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7416B1 - 지붕판재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지붕판재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7416B1
KR101847416B1 KR1020160097935A KR20160097935A KR101847416B1 KR 101847416 B1 KR101847416 B1 KR 101847416B1 KR 1020160097935 A KR1020160097935 A KR 1020160097935A KR 20160097935 A KR20160097935 A KR 20160097935A KR 101847416 B1 KR101847416 B1 KR 101847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molding
roof
molding material
forming
prim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7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4514A (ko
Inventor
노명준
Original Assignee
명진스틸산업(주)
노명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진스틸산업(주), 노명준 filed Critical 명진스틸산업(주)
Priority to KR1020160097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7416B1/ko
Publication of KR20180014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4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7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7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8Dies with different parts for several steps in a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3/00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 B21D13/02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by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02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 B21D22/04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for dimp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 B21D43/05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specially adapted for multi-stage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28Associations of cutting devices therewi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붕판재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일의 지붕판재 성형장치에서, 판재에 엠보싱 무늬를 형성한 후, 판재의 일면 일정간격으로 홈을 형성하는 수평식 판재성형을 하거나, 또는 판재의 길이방향으로 단차를 형성하는 단차식 판재성형을 모두 진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수평식 판재성형과 단차식 판재성형을 하나의 성형장치에서 선택적으로 모두 시행할 수 있도록 한 지붕판재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붕판재 성형장치{MANUFACTURE APPARATUS FOR BUILDING ROOF PANEL}
본 발명은 지붕판재를 성형함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수평을 이루는 형태의 엠보싱 및 골과 산을 가진 형태와 더불어, 단차를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엠보싱 및 골과 산을 가진 형태를 선택적으로 성형할 수 있도록 한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붕판재 성형장치는 연속하여 공급되는 판재에 골과 산을 형성하는 롤링성형장치와, 상기 롤링성형장치에 의하여 산과 골이 성형된 지붕판재 성형판재에 프레스가압에 의하여 단차가공을 하는 단차성형장치로 이루어지며,
특히 상기 단차성형장치는 연속하여 공급되는 지붕판재 성형판재의 단차가공과정에 있어 변형방지를 위하여 잡아주는 클램핑부와, 상기 클램핑부에 의하여 잡혀진 롤성형판재를 상측에서 가압하여 단차를 성형하는 프레스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판재는 이상과 같이 구성된 지붕판재 성형장치의 롤링가공과 단차가공의 연속적 작업을 통해 지붕판재로 성형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지붕판재의 경우, 길이방향을 향해 다수의 단차를 연속적으로 형성하도록 하는 단차식 뿐만 아니라, 사용처에 따라서는 단차가 형성되지 않은 평판의 수평식의 지붕판재도 필요하게 되는데,
이경우, 단차 형태의 지붕판재를 성형하는 장치에서는 수평식의 지붕판재 성형은 될수 없었기에, 각기다른 다양한 지붕판재의 성형을 위해서는, 복수개의 서로다른 성형장치가 구비되어야만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846841호(공고일자: 2008.07.16.) 등록특허공보 제10-0613613호(공고일자: 2006.08.2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판재에 롤가공과 홈 또는 단차공공을 진행하여 안정적으로 지붕판재를 성형하도록 하되, 클램핑부분에서는 클램핑 작용과 함께 판재에 다양한 형상의 사용자가 사전설정한 엠보싱 무늬가 가압되면서 형성되도록 하고, 단차가공을 위한 부분에는 홈을 형성하는 장치로도 사용이 되도록 구성하여,
수평식의 단차를 형성하지 않는 판재에, 엠보싱 무늬와 홈을 형성하는 수평식 판재작업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판재에 엠보싱 무늬를 형성하면서 길이방향으로 단차를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단차식 판재작업을, 하나의 장치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모두 성형가능토록 한 지붕판재 성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복수개의 롤러가 상호간 밀착회전되며 연속적으로 판재(P)를 일방향으로 공급하는 공급수단(10); 상기 롤러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공급수단(10)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판재(P)를 사전설정된 길이씩 단계적으로 공급시키는 공급제어장치(20); 상기 판재(P)에 골과 산을 형성하여 1차 지붕성형재(P1)로 가공하는 1차 가공장치(30); 상기 1차 지붕성형재(P1)에 엠보싱 무늬를 형성하여 2차 지붕성형재(P2)로 가공 후, 판재(P)의 골부분에 공급간격마다 함몰홈(G)을 형성시키며 3차 지붕성형재(P3)로 가공하는 수평식 판재작업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길이방향으로 단차부위를 연속적으로 형성시켜 3차 지붕성형재(P3)로 가공하는 단차식 판재작업 중 하나로 선택적으로 사용되어, 지붕판재를 가공하는 2차 가공장치(40); 로 구성되며, 상기 2차 가공장치(40)는 수평식 판재작업으로 사용시, 상기 1차 지붕성형재(P1)의 일면에 사전설정된 엠보싱 무늬를 가압형성시키며 클램핑하는 클램핑 및 무늬 가공장치(50); 상기 제 2지붕성형재를 사이에두고, 상호간 대응되어 압착되는 쿠션금형(61)과 프레스 금형(62)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2차 지붕성형재(P2)의 골 부분에, 판재(P)의 사전설정된 길이마다 함몰홈(G)을 형성하되, 상기 함몰홈(G)은 일측에서부터 판재(P)의 길이방향을 향해 판재(P)의 일면과 가까워지며 점차 완만해지는 원호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3차 지붕성형재(P3)로 가공하는 홈 가공장치(6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일의 지붕판재 성형장치에서, 클램핑작용시 사전설정한 다양한 형상의 엠보싱 무늬를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일의 지붕판재 성형장치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평식의 지붕판재 성형과, 단차식의 지붕판재 성형을 모두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붕판재 성형장치에서, 수평식 집중판재 작업을 위한 구성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붕판재 성형장치에서, 단차식 지붕판재 작업을 위한 구성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공정도.
도 3 내지 도 7은 도 2의 2차 가공장치의 동작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8 내지 도 10은 도 2의 2차 가공장치의 동작관계의 다른예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복수개의 롤러가 상호간 밀착회전되며 연속적으로 판재(P)를 일방향으로 공급하는 공급수단(10); 상기 롤러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공급수단(10)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판재(P)를 사전설정된 길이씩 단계적으로 공급시키는 공급제어장치(20); 상기 판재(P)에 골과 산을 형성하여 1차 지붕성형재(P1)로 가공하는 1차 가공장치(30); 상기 1차 지붕성형재(P1)에 엠보싱 무늬를 형성하여 2차 지붕성형재(P2)로 가공 후, 판재(P)의 골부분에 공급간격마다 함몰홈(G)을 형성시키며 3차 지붕성형재(P3)로 가공하는 수평식 판재작업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길이방향으로 단차부위를 연속적으로 형성시켜 3차 지붕성형재(P3)로 가공하는 단차식 판재작업 중 하나로 선택적으로 사용되어, 지붕판재를 가공하는 2차 가공장치(40); 로 구성되며, 상기 2차 가공장치(40)는 수평식 판재작업으로 사용시, 상기 1차 지붕성형재(P1)의 일면에 사전설정된 엠보싱 무늬를 가압형성시키며 클램핑하는 클램핑 및 무늬 가공장치(50); 상기 제 2지붕성형재를 사이에두고, 상호간 대응되어 압착되는 쿠션금형(61)과 프레스 금형(62)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2차 지붕성형재(P2)의 골 부분에, 판재(P)의 사전설정된 길이마다 함몰홈(G)을 형성하되, 상기 함몰홈(G)은 일측에서부터 판재(P)의 길이방향을 향해 판재(P)의 일면과 가까워지며 점차 완만해지는 원호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3차 지붕성형재(P3)로 가공하는 홈 가공장치(6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2차 가공장치(40)는 단차식 판재작업으로 사용시, 상기 홈 가공장치(60)가 상기 2차 지붕성형재(P2)의 저면을 받침하되, 2차 지붕성형재(P2)의 사전설정 단차길이 만큼 승강되는 쿠션금형(61) 및 상기 2차 지붕성형재(P2)를 사이에 두고 상기 쿠션금형(61)의 상부에 위치되어 2차 지붕성형재(P2)를 가압하여 2차 지붕성형재(P2)에 단차부위를 형성함으로써 3차 지붕성형재(P3)로 가공하는 프레스 금형(62)으로 이루어지는 단차 가공장치(70); 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램핑 및 무늬 가공장치(50)는 1차 지붕성형재(P1)의 저면을 받침하기 위한 하부 받침대(51); 상기 1차 지붕성형재(P1)를 사이에 두고, 하부 받침대(51)의 상면에 대응되며 가압되는 상부 가압대(52); 상기 하부 받침대(51) 또는 상부 가압대(52) 중 하나의 일면에 형성되어, 1차 지붕성형재(P1) 일면에 엠보싱 형태의 무늬가 형성되도록 하는 엠보싱 무늬부(53);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램핑 및 무늬 가공장치(50)는 판재(P)의 공급간격 또는 단차형성 간격의 다수배 되는 전체길이를 가지도록 하여, 판재(P)가 단일의 클램핑 및 무늬 가공장치(50)에서, 동일한 부위에 다수번에 걸쳐 동일한 엠보싱 무늬가 연속적으로 가압형성되어 사전설정두께의 엠보싱 무늬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2차 가공장치(40)가 단차식 판재작업으로 사용시, 3차 지붕성형재(P3)에 형성되는 단차부위가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되도록, 3차 지붕성형재(P3)의 단차부위에 접촉하거나 접촉해제하여 3차 지붕성형재(P3)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부재(80); 단차부위가 형성된 3차 지붕성형재(P3)를 컷팅하는 컷팅부(90); 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제한부재(80)는 2차 가공장치(40)에 의해 2차 단차부위(A2)가 형성될 때, 그 전에 형성된 1차 단차부위(A1)와의 접촉이 유지되도록, 2차 가공장치(40)의 하단측 쿠션금형(61)의 하강과 동기화하여 구동되고, 2차 단차부위(A2)가 형성된 후 1차 및 2차 가공장치(30, 40)의 상부측 프레스 금형(62)이 복귀되면 3차 지붕성형재(P3)가 이동될 수 있도록, 그 전에 형성된 1차 단차부위(A1)와의 접촉을 해제하도록 구동되며, 3차 지붕성형재(P3)의 이동으로 2차 단차부위(A2)가 근접되면 2차 단차부위(A2)와의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붕판재 성형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붕판재 성형장치는 공급수단(10), 공급제어장치(20), 1차 가공장치(30), 2차 가공장치(40)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2차 가공장치(40)를 변화시켜 수평식 판재를 성형하거나 또는 단차식 판재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공급수단(10)은 판재(P)가 권취되어 있는 공급처에서부터 공급되어질시, 이러한 판재(P)는 복수개의 롤러가 이루어지는 공급수단(10) 사이를 지나가면서, 상기 복수개의 롤러 회전에 의해 일방향으로 판재(P)가 공급되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공급수단(10)에는 공급제어장치(20)인 엔코더가 설치되어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롤러 또는 복수개의 롤러(회전모터가 동력전달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롤러)중 하나의 회전수를 체크하도록 한다.
상기 공급제어장치(20)는 롤러의 회전수를 체크하고, 사용자가 사전설정한 회전수가 될때까지 판재(P)를 일방향으로 공급한 후, 사전설정한 회전수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멈추는 작동(멈출시, 후술될 1차 가공장치(30) 및 2차 가공장치(40)의 공정이 진행)을 반복하도록 한 것이다.
즉, 이러한 공급제어장치(20)를 통해, 판재(P)를 사전설정된 길이씩 단계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이렇게 한번 공급되는 판재(P)의 길이마다, 후술될 함몰홈(G)을 형성하거나, 또는 단차를 형성하는 등의 공정이 이루어지는 것이며, 이는 결국, 함몰홈(G)과 함몰홈(G) 사이의 간격 또는 다수의 단차부위 상호간 간격이 되는 것이다.
상기 1차 가공장치(30)는 상기와 같이 공급수단(10)에 의해서 일방향을 향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판재(P)에 골과 산을 형성하여, 1차 지붕성형재(P1)로 가공하는 것으로, 이후에 2차 가공장치(40)에서 엠보싱 무늬를 형성하여 2차 지붕성형재(P2)로 가공하고, 함몰홈(G) 또는 단차부위를 형성하여 3차 지붕성형재(P3)로 가공한 후, 설정 크기로 절단하여 지붕판재로 가공하는 것이다.
이중, 1차 가공장치(30)는 전술된 바와 같이 판재(P)에 골과 산을 형성하는 것으로,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구성으로서 이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2차 가공장치(40)는 본 발명의 주요부분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수평식 판재작업으로 사용되는 경우와, 단차식 판재작업으로 사용되는 경우의 2가지 경우를 선택적으로 시행할 수 있다.
1. 수평식 판재작업으로 사용되는 경우의 2차 가공장치(40).
상기 2차 가공장치(40)를 수평식 판재작업으로 사용하게 되는 경우, 클램핑 및 무늬 가공장치(50), 홈 가공장치(60)로 이루어지며, 하부지지대(101), 상부지지대(102), 컷팅부(9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클램핑 및 무늬 가공장치(50)는 전술된 1차 가공장치(30)를 통해 골과 산이 형성된 1차 지붕성형재(P1)가 유입되는 곳으로, 이러한 클램핑 및 무늬 가공장치(50)는 1차 지붕성형재(P1)의 저면을 받침하기 위한 하부 받침대(51), 상기 1차 지붕성형재(P1)를 사이에 두고, 하부 받침대(51)의 상면에 대응되며 가압되는 상부 가압대(52), 상기 하부 받침대(51) 또는 상부 가압대(52) 중 하나의 일면에 형성되어, 1차 지붕성형재(P1) 일면에 엠보싱 형태의 무늬가 형성되도록 하는 엠보싱 무늬부(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시말해, 1차 가공장치(30)를 통해 이동된 1차 지붕성형재(P1)는 클램핑 및 무늬 가공장치(50)의 하부 받침대(51) 상부에 올려지는 형태로 이동하게 되고, 1차 지붕성형재(P1)의 이동이 멈추게 되면(공급수단(10)으로부터의 판재(P) 공급이 중단되는 순간), 상부 가압대(52)가 하강하며 하부 받침대(51) 상면을 가압하게 되는데, 이때 상부 가압대(52)의 저면에는 사용자가 사전설정한 양각과 음각으로 이루어지는 엠보싱 형태의 엠보싱 무늬부(53)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엠보싱 무늬부(53)가 1차 지붕성형재(P1)의 상면을 가압하며 엠보싱 형태의 무늬를 형성하여 2차 지붕성형재(P2)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2차 가공장치(40)의 클램핑 및 무늬 가공장치(50)는
공급수단(10)에 의해 판재(P)가 공급되는 사전설정된 길이(간격,ℓ)의 다수배(ex: 2배 등)가 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하고, 이러한 클램핑 및 무늬 가공장치(50)는 동일한 사전설정된 엠보싱 무늬부(53)가 저면에 연속적으로 2개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도록 한다.
이로써, 클램핑 및 무늬 가공장치(50)에 최초 공급된 1차 지붕성형재(P1)는 연속적으로 배열된 엠보싱 무늬부(53) 중 일측에 있는 엠보싱 무늬부(53)를 통해 1차로 엠보싱 무늬가 가압되며 형성되고, 이후 공급수단(10)에 의해 판재(P)가 공급되며 클램핑 및 무늬 가공장치(50) 하단에서 1차 지붕성형재(P1)가 공급길이만큼 이동하게 되면, 나머지 엠보싱 무늬부(53)를 통해 2차로 엠보싱 무늬가 다시한번 가압되며 형성되어, 사전설정형상 또는 두께의 엠보싱 무늬가 판재(P)에 형성되며 2차 지붕성형재(P2)가 되도록 한 것이다.
다시말해, 1차 지붕성형재(P1)는 클램핑 및 무늬 가공장치(50)에서 다수번에 걸친 엠보싱 무늬 형성이 이루어지는 것이며, 물론 이로인해 상부 가압대(52) 또한 다수번에 걸쳐 1차 지붕성형재(P1)를 가압하는 형태가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클램핑 및 무늬 가공장치(50)는 엠보싱 무늬 형성과 함께 클램핑 역할도 할 수 있는데, 다시말해, 후술될 홈 가공장치(60)가 진행시, 클램핑 및 무늬 가공장치(50)가 1차 지붕성형재(P1)를 가압한 상태를 유지하여 클램핑함으로써, 홈 가공장치(60)를 통한 함몰형 성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홈 가공장치(60)는 전술된 클램핑 및 무늬 가공장치(50)를 거친 2차 지붕성형재(P2)가 거치면서, 소정간격마다(판재(P)의 사전설정된 공급간격) 사용자가 사전설정한 형태의 홈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홈 가공장치(60)는 전술된 2차 지붕성형재(P2)가 이동되며 상면에 올려지는 쿠션금형(61)과, 상기 쿠션금형(61) 상부에 이격위치되어 승, 하강 이동되는 프레스 금형(62)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러한 상기 프레스 금형(62)의 저면에는 2차 지붕성형재(P2)의 상면에 사전설정된 함몰홈(G)을 형성하기 위한 함몰성형부(63)가 형성되어 있도록 함으로써, 프레스 금형(62)이 쿠션금형(61)의 상부에 위치된 2차 지붕성형재(P2)의 상면에 가압되면서 함몰홈(G)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이러한 함몰성형부(63)는 함몰홈(G)이 일측에서는 소정의 깊이로 함몰되며 파여지되, 판재(P)의 길이방향을 향해 점차 판재(P)의 일면(상면)과 수평선상을 이루는 형태의, 점차 완만해지는 원호 형상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3차 지붕성형재(P3)로 가공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의 클램핑 및 무늬 가공장치(50)와 홈 가공장치(60)는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동시에 공정이 진행되거나 또는 순차적으로 공정이 진행될 수 있음이다.
상기 하부지지대(101)는 클램핑 및 무늬 가공장치(50)의 하부 받침대(51)를 지지하는 것이며, 상부지지대(102)는 하부지지대(101)와 연결되어 연동되는 것이다.
상기 컷팅부(90)는 전술된 홈 가공장치(60)를 거친 3차 지붕 성형재를 사용자가 사전설정한 간격마다 컷팅하여 지붕판재로 사용토록 하는 것으로, 컷팅기(91)와 컷팅받침대(92)를 포함한다.
하기에서는 2차 가공장치(40)를 단차식 판재작업으로 사용하는 경우이다.
2. 단차식 판재작업으로 사용되는 경우의 2차 가공장치(40).
상기 2차 가공장치(40)를 단차식 판재작업으로 사용하게 되는 경우, 클램핑 및 무늬 가공장치(50), 단차 가공장치(70)로 이루어지며, 하부지지대(101), 상부지지대(102), 컷팅부(90)를 비롯하여, 이동제한부재(80)를 더 구비한다.
상기 2차 가공장치(40)를 단차식 판재작업으로 이용할 시, 클램핑 및 무늬 가공장치(50), 하부지지대(101), 상부지지대(102), 컷팅부(90)는 전술된 수평식 판재작업시와 동일한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대신, 홈 가공장치(60)가 단차 가공장치(70)로 사용되고, 단차부위간 간격조절을 위해서 이동제한부재(80)가 더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단차 가공장치(70)의 경우, 전술된 클램핑 및 무늬 가공장치(50)를 거친 2차 지붕성형재(P2)의 저면을 받치게 되는 쿠션금형(61)과, 상기 2차 지붕성형재(P2)를 사이에 두고, 쿠션금형(61)의 상부에서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레스 금형(62)으로 이루어진다.
즉, 2차 지붕성형재(P2)를 상기의 프레스 금형(62)이 가압하여, 2차 지붕성형재(P2)에 단차부위를 형성함으로서 3차 지붕성형재(P3)로 가공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단차 가공장치(70)의 단차성형이 진행될 시, 엠보싱 무늬를 형성하는 전단의 클램핑 및 무늬 가공장치(50)의 경우, 엠보싱 무늬 가공을 위해 1차 지붕성형재(P1)에 상부 가압대(52)가 1차 지붕성형재(P1)를 사이에 두고 하부 받침대(51)가 가압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엠보싱 무늬형성과 함께 이와 동시에 이후의 단차 가공장치(70)를 위해 판재(2차 지붕성형재(P2))를 잡아주는 클램핑 역할도 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말해, 상기 단차 가공장치(70)는 2차 지붕성형재(P2)의 진행방향으로 하부 받침대(51) 전방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하부 받침대(51) 함께 2차 지붕성형재(P2)의 하부를 받침하되 2차 지붕성형재(P2)의 설정 단차길이 만큼 승강되는 쿠션금형(61)과, 2차 지붕성형재(P2)를 사이에 두고 쿠션금형(61)의 상부에 위치되어 2차 지붕성형재(P2)를 가압하여 2차 지붕성형재(P2)에 단차부위를 형성함으로써 3차 지붕성형재(P3)로 가공하는 프레스 금형(6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가압대(52), 하부 받침대(51), 프레스 금형(62), 쿠션금형(61)은 성형된 2차 지붕성형재(P2)의 표면 굴곡과 동일한 금형을 갖는다.
상기 이동제한부재(80)는 단차 가공장치(70)의 후단에서 상부지지대(102)에 장착되어 3차 지붕성형재(P3)의 단차부위가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되도록, 3차 지붕성형재(P3)의 단차부위에 접촉하거나 접촉해제하여 3차 지붕성형재(P3)의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3차 지붕성형재(P3)의 단차부위에 접촉하거나 접촉해제하도록 이동제한부재(80)는 실린더 등을 갖춘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승강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이동제한부재(80)가 있음으로 인하여, 사용자에 따라서는 단차식 판재작업시에는 수평식 판재작업에서 사용되는 엔코더를 사용하지 않고, 이러한 이동제한부재(80)를 통해 단차부위간 간격을 맞출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 컷팅부(90)는 전술된 바와 같이, 상부지지대(102)에 장착되어 단차부위가 형성된 3차 지붕성형재(P3)를 컷팅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미설명 부호 70은 실린더로서 하부지지대(101)에 연결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실린더는 상부 가압대(52)와 프레스 금형(62)이 하강하여 2차 지붕성형재(P2)와 밀착된 상태가 될 때 2차 지붕성형재(P2)가 진행하려는 힘에 의해 상부 가압대(52), 프레스 금형(62) 등 관련 구성이 이동되다가 상부 가압대(52)와 프레스 금형(62)이 상승하여 2차 지붕성형재(P2)와 밀착 해제되면 3차 가공장치를 본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이하에서는 단차식 판재작업을 진행시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작업공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7은 도 2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 부호는 도 2를 참조한다.)
① 1차 가공장치(30)를 통해 판재(P)의 표면은 굴곡이 형성되어 1차 지붕성형재(P1)가 되고 이 상태로 2차 가공장치(40)에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② 구동장치(미도시)에 의해 상부 가압대(52)가 하강하면 1차 지붕성형재(P1)는 하부 받침대(51)에 밀착되어 고정되되, 상부 가압대(52)의 저면에 형성된 엠보싱 무늬부(53)에 의해 일면에 엠보싱 무늬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2차 가공장치(40)의 클램핑 및 무늬 가공장치(50)의 전체길이는 사전설정된 단차부위 간격의 다수배의 길이를 가지기 때문에, 1차 지붕성형재(P1)는 일측으로 이동되면서 동일한 클램핑 및 무늬 가공장치(50)에서 길이방향 연속적으로 다수번에 걸친 엠보싱 무늬가 형성되어지며 2차 지붕성형재(P2)로 성형된다.
③ 프레스 금형(62)이 하강하여 2차 지붕성형재(P2)와 밀착되고, 2차 지붕성형재(P2)를 받침하는 쿠션금형(61)이 설정된 단차길이 만큼 함께 하강하면서 2차 지붕성형재(P2)에 1차 단차부위(A1)를 형성한다.
④,⑤ 2차 지붕성형재(P2)에 1차 단차부위(A1)를 형성한 후 프레스 금형(62)과 상부 가압대(52)가 복귀된다.
⑥,⑦ 2차 지붕성형재(P2)가 이동되고 2차 지붕성형재(P2)가 이동제한부재(80)에 근접되면 이동제한부재(80)가 하강하거나, 이동제한부재(80)가 하강되고 2차 지붕성형재(P2)가 이동되어 2차 단차부위(A1)가 이동제한부재(80)에 접촉되도록 한다.
도 4에서는 이동제한부재(80)가 하강되고, 2차 지붕성형재(P2)가 이동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1차 단차부위(A1)가 형성되기 전에는 단차부위가 없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고, 1차 단차부위(A1)가 형성된 후 1차 단차부위(A1)가 이동제한부재(80)에 접촉된 경우에는 2차 지붕성형재(P2)가 이동되기 전에 이동제한부재(80)는 상승된 상태이고, 2차 단차부위(A2)가 근접될 때 이동제한부재(80)가 하강되어 2차 단차부위(A2)와 접촉된다.
⑧ 쿠션금형(61)이 상승하고, ⑨ 이동제한부재(80)가 2차 단차부위(A2)와의 접촉이 해제되도록 상승한다.
⑩ 상부 가압대(52)가 하강하여 2차 지붕성형재(P2)에 엠보싱 무늬 형성 및 클램핑 한다.
⑪ 프레스 금형(62)과 쿠션금형(61)이 하강하면서 2차 지붕성형재(P2)에 2차 단차부위(A2)를 형성한다.
⑫,⑬ 프레스 금형(62)과 상부 가압대(52)가 순차적으로 상승한다.
⑭ 이동제한부재(80)가 2차 단차부위(A2)와의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강한다.
⑮ 2차 지붕성형재(P2)가 이동되면서 2차 단차부위(A2)가 이동제한부재(80)에 접촉되어 2차 지붕성형재(P2)의 이동이 제한되고, 쿠션금형(61)이 상승된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2차 가공장치(40)의 또 다른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도 8내지 도 10은 도 2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 부호는 도 2를 참조한다).
① 내지 ⑧의 순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⑨ 이동제한부재(80)가 1차 단차부위(A1)와의 접촉이 유지된 채 상부 가압대(52)가 하강하여 엠보싱 무늬 형성 및 클램핑한다.
⑩ 프레스 금형(62)과 쿠션금형(61)이 하강할 때 동시에 쿠션금형(61)이 하강하는 만큼 이동제한부재(80)가 하강하면서 2차 단차부위(A2)를 형성함에 있어 1, 2차 단차부위(A2) 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⑪ 프레스 금형(62)이 복귀되고, 동시에 이동제한부재(80)도 2차 지붕성형재(P2)가 이동되는 것을 간섭하지 않도록 1차 단차부위(A1)와의 접촉이 해제되도록 상승하되, 2차 단차부위(A2)와 접촉될 수 있을 정도로 상승한다.
⑫ 상부 가압대(52)가 상승되고, ⑬ 2차 지붕성형재(P2)가 이동되며, ⑭ 쿠션금형(61)이 상승한다. 다음의 순서는 ⑨ 내지 ⑭의 과정을 반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공급수단 20: 공급제어장치
30: 1차 가공장치 40: 2차 가공장치
50: 클램핑 및 무늬 가공장치 51: 하부 받침대
52: 상부 가압대 53: 엠보싱 무늬부
60: 홈 가공장치 61: 쿠션금형
62: 프레스금형 63: 함몰성형부
70: 단차 가공장치 80: 이동제한부재
90: 컷팅부 91: 컷팅기
92: 컷팅받침대 101: 하부지지대
102: 상부지지대
A1: 1차 단차부위 A2: 2차 단차부위
G: 함몰홈

Claims (6)

  1. 복수개의 롤러가 상호간 밀착회전되며 연속적으로 판재(P)를 일방향으로 공급하는 공급수단(10);
    상기 롤러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공급수단(10)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판재(P)를 사전설정된 길이씩 단계적으로 공급시키는 공급제어장치(20);
    상기 판재(P)에 골과 산을 형성하여 1차 지붕성형재(P1)로 가공하는 1차 가공장치(30);
    상기 1차 지붕성형재(P1)에 엠보싱 무늬를 형성하여 2차 지붕성형재(P2)로 가공 후, 판재(P)의 골부분에 공급간격마다 함몰홈(G)을 형성시키며 3차 지붕성형재(P3)로 가공하는 수평식 판재작업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길이방향으로 단차부위를 연속적으로 형성시켜 3차 지붕성형재(P3)로 가공하는 단차식 판재작업 중 하나로 선택적으로 사용되어, 지붕판재를 가공하는 2차 가공장치(40); 로 구성되며,
    상기 2차 가공장치(40)는 수평식 판재작업으로 사용시,
    상기 1차 지붕성형재(P1)의 일면에 사전설정된 엠보싱 무늬를 가압형성시키며 클램핑하는 클램핑 및 무늬 가공장치(50);
    상기 2차 지붕성형재를 사이에두고, 상호간 대응되어 압착되는 쿠션금형(61)과 프레스 금형(62)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2차 지붕성형재(P2)의 골 부분에, 판재(P)의 사전설정된 길이마다 함몰홈(G)을 형성하되, 상기 함몰홈(G)은 일측에서부터 판재(P)의 길이방향을 향해 판재(P)의 일면과 가까워지며 점차 완만해지는 원호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3차 지붕성형재(P3)로 가공하는 홈 가공장치(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2차 가공장치(40)는 단차식 판재작업으로 사용시,
    상기 홈 가공장치(60)가
    상기 2차 지붕성형재(P2)의 저면을 받침하되, 2차 지붕성형재(P2)의 사전설정 단차길이 만큼 승강되는 쿠션금형(61) 및 상기 2차 지붕성형재(P2)를 사이에 두고 상기 쿠션금형(61)의 상부에 위치되어 2차 지붕성형재(P2)를 가압하여 2차 지붕성형재(P2)에 단차부위를 형성함으로써 3차 지붕성형재(P3)로 가공하는 프레스 금형(62)으로 이루어지는 단차 가공장치(70)로 사용되며,
    상기 클램핑 및 무늬 가공장치(50)는 1차 지붕성형재(P1)의 저면을 받침하기 위한 하부 받침대(51)와, 상기 1차 지붕성형재(P1)를 사이에 두고, 하부 받침대(51)의 상면에 대응되며 가압되는 상부 가압대(52)와, 상기 하부 받침대(51) 또는 상부 가압대(52) 중 하나의 일면에 형성되어, 1차 지붕성형재(P1) 일면에 엠보싱 형태의 무늬가 형성되도록 하는 엠보싱 무늬부(53)로 이루어지며,
    상기 클램핑 및 무늬 가공장치(50)는 판재(P)의 공급간격 또는 단차형성 간격의 다수배 되는 전체길이를 가지도록 하여, 판재(P)가 단일의 클램핑 및 무늬 가공장치(50)에서, 동일한 부위에 다수번에 걸쳐 동일한 엠보싱 무늬가 연속적으로 가압형성되어 사전설정두께의 엠보싱 무늬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2차 가공장치(40)가 단차식 판재작업으로 사용시,
    3차 지붕성형재(P3)에 형성되는 단차부위가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되도록, 3차 지붕성형재(P3)의 단차부위에 접촉하거나 접촉해제하여 3차 지붕성형재(P3)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부재(80);
    단차부위가 형성된 3차 지붕성형재(P3)를 컷팅하는 컷팅부(90); 가 더 구비되며,
    상기 이동제한부재(80)는 2차 가공장치(40)에 의해 2차 단차부위(A2)가 형성될 때, 그 전에 형성된 1차 단차부위(A1)와의 접촉이 유지되도록, 2차 가공장치(40)의 하단측 쿠션금형(61)의 하강과 동기화하여 구동되고, 2차 단차부위(A2)가 형성된 후 1차 및 2차 가공장치(30, 40)의 상부측 프레스 금형(62)이 복귀되면 3차 지붕성형재(P3)가 이동될 수 있도록, 그 전에 형성된 1차 단차부위(A1)와의 접촉을 해제하도록 구동되며, 3차 지붕성형재(P3)의 이동으로 2차 단차부위(A2)가 근접되면 2차 단차부위(A2)와의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판재 성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60097935A 2016-08-01 2016-08-01 지붕판재 성형장치 KR101847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935A KR101847416B1 (ko) 2016-08-01 2016-08-01 지붕판재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935A KR101847416B1 (ko) 2016-08-01 2016-08-01 지붕판재 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4514A KR20180014514A (ko) 2018-02-09
KR101847416B1 true KR101847416B1 (ko) 2018-05-28

Family

ID=61199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7935A KR101847416B1 (ko) 2016-08-01 2016-08-01 지붕판재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741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613B1 (ko) * 2004-07-22 2006-08-21 두성철강산업 주식회사 지붕판재의 가공방법 및 그 가공장치
KR100876393B1 (ko) * 2008-01-30 2008-12-31 김관선 돌출무늬를 갖는 암ㆍ수 형태 금속패널 기와의 성형방법 및 장치
KR101048789B1 (ko) * 2011-03-08 2011-07-15 김재남 지붕 및 벽판넬 제작용 이동형 롤 성형기
KR101386887B1 (ko) * 2013-11-15 2014-04-18 명진스틸산업(주) 클램핑 및 단차가공 동시 구동형 단차성형장치가 구비된 지붕판재 성형장치
KR101556668B1 (ko) * 2014-07-21 2015-10-01 노명준 건축물의 지붕판재 성형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613B1 (ko) * 2004-07-22 2006-08-21 두성철강산업 주식회사 지붕판재의 가공방법 및 그 가공장치
KR100876393B1 (ko) * 2008-01-30 2008-12-31 김관선 돌출무늬를 갖는 암ㆍ수 형태 금속패널 기와의 성형방법 및 장치
KR101048789B1 (ko) * 2011-03-08 2011-07-15 김재남 지붕 및 벽판넬 제작용 이동형 롤 성형기
KR101386887B1 (ko) * 2013-11-15 2014-04-18 명진스틸산업(주) 클램핑 및 단차가공 동시 구동형 단차성형장치가 구비된 지붕판재 성형장치
KR101556668B1 (ko) * 2014-07-21 2015-10-01 노명준 건축물의 지붕판재 성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4514A (ko) 2018-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81380B2 (ja) プレス加工装置及びプレス加工方法
NO313337B1 (no) Fremgangsmåte til fremstilling av en bygningsplate, såsom en gulvplate
KR101431977B1 (ko) 금속 판재 성형용 프레스 성형장치
KR101501224B1 (ko) 개별 클램핑이 가능한 곡판 성형용 다점 스트레칭 포밍장비
TW201515820A (zh) 加壓成形裝置及加壓成形方法
CN102615198A (zh) 一种用于加工汽车螺母板的连续模
KR101498997B1 (ko) 헤드레스트 스테이 홈 성형 및 벤딩 장치
JP2000343144A (ja) プレス成形品の製造方法
KR20160110009A (ko) 연속 금속 프로파일 가공을 위한 가공 스테이션
JP2018164919A5 (ko)
KR101847416B1 (ko) 지붕판재 성형장치
KR101302081B1 (ko) 프레스 성형 제어방법
CN211803242U (zh) 折弧形结构工装及其弧形侧板
JP2017100183A (ja) ホットプレス装置、及びホットプレス成形方法
KR101386887B1 (ko) 클램핑 및 단차가공 동시 구동형 단차성형장치가 구비된 지붕판재 성형장치
JP2019529120A (ja) 板状工作物の加工のための工具および工具機械並びに方法
JP4523983B2 (ja) しごき加工装置
KR100752690B1 (ko) 연속 프레스기
KR100596007B1 (ko) 연속 프레스 성형 장치
CN202894044U (zh) 一种导向支架的冲孔切边模具
KR101556668B1 (ko) 건축물의 지붕판재 성형장치
CN211027756U (zh) 一种连续模上折弯切断一体机构
CN213968590U (zh) 一种支架弯曲成型装置
CN102615171B (zh) 檩条成型机及其冲孔装置
CN218656413U (zh) 一种传感器压板级进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