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3120B1 - 저층 건물용 기초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저층 건물용 기초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3120B1
KR101233120B1 KR1020110025943A KR20110025943A KR101233120B1 KR 101233120 B1 KR101233120 B1 KR 101233120B1 KR 1020110025943 A KR1020110025943 A KR 1020110025943A KR 20110025943 A KR20110025943 A KR 20110025943A KR 101233120 B1 KR101233120 B1 KR 101233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late
low
rise building
lower steel
reinforc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5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8272A (ko
Inventor
김승일
Original Assignee
(주)대명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명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대명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10025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3120B1/ko
Publication of KR20120108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8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3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3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10Deep foundations
    • E02D27/12Pile foundations
    • E02D27/14Pile framings, i.e. piles assembled to form the sub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5Shapes polygon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 E02D2300/0014PU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1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2Steel; Iron in sheet form, i.e. bent or deformed plate-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재에 의해 형성된 상부 강판(110) 및 하부 강판(120); 휨 모멘트 및 전단력에 대하여 저항하도록, 상부 강판(110) 및 하부 강판(120)의 사이에 격자 구조로 설치된 보강부재(130); 상부 강판(110), 하부 강판(120) 및 보강부재(130)의 사이 공간을 충전하여 결합하는 충전재(140); 하부 강판(120)의 저면에 설치된 다수의 팽이 기초부재(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층 건물의 기초구조물을 제시함으로써, 단면이 얇으면서도 우수한 강도 및 내구성을 얻을 수 있고, 작업공정이 용이하여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지진 발생 시에도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저층 건물용 기초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FOUNDA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건축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건물의 기초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은 콘크리트 재질에 의한 기초, 기둥, 벽체, 보, 슬래브 등의 구조에 의해 이루어진다.
콘크리트는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한 재료로서 건축, 토목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불균일한 재질이므로 일정 두께 이상의 단면이 필요하다는 점(얇은 구조를 이루는데 한계가 있다는 점), 자중이 크므로 이를 지지하기 위한 기둥, 벽체의 단면이 커져야 한다는 점, 거푸집 설치, 타설 및 양생 등의 작업을 위해 장기간이 소요된다는 점, 지진 발생 시 붕괴로 인한 대형 인명피해가 발생한다는 점 등의 단점이 있다.
특히 기초구조물의 형성을 위하여 비교적 대규모의 바닥 콘크리트가 타설되는데, 2,3층 규모의 저층 건물에 대하여 이러한 구조를 적용하는 것은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지적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단면이 얇으면서도 우수한 강도 및 내구성을 얻을 수 있고, 작업공정이 용이하여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지진 발생 시에도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저층 건물용 기초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강재에 의해 형성된 상부 강판(110) 및 하부 강판(120); 휨 모멘트 및 전단력에 대하여 저항하도록, 상기 상부 강판(110) 및 하부 강판(120)의 사이에 격자 구조로 설치된 보강부재(130); 상기 상부 강판(110), 하부 강판(120) 및 보강부재(130)의 사이 공간을 충전하여 결합하는 충전재(140); 상기 하부 강판(120)의 저면에 설치된 다수의 팽이 기초부재(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층 건물의 기초구조물을 제시한다.
상기 보강부재(130)의 종단면은 벌집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전재(140)는 발포 폼 재질에 의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전재(140)는 폴리우레탄 재질에 의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팽이 기초부재(150)의 두부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결합부재(151)가 외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결합부재(151)는 상기 하부 강판(120)에 대하여 결합구(10)에 의해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저층 건물용 기초구조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상부 강판(110) 및 하부 강판(120)이 상호 일정 간격을 갖도록 이송하는 단계; 상기 상부 강판(110)과 하부 강판(120)의 사이에 상기 보강부재(130)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상부 강판(110), 하부 강판(120) 및 보강부재(130)의 사이 공간을 충전하도록, 상기 충전재(140)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충전재(140)가 발포하는 과정 중, 상기 상부 강판(110) 및 하부 강판(120)의 내부 사이의 간격이 상기 보강부재(130)에 의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강판(110) 및 하부 강판(120)의 외부를 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층 건물용 기초구조물의 제조방법을 함께 제시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저층 건물용 기초구조물의 시공방법으로서, 기초지반(1)을 정리하는 단계; 상기 기초지반(1)에 다수의 상기 팽이 기초부재(15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상부 강판(110), 하부 강판(120), 보강부재(130) 및 충전재(140)의 조립체를 상기 팽이 기초부재(150)의 상부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층 건물용 기초구조물의 시공방법을 함께 제시한다.
상기 상부 강판(110)의 상부에 배관을 설치하고, 몰탈을 도포하여 마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저층 건물용 기초구조물의 시공방법으로서, 기초지반(1)을 정리하는 단계; 상기 기초지반(1)에 다수의 상기 팽이 기초부재(15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상부 강판(110), 하부 강판(120), 보강부재(130) 및 충전재(140)의 조립체를 상기 팽이 기초부재(150)의 상부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팽이 기초부재(150)의 복수의 결합부재(151)와 상기 하부 강판(120)를 결합구(10)에 의해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층 건물용 기초구조물의 시공방법을 함께 제시한다.
본 발명은 단면이 얇으면서도 우수한 강도 및 내구성을 얻을 수 있고, 작업공정이 용이하여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지진 발생 시에도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저층 건물용 기초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제시한다.
도 1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기초구조물의 부분사시도.
도 2는 기초구조물의 횡단면도.
도 3은 기초구조물의 종단면도.
도 4는 기초구조물의 제조공정의 구성도.
도 5는 팽이 기초부재의 사시도.
도 6은 팽이 기초부재의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저층 건물의 기초구조물은 기본적으로, 강재에 의해 형성된 상부 강판(110) 및 하부 강판(120); 휨 모멘트 및 전단력에 대하여 저항하도록, 상부 강판(110) 및 하부 강판(120)의 사이에 격자 구조로 설치된 보강부재(130); 상부 강판(110), 하부 강판(120) 및 보강부재(130)의 사이 공간을 충전하여 결합하는 충전재(140); 하부 강판(120)의 저면에 설치된 다수의 팽이 기초부재(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종래의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 대신, 상부 강판(110), 하부 강판(120), 그 사이의 슬래브 보강부재(130)와 이들을 충전하고 결합하는 충전재(140) 및 하부의 팽이 기초부재(150)에 의한 복합구조에 의해 기초구조물을 형성하도록 한 것이다(도 1,2).
상부 강판(110), 하부 강판(120), 격자 구조의 보강부재(130)에 의한 복합구조는 휨 모멘트 및 전단력에 대한 저항력이 대단히 큰 구조로서, 비행기의 동체 등에 사용되고 있다.
특히, 슬래브 보강부재(130)의 종단면이 벌집 구조를 취하는 경우, 위 저항력을 더욱 크게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도 3).
다만 이들 상부 강판(110), 하부 강판(120), 보강부재(130)를 별도의 접착재나 용접 등의 방식에 의해 결합하는 것은 제조에 드는 수고, 비용이 커서 비효율적이므로, 이들 사이 공간을 충전재(140)에 의해 충전함과 아울러 이들을 결합하도록 한 것이다.
충전재(140)로는 발포 폼 형식의 합성수지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폴리우레탄 재질을 사용하는 경우, 접착력,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우수한 단열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추가된다.
이러한 구성을 취하는 경우, 종래의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에 비해, 단면이 얇으면서도 우수한 강도 및 내구성을 얻을 수 있고, 작업공정이 용이하여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지진 발생 시에도 콘크리트처럼 재료의 붕괴가 일어나지 않으므로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저층 건물용 기초구조물에서 상부 강판(110), 하부 강판(120), 보강부재(130)의 조립체는 다음과 같은 제조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
회전 롤(1) 등에 의해 상부 강판(110) 및 하부 강판(120)이 상호 일정 간격을 갖도록 이송한다.
상부 강판(110)과 하부 강판(120)의 사이에 슬래브 보강부재(130)를 삽입하면서, 상부 강판(110), 하부 강판(120) 및 슬래브 보강부재(130)의 사이 공간을 충전하도록, 충전재 분사기구(2) 등을 이용하여 충전재(140)를 도포한다.
충전재(140)가 발포하는 과정 중, 상부 강판(110) 및 하부 강판(120)의 내부 사이의 간격이 슬래브 보강부재(130)에 의해 유지된 상태에서, 이송 롤(3) 등에 의해 상부 강판(110) 및 하부 강판(120)의 외부를 압착하면서 이송한다.
즉, 발포 폼 재질의 충전재(140)를 상부 강판(110), 하부 강판(120), 보강부재(130) 사이의 공간에 도포하고, 이들을 이송 롤(3) 등에 의해 압착하므로, 이 과정에서 충전재(140)의 발포가 발생하게 되는바, 충전재(140)의 발포에 의한 팽창을 강제로 억제하는 결과가 되어, 상부 강판(110), 하부 강판(120), 보강부재(130)의 강한 결합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내부의 밀실한 충전구조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저층 건물의 기초구조물의 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굴착 등에 의해 기초지반(1)을 정리하고, 그 기초지반(1)에 다수의 팽이 기초부재(150)를 설치한다.
팽이 기초부재(150)는 팽이형상의 용기에 콘크리트를 현장타설하는 방식이던, 프리캐스트에 의해 제조된 것을 사용하는 방식이던 관계없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조공정에 의해 제조된 상부 강판(110), 하부 강판(120), 보강부재(130) 및 충전재(140)의 조립체를 팽이 기초부재(150)의 상부에 설치한다.
팽이 기초부재(150)와 하부 강판(120)의 결합은 어떠한 구조를 취하더라도 관계없으나, 본 발명의 취지에 비추어 볼트, 너트 등의 결합구(10)에 의한 조립방식을 취하도록 하는 것이 시공의 용이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팽이 기초부재(150)의 두부 가장자리에 복수의 결합부재(151)가 외측으로 돌출형성되고, 그 복수의 결합부재(151)는 하부 강판(120)에 대하여 결합구(10)에 의해 결합하는 구성을 취하는 것이 좋다(도 5,6).
구체적으로, 팽이형상의 용기(152)에 콘크리트(153)를 현장타설하는 방식의 경우, 그 용기(152)에 결합부재(151)가 형성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6).
이후, 상부 강판(110)의 상부에 배관 등을 설치하고, 몰탈을 도포하여 마감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슬래브 110 : 상부 강판
120 : 하부 강판 130 : 보강부재
140 : 충전재 150 : 팽이 기초부재
151 : 결합부재

Claims (9)

  1. 강재에 의해 형성된 상부 강판(110) 및 하부 강판(120);
    휨 모멘트 및 전단력에 대하여 저항하도록, 상기 상부 강판(110) 및 하부 강판(120)의 사이에 격자 구조로 설치된 보강부재(130);
    상기 상부 강판(110), 하부 강판(120) 및 보강부재(130)의 사이 공간을 충전하여 결합하는 충전재(140);
    상기 하부 강판(120)의 저면에 설치된 다수의 팽이 기초부재(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층 건물의 기초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130)의 종단면은 벌집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층 건물의 기초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140)는 발포 폼 재질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층 건물의 기초구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140)는 폴리우레탄 재질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층 건물의 기초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이 기초부재(150)의 두부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결합부재(151)가 외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결합부재(151)는 상기 하부 강판(120)에 대하여 결합구(10)에 의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층 건물의 기초구조물.
  6. 제3항 또는 제4항의 저층 건물용 기초구조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상부 강판(110) 및 하부 강판(120)이 상호 일정 간격을 갖도록 이송하는 단계;
    상기 상부 강판(110)과 하부 강판(120)의 사이에 상기 보강부재(130)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상부 강판(110), 하부 강판(120) 및 보강부재(130)의 사이 공간을 충전하도록, 상기 충전재(140)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충전재(140)가 발포하는 과정 중, 상기 상부 강판(110) 및 하부 강판(120)의 내부 사이의 간격이 상기 보강부재(130)에 의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강판(110) 및 하부 강판(120)의 외부를 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층 건물용 기초구조물의 제조방법.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저층 건물용 기초구조물의 시공방법으로서,
    기초지반(1)을 정리하는 단계;
    상기 기초지반(1)에 다수의 상기 팽이 기초부재(15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상부 강판(110), 하부 강판(120), 보강부재(130) 및 충전재(140)의 조립체를 상기 팽이 기초부재(150)의 상부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층 건물용 기초구조물의 시공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강판(110)의 상부에 배관을 설치하고, 몰탈을 도포하여 마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층 건물용 기초구조물의 시공방법.
  9. 제5항의 저층 건물용 기초구조물의 시공방법으로서,
    기초지반(1)을 정리하는 단계;
    상기 기초지반(1)에 다수의 상기 팽이 기초부재(15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상부 강판(110), 하부 강판(120), 보강부재(130) 및 충전재(140)의 조립체를 상기 팽이 기초부재(150)의 상부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팽이 기초부재(150)의 복수의 결합부재(151)와 상기 하부 강판(120)를 결합구(10)에 의해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층 건물용 기초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0110025943A 2011-03-23 2011-03-23 저층 건물용 기초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233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943A KR101233120B1 (ko) 2011-03-23 2011-03-23 저층 건물용 기초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943A KR101233120B1 (ko) 2011-03-23 2011-03-23 저층 건물용 기초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272A KR20120108272A (ko) 2012-10-05
KR101233120B1 true KR101233120B1 (ko) 2013-02-14

Family

ID=47279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5943A KR101233120B1 (ko) 2011-03-23 2011-03-23 저층 건물용 기초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31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22055A (zh) * 2016-05-17 2016-08-03 安徽宝翔建设集团有限责任公司 高层建筑高空连廊施工支架
KR102178005B1 (ko) * 2020-07-24 2020-11-12 김성 허니컴 구조의 복합소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슬래브 구조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4566A (ja) 1999-01-18 2000-07-25 Yoshiaki Kobayashi 集落建築物の基礎構造物
KR100842802B1 (ko) 2007-03-12 2008-07-01 한국팽이파일 주식회사 현장 타설형 팽이파일의 콘크리트 타설판 및 이를 이용한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4566A (ja) 1999-01-18 2000-07-25 Yoshiaki Kobayashi 集落建築物の基礎構造物
KR100842802B1 (ko) 2007-03-12 2008-07-01 한국팽이파일 주식회사 현장 타설형 팽이파일의 콘크리트 타설판 및 이를 이용한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22055A (zh) * 2016-05-17 2016-08-03 安徽宝翔建设集团有限责任公司 高层建筑高空连廊施工支架
KR102178005B1 (ko) * 2020-07-24 2020-11-12 김성 허니컴 구조의 복합소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슬래브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272A (ko) 201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65272B (zh) 预应力装配式混凝土框架节点连接结构及其施工方法
CN105756252B9 (zh) 一种预应力混凝土桁架叠合板及其制作方法
WO2019007224A1 (zh) 一种保温外墙板、专用模具及其制作方法
CN103388357B (zh) 耐震、预制的钢管剪力墙混合结构建筑物
CN103397696B (zh) 耐震、预制的钢筋桁架剪力墙混合结构建筑物
KR101570484B1 (ko) 경량의 매입형 내부거푸집을 활용한 hpc기둥과 이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457077B1 (ko) 개량형 콘크리트 충전 기둥
WO2011021151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situ construction of civil structures
CN108086488B (zh) 装配式框剪结构墙错层式连接结构及拼装方法
CA2678452A1 (en) Device for anchoring concrete to an insulating panel and form employing the device
CN102995805A (zh) 蜂窝孔式肋架预应力钢筋混凝土叠合板
RU2335604C2 (ru)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многослойной стены
CN110872872A (zh) 一种内置钢板混凝土与钢筋混凝土拼接剪力墙及施工工艺
CN102235048B (zh) 一种钢筋混凝土空心楼板
CN215106121U (zh) 一种单向叠合板拼缝处连接构造
CN107975165B (zh) 叠合墙体结构及其制作方法
KR101233120B1 (ko) 저층 건물용 기초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204645343U (zh) 预制装配式混凝土外挂墙板固定装置
KR101250864B1 (ko) 저층 건물용 벽체 및 이를 이용한 저층 건물
CN102242551B (zh) 配筋砌块钢筋混凝土结构及其隔震、减震体系
CN107938891B (zh) 叠合墙体结构及其制作方法
CN216340226U (zh) 一种组合式预制混凝土墙体的加强型局部现浇连接节点
JP5275896B2 (ja) 床版及び建築物
KR101233119B1 (ko) 저층 건물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저층 건물의 시공방법
RU110391U1 (ru) Многопустотный несущий элемент плит здан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