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07Y1 - 조립식 의자 겸용 선반 구조물 - Google Patents

조립식 의자 겸용 선반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07Y1
KR200400407Y1 KR20-2005-0016451U KR20050016451U KR200400407Y1 KR 200400407 Y1 KR200400407 Y1 KR 200400407Y1 KR 20050016451 U KR20050016451 U KR 20050016451U KR 200400407 Y1 KR200400407 Y1 KR 2004004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plate
pillar
present
shelf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64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철
Original Assignee
신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철 filed Critical 신철
Priority to KR20-2005-00164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04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5/00Furniture convertible into other kinds of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A47B87/0207Stackable racks, trays or shelf un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3/00Convertible chairs, stools or benche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의자 겸용 선반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서 휴식을 위한 의자로서 활용이 가능한 단순화된 선반 구조물을 제공함으로서 설치 및 해체작업을 누구나 쉽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특히 설치구조 및 높이를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게 됨으로 설치장소에 따라 적절하게 가변이 가능한 효과를 갖도록 하기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양한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판재(30)와, 상기 판재(30)의 수평 설치시 양측단을 지지하기 위한 기둥부재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재는 복수의 층으로 적층 구비되는 다수의 기둥체(10,20)로 이루어지되, 상기 각 기둥체(10,20)의 상면에는 판재(30)의 일단이 올려져 지지되어질 수 있도록 안착홈(11,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의자 겸용 선반 구조물{ASSEMBLY TYPE SHLF AND CHAIR STRUCTURE}
본 고안은 조립식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형태로의 조립 설치 및 이동이 가능하여 의자 또는 장식용 선반으로의 활용이 가능한 조립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건의 수납 보관용으로 사용되는 선반은 판상의 선반형 판재와 이를 받치기 위한 기둥부재로 이루어진 이동식 선반과, 판상부재를 벽면에 고정된 받침부재 사이에 설치한 벽면고정식 선반과, 판상부재를 소정의 줄이나 지지대로 천정에 현수 설치하는 현수식 선반 등 다양한 설치형태가 있다.
그중 알려진 조립 선반중 몇개를 종래 실시예로 인용하여 살펴본다.
먼저, 등록실용신안 제240176호의 경우 선반형 판재와 기둥부재 그리고 체결구로 이루어진 철골구조의 조립식 선반이 있다.
이와같은 선반의 경우 조립성에서 편리하고 모든 부품이 금속재의 철골로 이루어지므로 옥외에서 사용되는 물품들의 정리용 선반으로는 적당하지만, 실내 물품의 정리용으로는 적당하지 않으며 조립시마다 일일이 작업자가 볼트와 너트 등 체결부재로 조립작업을 실시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181569호의 경우 요입부가 형성된 지지대와, 회전이 가능한 걸이구와, 걸이홈이 형성된 끼임구와, 선반으로 이루어진 조립선반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한 금속 철골구조물에 비하여 목재 판재 등을 이용한 실내용 조립선반으로 적당하나, 선반을 받치기 위한 지지대의 구성이 지나치게 복잡하고, 이에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걸이구, 끼임구의 구조들도 복잡하게 이루어져 실내에 설치하기 위한 조립식의 선반으로 적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조립식 선반의 구조적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실내 또는 실외에서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하도록 단순화된 조립구조를 이루며 다양한 형태로의 가변 설치가 가능하여 이용 편의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조립식 선반을 제공토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으로는 선반 구조물의 형태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도록 하여 필요에 따라서는 휴식용 의자로서도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다양한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판재와, 상기 판재의 양측을 지지하기 위한 기둥부재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재는 복수의 층으로 적층 구비되는 다수의 기둥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각 기둥체의 상면에는 판재의 일단이 올려져 지지되어질 수 있도록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물을 통해 이룰 수 있게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의자 겸용 선반용 구조물의 설치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반 구조물로의 활용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선반 구조물을 나타낸 것이며, 도 4 및 도 5는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ㄴ'형 설치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제4실시예에 따른 'T'형 선반 설치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응용예에 따른 의자로서의 사용시 상태도 이다.
먼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의자 겸용 선반 구조물의 구조를 도 1을 통해 살펴보면, 판재(30)가 지면으로 부터 일정 높이에 설치되어질 수 있도록 양측에는 기둥체(10)가 구성되어지는데, 상기 양측 기둥체(10)의 상단부에는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판재(30)의 양측단이 끼워져 안착 되어질 수 있도록 안착홈(11)이 형성되어져 있다.
한편, 최하단에 놓여지는 기초 기둥체(10a)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인 설치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 기초 기둥체(10a)는 일반 기둥체(10)에 낮은 높이를 이루도록 제작되게 된다.
그리고,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선반 구조물로 활용코자 하는 경우에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로 도시된 도 2에서와 같이 기둥체(10)와 선반용 판재(30)를 각각 번갈아 가며 적층 시킴으로서 4단 높이의 다층형 선반 구조물을 조립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 선반 구조물의 제2실시예로 도 3에서와 같이 안착홈(21)이 양측에 대칭 형태로 형성된 연결용 기둥체(20)를 중간 연결부위의 기둥부재로 사용하고, 양측단의 기둥부재로는 상기 기둥체(10)를 사용하여 선반용 판재(30)를 안착시키게 되면 선반의 설치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게된다.
한편,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선반 구조물을 나타낸 것으로서, 실내 벽면의 모서리측에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즉, 모서리측에 놓여지게될 기둥부재로서 도 4a에서와 같이 2개소에 안착홈(21)이 형성되어진 연결용 기둥체(20)를 소정 높이로 적층시킴으로서, 'ㄴ'자형의 선반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안착홈(21)을 직각방향으로 2개소에 형성함에 따른 기둥체(20) 상부에서의 공간적 제약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도 4b에서와 1개소에만 안착홈(21)이 형성된 기둥체(20)를 안착홈(21)의 방향만 교번하도록 적층 시킴으로서 직각 방향으로 상호 높이를 달리하는 위치에 선반용 판재(30)가 설치될 수도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 선반 구조물의 제4실시예로서는 도 6에서와 같이 'T'자 형태로의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는 연결용 기둥체(20)의 상부면에 안착홈(21)이 3개소에 형성되어져야 함을 알 수 있다.
이와같은 여러가지 실시예에 따라 설치가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조립식 구조물의 활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의자 기능으로 사용시>
먼저, 본 고안의 구조물을 휴식용 의자로 사용코자 하는 경우에는 도 1 및 도 7에서와 같이 2개의 기둥체(10)를 먼저 상호 이격되게 설치함에 있어, 판재(30)의 길이에 맞도록 위치시키고, 이후 기둥체(10) 상단부에 형성된 안착홈(11)에 판재(30)의 양측을 안착하여 고정시켜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간단한 설치과정을 통해 의자의 설치가 완료됨으로서 도 7에서와 같이 지면으로 부터 소정 높이에 설치된 판재(30)에 앉아서 휴식을 취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선반 구조물로 사용시>
한편, 본 고안의 구조물을 물품 보관용 선반으로 사용코자 하는 경우에는 도 2 내지 도 6의 실시예와 같이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본 고안 선반 구조물의 특징중 하나로서 전문가가 아니라도 누구나 설치가 용이하다는 점을 들을 수 있다.
즉, 선반용 판재(30)의 길이에 맞도록 적당한 간격으로 기초 기둥체(10a)를 설치한 뒤, 안착홈(11)에 선반용 판재(30)의 양측을 끼워서 안착시킴으로서 하부 구조물을 완성한다.
이후, 원하는 높이로 기둥체(10)와 선반용 판재(30)를 교번하여 적층 시킴 으로서 도 2와 같은 형태의 조립식 선반 구조물의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고안 선반 구조물의 또 다른 특징으로는 설치 공간의 크기 및 형태에 맞게 설치형태를 변경할 수 있는 점을 들을 수 있다.
이는 상기 구성 설명에서 도 3 내지 도 6의 여러가지 실시예로 설명한 바와같이 상부에 복수의 안착홈(21)이 형성되어져 있는 연결용 기둥체(20)를 사용하여 설치할 수 있게된다.
즉, 양측단 기둥부재는 일반 기둥체(10)를 사용하고, 중간의 연결부위에는 연결용 기둥체(20)를 설치한 후 선반용 판재(30)를 각각의 안착홈(11,21)에 안착시켜 상호 연결하여 조립 설치함으로서, 본 고안의 선반 구조물을 직선형태를 이루는 일자형은 물론, 'ㄴ'자형, 'T'자형 등 다양한 형태로의 제작 및 설치가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구조물은 다양한 조립구조를 통해 설치 높이 및 넓이를 용이하게 확장 및 축소 설치가 가능하게 됨으로, 어떠한 크기 및 형태의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의 기둥부재를 이루고 있는 기둥체(10a,10,20)는 일반 석재나, 수지재 또는 목재로 제작할 수도 있으나, 이를 도자기 재료인 세라믹재로 제작함으로서 외적인 미려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되고, 이에 따른 실내 장식성을 높여줄 수 있게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몇가지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의 선반 구조물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선반이 일자형이나, 'ㄴ'자형, 'T'자형 으로 설치되어진 상태가 설명 및 도시되었으나, 이러한 형태 외에도 'ㄷ'자형 등 다양한 형태로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게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은 본 고안의 구조물은, 조립 설치가 용이하여 휴식용 의자 및 물품 보관용 선반으로의 활용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단순화된 선반 구조물을 제공함으로서 설치 및 해체작업을 누구나 쉽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설치구조 및 높이를 설치가 이루어지는 공간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게 됨으로 설치장소에 따라 적절하게 가변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선반을 지지하는 양측의 기둥부재를 도자기재로 구비함으로서 외관이 한층 미려하게 나타내어지고, 이로 인하여 실내 장식효율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 의자 겸용 선반 구조물의 조립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4단 선반 구조물 완성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선반 구조물의 평면도.
도 4a,b는 본 고안의 기둥체 적층상태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선반 구조물의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선반 구조물의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응요예에 따른 의자로서의 사용시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 : 기둥체 10a: 기초 기둥체
11,21 : 안착홈 30 : 판재

Claims (5)

  1. 지면에서 이격된 높이에서 판재가 수평으로 설치되어질 수 있도록 상기 판재의 양측단이 기둥부재에 의해 지지 되어지되, 상기 양측 기둥부재에는 판재의 양측단이 각각 안착되어 지지되어질 수 있도록 안착홈이 상단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의자 겸용 선반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재는 복수의 층으로 적층 구비되는 다수의 기둥체(10,20)로 이루어지고, 각 적층 높이에는 선반용 판재(30)가 설치되어져 다단의 선반 구조물로 활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의자 겸용 선반 구조물.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재는 복수의 층으로 적층 구비되는 다수의 기둥체(10,20)로 이루어지되, 상기 기둥체(10,20)는 선반용 판재(30)를 T형, ㄴ형, ㄷ형 등 다양한 형태로 연결 설치가 가능하도록 연결용 기둥체(20)가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개소에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의자 겸용 선반 구조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연결용 기둥체(20)는 하나의 기둥체 상면에 복수의 안착홈(21)이 형성된 것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의자 겸용 선반 구조물.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기둥체(10,20)는 세라믹 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의자 겸용 선반 구조물.
KR20-2005-0016451U 2005-04-15 2005-06-09 조립식 의자 겸용 선반 구조물 KR2004004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451U KR200400407Y1 (ko) 2005-04-15 2005-06-09 조립식 의자 겸용 선반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421 2005-04-15
KR20-2005-0016451U KR200400407Y1 (ko) 2005-04-15 2005-06-09 조립식 의자 겸용 선반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07Y1 true KR200400407Y1 (ko) 2005-11-08

Family

ID=43701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6451U KR200400407Y1 (ko) 2005-04-15 2005-06-09 조립식 의자 겸용 선반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0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01164A (en) Modular display structure
KR200461779Y1 (ko) 시스템 가구용 선반받침대
CN209405686U (zh) 木块、利用了该木块的组装体以及家具
KR20170057543A (ko) 모듈 결합에 의해 다양한 표현이 가능한 조립식 장식 모듈과 그 장식장
KR200494160Y1 (ko) 조립식가구용 선반조립체
KR200400407Y1 (ko) 조립식 의자 겸용 선반 구조물
KR20130103087A (ko) 선반 모듈 조립체
WO2023193493A1 (zh) 一种便于连接的高稳定性置物架
KR101517507B1 (ko) 물품 보관용 조립식 선반
US11533996B2 (en) Apparatus for securing accessories and leveling objects to wire shelving
KR102155891B1 (ko) 탄력 계지식 조립구조를 갖는 확장형 인테리어 선반
KR101702265B1 (ko) 다용도 선반
KR200430359Y1 (ko) 조립식가구
JP3245241U (ja) 組み立て式耐震性木製シェルフ
JPH0956555A (ja) 組立式プランターカバー
CN209610370U (zh) 一种多功能可移转的书架与隔断
KR20150136803A (ko) 조립식 가구
KR102589252B1 (ko) 모듈형 조립식 가구
KR200371631Y1 (ko) 수납가구 제작용 조립체
JPH077820Y2 (ja) ショーキャビネット
KR200321928Y1 (ko) 조립식 서가대
JP3143104U (ja) 自在飾り壁掛け棚
JP3084463U (ja) ディスプレイ用棚具
JP3224503U (ja) 木製シェルフ
JP3161706U (ja) 組立式家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