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4180B1 - 훈련용 당구공 - Google Patents

훈련용 당구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4180B1
KR101844180B1 KR1020170045044A KR20170045044A KR101844180B1 KR 101844180 B1 KR101844180 B1 KR 101844180B1 KR 1020170045044 A KR1020170045044 A KR 1020170045044A KR 20170045044 A KR20170045044 A KR 20170045044A KR 101844180 B1 KR101844180 B1 KR 101844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training
target
billiard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5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도준
박기창
Original Assignee
박도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도준 filed Critical 박도준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4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4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3/00Balls with special arrangements
    • A63B43/002Balls with special arrangements with special configuration, e.g. non-spheric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14Special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3/00Balls with special arrangements
    • A63B43/008Balls with special arrangements with means for improving visibility, e.g. special markings or colou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DBOWLING GAMES, e.g. SKITTLES, BOCCE OR BOWLS; INSTALLATIONS THEREFOR; BAGATELLE OR SIMILAR GAMES; BILLIARDS
    • A63D15/00Billiards, e.g. carom billiards or pocket billiards; Billiard tables
    • A63D15/006Training or aiming arrangements on billiard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4Visual indication, e.g. Indici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08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14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with form or shape memory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4/00Training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3/00Specific ball sports not provided for in A63B2102/00 - A63B2102/38
    • A63B2243/002Billiards

Abstract

본 발명은 두 개의 훈련용 당구공을 구면 접촉으로 일체화시켜 당구 훈련 시 훈련자가 수구를 훈련용 당구공의 이미지 볼에 정 가운데를 조준하여 정확하게 맞추는 것만으로 이미지 볼과 붙어 있는 표적구의 일정 두께로 맞춘다는 상황을 파악하게 하여 표적구의 두께 조절 훈련을 쉽고 용이하게 하여 당구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훈련용 당구공에 관한 것으로, 이미지 볼과 표적구로 이루어지는 두 개의 훈련용 당구공을 연결수단으로 조립하되, 상기 두 개의 훈련용 당구공을 구면 접촉으로 일체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훈련용 당구공{Billiard balls for training}
본 발명은 당구 훈련 시 당구큐(billiard cue)로 수구(cue ball)를 조준 타격하여 표적구(object ball)의 두께 조절 훈련을 하는 훈련용 당구공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이미지 볼(image ball)과 표적구(object ball)로 이루어지는 두 개의 훈련용 당구공을 연결수단으로 조립하되, 상기 두 개의 훈련용 당구공을 구면 접촉으로 일체화시켜 당구 훈련 시 훈련자가 수구를 훈련용 당구공의 이미지 볼에 정 가운데를 조준하여 정확하게 맞추는 것만으로 이미지 볼과 붙어 있는 표적구의 일정 두께로 맞춘다는 상황을 파악하게 하여 표적구의 두께 조절 훈련을 쉽고 용이하게 하여 당구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훈련용 당구공에 관한 것이다.
당구는 당구대 위에서 적·백색 공을 당구큐로 처서 각자의 점수를 겨루는 레저 스포츠로, 당구에는 여러 가지 종목이 있는데 크게 4구 경기, 스리쿠션 경기 및 포켓볼 경기 등이 있다. 4구 경기는 적·백색 두 개씩의 공을 사용하여 경기를 하고, 스리쿠션 경기는 적색공 한 개, 백색공 두 개를 사용하여 경기를 한다.
당구 용어에서 일반적으로 당구큐로 내가 치는 공을 '수구'라 하고, 수구로 먼저 맞추는 공을 '제1표적구'라 하고, 나중에 맞추는 공을 '제2표적구'라 한다.
당구는 수구를 타격하여 제1표적구의 일정 부분을 맞추는 것이 필요한 과정이다. 이때 제1표적구의 일정부분을 맞추는 것을 두께 조절이라 하며, 1/2, 1/3, 1/4, 1/5, 1/6 등의 형태로 말하며 이는 제1표적구의 지름 중에 수구가 맞는 부분을 표시하는 용어이다.
당구 게임을 하거나 연습을 할 때 당구큐로 수구를 타격하여 제1표적구의 일정 부분을 맞추게 되는데, 이때 당구큐의 끝을 조준하는 포인트가 필요하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당구큐의 끝 부분이 향하는 곳은 애매하기도 하고 확정되어 있지 않아서 초보자의 경우 큰 어려움을 갖게 된다.
즉, 당구 실력자들은 관념적이고 수치적인 두께를 맞추라고들 말하지만, 이 말은 당구큐의 끝 부분을 표적구의 어디를 조준하라는 것인지 알 수 없다는 것이다. 당구 실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수구를 타격하여 표적구를 맞출 때 두께 조절이 굉장히 중요하다. 이러한 필요성에도 아직까지 표적구의 두께 조절을 효과적으로 연습할 수 있는 선행 기술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3785호의 '당구볼 코스 연습용구'는 목적구(예로 제1적구)가 설치된 연습용구를 당구대의 일정한 곳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당구큐로 임팩트구(수구)를 타격하여 목적구(표적구)를 맞추면 임팩트구가 당구대를 선회하는 것에 의해 임팩트구의 선회 코스를 익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당구 기술에 대해 표적구의 두께 조절 훈련을 누구나 쉽게 연마하여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기술개발이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3785호(2011.04.20.)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19752호(2009.09.29.)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당구규로 수구를 굴렸을 때 표적구를 맞추고자 하는 부분이 수구가 굴러가는 진행방향이 된다는 것에 착안하여 아예 수구(본 발명의 이미지 볼에 해당함)를 표적구에 붙여놓음으로써 당구큐로 수구를 이미지 볼 정 가운데를 조준하여 맞춤으로서 이미지 볼 뒤에 붙어있는 표적구의 두께 조절 훈련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훈련용 당구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훈련용 당구공은, 이미지 볼(image ball)과 표적구(object ball)로 이루어지는 두 개의 훈련용 당구공을 연결수단으로 조립하되, 상기 두 개의 훈련용 당구공을 구면 접촉으로 일체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수단은 이미지 볼과 표적구의 구면에서 중심을 향해 형성한 구멍에 나사를 형성하고, 이 나사를 통해 연결봉을 나사 조립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수단은 이미지 볼과 표적구의 구면에서 중심을 향해 형성한 구멍에 연결봉을 접착 또는 억지끼움으로 조립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수단은 이미지 볼과 표적구의 구면에서 중심을 향해 형성한 구멍에 나사를 형성하고, 이 나사를 통해 탄성 복원되는 탄성복원부재가 설치된 연결소켓을 나사 조립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수단은 이미지 볼과 표적구의 구면에서 중심을 향해 형성된 구멍에 자석을 매설하여 자력에 의해 이미지 볼과 표적구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훈련용 당구공의 표적구에는 반구(半球)로부터 이미지 볼 쪽으로 얇은 두께 정도를 가늠할 수 있도록 띠모양의 등분을 다수 표시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훈련용 당구공의 표적구 및 이미지 볼에는 반구(半球)로부터 표적구와 이미지 볼의 양 볼 쪽으로 얇은 두께 정도를 가늠할 수 있도록 띠 모양의 등분을 다수 표시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훈련용 당구공은 게임용 당구공 크기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훈련용 당구공에 의하면, 당구 훈련 시 훈련자가 수구를 이미지 볼의 정 가운데를 조준하여 정확하게 맞추는 것만으로 표적구의 두께 조절 훈련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구로 훈련용 당구공을 얇게 맞추는 훈련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는데, 만약 훈련용 당구공의 중 이미지 볼을 두껍게 맞히면 이에 붙어있는 표적구가 연동하여 움직이기 때문에 표적구를 맞출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미지 볼을 아주 얇게 맞혀야만 표적구의 움직임이 미세하게 되어 표적구를 맞출 수 있게 되기에 얇게 치기 훈련에 탁월하여 실제 게임에서는 훨씬 수월한 타격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4구 경기에서 두 공을 계속해서 맞추어 나가는 일명 모아 치기 훈련을 하는데 적합니다. 이는 이미지 볼과 표적구가 붙어 있기 때문에 수구로 맞출 때 흐트러지지 않게 되어 수고스러움을 덜게 되고 동시에 두 개의 공이 각도만 변하게 되어 다양한 각도에서 두 개의 공을 모아 치는 훈련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3구 경기에서 두 공이 모여 있고 빈 쿠션을 맞춘 후에 제1표적구와 제2표적구를 맞추는 일명 가락 형태의 게임을 하게 되는바, 이때에서 본 발명의 훈련용 당구공으로 훈련을 하게 되면 두 공이 흩어지지 않게 되어 편하게 훈력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당구큐의 큐선 훈련, 즉 큐의 스트로크 훈련을 할 수 있다. 예컨대 수구를 두 공의 정 중앙(이미지 볼과 표적구가 붙어 있는 접선)을 타격하면 두 개의 공이 동시에 맞으면 두 개의 공은 같은 방향으로 굴러가 스트로크가 제대로 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만약에 수구를 타격한 방향이 이미지 볼이나 표적구에 먼저 맞게 되면 먼저 맞은 공을 중심으로 움직이게 되어 이를 관찰하여 스트로크가 잘못됐다는 것을 알 수 있기에 큐선 훈련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 예로 예시된 훈련용 당구공의 조립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연결수단의 분해 조립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연결수단의 변형 예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연결수단의 다른 변형 예로서, 도 5는 연결수단의 분해 조립 단면도이고, 도 6은 조립 단면도이며, 도 7은 연결수단의 탄성복원부재가 늘어난 상태를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연결수단의 또 다른 변형 예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훈련용 당구공의 변형 예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변형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훈련용 당구공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것으로, 도 11은 수구에 대해 표적구의 두께가 얇게 배치된 것이고, 도 12는 수구에 대해 표적구의 두께가 두껍게 배치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훈련용 당구공의 다른 사용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이하의 기재사항 및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발명의 기술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다시 말해,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현장에서 구현할 때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이들 변형이 본 발명의 기술사상 내에 있다면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인 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해당 기술 분야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쉽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 예로 예시된 훈련용 당구공의 조립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연결수단의 분해 조립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조립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1실시 예로 예시한 훈련용 당구공(11)은, 동일한 크기의 이미지 볼(21)과 표적구(31)로 구성된다.
상기 이미지 볼(21)과 표적구(31)로 이루어지는 두 개의 훈련용 당구공(11)은 연결수단으로 조립하되, 상기 두 개의 훈련용 당구공(11)을 구면 접촉으로 일체화시켜 구성된다.
상기 연결수단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이미지 볼(21)과 표적구(31)의 구면에서 중심을 향해 구멍(23)(33)이 각각 형성되고 이 구멍(23)(33)에 나사(25)(35)가 형성되어 이 나사(25)(35)를 통해 나사 가공된 연결봉(41)을 나사 조립함으로써 상기 두 개의 훈련용 당구공(11)이 구면 접촉으로 일체화되어 구성된다.
한편, 도 4는 도 3의 연결수단의 변형 예로, 이미지 볼(21)과 표적구(31)의 구면에서 중심을 향해 구멍(23)(33)이 각각 형성되고 이 구멍(23)(33)에 연결봉(43)을 접착 또는 억지 끼움으로 조립함으로써 상기 두 개의 훈련용 당구공(11)이 구면 접촉으로 일체화되어 구성된다.
상기에서 연결봉(41)(43)은 충격 강도에 강한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연결수단의 다른 변형 예로서, 도 5는 연결수단의 분해 조립 단면도이고, 도 6은 조립 단면도이며, 도 7은 연결수단의 탄성복원부재가 늘어난 상태를 예시한 평면도이다.
상기 연결수단은, 이미지 볼(21)과 표적구(31)의 구면에서 중심을 향해 형성한 구멍(23)(33)에 나사(25)(35)를 형성하고, 이 나사(25)(35)를 통해 탄성 복원되는 탄성복원부재(45)가 설치된 연결소켓(47)을 나사 조립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탄성복원부재(45)는 탄성 복원력을 갖는 스프링 또는 고무줄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탄성복원부재(45)의 스프링으로 예시하여 스프링의 양 단부가 연결소켓(47) 내의 고리(48)을 통해 연결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도 8은 연결수단의 또 다른 변형 예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8의 연결수단은 이미지 볼(21)과 표적구(31)의 구면에서 중심을 향해 형성된 구멍에 자석(49)(50)을 매설하여 자력에 의해 이미지 볼(21)과 표적구(31)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에서 이미지 볼(21)과 표적구(31)가 자석(49)(50)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하되, 당구큐로 수구를 타격하여 이미지 볼(21)을 타격할 때 그 충격으로 이미지 볼(21)과 표적구(31)가 서로 분리되지 않고 온전히 붙어 있도록 강한 자석(49)(50)을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훈련용 당구공(11)의 표적구(31)에는 반구(半球)로부터 이미지 볼(21) 쪽으로 얇은 두께 정도를 가늠할 수 있도록 띠 모양의 등분선(37)을 다수 표시한 것이다.
다른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훈련용 당구공(11)의 표적구(31) 및 이미지 볼(21)에는 반구(半球)로부터 표적구(31)와 이미지 볼(21)의 양 볼 쪽으로 얇은 두께 정도를 가늠할 수 있도록 띠 모양의 등분선(37)(27)을 다수 표시한 것이다.
상기에서 띠 모양의 등분선(37)(27) 표시는, 표적구(31)와 이미지 볼(21)에 얇게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볼과 다른 색상의 색칠을 입혀 색칠이 돌출되지 않고 표적구(31)와 이미지 볼(21)의 구면과 동일한 구면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훈련용 당구공(11)의 재질은 이미 잘 알려진 게임용 당구공과 동일 또는 동등한 합성수지 계열로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훈련용 당구공(11)은 게임용 당구공 크기와 동일하게 하여 훈련을 바로 게임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훈련용 당구공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것으로, 도 11은 수구에 대해 표적구의 두께가 얇게 배치된 것이고, 도 12는 수구에 대해 표적구의 두께가 두껍게 배치된 것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구 훈련 시 당구대에서 훈련자가 당구큐(51)로 수구(61)를 이미지 볼(21)의 정 가운데(화살표 S)를 조준하여 정확하게 맞추는 것만으로 표적구(31)의 두께(t) 조절 훈련을 할 수 있다.
즉, 훈련용 당구공(11)을 당구대의 임의의 위치에 올려놓는다. 이때 훈련용 당구공(11)은 도 11 및 도 12와 같이 수구(61)에 대해 표적구(31)의 두께(t)가 얇게 배치되거나 두껍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당구큐(51)로 수구(61)를 이미지 볼(21)의 정 가운데(화살표 S)를 조준한다. 이때 이미지 볼(21) 뒤에 붙어있는 표적구(31)를 수구(61)에서 조준하여 보면 표적구(31)의 두께(t)를 어느 정도 두께인지를 알 수 있다. 이후 수구(61)를 이미지 볼(21)의 정 가운데(S)를 조준하여 타격을 함으로써 수구(61)가 표적구(31)에 직접 맞지는 않지만 이미 수구(61)가 이미지 볼(21)의 정 가운데(S)를 조준하여 타격하였으므로 표적구(31)의 두께(t)를 맞추었다고 가늠하게 되어 표적구(31)의 두께 훈련이 이미지 볼(21)의 정 가운데를 맞추는 것에 의해 달성되어 두께 조절 훈련에 도움을 주게 되는 것이다.
도 9와 같이 표적구(31)에 등분선(37)이 표시되어 있음으로써 수구(61)로 이 이미지 볼(21)을 타격하여 표적구(31)의 두께를 가늠할 때 등분선(37)에 의해 두께 정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도 10의 경우에는 이미지 볼(21)과 표적구(31)에 각각 등분선(27)(37)이 표시되어 있어 이미지 볼(21)과 표적구(31) 구분없이 수구(61)를 타격하여 두께 정도를 파악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구(61)로 훈련용 당구공(11)을 얇게 맞추는 훈련을 할 수 있다. 만약 훈련용 당구공(11)의 중 이미지 볼(21)을 두껍게 맞추면 이에 붙어있는 표적구(31)가 연동하여 움직이기 때문에 표적구(31)를 맞출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미지 볼(21)을 아주 얇게 맞혀야만 표적구(31)의 움직임이 미세하게 되어 표적구(31)를 맞출 수 있게 되기에 얇게치기 훈련에 큰 도움을 준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연결수단으로 탄성복원부재(45)를 사용할 때는 수구(61)로 이미지 볼(21)을 맞추면 그 충격이 표적구(31)에 전달됨에 따라 탄성복원부재(45)에 의해 이미지 볼(21)과 표적구(31)는 순간적으로 사이가 벌어졌다고 복원되어 구면 접촉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은 4구 경기에서 두 공을 계속해서 맞추어 나가는 일명 모아 치기 훈련을 하는데 적합니다. 이는 이미지 볼(21)과 표적구(31)가 붙어 있기 때문에 수구(61)로 맞출 때 흐트러지지 않게 되어 수고스러움을 덜게 되고 동시에 훈련용 당구공(11)이 각도만 변하게 되어 다양한 각도에서 두 개의 공을 모아 치는 훈련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3구 경기에서 두 공이 모여 있고 빈 쿠션을 맞춘 후에 제1표적구와 제2표적구를 맞추는 일명 가락 형태의 게임을 하게 되는바, 이때에서 본 발명의 훈련용 당구공(11)으로 훈련을 하게 되면 두 공이 흩어지지 않게 되어 편하게 훈력을 할 수 있다.
또한, 당구큐의 큐선 훈련, 즉 큐의 스트로크 훈련을 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3과 같이 수구(61)를 훈련용 당구공(11)의 정 중앙(C)(이미지 볼과 표적구가 붙어 있는 접선)을 타격하면 두 개의 공이 동시에 맞으면 두 개의 공은 같은 방향으로 굴러가 스트로크가 제대로 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만약에 수구(61)를 타격한 방향이 이미지 볼(21)이나 표적구(31) 중 어느 하나의 공이 먼저 맞게 되면 먼저 맞은 공을 중심으로 움직이게 되어 이를 관찰함으로써 스트로크가 잘못됐다는 것을 알 수 있기에 큐선 훈련에 도움을 준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수정되어 실시될 수 있고, 변형 또는 수정된 실시 예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포함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11 : 훈련용 당구공
21 : 이미지 볼
31 : 표적구
61 : 수구

Claims (8)

  1. 삭제
  2. 이미지 볼과 표적구로 이루어지는 두 개의 훈련용 당구공을 연결수단으로 조립하되, 상기 두 개의 훈련용 당구공을 구면 접촉으로 일체화시키고 상기 연결수단은 이미지 볼과 표적구의 구면에서 중심을 향해 형성한 구멍에 나사를 형성하고, 이 나사를 통해 연결봉을 나사 조립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련용 당구공.
  3. 삭제
  4. 이미지 볼과 표적구로 이루어지는 두 개의 훈련용 당구공을 연결수단으로 조립하되, 상기 두 개의 훈련용 당구공을 구면 접촉으로 일체화시키고 상기 연결수단은 이미지 볼과 표적구의 구면에서 중심을 향해 형성한 구멍에 나사를 형성하고, 이 나사를 통해 탄성 복원되는 탄성복원부재가 설치된 연결소켓을 나사 조립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련용 당구공.
  5. 이미지 볼과 표적구로 이루어지는 두 개의 훈련용 당구공을 연결수단으로 조립하되, 상기 두 개의 훈련용 당구공을 구면 접촉으로 일체화시키고 상기 연결수단은 이미지 볼과 표적구의 구면에서 중심을 향해 형성된 구멍에 자석을 매설하여 자력에 의해 이미지 볼과 표적구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련용 당구공.
  6. 제 2항, 제 4항, 제 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훈련용 당구공의 표적구에는 반구(半球)로부터 이미지 볼 쪽으로 얇은 두께 정도를 가늠할 수 있도록 띠 모양의 등분을 다수 표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련용 당구공.
  7. 제 2항, 제 4항, 제 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훈련용 당구공의 표적구 및 이미지 볼에는 반구(半球)로부터 표적구와 이미지 볼의 양 볼 쪽으로 얇은 두께 정도를 가늠할 수 있도록 띠 모양의 등분을 다수 표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련용 당구공.
  8. 삭제
KR1020170045044A 2017-01-11 2017-04-07 훈련용 당구공 KR1018441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03997 2017-01-11
KR1020170003997 2017-01-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4180B1 true KR101844180B1 (ko) 2018-03-30

Family

ID=61899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5044A KR101844180B1 (ko) 2017-01-11 2017-04-07 훈련용 당구공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729941B2 (ko)
KR (1) KR101844180B1 (ko)
WO (1) WO201813175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1939A (ko) 2020-03-31 2021-10-08 홍준기 당구 두께 연습기능을 갖는 장식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2525B1 (ko) 1999-03-03 2006-11-03 김학철 두 개의 공이 한 개의 봉으로 연결된 공
JP2010279659A (ja) 2009-06-03 2010-12-16 Kazuha Kinoshita ビリヤ−ドの練習用具
CN103768783A (zh) * 2012-10-23 2014-05-07 饶涛 一种台球瞄准训练用品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631A (en) * 1932-05-24 1935-05-28 Jean A Fiondella Game
US2151030A (en) * 1938-04-28 1939-03-21 Ralph C Hinsen Game and playing piece therefor
US3184234A (en) * 1963-01-31 1965-05-18 Struble Albert Friction exercise device having gripper elements
US3357705A (en) * 1964-11-02 1967-12-12 Albert E Blanchard Golf practice projectile
US3711091A (en) * 1970-12-04 1973-01-16 J Dixon Cue ball direction indicating apparatus for use in playing pool
US3918720A (en) * 1974-03-22 1975-11-11 Ambrose L Gordos Putting trainer
US4153248A (en) * 1977-12-16 1979-05-08 Holmes Dale E Ball
US4411431A (en) * 1982-04-27 1983-10-25 Strokee Enterprises Golf putting practice device
US5595546A (en) * 1995-08-14 1997-01-21 Masters; Albert D. Golf putting aid
US6093118A (en) * 1996-03-22 2000-07-25 Simpson; Alan H. Spinning baseball device
US5743808A (en) * 1996-03-25 1998-04-28 Barth; Joseph Baseball throwing trainer
US5820495A (en) * 1996-03-29 1998-10-13 Howland; Kevin Michael Curve ball training
US5885165A (en) * 1998-01-16 1999-03-23 Krause; James Alan Putting training apparatus
US6471606B1 (en) * 2000-06-12 2002-10-29 Alan Hood Simpson Device for creating ball spins
JP2002011118A (ja) 2000-06-27 2002-01-15 Hajime Tanaka ビリヤードの球
NZ510485A (en) * 2001-03-13 2003-10-31 Charles Nelson Fox A golf ball
US6860816B2 (en) * 2002-04-30 2005-03-01 Charles Raymond Bond Pocket billiards break shot training apparatus
JP4247558B2 (ja) 2004-09-24 2009-04-02 仁 岩崎 ビリヤードの練習器具とその使用方法
US7247106B1 (en) * 2005-09-13 2007-07-24 George Franklin Brandt Machine for training a pitcher
US20090233725A1 (en) * 2008-02-07 2009-09-17 Gerald Vincent Stuart Jump Buddy
KR20110003785U (ko) 2009-10-12 2011-04-20 서영배 당구볼 코스 연습용구
USD655358S1 (en) * 2011-04-05 2012-03-06 Barrett W Raymond Golf ball having three colored parallel circles
US8523693B2 (en) * 2011-09-07 2013-09-03 Frank Lee Nelson Measure your shot
DE202013104026U1 (de) * 2013-09-06 2014-12-08 New Balls Training Concepts Gmbh Therapie- und Trainingsgerä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2525B1 (ko) 1999-03-03 2006-11-03 김학철 두 개의 공이 한 개의 봉으로 연결된 공
JP2010279659A (ja) 2009-06-03 2010-12-16 Kazuha Kinoshita ビリヤ−ドの練習用具
CN103768783A (zh) * 2012-10-23 2014-05-07 饶涛 一种台球瞄准训练用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1939A (ko) 2020-03-31 2021-10-08 홍준기 당구 두께 연습기능을 갖는 장식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86179A1 (en) 2020-03-19
US10729941B2 (en) 2020-08-04
WO2018131751A1 (ko) 2018-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442325A (en) Ball game visual aid having crosshair markings
US20080096691A1 (en) Golf ball with colored impact zone
WO2016118325A3 (en) Golf tee structures, assemblies, and systems with improved accuracy
KR101844180B1 (ko) 훈련용 당구공
WO2010137871A3 (ko) 골프 게임 온라인 제공방법
US20140080620A1 (en) Training golf ball
CN201855558U (zh) 桌球训练用杆
US20160016066A1 (en) Cue ball deflection path teaching aid and method
KR200263698Y1 (ko) 연습용 골프채
JP6543866B2 (ja) スポーツ用品
US4944517A (en) Golf practice club
KR101641706B1 (ko) 골프 퍼팅용 연습공
JP5975188B1 (ja) けん玉
JP3238876U (ja) ゴルフアプローチ練習器具
US20090203466A1 (en) Golf club head
US20240001212A1 (en) Golf trainer device
CN203989797U (zh) 带激光装置的高尔夫手套
JP3196397U (ja) 球技用スティック
CN220070692U (zh) 一种球拍
CN202590317U (zh) 一种台球运动的击打训练专用球
KR20110003785U (ko) 당구볼 코스 연습용구
CN104759079A (zh) 一种训练用的网球拍
US20180311564A1 (en) Bowling ball push device
US20140364243A1 (en) Billiard Table for Rebound Training
TWM569240U (zh) Golf club (1)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