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1706B1 - 골프 퍼팅용 연습공 - Google Patents

골프 퍼팅용 연습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1706B1
KR101641706B1 KR1020140048831A KR20140048831A KR101641706B1 KR 101641706 B1 KR101641706 B1 KR 101641706B1 KR 1020140048831 A KR1020140048831 A KR 1020140048831A KR 20140048831 A KR20140048831 A KR 20140048831A KR 101641706 B1 KR101641706 B1 KR 101641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ball portion
state
screw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8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2492A (ko
Inventor
심문섭
Original Assignee
심문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문섭 filed Critical 심문섭
Priority to KR1020140048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1706B1/ko
Publication of KR20150122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2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1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1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7Characteristics of the ball as a who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3/00Balls with special arrangements
    • A63B43/002Balls with special arrangements with special configuration, e.g. non-spheric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55Balls, ball substitutes, or attachments on bal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58Means associated with the ball for indicating or measuring, e.g. speed,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3/00Balls with special arrangements
    • A63B2043/001Short-distance or low-velocity balls for training, or for playing on a reduced are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 퍼팅용 연습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골프공을 이루는 구 형상의 일부를 양측으로 대칭적으로 절단한 형태를 갖는 중앙볼부; 골프공을 이루는 구 형상의 우측 일부를 절단한 형태를 갖는 좌측볼부; 및 골프공을 이루는 구 형상의 좌측 일부를 절단한 형태를 갖는 우측볼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볼부의 양측에 상기 좌측볼부와 우측볼부가 결합된 제1 상태와, 상기 좌측볼부와 우측볼부가 결합된 제2 상태와, 상기 중앙볼부만으로 구성된 제3 상태를 선택적으로 갖도록 구성된 골프 퍼팅용 연습공이 개시된다.

Description

골프 퍼팅용 연습공 {Ball for exercise of golf putting}
본 발명은 골프 퍼팅용 연습공에 관한 것으로서, 골프공을 이루는 구 형상의 일부를 절단한 형태를 갖는 중앙볼부 및 좌측볼부, 우측볼부를 연습자의 퍼팅 수준에 따라 적절한 단계별 형상으로 조합하여 연습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연습자의 수준별 연습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골프 퍼팅용 연습공에 관한 것이다.
골프(golf)는, 다수의 홀이 갖춰진 경기장에서 정지된 공을 골프 클럽으로 쳐서 홀에 넣는 경기로, 홀에 들어가기까지 걸린 타수가 적은 사람이 경기에 이긴다. 경기는 1번 홀부터 18번 홀까지 차례로 규칙에 따라 클럽으로 공을 치면서 행해지는데, 공을 친 횟수가 적은 사람이 승자가 되며, 18홀의 경기를 1회전 경기라고 한다.
골프 클럽은 기본적으로 우드 1, 3, 4, 5번, 아이언 3, 4, 5, 6, 7, 8, 9번, 피칭 웨지, 샌드웨지, 그리고 퍼터를 포함한 14개의 클럽이 풀 세트로 이용된다.
골프공은 일반적으로 중량이 45.93g 보다 무겁지 않고, 직경이 42.67mm 보다 작지 않도록 규정되어 있다. 골프공의 표면에는 많은 홈이 패어져 있는데, 이것은 단순한 장식이 아니라 딤플(Dimple)이라고 해서 공기 저항을 없애고 볼을 올리는 힘을 높게 하는 작용력이 있다.
골프 경기가 진행되면, 각 홀 별로 티잉 그라운드에서 첫 샷을 날리고, 해당 홀의 그린에 위치한 홀에 골프공을 넣는 것으로 해당 홀에 대한 경기가 종료된다. 골프 규정 상, 홀의 직경은 108mm이고 깊이는 100mm 이상으로 마련된다.
일반적으로 그린에 위치한 골프공을 홀에 넣기 위해서는 최종적으로 퍼팅(putting) 기술을 사용하게 된다. 퍼팅은, 그린 위의 골프공을 퍼터를 이용해서 홀에 넣는 스트로크로서, 퍼팅의 실력이 골프 스코어상에 큰 차이를 가져오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를 감안하여 많은 골프 연습자들은 일반 골프공을 갖고 장기간의 퍼팅 연습을 하고 있다.
퍼팅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퍼터의 타격면이 골프공의 중앙 지점을 정확하게 타격하고, 퍼터의 타격 방향이 정확히 홀을 향하도록 퍼팅이 이뤄져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일반 골프공을 갖고 연습하는 경우에는, 실외에서 장거리 퍼팅 연습을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타격 후의 골프공의 실제 이동 궤적을 정확하게 확인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퍼터의 타격면이 골프공의 중앙 지점을 정확하게 타격하고 있는지, 또는 퍼터의 타격 방향이 정확히 홀을 향하고 있는지 등을 쉽게 확인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특히, 이러한 어려움은 퍼팅 타격 경험이 적은 초보자일수록 더욱 크게 느낄 수 밖에 없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85198호 (2005년05월18일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골프공을 이루는 구 형상의 일부를 절단한 형태를 갖는 중앙볼부 및 좌측볼부, 우측볼부를 연습자의 퍼팅 수준에 따라 적절한 단계별 형상으로 조합하여 연습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연습자의 수준별 연습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골프 퍼팅용 연습공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골프공을 이루는 구 형상의 일부를 양측으로 대칭적으로 절단한 형태를 갖는 중앙볼부; 골프공을 이루는 구 형상의 우측 일부를 절단한 형태를 갖는 좌측볼부; 및 골프공을 이루는 구 형상의 좌측 일부를 절단한 형태를 갖는 우측볼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볼부의 양측에 상기 좌측볼부와 우측볼부가 결합된 제1 상태와, 상기 좌측볼부와 우측볼부가 결합된 제2 상태와, 상기 중앙볼부만으로 구성된 제3 상태를 선택적으로 갖도록 구성된 골프 퍼팅용 연습공이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중앙볼부의 좌측 절단 측에 상기 좌측볼부의 절단 측이 결합되고, 상기 중앙볼부의 우측 절단 측에 상기 우측볼부의 절단 측이 결합되어 이뤄짐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좌측볼부의 절단 측과 우측볼부의 절단 측이 직접 또는 소정 간극 유지를 위한 중간 요소 부재를 개재하여 결합되어 이뤄짐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좌측볼부와 중앙볼부, 우측볼부는 절단 측을 이루는 대향면 간에 상호 소정 간극을 갖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좌측볼부와 우측볼부는 절단 측을 이루는 대향면 간에 상호 소정 간극을 갖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앙볼부의 좌측 절단 측 및 우측 절단 측과, 상기 좌측볼부의 절단 측과, 상기 우측볼부의 절단 측에는, 상기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의 결합을 위해 소정 면적과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자석 또는 자성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앙볼부는 좌측 절단 측 및 우측 절단 측을 상호 관통하는 제1 중공부를 구비하며, 상기 좌측볼부와 상기 우측볼부는 각각의 절단 측과 그 반대에 위치하는 외측이 상호 관통하는 제2 중공부와 제3 중공부를 구비하며, 상기 좌측볼부의 외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제2 중공부를 통과하여 절단 측으로 관통 돌출된 제1 나사와, 상기 우측볼부의 외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제3 중공부를 통과하여 절단 측으로 관통 돌출된 제2 나사가 상기 중앙볼부의 제1 중공부 내에서 나사 결합하여, 상기 제1 상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좌측볼부의 외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제2 중공부를 통과하여 절단 측으로 관통 돌출된 제1 나사와, 상기 우측볼부의 외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제3 중공부를 통과하여 절단 측으로 관통 돌출된 제2 나사가 나사 결합하여, 상기 제2 상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소정 길이를 갖는 중공관을 구비한 중간 부재가 더욱 구비되고, 상기 중간 부재의 중공관 내에서 상기 제1 나사와 상기 제2 나사가 나사 결합하여, 상기 제2 상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나사는 제1 부싱을 외측에 개재하여 상기 제2 중공부에 삽입 통과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나사는 제2 부싱을 외측에 개재하여 상기 제3 중공부에 삽입 통과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앙볼부는 좌측 절단 측 및 우측 절단 측에 각각 형성된 좌측 암나사와 우측 암나사를 구비하며, 상기 좌측볼부와 상기 우측볼부는 각각의 절단 측에 좌측 수나사와 우측 수나사를 구비하며, 상기 중앙볼부의 좌측 암나사에 상기 좌측볼부의 좌측 수나사가 결합하고, 상기 중앙볼부의 우측 암나사에 상기 우측볼부의 우측 수나사가 결합하여, 상기 제1 상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좌측 암나사와 우측 암나사를 양측에 구비한 암나사 부재가 더욱 구비되고, 상기 암나사 부재의 좌측 암나사에 상기 좌측볼부의 좌측 수나사가 결합하고, 상기 암나사 부재의 우측 암나사에 상기 우측볼부의 우측 수나사가 결합하여, 상기 제2 상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연습자의 퍼팅 수준에 따라 적절한 단계별 형상으로 조합하여 연습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연습자의 수준별 연습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퍼터의 타격면이 골프공의 중앙 지점을 정확하게 타격하고 있는지, 또는 퍼터의 타격 방향이 정확히 홀을 향하고 있는지 등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퍼팅 타격 경험이 적은 초보자도 단계별 연습에 따라 쉽게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용 연습공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용 연습공의 제1 상태의 평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용 연습공의 제2 상태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용 연습공의 제3 상태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용 연습공의 제1 상태의 사시도,
도 6a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용 연습공의 제1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용 연습공의 제2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6c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용 연습공의 제3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용 연습공의 제1 상태의 사시도,
도 8a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용 연습공의 제1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8b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용 연습공의 제2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8c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용 연습공의 제3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용 연습공의 제1 상태의 연습 상태 모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용 연습공의 제2 상태의 연습 상태 모식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용 연습공의 제3 상태의 연습 상태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골프 퍼팅용 연습공은, 골프공을 이루는 구 형상의 일부를 절단한 형태를 갖는 중앙볼부 및 좌측볼부, 우측볼부를 연습자의 퍼팅 수준에 따라 적절한 단계별 형상으로 조합하여 연습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연습자의 수준별 연습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용 연습공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용 연습공의 제1 상태의 평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용 연습공의 제2 상태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용 연습공의 제3 상태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용 연습공의 제1 상태의 연습 상태 모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용 연습공의 제2 상태의 연습 상태 모식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용 연습공의 제3 상태의 연습 상태 모식도이다. 설명 편의 상 연습공 표면의 딤플은 도 9 내지 도 11에만 표현하였다.
본 실시예의 골프 퍼팅용 연습공은, 골프공을 이루는 구 형상의 일부를 양측으로 대칭적으로 절단한 형태를 갖는 중앙볼부(20)와, 골프공을 이루는 구 형상의 우측 일부를 절단한 형태를 갖는 좌측볼부(10)와, 골프공을 이루는 구 형상의 좌측 일부를 절단한 형태를 갖는 우측볼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를 들어, 좌측볼부(10)와 우측볼부(30)는 일반 골프공의 형태를 기준으로 대략 20~30% 정도의 부위가 절단 제거된 형태를 가지며, 중앙볼부(20)는 일반 공프공의 형태를 기준으로 양측이 각각 대략 20~30% 정도의 부위가 각각 절단 제거된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절단 제거 비율은 연습공의 구름 상태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절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각 볼부를 조합하여 제1 내지 제3 상태를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조합 상태는, 상기 중앙볼부(20)의 양측에 상기 좌측볼부(10)와 우측볼부(30)가 결합된 제1 상태와, 상기 좌측볼부(10)와 우측볼부(30)가 결합된 제2 상태와, 상기 중앙볼부(20)만으로 구성된 제3 상태를 선택적으로 갖도록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중앙볼부(20)의 좌측 절단 측(21)에 상기 좌측볼부(10)의 절단 측(12)이 결합되고, 상기 중앙볼부(20)의 우측 절단 측(22)에 상기 우측볼부(30)의 절단 측(32)이 결합되어 이뤄진다.
또한,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좌측볼부(10)의 절단 측(12)과 우측볼부(30)의 절단 측(32)이 결합되어 이뤄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좌측볼부(10)의 절단 측(12)과 우측볼부(30)의 절단 측(32)은 직접 결합될 수도 있으며(도 3a), 또는 소정 간극 유지를 위한 중간 요소 부재(20')를 개재하여 결합될 수도 있다(도 3b). 도 3b의 상태를 이루는 경우, 상기 좌측볼부(10)와 우측볼부(30)는 제1 상태와 동일한 간극이 되도록 상기 소정 간극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내지 제3 상태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제1 상태는, 가장 초급자용 연습 상태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퍼터(2)에 상기 중앙볼부(20)와 상기 좌측볼부(10), 우측볼부(30)가 모두 동시에 타점이 맞을 때에 타점 P1, P2, P3에 균형있게 타격력이 전달되어 연습공이 A 방향으로 직진하여 굴러가게 된다.
만일, 제1 상태에서 P1에 P3보다 더 큰 타격력이 가해진다면 연습공은 C 방향으로 비스듬히 굴러가게 된다. 반대로, 제1 상태에서 P3에 P1보다 더 큰 타격력이 가해진다면 연습공은 B 방향으로 비스듬히 굴러가게 된다. 즉, 제1 상태에서는 타점 P1, P2, P3에 전체적으로 균일한 타격력이 전달되어야만 연습공이 A 방향으로 직진하여 굴러가게 되므로, 초급자인 연습자는 3개 타점에 걸쳐 있는 퍼터(2)의 전체 타격면이 A 방향을 향하도록 정확하게 가늠하여 연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상태에서는 연습공이 지면과 닿는 부분이 3 지점을 이루게 되므로, 타점에 다소 균형이 맞지 않는 경우 B 방향 또는 C 방향으로 과도하게 굴러가지 않고 적절한 거리에서 멈추게 되어, 연습공을 다시 제자리로 가져와 연습을 하는데 불편함이 감소될 수 있다. 미설명된 부호 4는 퍼터의 샤프트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상기 제2 상태는, 중급자용 연습 상태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퍼터(2)에 상기 상기 좌측볼부(10)와 우측볼부(30)가 모두 동시에 타점이 맞을 때에 타점 P11, P12에 균형있게 타격력이 전달되어 연습공이 A 방향으로 직진하여 굴러가게 된다.
만일, 제2 상태에서 P11에 P12보다 더 큰 타격력이 가해진다면 연습공은 C 방향으로 비스듬히 굴러가게 된다. 반대로, 제2 상태에서 P12에 P11보다 더 큰 타격력이 가해진다면 연습공은 B 방향으로 비스듬히 굴러가게 된다. 즉, 제2 상태에서는 타점 P11, P12에 전체적으로 균일한 타격력이 전달되어야만 연습공이 A 방향으로 직진하여 굴러가게 되므로, 중급자인 연습자는 2개 타점에 걸쳐 있는 퍼터(2)의 전체 타격면이 A 방향을 향하도록 더욱 정확하게 가늠하여 연습할 수 있게 된다. 즉, 제2 상태에서는 타점이 2개로 감소하므로, 더욱 정확하게 타격을 해야만 A 방향으로 연습공이 흘러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연습자는 더욱 정확한 방향으로 퍼팅 연습 난이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상태에서는 연습공이 지면과 닿는 부분이 2 지점을 이루게 되므로, 타점에 다소 균형이 맞지 않는 경우 B 방향 또는 C 방향으로 과도하게 굴러가지 않고 적절한 거리에서 멈추게 되어, 연습공을 다시 제자리로 가져와 연습을 하는데 불편함이 감소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3 상태는, 고급자용 연습 상태로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퍼터(2)에 상기 상기 중앙볼부(20)가 정확하게 타점이 맞을 때에 타점 P21로 균형있게 타격력이 전달되어 연습공이 A 방향으로 직진하여 굴러가게 된다.
만일, 제3 상태에서 P21에 정확한 타격이 이뤄지지 않는다던가, 타점은 정확한데 타격 방향이 다소 비스듬히 이뤄진 경우 연습공은 B 방향 또는 C 방향으로 비스듬히 굴러가게 된다. 즉, 제3 상태에서는 타점 P21에 정확한 위치와 방향으로 타격력이 전달되어야만 연습공이 A 방향으로 직진하여 굴러가게 되므로, 고급자인 연습자는 1개 타점을 기준으로 퍼터(2)의 전체 타격면이 A 방향을 향하도록 더욱 정확하게 가늠하여 연습할 수 있게 된다. 즉, 제3 상태에서는 타점이 1개만 존재하므로 실제 골프공과 가장 유사한 상태가 되며, 상기 제2 상태보다도 더욱 정확하게 타격을 해야만 A 방향으로 연습공이 흘러갈 수 있으므로 연습자는 더욱 정확한 방향으로 퍼팅 연습 난이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제3 상태에서는 퍼팅 타격 후에 중앙볼부(20)의 좌측 절단 측(21) 및 우측 절단 측(22)이 상부에서 연습자의 육안에 보이지 않아야 정상적인 구름 상태를 갖는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중앙볼부(20)의 좌측 절단 측(21) 및 우측 절단 측(22)에 연습공의 외부 색채와 다른 색채를 형성하여 이러한 연습자의 판단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의 골프 퍼팅용 연습공은, 초급자용인 제1 상태, 중급자용인 제2 상태, 고급자인 제3 상태로 각 수준 단계별로 퍼팅 타격의 정확도를 점차 높이는 방식으로 연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또는 제2 상태를 이룸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좌측볼부(10)와 중앙볼부(20), 우측볼부(30)는 절단 측을 이루는 대향면 간에 상호 소정 간극을 갖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좌측볼부(10)와 우측볼부(30)는 절단 측을 이루는 대향면 간에 상호 소정 간극(각 볼부 간의 간격)을 갖도록 결합된다.
이렇게 각 대향면 간에 소정의 간극이 형성되면, 좌측볼부(10)와 중앙볼부(20), 우측볼부(30)가 상호 밀접하는 형태로 결합된 경우에 비해, 타격점 간의 간격이 더욱 벌어지게 되므로, 각 단계별 타격점의 정확도를 높여가는 연습을 하기에 더욱 적합한 상태를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간극의 크기는 연습공의 구름 상태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절 가능하다.
한편, 상기 중앙볼부(20)의 좌측 절단 측(21) 및 우측 절단 측(22)과, 상기 좌측볼부(10)의 절단 측(12)과, 상기 우측볼부(30)의 절단 측(32)에는, 상기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의 결합을 위해 소정 면적과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자석 또는 자성체(20a,20b,10a,30a)가 구비된다.
자석 또는 자성체(20a,20b,10a,30a)의 높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좌측볼부(10)와 중앙볼부(20), 우측볼부(30)의 절단 측을 이루는 대향면 간에 상호 소정 간극을 갖기에 적합한 정도로 형성되면 된다.
자석 또는 자성체(20a,20b,10a,30a)의 면적은 상기 좌측볼부(10)와 중앙볼부(20), 우측볼부(30)의 절단 측에 구비된 자석 또는 자성체(20a,20b,10a,30a) 간에 연습공의 정상적인 구름 상태 제공이 가능한 정도의 자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적당한 크기로 형성된다.
자석 또는 자성체(20a,20b,10a,30a)는 예를 들어, 금속재로 형성되어,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좌측볼부(10)와 중앙볼부(20), 우측볼부(30)의 각 절단 측의 면에 일체로 삽입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 형성은 예를 들어, 인서트 사출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3b의 상기 중간 요소 부재(20')도 자석 또는 자성체로 이뤄지게 된다. 또한, 상기 중간 요소 부재(20')의 중앙부재(20a',20b')에는 안정적인 무게 중심을 제공하기 위해서 확장부(20c')가 더욱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용 연습공의 제1 상태의 사시도, 도 6a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용 연습공의 제1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용 연습공의 제2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6c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용 연습공의 제3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앙볼부(120)와 좌측볼부(110), 우측볼부(130)가 자석이나 자성체가 아니라, 각 볼부의 중앙을 대향하여 관통하는 양측 나사 간의 나사 결합을 통해 일체로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중앙볼부(120)는 좌측 절단 측(121) 및 우측 절단 측(122)을 상호 관통하는 제1 중공부(120b,120c)를 구비하며, 상기 좌측볼부(110)와 상기 우측볼부(130)는 각각의 절단 측(112,132)과 그 반대에 위치하는 외측이 상호 관통하는 제2 중공부(110a)와 제3 중공부(130a)를 구비한다. 제1 중공부(120b,120c)는 양측으로 상호 관통된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좌측볼부(110)의 외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제2 중공부(110a)를 통과하여 절단 측(112)으로 관통 돌출된 제1 나사(110b)와, 상기 우측볼부(130)의 외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제3 중공부(130a)를 통과하여 절단 측(132)으로 관통 돌출된 제2 나사(130b)가 상기 중앙볼부(120)의 제1 중공부(120b,120c) 내에서 나사 결합하여, 상기 제1 상태를 이루게 된다.
한편, 다른 예로서, 상기 좌측볼부(110)의 외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제2 중공부(110a)를 통과하여 절단 측으로 관통 돌출된 제1 나사(110b)와, 상기 우측볼부(130)의 외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제3 중공부(130a)를 통과하여 절단 측(132)으로 관통 돌출된 제2 나사(130b)가 나사 결합하여, 상기 제2 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2 상태를 이룸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소정 길이를 갖는 중공관(120b',120c')을 구비한 중간 부재(120')가 더욱 구비되고, 상기 중간 부재(120')의 중공관(120b',120c') 내에서 상기 제1 나사(110b)와 상기 제2 나사(130b)가 나사 결합하여, 상기 제2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렇게 중간 부재(120')를 개재하여 제2 상태를 이루는 경우, 무게 중심이 중앙측에 더욱 안정적으로 형성되므로 더욱 안정적인 구름 상태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나사(110b)는 제1 부싱(110c)을 외측에 개재하여 상기 제2 중공부(110a)에 삽입 통과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나사(130b)는 제2 부싱(130c)을 외측에 개재하여 상기 제3 중공부(130a)에 삽입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제1 부싱(110c)과 제2 부싱(130c)은 각각 상기 좌측볼부(110)의 제2 중공부(110a)와 우측볼부(130)의 제3 중공부(130a) 내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이루게 되며, 각각의 단부가 중공관(120b,120c)의 단부에 접하거나 약간 삽입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렇게 제1 부싱(110c)과 제2 부싱(130c)을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제2 상태를 이루는 경우, 무게 중심이 더욱 안정적인 수평 분포 상태를 가지게 되므로 더욱 안정적인 구름 상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좌측볼부(110)와 우측볼부(130) 간의 간극 설정이 간편하게 이뤄질 수 있으며, 조립 및 해제 시에 더욱 원활한 작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구성을 취하게 되면, 상술한 실시예(자석 결합 구조)에 비해 더욱 견고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 상기 중앙볼부(120)의 제1 중공부(120b,120c)의 중앙부에는 안정적인 무게 중심을 제공하기 위해서 확장부(120a)가 더욱 구비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상기 중간 부재(120')의 중공관(120b',120c')에도 안정적인 무게 중심을 제공하기 위해서 확장부(120a')가 더욱 구비될 수 있다.
미설명된 부호 110b',130b'는 암측 및 수측 나사부를 각각 나타내며, 부호 110b'',130b''는 암측 및 수측 나사의 머리를 각각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용 연습공의 제1 상태의 사시도, 도 8a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용 연습공의 제1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8b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용 연습공의 제2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8c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용 연습공의 제3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앙볼부(220)와 좌측볼부(210), 우측볼부(230)가 자석이나 자성체가 아니라, 각 볼부의 중앙에 직접 내설된 암나사와 수나사 간의 나사 결합을 통해 일체로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중앙볼부(220)는 좌측 절단 측(221) 및 우측 절단 측(222)에 각각 형성된 좌측 암나사(220a)와 우측 암나사(220b)를 구비하며, 상기 좌측볼부(210)와 상기 우측볼부(230)는 각각의 절단 측(212,232)에 좌측 수나사(210a)와 우측 수나사(230a)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중앙볼부(220)의 좌측 암나사(220a)에 상기 좌측볼부(210)의 좌측 수나사(210a)가 결합하고, 상기 중앙볼부(220)의 우측 암나사(220b)에 상기 우측볼부(230)의 우측 수나사(230a)가 결합하여, 상기 제1 상태를 이루게 된다.
다른 예로서, 좌측 암나사(220a')와 우측 암나사(220b')를 양측에 구비한 암나사 부재(220')가 더욱 구비되고, 상기 암나사 부재(220')의 좌측 암나사(220a')에 상기 좌측볼부(210)의 좌측 수나사(210a)가 결합하고, 상기 암나사 부재(220')의 우측 암나사(220b')에 상기 우측볼부(230)의 우측 수나사(230a)가 결합하여, 상기 제2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취하게 되면, 상술한 실시예에 비해 더욱 간단한 구조를 취하면서도 견고한 나사 결합 구성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앙볼부(220)의 좌측 암나사(220a)와 우측 암나사(220b)의 중앙에는 안정적인 무게 중심을 제공하기 위해서 확장부(220c)가 더욱 구비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상기 암나사 부재(220')의 좌측 암나사(220a')와 우측 암나사(220b')의 중앙에도 안정적인 무게 중심을 제공하기 위해서 확장부(220c')가 더욱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0,110,210: 좌측볼부
20,120,220: 중앙볼부
30,130,230: 우측볼부

Claims (11)

  1. 골프공을 이루는 구 형상의 일부를 양측으로 대칭적으로 절단한 형태를 갖는 중앙볼부;
    골프공을 이루는 구 형상의 우측 일부를 절단한 형태를 갖는 좌측볼부; 및
    골프공을 이루는 구 형상의 좌측 일부를 절단한 형태를 갖는 우측볼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볼부의 양측에 상기 좌측볼부와 우측볼부가 결합된 제1 상태와,
    상기 좌측볼부와 우측볼부가 결합된 제2 상태와,
    상기 중앙볼부만으로 구성된 제3 상태를 선택적으로 갖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중앙볼부의 좌측 절단 측에 상기 좌측볼부의 절단 측이 결합되고, 상기 중앙볼부의 우측 절단 측에 상기 우측볼부의 절단 측이 결합되어 이뤄지며, 지면과 닿는 부분이 3 지점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용 연습공.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좌측볼부의 절단 측과 우측볼부의 절단 측이 직접 또는 소정 간극 유지를 위한 중간 요소 부재를 개재하여 결합되어 이뤄짐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용 연습공.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좌측볼부와 중앙볼부, 우측볼부는 절단 측을 이루는 대향면 간에 상호 소정 간극을 갖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좌측볼부와 우측볼부는 절단 측을 이루는 대향면 간에 상호 소정 간극을 갖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용 연습공.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볼부의 좌측 절단 측 및 우측 절단 측과, 상기 좌측볼부의 절단 측과, 상기 우측볼부의 절단 측에는, 상기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의 결합을 위해 소정 면적과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자석 또는 자성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용 연습공.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볼부는 좌측 절단 측 및 우측 절단 측을 상호 관통하는 제1 중공부를 구비하며,
    상기 좌측볼부와 상기 우측볼부는 각각의 절단 측과 그 반대에 위치하는 외측이 상호 관통하는 제2 중공부와 제3 중공부를 구비하며,
    상기 좌측볼부의 외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제2 중공부를 통과하여 절단 측으로 관통 돌출된 제1 나사와, 상기 우측볼부의 외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제3 중공부를 통과하여 절단 측으로 관통 돌출된 제2 나사가 상기 중앙볼부의 제1 중공부 내에서 나사 결합하여, 상기 제1 상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용 연습공.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볼부의 외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제2 중공부를 통과하여 절단 측으로 관통 돌출된 제1 나사와, 상기 우측볼부의 외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제3 중공부를 통과하여 절단 측으로 관통 돌출된 제2 나사가 나사 결합하여, 상기 제2 상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용 연습공.
  8. 제7항에 있어서,
    소정 길이를 갖는 중공관을 구비한 중간 부재가 더욱 구비되고,
    상기 중간 부재의 중공관 내에서 상기 제1 나사와 상기 제2 나사가 나사 결합하여, 상기 제2 상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용 연습공.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사는 제1 부싱을 외측에 개재하여 상기 제2 중공부에 삽입 통과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나사는 제2 부싱을 외측에 개재하여 상기 제3 중공부에 삽입 통과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용 연습공.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볼부는 좌측 절단 측 및 우측 절단 측에 각각 형성된 좌측 암나사와 우측 암나사를 구비하며,
    상기 좌측볼부와 상기 우측볼부는 각각의 절단 측에 좌측 수나사와 우측 수나사를 구비하며,
    상기 중앙볼부의 좌측 암나사에 상기 좌측볼부의 좌측 수나사가 결합하고, 상기 중앙볼부의 우측 암나사에 상기 우측볼부의 우측 수나사가 결합하여, 상기 제1 상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용 연습공.
  11. 제10항에 있어서,
    좌측 암나사와 우측 암나사를 양측에 구비한 암나사 부재가 더욱 구비되고,
    상기 암나사 부재의 좌측 암나사에 상기 좌측볼부의 좌측 수나사가 결합하고, 상기 암나사 부재의 우측 암나사에 상기 우측볼부의 우측 수나사가 결합하여, 상기 제2 상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용 연습공.
KR1020140048831A 2014-04-23 2014-04-23 골프 퍼팅용 연습공 KR101641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831A KR101641706B1 (ko) 2014-04-23 2014-04-23 골프 퍼팅용 연습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831A KR101641706B1 (ko) 2014-04-23 2014-04-23 골프 퍼팅용 연습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492A KR20150122492A (ko) 2015-11-02
KR101641706B1 true KR101641706B1 (ko) 2016-07-21

Family

ID=54599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8831A KR101641706B1 (ko) 2014-04-23 2014-04-23 골프 퍼팅용 연습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17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7244A (ko) * 2016-11-22 2018-05-30 양춘호 퍼팅 연습용 골프공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6805A (ja) 2003-06-18 2005-01-13 Toshihiko Shoden ゴルフボール
JP2005518258A (ja) 2002-02-23 2005-06-23 ブレイカー,ジョン,ヴィー. 貫通孔を有する練習用スポーツ飛翔体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198Y1 (ko) 2005-02-25 2005-05-25 윤오섭 퍼팅 임팩트포인트 체크 볼
KR20130065367A (ko) * 2011-12-09 2013-06-19 이성국 골프 퍼팅 연습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8258A (ja) 2002-02-23 2005-06-23 ブレイカー,ジョン,ヴィー. 貫通孔を有する練習用スポーツ飛翔体
JP2005006805A (ja) 2003-06-18 2005-01-13 Toshihiko Shoden ゴルフボー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7244A (ko) * 2016-11-22 2018-05-30 양춘호 퍼팅 연습용 골프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492A (ko) 2015-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0488B1 (ko) 골프 퍼터
US10994185B2 (en) Putt ruler
KR101031532B1 (ko) 골프 클럽 헤드
KR101641706B1 (ko) 골프 퍼팅용 연습공
US20140080620A1 (en) Training golf ball
US20110065525A1 (en) Golf putters having centrally aligned hosels
US7833108B2 (en) Training head for golf training putter, and method of training
US4944517A (en) Golf practice club
TWM555237U (zh) 高爾夫球桿的桿頭
KR200253958Y1 (ko) 퍼팅용 부착물
US8894504B1 (en) Golf putting training device
US9044654B2 (en) Golf putter
KR101027652B1 (ko) 연습용 골프클럽
US20060189404A1 (en) Golf putting training device
JPS599665Y2 (ja) パタ−練習器具
KR102299646B1 (ko) 골프 퍼터
KR101105976B1 (ko) 직선 퍼팅 스트로크를 향상시키는 골프 퍼팅 연습볼
JP3206783U (ja) ゴルフ用クラブヘッド及びこれを備えたゴルフ用クラブ
US20240001212A1 (en) Golf trainer device
KR102120980B1 (ko) 퍼터용 방향 지시 고정장치
KR101725028B1 (ko) 퍼팅 연습용 골프채
KR200456852Y1 (ko) 골프용 퍼터
JP6132713B2 (ja) ゴルフパッティング練習用具
CN205164061U (zh) 一种高尔夫球杆的杆面、杆头和高尔夫球杆
WO2016197189A1 (en) Golf putting practic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