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6402B1 - 유동압력 저감형 인공어초 - Google Patents

유동압력 저감형 인공어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6402B1
KR101846402B1 KR1020160110741A KR20160110741A KR101846402B1 KR 101846402 B1 KR101846402 B1 KR 101846402B1 KR 1020160110741 A KR1020160110741 A KR 1020160110741A KR 20160110741 A KR20160110741 A KR 20160110741A KR 101846402 B1 KR101846402 B1 KR 101846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ressure
flow
horizontal
artificial
outlet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0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4471A (ko
Inventor
최승일
Original Assignee
최승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일 filed Critical 최승일
Priority to KR1020160110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6402B1/ko
Publication of KR20180024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4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6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6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Abstract

본 발명은 유동압력 저감형 인공어초에 관한 것으로, 인공어초 뒤쪽에 물고기들이 머무는 정온영역을 형성하는 것은 물론 점진적 축소 관 및 확대 관을 이용하여 해류를 효율적으로 가이드 함으로써 수량이 적고 사이즈가 작으면서도 인공어초 후류에 변화를 주어 인공어초의 효과를 높이면서도 환경적 측면이나 경제적 측면에서 매우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인공어초의 전방에 유동압력 저감장치가 추가로 설치되어 위집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유동압력 저감형 인공어초{FLUX-PRESSURE REDUCTION TYPE ARTIFICIAL REEF}
본 발명은 유동압력 저감형 인공어초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인공어초의 양측에 설치된 점진적 축소 관 및 점진적 확대 관을 이용하여 해류(海流)를 효율적으로 가이드 함은 물론 인공어초의 전방에 유동압력 저감장치가 추가로 설치되어 위집 효과(蝟集 效果)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유동압력 저감형 인공어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공어초(人工魚礁; Artificial reef)는 각종 어류나 패조류(貝藻類) 등과 같은 수중생물의 서식처를 형성할 수 있도록 바닷속에 설치하는 인공 구조물로, 어획능력이 큰 저인망이나 권현망 등으로부터 어장을 보호하고 각종 어류나 패류의 산란장 및 도피처를 조성하여 어자원을 육성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며, 해저지반에 구조물을 설치하는 침설형(沈設型)과 바닷속에 구조물을 계류(繫留)시키는 부표형 어초로 크게 나눌 수 있다.
각종 인공어초 중 침설형 어초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은 콘크리트와 철근을 이용하여 육면체 형상의 골조 프레임을 형성시킨 사각형 인공어초를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러한 사각형 인공어초를 바지선에 적재하여 해당 수역으로 운반한 다음, 바지선에 설치된 크레인을 사용하여 해저 지반 상에 인공어초를 침설함으로써, 어류나 패류의 산란장 및 도피처를 형성하도록 한다.
유체역학 측면에서 보면, 인공어초는 바다 속에서 물 흐름을 느리게 하는 장애물 역할을 한다. 즉, 인공어초의 사이즈가 크면 클수록 정온영역(물흐름이 느려져서 물고기가 머물기 좋은 상태의 영역)이 넓어진다.
종래에는 정온영역의 확대를 위해서 많은 갯수의 인공어초를 해저지반 상에 설치하거나 대형화된 인공어초를 해저지반 상에 설치하였으나, 인공어초가 점차 대형화하여 무거워지고 있으며, 그로 인해서 설치 및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국내 특허 제10-1366921호 일본 특개 제2013-17462호 일본 특개 제1999-50429호 미국 특허 제6,896,445호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공어초의 뒤쪽에 물고기들이 머무는 정온영역을 형성하는 것은 물론 점진적 축소 관 및 점진적 확대 관을 이용하여 해류를 효율적으로 가이드 함으로써 사이즈가 작으면서도 인공어초의 후류에 변화를 주어 위집 효과를 높이면서도 환경적 측면이나 경제적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며, 인공어초의 전방에 유동압력 저감장치가 추가로 설치되어 위집 효과(蝟集 效果)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유동압력 저감형 인공어초를 제공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동압력 저감형 인공어초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동압력 저감형 인공어초는 해저 지반 상에 설치되는 인공어초 본체(10); 정온영역을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인공어초 본체(10)의 측면에 설치되는 해류 가이드 관(100,200) 및 인공어초 본체(10)의 전방 측에 추가로 설치되어 위집 효과를 높이는 유동압력 저감장치(300)를 포함하되, 상기 해류 가이드 관은 점진적 축소 관(100) 및 점진적 확대 관(200)을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101)(201) 상부에 서포트(102)(202)가 설치되고, 상기 서포트(102)(202)는 상기 점진적 축소 관(100) 및 상기 점진적 확대 관(200)을 지지하한다.
상기 점진적 축소 관(100)은 해수의 흐름을 기준으로 입구 측이 출구 측보다 상대적으로 넓고 크게 형성되는 것으로, 입구 측에 형성되고 관경이 점차 감소하는 경사면(111)을 갖는 제1 경사 부(110); 상기 제1 경사 부(110)의 끝단으로부터 출구 측으로 동일한 관경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면(121)을 갖는 제1 수평 부(120); 상기 제1 수평 부(120)의 끝단으로부터 출구 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관경이 점차 감소하는 경사면(131)을 갖는 제2 경사 부(130); 및 상기 제2 경사 부(130)의 끝단으로부터 출구 측으로 동일한 관경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면을 갖는 제2 수평 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점진적 확대 관(200)은 해수의 흐름을 기준으로 입구 측이 출구 측보다 상대적으로 좁고 작게 형성되는 것으로, 입구 측에 형성되고 동일한 관경으로 형성되는 수평면을 갖는 제3 수평 부(210); 상기 제3 수평 부(210)의 끝단으로부터 출구 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관경이 점차 증가하는 경사면(221)을 갖는 제3 경사 부(220); 상기 제3 경사 부(220)의 끝단으로부터 출구 측으로 동일한 관경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면(231)을 갖는 제4 수평 부(230); 및 상기 제4 수평 부(230)의 끝단으로부터 출구 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관경이 점차 증가하는 경사면(241)을 갖는 제4 경사 부(240)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310)에는 하나 이상의 홈(311)이 형성되고, 상기 홈(311)은 상기 유동압력 저감장치(300)를 해저 지반 상의 정확한 위치 및 거리에 놓이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베이스(310)의 하면에는 해저 지반에 박히는 고정부(312)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유동압력 저감장치(300)는 상기 인공어초 본체(10)의 전방 측에 추가로 설치되어 위집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상기 유동압력 저감장치(300)는 해저 지반 상에 설치되는 베이스(310), 베이스(310)로부터 상방으로 설치되는 포스트(320), 포스트(320)의 상부에 설치되어 해류의 유동압력을 저감시키는 유동압력 저감 플레이트(330)로 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공어초는 비 압축성 유체인 해수에 장애물 역할을 하여 후류를 발생시켜서 인공어초의 뒤쪽에 물고기가 모이게 하는 원리를 이용하는바, 본 발명은 인공어초의 양측에 해류 가이드 관(점진적 축소 관 및 확대 관)을 설치하여 인공어초 뒤쪽에 물고기들이 머무는 정온영역을 형성하고, 해수를 가이드 함으로써 수량이 적고 사이즈가 작으면서도 인공어초의 후류에 변화를 주어 위집 효과를 높이면서도 환경적 측면이나 경제적 측면에서 매우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인공어초의 전방에 유동압력 저감장치가 추가로 설치되어 위집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데, 해류가 유동압력 저감 플레이트를 감싸고 도는 현상이 발생하여서 유동압력 저감 플레이트의 주위와 인공어초 주위의 정온영역도 커지고, 그로 인해서 위집 효과가 2배 이상으로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동압력 저감장치의 베이스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홈에 의해서 유동압력 저감장치를 저항 없이 해저지반 상의 정확한 위치에 놓이도록 하며, 베이스의 하면에 형성된 쇄기 형상의 고정부에 의해서 유동압력 저감장치가 해저지반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거리 조절장치에 의해서 유동압력 저감장치의 거리를 정확하고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동압력 저감형 인공어초에서 인공어초 본체와 점진적 축소 관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점진적 축소 관의 지지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점진적 축소 관을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유동압력 저감형 인공어초에서 인공어초 본체와 점진적 확대 관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점진적 확대 관의 지지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점진적 확대 관을 보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유동압력 저감형 인공어초를 보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유동압력 저감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위치 조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종래 인공어초의 위집 효과를 실험한 사진
도 11은 점진적 확대 관을 구비하는 인공어초의 위집 효과를 실험한 사진
도 12는 본 발명의 유동압력 저감형 인공어초의 위집 효과를 실험한 사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동압력 저감형 인공어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동압력 저감형 인공어초에서 인공어초 본체와 점진적 축소 관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점진적 축소 관의 지지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점진적 축소 관을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유동압력 저감형 인공어초에서 인공어초 본체와 점진적 확대 관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점진적 확대 관의 지지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점진적 확대 관을 보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유동압력 저감형 인공어초를 보인 측면도, 및 도 8은 본 발명의 유동압력 저감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위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동압력 저감형 인공어초는 해저 지반 상에 설치되는 인공어초 본체(10), 정온영역을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하기 위하여 인공어초 본체(10)의 측면에 설치되는 해류 가이드 관(100,200), 및 인공어초 본체(10)의 전방 측에 추가로 설치되어 위집 효과를 높이는 유동압력 저감장치(300)를 포함하되, 상기 해류 가이드 관은 점진적 축소 관(100) 및 점진적 확대 관(200)을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101)(201) 상부에 서포트(102)(202)가 설치되고, 상기 서포트(102)(202)는 상기 점진적 축소 관(100) 및 상기 점진적 확대 관(200)을 지지한다.
점진적 축소 관(100)은 해수의 흐름을 기준으로 입구 측이 출구 측보다 상대적으로 넓고 크게 형성되는 것으로, 입구 측에 형성되고 관경이 점차 감소하는 경사면(111)을 갖는 제1 경사 부(110); 상기 제1 경사 부(110)의 끝단으로부터 출구 측으로 동일한 관경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면(121)을 갖는 제1 수평 부(120); 상기 제1 수평 부(120)의 끝단으로부터 출구 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관경이 점차 감소하는 경사면(131)을 갖는 제2 경사 부(130); 및 상기 제2 경사 부(130)의 끝단으로부터 출구 측으로 동일한 관경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면을 갖는 제2 수평 부(140)를 포함한다.
점진적 확대 관(200)은 해수의 흐름을 기준으로 입구 측이 출구 측보다 상대적으로 좁고 작게 형성되는 것으로, 입구 측에 형성되고 동일한 관경으로 형성되는 수평면을 갖는 제3 수평 부(210); 상기 제3 수평 부(210)의 끝단으로부터 출구 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관경이 점차 증가하는 경사면(221)을 갖는 제3 경사 부(220); 상기 제3 경사 부(220)의 끝단으로부터 출구 측으로 동일한 관경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면(231)을 갖는 제4 수평 부(230); 및 상기 제4 수평 부(230)의 끝단으로부터 출구 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관경이 점차 증가하는 경사면(241)을 갖는 제4 경사 부(240)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동압력 저감형 인공어초에서는 인공어초(10)의 양측에 해류 가이드 관(100,200)이 설치되고, 인공어초(10)의 전방 측에 유동압력 저감장치(300)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동압력 저감형 인공어초는 해저 지반 상에 설치되는 인공어초 본체(10); 및 상기 인공어초 본체(10)의 전방 측에 설치되어 유동압력을 저감하는 유동압력 저감장치(30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유동압력 저감형 인공어초에서는 인공어초 본체(10)의 양측에 해류 가이드 관(100,200)이 설치되지 않고, 인공어초(10)의 전방 측에 유동압력 저감장치(300)가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유동압력 저감장치(300)는 해수의 유동압력을 저감시켜서 위집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해저 지반 상에 설치되는 베이스(310), 베이스(310)로부터 상방으로 설치되는 포스트(320), 및 포스트(320)의 상부에 설치되어 해류의 유동압력을 저감시키는 유동압력 저감 플레이트(330)로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310)에는 하나 이상의 홈(311)이 형성되고, 홈(311)에 의해서 해수의 저항을 최소화하여 유동압력 저감장치(300)를 해저 지반 상의 정확한 위치에 놓이도록 한다.
베이스(310)의 상면에는 패드 아이(313)가 형성되어 유동압력 저감장치(300)의 리프팅 및 하강시 체인이나 로프를 그 패드 아이(313)에 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동압력 저감장치(300)의 상승 및 하강을 용이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다.
베이스(310)의 하면에는 해저 지반에 박히는 고정부(312)가 형성될 수 있다.
해저 지반에 박히는 고정부(312)에 의해서, 해류 세기가 센 지역에서도 상기 유동압력 저감장치(300)가 해저 지반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312)는 쇄기 형상이나 대못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해류를 기준으로, 유동압력 저감 플레이트(330)의 투영면적은 인공어초 본체(10)의 투영면적에 대하여 약 1:7-13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10으로 설정되는 것이 위집 효과가 좋다.
또한, 유동압력 저감장치(300)는 거리 조절장치(400)에 의해서 인공어초 본체(10)로부터 일정한 거리로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거리 조절장치(400)는 사각프레임(410), 사각프레임(410)에 구획 공간(S)을 형성하는 구획 바(420), 사각프레임(410)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레그(430)로 구성된다. 구획 공간(S)에는 유동압력 저감장치(300)를 삽입하여 안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유동압력 저감장치(300)는 거리 조절장치(400)에 의해서 인공어초 본체(10)로부터 일정한 거리로 설치되는데, 이 상태에서 사각프레임(410)에 구획 공간(S) 안에 베이스(310)를 삽입하여 해저 지반 상에 안착시킬 수 있다.
유동압력 저감장치(300)는 첫 번째의 구획 공간(S)이나 두 번째의 구획 공간(S)이나 세 번째의 구획 공간(S)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므로, 유동압력 저감장치(300)의 거리를 정확하고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유동압력 저감장치(300)의 설치를 완료한 후에 거리 조절장치(400)를 제거한다.
한편, 도 10은 종래 인공어초의 위집 효과를 실험한 사진, 도 11은 점진적 확대 관을 구비하는 인공어초의 위집 효과를 실험한 사진,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유동압력 저감형 인공어초의 위집 효과를 실험한 사진이다.
위 실험에서는 유체역학에서 사용하는 레이놀즈 수를 이용해 물의 흐름을 수치로 계산해 보고 분석했다.
실험어항의 레이놀즈 수는 793, 밀도는 1000, 물흐름 속도는 1/7 ㎧ec, 길이(인공어초 높이)는 0.01, 물의 고유 점성은 1.8로서 이들 모두는 무차원수이다. 여기서, 무차원수란 단위가 없는 수를 말하며, 단위(길이의 단위 CM, M, KM 무게의 단위 G, KG, 시간의 단위 min, sec)를 무시한 수를 말하며, 레이놀즈 수는 층류와 난류를 구분하는 무차원수로서, 일반적으로 레이놀즈 수가 2,000 이하일 경우는 층류 구역, 레이놀즈 수가 4000 이상일 경우는 난류구역으로 정한다. 물질의 성질은 온도와 압력에 따라 변하는데, 여기서는 1기압 0℃를 기준으로 했다.
위집 효과가 가장 좋은 지점은 인공어초를 중심으로 인공어초 우측 끝에서 20cm 떨어진 지점 바닥에서 10cm 올라온 곳으로 확인되었으며, 인공어초의 투영면적과 유동압력 저감 플레이트의 투영면적 크기 비율은 약 10:1로 설정하였다.
인공어초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인 물 흐름을 늦추어 물고기가 모이게 하는 효과의 관점에서 보면, 인공어초만 설치했을 때(도 10 참조)보다 해류 가이드 관이 구비된 인공어초를 설치하는 경우 위집 효과가 향상된다(도 11 참조).
더 나아가, 인공어초의 전방 측에 유동 저감장치를 설치한 경우, 유동 저감장치에 의해서 인공어초의 후방은 물론 전방에도 정온영역이 발생한다(도 11 참조). 위집 효과는 종래 인공어초에 비해서 2.11-2.46배 더 효과가 좋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인공어초가 받는 유동압력과 인공어초 입구의 유속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공어초는 비 압축성 유체인 해수에 장애물 역할을 하여 후류를 발생시켜서 인공어초 뒤쪽에 물고기가 모이게 하는 원리를 이용하는바, 본 발명은 인공어초의 양측에 해류 가이드 관(점진적 축소 관 및 확대 관)을 설치하여 인공어초 투영면적에 의한 장애물 기능으로 인공어초 뒤쪽에 물고기들이 머무는 정온영역을 형성하고, 해수를 가이드 함으로써 수량이 적고 사이즈가 작으면서도 인공어초 후류에 변화를 주어 위집 효과를 높이면서도 환경적 측면이나 경제적 측면에서 매우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인공어초의 전방에 유동압력 저감장치가 추가로 설치되어 위집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데, 해류가 유동압력 저감 플레이트를 감싸고 도는 현상이 발생하여서 유동압력 저감 플레이트 주위와 인공어초 주위의 정온영역도 커지고, 그로 인해서 위집 효과가 2배 이상으로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동압력 저감장치의 베이스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홈에 의해서 유동압력 저감장치를 저항 없이 해저지반 상의 정확한 위치에 놓이도록 하며, 베이스의 하면에 형성된 쇄기 형상의 고정부에 의해서 유동압력 저감장치가 해저지반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거리 조절장치에 의해서 유동압력 저감장치의 거리를 정확하고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10: 인공어초 본체
100: 점진적 축소 관
101: 베이스 프레임
102: 서포트
110: 제1 경사 부
111: 경사면
120: 제1 수평 부
121: 수평면
130: 제2 경사 부
131: 경사면
140: 제2 수평 부
200: 점진적 확대 관
201: 베이스 프레임
202: 서포트
210: 제3 수평 부
221: 경사면
220: 제3 경사 부
230: 제4 수평 부
231: 수평면
240: 제4 경사 부
300: 유동압력 저감장치
310: 베이스
312: 고정부
313: 패드 아이
320: 포스트
330: 유동압력 저감 플레이트
400: 거리 조절장치
410: 사각프레임
420: 구획 바
430: 레그
S: 구획 공간

Claims (9)

  1. 해저 지반 상에 설치되는 인공어초 본체(10); 및 정온영역을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인공어초 본체(10)의 측면에 설치되는 해류 가이드 관(100,200)을 포함하되, 상기 해류 가이드 관은 점진적 축소 관(100) 및 점진적 확대 관(200)을 포함하며,
    베이스 프레임(101)(201) 상부에 서포트(102)(202)가 설치되고, 상기 서포트(102)(202)는 상기 점진적 축소 관(100) 및 상기 점진적 확대 관(200)을 지지하며,
    상기 점진적 축소 관(100)은 해수의 흐름을 기준으로 입구 측이 출구 측보다 상대적으로 넓고 크게 형성되는 것으로, 입구 측에 형성되고 관경이 점차 감소하는 경사면(111)을 갖는 제1 경사 부(110); 상기 제1 경사 부(110)의 끝단으로부터 출구 측으로 동일한 관경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면(121)을 갖는 제1 수평 부(120); 상기 제1 수평 부(120)의 끝단으로부터 출구 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관경이 점차 감소하는 경사면(131)을 갖는 제2 경사 부(130); 및 상기 제2 경사 부(130)의 끝단으로부터 출구 측으로 동일한 관경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면을 갖는 제2 수평 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점진적 확대 관(200)은 해수의 흐름을 기준으로 입구 측이 출구 측보다 상대적으로 좁고 작게 형성되는 것으로, 입구 측에 형성되고 동일한 관경으로 형성되는 수평면을 갖는 제3 수평 부(210); 상기 제3 수평 부(210)의 끝단으로부터 출구 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관경이 점차 증가하는 경사면(221)을 갖는 제3 경사 부(220); 상기 제3 경사 부(220)의 끝단으로부터 출구 측으로 동일한 관경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면(231)을 갖는 제4 수평 부(230); 및 상기 제4 수평 부(230)의 끝단으로부터 출구 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관경이 점차 증가하는 경사면(241)을 갖는 제4 경사 부(240)를 포함하며,
    상기 인공어초 본체(10)의 전방 측에 유동압력 저감장치(300)가 추가로 설치되어 위집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유동압력 저감장치(300)는 해저 지반 상에 설치되는 베이스(310); 상기 베이스(310)로부터 상방으로 설치되는 포스트(320); 및 상기 포스트(320)의 상부에 설치되어 해류의 유동압력을 저감시키는 유동압력 저감 플레이트(330)로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310)에는 하나 이상의 홈(311)이 형성되고, 상기 홈(311)에 의해서 해수의 저항을 최소화하여 상기 유동압력 저감장치(300)를 해저 지반 상의 정확한 위치에 놓이도록 하되, 상기 포스트(320)는 상기 홈(311)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유동압력 저감장치(300)를 상기 인공어초 본체(10)로부터 일정한 거리로 설치하는 거리 조절장치(4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거리 조절장치(400)는 사각프레임(410); 상기 사각프레임(410)에 구획 공간(S)을 형성하는 구획 바(420); 및 상기 사각프레임(410)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레그(430)로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310)의 하면에는 해저 지반에 박히는 고정부(312)가 형성되고, 해저 지반에 박히는 상기 고정부(312)에 의해서, 해류 세기가 센 지역에서도 상기 유동압력 저감장치(300)가 해저 지반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며,
    상기 베이스(310)의 네 모서리 부분이 상기 레그(430)에 접촉하여 지지되고,
    해류를 기준으로, 상기 유동압력 저감 플레이트(330)의 투영면적은 상기 인공어초 본체(10)의 투영면적에 대하여 1:7 내지 13으로 설정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압력 저감형 인공어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60110741A 2016-08-30 2016-08-30 유동압력 저감형 인공어초 KR101846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741A KR101846402B1 (ko) 2016-08-30 2016-08-30 유동압력 저감형 인공어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741A KR101846402B1 (ko) 2016-08-30 2016-08-30 유동압력 저감형 인공어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471A KR20180024471A (ko) 2018-03-08
KR101846402B1 true KR101846402B1 (ko) 2018-04-06

Family

ID=61726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0741A KR101846402B1 (ko) 2016-08-30 2016-08-30 유동압력 저감형 인공어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64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74717A (zh) * 2019-04-10 2019-06-14 蔡以恒 一种防堵塞型人工鱼礁及其使用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5507A (ja) * 2000-04-03 2001-10-09 Toa Harbor Works Co Ltd 藻場造成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2002360088A (ja) * 2001-06-13 2002-12-17 Okabe Co Ltd 海洋構造物
US6896445B1 (en) 2004-01-05 2005-05-24 Eric Engler Modular artificial reef, sea wall and marine habitat
KR100831748B1 (ko) * 2008-02-01 2008-05-23 해주이엔씨 (주) 나팔관 고기굴층이 구비된 연약지반용 강제어초
JP2013017462A (ja) * 2011-07-14 2013-01-31 Nippon Steel & Sumikin Engineering Co Ltd 漁礁ブロック及び藻場の形成方法
KR101366921B1 (ko) * 2013-11-12 2014-02-26 (주)씨테크알엔디 해수 유입 유도블록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5507A (ja) * 2000-04-03 2001-10-09 Toa Harbor Works Co Ltd 藻場造成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2002360088A (ja) * 2001-06-13 2002-12-17 Okabe Co Ltd 海洋構造物
US6896445B1 (en) 2004-01-05 2005-05-24 Eric Engler Modular artificial reef, sea wall and marine habitat
KR100831748B1 (ko) * 2008-02-01 2008-05-23 해주이엔씨 (주) 나팔관 고기굴층이 구비된 연약지반용 강제어초
JP2013017462A (ja) * 2011-07-14 2013-01-31 Nippon Steel & Sumikin Engineering Co Ltd 漁礁ブロック及び藻場の形成方法
KR101366921B1 (ko) * 2013-11-12 2014-02-26 (주)씨테크알엔디 해수 유입 유도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74717A (zh) * 2019-04-10 2019-06-14 蔡以恒 一种防堵塞型人工鱼礁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471A (ko)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9016B1 (en) Molluscan bivalve cage system
JPH02286024A (ja) 円柱ブイ囲い装置
CA2821053C (en) Construction of a pumping system and uses thereof
CN109220936A (zh) 一种水下网箱养殖的注排水沉浮系统及其沉浮控制方法
KR101846402B1 (ko) 유동압력 저감형 인공어초
JPH0571113A (ja) 浮動取水装置
JP4247238B2 (ja) 人工魚礁
KR200418401Y1 (ko) 물고기 이동이 용이하게 하는 어도를 갖는 댐구조물
JP6840484B2 (ja) 給餌装置、養殖装置および給餌方法
CN102907354A (zh) 一种自然水体人工鱼巢设置系统
KR20100107550A (ko) 수위 조절이 가능한 분수의 부력장치
JP2003052273A (ja) 浮沈式生簀
KR200489001Y1 (ko) 레져낚시용 밸리보트
KR200460631Y1 (ko) 조류증식 억제장치
JP2016069983A (ja) 海洋深層水取水配管の支持方法
KR101186605B1 (ko) 해파리 파쇄용 끌그물
US20210205685A1 (en) Arrangement,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a standing wave in still water or swimming facilities
KR20160092401A (ko) 교체용 황토블럭 인공어초
KR101607855B1 (ko) 메쉬망을 이용한 유속 저감 장치
KR20160005244A (ko) 정면차수막을 구비한 콘크리트 배수 물꼬
KR200408867Y1 (ko) 하천용 어도블록
JP2006009241A (ja) 魚道出口装置
KR20130117376A (ko) 조립식 부유좌대
KR200165118Y1 (ko) 다목적의 조립식 부력관
KR101655080B1 (ko) 해류 가이드 형 인공어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