (ko) 조립식 의자 겸용 선반 구조물
KR200301349Y1 (ko) 신발 보관대
JP3143104U (ja) 自在飾り壁掛け棚
KR200328722Y1 (ko) 조합형 장식가구 세트
KR200321928Y1 (ko) 조립식 서가대
KR200218205Y1 (ko) 크리스마스 트리
JPH052213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