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0730B1 - 분수대 구조의 부력장치 - Google Patents

분수대 구조의 부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0730B1
KR102110730B1 KR1020200017995A KR20200017995A KR102110730B1 KR 102110730 B1 KR102110730 B1 KR 102110730B1 KR 1020200017995 A KR1020200017995 A KR 1020200017995A KR 20200017995 A KR20200017995 A KR 20200017995A KR 102110730 B1 KR102110730 B1 KR 102110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inner
inner cylinder
buoyancy
water
fount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7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양수
Original Assignee
김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양수 filed Critical 김양수
Priority to KR1020200017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07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8Fount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놀이공원 이나 유원지 등의 호수에 설치되는 분수대 구조를 수면 위에 견고하게 부양된 상태로 설치할 수 있게 하고, 설치가 이루어진 분수대 구조가 수면의 수위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안정적인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분수대 구조의 부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특징적인 구성은, 수면에 부양된 상태에서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구조물에 복수개의 펌프와 노즐이 설치되는 분사부와, 상기 구조물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분사부를 수면에 부양시키는 부력장치를 포함하는 부력분수에 있어서, 상기 부력장치는 원통형의 관 형상으로 상면 테두리 부위에는 복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된 상부밀착판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밀착판의 하단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한 쌍의 가이드공이 마주보게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공의 하단으로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랙기어가 구비되고, 하측 단부에는 와이어를 통하여 수중 바닥에 위치되는 중량물이 연결된 하부내통체와, 상기 결합공과 대응되는 복수개의 관통공이 하단 테두리 부위에 형성된 하부밀착판이 구비되어 상기 하부내통체의 상부에 볼트로 고정되는 상부내통체와, 상기 하부내통체의 외측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상기 가이드공과 대응되는 상부 내측면에는 체결공을 갖는 복수개의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의 하부 방향으로는 복수개의 지지공이 형성되며, 하측 단부와 인접한 외측 테두리 부위에는 복수개의 결합홈이 형성된 외통체와, 상기 체결공과 대응되는 연결공이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에 볼트로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공에 삽입되어 하부내통체의 내측에 위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의 단부에 연결되며 일측에는 상기 하부내통체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롤러가 구비된 이동바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내통체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외통체가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수단과, 상기 지지공과 대응되는 복수개의 볼트공이 형성되어 외통체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결바와, 상기 랙기어와 치합되게 연결바의 단부에 구비되는 연결기어로 구성된 기어연결부와, 상기 하부내통체의 하측 단부가 관통되게 내측 중심부에 개방공이 형성되고, 상측에는 상기 하부내통체의 하측 단부가 삽입되는 상면홈이 형성되어 수면에 부양되게 설치되는 부력체를 포함하고, 상기 부력체는 수면의 수위 변화에 따라 이동되어 부력체와 연결된 분사부를 수면의 수위 변화에 따라 이동시키고, 상기 하부내통체와 외통체는 랙기어와 연결기어의 치합되는 결합을 통하여 외통체의 이동이 급격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수면의 수위 변화에 대응하여 분사부를 수면에 고정되게 위치시키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분수대 구조의 부력장치{THE STRUCTURE OF FOUNTAIN}
본 발명은 분수대 구조의 부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놀이공원 이나 유원지 등의 호수에 설치되는 분수대 구조를 수면 위에 견고하게 부양된 상태로 설치할 수 있게 하고, 설치가 이루어진 분수대 구조가 수면의 수위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안정적인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분수대 구조의 부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분수대란, 분수의 물을 일정한 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만든 시설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분수대는 유입되는 물을 압력을 통하여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놀이공원이나 유원지 등에 설치되어 많은 사람들이 분사되는 물을 보며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위와 같은 분수대는 놀이원공이나 유원지 등은 물론이고, 아파트 단지나, 건축물이 밀집된 지역의 도시미관 향상을 위하여 설치되기도 하는 것이다.
예컨대, 종래에는 문헌(1)에서와 같이, 놀이공원이나 유원지 등의 호수에 설치되어 사용을 이룰 수 있는 분수대가 제안된 바 있다.
문헌(1)과 같은 분수대는 호수에 부양을 이룬 상태에서 호수의 물을 흡입하여 상부에 설치된 분사노즐로 배출시키게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문헌(1)과 같은 분수대는 호수의 물을 유입하여 배출시키는 분수대 본연의 기능은 용이하게 이룰 수 있으나, 호수에 부양된 상태를 견고하게 이루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문헌(2)에서와 같이, 수중 바닥에 설치되는 앵커와 견인로프를 이용하여 수면에 플로터가 부양된 상태를 이룰 수 있는 부력 분수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문헌(2)와 같은 부력 분수장치는 분수대 구조를 수면의 설치된 위치에 견고하게 유지할수는 있으나, 수면의 수위가 변화되는 경우에는 수면에 부양된 분수대 구조가 이러한 수위 변화에 대응하기 어려워 분수대 구조가 손상되거나 분수대 구조가 설치된 위치에서 벗어나 본연의 기능을 이루기 힘든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또한, 문헌(1), 문헌(2)와 같은 종래의 분수대는 수면의 수위 변화가 없는 장소에는 설치를 이룰 수 있으나, 수면의 수위 변화가 발생되거나, 예측되는 곳에는 설치하여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 등록번호 제20-0216289(2000.12.29) (2)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986011(2010.09.30)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설치를 이루고자 하는 장소에 분수대 구조의 위치를 견고하게 유지하며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수심이 불안정하거나, 수면의 수위가 변화되는 장소에도 분수대 구조의 설치와 사용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셋재, 설치가 이루어진 분수대 구조가 수면의 수위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도록 구성되어 수면의 수위 변화에도 분수대 구조의 설치 위치가 변경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넷째, 복잡한 구조 없이도 외통체가 하부내통체의 외측을 감싼 상태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설치비용에 비하여 높은 경제적 효율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다섯째, 외통체와 연결바로 결합되는 복수개의 고정플레이트 구성을 통하여 물을 분사하는 복수개의 분사부를 설치할 수 있게 구성하여, 다양한 형태의 분수대 구조를 형성하며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여섯째, 사용하는 중에 어느 하나의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도 손상된 부위만을 교체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어 불필요한 유지 비용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하며 효율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면에 부양된 상태에서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구조물에 복수개의 펌프와 노즐이 설치되는 분사부와, 상기 구조물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분사부를 수면에 부양시키는 부력장치를 포함하는 부력분수에 있어서, 상기 부력장치는 원통형의 관 형상으로 상면 테두리 부위에는 복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된 상부밀착판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밀착판의 하단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한 쌍의 가이드공이 마주보게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공의 하단으로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랙기어가 구비되고, 하측 단부에는 와이어를 통하여 수중 바닥에 위치되는 중량물이 연결된 하부내통체와, 상기 결합공과 대응되는 복수개의 관통공이 하단 테두리 부위에 형성된 하부밀착판이 구비되어 상기 하부내통체의 상부에 볼트로 고정되는 상부내통체와, 상기 하부내통체의 외측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상기 가이드공과 대응되는 상부 내측면에는 체결공을 갖는 복수개의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의 하부 방향으로는 복수개의 지지공이 형성되며, 하측 단부와 인접한 외측 테두리 부위에는 복수개의 결합홈이 형성된 외통체와, 상기 체결공과 대응되는 연결공이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에 볼트로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공에 삽입되어 하부내통체의 내측에 위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의 단부에 연결되며 일측에는 상기 하부내통체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롤러가 구비된 이동바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내통체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외통체가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수단과, 상기 지지공과 대응되는 복수개의 볼트공이 형성되어 외통체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결바와, 상기 랙기어와 치합되게 연결바의 단부에 구비되는 연결기어로 구성된 기어연결부와, 상기 하부내통체의 하측 단부가 관통되게 내측 중심부에 개방공이 형성되고, 상측에는 상기 하부내통체의 하측 단부가 삽입되는 상면홈이 형성되어 수면에 부양되게 설치되는 부력체를 포함하고, 상기 부력체는 수면의 수위 변화에 따라 이동되어 부력체와 연결된 분사부를 수면의 수위 변화에 따라 이동시키고, 상기 하부내통체와 외통체는 랙기어와 연결기어의 치합되는 결합을 통하여 외통체의 이동이 급격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수면의 수위 변화에 대응하여 분사부를 수면에 고정되게 위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내통체의 하단 내측면에는 복수개의 지지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에는 메쉬망구조를 이루는 복수개의 거름망이 더 설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기어에는 회전모터가 더 연결 설치되고, 상기 하부내통체에는 상기 회전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부력체의 위치변화를 감지하는 접촉센서와, 상기 회전모터와 접촉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촉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회전모터로 작동신호를 전달하는 제어기가 더 설치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부력체의 위치변화를 접촉센서가 감지하는 경우,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와, 상기 수신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수신기의 신호에 따라 상기 회전모터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모터는 상기 접촉센서와 부력체가 접촉을 이루는 경우,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통하여 상기 연결기어를 회전시켜, 연결기어와 치합되게 결합 된 랙기어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게 작동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설치를 이루고자 하는 장소에 분수대 구조의 위치를 견고하게 유지하며 설치할 수 있다.
둘째, 수심이 불안정하거나, 수면의 수위가 변화되는 장소에도 분수대 구조의 설치와 사용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셋재, 설치가 이루어진 분수대 구조가 수면의 수위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도록 구성되어 수면의 수위 변화에도 분수대 구조의 설치 위치가 변경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넷째, 복잡한 구조 없이도 외통체가 하부내통체의 외측을 감싼 상태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설치비용에 비하여 높은 경제적 효율성을 가질 수 있다.
다섯째, 외통체와 연결바로 결합되는 복수개의 고정플레이트 구성을 통하여 물을 분사하는 복수개의 분사부를 설치할 수 있게 구성하여, 다양한 형태의 분수대 구조를 형성하며 사용을 이룰 수 있다.
여섯째, 사용하는 중에 어느 하나의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도 손상된 부위만을 교체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어 불필요한 유지 비용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하며 효율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분수대 구조의 부력장치가 결합 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분수대 구조의 부력장치가 결합 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장치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내통체의 랙기어와 기어연결부가 결합 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발췌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내통체와 연결수단이 결합 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발췌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부력장치에 거름망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분수대 구조의 부력장치가 다른 실시예에 따라 결합 된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수면(3)에 부양된 상태에서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구조물(1a)에 복수개의 펌프(1b)와 노즐(1c)이 설치되는 분사부(1)와, 상기 구조물(1a)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분사부(1)를 수면(3)에 부양시키는 부력장치(2)를 포함하는 부력분수에 있어서, 상기 부력장치(2)는 원통형의 관 형상으로 상면 테두리 부위에는 복수개의 결합공(11a)이 형성된 상부밀착판(11)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밀착판(11)의 하단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한 쌍의 가이드공(12)이 마주보게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공(12)의 하단으로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랙기어(13)가 구비되고, 하측 단부에는 와이어(14)를 통하여 수중 바닥에 위치되는 중량물(15)이 연결된 하부내통체(10)와, 상기 결합공(11a)과 대응되는 복수개의 관통공(21a)이 하단 테두리 부위에 형성된 하부밀착판(21)이 구비되어 상기 하부내통체(10)의 상부에 볼트(P)로 고정되는 상부내통체(20)와, 상기 하부내통체(10)의 외측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상기 가이드공(12)과 대응되는 상부 내측면에는 체결공(31a)을 갖는 복수개의 안착홈(31)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31)의 하부 방향으로는 복수개의 지지공(32)이 형성된 외통체(30)와, 상기 체결공(31a)과 대응되는 연결공(41a)이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31)에 볼트(P)로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공(12)에 삽입되어 하부내통체(10)의 내측에 위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바(41)와, 상기 지지바(41)의 단부에 연결되며 일측에는 상기 하부내통체(1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롤러(42a)가 구비된 이동바(42)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내통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외통체(30)가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수단(40)과, 상기 지지공(32)과 대응되는 복수개의 볼트공(51a)이 형성되어 외통체(30)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51)과, 상기 고정판(51)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결바(52)와, 상기 랙기어(13)와 치합되게 연결바(52)의 단부에 구비되는 연결기어(53)로 구성된 기어연결부(50)와, 상기 하부내통체(10)의 하측 단부가 관통되게 내측 중심부에 개방공(61)이 형성되고, 상측에는 상기 하부내통체(10)의 하측 단부가 삽입되는 상면홈(62)이 형성되어 수면에 부양되게 설치되는 부력체(60)를 포함하고, 상기 부력체(60)는 수면(3)의 수위 변화에 따라 이동되어 부력체(60)와 연결된 분사부(1)를 수면의 수위 변화에 따라 이동시키고, 상기 하부내통체(10)와 외통체(30)는 랙기어(13)와 연결기어(53)의 치합되는 결합을 통하여 외통체(30)의 이동이 급격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수면(3)의 수위 변화에 대응하여 분사부(1)를 수면에 고정되게 위치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부내통체(10)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형의 관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하부내통체(10)는 상면 테두리 부위에 구비된 상부밀착판(11)의 결합공(11a)으로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상부내통체(20)의 관통공(21a)이 밀착되도록 위치시켜, 상기 결합공(11a)에 체결되는 볼트(P)를 통하여 하부내통체(10)의 상부로 상부내통체(20)가 견고하게 결합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하부내통체(10)의 내측으로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연결수단(40)과 기어연결부(50)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내통체(10)와 상부내통체(20)는 결합, 분리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공(12)은 도 1, 도 3,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부내통체(1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가이드공(12)이 마주보는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는, 상기 하부내통체(10)와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외통체(30)이 연결수단(40)을 통하여 결합을 이루는 경우에, 상기 연결수단(40)을 이루는 지지바(41)가 가이드공(12)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내통체(10)는 도 1,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가이드공(12)의 하단으로 랙기어(13)가 설치되어 구성되며, 상기 랙기어(13)는 하부내통체(10)의 설치 방향과 대응되게 하부내통체(10)의 길이 방향 양측에 구비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내통체(10)의 하측 단부로는 와이어(14)를 통하여 중량물(15)이 연결 설치되며, 이는, 상기 중량물(15)이 하부내통체(10)를 설치하고자 하는 수중의 바닥면에 밀착되게 위치되도록 하여 호수, 강, 바다 등에 하부내통체(10)를 설치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상기 중량물(15)의 하중을 통하여 하부내통체(10)의 설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내통체(20)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부내통체(10)의 상부에 볼트(P)로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외통체(30)는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하부내통체(10)의 외측부를 감싸도록 설치가 이루어지는 것이며, 이를 위해, 상기 외통체(30)는 원통형의 관 형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외통체(30)는 상기 가이드공(12)과 대응되는 상부 내측면으로 체결공(31a)을 갖는 복수개의 안착홈(31)이 형성되게 구성되고, 상기 안착홈(31)의 하부 방향으로는 복수개의 지지공(32)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안착홈(31)은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연결수단의 지지바(41)가 연결되게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지지공(32)은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기어연결부(50)가 연결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연결수단(40)은 상기 체결공(31a)과 대응되는 연결공(41a)이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31)에 볼트(P)로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공(12)에 삽입되어 하부내통체(10)의 내측에 위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바(41)와, 상기 지지바(41)의 단부에 연결되며 일측에는 상기 하부내통체(1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롤러(42a)가 구비된 이동바(42)로 구성된다.
이는, 도 1, 도 3,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바(41)는 상기 외통체(30)의 안착홈(31)에 지지바(41)를 밀착시킨 후에 체결공(31a)에 체결되는 볼트(P)가 연결공(41a)에 체결되도록 하여, 안착홈(31)에 지지바(41)의 일단이 결합되도록 위치시키고, 지지바(41)의 타단은 상기 하부내통체(10)의 가이드공(12)에 삽입되어 하부내통체(10)의 내측에 위치되게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이동바(42)는 상기 지지바(41)의 단부에 연결되게 구성되되, 하부내통체(10)와 대응되는 부위에 복수개의 롤러(42a)가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즉, 상기 하부내통체(10)의 외측을 감싸도록 외통체(30)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상기 지지바(41)의 구성을 통하여 하부내통체(10)와 외통체(30)가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내통체(10)의 가이드공(12) 형성 방향을 따라 외통체(30)의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이동바(42)에 구비된 복수개의 롤러(42a)를 통하여 하부내통체(10)의 가이드공(12) 형성 방향을 따라 외통체(30)가 이동을 이루는 경우에도 외통체(30)가 흔들려 손상되거나, 그 이동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기어연결부(50)는 상기 지지공(32)과 대응되는 복수개의 볼트공(51a)이 형성되어 외통체(30)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51)과, 상기 고정판(51)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결바(52)와, 상기 랙기어(13)와 치합되게 연결바(52)의 단부에 구비되는 연결기어(53)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판(51)은 도 1, 도 3, 도 4,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볼트공(51a)에 체결되는 볼트(P)를 통하여 외통체(30)의 내측에 견고하게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연결바(52)는 상기 랙기어(13)와 치합되게 형성되는 연결기어(53)가 단부에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는 즉, 상기 고정판(51)과 연결바(52)의 구성을 통하여 연결바(52)의 단부에 구비된 연결기어(53)가 하부내통체(10)의 외측에 구비된 랙기어(13)와 치합되는 결합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내통체(10)와 외통체(30)가 연결수단(40)을 통하여 연결되어 하부내통체(10)의 가이드공(12) 형성 방향을 따라 외통체(30)가 이동을 이루는 경우에도, 상기 랙기어(13)와 연결기어(53)의 치합 되는 결합 구성을 통하여, 외통체(30)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안내하면서도, 랙기어(13)와 연결기어(53)의 결합력을 통하여 외통체(30)의 이동이 급격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부력체(60)는 내측 중심부에 형성되는 개방공(61)과, 상측에 형성되는 상면홈(62)이 구비되어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하부내통체(10)가 부력체(60)의 상부에 결합 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부력체(60)가 수면의 수위 변화에 대응되게 이동을 이루는 경우, 상기 부력체(60)이 상부에 설치된 외통체(30)가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부력체(60)의 이동에 대응되는 이동을 이룰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수면의 수위가 변화를 이루는 경우에도 상기 하부내통체(10), 외통체(30), 연결수단(40), 기어연결부(50), 부력체(60)의 구성을 통하여 분사부(1)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분사부(1)가 물속으로 침수되어 고장을 일으키거나, 수면과 이격되어 물의 흡입이 어려운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분사부(1)의 사용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하여,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하부내통체(10)의 하단 내측면에는 복수개의 지지홈(16)이 더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지지홈(16)에는 메쉬망구조를 이루는 복수개의 거름망(80)이 더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는, 하부내통체(10)의 하부로 호수, 강, 바다 등에 있는 각종 오염물질이 유입되어 하부내통체(10)와 외통체(30)의 결합과, 작동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더하여, 도시한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기어(53)에는 회전모터(81)가 더 연결 설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하부내통체(10)에는 상기 회전모터(8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부력체(60)의 위치변화를 감지하는 접촉센서(82)와, 상기 회전모터(81)와 접촉센서(8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촉센서(82)의 감지신호에 따라, 회전모터(81)로 작동신호를 전달하는 제어기(83)가 더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어기(83)는 상기 부력체(60)의 위치변화를 접촉센서(83)가 감지하는 경우,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83a)와, 상기 수신기(83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수신기(83a)의 신호에 따라 상기 회전모터(81)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83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와 같은 구성은, 도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결기어(53)의 회전력을 회전모터(81)가 조절하도록 구성하여, 부력체(60)와 연결된 외통체(30), 연결수단(40)이 하부내통체(10)의 상부 방향으로 과다하게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접촉센서(83)로 부력체(60)가 접촉을 이루는 경우, 상기 제어기(83)의 수신기(83a)로 이러한 접촉 상태가 전달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수신기(83a)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터리(83b)가 작동을 이루어 상기 회전모터(81)를 작동시키게 구성되는 것이다.
특히, 위와 같이 회전모터(81)가 작동을 이루는 경우에도, 상기 회전모터(81)의 회전에 따라 연결기어(53)가 회전을 이루어, 연결기어(53)와 치합 되게 연결된 랙기어(13)를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구성됨으로써, 부력체(60)가 하부내통체(10)의 상부 방향으로 급격하게 이동되거나, 과다하게 이동되어 부력체(60)와 연결되게 설치된 외통체(30), 연결수단(40)이 손상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모터(81)의 작동에 따라 접촉센서(83)와 부력체(60)의 접촉이 분리되는 경우에는 회전모터(81)의 작동이 멈추도록 구성되어 부력체(60)가 수면(3)의 수위 변화에 유동되며 안정적인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즉, 수면(3)의 급격한 변화로 부력체(60)의 위치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경우에만, 상기 회전모터(81)가 작동되어 부력체(60)는 물론이고, 이에 연결된 외통체(30), 연결수단(4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분사부 1a: 구조물
1b: 펌프 1c: 노즐
2: 부력장치 3: 수면
10: 하부내통체 11: 상부밀착판
11a: 결합공 12: 가이드공
13: 랙기어 14,91: 와이어
15: 중량물 16: 지지홈
20: 상부내통체 21: 하부밀착판
21a: 관통공 30: 외통체
31: 안착홈 31a: 체결공
32: 지지공 40: 연결수단
41: 지지바 41a: 연결공
42: 이동바 42a: 롤러
50: 기어연결부 51: 고정판
52: 연결바 53: 연결기어
60: 부력체 61: 개방공
62: 상면홈 80: 거름망
81: 회전모터 82: 접촉센서
83: 제어기 83a: 수신기
83b: 배터리

Claims (3)

  1. 수면(3)에 부양된 상태에서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구조물(1a)에 복수개의 펌프(1b)와 노즐(1c)이 설치되는 분사부(1)와, 상기 구조물(1a)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분사부(1)를 수면(3)에 부양시키는 부력장치(2)를 포함하는 부력분수에 있어서,
    상기 부력장치(2)는
    원통형의 관 형상으로 상면 테두리 부위에는 복수개의 결합공(11a)이 형성된 상부밀착판(11)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밀착판(11)의 하단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한 쌍의 가이드공(12)이 마주보게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공(12)의 하단으로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랙기어(13)가 구비되고, 하측 단부에는 와이어(14)를 통하여 수중 바닥에 위치되는 중량물(15)이 연결된 하부내통체(10)와,
    상기 결합공(11a)과 대응되는 복수개의 관통공(21a)이 하단 테두리 부위에 형성된 하부밀착판(21)이 구비되어 상기 하부내통체(10)의 상부에 볼트(P)로 고정되는 상부내통체(20)와,
    상기 하부내통체(10)의 외측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상기 가이드공(12)과 대응되는 상부 내측면에는 체결공(31a)을 갖는 복수개의 안착홈(31)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31)의 하부 방향으로는 복수개의 지지공(32)이 형성된 외통체(30)와,
    상기 체결공(31a)과 대응되는 연결공(41a)이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31)에 볼트(P)로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공(12)에 삽입되어 하부내통체(10)의 내측에 위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바(41)와, 상기 지지바(41)의 단부에 연결되며 일측에는 상기 하부내통체(1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롤러(42a)가 구비된 이동바(42)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내통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외통체(30)가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수단(40)과,
    상기 지지공(32)과 대응되는 복수개의 볼트공(51a)이 형성되어 외통체(30)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51)과, 상기 고정판(51)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결바(52)와, 상기 랙기어(13)와 치합되게 연결바(52)의 단부에 구비되는 연결기어(53)로 구성된 기어연결부(50)와,
    상기 하부내통체(10)의 하측 단부가 관통되게 내측 중심부에 개방공(61)이 형성되고, 상측에는 상기 하부내통체(10)의 하측 단부가 삽입되는 상면홈(62)이 형성되어 수면에 부양되게 설치되는 부력체(60)를 포함하고,
    상기 부력체(60)는 수면(3)의 수위 변화에 따라 이동되어 부력체(60)와 연결된 분사부(1)를 수면의 수위 변화에 따라 이동시키고, 상기 하부내통체(10)와 외통체(30)는 랙기어(13)와 연결기어(53)의 치합되는 결합을 통하여 외통체(30)의 이동이 급격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수면(3)의 수위 변화에 대응하여 분사부(1)를 수면에 고정되게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대 구조의 부력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내통체(10)의 하단 내측면에는 복수개의 지지홈(16)이 더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16)에는 메쉬망구조를 이루는 복수개의 거름망(80)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대 구조의 부력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어(53)에는 회전모터(81)가 더 연결 설치되고,
    상기 하부내통체(10)에는
    상기 회전모터(8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부력체(60)의 위치변화를 감지하는 접촉센서(82)와,
    상기 회전모터(81)와 접촉센서(8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촉센서(82)의 감지신호에 따라, 회전모터(81)로 작동신호를 전달하는 제어기(83)가 더 설치되며,
    상기 제어기(83)는
    상기 부력체(60)의 위치변화를 접촉센서(83)가 감지하는 경우,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83a)와,
    상기 수신기(83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수신기(83a)의 신호에 따라 상기 회전모터(81)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83b)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모터(81)는 상기 접촉센서(83)와 부력체(60)가 접촉을 이루는 경우, 상기 배터리(83b)의 전원을 통하여 상기 연결기어(53)를 회전시켜, 연결기어(53)와 치합되게 결합 된 랙기어(13)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게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대 구조의 부력장치.
KR1020200017995A 2020-02-13 2020-02-13 분수대 구조의 부력장치 KR102110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995A KR102110730B1 (ko) 2020-02-13 2020-02-13 분수대 구조의 부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995A KR102110730B1 (ko) 2020-02-13 2020-02-13 분수대 구조의 부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0730B1 true KR102110730B1 (ko) 2020-05-13

Family

ID=70730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7995A KR102110730B1 (ko) 2020-02-13 2020-02-13 분수대 구조의 부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07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6458B1 (ko) * 2021-09-13 2022-02-09 주식회사 협신이앤씨 부력형 분수대의 잠수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8196A (ja) * 1994-10-11 1996-04-30 Kubota Corp 浄化用フロート噴水
KR200216289Y1 (ko) 2000-09-15 2001-03-15 김병회 분수대의 구조
KR20100107550A (ko) * 2009-03-26 2010-10-06 주식회사에이치에스엠엔조이워터 수위 조절이 가능한 분수의 부력장치
KR100986011B1 (ko) 2010-04-07 2010-10-06 주식회사 협신그린워터 부력 분수장치
KR20120018448A (ko) * 2010-08-23 2012-03-05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교각 부유물 누적 방지장치
KR20190001451A (ko) * 2017-06-27 2019-01-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해양구조물
KR102039692B1 (ko) * 2018-05-31 2019-11-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8196A (ja) * 1994-10-11 1996-04-30 Kubota Corp 浄化用フロート噴水
KR200216289Y1 (ko) 2000-09-15 2001-03-15 김병회 분수대의 구조
KR20100107550A (ko) * 2009-03-26 2010-10-06 주식회사에이치에스엠엔조이워터 수위 조절이 가능한 분수의 부력장치
KR100986011B1 (ko) 2010-04-07 2010-10-06 주식회사 협신그린워터 부력 분수장치
KR20120018448A (ko) * 2010-08-23 2012-03-05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교각 부유물 누적 방지장치
KR20190001451A (ko) * 2017-06-27 2019-01-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해양구조물
KR102039692B1 (ko) * 2018-05-31 2019-11-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6458B1 (ko) * 2021-09-13 2022-02-09 주식회사 협신이앤씨 부력형 분수대의 잠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0730B1 (ko) 분수대 구조의 부력장치
US5621924A (en) Vacuum tank construction for a vacuum toilet assembly
CN112081111A (zh) 一种房建地下防水工程监理系统
CN214116467U (zh) 一种地下空间防灌水装置
KR102192116B1 (ko) 스파형 풍력발전기 및 이의 설치 및 해체 방법
JPS63501089A (ja) ル−プ式ポンプ
JP4081085B2 (ja) 水中ポンプの水密構造
CN108514983B (zh) 喷泉系统
KR200476103Y1 (ko) 선박 기관실의 침수 경보장치
CN202767080U (zh) 内置喷头清淤助升器
CN213668155U (zh) 用于水池中的漂浮过滤装置
CN208363248U (zh) 一种智能自行走液压泵站
CA1071470A (en) Floating self levelling suction device
JP3970472B2 (ja) 汚水槽用スカム除去装置
KR200388228Y1 (ko) 벽걸이식 사이펀 변기
KR102454316B1 (ko) 구조물 직결형 펌프 시스템
JPH05118084A (ja) 汚水移送ポンプユニツト
CN216816656U (zh) 离岸距离感应式污水检测设备
KR200215902Y1 (ko) 부양식 양수장치
CN219863147U (zh) 一种马桶冲水结构及应用其的马桶
CN217768214U (zh) 一种双浮球干簧管液位开关
KR200296110Y1 (ko) 수중펌프와 엘보우관의 수밀구조
CN220150503U (zh) 一种冲洗空间角度可调的空间智能喷射器装置
CN219081143U (zh) 一种推流型泳池配套池体
US20210283624A1 (en) Robotic fount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