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7246B1 - 기타 이펙터 모듈을 이용한 멀티형 기타 이펙터, 스위치 모듈 및 컴팩터형 기타 이펙터 - Google Patents

기타 이펙터 모듈을 이용한 멀티형 기타 이펙터, 스위치 모듈 및 컴팩터형 기타 이펙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7246B1
KR101377246B1 KR1020120129294A KR20120129294A KR101377246B1 KR 101377246 B1 KR101377246 B1 KR 101377246B1 KR 1020120129294 A KR1020120129294 A KR 1020120129294A KR 20120129294 A KR20120129294 A KR 20120129294A KR 101377246 B1 KR101377246 B1 KR 101377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main body
module
unit
eff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9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재
Original Assignee
이승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재 filed Critical 이승재
Priority to KR1020120129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7246B1/ko
Priority to US14/442,516 priority patent/US9633639B2/en
Priority to CN201380059690.1A priority patent/CN104885147B/zh
Priority to PCT/KR2013/009969 priority patent/WO201407753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7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7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10H1/34Switch arrangements, e.g. keyboards or mechanical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44Structural association with individual keys
    • G10H1/348Switches actuated by parts of the body other than fing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91Means for obtaining special acoustic effec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2Means for controlling the tone frequencies, e.g. attack or decay; Means for producing special musical effects, e.g. vibratos or glissandos
    • G10H1/04Means for controlling the tone frequencies, e.g. attack or decay; Means for producing special musical effects, e.g. vibratos or glissandos by additional modulation
    • G10H1/043Continuous modul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1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G10H3/18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using a string, e.g. electric guita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1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G10H3/18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using a string, e.g. electric guitar
    • G10H3/186Means for processing the signal picked up from the string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155Musical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날로그 방식의 기타 이펙터용 회로가 형성된 부품회로기판(110); 회로에 의한 사운드를 조절하기 위한 노브(131)가 장착됨과 아울러, 부품회로기판(110)이 내부에 설치된 모듈 케이스(130); 회로에 대한 회로입력부(121), 회로출력부(122), 회로전원공급부(123)가 형성되고, 부품회로기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모듈 케이스(130)의 외부에 설치된 회로연결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타 이펙터 모듈(100)을 제시함으로써, 아날로그 방식의 이펙터 회로 다수를 사용하면서도 케이블의 사용을 생략할 수 있어, 운반, 보관, 설치 및 사용이 간편하면서도,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아날로그 회로의 신호를 외부잡음으로부터 보호하는 차폐효과를 가지며, 모듈의 교환 시 부주의에 의한 기판회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기타 이펙터 모듈을 이용한 멀티형 기타 이펙터, 스위치 모듈 및 컴팩터형 기타 이펙터{MULTI-TYPE GUITAR EFFECTOR USING GUITAR EFFECTOR MODULE, SWITCH MODULE AND COMPACTOR-TYPE GUITAR EFFECTOR}
본 발명은 악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기타의 이펙터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타의 음색을 변조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이펙터가 사용된다.
이러한 이펙터는 아날로그 방식과 디지털 방식으로 대별할 수 있는데, 후자는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음질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으므로, 최근에는 다시 아날로그 방식의 이펙터가 주로 사용되는 추세이다.
아날로그 방식의 이펙터는 컴팩터라고 하며, 연주자가 연주 중 풋 스위치(foot switch)에 의해 온오프를 조절하므로 꾹꾹이라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컴팩터는 다수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때 다수의 컴팩터를 모두 온(on)으로 하면, 다수의 컴팩터의 조합에 의해 변조된 음색을 얻을 수 있고, 일부는 온, 일부는 오프(off)로 하는 경우, 오프로 된 컴팩터는 바이패스되고 온으로 된 컴팩터들만의 조합에 의해 변조된 음색을 얻게 된다.
기타의 연주 시, 연주자는 동일한 곡 내에서도 복수의 음색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러한 음색 중 하나의 음색은 복수의 컴팩터의 조합에 의해 사용한다.
예컨대, 아르페지오나 스트로크의 경우에는 클린 톤(clean tone)을 얻기 위해, chorus, delay, reverbe 등의 이펙터를 조합하여 사용하고, 락 음악 느낌을 내기 위한 백킹(backing)의 경우에는 distortion, over drive, heavy metal 등의 이펙터를 조합하여 사용하며, 특수 효과가 필요한 경우에는 flanger, phaser 등의 이펙터를 조합하여 사용한다.
한편, 연주자가 연주 중 다수의 풋 스위치를 조작하여 위 조합을 만들어 내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일이므로, 미리 컴팩터의 조합을 설정해 놓기 위한 기타 이펙터의 멀티형 장치(loop)가 개발되어 있다(도 1).
이는 기타(1)의 입력신호를 변조하여 앰프(2)로 출력하기 위한 기타 이펙터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컴팩터(10)를 상호 조합하고, 장치 본체(20)에 대하여 send(24), return(25) 방식으로 연결하며, 하나의 풋 스위치(23)에 의해 복수의 컴팩터(10)가 온 또는 오프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런데, 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첫째, 다수의 컴팩터를 연결하기 위하여 많은 수의 케이블이 필요하고, 이로 인하여 설치 및 사용이 불편하고, 비용이 증가한다는 점이다.
둘째, 다수의 컴팩터, 멀티형 장치 본체가 각각 별개의 완제품의 구성을 취하므로, 그 부피가 너무 크고, 불필요한 중량이 많이 나가므로, 운반 및 보관이 불편하다는 점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아날로그 방식의 이펙터 회로 다수를 사용하면서도 케이블의 사용을 생략할 수 있어, 운반, 보관, 설치 및 사용이 간편하면서도,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아날로그 회로의 신호를 외부잡음으로부터 보호하는 차폐효과를 가지며, 모듈의 교환 시 부주의에 의한 기판회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타 이펙터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멀티형 기타 이펙터를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아날로그 방식의 기타 이펙터용 회로가 형성된 부품회로기판(110); 상기 회로에 의한 사운드를 조절하기 위한 노브(131)가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부품회로기판(110)이 내부에 설치된 모듈 케이스(130); 상기 회로에 대한 회로입력부(121), 회로출력부(122), 회로전원공급부(123)가 형성되고, 상기 부품회로기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모듈 케이스(130)의 외부에 설치된 회로연결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타 이펙터 모듈(100)을 제시한다.
상기 회로연결부(120)에는 시그널 그라운드 연결부(124)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듈 케이스(130)는 상부에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걸림부(15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기타 이펙터 모듈(100) 다수가 설치되는 멀티형 기타 이펙터로서, 내부에 다수의 상기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장착을 위한 모듈장착공간(211)이 형성된 본체(210); 다수의 상기 모듈 케이스(130)가 설치되도록, 상기 모듈 케이스(130) 하나 또는 복수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본체(210)의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트임부(212); 다수의 상기 회로연결부(120)의 회로입력부(121), 회로출력부(122), 회로전원공급부(123)에 대응하여 연결되도록, 본체입력부(221), 본체출력부(222), 본체전원공급부(223)가 형성된 다수의 본체연결부(220); 상기 다수의 본체연결부(220)와 연결되고, 상기 본체(210)의 본체회로장착공간(213)에 장착됨과 아울러, 본체회로가 형성된 본체회로기판(230); 기타(1)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본체(210)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회로에 연결된 입력 단자(201); 출력신호를 앰프(2)에 송신하도록 상기 본체(210)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회로에 연결된 출력 단자(202); 상기 부품회로기판(110)을 온 또는 오프시키도록 상기 본체(210)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회로에 연결된 다수의 스위치(24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회로는 상기 입력 단자(201)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가 상기 다수의 부품회로기판(110)의 부품회로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변조되도록 하여, 변조된 신호를 상기 출력 단자(202)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기타 이펙터를 함께 제시한다.
상기 본체회로는 상기 입력 단자(201)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를 상기 다수의 본체연결부(220)의 상기 본체출력부(222)를 통해 상기 다수의 회로연결부(120)의 상기 회로입력부(121)로 전달하고, 상기 다수의 부품회로기판(110)의 부품회로에 의해 변조된 신호를 상기 다수의 회로연결부(120)의 상기 회로출력부(122)를 통해 상기 다수의 본체연결부(220)의 상기 본체입력부(221)로 전달받아, 상기 출력 단자(202)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상기 스위치(240)는 복수의 상기 부품회로기판(110)을 온 또는 오프시키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회로는 프로그램어블 루프(programable loop) 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210)에는 전원공급단자(203)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회로는 상기 전원공급단자(203)에서 공급된 전원을 상기 다수의 본체연결부(220)의 본체전원공급부(223) 및 상기 다수의 회로연결부(120)의 회로전원공급부(123)를 통해 상기 다수의 부품회로기판(110)에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210)의 모듈장착공간(211)과 본체회로장착공간(213)은 격벽(214)에 의해 공간적으로 구획되고, 상기 다수의 회로연결부(120)와 다수의 본체연결부(220)는 상기 모듈장착공간(211)에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기타 이펙터 모듈(100) 다수가 설치되는 멀티형 기타 이펙터로서, 내부에 다수의 상기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장착을 위한 모듈장착공간(211)이 형성된 본체(210); 다수의 상기 모듈 케이스(130)가 설치되도록, 상기 모듈 케이스(130) 하나 또는 복수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본체(210)의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트임부(212); 다수의 상기 회로연결부(120)의 회로입력부(121), 회로출력부(122), 회로전원공급부(123), 시그널 그라운드 연결부(124)에 대응하여 연결되도록, 본체입력부(221), 본체출력부(222), 본체전원공급부(223), 시그널 그라운드 연결부(224)가 형성된 다수의 본체연결부(220); 상기 다수의 본체연결부(220)와 연결되고, 상기 본체(210)의 본체회로장착공간(213)에 장착됨과 아울러, 본체회로가 형성된 본체회로기판(230); 기타(1)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본체(210)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회로에 연결된 입력 단자(201); 출력신호를 앰프(2)에 송신하도록 상기 본체(210)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회로에 연결된 출력 단자(202); 상기 부품회로기판(110)을 온 또는 오프시키도록 상기 본체(210)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회로에 연결된 다수의 스위치(24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회로는 상기 입력 단자(201)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가 상기 다수의 부품회로기판(110)의 부품회로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변조되도록 하여, 변조된 신호를 상기 출력 단자(202)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기타 이펙터를 함께 제시한다.
본 발명은 상기 기타 이펙터 모듈(100) 다수가 설치되는 멀티형 기타 이펙터로서, 내부에 다수의 상기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장착을 위한 모듈장착공간(211)이 형성된 본체(210); 다수의 상기 모듈 케이스(130)가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걸림부(150)가 가장자리에 걸리도록, 상기 모듈 케이스(130) 하나 또는 복수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본체(210)의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트임부(212); 다수의 상기 회로연결부(120)의 회로입력부(121), 회로출력부(122), 회로전원공급부(123)에 대응하여 연결되도록, 본체입력부(221), 본체출력부(222), 본체전원공급부(223)가 형성된 다수의 본체연결부(220); 상기 다수의 본체연결부(220)와 연결되고, 상기 본체(210)의 본체회로장착공간(213)에 장착됨과 아울러, 본체회로가 형성된 본체회로기판(230); 기타(1)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본체(210)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회로에 연결된 입력 단자(201); 출력신호를 앰프(2)에 송신하도록 상기 본체(210)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회로에 연결된 출력 단자(202); 상기 부품회로기판(110)을 온 또는 오프시키도록 상기 본체(210)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회로에 연결된 다수의 스위치(24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회로는 상기 입력 단자(201)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가 상기 다수의 부품회로기판(110)의 부품회로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변조되도록 하여, 변조된 신호를 상기 출력 단자(202)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기타 이펙터를 함께 제시한다.
본 발명은 컴팩터형 기타 이펙터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기타 이펙터 모듈(100)과 결합하는 스위치 모듈(300)로서,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본체 케이스(310); 상기 회로연결부(120)의 회로입력부(121), 회로출력부(122), 회로전원공급부(123)에 대응하여 연결되도록, 본체입력부(321), 본체출력부(322), 본체전원공급부(323)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 케이스(310)의 외부에 설치된 본체연결부(320); 상기 본체연결부(320)와 연결되고, 상기 본체 케이스(310)의 내부에 장착됨과 아울러, 본체회로가 형성된 본체회로기판(330); 기타(1)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본체 케이스(310)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회로에 연결된 입력 단자(301); 출력신호를 앰프(2)에 송신하도록 상기 본체 케이스(310)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회로에 연결된 출력 단자(302); 상기 부품회로기판(110)을 온 또는 오프시키도록 상기 본체 케이스(310)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회로에 연결된 스위치(34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회로는 상기 입력 단자(301)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가 상기 부품회로기판(110)의 부품회로에 의해 변조되도록 하여, 변조된 신호를 상기 출력 단자(302)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듈(300)을 함께 제시한다.
본 발명은 컴팩터형 기타 이펙터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기타 이펙터 모듈(100)과 결합하는 스위치 모듈(300)로서,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본체 케이스(310); 상기 회로연결부(120)의 회로입력부(121), 회로출력부(122), 회로전원공급부(123), 시그널 그라운드 연결부(124)에 대응하여 연결되도록, 본체입력부(321), 본체출력부(322), 본체전원공급부(323), 시그널 그라운드 연결부(324)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 케이스(310)의 외부에 설치된 본체연결부(320); 상기 본체연결부(320)와 연결되고, 상기 본체 케이스(310)의 내부에 장착됨과 아울러, 본체회로가 형성된 본체회로기판(330); 기타(1)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본체 케이스(310)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회로에 연결된 입력 단자(301); 출력신호를 앰프(2)에 송신하도록 상기 본체 케이스(310)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회로에 연결된 출력 단자(302); 상기 부품회로기판(110)을 온 또는 오프시키도록 상기 본체 케이스(310)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회로에 연결된 스위치(34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회로는 상기 입력 단자(301)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가 상기 부품회로기판(110)의 부품회로에 의해 변조되도록 하여, 변조된 신호를 상기 출력 단자(302)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듈(300)을 함께 제시한다.
본 발명은 컴팩터형 기타 이펙터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기타 이펙터 모듈(100)과 결합하는 스위치 모듈(300)로서,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걸림부(150)가 가장자리에 걸리도록 형성된 본체 케이스(310); 상기 회로연결부(120)의 회로입력부(121), 회로출력부(122), 회로전원공급부(123)에 대응하여 연결되도록, 본체입력부(321), 본체출력부(322), 본체전원공급부(323)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 케이스(310)의 외부에 설치된 본체연결부(320); 상기 본체연결부(320)와 연결되고, 상기 본체 케이스(310)의 내부에 장착됨과 아울러, 본체회로가 형성된 본체회로기판(330); 기타(1)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본체 케이스(310)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회로에 연결된 입력 단자(301); 출력신호를 앰프(2)에 송신하도록 상기 본체 케이스(310)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회로에 연결된 출력 단자(302); 상기 부품회로기판(110)을 온 또는 오프시키도록 상기 본체 케이스(310)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회로에 연결된 스위치(34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회로는 상기 입력 단자(301)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가 상기 부품회로기판(110)의 부품회로에 의해 변조되도록 하여, 변조된 신호를 상기 출력 단자(302)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듈(300)을 함께 제시한다.
본 발명은 아날로그 방식의 기타 이펙터용 회로가 형성된 부품회로기판(110); 상기 회로에 의한 사운드를 조절하기 위한 노브(131)가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부품회로기판(110)이 내부에 설치된 모듈 케이스(130); 상기 회로에 대한 회로입력부(121), 회로출력부(122), 회로전원공급부(123)가 형성되고, 상기 부품회로기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모듈 케이스(130)의 외부에 설치된 회로연결부(120);를 포함하는 기타 이펙터 모듈(100)과; 상기 스위치 모듈(300)과; 상기 기타 이펙터 모듈(100) 및 스위치 모듈(300)의 저면 또는 측면에 공통으로 결합하는 결합판(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팩터형 기타 이펙터를 함께 제시한다.
본 발명은 아날로그 방식의 기타 이펙터용 회로가 형성된 부품회로기판(110); 상기 회로에 의한 사운드를 조절하기 위한 노브(131)가 장착되고, 상부에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측으로 단차지게 걸림부(150)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부품회로기판(110)이 내부에 설치된 모듈 케이스(130); 상기 회로에 대한 회로입력부(121), 회로출력부(122), 회로전원공급부(123)가 형성되고, 상기 부품회로기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모듈 케이스(130)의 외부에 설치된 회로연결부(120);를 포함하는 기타 이펙터 모듈(100)과; 상기 스위치 모듈(300)과; 상기 기타 이펙터 모듈(100) 및 스위치 모듈(300)의 저면에 공통으로 결합하는 결합판(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팩터형 기타 이펙터를 함께 제시한다.
상기 결합판(400)은 상기 기타 이펙터 모듈(100) 복수 및 상기 스위치 모듈(300) 하나에 대응하는 구조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아날로그 방식의 이펙터 회로 다수를 사용하면서도 케이블의 사용을 생략할 수 있어, 운반, 보관, 설치 및 사용이 간편하면서도,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아날로그 회로의 신호를 외부잡음으로부터 보호하는 차폐효과를 가지며, 모듈의 교환 시 부주의에 의한 기판회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타 이펙터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멀티형 기타 이펙터를 제시한다.
도 1은 종래의 멀티형 기타 이펙터를 도시한 구성도.
도 2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는 기타 이펙터 모듈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기타 이펙터 모듈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멀티형 기타 이펙터의 제1 실시예의 평면도.
도 5는 멀티형 기타 이펙터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멀티형 기타 이펙터의 제1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멀티형 기타 이펙터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
도 8은 컴팩터형 기타 이펙터의 제1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9는 컴팩터형 기타 이펙터의 제2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10은 컴팩터형 기타 이펙터의 제1 실시예의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기타 이펙터 모듈(100)은 기본적으로, 아날로그 방식의 기타 이펙터용 회로가 형성된 부품회로기판(110); 회로에 의한 사운드를 조절하기 위한 노브(131)가 장착됨과 아울러, 부품회로기판(110)이 내부에 설치된 모듈 케이스(130); 회로에 대한 회로입력부(121), 회로출력부(122), 회로전원공급부(123)가 형성되고, 부품회로기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모듈 케이스(130)의 외부에 설치된 회로연결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기타 이펙터 모듈(100) 다수가 설치되는 멀티형 기타 이펙터는 기본적으로, 내부에 다수의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장착을 위한 모듈장착공간(211)이 형성된 본체(210); 다수의 모듈 케이스(130)가 설치되도록, 모듈 케이스(130) 하나 또는 복수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본체(210)의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트임부(212); 다수의 회로연결부(120)의 회로입력부(121), 회로출력부(122), 회로전원공급부(123)에 대응하여 연결되도록, 본체입력부(221), 본체출력부(222), 본체전원공급부(223)가 형성된 다수의 본체연결부(220); 다수의 본체연결부(220)와 연결되고, 본체(210)의 본체회로장착공간(213)에 장착됨과 아울러, 본체회로가 형성된 본체회로기판(230); 기타(1)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도록 본체(210)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회로에 연결된 입력 단자(201); 출력신호를 앰프(2)에 송신하도록 본체(210)에 형성됨과 아울러, 본체회로에 연결된 출력 단자(202); 부품회로기판(110)을 온 또는 오프시키도록 본체(210)에 설치됨과 아울러, 본체회로에 연결된 다수의 스위치(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4,5).
여기서, 본체회로는 입력 단자(201)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가 다수의 부품회로기판(110)의 부품회로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변조되도록 하여, 변조된 신호를 출력 단자(202)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본체회로는 입력 단자(201)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를 다수의 본체연결부(220)의 본체출력부(222)를 통해 다수의 회로연결부(120)의 회로입력부(121)로 전달하고, 다수의 부품회로기판(110)의 부품회로에 의해 변조된 신호를 다수의 회로연결부(120)의 회로출력부(122)를 통해 다수의 본체연결부(220)의 본체입력부(221)로 전달받아, 출력 단자(202)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잡음을 줄이기 위해서는, 시그널 그라운드(signal GND)를 별도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회로연결부(120)의 시그널 그라운드 연결부(124)와 본체연결부(220)의 시그널 그라운드 연결부(224)를 별도로 연결한다.
예컨대, 입력 단자(201)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는 본체(210)의 1번 본체연결부(220)의 본체출력부(222)를 통해, 1번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회로연결부(120)의 회로입력부(121)로 전달되고, 1번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회로에 의해 변조된 신호는 회로연결부(120)의 회로출력부(122)를 통해 1번 본체연결부(220)의 본체입력부(221)로 전달되며, 이는 다시 본체회로에 전달된다.
이러한 본체회로의 신호는 본체(210)의 2번 본체연결부(220)의 본체출력부(222)를 통해, 2번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회로연결부(120)의 회로입력부(121)로 전달되고, 2번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회로에 의해 변조된 신호는 회로연결부(120)의 회로출력부(122)를 통해 2번 본체연결부(220)의 본체입력부(221)로 전달되며, 이는 다시 본체회로에 전달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최종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회로에 의해 변조된 신호는 회로연결부(120)의 회로출력부(122)를 통해 최종 본체연결부(220)의 본체입력부(221)로 전달되며, 이는 출력단자(202)를 통해 출력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멀티형 기타 이펙터는 종래와 같이 각각의 별도의 완제품으로 구성된 다수의 컴팩터와 멀티형 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기타 이펙터 모듈(100)을 멀티형 기타 이펙터 본체(210)에 결합하여 비로소 완제품을 이루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취하는 경우, 기타 이펙터 모듈(100)을 본체(210) 내에 장착하고, 그 회로연결부(120)를 본체의 본체연결부(220)에 연결하는 것만으로, 다수의 기타 이펙터용 회로가 상호 결합한 조합구조를 이룰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은 다수의 케이블의 사용을 생략할 수 있어, 운반, 보관, 설치 및 사용이 간편하다는 효과가 있다.
모듈 케이스(130)에는 볼륨, 톤 등의 조절을 위한 노브(131)가 장착되고, 이러한 모듈 케이스(130)가 본체의 트임부(212)에 결합함으로써, 위 노브(131)에 의해 해당 부품 조립체의 이펙터 회로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모듈 케이스(130)에는 상부에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측으로 단차지게 걸림부(150)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구조의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상면을 본체(210)의 하측 개방부를 통해 위 트임부(212)로 노출시키면서, 걸림부(150)가 본체의 트임부(212)의 가장자리에 걸리도록 하고, 본체(210)의 하측 개방부는 별도의 폐쇄판(250)에 의해 결합(나사결합 등)하는 경우, 간편하면서도 안정적인 결합을 이룰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도 7).
걸림부(150)에 결합공(151)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나사부재 등을 본체(210)에 결합하는 경우, 더욱 안정적인 결합을 이룰 수 있다.
본체(210)의 트임부(212)는 모듈 케이스(130) 하나 또는 복수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데(도 4), 트임부(212)가 복수의 모듈 케이스(13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하나의 트임부(212)에 복수의 소형 기타 이펙터 모듈(100a)을 설치할 수도 있고(도 2), 2배 또는 3배 크기의 대형 기타 이펙터 모듈(100b)을 설치할 수도 있다는 장점이 추가된다(도 3).
위에서 대형 기타 이펙터 모듈(100b)은 진공관 회로와 같이 대형 기판을 필요로 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멀티형 기타 이펙터 본체의 본체연결부(220)는 트임부(212) 하측에 돌출된 구성을 취하고,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회로연결부(120)는 이에 대응하도록 함몰된 구성을 취하는 것이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안정적인 장착을 위하여 바람직하다(도 2 내지 5).
하나의 트임부(212)에 복수의 소형 기타 이펙터 모듈(100a), 또는 하나의 대형 기타 이펙터 모듈(100b)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의 경우(도 4), 하나의 트임부(212)에 복수의 본체연결부(220)가 위치하게 된다.
이때, 복수의 소형 기타 이펙터 모듈(100a)을 설치하는 경우는 관계없으나, 대형 기타 이펙터 모듈(100b)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본체연결부(220) 중 일부와 대형 기타 이펙터 모듈(100b)의 모듈 케이스(130) 사이에 저촉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대형 기타 이펙터 모듈(100b)의 모듈 케이스(130)에 회로연결부(120)와 별개로 이와 유사한 구성의 함몰부(120a)를 형성하여, 저촉되는 본체연결부(220)가 이에 인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
위와 같은 장점을 안정적으로 얻기 위하여, 대형 기타 이펙터 모듈(100b)은 소형 기타 이펙터 모듈(100a)의 배수(2배, 3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회로연결부(120)에는, 입력신호를 회로에 전달하기 위한 회로입력부(121), 회로에 의해 변조된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회로출력부(122), 회로에 대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회로전원공급부(123)가 형성된다.
이러한 회로연결부(120)와 연결되는 본체연결부(220)에는, 회로출력부(122)의 출력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본체입력부(221), 본체회로의 신호를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회로입력부(121)에 전달하기 위한 본체출력부(222), 회로전원공급부(123)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본체전원공급부(223)가 형성된다(도 6).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회로연결부(120)와 본체(210)의 본체연결부(220)는 요철구조에 의한 끼움결합 등에 의해 결합할 수 있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상면이 트임부(212)를 통해 노출되는 결합구조를 취하는 경우에는,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회로연결부(120)는 홈 구조를 취하고, 본체(210)의 본체연결부(220)는 돌출 구조를 취하도록 함으로써, 본체(210)에 대한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결합과 함께 회로연결부(120)와 본체연결부(220)의 결합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체(210)는 격벽(214)에 의해 공간적으로 구획되는데, 구획된 공간 중 본체회로장착공간(213)에는 본체회로기판(230)이 장착되고, 그 반대편인 모듈장착공간(211)에는 기타 이펙터 모듈(100)이 장착된다.
본체회로기판(230)에 연결된 본체연결부(220)는 격벽(214)을 건너 모듈장착공간(211) 측으로 노출되고, 이러한 모듈장착공간(211)에서 다수의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수의 기타 이펙터 모듈(100)을 원하는 패턴으로 본체(210)에 결합하고, 이에 따라 그 내부 모듈장착공간(211)에서 각각의 회로연결부(120)와 본체연결부(220)가 결합하는 것만으로 원하는 조합의 멀티형 기타 이펙터를 이룰 수 있는 것이다.
기타(1)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도록 본체회로에 연결된 입력 단자(201)와, 출력신호를 앰프(2)에 송신하도록 본체회로에 연결된 출력 단자(202)가 본체(2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고, 부품회로기판(110)을 온 또는 오프시키기 위하여 본체회로에 연결된 다수의 스위치(240)가 본체(210)의 상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하나의 스위치(240)가 복수의 부품회로기판(110)을 온 또는 오프시키도록 설치하는 것이 사용의 편의성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스위치(240)는 복수가 설치되는데, 모든 스위치가 온으로 되는 경우, 모든 부품회로기판(110)의 회로에 의해 음색이 변조되고, 일부 스위치는 온, 다른 일부 스위치는 오프로 되는 경우, 오프로 된 회로는 바이패스되며, 온으로 된 회로에 의해서만 음색이 변조된다.
본체(210)에는 전원공급단자(203)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전원공급단자(203)에서 공급된 전원은 다수의 본체연결부(220)의 본체전원공급부(223) 및 다수의 회로연결부(120)의 회로전원공급부(123)를 통해 다수의 부품회로기판(110)에 공급된다.
본체회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본체연결부(220) 중 하나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다음의 본체연결부(220)를 통해 출력하고, 이러한 과정의 반복에 의해 변조된 신호를 출력단자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위에서는, 하나의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부품회로기판(110)은 하나의 스위치(240)에 의해서만 온, 오프 작동하는 경우에 관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하나의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부품회로기판(110)이 복수의 스위치(240)에 의해 온, 오프 작동하도록 본체회로기판(230)의 본체회로를 형성할 수도 있다(프로그램어블 루프(programable loop) 기능).
예컨대, 하나의 chorus 이펙터 회로가 clean tone 스위치에서도 작동을 하고, solo tone 스위치에서도 작동을 할 수 있도록 본체회로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기타 이펙터 모듈(100)은 상술한 멀티형 기타 이펙터 뿐만 아니라, 컴팩터형 기타 이펙터에 대하여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컴팩터형 기타 이펙터는 위 기타 이펙터 모듈(100)과 별도의 스위치 모듈(300)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스위치 모듈(300)은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본체 케이스(310); 회로연결부(120)의 회로입력부(121), 회로출력부(122), 회로전원공급부(123)에 대응하여 연결되도록, 본체입력부(321), 본체출력부(322), 본체전원공급부(323)가 형성됨과 아울러, 본체 케이스(310)의 외부에 설치된 본체연결부(320); 본체연결부(320)와 연결되고, 본체 케이스(310)의 내부에 장착됨과 아울러, 본체회로가 형성된 본체회로기판(330); 기타(1)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도록 본체 케이스(310)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회로에 연결된 입력 단자(301); 출력신호를 앰프(2)에 송신하도록 본체 케이스(310)에 형성됨과 아울러, 본체회로에 연결된 출력 단자(302); 부품회로기판(110)을 온 또는 오프시키도록 본체 케이스(310)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회로에 연결된 스위치(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8 내지 10).
본체회로는 입력 단자(301)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가 부품회로기판(110)의 부품회로에 의해 변조되도록 하여, 변조된 신호를 출력 단자(302)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는 하나의 이펙터 회로에 의한 변조 신호를 구현하기 위한 점이라는 것을 제외하면, 상술한 멀티형 기타 이펙터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갖는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잡음을 줄이기 위하여 시그널 그라운드(signal GND)를 별도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회로연결부(120)의 시그널 그라운드 연결부(124)와 본체연결부(320)의 시그널 그라운드 연결부(324)를 별도로 연결한다.
기타 이펙터 모듈(100)과 스위치 모듈(300)의 결합은 다양한 구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데, 이들 기타 이펙터 모듈(100) 및 스위치 모듈(300)의 저면 또는 측면에 공통으로 결합하는 결합판(400)에 의한 결합구조(나사결합 등)를 취하는 경우, 결합작업이 간편하면서도 우수한 구조적 안정성을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모듈 케이스(130)에 형성된 걸림부(150)가 스위치 모듈(300)의 본체 케이스(310)에 걸린 상태에서, 기타 이펙터 모듈(100) 및 스위치 모듈(300)의 저면에 결합판(400)을 결합하는 경우, 더욱 안정적인 구조를 얻을 수 있다(도 8).
걸림부(150)에 결합공(151)을 형성함과 아울러, 본체 케이스(310)에 결합공(351)을 형성하고, 이들을 통해 나사부재 등을 결합하는 경우, 더욱 안정적인 결합을 이룰 수 있다.
스위치 모듈(300)은 일반적인 소형 기타 이펙터 모듈(100a)과 그 폭이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사용의 편의성을 위하여 바람직하고, 이 경우 결합판(400)은 장방형 구조를 취하면 족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대형 기타 이펙터 모듈(100b)을 위 스위치 모듈(300)과 결합하는 경우에는, 기타 이펙터 모듈(100) 복수(대형 기타 이펙터 모듈(100b)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도록) 및 상기 스위치 모듈(300) 하나에 대응하는 구조로 형성된 결합판(400)을 사용하면 된다.
이를 위하여, 대형 기타 이펙터 모듈(100b)은 소형 기타 이펙터 모듈(100a)의 배수(2배, 3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결합판(400)은 "ㄱ"자형 구조 등을 취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자신이 원하는 음색을 얻고자, 사용자가 직접 아날로그 방식의 이펙터 회로를 설계하여 제작하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은 모듈 형태로 제작된 이펙터를 쉽게 본체에 결합할 수 있는 구조에 관한 것이므로, 위와 같은 경우에도 대단히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기타 이펙터 모듈 110 : 부품회로기판(110)의 부품회로기판
120 : 회로연결부 121 : 회로입력부
122 : 회로출력부 123 : 회로전원공급부
130 : 모듈 케이스 131 : 노브
201 : 입력 단자 202 : 출력 단자
203 : 전원공급단자 210 : 본체
211 : 모듈장착공간 212 : 트임부
213 : 본체회로장착공간 214 : 격벽
220 : 본체연결부 221 : 본체입력부
222 : 본체출력부 223 : 본체전원공급부
230 : 본체회로기판 240 : 스위치
300 : 스위치 모듈 400 : 결합판

Claims (1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아날로그 방식의 기타 이펙터용 회로가 형성된 부품회로기판(110);
    상기 회로에 의한 사운드를 조절하기 위한 노브(131)가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부품회로기판(110)이 내부에 설치된 모듈 케이스(130);
    상기 회로에 대한 회로입력부(121), 회로출력부(122), 회로전원공급부(123)가 형성되고, 상기 부품회로기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모듈 케이스(130)의 외부에 설치된 회로연결부(120);를 포함하는 기타 이펙터 모듈(100) 다수가 설치되는 멀티형 기타 이펙터로서,
    내부에 다수의 상기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장착을 위한 모듈장착공간(211)이 형성된 본체(210);
    다수의 상기 모듈 케이스(130)가 설치되도록, 상기 모듈 케이스(130) 하나 또는 복수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본체(210)의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트임부(212);
    다수의 상기 회로연결부(120)의 회로입력부(121), 회로출력부(122), 회로전원공급부(123)에 대응하여 연결되도록, 본체입력부(221), 본체출력부(222), 본체전원공급부(223)가 형성된 다수의 본체연결부(220);
    상기 다수의 본체연결부(220)와 연결되고, 상기 본체(210)의 본체회로장착공간(213)에 장착됨과 아울러, 본체회로가 형성된 본체회로기판(230);
    기타(1)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본체(210)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회로에 연결된 입력 단자(201);
    출력신호를 앰프(2)에 송신하도록 상기 본체(210)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회로에 연결된 출력 단자(202);
    상기 부품회로기판(110)을 온 또는 오프시키도록 상기 본체(210)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회로에 연결된 다수의 스위치(24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회로는 상기 입력 단자(201)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가 상기 다수의 부품회로기판(110)의 부품회로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변조되도록 하여, 변조된 신호를 상기 출력 단자(202)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기타 이펙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회로는
    상기 입력 단자(201)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를 상기 다수의 본체연결부(220)의 상기 본체출력부(222)를 통해 상기 다수의 회로연결부(120)의 상기 회로입력부(121)로 전달하고, 상기 다수의 부품회로기판(110)의 부품회로에 의해 변조된 신호를 상기 다수의 회로연결부(120)의 상기 회로출력부(122)를 통해 상기 다수의 본체연결부(220)의 상기 본체입력부(221)로 전달받아, 상기 출력 단자(202)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기타 이펙터.
  6. 제5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스위치(240)는 복수의 상기 부품회로기판(110)을 온 또는 오프시키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기타 이펙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회로는 프로그램어블 루프(programable loop)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기타 이펙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10)에는 전원공급단자(203)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회로는 상기 전원공급단자(203)에서 공급된 전원을 상기 다수의 본체연결부(220)의 본체전원공급부(223) 및 상기 다수의 회로연결부(120)의 회로전원공급부(123)를 통해 상기 다수의 부품회로기판(110)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기타 이펙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10)의 모듈장착공간(211)과 본체회로장착공간(213)은 격벽(214)에 의해 공간적으로 구획되고,
    상기 다수의 회로연결부(120)와 다수의 본체연결부(220)는 상기 모듈장착공간(211)에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기타 이펙터.
  10. 아날로그 방식의 기타 이펙터용 회로가 형성된 부품회로기판(110);
    상기 회로에 의한 사운드를 조절하기 위한 노브(131)가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부품회로기판(110)이 내부에 설치된 모듈 케이스(130);
    상기 회로에 대한 회로입력부(121), 회로출력부(122), 회로전원공급부(123)가 형성되고, 상기 부품회로기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모듈 케이스(130)의 외부에 설치된 회로연결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연결부(120)에는 시그널 그라운드 연결부(124)가 형성된 기타 이펙터 모듈(100) 다수가 설치되는 멀티형 기타 이펙터로서,
    내부에 다수의 상기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장착을 위한 모듈장착공간(211)이 형성된 본체(210);
    다수의 상기 모듈 케이스(130)가 설치되도록, 상기 모듈 케이스(130) 하나 또는 복수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본체(210)의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트임부(212);
    다수의 상기 회로연결부(120)의 회로입력부(121), 회로출력부(122), 회로전원공급부(123), 시그널 그라운드 연결부(124)에 대응하여 연결되도록, 본체입력부(221), 본체출력부(222), 본체전원공급부(223), 시그널 그라운드 연결부(224)가 형성된 다수의 본체연결부(220);
    상기 다수의 본체연결부(220)와 연결되고, 상기 본체(210)의 본체회로장착공간(213)에 장착됨과 아울러, 본체회로가 형성된 본체회로기판(230);
    기타(1)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본체(210)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회로에 연결된 입력 단자(201);
    출력신호를 앰프(2)에 송신하도록 상기 본체(210)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회로에 연결된 출력 단자(202);
    상기 부품회로기판(110)을 온 또는 오프시키도록 상기 본체(210)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회로에 연결된 다수의 스위치(24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회로는 상기 입력 단자(201)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가 상기 다수의 부품회로기판(110)의 부품회로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변조되도록 하여, 변조된 신호를 상기 출력 단자(202)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기타 이펙터.
  11. 아날로그 방식의 기타 이펙터용 회로가 형성된 부품회로기판(110);
    상기 회로에 의한 사운드를 조절하기 위한 노브(131)가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부품회로기판(110)이 내부에 설치된 모듈 케이스(130);
    상기 회로에 대한 회로입력부(121), 회로출력부(122), 회로전원공급부(123)가 형성되고, 상기 부품회로기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모듈 케이스(130)의 외부에 설치된 회로연결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연결부(120)에는 시그널 그라운드 연결부(124)가 형성되며,
    상기 모듈 케이스(130)는
    상부에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걸림부(150);를 더 포함하는 기타 이펙터 모듈(100) 다수가 설치되는 멀티형 기타 이펙터로서,
    내부에 다수의 상기 기타 이펙터 모듈(100)의 장착을 위한 모듈장착공간(211)이 형성된 본체(210);
    다수의 상기 모듈 케이스(130)가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걸림부(150)가 가장자리에 걸리도록, 상기 모듈 케이스(130) 하나 또는 복수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본체(210)의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트임부(212);
    다수의 상기 회로연결부(120)의 회로입력부(121), 회로출력부(122), 회로전원공급부(123)에 대응하여 연결되도록, 본체입력부(221), 본체출력부(222), 본체전원공급부(223)가 형성된 다수의 본체연결부(220);
    상기 다수의 본체연결부(220)와 연결되고, 상기 본체(210)의 본체회로장착공간(213)에 장착됨과 아울러, 본체회로가 형성된 본체회로기판(230);
    기타(1)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본체(210)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회로에 연결된 입력 단자(201);
    출력신호를 앰프(2)에 송신하도록 상기 본체(210)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회로에 연결된 출력 단자(202);
    상기 부품회로기판(110)을 온 또는 오프시키도록 상기 본체(210)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회로에 연결된 다수의 스위치(24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회로는 상기 입력 단자(201)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가 상기 다수의 부품회로기판(110)의 부품회로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변조되도록 하여, 변조된 신호를 상기 출력 단자(202)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기타 이펙터.
  12. 아날로그 방식의 기타 이펙터용 회로가 형성된 부품회로기판(110);
    상기 회로에 의한 사운드를 조절하기 위한 노브(131)가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부품회로기판(110)이 내부에 설치된 모듈 케이스(130);
    상기 회로에 대한 회로입력부(121), 회로출력부(122), 회로전원공급부(123)가 형성되고, 상기 부품회로기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모듈 케이스(130)의 외부에 설치된 회로연결부(120);를 포함하는 기타 이펙터 모듈(100)을 이용하고,
    컴팩터형 기타 이펙터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기타 이펙터 모듈(100)과 결합하는 스위치 모듈(300)로서,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본체 케이스(310);
    상기 회로연결부(120)의 회로입력부(121), 회로출력부(122), 회로전원공급부(123)에 대응하여 연결되도록, 본체입력부(321), 본체출력부(322), 본체전원공급부(323)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 케이스(310)의 외부에 설치된 본체연결부(320);
    상기 본체연결부(320)와 연결되고, 상기 본체 케이스(310)의 내부에 장착됨과 아울러, 본체회로가 형성된 본체회로기판(330);
    기타(1)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본체 케이스(310)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회로에 연결된 입력 단자(301);
    출력신호를 앰프(2)에 송신하도록 상기 본체 케이스(310)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회로에 연결된 출력 단자(302);
    상기 부품회로기판(110)을 온 또는 오프시키도록 상기 본체 케이스(310)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회로에 연결된 스위치(34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회로는 상기 입력 단자(301)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가 상기 부품회로기판(110)의 부품회로에 의해 변조되도록 하여, 변조된 신호를 상기 출력 단자(302)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듈(300).
  13. 아날로그 방식의 기타 이펙터용 회로가 형성된 부품회로기판(110);
    상기 회로에 의한 사운드를 조절하기 위한 노브(131)가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부품회로기판(110)이 내부에 설치된 모듈 케이스(130);
    상기 회로에 대한 회로입력부(121), 회로출력부(122), 회로전원공급부(123)가 형성되고, 상기 부품회로기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모듈 케이스(130)의 외부에 설치된 회로연결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연결부(120)에는 시그널 그라운드 연결부(124)가 형성된 기타 이펙터 모듈(100)을 이용하고,
    컴팩터형 기타 이펙터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기타 이펙터 모듈(100)과 결합하는 스위치 모듈(300)로서,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본체 케이스(310);
    상기 회로연결부(120)의 회로입력부(121), 회로출력부(122), 회로전원공급부(123), 시그널 그라운드 연결부(124)에 대응하여 연결되도록, 본체입력부(321), 본체출력부(322), 본체전원공급부(323), 시그널 그라운드 연결부(324)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 케이스(310)의 외부에 설치된 본체연결부(320);
    상기 본체연결부(320)와 연결되고, 상기 본체 케이스(310)의 내부에 장착됨과 아울러, 본체회로가 형성된 본체회로기판(330);
    기타(1)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본체 케이스(310)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회로에 연결된 입력 단자(301);
    출력신호를 앰프(2)에 송신하도록 상기 본체 케이스(310)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회로에 연결된 출력 단자(302);
    상기 부품회로기판(110)을 온 또는 오프시키도록 상기 본체 케이스(310)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회로에 연결된 스위치(34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회로는 상기 입력 단자(301)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가 상기 부품회로기판(110)의 부품회로에 의해 변조되도록 하여, 변조된 신호를 상기 출력 단자(302)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듈(300).
  14. 아날로그 방식의 기타 이펙터용 회로가 형성된 부품회로기판(110);
    상기 회로에 의한 사운드를 조절하기 위한 노브(131)가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부품회로기판(110)이 내부에 설치된 모듈 케이스(130);
    상기 회로에 대한 회로입력부(121), 회로출력부(122), 회로전원공급부(123)가 형성되고, 상기 부품회로기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모듈 케이스(130)의 외부에 설치된 회로연결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연결부(120)에는 시그널 그라운드 연결부(124)가 형성되며,
    상기 모듈 케이스(130)는
    상부에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걸림부(150);를 더 포함하는 기타 이펙터 모듈(100)을 이용하고,
    컴팩터형 기타 이펙터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기타 이펙터 모듈(100)과 결합하는 스위치 모듈(300)로서,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걸림부(150)가 가장자리에 걸리도록 형성된 본체 케이스(310);
    상기 회로연결부(120)의 회로입력부(121), 회로출력부(122), 회로전원공급부(123)에 대응하여 연결되도록, 본체입력부(321), 본체출력부(322), 본체전원공급부(323)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 케이스(310)의 외부에 설치된 본체연결부(320);
    상기 본체연결부(320)와 연결되고, 상기 본체 케이스(310)의 내부에 장착됨과 아울러, 본체회로가 형성된 본체회로기판(330);
    기타(1)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본체 케이스(310)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회로에 연결된 입력 단자(301);
    출력신호를 앰프(2)에 송신하도록 상기 본체 케이스(310)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회로에 연결된 출력 단자(302);
    상기 부품회로기판(110)을 온 또는 오프시키도록 상기 본체 케이스(310)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회로에 연결된 스위치(34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회로는 상기 입력 단자(301)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가 상기 부품회로기판(110)의 부품회로에 의해 변조되도록 하여, 변조된 신호를 상기 출력 단자(302)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듈(300).
  15. 아날로그 방식의 기타 이펙터용 회로가 형성된 부품회로기판(110); 상기 회로에 의한 사운드를 조절하기 위한 노브(131)가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부품회로기판(110)이 내부에 설치된 모듈 케이스(130); 상기 회로에 대한 회로입력부(121), 회로출력부(122), 회로전원공급부(123)가 형성되고, 상기 부품회로기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모듈 케이스(130)의 외부에 설치된 회로연결부(120);를 포함하는 기타 이펙터 모듈(100)과;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스위치 모듈(300)과;
    상기 기타 이펙터 모듈(100) 및 스위치 모듈(300)의 저면 또는 측면에 공통으로 결합하는 결합판(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팩터형 기타 이펙터.
  16. 아날로그 방식의 기타 이펙터용 회로가 형성된 부품회로기판(110); 상기 회로에 의한 사운드를 조절하기 위한 노브(131)가 장착되고, 상부에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측으로 단차지게 걸림부(150)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부품회로기판(110)이 내부에 설치된 모듈 케이스(130); 상기 회로에 대한 회로입력부(121), 회로출력부(122), 회로전원공급부(123)가 형성되고, 상기 부품회로기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모듈 케이스(130)의 외부에 설치된 회로연결부(120);를 포함하는 기타 이펙터 모듈(100)과;
    제14항의 스위치 모듈(300)과;
    상기 기타 이펙터 모듈(100) 및 스위치 모듈(300)의 저면에 공통으로 결합하는 결합판(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팩터형 기타 이펙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판(400)은
    상기 기타 이펙터 모듈(100) 복수 및 상기 스위치 모듈(300) 하나에 대응하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팩터형 기타 이펙터.
KR1020120129294A 2012-11-15 2012-11-15 기타 이펙터 모듈을 이용한 멀티형 기타 이펙터, 스위치 모듈 및 컴팩터형 기타 이펙터 KR101377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294A KR101377246B1 (ko) 2012-11-15 2012-11-15 기타 이펙터 모듈을 이용한 멀티형 기타 이펙터, 스위치 모듈 및 컴팩터형 기타 이펙터
US14/442,516 US9633639B2 (en) 2012-11-15 2013-11-05 Guitar effector module, and multi-type guitar effector using same
CN201380059690.1A CN104885147B (zh) 2012-11-15 2013-11-05 一种吉他效果器模块及应用该模块的多联吉他效果器
PCT/KR2013/009969 WO2014077537A1 (ko) 2012-11-15 2013-11-05 기타 이펙터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멀티형 기타 이펙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294A KR101377246B1 (ko) 2012-11-15 2012-11-15 기타 이펙터 모듈을 이용한 멀티형 기타 이펙터, 스위치 모듈 및 컴팩터형 기타 이펙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7246B1 true KR101377246B1 (ko) 2014-03-25

Family

ID=50649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9294A KR101377246B1 (ko) 2012-11-15 2012-11-15 기타 이펙터 모듈을 이용한 멀티형 기타 이펙터, 스위치 모듈 및 컴팩터형 기타 이펙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633639B2 (ko)
KR (1) KR101377246B1 (ko)
CN (1) CN104885147B (ko)
WO (1) WO2014077537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3309A (ko) * 2014-08-22 2016-03-03 박증언 전동기제어반
KR200480308Y1 (ko) * 2015-02-16 2016-05-10 주식회사 월드싸운드 전자기타의 페달보드
WO2017082536A1 (ko) * 2015-11-11 2017-05-18 이승재 음향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아날로그 멀티 이펙터 및 그 동작방법
KR101797512B1 (ko) 2016-09-28 2017-11-15 이승재 기타 이펙터 루프 및 이를 이용한 멀티형 기타 이펙터
KR101797513B1 (ko) * 2016-09-28 2017-11-15 이승재 휴대폰을 이용한 기타 이펙터 루프 제어장치
KR101845866B1 (ko) * 2016-08-16 2018-05-18 이승재 기타 이펙터
KR20220047153A (ko) 2020-10-08 2022-04-15 박래선 이펙터 일체형 기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89896S1 (en) * 2015-11-11 2017-06-20 Michael John Ahern User-actuated lighting effect device
US10151464B2 (en) 2012-09-18 2018-12-11 Michael John Ahern User-actuated lighting effect device
CN105374344A (zh) * 2015-10-13 2016-03-02 山西比洋之声乐器销售有限公司 一种效果器及与其配合的编组器
TWI601061B (zh) * 2015-10-16 2017-10-01 創蘊股份有限公司 智慧型效果器
IT201700055625A1 (it) * 2017-05-23 2018-11-23 Specialwaves S R L Dispositivo di controlllo modulare
DE102017126184B4 (de) * 2017-11-09 2019-12-24 Hans-Peter Wilfer Schutzkäfig für Effektgerät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0841A (ja) * 2004-07-21 2006-02-02 Yamaha Corp 操作入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0240A (ko) 1996-10-29 1998-07-25 김영귀 배터리 일체형 메인퓨즈박스
KR200148995Y1 (ko) * 1996-11-29 1999-06-15 전주범 음향탐지기 모듈의 전치증폭기 및 로우패스 필터ic시험치구
JP3526820B2 (ja) * 2000-08-18 2004-05-17 セイコー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調律器
KR100762391B1 (ko) * 2001-07-10 2007-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형 디스크 재생장치
US7674991B2 (en) * 2005-01-18 2010-03-09 Baird Derrick L Pedal assemblies and methods for signal control
US7326849B2 (en) * 2006-04-06 2008-02-05 Fender Musical Instruments Corporation Foot-operated docking station for electronic modules used with musical instruments
CN100561573C (zh) * 2006-06-14 2009-11-18 林瑞荣 一种用于电吉他拾音器的控制开关
US7786371B1 (en) * 2006-11-14 2010-08-31 Moates Eric L Modular system for MIDI data
JP5179905B2 (ja) * 2008-03-11 2013-04-10 ローランド株式会社 演奏装置
WO2009125541A1 (ja) * 2008-04-10 2009-10-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不揮発性記憶モジュール、アクセスモジュール、楽音データファイル生成モジュール及び楽音生成システム
KR101137636B1 (ko) * 2010-03-25 2012-04-19 김재호 휴대형 무선 이펙터
ES2670922T3 (es) * 2010-10-28 2018-06-04 Gibson Brands, Inc. Pedal inalámbrico controlador de pie para instrumento musical de cuerda eléctrico
US8957297B2 (en) * 2012-06-12 2015-02-17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 Programmable musical instrument pedalboard
US20150161973A1 (en) * 2013-12-06 2015-06-11 Intelliterran Inc. Synthesized Percussion Pedal and Docking St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0841A (ja) * 2004-07-21 2006-02-02 Yamaha Corp 操作入力装置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3309A (ko) * 2014-08-22 2016-03-03 박증언 전동기제어반
KR101627418B1 (ko) 2014-08-22 2016-06-03 박증언 전동기제어반
KR200480308Y1 (ko) * 2015-02-16 2016-05-10 주식회사 월드싸운드 전자기타의 페달보드
WO2017082536A1 (ko) * 2015-11-11 2017-05-18 이승재 음향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아날로그 멀티 이펙터 및 그 동작방법
KR101845866B1 (ko) * 2016-08-16 2018-05-18 이승재 기타 이펙터
KR101797512B1 (ko) 2016-09-28 2017-11-15 이승재 기타 이펙터 루프 및 이를 이용한 멀티형 기타 이펙터
KR101797513B1 (ko) * 2016-09-28 2017-11-15 이승재 휴대폰을 이용한 기타 이펙터 루프 제어장치
WO2018062814A1 (ko) * 2016-09-28 2018-04-05 이승재 기타 이펙터 루프 및 이를 이용한 멀티형 기타 이펙터
WO2018062813A1 (ko) * 2016-09-28 2018-04-05 이승재 휴대폰을 이용한 기타 이펙터 루프 제어장치
US9972295B2 (en) 2016-09-28 2018-05-15 Seung Jae Lee Control apparatus for guitar effector loop using cellular phone
KR20220047153A (ko) 2020-10-08 2022-04-15 박래선 이펙터 일체형 기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633639B2 (en) 2017-04-25
CN104885147B (zh) 2018-01-16
CN104885147A (zh) 2015-09-02
WO2014077537A1 (ko) 2014-05-22
US20160275928A1 (en) 2016-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7246B1 (ko) 기타 이펙터 모듈을 이용한 멀티형 기타 이펙터, 스위치 모듈 및 컴팩터형 기타 이펙터
US10657940B1 (en) Modular electric guitar pedalboard
US8178774B2 (en) Electric stringed instrument with interchangeable pickup assembly and method for upgrading ordinary electric stringed instruments
US5881156A (en) Portable, multi-functional, multi-channel wireless conference microphone
US5285500A (en) Car amplifier with optional plug-in modules
US9972295B2 (en) Control apparatus for guitar effector loop using cellular phone
US9633640B1 (en) Guitar effector
US5710821A (en) Audio communications system with built in expansion capability for a desktop computer
US20120297963A1 (en) Sound effect pedal
US20090175458A1 (en) Subwoofer docking station
KR101368980B1 (ko) 기타 이펙터용 부품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멀티형 기타 이펙터
CN204929155U (zh) 一种带rgbw灯光控制和音乐播放控制的wifi音箱
TWI601061B (zh) 智慧型效果器
US4965877A (en) Power supply system
US9905211B1 (en) Guitar effector loop and multi-type guitar effector using the same
CN2267505Y (zh) 一种多功能电吉它
CN215773564U (zh) 一种具有防水功能的功放结构
GB1451323A (en) Audio mixing equipment
CN211555456U (zh) 一种加震拾音效果器和吉他
CN204966038U (zh) 便携式卡拉ok机
CN210609553U (zh) 一种便于安装的视频音箱
CN220208538U (zh) 可插接麦克风的吉他
CN208157046U (zh) 乐器拾音器组合安装结构
CN213094415U (zh) 一种多路电源吉他工具箱音箱
CN217011079U (zh) 调音式音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