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6797B1 - 데크플레이트 제조장치 및 이 제조 장치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데크플레이트 제조장치 및 이 제조 장치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6797B1
KR101846797B1 KR1020170144697A KR20170144697A KR101846797B1 KR 101846797 B1 KR101846797 B1 KR 101846797B1 KR 1020170144697 A KR1020170144697 A KR 1020170144697A KR 20170144697 A KR20170144697 A KR 20170144697A KR 101846797 B1 KR101846797 B1 KR 101846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insulating
insulating material
deck plate
adhesiv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4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영돈
Original Assignee
에스와이스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와이스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와이스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4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67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6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6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08Making a superficial cut in the surface of the work without removal of material, e.g. scoring, inci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9/00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 B05C9/08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2Means for moving the cutting member into its operative position for cutting
    • B26D5/04Means for moving the cutting member into its operative position for cutting by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086Electric, magnetic, piezoelectric, electro-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36Heat treatment
    • B32B38/004Heat treatment by physically contacting the layers, e.g. by the use of heated platens or 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1/610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 E04B1/612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 E04B1/612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with protrusions on the one frontal surface co-operating with recesses in the other frontal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04B5/40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with metal form-sl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2038/0052Other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32B2038/0084Foa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4Punching, slitting or perforating
    • B32B2038/042Pun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크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 본 발명은 건설현장에서 바닥판공법으로 많이 사용되는 데크플레이트를 구성하여, 데크플레이트와 단열재를 동시에 시공할 수 있는 데크플레이트 제조장치 및 이 제조장치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데크플레이트 제조장치 및 이 제조 장치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제조방법{DECK PLATE MANUFACTURING DEVICE AND DECK PLAT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데크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설현장에서 바닥판공법으로 많이 사용되는 데크플레이트 제조장치 및 이 제조 장치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구조물의 바닥부는 철골구조(steel structure) 또는 철근 콘크리트구조(reinforced concrete structure)를 기반으로 구축된다.
고층건축물의 구조형식으로 내구성과 내진성이 우수한 철골구조나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가 주로 채택되고 있으며, 이러한 고층건축물에서는 공기 단축과 노무비 절감의 필요성 때문에 바닥 슬래브 시스템에 데크플레이트(deck plate)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데크플레이트는 하부강판과 상부 트러스거더의 일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종래의 재래식 골조의 시공 시 사용되는 멍에, 장선, 동바리 등의 형틀공사가 필요 없는 무지주 시공법(無支柱 施工法)으로, 현재까지 철근콘크리트구조(RC),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SRC), 철골구조(S)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법이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해 데크플레이트 공법은 과거 재래식 골조의 시공에 비해 건설원가 절감과 공사기간을 단축시키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슬래브에 단열재를 부착시켜 거축물의 단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일반적으로, 단열재는 선(先) 부착공법 또는 후(後) 부착공법 중 하나의 방법을 수행한다.
단열재 선 부착공법은 거푸집이 완료 된 후 단열재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으로서, 단열재 설치를 완료한 후 철근배근을 수행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법이다.
상기와 같은 단열재 선 부착공법은 현장 내 적응성이 빠르고, 별도의 전문성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소규모 건설공사 등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단열재 설치 시 단열재의 손상으로 인해 틈새가 발생되어 단열성능이 저하되며, 건설현장 내 폐기물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단열재 후 부착공법은 데크플레이트를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일정시간동안 양생기간을 거쳐 콘크리트가 완전히 양생된 후 강판 표면에 단열재를 부착하는 것을 말한다.
이 공법은 바닥 슬래브 하부 공간에서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별도의 가설시설물의 설치가 필요하고, 층 높이가 높을 경우, 안전사고 발생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또한, 단열재와 슬래브 하부강판의 구조체와 접착제를 이용하여 설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단열재의 밀실한 시공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34149호(이하 ‘선행문헌 1’)의 “콘크리트 슬래브용 데크플레이트의 성형 및 적층 시스템”에서는, 패널, 절삭유를 이용하여 데크플레이트를 제조하고 적층시키는 시스템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선행문헌 1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데크패널을 성형하기 위한 데크패널 상의 절삭유 제거와 데크패널의 이동이 자동화로 이루어짐으로써 인건비가 절감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하게 되어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데크패널을 공사현장에서 이용할 경우, 단열재를 선 부착공정 또는 후 부착공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수행함으로써 시공기간이 길어지고, 폐기물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05719호(이하 ‘선행문헌 2’)의 “철근트러스 일체형 합성 데크플레이트의 제조방법”에서, 웨브철근, 상부철근 및 하부철근을 포함하는 평면상 철근트러스를 제작하고, 플랫 데크플레이트 위에 평면상 철근트러스를 놓고 용접하여 결합시킨 후 평면상 철근 트러스가 결합된 플랫 데크플레이트를 절곡하여 제조되는 철근트러스 일체형 합성 데크플레이트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선행문헌 2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데크플레이트의 두께 감소가 가능하고 하부 인장측 콘크리트의 절감으로 자중이 감소되며, 휨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시공 시 단열재와 데크플레이트를 각각 시공함으로써 건축물의 단열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다른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5549호(이하 ‘선행문헌 3’)의 “단열재가 부착된 트러스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에서는, 복수의 설치공이 천공되도록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트러스 데크플레이트를 슬래브를 시공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지주 상면에 순차적으로 연결, 설치한 후 각각의 트러스 데크플레이트 저면에 단열재를 위치시키고 복수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단열재를 고정한 후 타설하고 면 고르기를 한 다음 양생할 수 있는 데크플레이트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선행문헌 3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복수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단열재를 일체로 부착 설치함으로써 트러스 데크플레이트의 베이스 플레이트 자체가 거푸집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어 슬래브 시공 시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이 필요 없고, 슬래브 시공 후 천정에 별도로 단열재를 설치하지 않게 되어 시공기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시공 시 데크플레이트와 단열재를 별도로 설치함으로써 시공시간이 늘어나는 단점이 있고, 데크플레이트 및 단열재의 고정을 위해 볼트 너트를 별도로 구비하여 고정함으로써 데크플레이트와 단열재 사이에 틈이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다른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60604호(이하 ‘선행문헌 4‘)의 “비용접 평탄접합 트러스 데크플레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서, 보강거더의 하부에 결합판을 부착하고 이 결합판과 바닥기판을 일체로 접합하여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바닥기판 저면부에 용접 흔적이 발생하지 않는 비용접 평탄접합 트러스 데크플레이트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선행문헌 4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보강거더가 바닥기판에 직접 용접되는 일이 없으므로 바닥기판 저면 용접흔적의 발생 및 이로 인한 미관 불량, 도금 손상 등이 보완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시공 시 단열재를 별도로 설치함으로써 시공기간이 길어지고, 단열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다른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0-292542호(이하 ‘선행문헌 5’)의 “데크플레이트공법”에서는, 종래의 데크플레이트 공법의 바닥 균열이나 물방울을 포함한 팽창 현상 등의 트러블을 해소하기 위한 데크플레이트 공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선행문헌 5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에는, 하지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 중의 과잉 수분이 데크플레이트에 마련한 다수의 관통 구멍에서 외부로 방출되어 시공 후 균열이나 물방울을 포함한 팽창현상이 없어지는 장점이 있지만, 단열재를 별도로 시공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다수의 데크플레이트가 설치될 경우, 데크플레이트 단부 사이에 틈이 발생되어 단열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3414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0571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554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6060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0-292542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단열재와 데크플레이트가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데크플레이트와 단열재를 동시에 시공하도록 형성되고, 추가적으로 강판, 합판 등의 탈형 작업과 같은 추가 작업이 수행되지 않아 시공기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데크플레이트 및 단열재 시공 시 발생되는 단열성능의 저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단열재와 데크플레이트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볼트, 스페이서와 같은 자재가 소모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단열재의 일면에 하나 이상의 홈을 형성할 수 있도록 형성된 홈형성부를 포함하는 단열재 타공유닛에 있어서, 상기 홈형성부는, 상측에 형성되고, 하측에 제1실린더 브라켓, 제1실린더 조인트 및 제1실린더스토퍼를 포함하여 형성된 제1실린더; 상기 제1실린더 하측에 상기 제1실린더스토퍼와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회전에 의해 단열재의 일면에 홈이 형성될 수 있도록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된 하나 이상의 타공부를 포함하여 형성된 펀치롤러; 상기 펀치롤러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펀치롤러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롤러; 및 상기 제1롤러의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열재 일면에 접착제가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도록 접착제 도포부를 포함하는 접착제 도포유닛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도포유닛은, 단열재의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접착제도포부; 상기 접착제도포부를 거친 단열재의 일면에 접착제가 고르게 도포되어 평탄화 되도록 형성된 롤러부; 및 상기 롤러부를 거친 단열재에 접착된 접착제가 발포되도록 형성된 발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데크플레이트 제조장치는, 단열재의 일면에 하나 이상의 홈을 형성할 수 있도록 형성된 홈형성부를 포함하는 타공유닛; 상기 타공유닛을 거친 단열재의 일면에 접착제가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도록 접착제도포부, 롤러부 및 발포부를 포함하는 접착제 도포유닛; 상기 접착제 도포유닛을 거친 단열재의 일면에 데크플레이트를 부착시키는 제1결합부; 및 상기 제1결합부를 거친 단열재 및 데크플레이트의 상측을 가압하여 데크플레이트를 단열재에 고정하여 적재시키는 가압 및 적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접착제도포부는, 단열재의 일면에 물 또는 촉매제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도포하도록 형성된 제1조정부; 상기 제1조정부를 거친 단열재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접착제탱크; 및 상기 접착제탱크를 거친 단열재의 일면에 물 또는 촉매제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도포하는 제2조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단열재는 비드법단열재, 압출법단열재, 유리섬유단열재 또는 우레탄단열재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단열재의 일측 또는 타측 단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단부 형상이 계단형, 톱니형, 요철형(凹凸型), 구름형, 파형, 경사형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데크플레이트 제조방법은, 데크플레이트와 단열재를 준비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를 거친 단열재를 홈형성부를 포함하는 타공유닛에 통과시킴으로써 일면에 하나 이상의 홈을 형성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를 거친 단열재를 접착제 도포유닛에 의해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평탄화 시킨 후 발포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를 거친 단열재의 일면에 데크플레이트를 제1결합부에 의해 접착시키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를 거친 단열재 및 데크플레이트를 가압 및 적재유닛에 의해 가압하여 고정시키고 적재시키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단열재와 데크플레이트가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데크플레이트와 단열재를 동시에 시공하도록 형성되고, 추가적으로 강판, 합판 등의 탈형 작업과 같은 추가 작업이 수행되지 않아 시공기간이 단축되며, 볼트, 스페이서와 같은 자재가 소모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공정의 규격화 및 자동화에 의해 품질의 안정성 강화, 생산효율 증대 및 인건비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플레이트 제조방법의 공정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공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홈형성부의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도포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결합부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결합부의 우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 및 적제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S110: 제1단계
S120: 제2단계
S130: 제3단계
S140: 제4단계
S150: 제5단계
10: 단열재, 11: 홈, 20: 트러스거더, 30: 상판, 40: 데크플레이트
100: 타공유닛, 101: 홈형성부 110: 제1실린더, 120: 제1실린더브라켓, 130: 제1실린더조인트, 140: 제1실린더스토퍼, 150: 펀치롤러, 151: 타공부, 160: 제1롤러. 161: 제1모터, 162: 제1롤러상하이동부, 163: 베어링홀더, 164: 제1롤러상하이동가이드, 170: 제1컨베이어, 171: 제1컨베이어롤러, 180: 단열재고정가이드
200: 접착제 도포유닛, 201: 접착제도포부, 211: 제1조정부핸들, 212: 제1도포노즐, 202: 롤러부, 203: 발포부, 210: 제1조정부, 220: 접착제탱크, 221: 제1접착제탱크지지부, 222: 제2접착제탱크지지부, 230: 제2조정부, 231: 제2조정부핸들, 232: 제2도포노즐, 240: 제2실린더, 241: 제2실린더브라켓, 242: 제2실린더조인트, 243: 제2실린더스토퍼, 250: 제2롤러, 251: 제2롤러상하이동부, 254: 제2롤러이동가이드, 270: 제2컨베이어, 280: 단열재고정가이드
300: 제1결합부, 310: 제3실린더, 320: 제3실린더브라켓, 321: 제3고정부, 322: 진공유닛고정부, 330: 진공유닛브라켓, 340: 진공유닛, 360: 진공유닛 상부 고정브라켓, 370: 제3컨베이어, 380: 제3적재부, 390: 제3-1실린더
400: 가압 및 적재유닛, 410: 제4실린더, 420: 회전부, 421: 회전부제1실린더, 422: 회전부제2실린더, 423: 데크플레이트이동부, 424: 회전부실린더고정부재, 425: 데크플레이트이동가이드, 430: 가압부, 470: 제4컨베이어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이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이 가해질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 준비 공정>
1) 제1단계(S110)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계(S110)는 데크플레이트(40)와 단열재(10)를 준비하는 단계로서, 데크플레이트(40)는 트러스거더부(20)와 상판(30)이 결합된 것을 말한다.
이때, 트러스거더부(20)와 상판(30)의 결합은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1액형 또는 2액형 접착제를 이용하거나, 용접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결합시킬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최종공정시간 등을 고려하여 용접 기술로 결합될 수 있다.
단열재(10)는 비드법 단열재, 압출법 단열재, 유리섬유단열재 또는 우레탄단열재 등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만약, 우레탄단열재를 이용할 경우, PUR(polyurethane), 경질폴리우레탄보드, 경질폴리우레탄폼, 연질폴리우레탄폼, PIR(polyisocyanurate), 또는 Urea 중 선택되는 어느 한 가지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열관류율(thermal transmittance, 熱貫流率)이 0.2109~0.2119W/m2·K인 것이 구비될 수 있다.
만약, 열관류율이 0.2109W/m2·K 미만인 단열재(10)를 사용할 경우,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데크플레이트의 단가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고, 0.2119W/m2·K 이상인 단열재(10)를 사용할 경우, 열관류율이 높아짐에 따라 단열성능이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단열재(10)의 크기는 사용자의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재(10)의 일측 또는 타측 단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단부 형상이 계단형, 톱니형, 요철형(凹凸型), 구름형, 파형, 경사형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단열재(10)는 KS M 3808, KS F 2300 및 KS M 3809에 개시된 기준에 적합한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제2단계(S120)
제2단계(S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계(S110)를 거친 단열재(10)를 홈형성부(101) 및 컨베이어(170)를 포함하는 타공유닛(100)에 통과시킴으로써 일면에 하나 이상의 홈(11)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형성부(101)는 단열재(10)의 일면에 하나 이상의 홈을 형성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홈형성부(101)는 제1실린더(110), 펀치롤러(150), 제1롤러(160) 및 모터(161)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실린더(110)는 펀치롤러(150) 및 제1롤러(16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측에 제1실린더브라켓(120) 및 제1실린더스토퍼(14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실린더브라켓(120)은 제1실린더(110)의 하측에 형성되어 제1실린더(110)를 고정하고, 제1실린더(110)의 내측에 형성된 피스톤이 일정 길이만큼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실린더스토퍼(140)는 제1실린더브라켓(120)의 하측에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실린더브라켓(120)과 제1실린더스토퍼(140)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사이에 제1실린더조인트(13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실린더스토퍼(140)가 형성됨으로써 펀치롤러(150)의 상하이동에 의해 제1실린더(11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펀치롤러(150)의 이탈에 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펀치롤러(150)는 제1실린더(110) 하측에 제1실린더스토퍼(140)와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회전에 의해 단열재(10)의 일면에 홈(11)이 형성될 수 있도록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된 하나 이상의 타공부(151)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펀치롤러(150)에 의해 단열재(10)의 일면에 홈(11)이 형성되어 후술될 접착재가 단열재(10) 일면 및 홈(11)에 도포됨으로써, 데크플레이트(40)와 단열재(10)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여 시공 후 단열재(10)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홈(11)은 깊이 5~10mm, 둘레 1~10mm로 형성될 수 있다.
만약, 깊이가 5mm 이하로 형성되면, 홈(11)의 깊이가 짧게 형성되어 데크플레이트(40)의 상판(30)과 단열재(10)의 접착력이 저하되어 탈락이 발생될 수 있는 단점이 있고, 10mm 이상으로 형성되면, 단열재(10)가 외력에 의해 쉽게 갈라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둘레가 1mm 이하로 형성되면, 후술될 제3단계(S130)가 용이하게 수행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고, 10mm 이상으로 형성되면, 홈(11) 둘레에 의해 단열재(10)가 외력에 의해 쉽게 갈라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제1롤러(160)는 펀치롤러(15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펀치롤러(150)가 상하로 이동되거나 회전이 용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롤러(160)는 펀치롤러(150)가 용이하게 회전되며, 제1실린더스토퍼(140)와 이격되어 고정되도록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단부에 모터(161), 제1롤러상하이동부(162) 및 베어링홀더(16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모터(161)는 제1롤러(160)의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모터(161)에 의해 제1롤러(160)가 회전을 함으로써 펀치롤러(150)가 회전하게 되어 단열재(10)가 펀치롤러(150)의 하측을 통과함과 동시에 다수의 홈(11)이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모터(161)의 제어와 동시에 제1실린더(11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제1롤러(160)의 이동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1롤러상하이동부(162)는 제1롤러(160)의 양단부의 일측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측면이 제1실린더스토퍼(140)의 하측면에 닿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제1실린더(110)에 의해 상하이동을 하는 제1롤러(160)가 상측방향으로 최대길이 만큼 이동하였을 때, 타공부(151)에 의해 제1실린더스토퍼(140)가 손상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측에 하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롤러상하이동가이드(164)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1롤러상하이동가이드(164)에 의해 제1롤러(160)가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롤러(160)의 전면 및 후면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일측이 제1롤러상하이동부(162)를 관통 형성되어 제1롤러(160)가 단열재(10)의 두께에 따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롤러상하이동가이드(164)에 의해 제1롤러(160)와 후술될 제1컨베이어(170)의 사이에 단열재(10)가 통과할 수 있는 높이만큼 이격되어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단열재(10)가 제1롤러(160)의 하측을 통과함과 동시에 펀치롤러(150)가 회전되어 일면에 홈(11)이 형성되는데, 이때 제1롤러(160)의 고정으로 인해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됨으로써 일정한 깊이 및 크기의 홈(11) 형성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베어링홀더(163)는 제1롤러상하이동부(162) 내측에 인입되어 형성되며, 제1롤러(160)의 단부와 제1롤러상하이동부(162)의 결합을 견고하게 유지시켜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홈형성부(101)는 단열재고정가이드(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열재고정가이드(180)는 제1롤러상하이동가이드(164)의 하측에 내측방향으로 길이만큼 연장 형성될 수 있는데, 펀치롤러(150)의 가압 및 회전에 의해 단열재(10)가 제1컨베이어(170)를 이탈하지 않고 일정한 방향으로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컨베이어(170)는 단열재(10)가 일정한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제1컨베이어롤러(171)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컨베이어롤러(171)의 회전에 의해 단열재(10)가 이동하여 일면이 펀치롤러(150)의 외주면과 맞닿게 되어 타공부(151)에 의해 다수의 홈(11)이 생성됨과 동시에 제3단계(S130)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3) 제3단계(S130)
제3단계(S130)는 제2단계(S120)를 거친 단열재(10)를 접착제 도포유닛(200)에 의해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평탄화 시킨 후 발포하는 단계이다.
접착제 도포유닛(2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형성부(100)를 거친 단열재(10)의 일면이 접착제가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도록 접착제도포부(201), 롤러부(202), 발포부(203) 및 제2컨베이어(27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접착제 도포부(201)는 단열재(10)의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도록 제1조정부(210), 접착제탱크(220) 및 제2조정부(23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조정부(210)는 단열재(10)의 일면에 물 또는 촉매제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도포하도록 제1조정부핸들(211) 및 제1도포노즐(212)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촉매제는 아민계촉매, 유기금속 촉매, 반응형 촉매, 이소시아누레이트(PIR, polyisocyanurates) 촉매, 비양성자성 염, 1액형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블록형 이소시아네이트, NCO-말단 우레탄 예비중합체 등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제1조정부핸들(211)은 제1조정부(2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접착제 발포를 위한 물 또는 촉매제의 분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단열재 높이에 따른 분무노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조정부(210)의 상측에 형성되어 수동 또는 자동을 형성될 수 있다.
제1도포노즐(212)은 제1조정부핸들(21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단열재(10)의 일면 및 홈(11)에 물 또는 촉매제가 고르게 도포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접착제탱크(220)는 제1조정부(210)를 거친 단열재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접착제탱크(220)는 제2컨베이어(27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상측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일면에 물 또는 촉매제가 도포된 단열재(10)가 제2컨베이어(270)에 의해 접착제탱크(220)의 하측을 통과함과 동시에 접착제가 분사될 수 있다.
이때 접착제탱크(220)와 이격되도록 형성된 질소탱크(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질소탱크에 의해 질소가 접착제탱크(220)의 내부에 분사됨으로써 분사되는 접착제의 분사량에 따른 접착제탱크(220) 내부의 음기압을 대기압과 동일하게 맞추고, 공기 중의 수분을 차단하여 접착제탱크(220) 내부에 저장된 접착제의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접착제는 고무, 우레탄수지, 에폭시수지, 실리콘계, 폴리아미드계 수지 등이 포함된 접착제 중에서 선택되는 한 가지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우레탄수지를 포함한 접착제가 구비될 수 있는데, 녹는점이 97~-95℃이고, 인화점이 218.33℃이며, 비중이 1.1±0.2이고, 점도가 1,500~2,500cps/25℃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polyurethane prepolymer, methylene chloride(MC)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접착제 사용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접착제 100중량%에 대하여, polyurethane prepolymer 83~88중량%, methylene chloride(MC) 7~10중량% 및 첨가제5~7중량%를 포함하는 접착제가 이용될 수 있다.
접착제의 각 성분에 대해 접착제 100중량%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polyurethane prepolymer가 83중량% 미만이 첨가될 경우, 접착제의 점도가 떨어지게 되어 접착강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88중량% 이상이 첨가될 경우, 접착제의 점도가 높아지게 되어 도포시간이 오래 소요되어 접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MC가 7중량%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polyurethane prepolymer의 발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고, 10중량% 이상으로 첨가될 경우, MC의 양에 의해 과발포가 수행되어 접착제에 의해 단면이 울퉁불퉁해지며, 접착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첨가제가 5중량%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접착제 내에서 발생되는 탄산가스의 흡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기포가 발생되어 접착제의 도포가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고, 7중량% 이상으로 포함될 경우, 접착제를 구성하는 polyurethane prepolymer 또는 MC의 양이 첨가제의 증가량에 따라 적게 포함되어 접착강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접착제탱크(220)의 위치를 고정하고, 지지하기 위해 제1접착제탱크지지부(221) 및 제2접착제탱크지지부(2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접착제탱크지지부(221)는 접착제탱크(220)의 하측에 형성되어, 접착제탱크(22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접착제탱크지지부(221)는 상측방향으로 소정의 기울기만큼 기울도로 형성되어 접착제탱크(220)로부터 질소의 분사가 용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접착제탱크(220)의 기울기는 지면을 기준으로 1~10°로 기울여 지지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만약, 기울기가 1° 미만으로 기울인다면, 접착제탱크(220)의 접착제가 미량 남은 채로 교체하게 되어 접착제탱크(220)의 교체주기가 짧아질 수 있고, 10° 이상으로 기울인다면, 중력에 의해 접착제탱크(220)가 낙하하는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제2접착제탱크지지부(222)는 접착제탱크(220) 및 제1접착제탱크지지부(221)를 지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이격되어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접착제탱크지지부(222)는 접착제탱크(220) 및 제1접착제탱크지지부(221)가 제2컨베이어(270)의 상측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제2조정부(230)는 접착제탱크(220)를 거친 단열재(10)의 일면에 물 또는 촉매제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도포하도록 제2조정부핸들(231) 및 제2도포노즐(232)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조정부핸들(231)은 제2조정부(230)의 일측에 형성되어, 접착제 발포를 위한 물 또는 촉매제의 분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단열재 높이에 따른 분무노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제2조정부(230)의 상측에 형성되어 수동 또는 자동을 형성될 수 있다.
제2도포노즐(232)은 제2조정부핸들(23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단열재(10)의 일면 및 홈(11)에 물 또는 촉매제가 고르게 도포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롤러부(202)는 접착제도포부(201)를 거친 단열재(10)의 일면에 접착제가 고르게 도포되어 평탄화 되도록 제2실린더(240) 및 제2롤러(25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실린더(240)는 제2롤러(250)의 상측에 형성되며, 제2실린더(240)에 의해 제2롤러(25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측에 제2실린더브라켓(241) 및 제2실린더스토퍼(243)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실린더브라켓(241)은 제2실린더(240)의 하측에 형성되어 제2실린더(240)를 고정하고, 제2실린더(240)의 내측에 형성된 피스톤이 일정 길이만큼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실린더스토퍼(243)는 제2실린더브라켓(241)의 하측에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실린더브라켓(241)과 제2실린더스토퍼(243)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사이에 제2실린더조인트(24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실린더스토퍼(243)가 형성됨으로써 제2롤러(250)의 상하이동에 의해 제2실린더(24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2롤러(250)는 제2실린더(240) 하측에 제2실린더스토퍼(243)와 이격되어 형성되고, 회전에 의해 제2조정부(230)를 통과한 단열재(10)의 일면을 평평하게 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롤러(250)에 의해 단열재(10) 일면에 도포된 접착제가 단열재(10)의 일면에 골고루 도포될 수 있도록 단열재(10)가 제2롤러(250)의 하측을 통과함과 동시에 일면을 가압하여 넓게 펴줌과 동시에 평탄화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때 제2롤러(250)가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 후 고정되어 회전이 용이하도록 제2롤러상하이동부(251) 및 베어링홀더(25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2롤러상하이동부(251)는 제2롤러(250)의 양단부의 일측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측면이 제2실린더스토퍼(243)의 하측에 닿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제2실린더(240)에 의해 상하이동을 하는 제2롤러(250)가 상측방향으로 최대 길이만큼 이동하였을 때, 제2실린더스토퍼(243)가 손상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측에 하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롤러상하이동가이드(254)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2롤러상하이동가이드(254)에 의해 제2롤러(250)가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2롤러(250)의 전면 및 후면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일측이 제2롤러상하이동부(251)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제2롤러(250)가 단열재(10)의 두께에 따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롤러상하이동가이드(254)에 의해 제2롤러(250)와 제2컨베이어(270)의 사이에 단열재가 통과할 수 있는 높이만큼 이격되어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단열재(10)가 제2롤러(250)의 하측을 통과함과 동시에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됨으로써 접착제가 균일한 두께로 도포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베어링홀더(252)는 제2롤러상하이동부(251) 내측에 인입되어 형성되며, 제2롤러(250)의 단부와 제2롤러상하이동부(251)의 결합을 견고하게 유지시켜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롤러부(202)는 단열재고정가이드(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열재고정가이드(280)는 제2롤러상하이동가이드(254)의 하측에 내측방향으로 길이만큼 연장 형성될 수 있는데, 제2롤러(250)의 가압 및 회전에 의해 단열재(10)가 제2컨베이어(270)를 이탈하지 않고 일정한 길이방향으로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발포부(203)는 롤러부(201)를 거친 단열재(10)의 접착된 접착제가 발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발포부(203)에 의해 단열재(10)의 표면온도를 40~100℃로 유지시하며 가열 할 수 있도록 내부온도는 100~110℃를 유지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80~95℃로 유지시킬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만약, 단열재(10)의 표면온도가 40℃ 미만으로 유지될 경우, 접착제의 발포가 용이하게 수행되지 않는 단점이 있고, 100℃ 이상으로 유지될 경우, 접착제가 과발포되어 최종 제조되는 데크플레이트의 변형이 일어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로써, 종래의 단열재(10) 및 트러스거더(40)를 접착제에 의해 접착시킨 후 발포하여 부착하는 공정을 수행하지 않고, 단열재(10)에 도포된 접착제를 발포시킨 후 트러스거더(40)를 접착시킴으로써, 단열재(10) 및 트러스거더(40)의 접착력을 더욱 견고하게 유지하고, 시공 후 단열재(10)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2컨베이어(270)는 단열재(10)가 일정한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제2컨베이어롤러(미도시)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컨베이어롤러의 회전에 의해 단열재(10)가 이동하여 일면에 물 또는 촉매제 및 접착제를 도포하고 발포됨과 동시에 제4단계(S140)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선택적으로, 단열재(10)의 이동 및 공간 확보를 위해 컨베이어가 더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4) 제4단계(S140)
제4단계(S140)는 제3단계(S130)를 거친 단열재의 일면에 데크플레이트를 제1결합부(300)에 의해 접착시키는 단계이다.
제1결합부(3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 도포유닛(200)을 거친 단열재(10)의 일면에 데크플레이트(40)를 부착시킬 수 있도록 제3실린더(310), 제3실린더브라켓(320), 진공유닛(340) 및 제3컨베이어(37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컨베이어(370)에 의해 이동된 단열재(10)일면에 데크플레이트(40)를 이동시킴으로써 부착할 수 있는데, 데크플레이트(40)는 제3적재부(380)에 적재된 데크플레이트(40)를 이동시킴으로써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3적재부(380)는 제3컨베이어(370)와 외측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제1결합부(300)와 근접한 거리에 형성될 수 있다.
제3실린더(310)는 상측에 형성되며, 제3실린더(310)에 의해 제3실린더브라켓(320) 및 진공유닛(34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실린더(310)의 하측 일측에 제3-1실린더(390)를 가로방향으로 더 포함하여, 진공유닛(340)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3적재부(380)에 적재된 데크플레이트(40)를 단열재(10) 일면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실린더(310) 및 제3-1실린더(390)의 하측에는 제3실린더브라켓(320) 및 진공유닛브라켓(330)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3실린더브라켓(320)은 제3실린더(310) 및 제3-1실린더(390) 하측에 형성되어 제3실린더(310) 및 제3-1실린더(390)를 고정하고, 제3실린더(310) 및 제3-1실린더(390)의 내측에 각각 형성된 피스톤이 일정 길이만큼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실린더브라켓(320)의 일측에 진공유닛 상부 고정브라켓(36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진공유닛 상부 고정브라켓(360)에 의해 제3실린더(310) 및 제3-1실린더(390)의 내측에 형성된 각각의 피스톤의 이동거리를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진공유닛브라켓(330)은 제3실린더브라켓(320)의 하측에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진공유닛브라켓(330)이 형성됨으로써 진공유닛(340)의 말단에 데크플레이트(40)를 고정할 때, 진공유닛(340)의 내부는 진공상태로 유지되어 데크플레이트(40)의 상판(30)이 진공유닛(340)의 말단에 용이하게 흡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진공유닛(340)은 제3실린더(310) 및 제3-1실린더(390)에 의해 이동될 수 있도록 진공유닛브라켓(330) 하측에 이격되어 제3고정부(321) 및 진공유닛고정부(322)를 포함하여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제3고정부(321)는 진공유닛브라켓(330)의 일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하나 이상 형성하여 진공유닛고정부(322)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진공유닛고정부(322)는 제3고정부(321)와 연동될 수 있도록 판 형태로 형성되고, 하측에 하나 이상의 진공유닛(340)을 고정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진공유닛(340)은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진공유닛고정부(322)의 하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진공을 이용하여 흡착시킬 수 있는 흡착기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때, 진공유닛(340)의 배열 간격은 트러스거더(40)의 트러스거더(20) 또는 상판(30)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단열재(10)의 크기에 대응되어 부착될 수 있도록 상판(30)을 흡착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트러스거더(20)의 폭과 같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3컨베이어(370)는 단열재(10) 및 데크플레이트(40)가 일정한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제3컨베이어롤러(미도시)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3컨베이어롤러의 회전에 의해 단열재(10)가 이동하여 일면에 단열재(10) 및 데크플레이트(40)가 부착됨과 동시에 제5단계(S150)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5) 제5단계(S150)
제5단계(S150)는 제4단계(S140)를 거친 단열재(10) 및 데크플레이트(40)를 가압 및 적재유닛(400)에 의해 가압하여 고정시키고 적재시키는 단계이다.
가압 및 적재유닛(4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부(300)를 거친 단열재(10) 및 데크플레이트(40)의 상측을 가압하여 데크플레이트(40)를 고정하여 적재시킬 수 있도록 제4실린더(410), 회전부(420) 및 제4컨베이어(47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4실린더(410)는 가압부(430)를 포함하여 제4컨베이어(470)의 상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가압부(430)와 연동되도록 형성되어 가압부(430)를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제3컨베이어(370)로부터 이동된 단열재(10) 및 데크플레이트(40)를 견고하게 고정시킴으로써,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데크플레이트를 제조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430)는 제4실린더(410)와 연동되어 제4실린더(410)의 이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만약, 단열재(10) 및 데크플레이트(40)가 제4컨베이어(470)에 이동되면, 제4실린더(410)에 의해 가압부(430)가 하측방향으로 이동하여 단열재(10) 및 데크플레이트(40)를 가압함으로써 데크플레이트(40)가 단열재(10)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가압부(430)는 데크플레이트(40)의 트러스거더(20), 상판(30) 또는 단열재(1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가압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트러스거더(20)를 가압함으로써 트러스거더(20), 상판(30) 및 단열재(10)의 접착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가압부(430)에 의한 단열재(10) 및 트러스거더(40)의 가압시간은 10초 이상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40~60초 동안 수행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만약, 가압시간이 10초 미만으로 수행될 경우, 데크플레이트(40) 및 단열재(10)의 고정이 용이하게 수행되지 않게 되어 시공 후 단열재(10)가 중력에 의해 탈락되거나, 단열재(10)와 데크플레이트(40) 사이에 틈이 생김으로써 단열효율이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
제4컨베이어(470)는 단열재(10) 및 데크플레이트(40)가 일정한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제4컨베이어롤러(미도시)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4컨베이어롤러의 회전에 의해 단열재(10) 및 데크플레이트(40)가 이동하여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회전부(420)는 제4컨베이어(470)와 이격되어 형성되고, 제4실린더(410)에 의해 가압되어 고정이 완료된 다수의 단열재(10) 및 데크플레이트(40)를 회전시켜 적재할 수 있도록 회전부제1실린더(421), 회전부제2실린더(422) 및 데크플레이트이동부(423)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부제1실린더 및 회전부제2실린더(421,422)의 내측에 각각 형성된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단열재(10) 및 데크플레이트(40)가 고정된 데크플레이트의 상측 및 하측을 또는 좌측 또는 우측을 고정시킴으로써 회전 또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서로 마주보는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재가 용이하고 설비의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측 및 하측을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회전부제1실린더 및 회전부제2실린더(421,422)가 마주보는 측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회전부실린더고정부재(4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회전부제1실린더 및 회전부제2실린더(421,422)가 본 발명의 데크플레이트의 상측 및 하측을 고정하면, 회전부실린더고정부재(424)가 회전함으로써 데크플레이트의 트러스거더(20)가 하측방향을 향하도록 적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단열재(10)의 손상을 최소화 하며 다수의 데크플레이트를 적재하기 위해 다수의 데크플레이트는 각각 트러스거더(30)가 맞닿도록 형성됨으로써 적재할 수 있는 것이다.
만약, 데크플레이트의 단열재(10)가 하측에 형성되도록 적재된 데크플레이트 위에 다른 데크플레이트를 상측에 적재할 경우, 상측에 적재되는 데크플레이트는 회전부실린더고정부재(424)의 회전에 의해 트러스거더(30)가 하측에 위치하도록 회전시킨 후 하측에 형성된 데크플레이트 위에 적재됨으로써 단열재(10)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다수의 데크플레이트를 적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단열재(10)의 손상을 방지하고 용이하게 적재하기 위하여 제4컨베이어(470)와 이격되어 데크플레이트이동부(42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데크플레이트이동부(423)의 상측에 본 발명인 데크플레이트가 적재되어 이동될 수 있다.
더욱이, 데크플레이트이동부(423)의 이동방향을 규격화 및 자동화하기 위하여 하측에 데크플레이트이동가이드(4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데크플레이트이동가이드(425)의 방향에 따라 데크플레이트이동부(423)가 이동됨으로써, 데크플레이트는 외부 또는 창고 등의 공간에 데크플레이트를 적재하여 보관이 용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단열재와 데크플레이트가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데크플레이트와 단열재를 동시에 시공하도록 형성되고, 추가적으로 강판, 합판 등의 탈형 작업과 같은 추가 작업이 수행되지 않아 시공기간이 단축되며, 볼트, 스페이서와 같은 자재가 소모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공정의 규격화 및 자동화에 의해 품질의 안정성 강화, 생산효율 증대 및 인건비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데크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단열재 부착 시 상기 단열재를 고정하기 위해 볼트, 스페이서를 사용하는 종래의 부착 방식을 용하지 않은 부착 방식이 적용되어, 자재비와 작업공수가 절약됨으로써,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내구성도 증가되어 장시간 이용 시 변형이 적은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데크플레이트는 현장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도 높다.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단열재의 일면에 하나 이상의 홈을 형성할 수 있도록 형성된 홈형성부를 포함하는 타공유닛;
    상기 타공유닛을 거친 단열재의 일면에 접착제가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도록 접착제도포부, 롤러부 및 발포부를 포함하는 접착제 도포유닛;
    상기 접착제 도포유닛을 거친 단열재의 일면에 데크플레이트를 부착시키는 제1결합부; 및
    상기 제1결합부를 거친 단열재 및 데크플레이트의 상측을 가압하여 데크플레이트를 단열재에 고정하여 적재시키는 가압 및 적재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 제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접착제도포부는,
    단열재의 일면에 물 또는 촉매제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도포하도록 형성된 제1조정부;
    상기 제1조정부를 거친 단열재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접착제탱크; 및
    상기 접착제탱크를 거친 단열재의 일면에 물 또는 촉매제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도포하는 제2조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 제조장치.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3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비드법단열재, 압출법단열재, 유리섬유단열재 또는 우레탄단열재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 제조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단열재의 일측 또는 타측 단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단부 형상이 계단형, 톱니형, 요철형(凹凸型), 구름형, 파형, 경사형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 제조 장치.
  9. 데크플레이트와 단열재를 준비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를 거친 단열재를 홈형성부를 포함하는 타공유닛에 통과시킴으로써 일면에 하나 이상의 홈을 형성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를 거친 단열재를 접착제 도포유닛에 의해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평탄화 시킨 후 발포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를 거친 단열재의 일면에 데크플레이트를 제1결합부에 의해 접착시키는 제4단계; 및
    상기 제4단계를 거친 단열재 및 데크플레이트를 가압 및 적재유닛에 의해 가압하여 고정시키고 적재시키는 제5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 제조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홈형성부는,
    상측에 형성되고, 하측에 제1실린더 브라켓, 제1실린더 조인트 및 제1실린더스토퍼를 포함하는 제1실린더;
    상기 제1실린더 하측에 상기 제1실린더스토퍼와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회전에 의해 단열재의 일면에 홈이 형성될 수 있도록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된 하나 이상의 타공부를 포함하여 형성된 펀치롤러;
    상기 펀치롤러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펀치롤러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롤러; 및
    상기 제1롤러의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모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 제조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도포유닛은,
    단열재의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접착제도포부;
    상기 접착제도포부를 거친 단열재의 일면에 접착제가 고르게 도포되어 평탄화 되도록 형성된 롤러부; 및
    상기 롤러부를 거친 단열재에 접착된 접착제가 발포되도록 형성된 발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 제조방법.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비드법단열재, 압출법단열재, 유리섬유단열재 또는 우레탄단열재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 제조방법.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의 일측 또는 타측 단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단부 형상이 계단형, 톱니형, 요철형(凹凸型), 구름형, 파형, 경사형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 제조방법.
KR1020170144697A 2017-11-01 2017-11-01 데크플레이트 제조장치 및 이 제조 장치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제조방법 KR101846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697A KR101846797B1 (ko) 2017-11-01 2017-11-01 데크플레이트 제조장치 및 이 제조 장치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697A KR101846797B1 (ko) 2017-11-01 2017-11-01 데크플레이트 제조장치 및 이 제조 장치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6797B1 true KR101846797B1 (ko) 2018-04-06

Family

ID=61973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4697A KR101846797B1 (ko) 2017-11-01 2017-11-01 데크플레이트 제조장치 및 이 제조 장치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67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10619A (zh) * 2022-09-21 2023-01-17 苏州意达诺精密科技有限公司 一种舰船甲板填缝胶涂覆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8695B1 (ko) 2015-09-16 2016-05-09 (주)덕신하우징 계단식 단열재가 구비된 데크플레이트
KR101785723B1 (ko) 2016-10-25 2017-10-16 에스와이스틸텍 주식회사 단열재 일체형 데크플레이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8695B1 (ko) 2015-09-16 2016-05-09 (주)덕신하우징 계단식 단열재가 구비된 데크플레이트
KR101785723B1 (ko) 2016-10-25 2017-10-16 에스와이스틸텍 주식회사 단열재 일체형 데크플레이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10619A (zh) * 2022-09-21 2023-01-17 苏州意达诺精密科技有限公司 一种舰船甲板填缝胶涂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46047C (en) Non-cellular adhesive for composite roof structure
US7926233B2 (en) Buildings, building walls and other structures
KR101986990B1 (ko) 외단열 공법 및 그에 따른 외단열 벽체
CN109057412B (zh) 聚氨酯卫浴底盘及其生产方法
KR101846797B1 (ko) 데크플레이트 제조장치 및 이 제조 장치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제조방법
KR101237333B1 (ko) 탈형 데크용 스페이서
KR101851501B1 (ko) 단열재 일체형 데크플레이트
CA2599560A1 (en) Structural shear plate for a vehicle
KR101953064B1 (ko) 고정구조를 포함하는 단열재 일체형 데크플레이트
CN112647632A (zh) 一种免拆模装配式叠合楼板的生产工艺
KR20170061449A (ko) 단열재 일체형 데크 플레이트
KR101739126B1 (ko) 탑다운 방식 지하 구조물 형성 방법
CN107514080B (zh) 一种一体化楼板
JP2509591Y2 (ja) 屋根パネル
KR101233120B1 (ko) 저층 건물용 기초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747002B1 (ko) 철근 콘크리트 기둥과 합성보를 이용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6901818B2 (ja) パネルの製造方法
KR20210120750A (ko) 현장시공이 용이한 콘크리트 또는 구조물용 방수시트의 제조방법
KR102652453B1 (ko)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 보-데크 및 그 제조 방법
CN212957361U (zh) 一种便于安装的装饰保温板
JP2999980B2 (ja) 鉄骨造建築に用いる外壁用複合パネル
CN201614747U (zh) 一种支撑型材及支撑架
CN111827577B (zh) 一种支撑梁的施工方法
JP2829271B2 (ja) 住宅用繊維補強外壁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装置
JPH1037364A (ja) 湿式浮き床の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