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4667B1 - 오일 공급의 조절이 가능한 습식 다판 클러치 - Google Patents

오일 공급의 조절이 가능한 습식 다판 클러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4667B1
KR101844667B1 KR1020160096814A KR20160096814A KR101844667B1 KR 101844667 B1 KR101844667 B1 KR 101844667B1 KR 1020160096814 A KR1020160096814 A KR 1020160096814A KR 20160096814 A KR20160096814 A KR 20160096814A KR 101844667 B1 KR101844667 B1 KR 101844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lutch
opening
regulating member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6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3303A (ko
Inventor
문진성
홍원희
Original Assignee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6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4667B1/ko
Publication of KR20180013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3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4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4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7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12Details not specific to one of the before-mentioned types
    • F16D25/123Details not specific to one of the before-mentioned types in view of cooling and 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00Special features for couplings or clutches
    • F16D2300/06Lubrication 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 F16D13/7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가압된 상태에서 입력 샤프트(30)의 동력을 전달하는 클러치 팩(20), 상기 클러치 팩(20)을 수용하는 클러치 공간(15) 및 상기 클러치 공간(15)의 상부와 상기 클러치 공간(15)의 중심부를 유체 연통시키는 오일 순환 경로(11)가 형성되는 하우징(10), 상기 클러치 팩(20)을 가압할 수 있는 피스톤(21), 상기 클러치 팩(20)이 가압될 때 상기 오일 순환 경로(11)를 개방하는 오일 조절 부재(22)를 포함하는, 습식 클러치(100)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습식 클러치는, 클러치를 작동시키지 않을 때는 윤활유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클러치 팩의 마찰판들 사이에서 생길 수 있는 유체 점성 저항에 따른 마찰력을 줄여 효율 상승 및 연비 개선을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일 공급의 조절이 가능한 습식 다판 클러치 {WET MULTI-PLATE CLUTCH ABLE TO CONTROL OIL SUPPLY}
본 발명은 윤활 오일의 공급 조절이 가능한 습식 다판 클러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오일 순환 경로 상에 오일 조절 밸브가 설치되어 피스톤의 작동 유압에 따라 윤활 오일의 공급을 조절할 수 있는 습식 다판 클러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쓰이는 클러치 장치에는 건식 클러치와 습식 클러치가 있으며, 자동차용 변속기(AT, CVT 등)와 전자식 4WD 시스템에서는 습식 다판 클러치를 주된 동력 절환 및 전달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다. 습식 다판 클러치의 클러치 팩 내에서 마찰에 의해 동력을 전달하고 전달받는 제 1 마찰판과 제 2 마찰판은 상대 운동을 하게 되고, 클러치 체결시, 즉 피스톤 가압 시에는 제 1 마찰판과 제 2 마찰판의 상대 회전에 의해 마찰열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클러치 체결시에는 마찰로 인한 발열로부터 클러치를 보호하기 위해 윤활유를 공급하는데, 종래의 습식 다판 클러치는, 클러치 케이스 내에 오일을 일정량 넣어두어 입력 샤프트를 중심으로 오일 배쓰 방식(Oil bath type)으로 부속의 윤활을 실시하는 방식을 사용하거나, 클러치 체결 여부와 상관 없이 윤활유를 상시 공급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러한 윤활 구조는 클러치가 체결되지 않은 상태, 즉, 클러치의 제 1 마찰판과 제 2 마찰판이 서로 약간 이격되어 각자 회전하면서 상대 운동하는 상태에서 유체 점성 저항으로 인한 드래그 토크를 발생시키며, 이는 연비 저하의 요인으로 작용해 왔다.
도 1은 종래의 습식 다판 클러치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습식 다판 클러치(1)는 복수의 제 1 마찰판(2), 상기 제 1 마찰판(2) 사이사이에 개재되는 복수의 제 2 마찰판(3), 상기 복수의 제 2 마찰판(3)에 연동되는 클러치 드럼(4)을 포함하고, 하우징(5)이 상기 부품들이 회전가능하게 둘러싸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습식 다판 클러치(1)에서 사용하는 오일 쳐닝 방식은, 하우징(5) 내에 오일을 상당량 채운 상태에서 제 1 마찰판(2), 제 2 마찰판(3), 및 클러치 드럼(4) 등을 윤활시키는 것이었다.
이러한 방식에 의존할 경우, 샤프트를 중심으로 하여 아래쪽과 위쪽의 오일공급 불균형이 커서 오일 공급의 효율이 떨어지고, 오일 공급 성능의 확보를 위해 오일 레벨이 높을 수 밖에 없다.
이는 클러치 장치 부품 중 회전하는 부품들, 예를 들어 클러치 드럼 등의 회전 저항의 증가를 야기하고, 오일량의 과다로 전체 중량이 및 비용이 높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클러치가 체결되지 않은 경우에 각 마찰판들이 회전하면서 드래그 토크가 발생되므로, 연비 저하의 원인이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습식 다판 클러치에 있어서, 윤활이 필요할 때만 오일이 공급되는 습식 다판 클러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가압된 상태에서 입력 샤프트의 동력을 전달하는 클러치 팩; 상기 클러치 팩을 수용하는 클러치 공간 및 상기 클러치 공간의 상부와 상기 클러치 공간의 중심부를 유체 연통시키는 오일 순환 경로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클러치 팩을 가압할 수 있는 피스톤; 상기 클러치 팩이 가압될 때 상기 오일 순환 경로를 개방하는 오일 조절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오일 순환 경로(11)는 상기 클러치 공간(15)의 상부와 통하는 오일 수집부(11a) 및 상기 클러치 공간(15)의 중심부와 통하는 오일 유로(11b)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10) 내에는 상기 하우징(10) 내의 상기 피스톤(21)이 수용되는 공간과 상기 오일 유로(11b) 사이를 관통하는 유압 개구(23), 및 상기 유압 개구(23)에 대향하는 리세스(24)가 형성되고, 상기 오일 조절 부재(22)는 상기 유압 개구(2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개방부(22a) 및 상기 리세스(2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폐쇄부(22b)를 포함한다.
상기 오일 조절 부재는 상기 피스톤(21)을 작동시키는 유압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그리고 유압에 의해 개방부가 피스톤 반대쪽으로 미끄러지면 오일 순환 경로 상에 오일이 흐르도록 할 수 있고, 유압이 내려가 개방부가 피스톤 쪽으로 돌아오면 오일 순환 경로 상에 오일이 흐르지 않도록 폐쇄할 수 있다.
삭제
상기 개방부에는 오링(O-ring)이 부착되어 상기 피스톤을 작동시키는 유압 오일이 상기 오일 유로 쪽으로 새지 않도록 밀봉할 수 있다. 상기 오링은 개방부와 유압 개구 사이에 기밀성을 확보함으로써 유압이 새지 않도록 기능한다.
상기 오일 조절 부재와 상기 리세스 사이에 탄성 부재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탄성 부재는 스프링 등 탄성을 가진 물체라면 얼마든지 해당될 수 있다. 스프링의 경우, 스프링 정수(spring constant)를 조정함으로써 오일 조절 부재의 개폐 시점 및 개폐량을 변경시킬 수 있으므로, 궁극적으로는 클러치의 윤활 시점 및 윤활 유량을 최적의 상태로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오일 조절 부재와 상기 리세스 사이에는 스토퍼(stopper)가 배치되어, 상기 오일 조절 부재가 상기 피스톤을 작동시키는 유압에 의해 상기 리세스 쪽으로 밀리더라도 상기 개방부가 상기 유압 개구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개방부는 상기 오일 유로에 오일이 흐를 수 있도록 상기 오일 유로를 개방하고, 상기 폐쇄부는 상기 오일 유로에 오일이 흐를 수 없도록 상기 오일 유로를 폐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방부는 오일 유로의 단면보다 작은 길이의 폭을 가짐으로써 유로를 개방하거나, 상기 개방부 내에 구멍이 형성되어 유로를 개방할 수 있다. 반면, 상기 폐쇄부는 오일 유로의 단면과 동일한 길이의 폭을 가짐으로써 상기 폐쇄부가 오일 유로에 진입하는만큼 유로를 폐쇄하도록 구성되고, 즉, 폐쇄부가 오일 유로를 모두 폐쇄하는 경우는 개방부는 이미 유압 개구 속으로 모두 들어간 경우라고 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과 상기 오일 조절 부재는 유압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따라서 피스톤이 클러치 팩을 가압하기 위해 높아진 유압은 상기 오일 조절 부재의 개방부에 피스톤 반대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고, 따라서 오일 유로에 있던 폐쇄부를 리세스 내로, 유압 개구에 있던 개방부를 오일 유로 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습식 클러치는, 클러치를 작동시키지 않을 때는 윤활유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클러치 팩의 마찰판들(스틸판 포함) 사이에서 생길 수 있는 유체 점성 저항에 따른 마찰력을 줄여 효율 상승 및 연비 개선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습식 다판 클러치의 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클러치에서 클러치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클러치에서 클러치가 작동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B 부분에 스토퍼가 추가 배치된 확대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습식 클러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클러치(10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습식 클러치(100)는 하우징(10)을 포함하고, 하우징(10)에는 클러치 팩을 수용하는 클러치 공간(15)이 형성된다. 클러치 공간(15)에서 클러치 팩(20)의 회전하는 부품들에 의해 오일 쳐닝(oil churning) 방식으로 클러치 공간(15) 상부로 비산하는 오일을 다시 클러치 공간(15)의 중심으로 유체 연통시키는 오일 순환 경로(11)가 하우징(10)에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두 부분으로 나뉘어 조립될 수 있는데, 케이스(10a) 및 덮개(10b)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습식 다판 클러치의 부속품들인 클러치 팩(20), 인풋 샤프트(30), 클러치 드럼(40) 등을 수용하여 결합하기 위함이다.
오일 순환 경로(11)는 오일 수집부(11a)와 오일 유로(11b)로 구성된다. 이 중, 상기 클러치 공간(15)의 상부와 통하는 오일 수집부(11a)는 케이스(10a) 내에 형성되고, 상기 클러치 공간(15)의 중심부와 통하는 오일 유로(11b)는 덮개(10b) 내에 형성된다.
상기 오일 유로(11b)의 적어도 일부는 오일 수집부(11a)로부터 하향 경사진 부분을 가진다. 이는 오일 수집부(11a)에 수집된 오일이 다시 클러치 공간(15)의 중심부로 순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중심부로 복귀된 오일은 입력 샤프트(30)를 윤활하고, 다시 클러치 공간(15) 하부로 흘러내리거나 원심력에 의해 제 1 오일 홀(32)을 통해 클러치 팩(20)으로 유입됨으로써, 클러치 내부 전체를 윤활 및 냉각할 수 있다. 이 때, 피스톤 및 베어링 등 기타 부속품들도 동시에 윤활 및 냉각될 수 있다.
오일 유로(11b)의 적어도 일부가 오일 수집부(11a)로부터 하향 경사진 부분을 갖는 것처럼, 오일 수집부(11a) 역시, 오일 순환에 기여하는 구성이라면 하향 경사 부분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클러치 팩(20)의 내주에는 입력 샤프트(30)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고, 클러치 팩(20)의 외주에는 클러치 드럼(40)이 연결되어, 피스톤이 클러치 팩(20)에 압력을 가하면 마찰판들끼리 접촉하게 되면서 출력 측에 동력을 전달한다.
본 실시예에서, 오일 수집부(11a)는 클러치 공간(15)보다 대체로 상부에 위치한다. 오일 수집부(11a)와 클러치 공간(15) 사이에는 오일의 통과를 위한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로는 오일이 클러치 팩(20)의 강한 회전에 의해 위로 운반될 때 오일이 자연스럽게 오일 수집부(11a)로 수집될 수 있도록, 원통 형상의 클러치 공간(15)의 원주와 접선인 방향으로 연장하여 오일 수집부(11a)에 도달한다. 오일 수집부(11a)에서 클러치 공간(15) 사이의 통로가 중력 방향에 가까울수록 수집된 오일이 다시 클러치 공간(15)으로 떨어질 수 있으나, 클러치 팩(20)이 강하게 회전하게 되면, 오일이 떨어지는 양보다 위로 이동되는 양이 많아지므로, 결국 오일 유로(11b)를 따라 클러치 공간(15) 중심부로 순환할 수 있게 된다.
입력 샤프트(30)의 회전에 따라, 입력 샤프트(30)의 외벽에 묻어 있는 오일 중 상기 제 1 결합부(31)와 입력 샤프트(30) 사이에 있는 오일은 제 1 오일 홀(32)로 빠져나가게 된다. 빠져 나간 오일은 클러치 팩(20)의 마찰판들 사이사이에 묻는다. 이 때, 오일이 고루 분배되도록 하기 위해 제 1 오일 홀(32)의 형상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부가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오일 유로(11b) 중간에는 오일의 흐름을 차단하는 오일 조절 부재(22)가 배치된다. 상기 오일 조절 부재(22)는 우측의 개방부(22a) 및 좌측의 "ㄷ"자를 뒤집어 놓은 모양의 폐쇄부(22b)를 포함한다. 여기서, 개방부(22a)는 유압 개구(23)에 완전히 삽입되어 있고, 따라서 폐쇄부(22b)가 오일 유로(11b)를 폐쇄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피스톤은 완전 왼쪽으로 풀려 있고, 유압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제 1 마찰판(2)과 제 2 마찰판(3)은 각자 따로 움직일 수 있는 상태이고, 상대 운동을 하게 된다. 이렇게 클러치가 체결되지 않았을 때 오일이 오일 수집부(11a)로부터 흘러 내린다면 마찰판들이 회전할 때 드래그 토크가 발생되어 주행 속도 및 동력에 손실을 가져오게 된다. 이는 곧 연비 하락으로 이어지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오일 조절 부재(22)가 설치되어 있다. 점선으로 표시된 화살표는 쳐닝된 오일의 흐름 경로를 표시하며, 이는 오일이 오일 수집부(11a)에 축적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유압 개구(23) 반대편에는 폐쇄부(22b)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리세스(24)가 형성되어 있고, 그 리세스(24) 안에탄성 부재(26)가 위치된다. 상기 탄성 부재(26)는 리세스(24)의 바닥부(도 3에서 좌측 벽부)와 오일 조절 부재(22) 사이에서 오일 조절 부재(22)에 우측으로(피스톤 방향으로) 압력을 가한다. 상기 오일 조절 부재(22)에 탄성 부재(26)에 의한 압력이 가해짐으로써 오일 유로(11b)는 폐쇄된다. 상기 바닥부는 상기 유압 개구(23)를 마주보는 리세스(24)의 바닥이고, 상기 바닥부의 면은 오일 조절 부재(22)가 이동하는 방향에 대체로 수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오일 조절 부재(22)의 폐쇄부(22b)가 리세스(24)에 완전히 들어가 있다. 피스톤의 좌측에 표시된 굵은 화살표들은 피스톤(21)과 오일 조절 부재(22)에 가해지는 유압을 표시한다. 즉, 클러치가 체결된 상태이다. 피스톤 유압 오일에 유압이 높아지면서 피스톤(21)은 우측 클러치 팩(20) 방향으로, 오일 조절 부재(22)는 리세스(24)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 1 마찰판(2)과 제 2 마찰판(3)이 서로 마찰하면서 마찰열이 발생하고, 이를 냉각시키기 위해 오일이 윤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오일 유로(11b)에는 오일 조절 부재(22)의 개방부(22a)가 교차되면서 오일 수집부(11a)에 고여 있던 오일이 아래로 흘러 입력 샤프트(30)에 도달한다. 입력 샤프트(30)에 떨어진 오일은 입력 샤프트(30)의 회전에 의해 제 1 오일 홀(32)들로 비산되어 마찰판들(2, 3)을 윤활 및 냉각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피스톤 유압이 오일 조절 부재(22)에 좌측으로 가하는 힘은 탄성 부재(26)가 오일 조절 부재(22)에 우측으로 가하는 탄성력보다 크다. 피스톤 유압이 오일 조절 부재(22)를 가압할 때 개방부(22a)가 이동하는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오일 유로(11b)의 단면의 지름 또는 도면(도 4) 상 좌우 방향의 길이 이상일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서 오일 조절 부재(22)의 단부와 리세스 바닥부까지의 거리는 오일 조절 부재(22)의 최대 이동 길이보다는 길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폐쇄부(22b)의 단부와 리세스 바닥부까지의 거리는 개방부(22a)의 최대 이동 길이보다는 길 수 있다. 하지만, 상기 길이들, 오일 조절 부재(22)의 길이, 상기 오일 조절 부재(22)의 개방부(22a) 및 폐쇄부(22b)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오일의 공급량이 최적화되도록 설계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비슷하게, 오일 유로(11b)의 폭 또는 단면의 면적을 조절함으로써 오일의 공급량이 최적화되도록 설계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도 5a 및 5b는 도 4의 B의 확대도이다. 오일 조절 부재(22)와 하우징 덮개(10b) 사이에 스토퍼(27)가 위치된다. 스토퍼(27)는 도 5a에서처럼 폐쇄부(22b)의 단부에 위치되어 오일 조절 부재(22)가 리세스(24) 방향으로 지나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리세스 방향으로 과도하게 가압되면 개방부(22a)의 우측 끝단이 유압 개구(23)로부터 이탈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개방부(22a)의 우측 끝단에는 오링(O-ring; 25)이 끼워진다. 상기 오링(25)에 의해 유압 개구(23)의 내벽과 오일 조절 부재(22)의 개방부(22a)의 외벽 사이로 피스톤 유압 오일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오링(25)이 개방부(22a)의 외벽에 부착 형성된 것으로 보여졌으나, 기밀성만 유지된다면 유압 개구(23)의 좌측 끝단에 부착 형성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본 실시예의 오일 조절 부재(22)는 폐쇄부(22b)가 "ㄷ"자 형태로 구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개방부(22a)처럼 일자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개방부(22a) 역시 일자 형태에 한정되어서는 안 되고, 유압 개구(23)에 기밀성을 갖도록 연결되고 피스톤 유압에 의해 밀려나면서 오일 유로(11b)를 개방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ㄷ"자 형태 뿐 아니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습식 클러치(100)에 따르면, 오일 조절 부재(22)를 위한 별도의 작동 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단지 피스톤의 유압을 함께 사용하는 것만으로 오일 공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솔레노이드 밸브나 기타 밸브 액추에이터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원가 절감에 기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습식 클러치
2: 제 1 마찰판
3: 제 2 마찰판
10: 하우징
10a: 케이스
10b: 덮개
11: 오일 순환 경로
11a: 오일 수집부
11b: 오일 유로
15: 클러치 공간
20: 클러치 팩
21: 피스톤
22: 오일 조절 부재
22a: 개방부
22b: 폐쇄부
23: 유압 개구
24: 리세스
25: 오링
26: 탄성 부재
27: 스토퍼
30: 입력 샤프트
32: 제 1 오일 홀
40: 클러치 드럼

Claims (9)

  1. 가압된 상태에서 입력 샤프트(30)의 동력을 전달하는 클러치 팩(20);
    상기 클러치 팩(20)을 수용하는 클러치 공간(15) 및 상기 클러치 공간(15)의 상부와 상기 클러치 공간(15)의 중심부를 유체 연통시키는 오일 순환 경로(11)가 형성되는 하우징(10);
    상기 클러치 팩(20)을 가압할 수 있는 피스톤(21);
    상기 클러치 팩(20)이 가압될 때 상기 오일 순환 경로(11)를 개방하는 오일 조절 부재(22);를 포함하고,
    상기 오일 순환 경로(11)는 상기 클러치 공간(15)의 상부와 통하는 오일 수집부(11a) 및 상기 클러치 공간(15)의 중심부와 통하는 오일 유로(11b)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10) 내에는 상기 하우징(10) 내의 상기 피스톤(21)이 수용되는 공간과 상기 오일 유로(11b) 사이를 관통하는 유압 개구(23), 및 상기 유압 개구(23)에 대향하는 리세스(24)가 형성되고,
    상기 오일 조절 부재(22)는 상기 유압 개구(2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개방부(22a) 및 상기 리세스(2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폐쇄부(22b)를 포함하는 습식 클러치(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조절 부재(22)는 상기 피스톤(21)을 작동시키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습식 클러치(100).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22a)에 오링(O-ring; 25)이 부착되어 상기 피스톤(21)을 작동시키는 유압 오일이 상기 오일 유로(11b) 쪽으로 새지 않도록 밀봉하는, 습식 클러치(100).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조절 부재(22)와 상기 리세스(24) 사이에 탄성 부재(26)가 배치되는, 습식 클러치(100).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조절 부재(22)와 상기 리세스(24)의 바닥부 사이에 스토퍼(stopper; 27)가 배치되어, 상기 오일 조절 부재(22)가 상기 피스톤(21)을 작동시키는 유압에 의해 상기 리세스(24) 쪽으로 밀리더라도 상기 개방부(22a)가 상기 유압 개구(23)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습식 클러치(100).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22a)는 상기 오일 유로(11b)에 오일이 흐를 수 있도록 상기 오일 유로(11b)를 개방하고,
    상기 폐쇄부(22b)는 상기 오일 유로(11b)에 오일이 흐를 수 없도록 상기 오일 유로(11b)를 폐쇄하는, 습식 클러치(100).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21)과 상기 오일 조절 부재(22)는 유압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 힘을 받는, 습식 클러치(100).
KR1020160096814A 2016-07-29 2016-07-29 오일 공급의 조절이 가능한 습식 다판 클러치 KR101844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814A KR101844667B1 (ko) 2016-07-29 2016-07-29 오일 공급의 조절이 가능한 습식 다판 클러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814A KR101844667B1 (ko) 2016-07-29 2016-07-29 오일 공급의 조절이 가능한 습식 다판 클러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303A KR20180013303A (ko) 2018-02-07
KR101844667B1 true KR101844667B1 (ko) 2018-04-02

Family

ID=61204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6814A KR101844667B1 (ko) 2016-07-29 2016-07-29 오일 공급의 조절이 가능한 습식 다판 클러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46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1602A (ko) * 2018-12-27 2020-07-08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용 클러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88445B2 (ja) 2018-02-02 2022-06-21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硬化性組成物
CN110131326B (zh) * 2019-04-26 2024-01-19 第一拖拉机股份有限公司 动力换挡拖拉机湿式离合器的润滑流量分配结构
CN110107612B (zh) * 2019-05-22 2020-11-24 重庆隆鑫发动机有限公司 离合器外罩及离合器
CN110043575B (zh) * 2019-05-22 2020-11-03 重庆隆鑫发动机有限公司 离合器润滑系统及发动机
WO2022030349A1 (ja) * 2020-08-06 2022-02-10 株式会社エフ・シー・シー 動力伝達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10985B2 (ja) * 2012-03-14 2015-11-11 株式会社デンソー 湿式多板クラッ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10985B2 (ja) * 2012-03-14 2015-11-11 株式会社デンソー 湿式多板クラッ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1602A (ko) * 2018-12-27 2020-07-08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용 클러치
KR102623944B1 (ko) 2018-12-27 2024-01-11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용 클러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303A (ko) 2018-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4667B1 (ko) 오일 공급의 조절이 가능한 습식 다판 클러치
US7455159B2 (en) Torque transmitting unit and power train having a torque transmitting unit
US7350635B2 (en) Hydraulic double clutch
US7308977B2 (en) Clutch assembly and method of reversing cooling fluid flow
EP2351942B1 (en) Dry clutch
US7249663B2 (en) Wet clutch friction plate and method
US2659468A (en) Lubricated friction disk
KR101828146B1 (ko) 오일 윤활 구조를 가지는 습식 다판 클러치
JP2004245332A (ja) 湿式摩擦係合装置の潤滑・冷却構造
CN109070740B (zh) 集成多位置强制润滑系统
US9400045B2 (en) Housing with a direct flow path for hardware lubrication
JP6197633B2 (ja) クラッチの潤滑油供給路構造
JP6202733B2 (ja) ポンプスプライン潤滑構造
JP2009052726A (ja) 発進クラッチ装置
KR101437152B1 (ko) 클러치
JP2000257706A (ja) 動力伝達装置の潤滑装置
KR20190001653A (ko) 드래그 토크 감소를 위한 리어디프부 및 커플링부 일체형 케이스 어셈블리
JP6366645B2 (ja) ベアリングの潤滑構造
KR101655632B1 (ko) 클러치의 윤활유량이 증대된 자동변속기
KR101916186B1 (ko) 자동변속기용 클러치장치
KR101827006B1 (ko) 자동변속기의 클러치 유로 공기빼기 장치
KR102128275B1 (ko) 자동 변속기용 클러치의 윤활 장치
KR101349566B1 (ko) 클러치의 윤활구조
KR20180077581A (ko) 차량용 토크 컨버터
CN117386735A (zh) 一种摩托车发动机离合器摩擦片润滑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