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7513B1 - 휴대폰을 이용한 기타 이펙터 루프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을 이용한 기타 이펙터 루프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7513B1
KR101797513B1 KR1020160124686A KR20160124686A KR101797513B1 KR 101797513 B1 KR101797513 B1 KR 101797513B1 KR 1020160124686 A KR1020160124686 A KR 1020160124686A KR 20160124686 A KR20160124686 A KR 20160124686A KR 101797513 B1 KR101797513 B1 KR 101797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ch
main body
circuit
screen
b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4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재
Original Assignee
이승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재 filed Critical 이승재
Priority to KR1020160124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7513B1/ko
Priority to PCT/KR2017/010630 priority patent/WO2018062813A1/ko
Priority to US15/718,193 priority patent/US997229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2Means for controlling the tone frequencies, e.g. attack or decay; Means for producing special musical effects, e.g. vibratos or glissando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18Selecting circui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08Associated control or indicating mea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91Means for obtaining special acoustic effec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10H1/34Switch arrangements, e.g. keyboards or mechanical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10H1/34Switch arrangements, e.g. keyboards or mechanical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44Structural association with individual keys
    • G10H1/348Switches actuated by parts of the body other than fing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44Tuning mea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1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G10H3/18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using a string, e.g. electric guita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155Musical effec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155Musical effects
    • G10H2210/311Distortion, i.e. desired non-linear audio processing to change the tone color, e.g. by adding harmonics or deliberately distorting the amplitude of an audio waveform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155Musical effects
    • G10H2210/315Dynamic effects for musical purposes, i.e. musical sound effects controlled by the amplitude of the time domain audio envelope, e.g. loudness-dependent tone color or musically desired dynamic range compression or expans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91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teractive musical displays, musical instrument icons or menus; Details of user interactions therewith
    • G10H2220/096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teractive musical displays, musical instrument icons or menus; Details of user interactions therewith using a touch scree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91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teractive musical displays, musical instrument icons or menus; Details of user interactions therewith
    • G10H2220/101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teractive musical displays, musical instrument icons or menus; Details of user interactions therewith for graphical creation, edition or control of musical data or paramet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30/00General physical, ergonomic or hardware implementation of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e.g. shape or architecture
    • G10H2230/005Device type or category
    • G10H2230/015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or palmtop computing devices used for musical purposes, e.g. portable music players, tablet computers, e-readers or smart phones in which mobile telephony functions need not be us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타(a), 앰프(b) 및 다수의 컴팩터(1,2,3,4)와 연결되고, 본체의 제어부에 대한 설정에 따라, 상기 다수의 컴팩터(1,2,3,4) 중 하나 또는 복수를 온오프시키도록 설정된 다수의 풋 스위치(A,B,C,D)를 구비하며, 각각의 상기 풋 스위치(A,B,C,D)마다 상기 다수의 컴팩터(1,2,3,4) 중 컴팩터(1,2,3,4)의 조합이 설정되도록, 다수의 상기 풋 스위치(A,B,C,D)가 상기 본체에 설치된 기타 이펙터 루프를 제어하도록 휴대폰(700)에 설치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상기 풋 스위치(A,B,C,D)와, 각각의 상기 풋 스위치(A,B,C,D)에 설정된 상기 컴팩터(1,2,3,4)의 조합에 의해 구성된 패치를 상기 휴대폰(700)의 패치화면(710)에 표시하는 패치화면 표시부; 다수의 상기 패치에 의해 구성된 뱅크를 상기 휴대폰(700)의 뱅크화면(720)에 표시하는 뱅크화면 표시부; 상기 뱅크화면(720)에 표시된 다수의 상기 패치 중 하나의 패치를 선택하면, 상기 패치화면 표시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패치에 해당하는 상기 패치화면(710)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기타 이펙터 루프 제어장치를 제시함으로써, 뱅크에 저장된 각 패치의 기타 이펙터의 조합을 쉽게 확인하고, 기타 이펙터 루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휴대폰을 이용한 기타 이펙터 루프 제어장치{CONTROL APPARAYUS FOR GUITAR EFFECTOR LOOP USING CELLULARPHONE}
본 발명은 악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기타의 이펙터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타의 음색을 변조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이펙터가 사용된다.
이러한 이펙터는 아날로그 방식과 디지털 방식으로 대별할 수 있는데, 후자는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음질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으므로, 최근에는 다시 아날로그 방식의 이펙터가 주로 사용되는 추세이다.
아날로그 방식의 이펙터는 컴팩터라고 하는데, 기타(a) 또는 타 기타 이펙터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3); 출력신호를 앰프(b) 또는 타 기타 이펙터에 송신하는 출력부(4); 당해 컴팩터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풋 스위치(foot switch)(5);를 구비한 구성을 취한다(도 1 내지 10).
연주자가 연주 중 풋 스위치(foot switch)(5)에 의해 온오프를 조절하므로 꾹꾹이라 부르기도 한다.
예컨대, 락 음악 느낌을 내기 위한 백킹(backing)이나 독주의 경우에는 over drive, distortion 등의 이펙터가 필요하고(도 1,2), 아르페지오나 스트로크의 경우에는 클린 톤(clean tone)을 얻기 위해서는 reverb, delay, chorus 등의 이펙터가 필요하며(도 3 내지 5), 특수 효과가 필요한 경우에는 phaser, wah, octaver 등의 이펙터가 필요하고(도 6 내지 8), 그 밖에 compressor, equalizer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도 9,10).
기타의 연주 시, 연주자는 동일한 곡 내에서도 복수의 음색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그 각각의 음색을 얻기 위해서는 복수의 컴팩터의 조합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다수의 컴팩터들을 미리 연결하여 두고, 연주 중 풋 스위치(foot switch)에 의해 각 컴팩터들은 온 또는 오프시켜 다양한 조합을 이룸으로써, 원하는 음색을 얻게 된다(기타 연주로 인하여 손을 사용할 수 없으므로).
상호 연결된 컴팩터들의 일부는 온, 다른 일부는 오프(off)로 하는 경우, 오프로 된 컴팩터는 바이패스되고 온으로 된 컴팩터들만의 조합에 의해 변조된 음색을 얻게 되는 것이다.
한편, 필요한 음색을 얻기 위해, 연주 중 다수의 컴팩터의 풋 스위치를 동시에 조작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므로, 다수의 스위치(11,12,13,14)를 설치하고, 그 각각의 스위치마다 별개의 컴팩터의 조합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타 이펙터 루프(프로그래머블 루프)(10)가 개발되어 있다(도 11).
이는 다수의 스위치(11,12,13,14)가 서로 택일적으로 작용하도록 제어되므로, 하나의 스위치를 온(on)시키면(누르면) 나머지 스위치들은 자동적으로 오프(off)되는 구성을 취한다.
A 스위치(11)에 대하여 1,2,3번 이펙터를 설정하고, B 스위치(12)에 대하여 1,2,4번 이펙터를 설정하고, C 스위치(13)에 대하여 3,4번 이펙터를 설정하고, D 스위치(14)에 대하여 4번 이펙터를 설정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도 12).
A 스위치(11)를 온시키면 1,2,3번 이펙터는 온이 되고, 4번 이펙터는 자동으로 오프된다.
B 스위치(12)를 온시키면 1,2,4번 이펙터는 온이 되고, 3번 이펙터는 자동으로 오프된다.
C 스위치(13)를 온시키면 3,4번 이펙터는 온이 되고, 1,2번 이펙터는 자동으로 오프된다.
D 스위치(14)를 온시키면 4번 이펙터는 온이 되고, 1,2,3번 이펙터는 자동으로 오프된다.
이러한 각각의 기타 이펙터의 조합(스위치에 설정된 이펙터의 조합)을 패치라 하고, 이 패치 다수를 뱅크에 저장했다가 필요 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도 13).
그런데 상술한 종래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기타 이펙터의 종류는 상술한 바와 같이 대단히 다양하고, 이에 따라 기타 이펙터의 조합의 종류도 대단히 다양하므로, 뱅크에 저장 가능한 패치의 수도 대단히 다양하다.
연주자는 각 스위치마다 별개의 이펙터의 조합을 패치로 설정하여 뱅크에 저장하게 되는데, 종래의 기타 이펙터 루프에서는 이러한 패치의 구성을 연주자가 확인하고 선택하기가 대단히 불편하다는 문제가 그것이다.
즉, 종래의 기타 이펙터 루프에서는 뱅크에서 하나의 패치를 선택하고, 선택한 패치에서 각각의 스위치를 눌러봐야만이 그 패치에서 설정된 기타 이펙터의 조합을 확인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뱅크에 저장된 각 패치의 기타 이펙터의 조합을 쉽게 확인하고, 기타 이펙터 루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기타 이펙터 루프 제어장치를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기타(a), 앰프(b) 및 다수의 컴팩터(1,2,3,4)와 연결되고, 본체의 제어부에 대한 설정에 따라, 상기 다수의 컴팩터(1,2,3,4) 중 하나 또는 복수를 온오프시키도록 설정된 다수의 풋 스위치(A,B,C,D)를 구비하며, 각각의 상기 풋 스위치(A,B,C,D)마다 상기 다수의 컴팩터(1,2,3,4) 중 컴팩터(1,2,3,4)의 조합이 설정되도록, 다수의 상기 풋 스위치(A,B,C,D)가 상기 본체에 설치된 기타 이펙터 루프를 제어하도록 휴대폰(700)에 설치된 장치로서, 다수의 상기 풋 스위치(A,B,C,D)와, 각각의 상기 풋 스위치(A,B,C,D)에 설정된 상기 컴팩터(1,2,3,4)의 조합에 의해 구성된 패치를 상기 휴대폰(700)의 패치화면(710)에 표시하는 패치화면 표시부; 다수의 상기 패치에 의해 구성된 뱅크를 상기 휴대폰(700)의 뱅크화면(720)에 표시하는 뱅크화면 표시부; 상기 뱅크화면(720)에 표시된 다수의 상기 패치 중 하나의 패치를 선택하면, 상기 패치화면 표시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패치에 해당하는 상기 패치화면(710)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기타 이펙터 루프 제어장치를 제시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뱅크화면(720)에 표시된 다수의 상기 패치 중 하나의 패치를 선택하면, 통신에 의해, 선택된 상기 패치에 해당하는 상기 컴팩터(1,2,3,4)의 조합이 상기 기타 이펙터 루프에 설정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치화면(710)에서, 다수의 상기 풋 스위치(A,B,C,D)는 행으로 표시되고, 다수의 상기 컴팩터(1,2,3,4)는 열로 표시되고, 각각의 상기 풋 스위치(A,B,C,D)에 설정된 상기 컴팩터(1,2,3,4)는 상기 행과 열에서 해당되는 셀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뱅크화면(720)에서, 다수의 상기 패치는 고유번호, 곡명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아날로그 방식의 기타 이펙터용 회로가 형성된 부품회로기판(110); 상기 회로에 의한 사운드를 조절하기 위한 가변저항 구동부(131)가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부품회로기판(110)이 내부에 설치된 모듈 케이스(130); 상기 회로에 대한 회로입력부(121), 회로출력부(122), 회로전원공급부(123)가 형성되고, 상기 부품회로기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모듈 케이스(130)의 외부에 설치된 회로연결부(120);를 포함하는 기타 이펙터 모듈(100) 다수가 설치되는 멀티형 기타 이펙터를 제어하도록 휴대폰(700)에 설치된 장치로서, 내부에 다수의 상기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장착을 위한 모듈장착공간(211)이 형성된 본체(210); 다수의 상기 모듈 케이스(130)가 설치되도록, 상기 모듈 케이스(130) 하나 또는 복수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본체(210)의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트임부(212); 다수의 상기 회로연결부(120)의 회로입력부(121), 회로출력부(122), 회로전원공급부(123)에 대응하여 연결되도록, 본체입력부(221), 본체출력부(222), 본체전원공급부(223)가 형성된 다수의 본체연결부(220); 상기 다수의 본체연결부(220)와 연결되고, 상기 본체(210)의 본체회로장착공간(213)에 장착됨과 아울러, 본체회로가 형성된 본체회로기판(230); 기타(a)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본체(210)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회로에 연결된 입력 단자(201); 출력신호를 앰프(b)에 송신하도록 상기 본체(210)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회로에 연결된 출력 단자(202); 상기 본체회로에 대한 설정에 따라, 상기 다수의 기타 이펙터 모듈(100) 중 하나 또는 복수를 온오프시킴에 따라 다양한 상기 기타 이펙터 모듈(100)들의 조합이 형성되도록, 상기 본체(210) 또는 상기 본체(210)와 연결된 별도의 장치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회로에 연결된 다수의 풋 스위치(A,B,C,D);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회로는 상기 입력 단자(201)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가 상기 다수의 부품회로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변조되도록 하여, 변조된 신호를 상기 출력 단자(202)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다수의 상기 풋 스위치(A,B,C,D)와, 각각의 상기 풋 스위치(A,B,C,D)에 설정된 상기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조합에 의해 구성된 패치를 상기 휴대폰(700)의 패치화면(710)에 표시하는 패치화면 표시부; 다수의 상기 패치에 의해 구성된 뱅크를 상기 휴대폰(700)의 뱅크화면(720)에 표시하는 뱅크화면 표시부; 상기 뱅크화면(720)에 표시된 다수의 상기 패치 중 하나의 패치를 선택하면, 상기 패치화면 표시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패치에 해당하는 상기 패치화면(710)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멀티형 기타 이펙터 제어장치를 제시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뱅크화면(720)에 표시된 다수의 상기 패치 중 하나의 패치를 선택하면, 통신에 의해, 선택된 상기 패치에 해당하는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조합이 상기 멀티형 기타 이펙터에 설정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치화면(710)에서, 다수의 상기 풋 스위치(A,B,C,D)는 행으로 표시되고, 다수의 상기 기타 이펙터 모듈(100)은 열로 표시되고, 각각의 상기 풋 스위치(A,B,C,D)에 설정된 상기 기타 이펙터 모듈(100)은 상기 행과 열에서 해당되는 셀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뱅크화면(720)에서, 다수의 상기 패치는 고유번호, 곡명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뱅크에 저장된 각 패치의 기타 이펙터의 조합을 쉽게 확인하고, 기타 이펙터 루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기타 이펙터 루프 제어장치를 제시한다.
도 1 내지 10은 종래기술에 의한 컴팩터의 종류를 도시한 평면도.
도 11은 종래기술에 의한 기타 이펙터 루프의 구성도.
도 12는 종래기술에 의한 기타 이펙터 루프의 개념도.
도 13은 종래기술에 의한 기타 이펙터 루프의 뱅크의 구성도.
도 14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4는 휴대폰의 뱅크화면.
도 15는 휴대폰의 패치화면.
도 16은 기타 이펙터 모듈의 사시도.
도 17은 멀티형 기타 이펙터의 제1 사용상태의 평면도.
도 18은 멀티형 기타 이펙터의 제2 사용상태의 사시도.
도 19는 멀티형 기타 이펙터의 분해사시도.
도 20은 멀티형 기타 이펙터의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4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기타(a), 앰프(b) 및 다수의 컴팩터(1,2,3,4)와 연결되고, 본체의 제어부에 대한 설정에 따라, 다수의 컴팩터(1,2,3,4) 중 하나 또는 복수를 온오프시키도록 설정된 다수의 풋 스위치(A,B,C,D)를 구비하며, 각각의 풋 스위치(A,B,C,D)마다 다수의 컴팩터(1,2,3,4) 중 컴팩터(1,2,3,4)의 조합이 설정되도록, 다수의 풋 스위치(A,B,C,D)가 본체에 설치된 기타 이펙터 루프를 제어하도록 휴대폰(700)에 설치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다수의 풋 스위치(A,B,C,D)와, 각각의 풋 스위치(A,B,C,D)에 설정된 컴팩터(1,2,3,4)의 조합에 의해 구성된 패치를 휴대폰(700)의 패치화면(710)에 표시하는 패치화면 표시부; 다수의 패치에 의해 구성된 뱅크를 휴대폰(700)의 뱅크화면(720)에 표시하는 뱅크화면 표시부; 뱅크화면(720)에 표시된 다수의 패치 중 하나의 패치를 선택하면, 패치화면 표시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패치에 해당하는 상기 패치화면(710)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어장치의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연주자는 휴대폰에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받는 등의 방법으로 기타 이펙터 루프 제어장치를 구현하고, 각각의 풋 스위치(A,B,C,D)에 설정된 컴팩터(1,2,3,4)의 조합에 의해 구성된 다수의 패치를 뱅크에 저장한다.
이와 같이 저장된 다수의 패치는 뱅크화면(720)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 14는 이러한 뱅크화면(720)의 실시예로서, 각 패치가 고유번호 및 곡명에 의해 표시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뱅크화면(720)에는 다수의 패치가 표시되는데, 하나의 화면으로 모든 패치의 표시가 어려운 경우, 스크롤이나 화면 넘김 기능 등에 의해 모든 패치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뱅크화면(720)에서 하나의 패치(2. Let it be)를 선택하면, 당해 곡을 연주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기타 이펙터의 조합(다수의 풋 스위치(A,B,C,D)와, 각각의 풋 스위치(A,B,C,D)에 설정된 컴팩터(1,2,3,4)의 조합)인 패치의 구성을 표시하는 패치화면(710)이 표시된다.
도 15는 이러한 패치화면(710)의 실시예로서, 기타 이펙터 루프의 A 스위치에 기타 이펙터(컴펙터)의 일종인 InBf(input buffer), OD(over drive)가 설정되고, B 스위치에 Ch(chorus)가 설정되고, C 스위치에 InBf(input buffer), DS(distortion), DI(direct interface), EQ(equalizer)가 설정되고, D 스위치에 WA(wah), OD(over drive), DS(distortion), DI(direct interface)가 설정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하나의 패치화면(710)에서 다수의 기타 이펙터의 표시가 어려운 경우, 스크롤이나 화면 넘김 기능 등에 의해 모든 기타 이펙터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연주자는 휴대폰의 뱅크화면(720)에서 하나의 패치(2. Let it be)를 선택함으로써, 기타 이펙터 루프의 각 스위치를 일일이 눌러보지 않더라도, 자신이 미리 설정해 놓은 패치의 구성(각 스위치마다 설정된 기타 이펙터의 조합)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는, 뱅크화면(720)에 표시된 다수의 패치 중 하나의 패치를 선택하면,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선택된 패치에 해당하는 컴팩터(1,2,3,4)의 조합이 기타 이펙터 루프에 설정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연주자가 휴대폰의 뱅크화면(720)에서 하나의 패치(2. Let it be)를 선택하면, 그 선택된 패치에 해당하는 컴팩터(1,2,3,4)의 조합이 자동으로 기타 이펙터 루프에 설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연주자는 휴대폰의 뱅크화면(720)에서 하나의 패치(2. Let it be)를 선택함으로써, 자신이 연주할 곡에 필요한 기타 이펙터의 조합(패치)을 명확히 확인한 후, 이를 기타 이펙터 루프에 설정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기타 이펙터 루프의 명확하고 편리한 운용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주자 이외의 제3자가 자신의 휴대폰에 의해 그 연주자의 기타 이펙터 루프를 제어하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는 관객으로 하여금 색다른 재미를 느끼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패치화면(710)에는 다수의 풋 스위치(A,B,C,D)와 컴팩터(1,2,3,4)가 행과 열로 표시되는데, 풋 스위치(A,B,C,D)의 수에 비해 컴팩터(1,2,3,4)의 종류가 훨씬 많은 것이 일반적이므로, 다수의 풋 스위치(A,B,C,D)는 행으로 표시되고, 다수의 컴팩터(1,2,3,4)는 열로 표시되도록 하고, 각각의 풋 스위치(A,B,C,D)에 설정된 컴팩터(1,2,3,4)는 행과 열에서 해당되는 셀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5).
뱅크화면(720)에서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패치는 고유번호, 곡명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연주자의 선택의 용이성을 위해 바람직하다.
이하, 도 19 내지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제어장치가 멀티형 기타 이펙터에 적용되는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멀티형 기타 이펙터는 기본적으로, 본체(210)에 대하여 다수의 기타 이펙터 모듈(100)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서로 종류가 상이한 다수의 기타 이펙터 모듈(100)(위 실시예의 컴팩터에 해당함)을 설치하고, 상술한 기타 이펙터 루프 기능을 부여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기타 이펙터 모듈(100)은, 아날로그 방식의 기타 이펙터용 회로가 형성된 부품회로기판(110); 회로에 의한 사운드를 조절하기 위한 가변저항 구동부(131)가 장착됨과 아울러, 부품회로기판(110)이 내부에 설치된 모듈 케이스(130); 회로에 대한 회로입력부(121), 회로출력부(122), 회로전원공급부(123)가 형성되고, 부품회로기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모듈 케이스(130)의 외부에 설치된 회로연결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16).
이러한 다수의 기타 이펙터 모듈(100)이 장착되는 멀티형 기타 이펙터는, 내부에 다수의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장착을 위한 모듈장착공간(211)이 형성된 본체(210); 다수의 모듈 케이스(130)가 설치되도록, 모듈 케이스(130) 하나 또는 복수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본체(210)의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트임부(212); 다수의 회로연결부(120)의 회로입력부(121), 회로출력부(122), 회로전원공급부(123)에 대응하여 연결되도록, 본체입력부(221), 본체출력부(222), 본체전원공급부(223)가 형성된 다수의 본체연결부(220); 다수의 본체연결부(220)와 연결되고, 본체(210)의 본체회로장착공간(213)에 장착됨과 아울러, 본체회로가 형성된 본체회로기판(230); 기타(a)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도록 본체(210)에 형성됨과 아울러, 본체회로에 연결된 입력 단자(201); 출력신호를 앰프(b)에 송신하도록 본체(210)에 형성됨과 아울러, 본체회로에 연결된 출력 단자(202); 본체회로에 대한 설정에 따라, 다수의 기타 이펙터 모듈(100) 중 하나 또는 복수를 온오프시킴에 따라 다양한 기타 이펙터 모듈(100)들의 조합이 형성되도록, 본체(210) 또는 본체(210)와 연결된 별도의 장치에 설치됨과 아울러, 본체회로에 연결된 다수의 풋 스위치(A,B,C,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17,18).
여기서, 본체회로는 입력 단자(201)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가 다수의 부품회로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변조되도록 하여, 변조된 신호를 출력 단자(202)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멀티형 기타 이펙터는 종래와 같이 각각의 별도의 완제품으로 구성된 다수의 컴팩터와 멀티형 장치(루프)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기타 이펙터 모듈(100)을 멀티형 기타 이펙터 본체(210)에 결합하여 비로소 완제품을 이루도록 한 것이다.
다수의 스위치(600)가 설치되는 "본체(210)와 연결된 별도의 장치"란, 본체(210)가 연주자의 발에 닿도록 바닥에 놓이지 않는 경우, 스위치(240)가 설치된 별도의 장치를 바닥에 놓고, 그 별도의 장치가 유무선에 의해 본체(210)와 연결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러한 구성을 취하는 경우, 기타 이펙터 모듈(100)을 본체(210) 내에 장착하고, 그 회로연결부(120)를 본체의 본체연결부(220)에 연결하는 것만으로, 다수의 기타 이펙터용 회로가 상호 결합한 조합구조를 이룰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은 다수의 케이블의 사용을 생략할 수 있어, 운반, 보관, 설치 및 사용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휴대폰에 의한 기타 이펙터 루프 제어장치는, 이와 같은 멀티형 기타 이펙터에 대하여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멀티형 기타 이펙터 제어장치는, 다수의 풋 스위치(A,B,C,D)와, 각각의 풋 스위치(A,B,C,D)에 설정된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조합에 의해 구성된 패치를 휴대폰(700)의 패치화면(710)에 표시하는 패치화면 표시부; 다수의 패치에 의해 구성된 뱅크를 휴대폰(700)의 뱅크화면(720)에 표시하는 뱅크화면 표시부; 뱅크화면(720)에 표시된 다수의 패치 중 하나의 패치를 선택하면, 패치화면 표시부에 의해, 선택된 패치에 해당하는 패치화면(710)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어장치가 멀티형 기타 이펙터에 적용된 경우의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연주자는 멀티형 기타 이펙터 본체(210)에 사용하고자 하는 기타 이펙터 모듈(100) 다수를 장착하고, 각각의 풋 스위치(A,B,C,D)에 설정된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조합에 의해 구성된 다수의 패치를 멀티형 기타 이펙터 본체(210)의 뱅크에 저장한다.
연주자는 휴대폰에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받는 등의 방법으로 기타 이펙터 루프 제어장치를 구현하고, 위 다수의 패치를 휴대폰의 뱅크에 저장한다.
이와 같이 저장된 다수의 패치는 뱅크화면(720)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 14는 이러한 뱅크화면(720)의 실시예로서, 각 패치가 고유번호 및 곡명에 의해 표시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뱅크화면(720)에서 하나의 패치(2. Let it be)를 선택하면, 당해 곡을 연주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기타 이펙터의 조합(다수의 풋 스위치(A,B,C,D)와, 각각의 풋 스위치(A,B,C,D)에 설정된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조합)인 패치의 구성을 표시하는 패치화면(710)이 표시된다.
도 15는 이러한 패치화면(710)의 실시예로서, 멀티형 기타 이펙터의 A 스위치에 기타 이펙터 모듈(100) 중 InBf(input buffer), OD(over drive)가 설정되고, B 스위치에 Ch(chorus)가 설정되고, C 스위치에 InBf(input buffer), DS(distortion), DI(direct interface), EQ(equalizer)가 설정되고, D 스위치에 WA(wah), OD(over drive), DS(distortion), DI(direct interface)가 설정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연주자는 휴대폰의 뱅크화면(720)에서 하나의 패치(2. Let it be)를 선택함으로써, 멀티형 기타 이펙터의 각 스위치를 일일이 눌러보지 않더라도, 자신이 미리 설정해 놓은 패치의 구성(각 스위치마다 설정된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조합)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는, 뱅크화면(720)에 표시된 다수의 패치 중 하나의 패치를 선택하면,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선택된 패치에 해당하는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조합이 멀티형 기타 이펙터에 설정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연주자가 휴대폰의 뱅크화면(720)에서 하나의 패치(2. Let it be)를 선택하면, 그 선택된 패치에 해당하는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조합이 자동으로 멀티형 기타 이펙터에 설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연주자는 휴대폰의 뱅크화면(720)에서 하나의 패치(2. Let it be)를 선택함으로써, 자신이 연주할 곡에 필요한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조합(패치)을 명확히 확인한 후, 이를 멀티형 기타 이펙터에 설정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멀티형 기타 이펙터의 명확하고 편리한 운용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주자 이외의 제3자가 자신의 휴대폰에 의해 그 연주자의 멀티형 기타 이펙터를 제어하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는 관객으로 하여금 색다른 재미를 느끼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패치화면(710)에는 다수의 풋 스위치(A,B,C,D)와 기타 이펙터 모듈(100)이 행과 열로 표시되는데, 풋 스위치(A,B,C,D)의 수에 비해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종류가 훨씬 많은 것이 일반적이므로, 다수의 풋 스위치(A,B,C,D)는 행으로 표시되고, 다수의 기타 이펙터 모듈(100)은 행으로 표시되도록 하고, 각각의 풋 스위치(A,B,C,D)에 설정된 기타 이펙터 모듈(100)은 행과 열에서 해당되는 셀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5).
뱅크화면(720)에서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패치는 고유번호, 곡명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연주자의 선택의 용이성을 위해 바람직하다.
복수의 스위치(600)의 기능과 관련된 실시예 및 효과는 기본적으로 위 기타 이펙터 루프 관련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며, 이하에서는 멀티형 기타 이펙터 특유의 구성 및 효과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체회로는 입력 단자(201)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를 다수의 본체연결부(220)의 본체출력부(222)를 통해 다수의 회로연결부(120)의 회로입력부(121)로 전달하고, 다수의 부품회로에 의해 변조된 신호를 다수의 회로연결부(120)의 회로출력부(122)를 통해 다수의 본체연결부(220)의 본체입력부(221)로 전달받아, 출력 단자(202)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잡음을 줄이기 위해서는, 시그널 그라운드(signal GND)를 별도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회로연결부(120)의 시그널 그라운드 연결부(124)와 본체연결부(220)의 시그널 그라운드 연결부(224)를 별도로 연결한다.
예컨대, 입력 단자(201)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는 본체(210)의 1번 본체연결부(220)의 본체출력부(222)를 통해, 1번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회로연결부(120)의 회로입력부(121)로 전달되고, 1번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회로에 의해 변조된 신호는 회로연결부(120)의 회로출력부(122)를 통해 1번 본체연결부(220)의 본체입력부(221)로 전달되며, 이는 다시 본체회로에 전달된다.
이러한 본체회로의 신호는 본체(210)의 2번 본체연결부(220)의 본체출력부(222)를 통해, 2번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회로연결부(120)의 회로입력부(121)로 전달되고, 2번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회로에 의해 변조된 신호는 회로연결부(120)의 회로출력부(122)를 통해 2번 본체연결부(220)의 본체입력부(221)로 전달되며, 이는 다시 본체회로에 전달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최종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회로에 의해 변조된 신호는 회로연결부(120)의 회로출력부(122)를 통해 최종 본체연결부(220)의 본체입력부(221)로 전달되며, 이는 출력단자(202)를 통해 출력된다.
모듈 케이스(130)에는 레벨, 톤 등의 조절을 위한 가변저항 구동부(131)가 장착되고, 이러한 모듈 케이스(130)가 본체의 트임부(212)에 결합함으로써, 위 가변저항 구동부(131)에 의해 해당 부품 조립체의 이펙터 회로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모듈 케이스(130)에는 상부에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측으로 단차지게 걸림부(150)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구조의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상면을 본체(210)의 하측 개방부를 통해 위 트임부(212)로 노출시키면서, 걸림부(150)가 본체의 트임부(212)의 가장자리에 걸리도록 하고, 본체(210)의 하측 개방부는 별도의 폐쇄판(250)에 의해 결합(나사결합 등)하는 경우, 간편하면서도 안정적인 결합을 이룰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도 20).
걸림부(150)에 결합공(151)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나사부재 등을 본체(210)에 결합하는 경우, 더욱 안정적인 결합을 이룰 수 있다.
본체(210)의 트임부(212)는 모듈 케이스(130) 하나 또는 복수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트임부(212)가 복수의 모듈 케이스(13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하나의 트임부(212)에 복수의 소형 기타 이펙터 모듈(100a)을 설치할 수 있다(도 17).
멀티형 기타 이펙터 본체의 본체연결부(220)는 트임부(212) 하측에 돌출된 구성을 취하고,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회로연결부(120)는 이에 대응하도록 함몰된 구성을 취하는 것이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안정적인 장착을 위하여 바람직하다(도 17,18).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회로연결부(120)에는, 입력신호를 회로에 전달하기 위한 회로입력부(121), 회로에 의해 변조된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회로출력부(122), 회로에 대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회로전원공급부(123)가 형성된다.
이러한 회로연결부(120)와 연결되는 본체연결부(220)에는, 회로출력부(122)의 출력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본체입력부(221), 본체회로의 신호를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회로입력부(121)에 전달하기 위한 본체출력부(222), 회로전원공급부(123)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본체전원공급부(223)가 형성된다(도 19).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회로연결부(120)와 본체(210)의 본체연결부(220)는 요철구조에 의한 끼움결합 등에 의해 결합할 수 있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상면이 트임부(212)를 통해 노출되는 결합구조를 취하는 경우에는,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회로연결부(120)는 홈 구조를 취하고, 본체(210)의 본체연결부(220)는 돌출 구조를 취하도록 함으로써, 본체(210)에 대한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결합과 함께 회로연결부(120)와 본체연결부(220)의 결합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체(210)는 격벽(214)에 의해 공간적으로 구획되는데, 구획된 공간 중 본체회로장착공간(213)에는 본체회로기판(230)이 장착되고, 그 반대편인 모듈장착공간(211)에는 기타 이펙터 모듈(100)이 장착된다.
본체회로기판(230)에 연결된 본체연결부(220)는 격벽(214)을 건너 모듈장착공간(211) 측으로 노출되고, 이러한 모듈장착공간(211)에서 다수의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수의 기타 이펙터 모듈(100)을 원하는 패턴으로 본체(210)에 결합하고, 이에 따라 그 내부 모듈장착공간(211)에서 각각의 회로연결부(120)와 본체연결부(220)가 결합하는 것만으로 원하는 조합의 멀티형 기타 이펙터를 이룰 수 있는 것이다.
기타(a)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도록 본체회로에 연결된 입력 단자(201)와, 출력신호를 앰프(b)에 송신하도록 본체회로에 연결된 출력 단자(202)가 본체(2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고, 부품회로기판(110)을 온 또는 오프시키기 위하여 본체회로에 연결된 다수의 스위치(600)가 본체(210)의 상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스위치(600)의 기능은 상술한 기타 이펙터 루프의 스위치(600)의 기능과 동일하다.
본체(210)에는 전원공급단자(203)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전원공급단자(203)에서 공급된 전원은 다수의 본체연결부(220)의 본체전원공급부(223) 및 다수의 회로연결부(120)의 회로전원공급부(123)를 통해 다수의 부품회로기판(110)에 공급된다.
본체회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본체연결부(220) 중 하나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다음의 본체연결부(220)를 통해 출력하고, 이러한 과정의 반복에 의해 변조된 신호를 출력단자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a : 기타 b : 앰프
100 : 기타 이펙터 모듈 110 : 부품회로기판
120 : 회로연결부 121 : 회로입력부
122 : 회로출력부 130 : 모듈 케이스
201 : 입력 단자 202 : 출력 단자
203 : 전원공급단자 210 : 본체
211 : 모듈장착공간 212 : 트임부
213 : 본체회로장착공간 214 : 격벽
220 : 본체연결부 221 : 본체입력부
222 : 본체출력부 223 : 본체전원공급부
230 : 본체회로기판 240 : 스위치
300 : 스위치 모듈 400 : 결합판
700 : 휴대폰 710 : 패치화면
720 : 뱅크화면

Claims (8)

  1. 기타(a), 앰프(b) 및 다수의 컴팩터(1,2,3,4)와 연결되고, 본체의 제어부에 대한 설정에 따라, 상기 다수의 컴팩터(1,2,3,4) 중 하나 또는 복수를 온오프시키도록 설정된 다수의 풋 스위치(A,B,C,D)를 구비하며, 각각의 상기 풋 스위치(A,B,C,D)마다 상기 다수의 컴팩터(1,2,3,4) 중 컴팩터(1,2,3,4)의 조합이 설정되도록, 다수의 상기 풋 스위치(A,B,C,D)가 상기 본체에 설치된 기타 이펙터 루프를 제어하도록 휴대폰(700)에 설치된 장치로서,
    다수의 상기 풋 스위치(A,B,C,D)와, 각각의 상기 풋 스위치(A,B,C,D)에 설정된 상기 컴팩터(1,2,3,4)의 조합에 의해 구성된 패치를 상기 휴대폰(700)의 패치화면(710)에 표시하는 패치화면 표시부;
    다수의 상기 패치에 의해 구성된 뱅크를 상기 휴대폰(700)의 뱅크화면(720)에 표시하는 뱅크화면 표시부;
    상기 뱅크화면(720)에 표시된 다수의 상기 패치 중 하나의 패치를 선택하면, 상기 패치화면 표시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패치에 해당하는 상기 패치화면(710)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뱅크화면(720)에 표시된 다수의 상기 패치 중 하나의 패치를 선택하면, 통신에 의해, 선택된 상기 패치에 해당하는 상기 컴팩터(1,2,3,4)의 조합이 상기 기타 이펙터 루프에 설정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패치화면(710)에서,
    다수의 상기 풋 스위치(A,B,C,D)는 행으로 표시되고,
    다수의 상기 컴팩터(1,2,3,4)는 열로 표시되고,
    각각의 상기 풋 스위치(A,B,C,D)에 설정된 상기 컴팩터(1,2,3,4)는 상기 행과 열에서 해당되는 셀에 표시되고,
    상기 뱅크화면(720)에서,
    다수의 상기 패치는 고유번호, 곡명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기타 이펙터 루프 제어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아날로그 방식의 기타 이펙터용 회로가 형성된 부품회로기판(110);
    상기 회로에 의한 사운드를 조절하기 위한 가변저항 구동부(131)가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부품회로기판(110)이 내부에 설치된 모듈 케이스(130);
    상기 회로에 대한 회로입력부(121), 회로출력부(122), 회로전원공급부(123)가 형성되고, 상기 부품회로기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모듈 케이스(130)의 외부에 설치된 회로연결부(120);를 포함하는 기타 이펙터 모듈(100) 다수가 설치되는 멀티형 기타 이펙터를 제어하도록 휴대폰(700)에 설치된 장치로서,
    내부에 다수의 상기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장착을 위한 모듈장착공간(211)이 형성된 본체(210);
    다수의 상기 모듈 케이스(130)가 설치되도록, 상기 모듈 케이스(130) 하나 또는 복수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본체(210)의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트임부(212);
    다수의 상기 회로연결부(120)의 회로입력부(121), 회로출력부(122), 회로전원공급부(123)에 대응하여 연결되도록, 본체입력부(221), 본체출력부(222), 본체전원공급부(223)가 형성된 다수의 본체연결부(220);
    상기 다수의 본체연결부(220)와 연결되고, 상기 본체(210)의 본체회로장착공간(213)에 장착됨과 아울러, 본체회로가 형성된 본체회로기판(230);
    기타(a)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본체(210)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회로에 연결된 입력 단자(201);
    출력신호를 앰프(b)에 송신하도록 상기 본체(210)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회로에 연결된 출력 단자(202);
    상기 본체회로에 대한 설정에 따라, 상기 다수의 기타 이펙터 모듈(100) 중 하나 또는 복수를 온오프시킴에 따라 다양한 상기 기타 이펙터 모듈(100)들의 조합이 형성되도록, 상기 본체(210) 또는 상기 본체(210)와 연결된 별도의 장치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회로에 연결된 다수의 풋 스위치(A,B,C,D);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회로는 상기 입력 단자(201)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가 상기 다수의 부품회로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변조되도록 하여, 변조된 신호를 상기 출력 단자(202)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다수의 상기 풋 스위치(A,B,C,D)와, 각각의 상기 풋 스위치(A,B,C,D)에 설정된 상기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조합에 의해 구성된 패치를 상기 휴대폰(700)의 패치화면(710)에 표시하는 패치화면 표시부;
    다수의 상기 패치에 의해 구성된 뱅크를 상기 휴대폰(700)의 뱅크화면(720)에 표시하는 뱅크화면 표시부;
    상기 뱅크화면(720)에 표시된 다수의 상기 패치 중 하나의 패치를 선택하면, 상기 패치화면 표시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패치에 해당하는 상기 패치화면(710)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뱅크화면(720)에 표시된 다수의 상기 패치 중 하나의 패치를 선택하면, 통신에 의해, 선택된 상기 패치에 해당하는 상기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조합이 상기 멀티형 기타 이펙터에 설정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패치화면(710)에서,
    다수의 상기 풋 스위치(A,B,C,D)는 행으로 표시되고,
    다수의 상기 기타 이펙터 모듈(100)은 열로 표시되고,
    각각의 상기 풋 스위치(A,B,C,D)에 설정된 상기 기타 이펙터 모듈(100)은 상기 행과 열에서 해당되는 셀에 표시되고,
    다수의 상기 패치는 고유번호, 곡명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멀티형 기타 이펙터 제어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60124686A 2016-09-28 2016-09-28 휴대폰을 이용한 기타 이펙터 루프 제어장치 KR101797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686A KR101797513B1 (ko) 2016-09-28 2016-09-28 휴대폰을 이용한 기타 이펙터 루프 제어장치
PCT/KR2017/010630 WO2018062813A1 (ko) 2016-09-28 2017-09-26 휴대폰을 이용한 기타 이펙터 루프 제어장치
US15/718,193 US9972295B2 (en) 2016-09-28 2017-09-28 Control apparatus for guitar effector loop using cellular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686A KR101797513B1 (ko) 2016-09-28 2016-09-28 휴대폰을 이용한 기타 이펙터 루프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7513B1 true KR101797513B1 (ko) 2017-11-15

Family

ID=60386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4686A KR101797513B1 (ko) 2016-09-28 2016-09-28 휴대폰을 이용한 기타 이펙터 루프 제어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972295B2 (ko)
KR (1) KR101797513B1 (ko)
WO (1) WO201806281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24579A (zh) * 2019-12-24 2020-05-08 北京金山安全软件有限公司 一种特效渲染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17386S1 (en) * 2015-04-21 2018-05-08 Roger William Graham Electronic device for musical instrument
TWI601061B (zh) * 2015-10-16 2017-10-01 創蘊股份有限公司 智慧型效果器
US10984772B2 (en) * 2019-08-16 2021-04-20 Luke ROBERTSON Loop switcher, controllers therefor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n array of audio effect devices
EP4120239A4 (en) 2020-09-04 2023-06-07 Roland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7246B1 (ko) * 2012-11-15 2014-03-25 이승재 기타 이펙터 모듈을 이용한 멀티형 기타 이펙터, 스위치 모듈 및 컴팩터형 기타 이펙터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5055B1 (en) * 1997-08-06 2001-04-10 Darren Saravis Foot pedal boards for musical instruments
JP2007304128A (ja) * 2006-05-08 2007-11-22 Roland Corp 効果装置
US20090183625A1 (en) * 2008-01-09 2009-07-23 Marek Konrad Sanders Effects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KR100956029B1 (ko) * 2008-10-20 2010-05-06 주식회사 엔터기술 악기연주 연습장치
KR101137636B1 (ko) * 2010-03-25 2012-04-19 김재호 휴대형 무선 이펙터
US8614385B2 (en) * 2010-05-07 2013-12-24 Ryan R. Ridgeway Musical effects pedal retaining device and pedal board
BRMU9100858U8 (pt) * 2011-04-14 2017-09-19 Agr Ind Comercio E Servicos De Equipamentos Eletronicos Ltda Disposição construtiva introduzida em pedaleira para distorção e efeitos de áudio programáveis
KR101137448B1 (ko) * 2012-02-03 2012-04-20 (주)한국정밀 이펙터를 착탈 할 수 있고 경량인 전기기타
US8957297B2 (en) * 2012-06-12 2015-02-17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 Programmable musical instrument pedalboard
US9263014B2 (en) * 2013-03-14 2016-02-16 Andrew John Brandt Method and apparatus for audio effects chain sequencing
AU2013270633A1 (en) * 2013-05-08 2014-12-18 Mayo, Gerard Peter MR Pedal Board and Pedal Board Connection System
US9355629B2 (en) * 2013-09-05 2016-05-31 Sonic Nuance Electronics, LLC Mutable direct box and integrated phantom-powered music instrument tuner
US20150161973A1 (en) * 2013-12-06 2015-06-11 Intelliterran Inc. Synthesized Percussion Pedal and Docking Station
US9892720B2 (en) * 2013-12-06 2018-02-13 Intelliterran Inc. Synthesized percussion pedal and docking station
US9905210B2 (en) * 2013-12-06 2018-02-27 Intelliterran Inc. Synthesized percussion pedal and docking station
US20160019877A1 (en) * 2014-07-21 2016-01-21 Jesse Martin Remignanti System for networking audio effects processors, enabling bidirectional communication and storage/recall of data
US9595248B1 (en) * 2015-11-11 2017-03-14 Doug Classe Remotely operable bypass loop device and system
US9728172B1 (en) * 2016-04-05 2017-08-08 John A. Perez System and method to interface and control multiple musical instrument effects modules on a common platform
KR101845866B1 (ko) * 2016-08-16 2018-05-18 이승재 기타 이펙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7246B1 (ko) * 2012-11-15 2014-03-25 이승재 기타 이펙터 모듈을 이용한 멀티형 기타 이펙터, 스위치 모듈 및 컴팩터형 기타 이펙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24579A (zh) * 2019-12-24 2020-05-08 北京金山安全软件有限公司 一种特效渲染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1124579B (zh) * 2019-12-24 2023-12-19 北京金山安全软件有限公司 一种特效渲染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72295B2 (en) 2018-05-15
US20180090114A1 (en) 2018-03-29
WO2018062813A1 (ko) 2018-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7513B1 (ko) 휴대폰을 이용한 기타 이펙터 루프 제어장치
US7678985B2 (en) Standalone electronic module for use with musical instruments
US9633640B1 (en) Guitar effector
CN1912990B (zh) 演奏设备及其乐音产生方法
CN101168098B (zh) 指琴
CN102047566B (zh) 用于组合电子音乐乐器的输入的系统和设备
KR101377246B1 (ko) 기타 이펙터 모듈을 이용한 멀티형 기타 이펙터, 스위치 모듈 및 컴팩터형 기타 이펙터
US10102838B2 (en) Tone effects system with reversible effects cartridges
KR101137636B1 (ko) 휴대형 무선 이펙터
KR20060044826A (ko) 발광 소자의 발광과 음성을 동기하여 제어하는 전자기기
CN104106268B (zh) 模拟混合器装置
CN104157275A (zh) 一种五指组合控制的新型电子乐器
US10275205B2 (en) Smart effect unit
KR101368980B1 (ko) 기타 이펙터용 부품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멀티형 기타 이펙터
KR101797512B1 (ko) 기타 이펙터 루프 및 이를 이용한 멀티형 기타 이펙터
JP5308340B2 (ja) 楽器増幅システム
WO2019242097A1 (zh) 一种演绎系统
KR101333456B1 (ko) 악기를 연주하기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방법
JP2577426B2 (ja) 合奏装置
KR20090058357A (ko) 반주기용 앰프의 에코 컨트롤장치
KR940005038B1 (ko) 디지털 피아노 교육용 통신장치
JPS6220873Y2 (ko)
JP2895338B2 (ja) 音響効果制御装置
CN112562615A (zh) 电子打击乐器
KR200329658Y1 (ko) 디지털 게임기가 내장된 완구형 핸드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