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3958Y1 - 퍼팅용 부착물 - Google Patents

퍼팅용 부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3958Y1
KR200253958Y1 KR2020010024300U KR20010024300U KR200253958Y1 KR 200253958 Y1 KR200253958 Y1 KR 200253958Y1 KR 2020010024300 U KR2020010024300 U KR 2020010024300U KR 20010024300 U KR20010024300 U KR 20010024300U KR 200253958 Y1 KR200253958 Y1 KR 2002539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tting
putter
attachment
hitting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43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승욱
Original Assignee
공승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승욱 filed Critical 공승욱
Priority to KR20200100243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39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39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3958Y1/ko

Links

Landscapes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타구면이 형성된 퍼팅헤드를 갖는 골프용 퍼터에 마련되는 퍼팅용 부착물에 있어서, 상기 퍼터에 착탈가능하도록 상기 타구면에 접촉되는 접촉면과, 상기 접촉면의 대향측에 형성되어 골프공을 타격하며 상기 접촉면의 면적보다 작은 타격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퍼팅의 정확성 및 방향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퍼팅의 감각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퍼팅용 부착물{putting attachment for putter}
본 고안은, 골프용 퍼터에 관한 것이다.
장거리 샷의 용도로 이용되는 우드형 골프클럽과는 달리, 퍼터는 그라운드에 안착된 골프공이 그라운드의 지면을 따라 구름 운동하여 소정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골프공을 타격하는 용도로 이용된다.
골프 경기를 수행할 경우, 소정의 방향성과 비거리를 갖는 장거리 샷의 구사 능력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기는 하나, 최종적으로는 홀에 골프공을 넣는 퍼팅의 감각 및 능력에 따라 그 순위가 결정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에, 골프 선수를 포함하여 골프를 선호하는 매니아들의 경우에는 퍼팅의 감각을 높이는 연습을 소홀히 할 수가 없다.
그런데, 종래에는 골프공을 세워 놓은 상태에서 퍼터에 형성된 비교적 넓은 타구면으로 골프공을 타격하는 퍼팅 연습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보통이나 이러한 방법은 실질적으로 골프공에 접촉하는 타구면의 접촉 부분이 매번 변경될 수 있어 효과적으로 퍼팅의 감각을 높일 수가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퍼터에 퍼팅용 부착물을 부착시킨 후 퍼팅 연습을 수행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퍼팅 감각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퍼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확대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퍼터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퍼터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퍼터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퍼터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 따른 퍼터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골프공 12 : 샤프트
14 : 퍼팅헤드 16 : 타구면
19 : 그립 20a∼20f : 퍼팅용 부착물
21a∼21f : 타격면 25 : 양면테잎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타구면이 형성된 퍼팅헤드를 갖는 골프용 퍼터에 마련되는 퍼팅용 부착물에 있어서, 상기 퍼터에 착탈가능하도록 상기 타구면에 접촉되는 접촉면과, 상기 접촉면의 대향측에 형성되어 골프공을 타격하며 상기접촉면의 면적보다 작은 타격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용 부착물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타격면은 부분 원기둥 표면을 갖거나, 혹은 부분 구형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퍼팅용 부착물은 합금강이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으로도 만들 수 있으나, 퍼터에 착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자석으로 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며, 동일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골프용 퍼터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퍼터와 마찬가지로, 가늘고 긴 샤프트(12)와, 샤프트(12)의 일단에 마련되며 골프공(10)을 퍼팅하는 퍼팅헤드(14)와, 샤프트(12)의 타단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그립(19)을 갖는다.
그립(19)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샤프트(12)와는 달리 손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무 및 섬유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측부에는 복수의 요철부나 혹은, 미끌림방지패드 등이 부착되어 있다.
퍼팅헤드(14)에는 거의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골프공(10)을 퍼팅하는 타구면(16)을 갖는다. 타구면(16)에는 실질적으로 골프공(10)을 타격하는 타격중심영역(18)이 형성되어 있다. 골프공(10)을 의도한 위치로 보내기 위해서는 골프공(10)을 타격중심영역(18)에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퍼팅헤드(14)는 철 재질로 그 형상을 성형한 다음 외표면에 부식 방지용 표면처리를 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 때, 타격중심영역(18)은 타 영역(17)과는 다른 재질, 골프공(10)과의 반발력을 높게 할 수 있는 비철 합금강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한편, 퍼팅헤드(14)의 타구면(16)에는 퍼팅 연습을 수행하는 퍼팅용 부착물(20a∼20f)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퍼팅용 부착물(20a∼20f)은 사용자가 타구면(16)에 착탈시키면서 퍼팅 감각을 높이기 위한 용도로 이용된다.
각 실시예들에 도시된 퍼팅용 부착물(20a∼20f)들은 타구면(16)에 접촉되는 접촉면(22a∼22f)과, 접촉면(22a∼22f)의 대향측에 형성되어 골프공(10)을 타격하며 접촉면(22a∼22f)의 면적보다 작은 타격면(21a∼21f)을 갖는다. 타격면(21a∼21f)은 전술한 바와 같이, 타구면(16) 및 접촉면(22a∼22f)의 면적에 비해 현격하게 협소하게 형성함으로써, 둥근 골프공(10)에 대한 퍼팅의 감각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도 2에는 부분적으로 절취된 원기둥 형상을 갖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퍼팅용 부착물(20a)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퍼팅용 부착물(20a)은 타구면(16)에 접촉되는 접촉면(22a)과, 접촉면(22a)의 대향측에 형성되어 골프공(10)을 타격하며 접촉면(22a)의 면적보다 작은 타격면(21a)을 갖는다. 타격면(21a)은 타구면(16)의 면적에 비해 현격하게 협소하며, 타구면(16)과 나란한 상태를 갖는다.
이러한 퍼팅용 부착물(20a)을 퍼팅헤드(14)의 타구면(16)에 부착시킨 후, 그립(19)을 잡고 샤프트(12)를 소정 각도 회전시키면서 퍼팅 연습을 하게 되면, 실질적으로 골프공(10)이 접촉되어 타격되는 부분은 퍼팅용 부착물(20a)에 형성된 타격면(21a)에 국한될 수 있다(도 3 참조). 따라서, 퍼팅의 정확성 및 방향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퍼팅의 감각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에는 부분 원기둥 형상을 갖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퍼팅용 부착물(20b)이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퍼팅용 부착물(20b) 역시, 타구면(16)에 접촉되는 접촉면(22b)과, 접촉면(22b)의 대향측에 형성되어 골프공(10)을 타격하며 접촉면(22b)의 면적보다 작은 타격면(21b)을 갖는다. 이 때, 제2실시예에 따른 퍼팅용 부착물(20b)은 골프공(10)과 접촉되는 타격면(21b)이 실질적으로 중심 수평축선(도 4에 일점쇄선으로 도시)을 형성하므로, 고난위도를 갖는 퍼팅 감각 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의 형상 외에도 퍼팅용 부착물(20c)은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 5에서와 같이, 절두 구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으며, 도시하고 있지는 않으나 여러 형상의 다각구체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의 퍼팅용 부착물(20a∼20c)들은 자석으로 되어 있다. 이에, 퍼팅용 부착물(20a∼20c)의 각 접촉면(22a∼22c)은 퍼팅헤드(14)의 타구면(16)에 손쉽게 착탈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외표면이 표면 처리된 퍼팅헤드(14) 자체가 철 재질로 이루어져 있을 경우에 해당한다.
만일, 퍼팅헤드(14)가 비철 합금으로 이루어져 있다면, 자석으로 된 퍼팅용 부착물을 퍼팅헤드(14)에 착탈시킬 수는 없다. 이럴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접착제(미도시) 및 양면테잎(25) 등을 이용하여 퍼팅용부착물(20d)의 접촉면(22d)을 퍼팅헤드(14)의 타구면(16)에 착탈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는 반드시 퍼팅용 부착물(20d)의 재질을 자석으로 할 필요는 없으며,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을 포함하여 골프공(10)과의 반발력을 높일 수 있는 합금강으로 그 재질을 대체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퍼팅헤드(14)의 타격중심영역(18)은 골프공(10)과의 반발력을 높일 수 있는 합금강으로 하고 타 영역(17)은 철 재질로 할 경우에는, 퍼팅용 부착물이 타격중심영역(18)에 자기적으로 부착될 수 없다. 이럴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퍼팅용 부착물(20f)을 마련하여, 타격중심영역(18)을 제외한 타 영역(17)에는 자기적으로 부착될 수 있는 넓은 접촉면(22e)으로 하고, 실질적으로 골프공(10)과 접촉되는 타격면(21e)은 좁게 함으로써, 본 고안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퍼팅헤드(14)를 사이에 두고 후방에 별도의 자석(29)을 마련한 후, 퍼팅헤드(14)의 타구면(16)에 자석으로 된 퍼팅용 부착물(20f)을 마련하는 것 역시, 본 고안의 한 실시예를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퍼팅헤드(14)의 타구면(16)에 접촉되는 접촉면(22a∼22f)과, 접촉면(22a∼22f)의 대향측에 형성되어 골프공(10)을 타격하며 접촉면(22a∼22f)의 면적보다 작은 타격면(21a∼21f)을 갖는 퍼팅용 부착물(20a∼20f)을 마련함으로써, 퍼팅의 정확성 및 방향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퍼팅의 감각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도면에는 각 퍼팅용 부착물이 퍼팅헤드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부착되는 것에 관해 설명하고 있으나, 퍼팅헤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도록퍼팅용 부착물을 부착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퍼터에 퍼팅용 부착물을 부착시킨 후 퍼팅 연습을 수행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퍼팅의 정확성 및 방향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퍼팅의 감각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4)

  1. 타구면이 형성된 퍼팅헤드를 갖는 골프용 퍼터에 마련되는 퍼팅용 부착물에 있어서,
    상기 퍼터에 착탈가능하도록 상기 타구면에 접촉되는 접촉면과, 상기 접촉면의 대향측에 형성되어 골프공을 타격하며 상기 접촉면의 면적보다 작은 타격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용 부착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면은 부분 원기둥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용 부착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면은 부분 구형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용 부착물.
  4. 제1항에 있어서,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용 부착물.
KR2020010024300U 2001-08-10 2001-08-10 퍼팅용 부착물 KR2002539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300U KR200253958Y1 (ko) 2001-08-10 2001-08-10 퍼팅용 부착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300U KR200253958Y1 (ko) 2001-08-10 2001-08-10 퍼팅용 부착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3958Y1 true KR200253958Y1 (ko) 2001-11-23

Family

ID=73082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4300U KR200253958Y1 (ko) 2001-08-10 2001-08-10 퍼팅용 부착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3958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659A (ko) * 2019-03-19 2019-05-16 최용식 가변형 골프 퍼터
KR20190052658A (ko) * 2019-03-19 2019-05-16 최용식 가변형 골프 퍼터
KR20190052444A (ko) * 2017-11-08 2019-05-16 최용식 가변형 골프 퍼터
KR20190052656A (ko) * 2019-03-19 2019-05-16 최용식 가변형 골프 퍼터
KR20190052655A (ko) * 2019-03-19 2019-05-16 최용식 가변형 골프 퍼터
KR20190052657A (ko) * 2019-03-19 2019-05-16 최용식 가변형 골프 퍼터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444A (ko) * 2017-11-08 2019-05-16 최용식 가변형 골프 퍼터
KR102039548B1 (ko) 2017-11-08 2019-11-01 최용식 가변형 골프 퍼터
KR20190052659A (ko) * 2019-03-19 2019-05-16 최용식 가변형 골프 퍼터
KR20190052658A (ko) * 2019-03-19 2019-05-16 최용식 가변형 골프 퍼터
KR20190052656A (ko) * 2019-03-19 2019-05-16 최용식 가변형 골프 퍼터
KR20190052655A (ko) * 2019-03-19 2019-05-16 최용식 가변형 골프 퍼터
KR20190052657A (ko) * 2019-03-19 2019-05-16 최용식 가변형 골프 퍼터
KR102040832B1 (ko) 2019-03-19 2019-11-05 최용식 가변형 골프 퍼터
KR102040835B1 (ko) 2019-03-19 2019-11-05 최용식 가변형 골프 퍼터
KR102040830B1 (ko) 2019-03-19 2019-11-05 최용식 가변형 골프 퍼터
KR102040841B1 (ko) 2019-03-19 2019-11-05 최용식 가변형 골프 퍼터
KR102040833B1 (ko) 2019-03-19 2019-11-05 최용식 가변형 골프 퍼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1997026952A1 (en) Golf putter
KR101031532B1 (ko) 골프 클럽 헤드
KR200253958Y1 (ko) 퍼팅용 부착물
WO2001051134A3 (en) Golf clubs intended for use in putting
US8715097B2 (en) Golf club head
JP2008194116A (ja) ゴルフクラブのヘッド
US20070066419A1 (en) Wood-type golf club
US20060252568A1 (en) Elevated golf club foot
KR101027652B1 (ko) 연습용 골프클럽
KR101641706B1 (ko) 골프 퍼팅용 연습공
KR102120980B1 (ko) 퍼터용 방향 지시 고정장치
KR102299646B1 (ko) 골프 퍼터
US20090203466A1 (en) Golf club head
KR102416857B1 (ko) 골프퍼터
KR200314281Y1 (ko) 퍼터헤드
KR20090082826A (ko) 골프 퍼터
KR200306598Y1 (ko) 타격점 확인용 골프연습기
JP3083905U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KR200299197Y1 (ko) 골프용 퍼터
KR20200001906U (ko) 디지털 방식의 골프 퍼팅연습기
JP2010104741A (ja) 曲面フェースゴルフクラブ
KR20110027264A (ko) 브이형 홈이 형성된 골프 퍼터
KR20000021440U (ko) 탁구 라켓
KR200187203Y1 (ko) 유희용 안전 골프클럽 헤드
KR200377001Y1 (ko) 골프용 아이언 클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