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5866B1 - 기타 이펙터 - Google Patents

기타 이펙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5866B1
KR101845866B1 KR1020160103689A KR20160103689A KR101845866B1 KR 101845866 B1 KR101845866 B1 KR 101845866B1 KR 1020160103689 A KR1020160103689 A KR 1020160103689A KR 20160103689 A KR20160103689 A KR 20160103689A KR 101845866 B1 KR101845866 B1 KR 101845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evel
tone
circuit
un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3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9389A (ko
Inventor
이승재
Original Assignee
이승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재 filed Critical 이승재
Priority to KR1020160103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5866B1/ko
Priority to US15/363,322 priority patent/US9633640B1/en
Publication of KR20180019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9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5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5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10H1/34Switch arrangements, e.g. keyboards or mechanical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44Structural association with individual keys
    • G10H1/348Switches actuated by parts of the body other than fing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10D1/04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 G10D1/05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with fret boards or fingerboards
    • G10D1/08Guita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14Tuning devices, e.g. pegs, pins, friction discs or worm gea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91Means for obtaining special acoustic effec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10H1/34Switch arrangements, e.g. keyboards or mechanical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46Volume contro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1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G10H3/18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using a string, e.g. electric guitar
    • G10H3/186Means for processing the signal picked up from the string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155Musical effects
    • G10H2210/245Ensemble, i.e. adding one or more voices, also instrumental voices
    • G10H2210/251Chorus, i.e. automatic generation of two or more extra voices added to the melody, e.g. by a chorus effect processor or multiple voice harmonizer, to produce a chorus or unison effect, wherein individual sounds from multiple sources with roughly the same timbre converge and are perceived as on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155Musical effects
    • G10H2210/265Acoustic effect simulation, i.e. volume, spatial, resonance or reverberation effects added to a musical sound, usually by appropriate filtering or delays
    • G10H2210/281Reverberation or echo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155Musical effects
    • G10H2210/311Distortion, i.e. desired non-linear audio processing to change the tone color, e.g. by adding harmonics or deliberately distorting the amplitude of an audio waveform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155Musical effects
    • G10H2210/315Dynamic effects for musical purposes, i.e. musical sound effects controlled by the amplitude of the time domain audio envelope, e.g. loudness-dependent tone color or musically desired dynamic range compression or expansion

Abstract

본 발명은, 기타(1) 또는 타 기타 이펙터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3); 출력신호를 앰프(2) 또는 타 기타 이펙터에 송신하는 출력부(4); 상기 입력부(3)와 출력부(4)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아날로그 방식의 회로에서 가변저항에 의해 출력신호에 따른 음량 또는 음색을 조절하는 조절부(500);를 포함하는 기타 이펙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조절부(500)는, 출력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레벨부(510), 고음과 저음의 양을 조절하는 톤부(520), 변조의 정도를 조절하는 변조부(53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레벨부(510), 톤부(520), 변조부(53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복수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레벨부(510) 중 어느 하나의 레벨부(510)를 선택하기 위한 레벨 전환스위치(541), 상기 복수의 톤부(520) 중 어느 하나의 톤부(520)를 선택하기 위한 톤 전환스위치(542), 상기 복수의 변조부(530) 중 어느 하나의 변조부(530)를 선택하기 위한 변조 전환스위치(543)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전환스위치(54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타 이펙터를 제시함으로써, 기타 연주자가 연주 중 풋 스위치의 조작만으로, 원하는 음색을 다양하게 얻을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기타 이펙터{GUITAR EFFECTOR}
본 발명은 악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기타의 이펙터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타의 음색을 변조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이펙터가 사용된다.
이러한 이펙터는 아날로그 방식과 디지털 방식으로 대별할 수 있는데, 후자는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음질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으므로, 최근에는 다시 아날로그 방식의 이펙터가 주로 사용되는 추세이다.
아날로그 방식의 이펙터는 컴팩터라고 하는데, 기타(1) 또는 타 기타 이펙터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3); 출력신호를 앰프(2) 또는 타 기타 이펙터에 송신하는 출력부(4); 당해 컴팩터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풋 스위치(foot switch)(5);를 구비한 구성을 취한다(도 1 내지 10).
연주자가 연주 중 풋 스위치(foot switch)(5)에 의해 온오프를 조절하므로 꾹꾹이라 부르기도 한다.
예컨대, 락 음악 느낌을 내기 위한 백킹(backing)이나 독주의 경우에는 over drive, distortion 등의 이펙터가 필요하고(도 1,2), 아르페지오나 스트로크의 경우에는 클린 톤(clean tone)을 얻기 위해서는 reverb, delay, chorus 등의 이펙터가 필요하며(도 3 내지 5), 특수 효과가 필요한 경우에는 phaser, wah, octaver 등의 이펙터가 필요하고(도 6 내지 8), 그 밖에 compressor, equalizer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도 9,10).
이러한 기타 이펙터들은 아날로그 방식의 회로에서 가변저항에 의해 출력신호에 따른 음량 또는 음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500)를 구비하는데(가변저항 구동부에 의해 조절하도록 형성됨), 이 조절부(500)는 일반적으로 레벨부(510), 톤부(520), 변조부(530) 등으로 구성된다.
레벨부(510)는 출력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거의 모든 기타 이펙터들이 이를 구비하고 있다.
톤부(520)는 고음과 저음의 양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하나의 가변저항 구동부로 구성되기도 하고, 2개의 가변저항 구동부로 구성되기도 하며, 대부분의 기타 이펙터들이 이를 구비하고 있다.
변조부(530)는 당해 이펙터의 특징적인 음색의 발현을 위한 변조의 정도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가장 중요하고 다양한 명칭으로 표현된다.
변조부(530)가 하나인 경우, 하나의 가변저항 구동부(노브)에 의해 변조의 정도를 조절하도록 하는데, over drive의 경우 변조부(530)를 drive라고 표현하고(도 1), distortion의 경우 변조부(530)를 dist라고 표현한다(도 2).
변조부(530)가 복수인 경우에는, 1) 복수의 변조부 가변저항 구동부(530a, 530b, 530c)를 장착하는 방식(도 4,5,9), 2) 별도의 mode 전환 스위치(550)를 장착하고, 그 mode 전환 스위치(550)에 따른 mode 전환에 의해 변조부 가변저항 구동부(530)가 각각 상이한 mode의 변조의 정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방식(도 3), 3) 이들의 혼합 방식(도 6,7,8)이 사용된다.
reverb의 경우 변조부(530)를 time이라고 표현하고, 별도의 mode 전환 스위치(550)를 장착하는 방식을 취한다(도 3).
delay의 경우 복수의 변조부 가변저항 구동부(530a, 530b, 530c)를 각각 repeat rate, echo, intensity라고 표현하고, 그 각각을 별개로 조절하는 방식을 취한다(도 4).
chorus의 경우 복수의 변조부 가변저항 구동부(530a, 530b)를 각각 rate, depth라고 표현하고, 그 각각을 별개로 조절하는 방식을 취한다(도 5).
phaser의 경우 복수의 변조부 가변저항 구동부(530a, 530b, 530c)를 각각 rate, depth, res라고 표현하고, 이와 아울러 별도의 mode 전환 스위치(550)를 장착하는 혼합 방식을 취한다(도 6).
wah의 경우 복수의 변조부 가변저항 구동부(530a, 530b, 530c)를 각각 decay, manual, sense라고 표현하고, 이와 아울러 별도의 mode 전환 스위치(550)를 장착하는 혼합 방식을 취한다(도 7).
octaver의 경우 복수의 변조부 가변저항 구동부(530a, 530b)를 각각 oct1 level, oct2 level이라고 표현하고, 이와 아울러 별도의 mode 전환 스위치(550)를 장착하는 혼합 방식을 취한다(도 8).
compressor의 경우 복수의 변조부 가변저항 구동부(530a, 530b)를 각각 atack, sustain이라고 표현하고, 그 각각을 별개로 조절하는 방식을 취한다(도 9).
한편, 기타의 연주 시, 연주자는 동일한 곡 내에서도 복수의 음색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그 각각의 음색을 얻기 위해서는 복수의 컴팩터의 조합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다수의 컴팩터들을 미리 연결하여 두고, 연주 중 풋 스위치(foot switch)에 의해 각 컴팩터들은 온 또는 오프시켜 다양한 조합을 이룸으로써, 원하는 음색을 얻게 된다(기타 연주로 인하여 손을 사용할 수 없으므로).
컴팩터들의 일부는 온, 다른 일부는 오프(off)로 하는 경우, 오프로 된 컴팩터는 바이패스되고 온으로 된 컴팩터들만의 조합에 의해 변조된 음색을 얻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컴팩터(이펙터)들은 조절부(530)의 조절에 의해 다양한 음색을 발현할 수 있지만, 그 조절은 가변저항 구동부의 조절에 의해서만 가능하므로(손에 의한 조작), 실제 연주자가 연주 중에는 조절부(530)의 조절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그것이다.
연주자가 연주 중 다수의 컴팩터들을 제어할 수 있는 방식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발 동작에 의한 풋 스위치(foot switch)의 온, 오프가 유일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주자는 연주의 시작 전 미리 컴팩터들의 조절부를 조절해 두고, 연주 중에는 단지 각 컴팩터들은 온, 오프에 의해 제어할 수밖에 없으므로, 원하는 음색을 얻기에 제한이 많다.
예컨대 하나의 곡의 연주에 있어서, 백킹(반주) 시에는 distortion, chorus의 조합을 원하고(도 11), 독주 시에는 distortion, delay의 조합을 원하는 경우(도 12), 백킹 시에 비해 독주 시에 distortion의 레벨부(level)나 변조부(dist)가 더욱 크게 조절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서는 distortion의 레벨부(level), 변조부(dist)를 일정하게 조절해 두고, 단지 chorus, delay와의 조합 여부만을 변화시킬 수밖에 없으므로, 원하는 음색을 얻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기타 연주자가 연주 중 풋 스위치의 조작만으로, 원하는 음색을 다양하게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기타 이펙터를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기타(1) 또는 타 기타 이펙터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3); 출력신호를 앰프(2) 또는 타 기타 이펙터에 송신하는 출력부(4); 상기 입력부(3)와 출력부(4)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아날로그 방식의 회로에서 가변저항에 의해 출력신호에 따른 음량 또는 음색을 조절하는 조절부(500);를 포함하는 기타 이펙터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500)는, 출력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레벨부(510), 고음과 저음의 양을 조절하는 톤부(520), 변조의 정도를 조절하는 변조부(53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레벨부(510), 톤부(520), 변조부(53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복수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레벨부(510) 중 어느 하나의 레벨부(510)를 선택하기 위한 레벨 전환스위치(541), 상기 복수의 톤부(520) 중 어느 하나의 톤부(520)를 선택하기 위한 톤 전환스위치(542), 상기 복수의 변조부(530) 중 어느 하나의 변조부(530)를 선택하기 위한 변조 전환스위치(543)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전환스위치(54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타 이펙터를 제시한다.
상기 조절부(500)는 복수의 상기 레벨부(510)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레벨부(510) 중 어느 하나의 레벨부(510)를 선택하기 위한 레벨 전환스위치(541)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절부(500)는 복수의 상기 톤부(520)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톤부(520) 중 어느 하나의 톤부(520)를 선택하기 위한 톤 전환스위치(542)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절부(500)는 복수의 상기 변조부(530)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변조부(530) 중 어느 하나의 변조부(530)를 선택하기 위한 변조 전환스위치(543)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아날로그 방식의 기타 이펙터용 부품회로가 형성된 부품회로기판(110); 상기 부품회로 중 가변저항에 의해 출력신호에 따른 음량 또는 음색을 조절하는 조절부(500)가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부품회로기판(110)이 내부에 설치된 모듈 케이스(130); 상기 부품회로에 대한 회로입력부(121), 회로출력부(122), 회로전원공급부(123)가 형성되고, 상기 부품회로기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모듈 케이스(130)의 외부에 설치된 회로연결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500)는, 출력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레벨부(510), 고음과 저음의 양을 조절하는 톤부(520), 변조의 정도를 조절하는 변조부(53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레벨부(510), 톤부(520), 변조부(53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복수 설치된 기타 이펙터 모듈(100) 다수가 설치되는 멀티형 기타 이펙터로서, 내부에 다수의 상기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장착을 위한 모듈장착공간(211)이 형성된 상기 본체(210); 다수의 상기 모듈 케이스(130)가 설치되도록, 상기 모듈 케이스(130) 하나 또는 복수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본체(210)의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트임부(212); 다수의 상기 회로연결부(120)의 회로입력부(121), 회로출력부(122), 회로전원공급부(123)에 대응하여 연결되도록, 본체입력부(221), 본체출력부(222), 본체전원공급부(223)가 형성된 다수의 본체연결부(220); 상기 다수의 본체연결부(220)와 연결되고, 상기 본체(210)의 본체회로장착공간(213)에 장착됨과 아울러, 본체회로가 형성된 본체회로기판(230); 기타(1)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본체(210)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회로에 연결된 입력 단자(201); 출력신호를 앰프(2)에 송신하도록 상기 본체(210)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회로에 연결된 출력 단자(202); 상기 다수의 부품회로 중 전부 또는 일부를 온 또는 오프시킴과 아울러, 상기 다수의 부품회로의 상기 복수의 레벨부(510) 중 어느 하나의 레벨부(510)를 선택하거나, 상기 복수의 톤부(520) 중 어느 하나의 톤부(520)를 선택하거나, 상기 복수의 변조부(530) 중 어느 하나의 변조부(530)를 선택하도록, 상기 본체(210) 또는 상기 본체(210)와 연결된 별도의 장치에 설치된 다수의 스위치(24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회로는 상기 입력 단자(201)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가 상기 다수의 부품회로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변조되도록 하여, 변조된 신호를 상기 출력 단자(202)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기타 이펙터를 제시한다.
상기 조절부(500)는 복수의 상기 레벨부(510)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240)는 상기 복수의 레벨부(510) 중 어느 하나의 레벨부(510)를 선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절부(500)는 복수의 상기 톤부(520)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240)는 상기 복수의 톤부(520) 중 어느 하나의 톤부(520)를 선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절부(500)는 복수의 상기 변조부(530)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240)는 상기 복수의 변조부(530) 중 어느 하나의 변조부(530)를 선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회로는 상기 입력 단자(201)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를 상기 다수의 본체연결부(220)의 상기 본체출력부(222)를 통해 상기 다수의 회로연결부(120)의 상기 회로입력부(121)로 전달하고, 상기 다수의 부품회로에 의해 변조된 신호를 상기 다수의 회로연결부(120)의 상기 회로출력부(122)를 통해 상기 다수의 본체연결부(220)의 상기 본체입력부(221)로 전달받아, 상기 출력 단자(202)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기타 연주자가 연주 중 풋 스위치의 조작만으로, 원하는 음색을 다양하게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기타 이펙터를 제시한다.
도 1 내지 10은 종래기술에 의한 컴팩터의 종류를 도시한 평면도.
도 11,12는 종래기술에 의한 컴팩터의 사용상태도.
도 13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3은 컴팩터의 제1 실시예의 평면도.
도 14,15는 컴팩터의 제1 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 16은 컴팩터의 제2 실시예의 평면도.
도 17은 컴팩터의 제3 실시예의 평면도.
도 18은 컴팩터의 제4 실시예의 평면도.
도 19는 기타 이펙터 모듈의 사시도.
도 20은 멀티형 기타 이펙터의 제1 사용상태의 평면도.
도 21은 멀티형 기타 이펙터의 제2 사용상태의 사시도.
도 22는 멀티형 기타 이펙터의 분해사시도.
도 23은 멀티형 기타 이펙터의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기타 이펙터(컴팩터, 멀티형 기타 이펙터)에 관한 것으로서, 도 13 내지 18는 컴팩터의 실시예에 관한 것이고, 도 19 내지 23은 멀티형 기타 이펙터에 관한 것이다.
도 13 내지 18에 도시된 실시예는, 기타(1) 또는 타 기타 이펙터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3); 출력신호를 앰프(2) 또는 타 기타 이펙터에 송신하는 출력부(4); 상기 입력부(3)와 출력부(4)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아날로그 방식의 회로에서 가변저항에 의해 출력신호에 따른 음량 또는 음색을 조절하는 조절부(500);를 포함하는 컴팩터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조절부(500)는, 출력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레벨부(510), 고음과 저음의 양을 조절하는 톤부(520), 변조의 정도를 조절하는 변조부(53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레벨부(510), 톤부(520), 변조부(53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복수 설치된다.
또한 복수의 레벨부(510) 중 어느 하나의 레벨부(510)를 선택하기 위한 레벨 전환스위치(541), 복수의 톤부(520) 중 어느 하나의 톤부(520)를 선택하기 위한 톤 전환스위치(542), 복수의 변조부(530) 중 어느 하나의 변조부(530)를 선택하기 위한 변조 전환스위치(543)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전환스위치(540)가 설치된다.
즉, 레벨부(510), 톤부(520), 변조부(53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복수 설치하고, 복수로 설치된 레벨부(510), 톤부(520), 변조부(530) 중 하나의 레벨부(510), 톤부(520), 변조부(530)를 선택하기 위한 전환스위치(540)를 추가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전환스위치(540) 또한 연주 중 조작이 가능하도록, 풋 스위치의 구조로 설치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부(500)로서 복수의 레벨부(510)가 설치되고, 그 복수의 레벨부(510) 중 어느 하나의 레벨부(510)를 선택하기 위한 레벨 전환스위치(541)가 설치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위 종래기술에서 예로 든 바와 같이, 하나의 곡의 연주에 있어서, 백킹(반주) 시에는 distortion, chorus의 조합을 원하고, 독주 시에는 distortion, delay의 조합을 원하는 경우(백킹 시에 비해 독주 시에 distortion의 레벨부(level)나 변조부(dist)가 더욱 크게 조절되어야 하는 경우)를 전제로 설명한다.
연주자는 연주 시작 전, distortion이 chorus, delay와 연결된 상태에서, 복수의 레벨부(510) 중 하나(level 1)를 작게 설정하여 두고, 다른 하나(level 2)를 크게 설정하여 둔다.
연주 중 백킹 시에는, distortion, chorus만을 풋 스위치(5)에 의해 온시킴과 아울러, 레벨 전환스위치(541)를 역시 발로 조작하여 복수의 레벨부(510) 중 하나(level 1)가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도 14).
연주 중 독주 시에는, distortion, delay만을 풋 스위치에 의해 온시킴과 아울러, 레벨 전환스위치(541)를 역시 발로 조작하여 복수의 레벨부(510) 중 다른 하나(level 2)가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도 15).
따라서 연주자가 연주 중 손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라 하더라도, 발 동작만에 의해, 하나의 기타 이펙터(distortion)에서 조절부(dist)의 가변저항 구동부를 손으로 조절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레벨 전환스위치(541)는 온오프용 풋 스위치(5)와 별도의 구조로 구현할 수도 있고, 하나의 스위치에 의해 구현할 수도 있다.
예컨대 하나의 스위치를 한번 밟으면 "온+level 1", 두번 밟으면 "온+level 2", 세번 밟으면 "오프" 등의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복수의 레벨부(510)(level 1,level 2)에 대응하는 가변저항을 각각 병렬회로로 구성하고, 레벨 전환스위치(541)가 위 복수의 가변저항을 택일적으로 선택하도록 하는 방식 등에 의해 회로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지털 방식의 회로가 아닌 아날로그 방식의 회로(음질이 우수함)를 전제로 하는 것이므로, 위 복수의 가변저항을 택일적으로 선택하도록 하는 회로의 구성은, 우수한 음질을 얻으면서도 상술한 기능을 얻도록 한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부(500)로서 복수의 톤부(520)가 설치되고, 그 복수의 톤부(520) 중 어느 하나의 톤부(520)를 선택하기 위한 레벨 전환스위치(542)가 설치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위에서 예로 든 바와 같이, 하나의 곡의 연주에 있어서, 백킹(반주) 시에는 distortion, chorus의 조합을 원하고, 독주 시에는 distortion, delay의 조합을 원하는 경우(백킹 시에 비해 독주 시에 distortion의 톤부(tone)가 더욱 크게 조절되어야 하는 경우)를 전제로 설명한다.
연주자는 연주 시작 전, distortion이 chorus, delay와 연결된 상태에서, 복수의 톤부(520) 중 하나(tone 1)를 작게 설정하여 두고, 다른 하나(tone 2)를 크게 설정하여 둔다.
연주 중 백킹 시에는, distortion, chorus만을 풋 스위치에 의해 온시킴과 아울러, 톤 전환스위치(542)를 역시 발로 조작하여 복수의 톤부(520) 중 하나(tone 1)가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연주 중 독주 시에는, distortion, delay만을 풋 스위치에 의해 온시킴과 아울러, 톤 전환스위치(542)를 역시 발로 조작하여 복수의 톤부(520) 중 다른 하나(tone 2)가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연주자가 연주 중 손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라 하더라도, 발 동작만에 의해, 하나의 기타 이펙터(distortion)에서 조절부(tone)의 가변저항 구동부를 손으로 조절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종래기술에 의한 이펙터에서, 톤부(520)가 2종류(low, high) 설치된 경우가 있는데(도 1,2), 이는 저음용 톤부(520a)와 고음용 톤부(520b)가 구분된 "이종(異種)의 톤부"에 관한 것이고, 본 발명에서 복수의 톤부는 "동종(同種)의 톤부"를 의미하는 것이므로, 양자는 전혀 상이하다.
즉, 본 발명은 도 3,5 등에 나타난 바와 같은 하나의 톤부에 대하여, 동일한 하나의 톤부를 하나 추가하는 개념이다.
도 1,2와 같이 이종의 톤부가 복수 설치된 이펙터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그 각각의 톤부(저음용 톤부(520a), 고음용 톤부(520b))를 복수화하고 그에 따른 복수의 톤 전환스위치를 설치하면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복수의 톤부(520)(tone 1,tone 2)에 대응하는 가변저항을 각각 병렬회로로 구성하고, 톤 전환스위치(542)가 위 복수의 가변저항을 택일적으로 선택하도록 하는 방식 등에 의해 회로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부(500)로서 복수의 변조부(530)가 설치되고, 그 복수의 변조부(530) 중 어느 하나의 변조부(530)를 선택하기 위한 변조 전환스위치(543)가 설치된 경우도, 위 2가지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종래기술에 의한 이펙터에서, 도 3 내지 9와 같이 복수의 변조부(530)가 설치된 경우가 있는데, 이 또한 서로 변조의 성질이 상이한 "이종(異種)의 변조부"에 관한 것이고, 본 발명에서 복수의 변조부는 서로 변조의 성질이 동일한 "동종(同種)의 변조부"를 의미하는 것이므로, 양자는 전혀 상이하다.
즉, 본 발명은 도 1,2 등에 나타난 바와 같은 하나의 변조부에 대하여, 동일한 하나의 변조부를 하나 추가하는 개념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복수의 변조부(530)(dist 1,dist 2)에 대응하는 가변저항을 각각 병렬회로로 구성하고, 변조 전환스위치(543)가 위 복수의 가변저항을 택일적으로 선택하도록 하는 방식 등에 의해 회로를 구현할 수 있다.
도 3 내지 9와 같이 이종의 변조부가 복수 설치된 이펙터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그 각각의 이종 변조부를 복수화하고 그에 따른 복수의 변조 전환스위치를 설치하면 된다.
도 13 내지 17은 조절부(500)를 구성하는 레벨부(510), 톤부(520), 변조부(530) 중 어느 하나만이 복수로 형성되는 경우의 실시예에 관한 것이고, 도 18은 레벨부(510), 톤부(520), 변조부(530) 중 2 이상이 복수로 형성된 경우의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즉, 레벨부(510)와 변조부(530)를 각각 복수 설치하고, 이들 각각의 전환을 위하여 레벨 전환스위치(541) 및 변조 전환스위치(543)를 설치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레벨 전환스위치(541) 및 변조 전환스위치(543)를 온오프용 풋 스위치(5)와 별도의 구조로 구현할 수도 있고, 하나의 스위치에 의해 구현할 수도 있다.
예컨대 하나의 스위치를 한번 밟으면 "온+level 1+dist 1", 두번 밟으면 "온+level 2+dist 2", 세번 밟으면 "오프" 등의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이하, 도 19 내지 2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멀티형 기타 이펙터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멀티형 기타 이펙터는 기본적으로, 상기 본체(210)에 대하여 다수의 기타 이펙터 모듈(100)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기타 이펙터 모듈(100)은, 아날로그 방식의 기타 이펙터용 부품회로가 형성된 부품회로기판(110); 부품회로 중 가변저항에 의해 출력신호에 따른 음량 또는 음색을 조절하는 조절부(500)가 장착됨과 아울러, 부품회로기판(110)이 내부에 설치된 모듈 케이스(130); 부품회로에 대한 회로입력부(121), 회로출력부(122), 회로전원공급부(123)가 형성되고, 상기 부품회로기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모듈 케이스(130)의 외부에 설치된 회로연결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19).
여기서 조절부(500)는, 출력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레벨부(510), 고음과 저음의 양을 조절하는 톤부(520), 변조의 정도를 조절하는 변조부(53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그 레벨부(510), 톤부(520), 변조부(53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복수 설치된다.
이러한 다수의 기타 이펙터 모듈(100)이 장착되는 멀티형 기타 이펙터는, 내부에 다수의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장착을 위한 모듈장착공간(211)이 형성된 상기 본체(210); 다수의 모듈 케이스(130)가 설치되도록, 모듈 케이스(130) 하나 또는 복수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본체(210)의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트임부(212); 다수의 회로연결부(120)의 회로입력부(121), 회로출력부(122), 회로전원공급부(123)에 대응하여 연결되도록, 본체입력부(221), 본체출력부(222), 본체전원공급부(223)가 형성된 다수의 본체연결부(220); 다수의 본체연결부(220)와 연결되고, 상기 본체(210)의 본체회로장착공간(213)에 장착됨과 아울러, 본체회로가 형성된 본체회로기판(230); 기타(1)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본체(210)에 형성됨과 아울러, 본체회로에 연결된 입력 단자(201); 출력신호를 앰프(2)에 송신하도록 상기 본체(210)에 형성됨과 아울러, 본체회로에 연결된 출력 단자(202); 다수의 부품회로 중 전부 또는 일부를 온 또는 오프시킴과 아울러, 다수의 부품회로의 상기 복수의 레벨부(510) 중 어느 하나의 레벨부(510)를 선택하거나, 복수의 톤부(520) 중 어느 하나의 톤부(520)를 선택하거나, 복수의 변조부(530) 중 어느 하나의 변조부(530)를 선택하도록, 상기 본체(210) 또는 상기 본체(210)와 연결된 별도의 장치에 설치된 다수의 스위치(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20,21).
여기서, 본체회로는 입력 단자(201)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가 다수의 부품회로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변조되도록 하여, 변조된 신호를 출력 단자(202)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즉, 기타 이펙터 모듈(100)에서 레벨부(510), 톤부(520), 변조부(53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복수 설치하고, 복수가 설치된 레벨부(510), 톤부(520), 변조부(530) 중 하나의 레벨부(510), 톤부(520), 변조부(530)를 선택하도록, 상기 본체(210)에 다수의 스위치(240)(풋 스위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다수의 스위치(240)는, 다수의 부품회로 중 전부 또는 일부를 온 또는 오프시킴과 아울러, 다수의 부품회로의 복수의 레벨부(510) 중 어느 하나의 레벨부(510)를 선택하거나, 복수의 톤부(520) 중 어느 하나의 톤부(520)를 선택하거나, 복수의 변조부(530) 중 어느 하나의 변조부(530)를 선택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다수의 스위치(240)가 설치되는 "본체(210)와 연결된 별도의 장치"란, 본체(210)가 연주자의 발에 닿도록 바닥에 놓이지 않는 경우, 스위치(240)가 설치된 별도의 장치를 바닥에 놓고, 그 별도의 장치가 유무선에 의해 본체(210)와 연결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복수의 레벨부(510), 톤부(520), 변조부(530)의 설치 및 선택을 위한 스위치(240)의 구성에 관한 실시예 및 효과는 기본적으로 위 컴팩터 관련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며, 이하에서는 멀티형 기타 이펙터 특유의 구성 및 효과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체회로는 입력 단자(201)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를 다수의 본체연결부(220)의 본체출력부(222)를 통해 다수의 회로연결부(120)의 회로입력부(121)로 전달하고, 다수의 부품회로에 의해 변조된 신호를 다수의 회로연결부(120)의 회로출력부(122)를 통해 다수의 본체연결부(220)의 본체입력부(221)로 전달받아, 출력 단자(202)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잡음을 줄이기 위해서는, 시그널 그라운드(signal GND)를 별도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회로연결부(120)의 시그널 그라운드 연결부(124)와 본체연결부(220)의 시그널 그라운드 연결부(224)를 별도로 연결한다.
예컨대, 입력 단자(201)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는 상기 본체(210)의 1번 본체연결부(220)의 본체출력부(222)를 통해, 1번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회로연결부(120)의 회로입력부(121)로 전달되고, 1번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회로에 의해 변조된 신호는 회로연결부(120)의 회로출력부(122)를 통해 1번 본체연결부(220)의 본체입력부(221)로 전달되며, 이는 다시 본체회로에 전달된다.
이러한 본체회로의 신호는 상기 본체(210)의 2번 본체연결부(220)의 본체출력부(222)를 통해, 2번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회로연결부(120)의 회로입력부(121)로 전달되고, 2번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회로에 의해 변조된 신호는 회로연결부(120)의 회로출력부(122)를 통해 2번 본체연결부(220)의 본체입력부(221)로 전달되며, 이는 다시 본체회로에 전달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최종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회로에 의해 변조된 신호는 회로연결부(120)의 회로출력부(122)를 통해 최종 본체연결부(220)의 본체입력부(221)로 전달되며, 이는 출력단자(202)를 통해 출력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멀티형 기타 이펙터는 종래와 같이 각각의 별도의 완제품으로 구성된 다수의 컴팩터와 멀티형 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기타 이펙터 모듈(100)을 멀티형 기타 이펙터 상기 본체(210)에 결합하여 비로소 완제품을 이루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취하는 경우, 기타 이펙터 모듈(100)을 상기 본체(210) 내에 장착하고, 그 회로연결부(120)를 본체의 본체연결부(220)에 연결하는 것만으로, 다수의 기타 이펙터용 회로가 상호 결합한 조합구조를 이룰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은 다수의 케이블의 사용을 생략할 수 있어, 운반, 보관, 설치 및 사용이 간편하다는 효과가 있다.
모듈 케이스(130)에는 레벨, 톤 등의 조절을 위한 노브 구조의 조절부(500)가 장착되고, 이러한 모듈 케이스(130)가 본체의 트임부(212)에 결합함으로써, 위 조절부(500)에 의해 해당 부품 조립체의 이펙터 회로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모듈 케이스(130)에는 상부에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측으로 단차지게 걸림부(150)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구조의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상면을 상기 본체(210)의 하측 개방부를 통해 위 트임부(212)로 노출시키면서, 걸림부(150)가 본체의 트임부(212)의 가장자리에 걸리도록 하고, 상기 본체(210)의 하측 개방부는 별도의 폐쇄판(250)에 의해 결합(나사결합 등)하는 경우, 간편하면서도 안정적인 결합을 이룰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도 23).
걸림부(150)에 결합공(151)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나사부재 등을 상기 본체(210)에 결합하는 경우, 더욱 안정적인 결합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본체(210)의 트임부(212)는 모듈 케이스(130) 하나 또는 복수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트임부(212)가 복수의 모듈 케이스(13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하나의 트임부(212)에 복수의 소형 기타 이펙터 모듈(100a)을 설치할 수 있다(도 20).
멀티형 기타 이펙터 본체의 본체연결부(220)는 트임부(212) 하측에 돌출된 구성을 취하고,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회로연결부(120)는 이에 대응하도록 함몰된 구성을 취하는 것이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안정적인 장착을 위하여 바람직하다(도 19 내지 21).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회로연결부(120)에는, 입력신호를 회로에 전달하기 위한 회로입력부(121), 회로에 의해 변조된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회로출력부(122), 회로에 대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회로전원공급부(123)가 형성된다.
이러한 회로연결부(120)와 연결되는 본체연결부(220)에는, 회로출력부(122)의 출력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본체입력부(221), 본체회로의 신호를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회로입력부(121)에 전달하기 위한 본체출력부(222), 회로전원공급부(123)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본체전원공급부(223)가 형성된다(도 22).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회로연결부(120)와 상기 본체(210)의 본체연결부(220)는 요철구조에 의한 끼움결합 등에 의해 결합할 수 있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상면이 트임부(212)를 통해 노출되는 결합구조를 취하는 경우에는,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회로연결부(120)는 홈 구조를 취하고, 상기 본체(210)의 본체연결부(220)는 돌출 구조를 취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본체(210)에 대한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결합과 함께 회로연결부(120)와 본체연결부(220)의 결합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본체(210)는 격벽(214)에 의해 공간적으로 구획되는데, 구획된 공간 중 본체회로장착공간(213)에는 본체회로기판(230)이 장착되고, 그 반대편인 모듈장착공간(211)에는 기타 이펙터 모듈(100)이 장착된다.
본체회로기판(230)에 연결된 본체연결부(220)는 격벽(214)을 건너 모듈장착공간(211) 측으로 노출되고, 이러한 모듈장착공간(211)에서 다수의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수의 기타 이펙터 모듈(100)을 원하는 패턴으로 상기 본체(210)에 결합하고, 이에 따라 그 내부 모듈장착공간(211)에서 각각의 회로연결부(120)와 본체연결부(220)가 결합하는 것만으로 원하는 조합의 멀티형 기타 이펙터를 이룰 수 있는 것이다.
기타(1)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도록 본체회로에 연결된 입력 단자(201)와, 출력신호를 앰프(2)에 송신하도록 본체회로에 연결된 출력 단자(202)가 상기 본체(2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고, 부품회로기판(110)을 온 또는 오프시키기 위하여 본체회로에 연결된 다수의 스위치(240)가 상기 본체(210)의 상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하나의 스위치(240)가 복수의 부품회로기판(110)을 온 또는 오프시키도록 설치하는 것이 사용의 편의성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스위치(240)는 복수가 설치되는데, 모든 스위치가 온으로 되는 경우, 모든 부품회로기판(110)의 회로에 의해 음색이 변조되고, 일부 스위치는 온, 다른 일부 스위치는 오프로 되는 경우, 오프로 된 회로는 바이패스되며, 온으로 된 회로에 의해서만 음색이 변조된다.
또한, 위 다수의 스위치(240)는, 다수의 부품회로(기타 이펙터 모듈)의 복수의 레벨부(510) 중 어느 하나의 레벨부(510)를 선택하거나, 복수의 톤부(520) 중 어느 하나의 톤부(520)를 선택하거나, 복수의 변조부(530) 중 어느 하나의 변조부(530)를 선택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위에서 예로 든 바와 같이, 하나의 곡의 연주에 있어서, 백킹(반주) 시에는 distortion, chorus의 조합을 원하고(Clean), 독주 시에는 distortion, delay의 조합을 원하는 경우(백킹 시에 비해 독주 시에 distortion의 레벨부(level)가 더욱 크게 조절되어야 하는 경우)(Solo)를 전제로 설명한다(도 20).
연주자는 연주 시작 전, 기타 이펙터 모듈 중 distortion, chorus, delay를 상기 본체(210)에 결합한 상태에서, distortion의 복수의 레벨부(510) 중 하나(level 1)를 작게 설정하여 두고, 다른 하나(level 2)를 크게 설정하여 둠과 아울러, 다수의 스위치(240) 중 Clean 스위치의 온 상태에서 distortion의 온과 level 1, chorus의 온, delay의 오프가 선택되도록 설정하고, Solo 스위치의 온 상태에서 distortion의 온과 level 2, chorus의 오프, delay의 온이 선택되도록 설정한다.
연주 중 백킹 시에는, 다수의 스위치(240) 중 Clean 스위치를 온시킴에 따라, distortion의 level 1, chorus가 선택된 상태에서 연주를 할 수 있다.
연주 중 독주 시에는, 다수의 스위치(240) 중 Solo 스위치를 온시킴에 따라, distortion의 level 2, delay가 선택된 상태에서 연주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연주자가 연주 중 손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라 하더라도, 발 동작만에 의해, 기타 이펙터 모듈(distortion)에서 조절부(dist)의 가변저항 구동부를 손으로 조절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본체(210)에는 전원공급단자(203)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전원공급단자(203)에서 공급된 전원은 다수의 본체연결부(220)의 본체전원공급부(223) 및 다수의 회로연결부(120)의 회로전원공급부(123)를 통해 다수의 부품회로기판(110)에 공급된다.
본체회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본체연결부(220) 중 하나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다음의 본체연결부(220)를 통해 출력하고, 이러한 과정의 반복에 의해 변조된 신호를 출력단자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위에서는, 하나의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부품회로기판(110)은 하나의 스위치(240)에 의해서만 온, 오프 작동하는 경우에 관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하나의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부품회로기판(110)이 복수의 스위치(240)에 의해 온, 오프 작동하도록 본체회로기판(230)의 본체회로를 형성할 수도 있다(programable loop 기능).
예컨대, 하나의 chorus 이펙터 회로가 clean tone 스위치에서도 작동을 하고, solo tone 스위치에서도 작동을 할 수 있도록 본체회로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기타 2 : 앰프
3 : 입력부 4 : 출력부
100 : 기타 이펙터 모듈 110 : 부품회로기판
120 : 회로연결부 121 : 회로입력부
122 : 회로출력부 130 : 모듈 케이스
201 : 입력 단자 202 : 출력 단자
203 : 전원공급단자 210 : 본체
211 : 모듈장착공간 212 : 트임부
213 : 본체회로장착공간 214 : 격벽
220 : 본체연결부 221 : 본체입력부
222 : 본체출력부 223 : 본체전원공급부
230 : 본체회로기판 240 : 스위치
300 : 스위치 모듈 400 : 결합판
500 : 조절부 510 : 레벨부
520 : 톤부 530 : 변조부
540 : 전환스위치 541 : 레벨 전환스위치
542 : 톤 전환스위치 543 : 변조 전환스위치

Claims (9)

  1. 기타(1) 또는 타 기타 이펙터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3);
    출력신호를 앰프(2) 또는 타 기타 이펙터에 송신하는 출력부(4);
    상기 입력부(3)와 출력부(4)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아날로그 방식의 회로에서 가변저항에 의해 출력신호에 따른 음량 또는 음색을 조절하는 조절부(500);를 포함하는 기타 이펙터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500)는, 출력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레벨부(510), 고음과 저음의 양을 조절하는 톤부(520), 변조의 정도를 조절하는 변조부(53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레벨부(510), 톤부(520), 변조부(53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복수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레벨부(510) 중 어느 하나의 레벨부(510)를 선택하기 위한 레벨 전환스위치(541), 상기 복수의 톤부(520) 중 어느 하나의 톤부(520)를 선택하기 위한 톤 전환스위치(542), 상기 복수의 변조부(530) 중 어느 하나의 변조부(530)를 선택하기 위한 변조 전환스위치(543)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전환스위치(540)가 설치되고,
    상기 전환스위치(540)는 풋 스위치의 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조절부(500)가 복수의 상기 레벨부(510)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레벨부(510) 중 어느 하나의 레벨부(510)를 선택하기 위한 상기 레벨 전환스위치(541)가 설치된 경우,
    연주 시작 전, 상기 복수의 레벨부(510)를 서로 다르게(level 1, level 2) 설정하여 두고, 연주 중에는, 상기 레벨 전환스위치(541)를 발로 조작하여 상기 복수의 레벨부(510) 중 하나(level 1 또는 level 2)가 선택되도록 하고,
    상기 조절부(500)가 복수의 상기 톤부(520)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톤부(520) 중 어느 하나의 톤부(520)를 선택하기 위한 상기 톤 전환스위치(542)가 설치된 경우,
    연주 시작 전, 상기 복수의 톤부(520)를 서로 다르게(tone 1, tone 2) 설정하여 두고, 연주 중에는, 상기 톤 전환스위치(542)를 발로 조작하여 상기 복수의 톤부(520) 중 하나(tone 1 또는 tone 2)가 선택되도록 하고,
    상기 조절부(500)가 복수의 상기 변조부(530)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변조부(530) 중 어느 하나의 변조부(530)를 선택하기 위한 상기 변조 전환스위치(543)가 설치된 경우,
    연주 시작 전, 상기 복수의 변조부(530)를 서로 다르게(dist 1, dist 2) 설정하여 두고, 연주 중에는, 상기 변조 전환스위치(543)를 발로 조작하여 상기 복수의 변조부(530) 중 하나(dist 1 또는 dist 2)가 선택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타 이펙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아날로그 방식의 기타 이펙터용 부품회로가 형성된 부품회로기판(110);
    상기 부품회로 중 가변저항에 의해 출력신호에 따른 음량 또는 음색을 조절하는 조절부(500)가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부품회로기판(110)이 내부에 설치된 모듈 케이스(130);
    상기 부품회로에 대한 회로입력부(121), 회로출력부(122), 회로전원공급부(123)가 형성되고, 상기 부품회로기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모듈 케이스(130)의 외부에 설치된 회로연결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500)는, 출력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레벨부(510), 고음과 저음의 양을 조절하는 톤부(520), 변조의 정도를 조절하는 변조부(53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레벨부(510), 톤부(520), 변조부(53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복수 설치된 기타 이펙터 모듈(100) 다수가 설치되는 멀티형 기타 이펙터로서,
    내부에 다수의 상기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장착을 위한 모듈장착공간(211)이 형성된 본체(210);
    다수의 상기 모듈 케이스(130)가 설치되도록, 상기 모듈 케이스(130) 하나 또는 복수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본체(210)의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트임부(212);
    다수의 상기 회로연결부(120)의 회로입력부(121), 회로출력부(122), 회로전원공급부(123)에 대응하여 연결되도록, 본체입력부(221), 본체출력부(222), 본체전원공급부(223)가 형성된 다수의 본체연결부(220);
    상기 다수의 본체연결부(220)와 연결되고, 상기 본체(210)의 본체회로장착공간(213)에 장착됨과 아울러, 본체회로가 형성된 본체회로기판(230);
    기타(1)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본체(210)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회로에 연결된 입력 단자(201);
    출력신호를 앰프(2)에 송신하도록 상기 본체(210)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회로에 연결된 출력 단자(202);
    상기 다수의 부품회로 중 전부 또는 일부를 온 또는 오프시킴과 아울러, 상기 다수의 부품회로의 상기 복수의 레벨부(510) 중 어느 하나의 레벨부(510)를 선택하거나, 상기 복수의 톤부(520) 중 어느 하나의 톤부(520)를 선택하거나, 상기 복수의 변조부(530) 중 어느 하나의 변조부(530)를 선택하도록, 상기 본체(210) 또는 상기 본체(210)와 연결된 별도의 장치에 설치된 다수의 스위치(24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회로는 상기 입력 단자(201)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가 상기 다수의 부품회로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변조되도록 하여, 변조된 신호를 상기 출력 단자(202)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다수의 스위치(240)는 풋 스위치의 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조절부(500)가 복수의 상기 레벨부(510)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레벨부(510) 중 어느 하나의 레벨부(510)를 선택하기 위한 레벨 전환스위치(541)가 설치된 경우,
    연주 시작 전, 상기 복수의 레벨부(510)를 서로 다르게(level 1, level 2) 설정하여 두고, 연주 중에는, 레벨 전환스위치(541)를 발로 조작하여 상기 복수의 레벨부(510) 중 하나(level 1 또는 level 2)가 선택되도록 하고,
    상기 조절부(500)가 복수의 상기 톤부(520)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톤부(520) 중 어느 하나의 톤부(520)를 선택하기 위한 톤 전환스위치(542)가 설치된 경우,
    연주 시작 전, 상기 복수의 톤부(520)를 서로 다르게(tone 1, tone 2) 설정하여 두고, 연주 중에는, 톤 전환스위치(542)를 발로 조작하여 상기 복수의 톤부(520) 중 하나(tone 1 또는 tone 2)가 선택되도록 하고,
    상기 조절부(500)가 복수의 상기 변조부(530)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변조부(530) 중 어느 하나의 변조부(530)를 선택하기 위한 변조 전환스위치(543)가 설치된 경우,
    연주 시작 전, 상기 복수의 변조부(530)를 서로 다르게(dist 1, dist 2) 설정하여 두고, 연주 중에는, 변조 전환스위치(543)를 발로 조작하여 상기 복수의 변조부(530) 중 하나(dist 1 또는 dist 2)가 선택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기타 이펙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회로는
    상기 입력 단자(201)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를 상기 다수의 본체연결부(220)의 상기 본체출력부(222)를 통해 상기 다수의 회로연결부(120)의 상기 회로입력부(121)로 전달하고, 상기 다수의 부품회로에 의해 변조된 신호를 상기 다수의 회로연결부(120)의 상기 회로출력부(122)를 통해 상기 다수의 본체연결부(220)의 상기 본체입력부(221)로 전달받아, 상기 출력 단자(202)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기타 이펙터.
KR1020160103689A 2016-08-16 2016-08-16 기타 이펙터 KR101845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689A KR101845866B1 (ko) 2016-08-16 2016-08-16 기타 이펙터
US15/363,322 US9633640B1 (en) 2016-08-16 2016-11-29 Guitar eff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689A KR101845866B1 (ko) 2016-08-16 2016-08-16 기타 이펙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9389A KR20180019389A (ko) 2018-02-26
KR101845866B1 true KR101845866B1 (ko) 2018-05-18

Family

ID=58546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3689A KR101845866B1 (ko) 2016-08-16 2016-08-16 기타 이펙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633640B1 (ko)
KR (1) KR1018458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91859S1 (en) * 2015-04-22 2017-07-11 Roger William Graham Electronic device for musical instrument
KR101797513B1 (ko) * 2016-09-28 2017-11-15 이승재 휴대폰을 이용한 기타 이펙터 루프 제어장치
KR101797512B1 (ko) * 2016-09-28 2017-11-15 이승재 기타 이펙터 루프 및 이를 이용한 멀티형 기타 이펙터
US10115379B1 (en) * 2017-04-27 2018-10-30 Gibson Brands, Inc. Acoustic guitar user interface
DE102017126184B4 (de) * 2017-11-09 2019-12-24 Hans-Peter Wilfer Schutzkäfig für Effektgerät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5861A (ja) * 2002-04-03 2003-10-15 Seiko Instruments Inc 効果装置
KR101137636B1 (ko) * 2010-03-25 2012-04-19 김재호 휴대형 무선 이펙터
KR101377246B1 (ko) * 2012-11-15 2014-03-25 이승재 기타 이펙터 모듈을 이용한 멀티형 기타 이펙터, 스위치 모듈 및 컴팩터형 기타 이펙터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5055B1 (en) * 1997-08-06 2001-04-10 Darren Saravis Foot pedal boards for musical instruments
US7005571B1 (en) * 2002-09-16 2006-02-28 Groff Warren R MIDI controller pedalboard
US7373210B2 (en) * 2003-01-14 2008-05-13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Effects and recording system
US7476799B2 (en) * 2004-07-07 2009-01-13 Jeffrey Howard Purchon Sound-effect foot pedal for electric/electronic musical instruments
JP2007304128A (ja) * 2006-05-08 2007-11-22 Roland Corp 効果装置
EP2158585A1 (en) * 2007-04-17 2010-03-03 Massimiliano Ciccone Real-time continuous digital control of parameters and settings of analogue sound effects
US20100269670A1 (en) * 2007-07-26 2010-10-28 O'connor Sam Fion Taylor Foot-Operated Audio Effects Device
DE102007052991B4 (de) * 2007-11-05 2010-10-07 Schöwer, Jan Effektgerätsteuerung
JP5179905B2 (ja) * 2008-03-11 2013-04-10 ローランド株式会社 演奏装置
US8642870B1 (en) * 2009-12-23 2014-02-04 Noel Rosa Mat and carrier for an object
US8614385B2 (en) * 2010-05-07 2013-12-24 Ryan R. Ridgeway Musical effects pedal retaining device and pedal board
US9922630B2 (en) * 2011-04-11 2018-03-20 Mod Devices Gmbh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foot-operated effects
BRMU9100858U8 (pt) * 2011-04-14 2017-09-19 Agr Ind Comercio E Servicos De Equipamentos Eletronicos Ltda Disposição construtiva introduzida em pedaleira para distorção e efeitos de áudio programáveis
US20130312588A1 (en) * 2012-05-01 2013-11-28 Jesse Harris Orshan Virtual audio effects pedal and corresponding network
US8957297B2 (en) * 2012-06-12 2015-02-17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 Programmable musical instrument pedalboard
US20140205113A1 (en) * 2013-01-18 2014-07-24 Stomp Labs Inc. Expression-enabled audio signal processing platform
AU2013270633A1 (en) * 2013-05-08 2014-12-18 Mayo, Gerard Peter MR Pedal Board and Pedal Board Connection System
US9495947B2 (en) * 2013-12-06 2016-11-15 Intelliterran Inc. Synthesized percussion pedal and docking station
US20160019877A1 (en) * 2014-07-21 2016-01-21 Jesse Martin Remignanti System for networking audio effects processors, enabling bidirectional communication and storage/recall of data
US9892719B2 (en) * 2014-08-30 2018-02-13 Seth J Wilk Enclosure with windows for audio effects and guitar pedals
US9620094B2 (en) * 2015-03-03 2017-04-11 Gregg Abbate Effects pedal mounting bracke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5861A (ja) * 2002-04-03 2003-10-15 Seiko Instruments Inc 効果装置
KR101137636B1 (ko) * 2010-03-25 2012-04-19 김재호 휴대형 무선 이펙터
KR101377246B1 (ko) * 2012-11-15 2014-03-25 이승재 기타 이펙터 모듈을 이용한 멀티형 기타 이펙터, 스위치 모듈 및 컴팩터형 기타 이펙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9389A (ko) 2018-02-26
US9633640B1 (en) 201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5866B1 (ko) 기타 이펙터
US7476799B2 (en) Sound-effect foot pedal for electric/electronic musical instruments
US7601908B2 (en) Programmable/semi-programmable pickup and transducer switching system
US9972295B2 (en) Control apparatus for guitar effector loop using cellular phone
KR101377246B1 (ko) 기타 이펙터 모듈을 이용한 멀티형 기타 이펙터, 스위치 모듈 및 컴팩터형 기타 이펙터
US20060070511A1 (en) Multiple channel metronome for use by split ensemble or antiphonal performers
WO1986001927A1 (en) A music synthesizer, especially portable drum synthesizer
WO2006036574A2 (en) Audio signal processor with modular user interface and processing functionality
US20180144731A1 (en) Tone Effects System with Reversible Effects Cartridges
US20110290099A1 (en) Intuitive Electric Guitar Switching for Selecting Sounds of Popular Guitars
US20050056142A1 (en) Musical effects control device
KR960008672A (ko) 음향신호 발생장치
JPS6143719B2 (ko)
KR101368980B1 (ko) 기타 이펙터용 부품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멀티형 기타 이펙터
KR101797512B1 (ko) 기타 이펙터 루프 및 이를 이용한 멀티형 기타 이펙터
JP5308340B2 (ja) 楽器増幅システム
US4189971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system having independent tone cabinet
GB2569779A (en) Music Synthesis system
US4748885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with automatic rhythm generating device
WO1987000331A1 (en) Audio signal generating system
Manual Operation manual
JPS6323759Y2 (ko)
KR20090058357A (ko) 반주기용 앰프의 에코 컨트롤장치
KR101715601B1 (ko) 디지탈 피아노용 페달
JPH0928483A (ja) Djミキサ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