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3785U - 당구볼 코스 연습용구 - Google Patents

당구볼 코스 연습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3785U
KR20110003785U KR2020090013220U KR20090013220U KR20110003785U KR 20110003785 U KR20110003785 U KR 20110003785U KR 2020090013220 U KR2020090013220 U KR 2020090013220U KR 20090013220 U KR20090013220 U KR 20090013220U KR 20110003785 U KR20110003785 U KR 2011000378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lliard
sphere
elastic rod
ball
exercise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32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배
Original Assignee
서영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영배 filed Critical 서영배
Priority to KR20200900132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3785U/ko
Publication of KR201100037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78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DBOWLING GAMES, e.g. SKITTLES, BOCCE OR BOWLS; INSTALLATIONS THEREFOR; BAGATELLE OR SIMILAR GAMES; BILLIARDS
    • A63D15/00Billiards, e.g. carom billiards or pocket billiards; Billiard tables
    • A63D15/006Training or aiming arrangements on billiard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3/00Specific ball sports not provided for in A63B2102/00 - A63B2102/38
    • A63B2243/002Billiards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당구볼 코스 연습용구, 특히 당구대의 일정한 위치에서 일정한 곳에 위치한 목적구를 겨냥하여 당구큐를 반복적으로 스트로크 함으로써 쉽고 빠르게 목적구를 타격한 후 당구대 상면을 선회하는 임팩트구의 정확한 코스를 익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인 바, 본 발명은 당구대(T)의 상면에 안착되는 베이스(100)와; 상기 베이스(100)의 상단에 수직상방으로 체결되는 연결링크(200)와; 상기 연결링크(200)의 측부를 관통하는 삽입공(21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탄성로드부(300)와; 상기 탄성로드부(300)의 일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당구볼과 동일한 구형태의 목적구(400)와; 상기 탄성로드부(300)의 타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목적구(400)와 동일한 형태의 지지구(50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당구큐, 스트로크, 코스, 회전, 당구볼, 당점, 목적구, 지지구

Description

당구볼 코스 연습용구 {course trainer of billiard ball}
본 고안은 당구볼 코스 연습용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 경기자가 당구큐를 스트로크 하는 경우 당구큐에 타격되는 임팩트구가 당구대의 상면에서 선회하는 코스를 익히기 위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 임팩트구에 의해 타격되는 목적구가 타격된 후에 회전되었다가 다시 탄성적으로 원위치 되어 이 목적구는 항상 일정한 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이로 인해 경기자가 초보인 경우에도 같은 위치에 있는 목적구를 향해 반복적으로 임팩트구를 스트로크 함으로써 이 임팩트구가 당구대에서 선회하는 코스를 쉽고 빠르게 익힐 수 있는 당구볼 코스 연습용구에 관한 것이다.
당구는 당구대(billiard table) 위에 놓인 적·백색의 당구볼을 경기자가 당구큐(cue stick)로 스트로크하여 각자의 점수를 겨루는 레저스포츠로서, 경기자가 당구대 주위를 무수히 반복적으로 돌면서 당구대의 상면에 위치한 당구볼을 스트로크 함으로써 그 체력소모는 매우 크게 된다.
또한, 경기자가 초보자인 경우에는 더더욱 당구대 주위를 돌아다니는 경우가 빈번하여 정작 당구큐를 이용하여 당구볼에 대한 정확한 스트로크 연습을 하는 데에는 많은 무리가 있음은 물론 임팩트되는 당구볼의 일정한 코스를 익히기란 매우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단점에도 불구하고 당구장에서 경기자가 당구큐를 반복적으로 타격하여 장방형의 당구대 상면을 선회하는 임팩트구의 코스를 정확하게 연습하기 위한 적절한 장비가 전무한 실정이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당구대의 일정한 위치에서 일정한 곳에 위치한 목적구를 겨냥하여 당구큐를 반복적으로 스트로크 함으로써 쉽고 빠르게 목적구를 타격한 후 당구대 상면을 선회하는 임팩트구의 정확한 코스를 익힐 수 있는 당구볼 코스 연습용구의 구현이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당구대의 일정한 위치에서 일정한 곳에 위치한 목적구를 겨냥하여 당구큐를 반복적으로 스트로크 함으로써 쉽고 빠르게 목적구를 타격한 후 당구대 상면을 선회하는 임팩트구의 정확한 코스를 익힐 수 있는 당구볼 코스 연습용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당구볼 코스 연습용구는 당구대의 상면에 안착되는 베이스와; 베이스의 상단에 수직상방으로 체결되는 연결링크와; 연결링크의 측부를 관통하는 삽입공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탄성로드부와; 탄성로드부의 일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당구볼과 동일한 구형태의 목적구와; 탄성로드부의 타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목적구와 동일한 형태의 지지구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베이스에는 그 상면 및 측면을 감싸도록 체결되는 베이스캡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베이스캡의 상면에는 연직상방으로 돌출되는 스톱퍼가 구비되며, 이 스톱퍼는 목적구로부터 연장되는 탄성로드부의 외주면에 맞닿게 위치된다.
목적구 및 지지구는 각각 외표면으로 돌출되도록 무두형 볼트가 일체로 체결되고, 이 각각의 무두형볼트는 탄성로드부의 단부에 각각 탈착가능하게 나사결합되며, 탄성로드부의 일단에 연결된 지지구는 탄성로드부의 타단에 연결된 목적구보다 연결링크로부터 더 인접하여 위치된다.
연결링크 상단부로부터 상기 삽입공에 직각으로 관통하는 조임볼트가 상기 연결링크에 탈착가능하게 나사결합되며, 목적구의 외표면에는 시각적으로 구분되는 스폿형태의 당점이 복수개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당구볼 코스 연습용구는,
첫째, 당구대의 일정한 위치에서 일정한 곳에 위치한 목적구를 겨냥하여 당구큐를 반복적으로 스트로크 함으로써 경기자자 초보인 경우에도 쉽고 빠르게 목적구를 타격한 후 당구대 상면을 선회하는 임팩트구의 정확한 코스를 익힐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인 당구볼 코스 연습용구는 크기가 작고 휴대가 간편하며 원하는 장소의 당구대에 간단히 안착시킨 후 연습을 할 수 있는 유용한 장점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당구볼 코스 연습용구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당구볼 코스 연습용구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 안에 따른 당구볼 코스 연습용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당구볼 코스 연습용구의 설치상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당구볼 코스 연습용구의 타격으로 인한 목적구와 지지구의 진행상태도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당구볼 스트로크연습기는 당구대(T)의 상면에 안착되는 베이스(100)와; 베이스(100)의 상단에 수직상방으로 체결되는 연결링크(200)와; 연결링크(200)의 측부를 관통하는 삽입공(21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탄성로드부(300)와; 탄성로드부(300)의 일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당구볼과 동일한 구형태의 목적구(400)와; 탄성로드부(300)의 타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목적구(400)와 동일한 형태의 지지구(50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베이스(100)의 상면 및 측면을 감싸도록 체결되는 베이스캡(600)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베이스(100) 및 베이스캡(600)의 재질은 바람직하게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목적구(400) 및 지지구(500)보다 중량이 상대적으로 무거운 강철(stainless steel)을 이용한다. 이로 인해, 임팩트구(I)의 타격으로 인해 회전되는 목적구(400) 및 지지구(500)의 원심력에 의해 베이스(100) 및 베이스캡(600)이 당구대의 상면에서 슬라이드 되는 것이 방지된다(도 4참조).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베이스캡(600)의 상면에는 연직상방으로 돌출되는 스톱퍼(700)가 구비되며, 이 스톱퍼(700)는 목적구(400)로부터 연장 되는 탄성로드부(300)의 외주면에 맞닿게 위치된다. 임팩트구(I)의 타격으로 목적구(400)가 연결링크(300)를 중심으로 회전되었다가 탄성로드부(300)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를 지나쳐 반대방향으로 다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도 4참조; 도 1 내지 도 3의 도면부호 710은 스톱퍼에 끼워져 베이스캡의 상면에 밀착되는 고정너트를 나타낸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베이스캡(600)의 하면에는 환형의 오링(900)이 부착된다. 베이스(100) 및 베이스캡(600)의 재질은 중량이 무거운 강철(stainless steel)로 이루어져 임팩트구(I)의 타격으로 인해 회전되는 목적구(400) 및 지지구(500)의 원심력에 의해 베이스(100) 및 베이스캡(600)이 당구대의 상면에서 슬라이드 되는 것이 방지되는데, 베이스캡(600)의 하면에 환형의 오링(900)을 부착함으로써 당구대(T)의 상면에서 미세하게나마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된다(도 4참조).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탄성로드부(300)는 바람직하게 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탄성로드부(300)를 탄성스프링으로 제작함으로써 목적구(400)가 임팩트구(I)의 타격으로 회전하는 경우 목적구(400)에 연결된 탄성로드부(300)의 토크가 적어 목적구(400)의 반발력에 의한 임팩트구(I)의 선회가 실제 당구장에서 경기하는 경우와 유사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목적구(400) 및 지지구(500)는 각각 외표면으로 돌출되도록 무두형 볼트(410,510)가 일체로 체결되며, 이 각각의 무두형볼트(410,510)는 탄성로드부(300)의 단부에 각각 탈착가능하게 나사결합된다.
탄성로드부(30)의 탄성스프링은 자체적으로 피치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일반적인 너트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홈 역할을 하게 되어 탄성로드부(300)의 단부에 각각의 무두형볼트(410,510)를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탄성로드부(300)의 일단에 연결된 지지구(500)는 탄성로드부(300)의 타단에 연결된 목적구(400)보다 연결링크(200)로부터 더 인접하여 위치된다. 이는 연결링크(200)를 기준으로 회전되는 목적구(400)가 지지구(500)에 정확하게 임팩트되도록 하기 위함이다(도 5참조).
[도 2]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결링크(200) 상단부로부터 삽입공(210)에 직각으로 관통하는 조임볼트(800)가 연결링크(200)에 탈착가능하게 나사결합된다. 이는 연결링크(200)의 삽입공(210)에 끼워진 탄성로드부(300)가 삽입공(210)의 내주면을 따라 자유로이 슬라이드 시킨 후 각각의 목적구(400)와 지지구(500)가 연결링크(200)로부터 원하는 이격거리에서 조임볼트(800)를 체결함으로써 탄성로드부(300)를 삽입공(210)의 내주벽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목적구(400)의 외표면에는 시각적으로 구분되는 스폿형태의 당점(420)이 복수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임팩트구(I)가 목적구(400)의 원하는 위치에 타격될 수 있도록 경기자가 그 조준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기자가 당구큐(C)를 스트로크 하여 당구대(T)의 상면에 위치한 임팩트구(I)가 선회하는 과정 및 목적구(400) 및 지지구(500)의 동작상태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임팩트구(I)에 의해 목적구(400)가 타격되기 전에는 [도 5]의 (a) 상태를 유지하여 목적구(400)와 지지구(500)가 탄성로드부(300)의 양단에 대향하여 위치한다.
둘째, 경기자가 당구큐(C)를 스트로크 하여 임팩트구(I)를 타격하면, 임팩트구(I)는 목적구(400)를 연이어 타격하게 되고, 이 목적구(400)는 연결링크(200)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면서 [도 5]의 (b) 상태와 같이 지지구(500)를 타격하게 된다. 이 경우 임팩트구(I)는 당구대(T)의 상면을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선회하게 된다.
셋째, 회전된 목적구(400)가 지지구(500)를 타격하면 [도 5]의 (c) 상태와 같이 목적구(400)는 그 자리에서 잠시 정지되고 지지구(500)는 그 타격으로 인해 회전하게 된다.
넷째, 회전된 목적구(400) 및 지지구(500)는 탄성로드부(300)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다시 회전하여 [도 5]의 (d)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당구볼 코스 연습용구는 경기자가 당구대 주위의 일정한 위치에서 일정한 곳에 위치한 목적구를 겨냥하여 당구큐를 반복적으로 스트로크 함으로써 쉽고 빠르게 목적구를 타격한 후 당구대 상면을 선회하는 임팩트구의 정확한 코스를 익힐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당구볼 코스 연습용구를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당구볼 코스 연습용구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당구볼 코스 연습용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당구볼 코스 연습용구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당구볼 코스 연습용구의 타격으로 인한 목적구와 지지구의 진행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베이스 200 : 연결링크 210 : 삽입공
300 : 탄성로드부 400 : 목적구 410 : 무두형볼트
420 : 당점 500 : 지지구 510 : 무두형볼트
600 : 베이스캡 700 : 스톱퍼 710 : 고정너트
800 : 조임볼트 900 : 오링 T : 당구대
C : 당구큐 I : 임팩트구

Claims (9)

  1. 당구대(T)의 상면에 안착되는 베이스(100)와;
    상기 베이스(100)의 상단에 수직상방으로 체결되는 연결링크(200)와;
    상기 연결링크(200)의 측부를 관통하는 삽입공(21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탄성로드부(300)와;
    상기 탄성로드부(300)의 일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당구볼과 동일한 구형태의 목적구(400)와;
    상기 탄성로드부(300)의 타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목적구(400)와 동일한 형태의 지지구(50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볼 코스 연습용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0)의 상면 및 측면을 감싸도록 체결되는 베이스캡(600)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볼 코스 연습용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캡(600)의 상면에는 연직상방으로 돌출되는 스톱퍼(700)가 구비되며, 이 스톱퍼(700)는 상기 목적구(400)로부터 연장되는 탄성로드부(300)의 외주면에 맞닿게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볼 코스 연습용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캡(600)의 하면에는 환형의 오링(900)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볼 코스 연습용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로드부(300)는 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볼 코스 연습용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목적구(400) 및 지지구(500)는 각각 외표면으로 돌출되도록 무두형 볼트(410,510)가 일체로 체결되며, 이 각각의 무두형볼트(410,510)는 상기 탄성로드부(300)의 단부에 각각 탈착가능하게 나사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볼 코스 연습용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로드부(300)의 일단에 연결된 지지구(500)는 상기 탄성로드부(300)의 타단에 연결된 목적구(400)보다 상기 연결링크(200)로부터 더 인접하여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볼 코스 연습용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연결링크(200) 상단부로부터 상기 삽입공(210)에 직각으로 관통하는 조임볼트(800)가 상기 연결링크(200)에 탈착가능하게 나사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볼 코스 연습용구.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목적구(400)의 외표면에는 시각적으로 구분되는 스폿형태의 당점(420)이 복수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볼 코스 연습용구.
KR2020090013220U 2009-10-12 2009-10-12 당구볼 코스 연습용구 KR2011000378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220U KR20110003785U (ko) 2009-10-12 2009-10-12 당구볼 코스 연습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220U KR20110003785U (ko) 2009-10-12 2009-10-12 당구볼 코스 연습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785U true KR20110003785U (ko) 2011-04-20

Family

ID=44209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3220U KR20110003785U (ko) 2009-10-12 2009-10-12 당구볼 코스 연습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378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93350A (zh) * 2016-12-15 2017-05-24 李焱 一种桌球杆法练习器和练习方法
WO2018131751A1 (ko) * 2017-01-11 2018-07-19 박도준 훈련용 당구공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93350A (zh) * 2016-12-15 2017-05-24 李焱 一种桌球杆法练习器和练习方法
WO2018131751A1 (ko) * 2017-01-11 2018-07-19 박도준 훈련용 당구공
US10729941B2 (en) 2017-01-11 2020-08-04 Do Joon PARK Billiard ball for train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1277B2 (en) Ball-striking training apparatus
US20100130299A1 (en) Visual Aid
US20160030826A1 (en) Batting training apparatus
WO2012096593A1 (ru) Тренажер для большого тенниса «теннисан»
US9579557B1 (en) Swing train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060052175A1 (en) Magnetic module golf swing learning, training, and practice device
KR20110003785U (ko) 당구볼 코스 연습용구
US7901295B1 (en) Rail—golf swing guide
KR20110003792U (ko) 당구큐 스트로크 연습용구
US11607594B2 (en) Baseball hitting tee
US11426645B2 (en) Golf ball putting alignment system and method
US20180015334A1 (en) Instructional Soccer Ball with Foot Placement/Foot Orientation Indicia
AU2022202322A1 (en) Practice Ball
US20030207716A1 (en) Golf swing, chip, pitch or putt practice and training device
KR20070049568A (ko) 골프스윙 연습용구
KR101844180B1 (ko) 훈련용 당구공
US7833109B2 (en) Slow motion training for optimal point of impact
RU177376U1 (ru) Тренажер для занятий по "якутской вертушке"
US20090203466A1 (en) Golf club head
US9919195B2 (en) Short game golf trainer system
US20230117338A1 (en) Multi-function square alignment golf training aid
US2008023406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aching golf
US20070135241A1 (en) Training baseball bat
AU2016310660B2 (en) A golf teaching set in the form of a subconscious habit
AU656391B2 (en) Golf training a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