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6377B1 -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제와 이를 이용한 폴리우레아 복합 방수 구조 및 공법 - Google Patents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제와 이를 이용한 폴리우레아 복합 방수 구조 및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6377B1
KR101846377B1 KR1020170136312A KR20170136312A KR101846377B1 KR 101846377 B1 KR101846377 B1 KR 101846377B1 KR 1020170136312 A KR1020170136312 A KR 1020170136312A KR 20170136312 A KR20170136312 A KR 20170136312A KR 101846377 B1 KR101846377 B1 KR 101846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polyurea
liquid
waterproof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6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건웅
Original Assignee
고건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건웅 filed Critical 고건웅
Priority to KR1020170136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63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6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6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2Polyu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제와 이를 이용한 폴리우레아 복합 방수 구조 및 공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N,N,N,N 테트라키스 2-하이드록시에틸디아민, 메틸렌비스 N,N 디뷰틸아닐린을 폴리우레아 분자 내에 도입하여 최종적으로 완결되는 기계적 화학적 물성이 향상되는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제와 이를 이용한 폴리우레아 복합 방수 공법 및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비우렛트리이소시아네이트 100중량부에 이소시아누레이트 60~80중량부, 디아니시딘디이소시아네이트 30~50중량부, 2-메틸-1,5펜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0~30중량부로 조성된 A액과; 프라이머리하이드록시터미네이티드폴리에틸렌 100중량부에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 70~90중량부, N,N,N,N 테트라키스2-하이드록시에틸디아민 40~60중량부, 메틸렌비스 N,N 디뷰틸아닐린 10~30중량부, 안료 5~7중량부, 분산제 3~5중량부로 조성된 B액;이 혼합되어 구성된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제와 이를 이용한 폴리우레아 복합 방수 공법 및 구조를 발명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제와 이를 이용한 폴리우레아 복합 방수 구조 및 공법{Polyurea membrane waterproofing agent and polyurea complex waterproofing structure and metho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제와 이를 이용한 폴리우레아 복합 방수 구조 및 공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N,N,N,N 테트라키스 2-하이드록시에틸디아민, 메틸렌비스 N,N 디뷰틸아닐린을 폴리우레아 분자 내에 도입하여 최종적으로 완결되는 기계적 화학적 물성을 향상시킨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제를 구비 후 차열 성능을 가진 탑코트제와 함께 시공하여 핀홀이 발생하지 않고 차열, 방식, 방수 성능이 우수한 폴리우레아 복합방수 구조 및 공법 기술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분에 의한 부식이나 파손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에 방수 또는 방식 처리를 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방수 처리는 일반적으로 방수용 수지를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도포함으로서 이루어진다.
종래 일반적인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의 방수 공법은 방수하고자 하는 구조물의 표면에 묻은 오염물을 제거하고 평탄화하는 전처리 단계와, 상기 전처리된 표면에 프라이머를 코팅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프라이머층 상에 폴리우레아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폴리우레아의 분자는 보통의 경우 유연성을 크게 하는 요소와 경도를 크게 하는 요소들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 상태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에 의하면, 유연성을 크게 하는 요소는 낮은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것으로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알킬디올 등으로 중량 평균분자량이 400-5000 사이일 때 유연성이 커지고, 경도를 크게 하려면 높은 Tg를 갖고 있으며 준결정성의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가 낮은 분자량의 사슬 확장자에 결합하면 경도가 커진다.
또한 폴리우레아는 사슬 확장자와 낮은 분자량을 갖는 디아민류와 합성되어 우레아 단위체를 만드는 것이다. 따라서 폴리우레아는 선택된 물질이나 분자량, 또는 반응되는 비율 등의 기타 다양한 요소에 의하여 그 성질이 폭 넓게 변화되어 나타난다. 즉, 그 성질이 부스러지기 쉬운 물질에서 단단한 물질 또는 부드러운 물질, 더 나아가서는 어떤 점성을 갖는 물질로 변화가 가능하다. 특히 폴리우레아의 경우에는 지방산의 아미드 에스테르 결합이 혼합된 결합을 가지므로 고온에서의 성질은 이들 폴리에스테르계와 폴리아미드계의 중간적 성질을 가지고 있다.
상기 폴리우레아의 합성은 부가반응과 축합반응의 두 개의 큰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부가반응은 불포화 단량체가 반응 개시 단계, 전개 단계, 종결 단계에서 반응하여 일어난다. 보통 단량체들은 이중결합을 가지고 있는 간단한 분자들인데 개시단계에서 두 개의 이중결합 중 하나가 깨지면서 반응 하는데 미반응 단량체가 거의 희박할 때까지 빠르게 반응이 진행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우수한 특성을 가지는 폴리우레아는 종래의 공법으로 시공시 물성은 우수하나 핀홀이 발생하여 누수로 이어지는 하자가 발생한다는 구조적인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408010(2003.11.20.)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565908(2006.03.23.)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141629(2010.04.24.)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728388(2007.06.07.)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N,N,N,N 테트라키스 2-하이드록시에틸디아민, 메틸렌비스 N,N 디뷰틸아닐린을 폴리우레아 분자 내에 도입하여 최종적으로 완결되는 기계적 화학적 물성이 향상되는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제와 차열 성능을 가진 탑코트제를 복합 시공하여 핀홀이 발생하지 않고 차열, 방식, 방수 성능이 우수한 성능이 우수한 폴리우레아 복합방수구조 및 방수공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비우렛트리이소시아네이트 100중량부에 이소시아누레이트 60~80중량부, 디아니시딘디이소시아네이트 30~50중량부, 2-메틸-1,5펜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0~30중량부로 조성된 A액과;
프라이머리하이드록시터미네이티드폴리에틸렌 100중량부에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 70~90중량부, N,N,N,N 테트라키스2-하이드록시에틸디아민 40~60중량부, 메틸렌비스 N,N 디뷰틸아닐린 10~30중량부, 안료 5~7중량부, 분산제 3~5중량부로 조성된 B액;이 혼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제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A액과 B액은 부피비 1 ~ 1.3 : 1로 혼합되어 조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실시 양태로,
콘크리트 바탕면 상부에 형성된 프라이머와;
상기 프라이머 상부에 도포되어 형성된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제와;
상기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제 상부에 도포되어 형성된 N,N,N,N 테트라키스 2-하이드록시에틸디아민, 메틸렌비스 N,N 디뷰틸아닐린을 폴리우레아 분자 내에 도입한 상기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제와;
상기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제 상부면에 도포되어 형성된 차열 성능을 가진 탑코트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아 복합 방수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탑코트제는, 상기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제의 A액 100중량부 기준으로 지방족 탄화수소계 용제 70~80중량부를 첨가하여 고형분을 조절한 C액과;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제의 B액 100중량부 기준으로 산화방지제 10~20중량부와 노화방지제 8~15중량부 및 지방족 탄화수소계 용제 60~70중량부를 첨가하여 고형분을 조절한 D액을 혼합하여 조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상기 C액의 고형분은 중량비 15% 이하로 조절되고, D액의 고형분은 중량비 10% 이하로 조절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상기 고형분이 조절된 C액과 D액은 부피비 1 : 1로 혼합되어 조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실시 양태로,
콘크리트 바탕면을 청소하는 단계와;
이후 바탕면 위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와;
이후 프라이머 위에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제를 도포하는 단계와;
이후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제 상부에 N,N,N,N 테트라키스 2-하이드록시에틸디아민, 메틸렌비스 N,N 디뷰틸아닐린을 폴리우레아 분자 내에 도입한 상기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제를 도포하는 단계와;
이후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제 상부에 차열 성능을 가진 탑코트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아 복합 방수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탑코트제는, 상기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제의 A액 100중량부 기준으로 지방족 탄화수소계 용제 70~80중량부를 첨가하여 고형분을 조절한 C액과;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제의 B액 100중량부 기준으로 산화방지제 10~20중량부와 노화방지제 8~15중량부 및 지방족 탄화수소계 용제 60~70중량부를 첨가하여 고형분을 조절한 D액을 혼합하여 조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C액의 고형분은 중량비 15% 이하로 조절되고, D액의 고형분은 중량비 10% 이하로 조절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고형분이 조절된 C액과 D액은 부피비 1 : 1로 혼합되어 조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제는 N,N,N,N 테트라키스 2-하이드록시에틸디아민, 메틸렌비스 N,N 디뷰틸아닐린을 폴리우레아 분자 내에 도입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완결된 제품의 기계적 화학적 물성이 향상되었다는 장점과,
또한 본 발명은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제와 차열 성능을 가진 탑코트제를 이용한 복합 방수 구조 및 복합 방수 공법은 시공된 상태에서 핀홀이 발생하지 않고 차열, 방식, 방수 성능이 우수하다는 장점을 가진 유용한 발명으로 산업상 그 이용이 크게 기대되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방수구조를 보인 단면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는 N,N,N,N 테트라키스 2-하이드록시에틸디아민, 메틸렌비스 N,N 디뷰틸아닐린을 폴리우레아 분자 내에 도입하여 최종적으로 완결되는 기계적 화학적 물성이 향상되는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핀홀이 발생하지 않고 차열, 방식, 방수 성능이 우수한 폴리우레아 복합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제는, 비우렛트리이소시아네이트 100중량부에 이소시아누레이트 60~80중량부, 디아니시딘디이소시아네이트 30~50중량부, 2-메틸-1,5펜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0~3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A액과;
프라이머리하이드록시터미네이티드폴리에틸렌 100중량부에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 70~90중량부, N,N,N,N 테트라키스2-하이드록시에틸디아민 40~60중량부, 메틸렌비스 N,N 디뷰틸아닐린 10~30중량부, 안료 5~7중량부, 분산제 3~5중량부가 첨가되어 구성되는 B액을 포함하는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제가 제공된다.
상기 A액과 B액은 부피비율로 1 ~ 1.3 : 1로 혼합되어 조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비율로 혼합될 때 표 1에 나오는 바와 같은 최상의 물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A액을 구성하는 비우렛트리이소시아네이트는 인장강도 향상을 위해 첨가하는 것으로 한정수치 구간을 벗어나면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인장강도 향상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이와 같은 구간수치로 한정한다.
상기 A액을 구성하는 이소시아누레이트는 인열강도 향상을 위해 첨가하는 것으로 한정수치 구간을 벗어나면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인열강도 향상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이와 같은 구간수치로 한정한다.
상기 A액을 구성하는 디아니시딘디이소시아네이트는 접착강도 향상을 위해 첨가하는 것으로 한정수치 구간을 벗어나면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접착강도 향상이 일어나지 않고 시공시 접착력 불량이 일어나므로 이와 같은 구간수치로 한정한다.
상기 A액을 구성하는 2-메틸-1,5펜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는 초속경반응성을 주기 위해 첨가하는 것으로 한정수치 구간을 벗어나면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경화성능 불량이 일어나므로 이와 같은 구간수치로 한정한다.
(B액관련)
상기 B액을 구성하는 프라이머리하이드록시터미네이티드폴리에틸렌은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점도를 제공하기 위해 첨가하는 것으로 한정수치 구간을 벗어나면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점도를 맞추지 못하고 높거나 낮기 때문에 이와 같은 한정수치로 한정한다.
상기 B액을 구성하는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은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해 첨가하는 것으로 한정수치 구간을 벗어나면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탄성력을 제공하지 못하고 탄성력이 너무 높거나 낮기 때문에 이와 같은 한정수치로 한정한다.
상기 B액을 구성하는 N,N,N,N 테트라키스2-하이드록시에틸디아민은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경도를 제공하기 위해 첨가하는 것으로 한정수치 구간을 벗어나면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경도를 제공하지 못하고 높거나 낮기 때문에 이와 같은 한정수치로 한정한다.
상기 B액을 구성하는 메틸렌비스 N,N 디뷰틸아닐린은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시공성을 제공하기 위해 첨가하는 것으로 한정수치 구간을 벗어나면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시공성을 제공하지 못하고 높거나 낮기 때문에 이와 같은 한정수치로 한정한다.
상기 안료는 시공자의 필요에 따라 필요한 색상의 상용 안료를 선택하여 첨가하면 된다. 이때 안료의 첨가량은 상기 수치 구간내에서 첨가할 경우 타 구성원소의 물성을 해치지 않으면서 색상을 표현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제를 구성하는 조성원소들의 고형성분들이 잘 분산되도록 하는 것으로 폴리우레아 반응에 사용되는 상용의 분산제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또한 분산제의 첨가량은 상기 수치 구간내에서 첨가할 경우 타 구성원소의 물성을 해치지 않으면서 분산 작용이 잘 일어나게 된다.
이와 같이 N,N,N,N 테트라키스 2-하이드록시에틸디아민, 메틸렌비스 N,N 디뷰틸아닐린을 폴리우레아 분자 내에 도입하면 최종적으로 완결되는 기계적 화학적 물성이 향상되는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제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복합방수구조 및 방법을 위해 상기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제 시공시 상부에 가해지는 햇빛에 의한 온도 상승을 차단 또는 저감하여 도막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제를 기반으로 한 차열 성능을 가진 탑코트제를 구비한다.
이를 위해 차열 성능을 가진 탑코트제는, 상기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제의 A액 100중량부 기준으로 지방족 탄화수소계 용제 70~80중량부를 첨가하여 고형분을 중량비 15% 이하로 조절하여 점도를 낮춘 C액과;
B액 100중량부 기준으로 산화방지제 10~20중량부와 노화방지제 8~15중량부 및 지방족 탄화수소계 용제 60~70중량부를 첨가하여 고형분을 중량비 10% 이하로 조절하여 점도를 낮춘 D액을 부피 기준으로 1:1로 혼합하여 차열 성능을 가진 탑코트제를 제조한다.
이와 같이 점도를 낮춘 C액과 D액을 혼합 후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제 상부에 시공하면 시공성이 좋아지면서 상부를 보호하여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제에 가해지는 자외선과 열을 차단하여 보호하게 된다. 또한 추가적인 방식, 방수 성능도 제공하게 된다.
상기 탄화수소계 용제, 산화방지제, 노화방지제 및 지방족 탄화수소계 용제는 상기와 같은 수치 구간으로 조성시 본 발명에 따른 점도를 맞추면서 시공성을 가지게 된다. 또한 탑코트제에 사용되는 상용의 탄화수소계 용제, 산화방지제, 노화방지제 제품중에서 적절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하지만, 본 발명의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제가 하기 실시예 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비우렛트리이소시아네이트 100중량부에 이소시아누레이트 80중량부, 디아니시딘디이소시아네이트 50중량부, 2-메틸-1,5펜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3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A액과 프라이머리하이드록시터미네이티드폴리에틸렌 100중량부에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 90중량부, N,N,N,N 테트라키스2-하이드록시에틸디아민 60중량부, 메틸렌비스 N,N 디뷰틸아닐린 30중량부, 안료 7중량부, 분산제 5중량부가 첨가되어 구성되는 B액을 포함하는 2액형의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제를 제조한 후, A액과 B액을 부피비 1.3:1 비율로 혼합하여 시험편을 제조한 후 물성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2]
비우렛트리이소시아네이트 100중량부에 이소시아누레이트 70중량부, 디아니시딘디이소시아네이트 40중량부, 2-메틸-1,5펜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A액과 프라이머리하이드록시터미네이티드폴리에틸렌 100중량부에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 80중량부, N,N,N,N 테트라키스2-하이드록시에틸디아민 50중량부, 메틸렌비스 N,N 디뷰틸아닐린 20중량부, 안료 6중량부, 분산제 4중량부가 첨가되어 구성되는 B액을 포함하는 2액형의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제를 제조한 후, A액과 B액을 부피비 1.3:1 비율로 혼합하여 시험편을 제조한 후 물성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3]
비우렛트리이소시아네이트 100중량부에 이소시아누레이트 60중량부, 디아니시딘디이소시아네이트 30중량부, 2-메틸-1,5펜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A액과 프라이머리하이드록시터미네이티드폴리에틸렌 100중량부에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 70중량부, N,N,N,N 테트라키스2-하이드록시에틸디아민 40중량부, 메틸렌비스 N,N 디뷰틸아닐린 10중량부, 안료 5중량부, 분산제 3중량부가 첨가되어 구성되는 B액을 포함하는 2액형의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제를 제조한 후, A액과 B액을 부피비 1.3:1 비율로 혼합하여 시험편을 제조한 후 물성을 측정하였다.
한편, 상기 각각의 실시예의 기계적 화학적 물성이 향상되는 폴리우레아도막방수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KSF 3211에 의거하여 시험편을 상기와 같이 제조한 다음, 시제품 A사, 시제품 B사와 비교하여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7103551333-pat00001
[측정결과 비교표]
또한, 탑코트재의 물성은 상기 표와 거의 동일한 물성을 가지면서 산화방지제, 노화방지제 및 지방족 탄화수소계 용제를 사용하여 고형분을 일정이하가 되도록 하여 점도를 낮춘 것으로 건조되면 차열, 방식, 방수 성능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제는 기계적 화학적 물성이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프라이머와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제가 처리된 표면에 스프레이 장비를 사용하여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제를 도포하고, 다시 그위에 차열 성능이 있는 폴리우레아 탑코트를 도포하면 핀홀이 발생하지 않고 차열, 방식, 방수 성능이 우수한 폴리우레아 복합방수층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폴리 우레아 도막방수제와 차열 성능이 있는 탑코트제를 이용한 폴리우레아 복합 방수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에 의해 콘크리트 바탕면에 대한 청소 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콘크리트 바탕면 표면의 청소는 바탕면에 붙어 있는 먼지, 오염물, 또는 오일을 제거하고 시공될 표면의 돌출부를 매끄럽게 처리하는 단계이다.
이후, 프라이머를 도포하고, 이후 폴리우레탄을 프라이머 상부에 도포한다. 폴리우레탄은 방수성이 우수한 공지 또는 상용의 폴리우레탄을 사용하면 된다.
이후 상기 단계에 따른 폴리우레탄의 도포 단계가 종료되면, 비우렛트리이소시아네이트 100중량부에 이소시아누레이트 60~80중량부, 디아니시딘디이소시아네이트 30~50중량부, 2-메틸-1,5펜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0~3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A액과 프라이머리하이드록시터미네이티드폴리에틸렌 100중량부에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 70~90중량부, N,N,N,N 테트라키스2-하이드록시에틸디아민 40~60중량부, 메틸렌비스 N,N 디뷰틸아닐린 10~30중량부, 안료 5~7중량부, 분산제 3~5중량부가 첨가되어 구성되는 B액을 포함하는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제를 준비 후 도포 수단(스프레이 장비)을 이용하여 소정의 두께로 도포한다. 도포 두께는 필요에 따라 조절하는 것으로, 1회 또는 다수회 실시하여 조절하면 된다.
이후 상기 단계에 따른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제의 도포 단계가 종료되면,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제의 A액에 지방족 탄화수소계 용제를 사용하여 고형분을 중량비 15%로 조절하고, B액은 산화방지제와 노화방지제 및 지방족 탄화수소계 용제를 첨가하여 고형분을 중량비 10%로 조절한 것을 부피비 1:1로 혼합하여 제조된 차열 성능을 가진 탑코트제를 준비 후, 상기 도포된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제 상부에 도포 수단을 이용하여 소정의 두께로 분사 도포한다. 도포 두께는 필요에 따라 조절하는 것으로, 1회 또는 다수회 실시하여 조절하면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실시예에 따른 복합방수구조를 보인 단면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방수구조는 콘크리트 바탕면(1)에 순차적으로 프라이머(2)와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제(3)가 도포되고, 그 상부에는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제(4)가 스프레이 방식으로 도포된다. 또한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제(4)로 형성된 도막층 상부에는 차열 성능을 가진 탑코트제(5)가 도포되어 형성된 다층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제와 차열 성능을 가진 탑코트제의 시공이 완료되면 핀홀이 발생하지 않고 차열, 방식, 방수 성능이 우수한 폴리우레아 복합방수 구조가 제공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바탕면
(2) : 프라이머
(3) :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제
(4) :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제
(5) : 차열성능을 가진 탑코트제

Claims (10)

  1. 비우렛트리이소시아네이트 100중량부에 이소시아누레이트 60~80중량부, 디아니시딘디이소시아네이트 30~50중량부, 2-메틸-1,5펜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0~30중량부로 조성된 A액과;
    프라이머리하이드록시터미네이티드폴리에틸렌 100중량부에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 70~90중량부, N,N,N,N 테트라키스2-하이드록시에틸디아민 40~60중량부, 메틸렌비스 N,N 디뷰틸아닐린 10~30중량부, 안료 5~7중량부, 분산제 3~5중량부로 조성된 B액;이 혼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액과 B액은 부피비 1 ~ 1.3 : 1로 혼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제.
  3. 콘크리트 바탕면 상부에 형성된 프라이머와;
    상기 프라이머 상부에 도포된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제와;
    상기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제 상부에 도포되어 형성된 N,N,N,N 테트라키스 2-하이드록시에틸디아민, 메틸렌비스 N,N 디뷰틸아닐린을 폴리우레아 분자 내에 도입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따른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제와;
    상기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제 상부면에 도포되어 형성된 차열 성능을 가진 탑코트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아복합 방수 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탑코트제는,
    청구항 1의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제의 A액 100중량부 기준으로 지방족 탄화수소계 용제 70~80중량부를 첨가하여 고형분을 조절한 C액과;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제의 B액 100중량부 기준으로 산화방지제 10~20중량부와 노화방지제 8~15중량부 및 지방족 탄화수소계 용제 60~70중량부를 첨가하여 고형분을 조절한 D액을 혼합하여 조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아복합 방수 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C액의 고형분은 중량비 15% 이하로 조절되고, D액의 고형분은 중량비 10% 이하로 조절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아 복합 방수 구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형분이 조절된 C액과 D액은 부피비 1 : 1로 혼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아 복합 방수 구조.
  7. 콘크리트 바탕면을 청소하는 단계와;
    이후 바탕면 위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와;
    이후 프라이머 위에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제를 도포하는 단계와;
    이후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제 상부에 N,N,N,N 테트라키스 2-하이드록시에틸디아민, 메틸렌비스 N,N 디뷰틸아닐린을 폴리우레아 분자 내에 도입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따른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제를 도포하는 단계와;
    이후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제 상부에 차열 성능을 가진 탑코트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아 복합 방수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탑코트제는,
    청구항 1의 상기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제의 A액 100중량부 기준으로 지방족 탄화수소계 용제 70~80중량부를 첨가하여 고형분을 조절한 C액과;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제의 B액 100중량부 기준으로 산화방지제 10~20중량부와 노화방지제 8~15중량부 및 지방족 탄화수소계 용제 60~70중량부를 첨가하여 고형분을 조절한 D액을 혼합하여 조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아 복합 방수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C액의 고형분은 중량비 15% 이하로 조절되고, D액의 고형분은 중량비 10% 이하로 조절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아 복합 방수 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고형분이 조절된 C액과 D액은 부피비 1 : 1로 혼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아 복합 방수 방법.
KR1020170136312A 2017-10-20 2017-10-20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제와 이를 이용한 폴리우레아 복합 방수 구조 및 공법 KR101846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312A KR101846377B1 (ko) 2017-10-20 2017-10-20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제와 이를 이용한 폴리우레아 복합 방수 구조 및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312A KR101846377B1 (ko) 2017-10-20 2017-10-20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제와 이를 이용한 폴리우레아 복합 방수 구조 및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6377B1 true KR101846377B1 (ko) 2018-04-09

Family

ID=61978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6312A KR101846377B1 (ko) 2017-10-20 2017-10-20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제와 이를 이용한 폴리우레아 복합 방수 구조 및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6377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4187B1 (ko) 2018-07-11 2018-11-30 강병준 난연 성능을 가지는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1932244B1 (ko) * 2018-08-03 2019-03-20 성호정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2486174B1 (ko) 2022-11-02 2023-01-10 (주)피엠씨 에폭시 변성 폴리우레탄수지계 복합도료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505082B1 (ko) 2023-01-19 2023-03-02 배정석 고내구성 유지성능이 탁월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방수용 폴리우레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방수 시공방법
KR102533949B1 (ko) 2022-11-02 2023-05-19 (주)피엠씨 우레탄 변성 에폭시수지계 복합도료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535364B1 (ko) 2022-08-22 2023-05-30 (주)피엠씨 에폭시 변성 폴리우레아수지계 바닥재용 복합 마감 도료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535366B1 (ko) 2022-08-22 2023-05-30 (주)피엠씨 에폭시 변성 폴리우레아수지계 수처리구조물 방수용 도료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535365B1 (ko) 2022-08-22 2023-05-30 (주)피엠씨 에폭시 변성 폴리우레아수지계 옥상방수용 복합도료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330B1 (ko) 2012-06-08 2012-11-05 케이엘건설 주식회사 폴리우레아계 도막 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1221321B1 (ko) 2011-07-27 2013-01-11 동서화학공업 주식회사 강관의 내,외부 코팅용 폴리우레아수지 도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8623989B1 (en) 2006-05-05 2014-01-07 PRC De Soto International, Inc. Polyurea/polythiourea coating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23989B1 (en) 2006-05-05 2014-01-07 PRC De Soto International, Inc. Polyurea/polythiourea coatings
KR101221321B1 (ko) 2011-07-27 2013-01-11 동서화학공업 주식회사 강관의 내,외부 코팅용 폴리우레아수지 도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96330B1 (ko) 2012-06-08 2012-11-05 케이엘건설 주식회사 폴리우레아계 도막 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4187B1 (ko) 2018-07-11 2018-11-30 강병준 난연 성능을 가지는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1932244B1 (ko) * 2018-08-03 2019-03-20 성호정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2535364B1 (ko) 2022-08-22 2023-05-30 (주)피엠씨 에폭시 변성 폴리우레아수지계 바닥재용 복합 마감 도료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535366B1 (ko) 2022-08-22 2023-05-30 (주)피엠씨 에폭시 변성 폴리우레아수지계 수처리구조물 방수용 도료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535365B1 (ko) 2022-08-22 2023-05-30 (주)피엠씨 에폭시 변성 폴리우레아수지계 옥상방수용 복합도료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486174B1 (ko) 2022-11-02 2023-01-10 (주)피엠씨 에폭시 변성 폴리우레탄수지계 복합도료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533949B1 (ko) 2022-11-02 2023-05-19 (주)피엠씨 우레탄 변성 에폭시수지계 복합도료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505082B1 (ko) 2023-01-19 2023-03-02 배정석 고내구성 유지성능이 탁월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방수용 폴리우레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방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6377B1 (ko)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제와 이를 이용한 폴리우레아 복합 방수 구조 및 공법
US11396574B2 (en) Self-healing, self-cleaning omniphobic composition, related articles and related methods
US20220145088A1 (en) Methods for forming omniphobic thermoset compositions and related articles
EP1056786B1 (en) Waterborne, ambient temperature curable film-forming compositions
KR101196330B1 (ko) 폴리우레아계 도막 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EP2188341B1 (en) Paint compositions, a method of finish-painting and painted objects
EP2610276A1 (en) Self-crosslinking polysiloxane-modified polyhydroxy polyurethane resin, resin material containing same, method for producing same, artificial leather comprising same, and thermoplastic polyolefin skin material comprising same
US11135617B2 (en) Omniphobically coated fluid channels and related methods
KR102147990B1 (ko)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열 성능이 우수한 방수공법
JPS63199724A (ja) ふっ素化エポキシプレポリマーと非ふっ素化エポキシプレポリマーとの共硬化により製せられたエポキシ樹脂
KR101854424B1 (ko) 내균열성이 향상되는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CN113045972A (zh) 聚脲涂料
Koochaki et al. A highly responsive healing agent for the autonomous repair of anti-corrosion coatings on wet surfaces. In operando assessment of the self-healing process
KR101721908B1 (ko)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24187B1 (ko) 난연 성능을 가지는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TW201516099A (zh) 塗佈組合物及由其所製備的塗層
Vijayan et al. Modified cardanol based colorless, transparent, hydrophobic and anti-corrosive polyurethane coating
CA2382068A1 (en) Process for coating thermoplastic substrates with a coating composition containing a non-aggressive solvent
KR101832433B1 (ko) 열교환성이 우수한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제,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940002329A (ko) 환경부식 저항성, 일-성분, 코우팅 조성물, 그로 코우팅하는 방법 및 이로부터 얻어진 코우팅
KR100263375B1 (ko) 수분산성폴리우레탄수지를이용한합성피혁제조방법
KR101876806B1 (ko) 초속경 폴리우레아 방수공법
KR20150144875A (ko) 수작업이 가능한 방수재용 폴리우레아 도료
CN103865365B (zh) 涂料系统
CN114989707A (zh) 聚脲涂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