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8357A - 반주기용 앰프의 에코 컨트롤장치 - Google Patents

반주기용 앰프의 에코 컨트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8357A
KR20090058357A KR1020070125099A KR20070125099A KR20090058357A KR 20090058357 A KR20090058357 A KR 20090058357A KR 1020070125099 A KR1020070125099 A KR 1020070125099A KR 20070125099 A KR20070125099 A KR 20070125099A KR 20090058357 A KR20090058357 A KR 200900583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plifier
echo
case
switch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5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영 호 곽
Original Assignee
(주)크레디트사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크레디트사운드 filed Critical (주)크레디트사운드
Priority to KR1020070125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58357A/ko
Publication of KR20090058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83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208Noise filtering
    • G10L2021/02082Noise filtering the noise being echo, reverberation of the speec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주기용 앰프의 에코 컨트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에코의 양을 가감(加減)하거나 에코음향 효과를 온/오프(ON/OFF) 할 수 있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에코 음향 효과를 줄이거나 늘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랩(Rap)이나 내래이션(narration) 할 때 에코를 완전히 차단하여 가사나 내용을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반주기용 앰프의 에코 컨트롤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주기용 앰프의 에코 컨트롤장치는, 사용자가 에코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케이스의 전면에 하나 이상의 회전 손잡이가 형성된 사용자 컨트롤패널을 포함하는 앰프와; 상기 앰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사용자가 에코음향효과를 온/오프 할 수 있도록 케이스의 상면에 하나 이상의 스위치버튼과 상기 스위치버튼의 작용상태를 표시해주는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LED)가 구비된 풋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반주기용 앰프의 에코 컨트롤장치는, 사용자가 노래를 선곡한 후, 노래의 빠르기나 장르 또는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상기 앰프의 회전 손잡이를 손으로 돌려서 에코의 양을 신속하게 조정할 수 있고, 사용자가 노래를 부르는 동안에 랩이나 내래이션 구간에서는 상기 풋스위치의 스위치버튼을 발로 밟아서 에코를 오프(OFF) 하고 다시 노래를 부르는 구간에서는 에코를 온(ON) 하여 가사나 전달내용을 정확하게 전달할 뿐만 아니라 노래의 흥을 돋굴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주기용 앰프의 에코 컨트롤장치는, 한 손에 마이크를 잡고 노래하는 사용자가 어두운 노래방의 조명에서도 에코의 양과 에코음향효과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되어 있으며, 부품을 단순화하여 제품의 단가를 낮추고, 전기 감전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앰프, 노래 반주기, 마이크, 랩, 에코, 반향, 노래방

Description

반주기용 앰프의 에코 컨트롤장치{An echo controll apparatus for karaoke system}
본 발명은 반주기용 앰프의 에코 컨트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에코의 양을 가감(加減)하거나 에코음향 효과를 온/오프(ON/OFF) 할 수 있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에코 음향 효과를 줄이거나 늘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랩(Rap)이나 내래이션(narration) 할 때 에코를 완전히 차단하여 가사나 내용을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반주기용 앰프의 에코 컨트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래방에는 노래 반주기, 앰프, 그리고 마이크,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장치로 구성되는 노래반주 시스템이 설치된다. 노래 반주기는 반주음과 가사그리고 영상이 저장되고, 선곡 시 이를 검색하여 스피커와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서 출력한다. 앰프는 노래 반주기에서 제공하는 반주음의 음정(pitch), 속도(speed) 및 볼륨 등을 조절하고, 마이크를 통해서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혼합함과 아울러 그 반향(echo)의 양이나 온/오프를 조절한다. 여기서 반향 즉, 에코는 오디오 장치에서 사용하는 효과음으로 현장감 있는 분위기를 연출하여 노래의 흥을 돋구워준다.
도 1은 종래의 노래반주 시스템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노래방에는 수납 테이블(3)이 구비되고, 이 수납 테이블(3)에는 디스플레이장치(4), 노래 반주기(5), 앰프(6)가 차례로 수납되고, 상기 앰프(6)에는 마이크(7)와 스피커(8)와 같은 외부 기기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는 LCD와 PDP와 같은 평판형 디스플레이장치가 바람직하나, CRT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와 노래 반주기(5)는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노래 반주기(5)를 원격에서 제어하는 도시되지 않은 리모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상기 앰프(6)의 일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앰프(6)는, 노래 반주기(5)로부터 공급되는 제어신호(S1)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11)와, 상기 인터페이스부(11)의 제어신호에 따라 에코, 밸런스, 톤 및 음량을 제어하기 위한 변수를 설정하여 출력하는 제어부(12)와, 상기 노래 반주기(5)에서 출력되는 반주음의 반주신호(A1)(A2), 코러스신호(A3)(A4) 등을 상기 제어부(12)에서 생성된 변수에 따라 각각의 톤을 조절하여 출력하는 제1오디오신호 처리부(13)와, 상기 마이크(7)에서 입력되는 음성 신호(S2)를 상기 제어부(12)의 변수에 따라 톤, 에코, 음량을 조절하여 출력하는 제2오디오신호 처리부(14)와, 제1오디오신호 처리부(13)의 출력신호와 제2오디오신호 처리부(14)의 출력신호를 조합하는 믹싱부(15)와, 상기 믹싱부(15)의 출력신호의 톤을 제어부(12)의 변수에 따라 조절한 후 증폭시켜서 상기 스피커(8)를 통해 출력하는 증폭부(16)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노래 반주기용 앰프(6)에는 노래 반주기(5)로부터 입력되는 반주음 신호의 톤, 밸런스, 템포 및 볼륨을 조절하는 기능과, 마이크(7)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의 에코, 밸런스, 톤 및 볼륨을 조절하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앰프(6)의 성능은 노래방의 음질 또는 음향 상태를 판별하는 주요 기준이 되고 있다.
그런데, 노래방에 설치되어 있는 앰프(6)는 음향 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여러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데도 불구하고 노래방 관리자가 그 앰프를 기본 값으로 초기에 설정해 놓고 사용자가 조절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그 주된 이유는 사용자가 임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개방하는 경우, 사용자의 조작 미숙으로 너무 큰 출력이 나오도록 설정하게 되면, 사고 위험 및 음향기기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노래 반주기용 앰프는 관리자 이외에는 일반 사용자가 그 앰프 값을 설정하지 못하도록 폐쇄되어 있다. 따라서 노래방의 음질은 관리자가 초기에 설정해 준 그대로 사용할 수밖에 없다. 특히, 에코는 노래의 빠르기나 장르 또는 부르는 사람의 취향에 따라 조정될 필요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별도의 온/오프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언제가 같은 에코음향효과를 유지하게 된다.
그런데, 최근 가요에는 랩이라는 형식이 추가된 곡들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옛날 곡의 리메이크 버전도 랩을 적용하는 추세이고, 청소년들은 대다수가 이러한 랩을 즐기는 것이 유행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랩이나 비트박스 기타 내래이션 등을 잘 들리도록 하기 위해서는 에코음향 효과를 줄이거나 없애야 한다. 왜냐하 면, 에코음향 효과가 있으면 도무지 무슨 소리인지 분간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빠른 곡일 경우 에코 음향효과가 있으면 질질 끌리는 음향이 다음 소절에 영향을 주어 정상적인 노래가 불가능하게 되다. 또, 노래에 자신이 있는 사용자의 경우는 지나친 에코음향 효과는 오히려 나쁜 효과가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에코음향을 줄이거나 제거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종래에는 반주기용 앰프의 에코 조절을 반주기 컨트롤 데이터에 미리 기록한 정보를 사용하여 해석함으로써 통신을 통하여 상호간의 프로토콜에 의해 전달하여 에코의 온/오프를 조절하는 자동 조절방법과, 마이크에 에코의 오/오프 장치를 설치하고 무선 송수신장치를 사용하여 버튼에 의해 사용자가 직접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수동 조절방법이 개발되었다.
즉, 상기 자동 에코 온/오프 방법은, 미디트랙에서 에코정보를 해석하여 에코의 유무를 판단하고, 에코정보가 없으면 미디트랙의 해석을 계속하고 에코정보가 있으면 에코정보의 이벤트를 해석하여 에코를 오/오프하기 위한 제어데이터 패킷을 만들어 송신함으로써 에코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수동 에코 온/오프 방법은, 마이크에 탈 부착식으로 제작된 소형 리모컨으로, 에코 온/오프를 위한 버튼과, 넓은 반경으로 적외선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무선 송신기와, 에코 온/오프 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리모콘 칩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 에코 온/오프 방법은 방대한 양의 곡에 일일이 에코정보(싱크신호)를 입력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투자와 시 간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또, 종래의 수동 에코 온/오프 방법은, 마이크 부착된 리모컨을 이용하여 에코를 컨트롤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리모컨에 설치할 수 있는 스위치버튼의 크기는 매우 작은데 노래방의 조명은 어둡기 때문에 한 손에 마이크를 들고 노래를 부르는 사용자가 다른 손으로 리모컨의 에코 스위치버튼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찾아서 작동시키는 것이 실질적으로 매우 곤란하다. 즉, 리모컨을 이용한 에코 조절 방식은 이론적으로는 가능하나 실제 노래방에서 사용자가 사용할 수 없는 것이어서 현재까지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에코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는 회전 손잡이를 앰프의 외부로 노출시켜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노래의 빠르기나 장르 또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자유롭게 에코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반주기용 앰프의 에코 컨트롤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에코음향 효과를 켜거나 끌 수 있는 스위치버튼이 구비된 풋스위치를 노래방 바닥에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노래를 부르는 동안에, 랩 구간에서는 풋스위치의 스위치버튼을 발로 밟아서 신속하게 에코를 제거하고, 랩이 끝나고 노래 구간이 시작되면 다시 풋스위치의 스위치버튼을 작동하여 에코를 켜서 랩에서는 가사를 정확하게 전달하고 노래를 부를 때는 현장감을 주어서 흥을 북돋울 수 있는 반주기용 앰프의 에코 컨트롤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이크의 수에 대응하도록 하나 이상의 에코 볼륨조절용 회전 손잡이가 구비된 앰프와, 하나 이상의 에코 온/오프 스위치가 설치된 풋스위치를 제공함으로써 마이크에 따라 다른 음향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반주기용 앰프의 에코 컨트롤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에코 볼륨 조절용 회전 손잡이가 구비된 앰프를 설치하고, 하부 바닥에는 하나 이상의 에코 온/오프 스위치가 구비된 풋스위치를 설치할 수 있는 이동형 스탠드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가 노래를 부르는 동안에 에코음향효과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사용자가 노래를 부르는 동안에 일행과 마주보고 즐길 수 있는 반주기용 앰프의 에코 컨트롤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주기용 앰프의 에코 컨트롤장치는, 사용자가 에코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케이스의 전면에 하나 이상의 회전 손잡이가 형성된 사용자 컨트롤패널이 설치된 앰프와; 상기 앰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사용자가 에코음향 효과를 온/오프 할 수 있도록 케이스의 상면에 하나 이상의 스위치버튼과 상기 스위치버튼의 작용상태를 표시해주는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LED)가 구비된 풋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앰프는, 소정 크기의 앰프 케이스와, 상기 앰프 케이스의 내부에 내장되고 각종 전기장치와 전자장치가 탑재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선단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각종 전기장치와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다수 개의 조절 노브가 설치된 사용자 컨트롤패널과; 상기 앰프 케이스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앰프 케이스의 전면을 폐쇄함과 아울러 에코의 양을 증감하기 위한 두 개의 회전 손잡이가 설치된 사용자 컨트롤패널과; 상기 앰프 케이스의 후면에 설치되어 풋스위치, 마이크 및 스피커와 같은 외부기기와 외부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이 접속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접속커넥터가 구비된 단자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앰프 케이스의 전면에 설치된 사용자 컨트롤패널과 상기 앰프 케이스의 안쪽에 설치된 관리자 컨트롤패널은 일정 거리 떨어져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사용자 컨트롤패널에 설치된 회전 손잡이는 상기 관리자 컨트롤패널에 설치된 각종 조절 노브보다 큰 지름을 갖는다.
상기 사용자 컨트롤패널의 전면에는 에코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회전 손잡이가 구비되고, 상기 사용자 컨트롤패널 배면에는 상기 회전 손잡이의 배면에 결합하는 회전축이 구비된 스위치블럭이 설치되며, 상기 스위치블럭은 하나 이상의 케이블을 통해 상기 앰프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의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 손잡이의 배면에는 사용자 컨트롤패널에 형성되어 있는 원호 홈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 손잡이의 회전 반경을 일정 범위 내로 한정하는 리브가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풋스위치는 소정 크기의 풋스위치 케이스와, 상기 풋스위치 케이스 내부에 내장되고 각종 전기장치와 전자회로가 탑재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풋스위치 케이스의 상면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하로 작동하는 스위치버튼과; 상기 스위치버튼과 접촉가능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된 텍트스위치와, 상기 풋스위치 케이스의 상면에 형성된 발광소자 투시창에 대응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된 발광소자와, 상기 텍트스위치와 발광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과, 상기 텍트스위치의 작동신호를 상기 앰프로 전송할 수 있도록 케이블이 접속하는 커넥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발광소자는 상기 텍트스위치가 작동할 때 발광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 판에 구동회로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반주기용 앰프의 에콘 컨트롤장치에 따르면, 사용자가 에코의 양과 에코음향 효과를 신속하게 조정하거나 온/오프 시킬 수 있으므로, 최근 랩이나 빠른 곡을 선호하는 젊은이들이 노래방에서 노래를 부를 때, 선곡한 노래의 종류나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에코의 양을 조절하거나 에코를 제거함으로써 가사 전달을 정확하게 하고, 사용자의 개성이나 원곡의 느낌을 살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앰프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조작하여 에코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회전 손잡이가 구비되고, 상기 풋스위치에는 사용자가 발로 밟아서 에코를 켜거나 끌 수 있는 스위치버튼이 구비될 뿐만 아니라 상기 스위치버튼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발광소자가 구비되어, 어두운 조명에서 마이크를 손에 잡고 노래를 부르고 있는 사용자가 상기 회전 손잡이나 스위치버튼을 신속하게 찾아서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발을 사용하여 에코음향 효과를 온/오프 하기 위한 스위치버튼이 구비된 풋스위치를 제공하여 마이크를 손에 들고 노래를 부르고 있는 사용자가 음악에 맞추어서 리듬감 있게 에코음향 효과를 온/오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마이크에 대응하는 개수의 회전 손잡이와 스위치버튼 및 발광 소자를 구비함으로써 여러 사람이 노래를 부를 때, 각자의 상황에 따라서 에 코의 양과 그 효과를 달리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사람은 랩을 하고 다른 사람을 노래를 할 때, 랩을 하는 사람만 에코음향 효과를 제거함으로써 원곡과 동일한 음향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주기용 앰프의 에코 컨트롤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주기용 앰프에 에코 컨트롤장치를 포함하는 노래반주기 시스템(100)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앰프와 풋스위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앰프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앰프에 적용된 사용자 컨트롤패널 및 회전 손잡이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주기용 앰프의 에코 컨트롤장치(10)는 하나의 외장형 앰프(60)와 상기 앰프(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풋스위치(9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앰프(60)에는 노래 반주기(50), 마이크(70) 그리고 스피커(80)가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또, 상기 노래 반주기(50)에는 디스플레이장치(4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노래반주기 시스템(100)을 구성한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앰프(60)는, 소정 크기의 앰프 케이스(61) 전면에 에코의 양(볼륨)을 조절할 수 있는 두 개의 회전 손잡이(6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앰프 케이스(61)의 내부에는 각종 전기장치와 전 자회로(65)가 탑재된 인쇄회로기판(64)이 내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쇄회로기판(64)에는 노래 반주기(40)로부터 공급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에코, 밸런스, 톤 및 음량을 제어하기 위한 변수를 설정하여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노래 반주기(40)와 마이크(70)에서 출력되는 반주음이나 음성신호를 상기 제어부의 변수에 따라 각각의 톤, 에코, 음량을 조절하는 오디오신호 처리부, 반주음과 음성 신호를 조합하는 믹싱부와 이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 등을 구성하는 전자부품과 회로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의 단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앰프 케이스(61)의 선단에는 상기 앰프 케이스(61)의 전면을 폐쇄함과 아울러 에코의 양을 증감하기 위한 두 개의 회전 손잡이(63)가 설치되어 있는 사용자 컨트롤패널(66)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앰프 케이스(61)의 안쪽 후방에는 상기 사용자 컨트롤패널(66)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서 관리자 컨트롤패널(68)이 인쇄회로기판(64)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관리자 컨트롤패널(68)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64)에 탑재되어 있는 각종 전기장치와 전자회로(65)를 제어하는 다수 개의 조절 노브(69)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조절 노브(69)는 각각 인쇄회로기판(64)의 접속단자와 접속하여 관리자가 상기 앰프의 다양한 음향효과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앰프(60)는 관리자가 각종 음향효과의 기준 값을 설정할 때 사용하는 관리자 컨트롤패널(68)과, 사용자가 각종 음향효과 중에서 에코의 양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컨트롤패널(66)이 구분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관리자 컨트롤패널(68)은 상기 사용자 컨트롤패널(66) 에 의해서 폐쇄되어 일반 사용자가 접근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앰프 케이스(61)의 후면에는 풋스위치(90), 마이크(70), 스피커(80) 등과 접속하는 케이블들이 접속하는 다수 개의 접속커넥터(67)가 설치된 단자패널(62)이 구비된다. 상기 단자패널(62)에는 외부전원(전력선)을 연결하여 내부의 전원부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 접속커넥터도 설치된다.
이어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컨트롤패널(66)에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회전량으로 에코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회전 손잡이(63)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회전 손잡이(63)는 사용자 컨트롤패널(66) 배면에 설치된 회전량감지수단 즉, 스위치블럭(163)의 회전축(164)에 끼울 수 있게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축(164)에서 회전 손잡이(63)가 끼워지는 단부에 단차가 형성되고 그 단면이 반달 형상이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컨트롤패널(66)의 내측에는 회전축(164)을 가지는 스위치블럭(163)이 마련되고, 이 회전축(164)에 회전 손잡이(63)가 결합되어서 회전 손잡이(63)의 회전에 따라서 에코의 양이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회전 손잡이(63)의 일면에는 반달형의 회전축(164)이 결합하는 반달형의 결합홈(167)이 형성되어 회전 손잡이(63)의 회전시 회전축(164)과 공회전 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블럭(163)은 하나 이상의 케이블(168)을 통해서 상기 앰프 케이스(61)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64)의 단자에 접속된다. 이때, 다수의 케이블(168)은 관리자 컨트롤패널(68)에 형성된 개구부(169)를 통해서 인쇄회로기판(64)의 단자에 접속되는데, 상기 개구부(169)는 에코의 양을 조절하기 위 한 스위치블럭이 설치되었던 곳이다. 즉, 바람직하게 상기 관리자 컨트롤패널(68)에 설치되어 있던 조절 노부와 스위치블럭을 제거하고, 이 제거된 스위치블럭(163)를 사용자 컨트롤패널(66)의 배면에 설치한 후, 종래의 조절 노브(69)보다 훨씬 큰 지름을 갖는 회전 손잡이(63)를 그 회전축(164)에 결합하여 설치한 것이다.
한편,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 손잡이(63)의 배면에는 소정 길이의 리브(173)가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리브(173)는 사용자 컨트롤패널(66)에 형성되어 있는 원호 홈(175)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 손잡이(63)의 회전 반경을 일정 범위 내로 한정한다. 따라서 조작이 미숙한 사용자가 과도하게 에코의 양을 설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회전 손잡이(63)를 우측 또는 좌측으로 회전하면, 상기 회전 손잡이(63)가 회전하는 만큼 상기 회전축(164)이 함께 회전하여 상기 스위치블럭(163)의 회전량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가 상기 케이스(168)를 통해서 인쇄회로기판(63)의 제어부로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는 에코의 양을 제어하기 위한 변수를 설정하여 오디오 신호처리부로 출력한다. 본 발명은 에코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회전 손잡이(63)가 앰프 케이스(61)의 전면에 노출되어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회전 손잡이(63)를 원하는 방향으로 돌림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세팅값으로 짧은 시간에 맞출 수 있게 된다. 이때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 손잡이(63)의 주위에는 에코의 양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수단이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이 표시수단은 발광 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앰프(60)의 사용자 컨트롤패널(66)에는 사용되는 마이크(70)의 수에 대응하여 두 개의 회전 손잡이(6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두 개의 회전 손잡이(63)는 각각 별도의 독립 채널을 형성하여, 대응하는 마이크(7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의 에코의 양을 각각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어느 한쪽의 마이크(70)에서는 에코를 제거하고 다른 한쪽에서는 에코음향효과를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앰프(60)는, 앰프 케이스(61)의 전면에 에코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절 손잡이(63)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노래를 선곡할 때, 노래의 빠르기, 장르 또는 자신의 취향에 맞게 에코음향 효과의 양을 손쉽게 조작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앰프(60)의 사용자 컨트롤패널(66)에는 에코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 손잡이(63) 이외에 다른 손잡이나 스위치가 설치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쉽게 조절 손잡이(63)를 조작할 수 있다.
이어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풋스위치(90)는, 소정의 케이블을 통해서 상기 앰프(60)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풋스위치(90)는 소정 크기의 풋스위치 케이스(91)의 상면에 에코음향 효과를 온/오프 할 수 있는 두 개의 스위치버튼(93)이 일정 간격으로 떨어져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두 개의 스위치버튼(93)의 하부에는 두 개의 발광 소자 투시창(96)이 대응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풋스위치 케이스(91)는 노래방의 바닥에 설치할 수 있는 구조와 내구성을 갖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풋스위치 케이스(91)는 금속판이나 강화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풋스위치 케이스(91)의 내부에는 각 종 전기장치와 전자회로가 탑재된 인쇄회로기판(94)이 내장되어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94)에는 상기 풋스위치 케이스(91)의 상면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하로 작동하는 스위치버튼(93)과 접촉가능하도록 그 하방에 설치된 텍트스위치(95)와, 상기 풋스위치 케이스(91)의 상면에 형성된 발광소자 투시창(96)의 하방에 대응하도록 설치된 발광소자(LED)(97)와, 상기 텍트스위치(95)와 발광소자(97)에 소정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98)과, 상기 텍트스위치(95)의 작동신호를 상기 앰프(60)로 전송할 수 있도록 케이블(92)이 접속하는 커넥터부재(99) 등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전원부(96)에는 앰프(60)의 전원부와 접속하여 전력을 공급받는 도시되지 않는 전력선이 더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누름 버튼(93)은, 풋스위치 케이스(61)의 상면에 사용자의 누름 조작시 가압력을 받는 버튼 부재(191)와, 상기 버튼 부재(191)의 누름 조작시 연속적으로 밀려져서 상기 텍트스위치(95)와 접속하는 작동 부재(19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풋스위치 케이스(61)의 상면에는 상기 버튼 부재(191)가 조립되는 일정 크기의 버튼구멍(19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버튼 부재(191)의 하단에는 상기 텍트스위치(95) 측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는 복수개의 걸림구(192)가 구비되어, 상기 작동 부재(193)에는 서로 마주하는 걸림구(192)의 각 선단에 형성된 걸림턱(194)이 끼워지는 복수개의 장공(19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버튼 부재(191)와 작동 부재(193)의 사이에는 상기 작동 부재(193)의 돌부(197)가 상기 텍트스위치(95)의 돌출부(198)과 항상 접하도록 탄성력을 발휘하는 스프링(195)이 개재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풋스위치 케이스(61)의 상면으로 돌출된 버튼 부재(191)를 발로 밟아서 누르면, 상기 스프링(195)에 의해 지지되고 있던 버튼 부재(191)가 하부로 이동하고, 그로 인해서 상기 스프링(195)의 탄성이 증가함에 따라서 상기 작동 부재(193)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텍트스위치(95)를 가압하여 소정의 접속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텍트스위치(95)가 작동되면, 그 접속 신호는 상술한 신호 케이블(92)를 통해서 앰프(60)로 전달됨과 아울러 상기 누름 버튼(93)과 대응하는 발광소자(97)에 전원을 공급하여 발광하도록 한다. 상기 발광소자(97)에서 발광하는 빛은 상기 발광소자 투시창(96)을 통해 외부로 방사됨으로 상기 누름 버튼(93)의 작동상태를 알 수 있다.
도 9는 상기 인쇄회로기판(95)에 구비되어 발광소자(97)를 구동하는 전자회로의 일 예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직류전원(V)이 일정한 극성으로 공급되는 소정의 접점(a-a'접점)을 포함한 복수의 접점(a-a'접점과 b-b'접점)에서, 사용자의 누름 작용에 따라 스위칭되는 텍트스위치(95)와, 상기 소정의 접점(a-a')과 병렬 연결되어 상기 텍트스위치(95)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상기 직류전원(V)에 의하여 발광되는 발광소자(LED:Light Emitting Diode)(97)로 구성된다. 여기서, R은 상기 직류전원(V)의 전압을 상기 발광 소자(97)의 구동전압으로 조정하는 저항소자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스위치버튼(93)을 발로 눌러 밟으면, 상기 텍트스위치(95)가 동작하여, 직류전원에 의하여 상기 발광 소자(97)가 발광되어 스위치버튼(93)의 스위칭 상태가 표시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반주기용 앰프의 에코 컨트롤장치가 설치되는 이동형 스탠드의 일 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상기 이동형 스탠드(200)는, 다수 개의 바퀴가 구비된 다리부(201)와 상기 다리부(201)의 상부로 일정 높이 수직으로 설치된 기둥부(203)와 상기 기둥부(203)의 상단에 상기 앰프(60)를 장착할 수 있도록 설치된 앰프 고정판(205)과, 상기 다리부(201)의 이격된 두 개의 다리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상기 풋스위치(90)를 장착할 수 있도록 설치된 풋스위치 고정판(207)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기둥부(203)의 높이는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주기용 앰프의 에코 컨트롤장치는 사용자가 앰프를 직접 조작하여 마음대로 에코음향을 넣거나 뺄 수 있도록 하여 노래를 부를 때는 적당한 에코음향효과를 주고, 랩이나 내래이션을 할 때는 목소리를 또렷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특히, 곡에 들어가는 내래이션 또는 랩과 같은 부분을 부를 경우 불필요한 에코의 영향으로 가사전달이 제대로 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노래반주 시스템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앰프의 구조를 보여주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주기용 앰프에 에코 컨트롤장치를 포함하는 노래반주기 시스템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앰프와 풋스위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앰프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앰프에 적용된 사용자 컨트롤패널 및 회전 손잡이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풋스위치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풋스위치에 적용된 스위치버튼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소자의 작동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회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반주기용 앰프의 에코 컨트롤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이동형 스탠드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

Claims (10)

  1. 사용자가 에코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케이스의 전면에 하나 이상의 회전 손잡이가 형성된 사용자 컨트롤패널이 설치된 앰프와;
    상기 앰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사용자가 에코음향 효과를 온/오프 할 수 있도록 케이스의 상면에 하나 이상의 스위치버튼과 상기 스위치버튼의 작용상태를 표시해주는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LED)가 구비된 풋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주기용 앰프의 에코 컨트롤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앰프는, 소정 크기의 앰프 케이스와, 상기 앰프 케이스의 내부에 내장되고 각종 전기장치와 전자장치가 탑재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선단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각종 전기장치와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다수 개의 조절 노브가 설치된 사용자 컨트롤패널과; 상기 앰프 케이스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앰프 케이스의 전면을 폐쇄함과 아울러 에코의 양을 증감하기 위한 두 개의 회전 손잡이가 설치된 사용자 컨트롤패널과; 상기 앰프 케이스의 후면에 설치되어 풋스위치, 마이크 및 스피커와 같은 외부기기와 외부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이 접속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접속커넥터가 구비된 단자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주기용 앰프의 에코 컨트롤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앰프 케이스의 전면에 설치된 사용자 컨트롤패널과 상기 앰프 케이스의 안쪽에 설치된 관리자 컨트롤패널은 일정 거리 떨어져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사용자 컨트롤패널에 설치된 회전 손잡이는 상기 관리자 컨트롤패널에 설치된 각종 조절 노브 보다 큰 지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주기용 앰프의 에코 컨트롤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컨트롤패널의 전면에는 에코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회전 손잡이가 구비되고, 상기 사용자 컨트롤패널 배면에는 상기 회전 손잡이의 배면에 결합하는 회전축이 구비된 스위치블럭이 설치되며, 상기 스위치블럭은 하나 이상의 케이블을 통해 상기 앰프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의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주기용 앰프의 에코 컨트롤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손잡이의 배면에는 사용자 컨트롤패널에 형성되어 있는 원호 홈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 손잡이의 회전 반경을 일정 범위 내로 한정하는 리브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주기용 앰프의 에코 컨트롤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풋스위치는 소정 크기의 풋스위치 케이스와, 상기 풋스위치 케이스 내부에 내장되고 각종 전기장치와 전자회로가 탑재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풋스위치 케이스의 상면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하로 작동하는 스위치버튼과; 상기 스위치버튼과 접촉가능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된 텍트스위치와, 상기 풋스위치 케이스의 상면에 형성된 발광소자 투시창에 대응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된 발광소자와, 상기 텍트스위치와 발광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과, 상기 텍트스위치의 작동신호를 상기 앰프로 전송할 수 있도록 케이블이 접속하는 커넥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주기용 앰프의 에코 컨트롤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상기 텍트스위치가 작동할 때 발광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구동회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주기용 앰프의 에코 컨트롤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손잡이와 스위치버튼은 노래 반주기에 사용되는 마이크의 수에 대응하는 수로 설치되되, 각 회전 손잡이와 스위치버튼은 독자적인 채널을 구성하여 각각의 마이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주기용 앰프의 에코 컨트롤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앰프와 풋스위치는, 다수 개의 바퀴가 구비된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의 상부로 일정 높이 수직으로 설치된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의 상단에 상기 앰프를 장착할 수 있도록 설치된 앰프 고정판과, 상기 다리부의 이격된 두 개의 다리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상기 풋스위치를 장착할 수 있도록 설치된 풋스위치 고정판으로 구성된 이동형 스탠드에 각각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주기용 앰프의 에코 컨트롤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앰프는 소정의 수납장에 수납되고, 상기 풋스위치는 노래방의 바닥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주기용 앰프의 에코 컨트롤장치.
KR1020070125099A 2007-12-04 2007-12-04 반주기용 앰프의 에코 컨트롤장치 KR200900583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099A KR20090058357A (ko) 2007-12-04 2007-12-04 반주기용 앰프의 에코 컨트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099A KR20090058357A (ko) 2007-12-04 2007-12-04 반주기용 앰프의 에코 컨트롤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8357A true KR20090058357A (ko) 2009-06-09

Family

ID=40988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5099A KR20090058357A (ko) 2007-12-04 2007-12-04 반주기용 앰프의 에코 컨트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5835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02838B2 (en) Tone effects system with reversible effects cartridges
US5834671A (en) Wirless system for switching guitar pickups
EP2633514B1 (en) WIRELESS FOOT-Controller PEDAL FOR ELECTRIC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7390955B2 (en) Metronome with wireless transducer
US20120318121A1 (en) Tablet computer guitar controler
KR101845866B1 (ko) 기타 이펙터
US7947892B2 (en) Volume control device
WO2007117662A2 (en) Standalone electronic module for use with musical instruments
KR20060044826A (ko) 발광 소자의 발광과 음성을 동기하여 제어하는 전자기기
US9972295B2 (en) Control apparatus for guitar effector loop using cellular phone
KR20090058357A (ko) 반주기용 앰프의 에코 컨트롤장치
JP4520770B2 (ja) 電子式メトロノーム
CN214756869U (zh) 一种音箱一体机
US20230032630A1 (en) Remote Control of Stringed Electric Instruments
KR101797512B1 (ko) 기타 이펙터 루프 및 이를 이용한 멀티형 기타 이펙터
WO2019242097A1 (zh) 一种演绎系统
CN216291348U (zh) 一种蓝牙音响
MANUAL PN7 0
JP2005508115A (ja) 感度制御照明コントローラおよびシステム
KR20070032849A (ko) 차량용 오디오의 조절노브
JPH10187175A (ja) 楽音再生装置
KR200336083Y1 (ko) 노래방 기능이 있는 피아노 완구
KR100906455B1 (ko) 음향효과 기능을 갖는 마이크 어댑터
JP2004348035A (ja) カラオケ玩具用カートリッジ
US20050180584A1 (en) Speaker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