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6455B1 - 음향효과 기능을 갖는 마이크 어댑터 - Google Patents

음향효과 기능을 갖는 마이크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6455B1
KR100906455B1 KR1020070075681A KR20070075681A KR100906455B1 KR 100906455 B1 KR100906455 B1 KR 100906455B1 KR 1020070075681 A KR1020070075681 A KR 1020070075681A KR 20070075681 A KR20070075681 A KR 20070075681A KR 100906455 B1 KR100906455 B1 KR 100906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microphone
input
unit
signal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5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1764A (ko
Inventor
김봉석
Original Assignee
김봉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석 filed Critical 김봉석
Priority to KR1020070075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6455B1/ko
Publication of KR20090011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6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6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마이크 사용 중 음성변조 및 에코를 사용할 수 있는 마이크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마이크(1)가 연결되는 마이크단자(11)가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마이크(1)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전송하는 코드선(5)이 연결되는 코드단자(13)가 타단에 설치되는 몸체(10)와; 몸체(10)의 내부에 구비되어 마이크(1)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제어하는 음성제어부(30)와; 몸체(10)의 외측에 설치되어 외부의 음향신호를 입력받는 입력잭(51)와, 마이크(1)의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출력잭(53)으로 이루어지는 음성입출력부(50)를 구비하는 통상의 음향효과 기능을 갖는 마이크 어댑터에 있어서, 음성제어부(30)는, 마이크(1)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변조하는 음성변조부(31)와; 마이크(1)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에코시키는 음성에코부(33)와; 마이크(1)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와 상기 음성입출력부(50)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믹싱하는 믹싱부(35)와; 음성변조부(31)와 음성에코부(33)와 믹싱부(35)를 선택하는 선택스위치(37)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마이크 사용 중 음성변조 및 에코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마이크 사용 중 재미난 상황을 연출하여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목소리와 별도의 음향을 믹싱하여 사용자의 목소리와 음향이 동시에 출력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반주기기 없이도 노래방에서 노래하는 효과가 있다.
마이크, 어댑터, 음성변조, 에코, 믹싱,

Description

음향효과 기능을 갖는 마이크 어댑터 {MIKE ADAPTER HAVING AUDIO EFFECTING FUNCTION}
도 1은 종래의 마이크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효과 기능을 갖는 마이크 어댑터와 마이크의 분해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음성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보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믹싱부를 보인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발광부를 보인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1 : 마이크
5 : 코드선
10 : 몸체
30 : 음성제어부
50 : 음성입출력부
본 발명은 마이크용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는 AMP에 연결되어 마이크를 사용하는 사람의 목소리를 멀리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마이크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은 종래의 마이크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원통형상으로 설계된 마이크(1)와, 마이크(1)의 목소리를 AMP로 전달하는 코드선(5)을 연결한 후에 전원스위치(2)를 온시키면 마이크(1)는 작동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마이크(1)를 통하여 목소리를 입력하면 마이크(1)로 입력되는 음성은 확성기를 통하여 멀리 전달되게 된다.
이때, 마이크(1)의 하단에는 수단자(3)가 형성되고, 코드선(5)의 일단에는 암단자(7)가 형성된다. 따라서, 마이크(1)와 코드선(5)은 수단자(3)와 암단자(7)의 결합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마이크(1)를 이용하여 사회자는 많은 관객이나 청중들에게 목소리를 널리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사회자가 레크리에이션 등에서 음성변조기를 사용하여 오락게임에서 재미있는 상황을 연출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마이크는 엠프(AMP)에 연결한 후 별도의 음성변조기기 등을 구비하여야 하므로, 사용상의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회자가 음성변조를 위해 마이크를 사용하는 도중에 음성변조기기를 조작하기 위해 음성변조기기 쪽으로 이동하거나 다른 사람이 대신 조작하여야 하므로, 음성변조가 필요한 적절한 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하지 못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마이크 사용중에 음향효과가 필요할 때는 배경음악으로 사용되는 여러 가지 음향을 내는 음향기기를 다른 사용자(Staff)가 적절한 시기에 타이밍을 맞춰서 조절해 주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마이크 사용 중 음성변조 및 에코를 사용할 수 있는 마이크 어댑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목소리와 별도의 음향을 믹싱하여 사용자의 목소리와 음향이 동시에 출력될 수 있는 마이크 어댑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마이크(1)가 연결되는 마이크단자(11)가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마이크(1)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전송하는 코드선(5)이 연결되는 코드단자(13)가 타단에 설치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마이크(1)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제어하는 음성제어부(30)와; 상기 몸체(10)의 외측에 설치되어 외부의 음향신호를 입력받는 입력잭(51)와, 상기 마이크(1)의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출력잭(53)으로 이루어지는 음성입출력부(50)를 구비하는 통상의 음향효과 기능을 갖는 마이크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음성제어부(30)는, 상기 마이크(1)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변조하는 음성변조부(31)와; 상기 마이크(1)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에코시키는 음성에코부(33)와; 상기 마이크(1)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와 상기 음성입출력부(50)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믹싱하는 믹싱부(35)와; 상기 음성변조부(31)와 음성에코부(33)와 믹싱부(35)를 선택하는 선택스위치(37)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마이크 사용 중에 음성을 변조하고 외부의 음향을 믹싱하여 새로운 목소리를 전달되어 재미난 상황이 자연적으로 연출될 수 있으므로, 방송의 오락프로그램이나 일반모임의 레크리에이션 등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토대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효과 기능을 갖는 마이크 어댑터와 마이크의 분해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마이크(1)가 연결되는 마이크단자(11)가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마이크(1)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전송하는 코드선(5)이 연결되는 코드단자(13)가 타단에 설치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마이크(1)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제어하는 음성제어부(30)와; 상기 몸체(10)의 외측에 설치되어 외부의 음향신호를 입력받는 입력잭(51)과, 상기 마이크(1)의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출력잭(53)으로 이루어지는 음성 입출력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몸체(1)는 마아크(1)의 외형과 동일한 원통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마이크단자(11)와 코드단자(13)는 몸체(1)의 상부 및 하부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이크단자(11) 및 코드단자(13)는 연결되는 마이크(11)와 코드선(5)의 종류에 따라 여러 종류의 크기와 모양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1)의 하단에는 단자(3)가 설치되어 있어 몸체(10)의 마이크단자(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마이크(1)에 전원을 인가하고 마이크(10)에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전송하는 코드선(5)에는 단자(7)가 설치되어 있어 몸체(10)의 코드단자(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마이크(1)와 몸체(10)와 코드선(5)은 차례로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몸체(10)에는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음성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보인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성제어부(30)는 상기 마이크(1)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변조하는 음성변조부(31)와; 상기 마이크(1)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에코시키는 음성에코부(33)와; 상기 마이크(1)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와 상기 음성입출력부(50)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믹싱하는 믹싱부(35)와; 상기 음성변조부(31)와 음성에코부(33)와 믹싱부(35)를 선택하는 선택스위치(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선택스위치(37)를 이용하여 음성변조부(31)를 선택하면 사용자의 목소리가 변화되어서 코드선(5)을 통하거나 출력잭(53)를 통하여 출력되므로, 마이크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청중 또는 관객들 상대로 재미있는 상황을 연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선택스위치(37)를 이용하여 음성에코부(33)를 선택하면 사용자의 목소리에 에코가 가미되므로 노래를 부를 때 에코기능을 사용하면 좋다.
또한, 사용자가 선택스위치(37)를 이용하여 믹싱부(35)를 선택하면 입력잭(51)에서 입력되는 반주음향과 사용자의 목소리가 믹싱되어 출력되므로, 사용자는 노래방기기 없이도 반주테이프가 삽입된 카세트(100)를 연결하여 노래방효과를 내면서 노래를 할 수 있다. 이때, 카세트(100)를 대신하여 반주음악이 저장된 MP3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각각의 기능들을 동시에 선택하여 더 재미있는 상황을 연출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청중이나 관객들로 하여금 웃음을 자아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레크리에이션 등에서 사용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믹싱부를 보인 회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믹싱부(35)는 상기 마이크(1)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와 상기 입력잭(51)에서 입력되는 음향신호가 상기 출력잭(53)에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마이크(1) 및 상기 입력잭(51)에 각각 설치되어 각기 입력되는 해당 신호들만 통과시키는 저항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마이크(1)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와 입력잭(51)에서 입력되는 음향신호는 상호 레벨이 다르므로, 마이크(1)의 입력단에 설치된 저항(R3)(R4)과 입력잭(51)의 입력단에 설치된 저항(R1)(R2)들은 각각 전압레벨의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저항(R3)(R4)을 통과한 신호는 저항(R1)(R2)을 통과하지 못하고, 저항(R1)(R2)을 통과한 신호는 저항(R3)(R4)을 통과하지 못하므로, 각각에서 입력되는 신호들은 상호 섞이지 않으면서 출력잭(53)을 통하여 출력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성제어부(30)는 상기 마이크(1)에서 입력되는 음성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볼륨스위치(39)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볼륨스위치(39)를 조절하면 출력되는 목소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음성제어부(30)에 의해 제어되는 음성의 크기도 조절된다.
상기 음성제어부(30)는 상기 음성제어부(3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6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배터리(60)는 충전식이며 코드선(5)의 전원을 통해 충전된다. 음성제어부(30)에 전원을 공급하므로, 사용자는 별도의 AMP를 사용하지 않고 이어폰(200)을 이용하여 자신의 음성을 들어볼 수 있다.
상기 음성제어부(30)는 상기 음성제어부(30)에 연결되어 상기 마이크(1)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70)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저장부(70)에 음성을 저장하고 저장부(70)에 저장된 음성을 재생스위치(71)를 선택하여 출력잭(53)에 연결되는 이어폰(200)이나 해드셋 등을 이용하여 들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발광부를 보인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성제어부(30)는 상기 마이크(1)에서 입력되는 음성에 따라 변화되는 발광부(9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발광부(90)는 전구 또는 LED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몸체(10)의 크기를 고려하여 LED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광부(90)는 상기 마이크(1)에서 입력되는 음성의 높낮이 변조 및 에코에 따라 변화되는 다수개의 LED(91)와; 상기 다수개의 LED(91)를 각각 또는 동시에 제어하는 LED제어부(93)와; 상기 LED제어부(93)의 제어속도를 조절하도록 일정시간을 제공하는 타이머(95)와; 상기 LED제어부(93)의 제어속도를 설정하는 속도설정부(9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입력되는 음성의 높낮이에 따라 밝기가 조절되고, 음성의 변조 및 에코에 따라 LED(91)가 순차적으로 on/off 되거나, on/off 되는 시간이 빨라지거나 느려지게 될 수 있다.
이때, 속도설정부(97)를 이용하여 LED(91)의 on/off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속도설정부(97)는 본 발명의 제조과정에서 미리 설정된 상태로 조립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이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어댑터 몸체(10)에 카세트(100)와 이어폰(200)을 연결하여 사용자 자신의 목소리와 반주음악을 믹싱하여 들을 수 있다. 이때, 음성변조 및 에코기능을 함께 사용할 수 있고 음성의 변화에 따라 다색으로 빛나는 LED(91)도 함께 반짝이므로, 마이크(1)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재미를 느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크기가 적어 휴대가 간편하고 종래의 마이크에 쉽게 적용시킬 수 있어 사용에 편리하다. 또한, 상대적으로 적은 제작비용으로 제조된 본 발명을 이용하면 고가의 음향변조기기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고가의 음향변조기기의 구입비용이 safe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이크 사용 중 음성변조가 용이하므로 마이크 사용 중 재미난 상황을 연출하여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목소리와 별도의 음향을 믹싱하여 사용자의 목소리와 음향이 동시에 출력되므로, 별도의 반주기기 없이 노래방에서 노래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에코마이크를 구비하지 않아도 에코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8)

  1. 마이크(1)가 연결되는 마이크단자(11)가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마이크(1)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전송하는 코드선(5)이 연결되는 코드단자(13)가 타단에 설치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마이크(1)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제어하는 음성제어부(30)와; 상기 몸체(10)의 외측에 설치되어 외부의 음향신호를 입력받는 입력잭(51)와, 상기 마이크(1)의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출력잭(53)으로 이루어지는 음성입출력부(50)를 구비하는 통상의 음향효과 기능을 갖는 마이크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음성제어부(30)는,
    상기 마이크(1)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변조하는 음성변조부(31)와;
    상기 마이크(1)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에코시키는 음성에코부(33)와;
    상기 마이크(1)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와 상기 음성입출력부(50)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믹싱하는 믹싱부(35)와;
    상기 음성변조부(31)와 음성에코부(33)와 믹싱부(35)를 선택하는 선택스위치(3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효과 기능을 갖는 마이크 어댑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믹싱부(35)는
    상기 마이크(1)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와 상기 입력잭(51)에서 입력되는 음향신호가 상기 출력잭(53)에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마이크(1) 및 상기 입력잭(51)에 각각 설치되어 각기 입력되는 해당 신호들만 통과시키는 저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효과 기능을 갖는 마이크 어댑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제어부(30)는
    상기 마이크(1)에서 입력되는 음성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볼륨스위치(3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효과 기능을 갖는 마이크 어댑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제어부(30)는
    상기 음성제어부(3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효과 기능을 갖는 마이크 어댑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제어부(30)는
    상기 음성제어부(30)에 연결되어 상기 마이크(1)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70)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효과 기능을 갖는 마이크 어댑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제어부(30)는
    상기 마이크(1)에서 입력되는 음성에 따라 변화되는 발광부(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효과 기능을 갖는 마이크 어댑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90)는
    상기 마이크(1)에서 입력되는 음성의 높낮이 변조 및 에코에 따라 변화되는 다수개의 LED(91)와;
    상기 다수개의 LED(91)를 각각 또는 동시에 제어하는 LED제어부(93)와;
    상기 LED제어부(93)의 제어속도를 조절하도록 일정시간을 제공하는 타이머(95)와;
    상기 LED제어부(93)의 제어속도를 설정하는 속도설정부(9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효과 기능을 갖는 마이크 어댑터.
KR1020070075681A 2007-07-27 2007-07-27 음향효과 기능을 갖는 마이크 어댑터 KR100906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5681A KR100906455B1 (ko) 2007-07-27 2007-07-27 음향효과 기능을 갖는 마이크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5681A KR100906455B1 (ko) 2007-07-27 2007-07-27 음향효과 기능을 갖는 마이크 어댑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764A KR20090011764A (ko) 2009-02-02
KR100906455B1 true KR100906455B1 (ko) 2009-07-08

Family

ID=40682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5681A KR100906455B1 (ko) 2007-07-27 2007-07-27 음향효과 기능을 갖는 마이크 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645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8785A (ja) 1997-12-03 1999-06-22 Yoichi Tanaka 出力端子付マイクロフォン
KR200309359Y1 (ko) 1999-01-28 2003-04-03 정기연 마이크의 유무선 어댑터
KR20030059955A (ko) * 2002-01-04 2003-07-12 주식회사 큐라이프 음성 변조가 가능한 이어-마이크로폰
KR100705966B1 (ko) * 2006-06-12 2007-04-13 주식회사 엔터기술 디지털 음성 신호 파일의 재생 및 저장 기능을 내재한에코마이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8785A (ja) 1997-12-03 1999-06-22 Yoichi Tanaka 出力端子付マイクロフォン
KR200309359Y1 (ko) 1999-01-28 2003-04-03 정기연 마이크의 유무선 어댑터
KR20030059955A (ko) * 2002-01-04 2003-07-12 주식회사 큐라이프 음성 변조가 가능한 이어-마이크로폰
KR100705966B1 (ko) * 2006-06-12 2007-04-13 주식회사 엔터기술 디지털 음성 신호 파일의 재생 및 저장 기능을 내재한에코마이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764A (ko) 2009-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1510B1 (ko) 변형과 분리가 가능한 블루투스 led스피커
US20190076748A1 (en) IR Dongle with Speaker for Electronic Device
US8137149B2 (en) Interactive doll
CN210777819U (zh) 一种多功能无线录音直播卡拉ok蓝牙音响舞台灯
CN109785819B (zh) 多个麦克风的关联方法、存储介质、麦克风及唱歌系统
CN203120121U (zh) 可随音频变化发光闪烁的耳机装置
US20100280922A1 (en) Illumination and decoration for amplifier and speaker networks
US20070087652A1 (en) Pet-like toy combined with MP3 player
US20120275617A1 (en) Ornamental device
KR100906455B1 (ko) 음향효과 기능을 갖는 마이크 어댑터
US20160234583A1 (en) Speaker
CN206226660U (zh) 一种手机k歌宝
CN205984262U (zh) 一种电子琴
JP3233150U (ja) 多機能マイク
CN209982704U (zh) 一种多功能无线卡拉ok蓝牙音响魔球灯
CN204993806U (zh) 一种音响随动系统
CN209134630U (zh) 一种音箱
KR101520772B1 (ko) 자유 변형이 가능한 블루투스 스피커
CN201022227Y (zh) 一种音频播放器耳机
CN207818003U (zh) 一种多功能点读笔学习系统
KR102447873B1 (ko) 디지털 응원봉을 이용한 응원 운영시스템
KR102345027B1 (ko) 조명 장치, 및, 이 조명 장치가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액자
KR101021767B1 (ko) 스피커 음압에 따른 컬러 램프 점등 제어 장치
JP2012249020A (ja) 音楽聴取支援装置
CN214707948U (zh) 一种音频播放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