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7550A - 수위 조절이 가능한 분수의 부력장치 - Google Patents

수위 조절이 가능한 분수의 부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7550A
KR20100107550A KR1020090025660A KR20090025660A KR20100107550A KR 20100107550 A KR20100107550 A KR 20100107550A KR 1020090025660 A KR1020090025660 A KR 1020090025660A KR 20090025660 A KR20090025660 A KR 20090025660A KR 20100107550 A KR20100107550 A KR 20100107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vel
buoyancy
fountain
wat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5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8303B1 (ko
Inventor
문희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에이치에스엠엔조이워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에이치에스엠엔조이워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에이치에스엠엔조이워터
Priority to KR1020090025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8303B1/ko
Publication of KR20100107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7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8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8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8Fount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70Arrangements for moving spray heads automatically to or from the working position
    • B05B15/72Arrangements for moving spray heads automatically to or from the working position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위 조절이 가능한 분수의 부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면 위에 부양 상태를 유지하는 부력체의 양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와이어 로프를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 롤러와 조립되는 고정 플레이트를 형성하되, 상기 와이어 로프 일 측은 물속에 잠긴 중량물에 고정됨과 아울러 그 타측은 수위 조절 추에 고정되며, 상기 조절 추는 부력체의 수위 변화에 따라 와이어 로프를 자동으로 당겨 하강시키거나 상승 되면서 부력체를 정해진 장소에 견고히 고정할 수 있는 수위 조절이 가능한 분수의 부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부력 분수, 분수, 수중펌프

Description

수위 조절이 가능한 분수의 부력장치{Buoyancy fountain}
본 발명은 수위 조절이 가능한 분수의 부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면 위에 부양 상태를 유지하는 부력체의 양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와이어 로프를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 롤러와 조립되는 고정 플레이트를 형성하되, 상기 와이어 로프 일 측은 물속에 잠긴 중량물에 고정됨과 아울러 그 타측은 수위 조절 추에 고정되며, 상기 조절 추는 부력체의 수위 변화에 따라 와이어 로프를 자동으로 당겨 하강시키거나 상승 되면서 부력체를 정해진 장소에 견고히 고정할 수 있는 수위 조절이 가능한 분수의 부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수는 수중에 설치되어 펌프에 의한 강한 수압으로 노즐을 통해 물이 위로 뿜어지도록 만든 인공설비로써, 각종 공원이나 연못, 호스 등에 주로 설치되어 환상적인 광경을 연출하여 사람들의 시선을 집중시킴과 동시에 시원함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노즐의 수압을 조절하는 등의 조작을 통하여 다양한 형태의 물기둥을 연출할 수 있는 분수대가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며, 최근에는 고정식 노즐에서 벗어나 분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노즐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분수대는 수중에 설치됨에 따라 물이 부족한 경우 분수대가 수면위로 위치되어 짐으로써 분수대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였으며, 또한 모터와 펌프 및 다수의 파이프 등을 구비하여야만 분수대로서의 역할을 수행함에 따라 설치비용 및 인건비의 증가로 연결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분수대는 인위적으로 조성되는 인공수조 내에 고정하여 설치하거나 수십이 낮은 물속에 시멘트 몰탈 등으로 지반공사를 하고 그 위에 분수를 고정 설치하였다.
상기와 같은 분수는 분수를 설치하기 위하여 시멘트 몰탈에 의한 지반공사로 많은 비용이 소요되었으며, 수심이 안정적이지 못하고 수위의 변화가 심한 바다나 자연호수, 강 등에 상기 분수를 설치하기에 어려움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수심이 안정적이지 못하고 수위의 변화가 심한 호수, 연못, 강 등에 분수를 설치하고자 할 때는 별도의 부력장치를 사용하여 분수를 부상시키고 있다.
상기와 같은 부력장치는 물속에 잠긴 중량체와 물 위에 부양된 부력체를 별도의 와이어를 사용하여 서로 연결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물이 빠져나가면서 수위가 낮아져 을 때 부력체와 중량체를 고정시킨 와이어가 늘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함과 함께 상기 부력체의 위치가 한 곳에 고정되지 못하면서 이동하게 되므로 인하여 분수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수심이 불안정하고 수위의 변화가 심한 바다나 호수, 강 등에서도 분수를 갖는 부력체를 안전하게 고정하면서 부력 분수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수위 조절이 가능한 분수의 부력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수위 조절이 가능한 분수의 부력장치는 먼저, 수면 위에서 부양 상태를 유지하는 부력체의 양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와이어 로프를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 롤러와 조립되는 고정 플레이트를 형성하되, 상기 와이어 로프 일 측은 물속에 잠긴 중량물에 고정됨과 아울러 그 타측은 수위 조절 추에 고정되며, 상기 조절 추는 부력체의 수위 변화에 따라 와이어 로프를 자동으로 당겨 하강시키거나 상승 되면서 부력체를 정해진 장소에 견고히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력체에 형성되는 분수를 안전하게 수면 위로 뜨게 하면서 수면이 낮아지는 상황에서도 분수의 고정된 위치가 변경되지 않게 항상 정해진 자리에 고정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분수의 작동불능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분수에 의한 분위기의 연출로 경관을 미려하게 하여 보는 이로 하여금 정서적인 안정을 느끼도록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요부가 전체적으로 조립된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가 형성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를 발췌하여 확대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분수노즐(18)을 고정하기 위한 부력체(10)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부력체(10)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파이프를 다양한 형태로 용접하여 그 형상을 만들게 된다.
이때, 부력체(10)는 원형의 파이프를 사용하게 되므로 인하여 충분한 부력을 갖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부력체(10)의 상측에는 받침 브래킷(19)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받 침 브래킷(19)에 분사노즐(18)과 연결되는 부속품(미도시됨)을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와 같이 받침 브래킷(19)의 양측에는 고정 플레이트(11)를 형성하게 되며, 또한 고정 플레이트(11)는 별도의 받침대(21)를 형성하여 소정의 높이를 갖게 된다.
여기서, 받침대(21)는 부력체(10) 표면에 용접을 통하여 고정하게 되므로 안전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플레이트(11)의 중간에는 지지부재(20)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지지부재(20)의 하측에는 가이드 롤러(15)를 형성하게 되고, 또한 고정 플레이트(11)의 양측에는 각각의 가이드 롤러(13)(14)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가이드 롤러(13)(14)(15)에는 와이어 로프(16)를 삽입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 와이어 로프(16)의 일 측 끝부분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물속 바닥의 중량물(17)에 고정됨과 아울러 그 타측은 수위 조절추(16)에 고정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 로프(12)는 고정 플레이트(11)에 고정된 가이드 롤러(13)(14)(15)를 타고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성이다.
즉, 수면에 부양되는 부력체(10)가 수면이 낮아지는 상황이 발생하면 상기 수위 조절추(16) 부분은 도 3과 같이 바로 낙하 되면서 와이어 로프(12)를 당겨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부력체(10) 부분이 수면 상승에 의해 올라가는 상황이 발생하면 상기 수위 조절추(16) 또한, 도 2와 같이 바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중량물(17)과 수위 조절추(16)에 고정된 와이어 로프(12)는 부력체(10)를 견고하게 잡아주게 된다.
이상과 같이 고정 플레이트(11)에 형성되는 가이드 롤러(13)(14)(15) 부분이 와이어 로프(12)를 안전하게 지지하게 됨과 아울러 상기 와이어 로프(12)는 수위 조절추(16)와 중량물(17)을 일체로 잡아 주는 구성이다.
결과적으로 수면이 높아지는 상황이 발생하면 와이어 로프(12) 또한, 부력체(10)와 일체로 상승하게 되면서 수위 조절추(16)를 동시에 상승시키게 되고, 또한 물이 빠지는 상황에서는 상기 부력체(10)의 하강과 동시에 수위 조절추(16)는 낮아지는 수위만큼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 로프(12)는 낮아지는 상기 부력체(10)를 안전하게 잡아주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부력체(10)에 형성되는 분수(18)를 안전하게 수면 위로 뜨게 하면서 수면이 낮아지는 상황에서도 분수의 고정된 위치가 변경되지 않게 잡아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분수의 작동불능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분수에 의한 분위기의 연출로 경관을 미려하게 하여 보는 이로 하여금 정서적인 안정을 느끼도록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 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요부가 전체적으로 조립된 상태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가 형성된 상태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를 발췌하여 확대한 상태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부력체 11. 고정 플레이트
12. 와이어 로프 13,14,15. 가이드 롤러
16. 수위 조절추 17. 고정중량물
18. 분사노즐 19. 받침 브래킷
20. 지지부재 21. 받침대

Claims (4)

  1. 수면에 부양된 상태에서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부력 분수에 있어서,
    상기 부력 분수를 갖는 부력체(10)의 양측에 각각으로 형성되는 고정 플레이트(11)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11) 내부를 통과하는 와이어 로프(12)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가이드 롤러(13)(14)(15)와;
    상기 와이어 로프(12)의 일 측은 물속에 잠긴 중량물(17)에 고정된 후, 그 타측에 고정되는 수위 조절 추(16)와;
    상기 수위 조절 추(16)는 부력체(10)의 수위 변화에 따라 와이어 로프(12)를 하강시키거나 또는 상승 되면서 부력체(10)를 정해진 위치에 견고히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 조절이 가능한 분수의 부력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10)의 양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와이어 로프(12)를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 롤러(13)(14)(15)와 조립되는 고정 플레이트(11)를 형성하고, 상기 와이어 로프(12) 일 측은 물속에 잠긴 중량물(17)에 고정됨과 아울러 그 타측은 수위 조절 추(16)에 고정되며, 상기 수위 조절 추(16)는 부력체(10)의 수위 변화에 따라 와이어 로프(12)를 자동으로 당겨 하강시키거나 상승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 조절이 가능한 분수의 부력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10)의 상측에는 받침 브래킷(19)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받침 브래킷(19)의 양끝과 일체로 고정되는 부력체(10)에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받침대(21)와 조립되는 고정 플레이트(11)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수위 조절이 가능한 분수의 부력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11)의 중간에는 지지부재(20)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지지부재(20)의 하측에는 가이드 롤러(15)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고정 플레이트(11)의 양측에는 각각의 가이드 롤러(13)(14)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 조절이 가능한 분수의 부력장치.
KR1020090025660A 2009-03-26 2009-03-26 수위 조절이 가능한 분수의 부력장치 KR101018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660A KR101018303B1 (ko) 2009-03-26 2009-03-26 수위 조절이 가능한 분수의 부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660A KR101018303B1 (ko) 2009-03-26 2009-03-26 수위 조절이 가능한 분수의 부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7550A true KR20100107550A (ko) 2010-10-06
KR101018303B1 KR101018303B1 (ko) 2011-03-04

Family

ID=43129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5660A KR101018303B1 (ko) 2009-03-26 2009-03-26 수위 조절이 가능한 분수의 부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830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749B1 (ko) * 2011-03-30 2011-09-15 김우진 부양식 분수대
KR101510191B1 (ko) * 2014-02-24 2015-04-08 주식회사에이치에스엠엔조이워터 분수대 바닥을 쉽게 청소할 수 있는 클린 바닥분수 시스템
KR102110730B1 (ko) * 2020-02-13 2020-05-13 김양수 분수대 구조의 부력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6458B1 (ko) 2021-09-13 2022-02-09 주식회사 협신이앤씨 부력형 분수대의 잠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5217U (ko) * 1998-08-05 1998-11-25 한명덕 분수장치
KR100631079B1 (ko) * 2005-03-21 2006-10-04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부양식 분수대
KR200407331Y1 (ko) 2005-11-19 2006-01-26 거성에이티엘(주) 부력 분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749B1 (ko) * 2011-03-30 2011-09-15 김우진 부양식 분수대
WO2012134053A2 (ko) * 2011-03-30 2012-10-04 플러스파운틴(주) 부양식 분수대
WO2012134053A3 (ko) * 2011-03-30 2012-11-22 플러스파운틴(주) 부양식 분수대
KR101510191B1 (ko) * 2014-02-24 2015-04-08 주식회사에이치에스엠엔조이워터 분수대 바닥을 쉽게 청소할 수 있는 클린 바닥분수 시스템
KR102110730B1 (ko) * 2020-02-13 2020-05-13 김양수 분수대 구조의 부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8303B1 (ko) 201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65222B (zh) 用于将气泡引入液体介质中的曝气设备
RU2006126157A (ru) Шарнирное ложное морское дно
KR101240722B1 (ko) 부유지지선 압축구조를 가진 해상부유풍력발전장치
KR101018303B1 (ko) 수위 조절이 가능한 분수의 부력장치
KR200407331Y1 (ko) 부력 분수
CN202175587U (zh) 生态浮岛
CA2916763A1 (en) Platform for tidal turbines
CN104210627B (zh) 用于自升式平台平地建造下水的装置及方法
JP5690116B2 (ja) 水流発電設備
US8220406B2 (en) Off-shore structure, a buoyancy structure, and method for installation of an off-shore structure
KR20150000170A (ko) 저수지의 수질 정화장치
KR100986626B1 (ko) 수질정화장치
JP2016047514A (ja) 海底水域への酸素補給装置
CN105480386B (zh) 水上作业平台
KR101606398B1 (ko)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수질 개선장치
KR100962708B1 (ko) 해양부상 분수장치
CN103696460A (zh) 一种斜套管取水方法及装置
CN201735489U (zh) 浮动式喷泉
KR20100010967A (ko) 해상 부유식 구조물 기초공법
KR101064749B1 (ko) 부양식 분수대
KR101013881B1 (ko) 수중폭기장치
KR101064748B1 (ko) 부양식 분수대
JP2009028686A (ja) 曝気装置
KR20160034140A (ko) 부하 승강 유도체
KR20150019799A (ko) 해조류 양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