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0830B1 - 가변형 골프 퍼터 - Google Patents

가변형 골프 퍼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0830B1
KR102040830B1 KR1020190031169A KR20190031169A KR102040830B1 KR 102040830 B1 KR102040830 B1 KR 102040830B1 KR 1020190031169 A KR1020190031169 A KR 1020190031169A KR 20190031169 A KR20190031169 A KR 20190031169A KR 102040830 B1 KR102040830 B1 KR 102040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king
hitting
putter head
head
p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1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2655A (ko
Inventor
최용식
Original Assignee
최용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식 filed Critical 최용식
Priority to KR1020190031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0830B1/ko
Publication of KR20190052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2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0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6Heads adjustable
    • A63B53/065Heads adjustable for put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16Heads having an impact surface provided by a face insert
    • A63B53/042Heads having an impact surface provided by a face insert the face insert consisting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87Heads for put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 A63B69/3685Putters or attachments on putter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가변형 골프 퍼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골프 퍼터는, 샤프트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헤드 타격면을 갖는 퍼터 헤드와, 상기 퍼터 헤드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타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퍼터 헤드에는, 체결볼트가 저면에서 상향으로 관통되기 위한 관통공이 단이지게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과 대응되는 상기 헤드 타격면에는 상기 퍼터 헤드의 상면 일부를 타격방향 쪽으로 개방하기 위한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타격부재는, 골프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에 타격면이 형성되고, 상기 상면에 안착되도록 상기 상면의 가장자리에 지지되는 안착면과 지지면이 저면에 단이지게 형성되며, 상기 안착면에는 상기 체결볼트가 체결되어 결합되기 위한 나사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타격면 일부가 상기 절개부를 통하여 상기 헤드 타격면보다 더 돌출되도록 상기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볼트에 의해 상기 퍼터 헤드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타격부재의 타격면은, 골프공과 같은 곡률로 이루어진 구면 타격면 또는 평면으로 이루어진 평면 타격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평면 타격면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상기 타격부재는 상기 평면 타격면의 크기별로 다수개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퍼터 헤드에 결합되고, 상기 구면 타격면 또는 평면 타격면에는, 상기 타격부재와 다른 재질의 타격재가 일체화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변형 골프 퍼터{VARIABLE TYPE GOLF PUTTER}
본 발명은 가변형 골프 퍼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퍼터의 타격면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타격감을 제공할 수 있음으로써, 퍼팅그린에 놓여진 골프공을 홀에 정확하게 넣기 위한 퍼팅연습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가변형 골프 퍼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퍼터란 퍼트용 아이언 클럽으로 그린 위에서 직접 홀을 향해 볼을 타격할 때 사용하는 기구이며, 퍼팅이란 퍼터로써 볼을 타격하는 행위를 말한다.
상기 퍼팅을 성공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퍼팅 방향이나 거리감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가장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것은 올바른 퍼팅 자세이며, 이를 갖추기 위하여는 장기간에 걸친 수많은 연습을 통하여 그 감각을 익혀야 한다.
이때 상기한 올바른 퍼팅 자세란, 스윙을 할 때 그립을 쥐고 있는 양손이 골퍼의 머리를 중심으로 진자운동을 하여, 그 진자운동의 최저점에서 퍼터의 헤드가 공을 임펙트 하는 것을 말하고, 상기한 바와 같은 자세로 타격된 공은 비로소 원하는 위치로 보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스윙시 손목이 꺽이거나 몸이 흔들리게 되면 정확한 진자운동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부적절한 위치에서 공이 임펙트 되어 공이 원하는 위치로 보내지지 않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연습용 퍼터로 퍼팅 연습을 함으로써 다소 해소될 수 있었다.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350462호(공고일 : 2004.05.13)호에는 골프 연습용 퍼터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행기술에 따른 골프 연습용 퍼터(1)는, 퍼터 헤드(2)의 앞쪽 센터에 골프공(3)을 정타로 치기 위한 삼각형이나 반원형의 타격돌기(2A)를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골프 연습용 퍼터(1)는 반원형의 타격돌기(2A)를 이용하여 골프공(3)을 정타로 치는 연습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퍼터(1)는 퍼터 헤드(2)와 타격돌기(2A)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다양한 구조의 타격돌기(2A)를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 있었다.
다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95835호(공고일자 : 2005.09.14)에는 골프퍼터용 퍼팅 연습구가 개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부가 폭이 가장 넓은 타격부(1A)로 형성되고 상면에는 센터선(101)을 표시한 퍼팅구(1)의 양측으로는 고정판(1')(1")을 형성하여 고정판(1')(1")을 퍼터헤드(2)에 접촉시켜 고무줄(3)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의 퍼팅 연습구는 퍼팅구(1)를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으나, 퍼팅구(1)를 고무줄(3)로 결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없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술한 각각의 선행기술들은 퍼터 헤드가 동일한 재질,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다양한 타격감을 익힐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 특허문헌 1 :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350462호(공고일 : 2004.05.13) . 특허문헌 2 :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395835호(공고일 : 2005.09.14)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타격면을 사용할 수 있고, 다양한 타격감을 제공할 수 있는 가변형 골프 퍼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샤프트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헤드 타격면을 갖는 퍼터 헤드와, 상기 퍼터 헤드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타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퍼터 헤드에는, 체결볼트가 저면에서 상향으로 관통되기 위한 관통공이 단이지게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과 대응되는 상기 헤드 타격면에는 상기 퍼터 헤드의 상면 일부를 타격방향 쪽으로 개방하기 위한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타격부재는, 골프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에 타격면이 형성되고, 상기 상면에 안착되도록 상기 상면의 가장자리에 지지되는 안착면과 지지면이 저면에 단이지게 형성되며, 상기 안착면에는 상기 체결볼트가 체결되어 결합되기 위한 나사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타격면 일부가 상기 절개부를 통하여 상기 헤드 타격면보다 더 돌출되도록 상기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볼트에 의해 상기 퍼터 헤드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타격부재의 타격면은, 골프공과 같은 곡률로 이루어진 구면 타격면 또는 평면으로 이루어진 평면 타격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평면 타격면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상기 타격부재는 상기 평면 타격면의 면적 크기별로 다수개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퍼터 헤드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골프 퍼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구면 타격면 또는 평면 타격면에는, 상기 타격부재와 다른 재질의 타격재가 일체화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타격재는, 상기 구면 타격면 또는 평면 타격면에 형성되는 타격재용 홈에 채워지거나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상기 타격부재와 일체화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의 하단부는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퍼터 헤드에는 상기 샤프트의 하단부가 결합되기 위한 다각형의 결합부가 왼손잡이 또는 오른손잡이가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양쪽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다각형의 결합부는 상호 결합되는 각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샤프트의 하단부가 상기 결합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퍼터 헤드의 저면으로부터 체결되는 볼트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타격부재의 결합홈의 둘레에는 두께 조절홈이 형성되되, 상기 결합면들을 기준으로 상기 타격면들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타격감과 타격음이 다르게 발생되도록 상기 두께 조절홈의 폭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타격부재에 다양한 타격면이 구비됨으로써, 다양한 형태로 퍼팅 및 퍼팅 연습을 할 수 있으며, 타격부재에 이종재질의 타격재가 일체화됨으로써, 다양한 타격감을 제공할 수 있고, 따라서 퍼팅 연습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타격부재에 타격음 발생홈이 형성됨으로써, 골프공을 타격면의 정타점으로 타격했을 때 경쾌한 타격음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타격임을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연습용 골프 퍼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시예에 따른 가변형 골프 퍼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의 (a), (b), (c)는 도 3에 도시된 타격부재의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연습용 골프 퍼터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연습용 골프 퍼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의 (a), (b), (c), (d)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골프 퍼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가변형 골프 퍼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골프 퍼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골프 퍼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가변형 골프 퍼터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가변형 골프 퍼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의 (a), (b), (c)는 도 12에 도시된 타격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골프 퍼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가변형 골프 퍼터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가변형 골프 퍼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골프 퍼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가변형 골프 퍼터를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8에 도시된 타격부재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시예에 따른 가변형 골프 퍼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의 (a), (b), (c)는 도 3에 도시된 타격부재의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연습용 골프 퍼터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연습용 골프 퍼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골프 퍼터는, 퍼터 헤드(20)와 이 퍼터 헤드(2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타격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퍼터 헤드(20)는 샤프트(10)의 하단부(12)에 결합되고, 타격방향 쪽에 헤드 타격면(24)이 형성된다.
퍼터 헤드(20)에는 체결볼트(40)가 저면에서 상향으로 관통되기 위한 관통공(22)이 단이지게 형성되고, 관통공(22)과 대응되는 헤드 타격면(24)의 중앙 영역에는 퍼터 헤드(20)의 상면(23) 일부를 타격방향 쪽으로 개방하기 위한 절개부(26)가 형성된다.
타격부재(30)는 골프공 형상의 구형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에 타격면(34)이 형성된다. 타격부재(30)의 저면에는 퍼터 헤드(20)의 상면(23)에 안착되도록 상면(23)의 가장자리에 지지되는 안착면(32)과 지지면(32A)이 저면에 단이지게 형성된다. 안착면(32)에는 체결볼트(40)가 체결되어 결합되기 위한 나사 체결홈(32B)이 형성된다.
타격부재(30)의 타격면(34) 일부가 절개부(26)를 통하여 헤드 타격면(24) 보다 더 돌출되도록 상면(23)에 안착된 상태에서 체결 볼트(40)에 의해 퍼터 헤드(20)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된다.
타격부재(30)의 타격면(34)은, 골프공과 같은 곡률로 이루어진 구면 타격면(34A) 또는 평면으로 이루어진 평면 타격면(34B)으로 이루어진다. 평면 타격면(34B)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타격부재(30)는 평면 타격면(34B)의 면적 크기별로 다수개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퍼터 헤드(20)에 결합된다. 구면 타격면(34A) 또는 평면 타격면(34B)에는, 타격부재(30)와 다른 재질의 타격재(39)가 일체화되도록 구비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퍼터 헤드(20)에는, 체결볼트(40)가 저면에서 상향으로 관통되기 위한 관통공(22)이 단이지게 형성된다. 이 관통공(22)과 대응되는, 즉 관통공(22)이 형성된 영역에 해당하는 헤드 타격면(24)의 중앙영역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퍼터 헤드(20)의 상면(23) 일부를 타격방향 쪽으로 개방하기 위한 절개부(26)가 형성된다. 이 절개부(26)는 타격부재(30)가 퍼터 헤드(20)의 상면(23)에 결합되었을 때 타격면(34)의 일부가 전방쪽(타격방향)으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관통공(22)이 단이지게 형성된 것은, 체결볼트(40)가 관통공(22)을 통하여 타격부재(30)에 결합되었을 때 체결볼트(40)의 머리부가 퍼터 헤드(20)의 저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관통공(22)과 절개부(26)는 퍼터 헤드(20)의 중간(중앙영역)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격부재(30)는, 퍼터 헤드(2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타격부재(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공과 같은 형상, 골프공과 같거나 유사한 크기로 형성된다. 타격부재(30)의 외주면에는 구면 또는 평면 형태의 타격면(34)이 형성된다. 타격부재(30)의 저면에는 퍼터 헤드(20)의 상면(23)에 안착되는 안착면(32)이 형성되고, 안착면(32)의 한쪽에는 안착면(32)이 상면(23)에 안착될 때 상면(23)의 가장자리(23A)에 지지되기 위한 지지면(32A)이 단이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는 지지면(32A)에 의해 타격면(34)으로 골프공을 타격했을 때 발생되는 충격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안착면(32)에는 체결볼트(40)가 체결되어 결합되기 위한 나사 체결홈(32B)이 암나사산을 구비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타격부재(30)는, 타격면(34) 일부가 절개부(26)를 통하여 헤드 타격면(24)보다 더 돌출되도록 상면(23)에 안착된 상태에서 체결볼트(40)에 의해 퍼터 헤드(20)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체결볼트(40)가 퍼터 헤드(20)의 저면으로부터 관통공(22)을 통하여 나사 체결홈(32B)에 체결되더라도 체결볼트(40)의 머리부가 단이진 관통공(22)에 안착되므로 퍼터 헤드(20)의 저면으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타격부재(30)의 타격면(34)은, 골프공과 같은 곡률로 이루어진 구면 타격면(34A) 또는 평면으로 이루어진 평면 타격면(34B)으로 이루어진다. 평면 타격면(34B)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타격부재(30)는 평면 타격면(34B)의 크기별로 다수개 구비되는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크기가 서로 다른 평면 타격면(34B)을 갖는 다수개의 타격부재(30)가 구비되면, 사용자는 원하는 크기의 평면 타격면(34B)을 갖는 타격부재(30)를 선택하여 퍼터 헤드(20)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타격부재(30)의 구면 타격면(34A) 또는 평면 타격면(34B)에는, 타격부재(30)와 다른 재질의 타격재(39)가 일체화되도록 구비된다. 즉, 도 4의 (b), (c)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면 타격면(34A) 또는 평면 타격면(34B)에 타격재용 홈(31)이 일정 깊이로 다수개 형성되고, 이 타격재용 홈(31)에 타격부재(30)와 다른 재질의 타격재(38)가 채워져 일체화되거나,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타격부재(30)와 일체화된다. 예들 들면, 타격부재(30)가 철로 이루어진 경우에, 타격재용 홈(31)에 동, 알루미늄과 같이 철과는 다른 재질의 금속재가 채워지거나 인서트 사출 성형으로 일체화된다.
이와 같이, 구면 타격면(34A) 또는 평면 타격면(34B)에 타격재용 홈(31)이 형성되고, 이 타격재용 홈(31)에 타격부재(30)와는 다른 재질의 타격재(39)가 일체화되도록 구비됨으로써, 골프 퍼팅을 하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타격감 및 타격음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서는 타격재(39)를 타격재용 홈(31)에 채우거나 인서트 사출 성형으로 타격부재(30)와 일체화시켰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격재용 홈(31)의 바닥에서 돌기(31-1)들을 돌출시키고, 이 돌기(31-1)들 사이, 즉 타격재용 홈(31)에 타격재(39)를 채워 일체화하거나 인서트 사출 성형으로 일체화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골프 퍼터는, 샤프트(10)의 하단부(12)는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퍼터 헤드(20)에는 샤프트(10)의 하단부(12)가 결합되기 위한 다각형의 결합부(21)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하단부(12)와 결합부(21)는 다각형이 아닌 톱니 구조(스플라인 결합)로 형성되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호 결합되는 각도를 조절하도록 샤프트(10)의 하단부(12)가 결합부(21)에 끼워진 상태에서 퍼터 헤드(20)의 저면 또는 결합부(21)가 형성된 상단부의 측면을 통하여 하단부(12)에 체결되는 볼트(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결합된다. 물론, 하단부(12)가 결합부(21)에 끼워진 상태에서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서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샤프트(10)의 하단부(12)와 결합부(21)가 다각형 또는 톱니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10)를 기준으로 타격부재(30)가 결합된 퍼터 헤드(20)의 결합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만약, 하단부(12)와 결합부(21)가 미세한 톱니구조를 갖는다면, 퍼터 헤드(20)는 보다 미세한 각도로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골프 퍼터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는 각기 다른 타격면(34), 예를 들면, 구면 타격면(34A)을 갖는 타격부재(30)를 선택하여 퍼터 헤드(20)의 상면(23)에 결합하거나, 평면 타격면(34B)을 갖는 타격부재(30)를 선택하여 퍼터 헤드(20)의 상면(23)에 결합한다. 즉,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타격면(34)을 갖는 타격부재(30)를 선택하여 체결볼트(40)를 이용하여 퍼터 헤드(20)에 결합한다.
이어서, 타격부재(30)가 퍼터 헤드(20)에 결합되면, 타격면(34)은 절개부(26)를 통하여 퍼터 헤드(20)의 타격면(24)보다 더 타격방향 쪽으로 돌출되므로 사용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격부재(30)로 골프공을 타격하는 퍼팅 연습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구면 타격면(34A)을 갖는 타격부재(30)를 퍼터 헤드(20)에 결합하거나, 평면 타격면(34B)를 갖는 타격부재(30)를 선택하여 퍼터 헤드(20)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다양한 타격면으로 퍼팅 연습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타격부재(30)의 안착면(32)이 퍼터 헤드(20)의 상면(23)에 안착되고 지지면(32A)이 상면(23)의 가장자리에 지지되며 체결볼트(40)가 관통공(22)을 통하여 결합홈(32B)에 체결되기 때문에, 타격부재(30)와 퍼터 헤드(20)가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퍼팅 연습시 타격부재(30)가 유동되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지지면(32A)이 상면(23)의 가장자리(23A)에 지지되므로, 골프공의 타격시 타격부재(30)의 유동없이 안정된 타격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타격면(34)에 타격부재(30)와는 다른 재질의 타격재(39)가 일체화되어 구비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양한 타격감 및 타격음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7의 (a), (b), (c), (d)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골프 퍼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가변형 골프 퍼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골프 퍼터는, 샤프트(10)의 하단부(12)에 결합되고 헤드 타격면(24)을 갖는 퍼터 헤드(20)와, 퍼터 헤드(2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타격부재(30)를 포함한다. 퍼터 헤드(20)에는, 체결볼트(40)가 저면에서 상향으로 관통되기 위한 관통공(22)이 단이지게 형성된다. 관통공(22)과 대응되는, 즉 관통공(22)이 형성된 영역에 해당하는 헤드 타격면(24)의 중앙영역에는 퍼터 헤드(20)의 상면(23) 일부를 타격방향 쪽으로 개방하기 위한 절개부(26)가 형성된다. 관통공(22)이 형성된 상면(23)에는 3 - 8 각형의 결합돌기(27)가 상향으로 돌출된다.
타격부재(30)는, 골프공 형상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서로 다른 형상과 서로 다른 크기의 타격면(34)들이 외측면에 각각 형성된다. 저면에는 상면(23)에 안착되기 위한 안착면(32)이 형성된다. 안착면(32)에는 상면(23)에 안착될 때 결합돌기(27)가 삽입되어 결합되고 타격면(34)들과 같은 방향을 갖는 결합면(32C-1)들이 형성되도록 3 - 8 각형으로 된 결합홈(32C)이 형성된다. 결합홈(32C)에는 결합돌기(27)가 삽입되었을 때 체결볼트(40)가 체결되어 결합되기 위한 나사 체결홈(32B)이 형성된다.
타격부재(30)는 타격면(34)들 중에서 선택한 타격면(34)이 절개부(26)로 노출되도록 타격부재(30)의 방향을 설정하여 결합홈(32C)에 결합돌기(27)를 삽입하여 결합시키고 체결볼트(40)를 관통공(22)으로 통과시켜 결합홈(32C)의 나사 체결홈(32B)에 체결한다. 이 과정으로 타격부재(30)는 퍼터 헤드(20)에 결합된다.
그리고, 타격부재(30)의 타격면(34)은, 골프공과 같은 곡률로 이루어진 구면 타격면(34A) 또는 평면으로 이루어진 평면 타격면(34B)으로 이루어진다. 평면 타격면(34B)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타격부재(30)는 평면 타격면(34B)의 크기별로 다수개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퍼터 헤드(20)에 결합된다. 구면 타격면(34A) 또는 평면 타격면(34B)에는, 타격부재(30)와 다른 재질의 타격재(39)가 일체화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이때, 결합돌기(27)는 본 실시예에서 4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3각 내지 8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퍼터 헤드(20)에 결합돌기(27)가 형성되고, 타격부재(30)에 결합홈(32C)이 형성되어 타격부재(30)가 결합돌기(27)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퍼터 헤드(20)와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타격부재(30)의 구면 타격면(34A)이나 평면 타격면(34B)들 중에서 구면 타격면(34A)을 선택한 경우에, 구면 타격면(34A)이 절개부(26) 쪽으로 노출되도록, 구면 타격면(34A)과 일치하는 결합홈(32C)의 결합면((32C-1)이 절개부(26) 쪽을 향하도록 상기 타격부재(30)의 결합홈(32C)에 결합돌기(27)를 삽입한 후 체결볼트(40)에 체결하여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것이고, 타격면(34)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다시 설명하면, 다수의 타격면(34)이 형성된 타격부재(30)에는 각 타격면(34)들과 같은 방향을 갖는 다수의 결합면(32C-1)을 구비한 다각형의 결합홈(32C)이 형성되고, 퍼터 헤드(20) 상면(23)에는 다각형의 결합돌기(27)가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다수의 타격면(34) 중에서 선호하는 타격면(34)을 선택한 후 선택한 타격면(34)이 절개부(26)로 노출되도록 선택한 타격면(34)과 일치하는 결합면(32C-1)이 절개부(26) 방향을 향하도록 결합돌기(27)를 결합홈(32C)에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선택한 타격면(34)을 이용하여 타격 연습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타격부재(30)에 다수의 타격면(34)이 형성되고, 각 타격면(34)을 단순한 구조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양한 형태 및 크기의 타격면(34)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타격면(34)의 크기를 선택하여 타격부재(30)를 퍼터 헤드(20)에 결합할 수 있으므로써 다양한 타격감각을 익힐 수 있게 된다.
한편, 타격면(34)에 타격재용 홈(31)이 형성되고, 이 타격재용 홈(31)에 타격부재(30)와 다른 재질의 타격재(39)가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일체화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타격을 실시할 때 한 종류의 재질로만 이루어진 타격부재(30)로 타격하는 것과는 다른 타격감 및 타격음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7의 (c) 및 도 8에는 도 7의 (a), (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골프 퍼터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의 (c)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격부재(30)는, 타격면(34)들의 두께를 서로 다르게 하기 위한 두께 조절홈(37)이 결합홈(32C)의 주변에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즉, 타격부재(30)의 결합홈(32C)의 둘레에는 두께 조절홈(37)이 형성되되, 결합면(32C-1)들을 기준으로 타격면(34)들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도록 두께 조절홈(37)의 폭(W)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타격면(34)의 두께는, 결합면(32C-1)과 타격면(34) 사이의 두께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두께 조절홈(37)의 폭(W)을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타격면(34)의 두께를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타격면(34)을 선택하여 골프공을 타격할 때 타격면(34)의 두께에 따라 다양한 타격감 및 타격음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7의 (d)에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골프 퍼터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형 골프 퍼터는, 퍼터 헤드(20)의 중앙에 타격방향 쪽과 상향으로 개구된 안착홈(25)이 관통공(22)을 구비하여 형성된다. 이 안착홈(25)에는, 서로 다른 형상과 모양 및 크기의 타격면(34)을 갖는 타격부재(30)가 삽입되어 안착된 상태에서 저면으로부터 관통공(22)을 통하여 타격부재(30)의 저면에 체결되는 체결볼트(40)에 의해 퍼터 헤드(20)와 일체화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다. 이때, 안착홈(25)의 형상은 타격부재(30)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하여, 타격부재(30)를 삽입하여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타격부재(30)가 퍼터 헤드(20)의 안착홈(25)에 삽입된 체결볼트(40)로 체결되어 결합됨으로써, 타격부재(30)와 퍼터 헤드(20)의 결합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골프 퍼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골프 퍼터는, 샤프트(10)의 하단부(12)와 일단이 결합되고 골프공을 타격하기 위한 타격면(34)이 한쪽에 형성되며, 반대쪽에는 구면 또는 평면으로 된 연습 타격면(34-1)이 형성되는 타격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다. 즉, 제3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골프 퍼터는, 샤프트(10)의 하단부(12)가 양쪽에 타격면(34)과 연습 타격면(34-1)을 구비한 타격부재(30)의 일단에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그리고, 샤프트(10)의 하단부(12)는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타격부재(30)에는 샤프트(10)의 하단부(12)가 결합되기 위한 다각형의 결합부(33)가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는 각도를 조절하도록 샤프트(10)의 하단부(12)가 결합부(33)에 끼워진 상태에서 타격부재(30)의 저면으로부터 체결되는 볼트(40A)에 의해 체결되어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타격면(34)이나 연습 타격면(34-1)에는 전술한 타격재(39)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타격부재(30)가 샤프트(10)와 직접 결합됨으로써, 별도의 퍼터 헤드(20)가 불필요하게 되고, 타격부재(30)의 일면에 타격면(34)이 형성되고, 반대면에 연습 타격면(34-1)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타격면(34)으로 골프공을 타격(퍼팅)할 수 있고, 연습 타격면(34-1)으로 타격 연습을 할 수 있는 편의성이 제공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골프 퍼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가변형 골프 퍼터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골프 퍼터는, 샤프트(10)의 하단부(12)와 일단이 결합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단(210)를 구비한 퍼터 헤드(20)와, 골프공을 타격하기 위한 타격면(34)이 한쪽에 형성되고 반대쪽에는 구면 또는 평면으로 된 연습 타격면(34-1)이 형성되며 퍼터 헤드(20)에 결합되고 다각형의 결합부(33)를 구비한 타격부재(30)를 포함한다. 타격부재(30)는, 일체로 형성되어 퍼터 헤드(20)의 결합단(210)에 결합된다. 그리고, 샤프트(10)의 하단부(12)는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타격부재(30)의 결합부(33)로 삽입되며 퍼터 헤드(20)에 형성된 체결볼트용 관통공(21A)로 삽입된 체결용 볼트(40A)가 결합부(33)에 끼워진 하단부(12)의 내경에 형성된 나사공(도시되지 않음)에 체결된다. 따라서 샤프트(10)와 타격부재(30) 및 퍼터 헤드(20)가 일체화된다. 물론, 하단부(12)와 퍼터 헤드(20)는 체결용 볼트(40A) 이외의 다른 고정구조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는 하단부(12)와 결합부(33)의 결합각도에 따라 타격부재(30)와 샤프트(10)의 상호 결합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샤프트(10)의 하단부(12)가 다각형의 결합부(33)에 삽입되는 각도를 조절한 후 퍼터 헤드(20)의 저면으로부터 하단부(12)에 볼트(40A)를 체결함으로써 샤프트(10)와의 결합각도가 결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결합구조를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다.
이때, 타격면(34)과 연습 타격면(34-1)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타격부재(30)와 재질이 다른 타격재(39)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타격부재(30)의 저면에는 결합단(210)이 끼워지기 위한 삽입홈(35)이 형성되며, 결합단(210)이 삽입홈(35)에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단(210)의 저면에서 체결볼트(40)가 관통하여 타격부재(30)의 삽입홈(35) 내부에 형성되는 나사공에 체결됨으로써 타격부재(30)와 결합단(210)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타격부재(30)가 퍼터 헤드(20)의 결합단(210)에 끼움 구조 및 체결구조로 결합됨으로써, 다양한 형상 및 크기를 갖는 타격부재(30)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타격부재(30)의 일면에 타격면(34)이 형성되고, 반대면에 연습 타격면(34-1)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타격면(34)으로 골프공을 타격(퍼팅)할 수 있고, 연습 타격면(34-1)으로 타격 연습을 할 수 있는 편의성이 제공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가변형 골프 퍼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가변형 골프 퍼터의 다른 실시예는, 타격부재(30)가 타격면(34)과 연습 타격면(34-1)을 선택하도록 크기와 형상이 서로 다른 2 내지 5개로 분할 형성되어 결합단(210)에 결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제4 실시예와 같다. 이때, 분할 구성된 각 타격부재(30)의 저면에는 결합단(210)이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한 삽입홈(35)들이 각각 형성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타격부재(30)가 각각 분할 형성되는 경우에, 분할 형성된 각각의 타격부재(30)들은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타격부재(30)가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타격감을 제공하는 재질의 타격부재(30)를 선택하여 타격 연습을 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격부재(30)가 크기 및 형상 모양이 서로 다르게 개별적으로 구분되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는 취향에 맞는 타격부재(30)를 선택하여 타격(퍼팅) 연습을 할 수 있는 편의성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13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4 실시예에 따른 타격부재(30)는, 타격면(34)에 타격부재(30)와는 다른 재질의 타격재(39)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타격부재(30)가 철로 구성된다면, 타격재(39)는 동이나 알루미늄으로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양한 타격감을 제공할 수 있다. 즉, 타격면(34)과 연습 타격면(34-1)에 타격재용 홈(31)이 형성되고, 이 타격재용 홈(31)에 타격부재(30)와는 다른 재질의 금속재 또는 경질의 합성수지재 등이 채워지거나 인서트 사출 성형으로 일체되는 것이다. 특히, 도 13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격면(34)에 형성된 타격재용 홈(31)의 바닥에서 돌기(31-1)들을 돌출되고, 이 돌기(31-1)들 사이, 즉 타격재용 홈(31)에 타격재(39)를 채워 일체화하거나 인서트 사출 성형으로 일체화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타격면(34)이나 연습 타격면(34-1)에 타격재(39)가 일체화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타격재(39)를 구비한 타격면(34)으로 골프공을 타격할 경우에, 한가지 금속만으로 된 타격면(34)으로 타격하는 것과는 다른 타격감과 타격음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다양한 타격감 및 타격음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3의 (c)에는 도 12에 도시된 타격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격부재(30)가 구형(구면)으로 형성되어 구형의 외주연(34-3)에 연습 타격면(34)이 형성되는 경우에, 연습 타격면(34)에는 타격부재(30) 외주연(34-3)의 곡률보다 작은 크기의 곡률을 갖는 구면 타격부(34-2)이 형성되고, 이 구면 타격부(34-2)에 보조 타격면(34-5)이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다.
즉, 타격부재(30)의 외주연(34-3)에 연습 타격면(34)에 작은 곡률을 갖는 구면 타격부(34-2)가 형성되고 구면 타격부(34-2)에 보조 타격면(34-5)이 형성됨으로써, 삽입홈(35)의 중앙으로부터 가상의 타격면 간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경우에, 보조 타격면(34-5)의 면적을 크게 하거나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즉, 삽입홈(35)의 중앙으로부터 가상의 타격면 간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경우에, 삽입홈(35)의 중앙으로부터 가상의 타격면 간의 거리는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타격되는 면의 면적을 크게 형성한 타격부재(30)를 형성하거나, 타격되는 면의 면적을 작게 형성한 타격부재(30)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타격부재(30)를 제조할 때, 삽입홈(35)의 중앙으로부터 가상의 타격면 간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경우에, 도 1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습 타격면(34)에 타격부재(30)의 곡률보다 작은 곡률의 구면 타격부(34-2)를 돌출 형성하되, 구면 타격부(34-2)의 타격영역 쪽에 보조 타격면(34-5)을 형성하고, 이때, 구면 타격부(34-2)의 곡률을 크게 하거나 작게 하는 것에 따라 보조 타격면(34-5)의 면적을 크게 하거나 작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삽입홈(35)의 중앙으로부터 가상의 타격면 간의 거리는 변하지 않으면서 보조 타격면(34-5)의 면적은 서로 다른 타격부재(30)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도 19에 도시된 구조와 같다.
그리고, 타격부재(30)의 상면에는 타격부재(30)의 가치를 높이고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파이어, 큐빅과 같은 보석, 준보석으로 이루어진 장식부재(J)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 장식부재(J)는 타격부재(30)에 형성된 나사공에 체결되는 나사부를 구비하여 체결구조에 의해 타격부재(30)에 결합될 수 있고, 별도의 결합구조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가변형 골프 퍼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가변형 골프 퍼터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며,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가변형 골프 퍼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골프 퍼터는, 아래와 같이 구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다.
즉, 가변형 골프 퍼터는, 샤프트(10)의 하단부(12)에 결합되는 퍼터 헤드(200)를 포함하고, 퍼터 헤드(200)는, 골프공 형상을 갖는 구형으로 이루어지고 샤프트(10)의 하단부가 결합되는 제1 타격부재(300A)와, 골프공 형상을 갖는 구형으로 이루어지고 제1 타격부재(300A)와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제1 타격부재(300A)의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 타격부재(300B)와, 골프공 형상을 갖는 구형으로 이루어지고 제1 타격부재(300A) 및 제2 타격부재(300B)와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제2 타격부재(300B)의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제3 타격부재(300C)와, 제1 타격부재(300A)와 제2 타격부재(300B) 및 제3 타격부재(300C)를 관통한 일단에 너트가 체결되고 타단에 샤프트(10)가 체결되어 제1 타격부(300A)재와 제2 타격부재(300B) 및 제3 타격부재(300C)를 일체화시키기 위한 결합로드(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제1 타격부재(300A)와 제2 타격부재(300B) 및 제3 타격부재(300C)에는, 골프공과 같은 곡률로 이루어진 구면 타격면(320) 및 평면으로 이루어진 평면 타격면(340)이 각각 형성되고, 평면 타격면(340)은 크기가 서로 다르게 각각 형성된다. 즉, 각 타격부재(300A,300B,300C)의 외주면을 4등분하여 한 면은 구면 타격면(320)을 형성하고, 다른 각 면은 크기가 서로 다른 평면 타격면(340)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나의 타격부재에 서로 다른 다수개의 타격면이 형성되는 것은 사용자가 다양한 크기나 형상(구면 또는 평면)를 갖는 타격면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제1 타격부재(300A)와 제2 타격부재(300B) 및 제3 타격부재(300C)는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고, 구면 타격면(320) 및 평면 타격면(340)에는, 제1 타격부재(300A)와 제2 타격부재(300B) 및 제3 타격부재(300C)와 다른 재질의 타격재(390)가 일체화되도록 구비되되, 타격재(390)는, 구면 타격면(320) 및 평면 타격면(340)에 형성되는 타격재용 홈(310)에 채워지거나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상기 타격부재와 일체화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1 타격부재(300A)와 제3 타격부재(300C)와 마주보는 제2 타격부재(300B)의 양 측면 및 제1 타격부재(300A)와 제3 타격부재(300C)에는, 제2 타격부재(300B)와 제3 타격부재(300C)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각각의 구면 타격면(320) 및 평면 타격면(340)을 선택하거나, 오른손 잡이와 왼손 잡이에 따라 타격면(320,340)을 가변시키기 위한 위치변경수단(500)이 마련된다.
위치변경수단(500)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3 - 8각형의 연결 결합부재(510)과, 연결 결합부재(510)가 끼움 결합되도록 제1 타격부재(300A)와 제2 타격부재(300B) 및 제3 타격부재(300C)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3 - 8각형의 위치결정홈(520)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다각형의 연결 결합부재(510)과 다각형의 위치결정홈(520)은 본 실시예에서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며, 연결 결합부재(510)의 수는 최소 2개이다. 이는 가운데 위치하는 타격부재의 양쪽에 다른 타격부재들이 각각 연결되어 결합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제1 타격부재(300A), 제2 타격부재(300B) 및 제3 타격부재(300C)는 골프공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금속재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각각의 연결 결합부재(510)은 결합로드(400)가 관통되기 위한 통과공이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5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골프 퍼터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타격부재(300A)에 샤프트(10)가 결합되고, 제1 타격부재(300A)의 일측면에 제2 타격부재(300B)가 위치하고, 제2 타격부재(300B) 일측에 제3 타격부재(300C)가 위치한 상태에서, 하나의 연결 결합부재(510A) 일단을 제1 타격부재(300A)의 위치결정홈(520)에 끼움 결합하고, 타단을 제2 타격부재(300B)의 일면에 형성된 위치결정홈(520)에 끼움 결합한다. 그리고 다른 연결 결합부재(510B)의 일단을 제2 타격부재(300B)의 타면에 형성된 위치결정홈(520)에 끼움 결합하고, 타단을 제3 타격부재(300C)의 일면에 형성된 위치결정홈(520)에 끼움 결합한다.
이어서, 결합로드(400)를 제1 타격부재(300A), 첫번째 연결 결합부재(510A), 제2 타격부재(300B), 두번째 연결 결합부재(510B), 제3 타격부재(300C)에 관통시킨다. 그리고, 제3 타격부재(300C)의 타면 쪽 위치결정홈(520)과, 제1 타격부재(300A)의 타측면 쪽 위치결정홈(520)에 노출된 결합로드(400)에 너트를 체결하여 제1,2,3 타격부재(300A,30B,300C)를 일체화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1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손 잡이의 사용자는 제1,2,3 타격부재(300A,30B,300C)로 이루어진 퍼터 헤드(200)를 갖는 퍼터로 퍼팅 연습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골프공을 타격하는 타격면은 가운데 위치하는 타격부재의 구면 타격면(320) 또는 평면 타격면(340)이 된다.
한편, 사용자가 타격면(320,340)들 중에서 구면 타격면(320)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제1,2,3 타격부재(300A,30B,300C)를 일체화시킨 결합로드(40)의 너트를 풀어 가운데 위치한 제2 타격부재(300B)에서 각각의 연결 결합부재(510A,510B)를 빼낸 후 제2 타격부재(300B)의 위치를 회전시켜 원하는 구면 타격면(320)이 타격방향에 위치하도록 한 후 전술한 과정으로 결합로드(40)의 양단에 너트를 체결하여 제1,2,3 타격부재(300A,30B,300C)를 다시 일체화 시킨다.
그리고, 사용자가 왼손잡이인 경우에 사용자는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격 방향을 바꾸어 타격하면 된다. 즉, 각각의 타격부재(300B,320C)에 여러 면에 구면 또는 평면의 타격면(320,34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왼손잡이 사용자는 클럽을 취부한 후 타격방향만 달리하여 타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골프 퍼터는 각 타격부재(300B,300C)를 선택하여 타격면을 선택할 수 있음으로써 다양한 타격면(320,340)을 이용하여 퍼팅 연습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특히 타격방향이 한 곳으로 고정되지 않도록 양쪽 방향에 타격면(3220,340)이 형성됨으로써 오른손잡이는 물론 왼손잡이의 사용자도 용이하게 퍼팅 연습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구면 타격면(320)과 평면 타격면(340)에 각 타격부재(300B,300C)와는 다른 재질의 타격재(390)가 구비됨으로써, 타격 연습시 사용자에게 다양한 타격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골프 퍼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가변형 골프 퍼터를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골프 퍼터는, 샤프트(10)의 하단부(12)와 결합되기 위한 샤프트 결합공(21)과 헤드 타격면(24)을 갖는 퍼터 헤드(20)와, 퍼터 헤드(2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타격부재(30)를 포함한다.
퍼터 헤드(20)에는, 체결볼트(40)가 저면에서 상향으로 관통되기 위한 관통공(22)이 단이지게 형성된다. 전술한 관통공(22)과 대응되는 헤드 타격면(24)의 중앙영역에는 퍼터 헤드(20)의 상면(23) 일부를 타격방향 쪽으로 개방하기 위한 절개부(26)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 17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퍼터 헤드(20)의 헤드 타격면 반대 쪽에는 절개공(29)이 형성되고, 이 절개공(29)과 절개부(26) 사이의 관통공(22) 주변 영역에는 타격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결합부(23A)가 형성된다. 이 결합부(23A)는 측단면(도 17의 A 방향)이 사각형을 이룬다.
퍼터 헤드(20)의 샤프트 결합공(21)은, 오른손잡이 또는 왼손잡이가 선택하여 샤프트(10)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퍼터 헤드(20)의 양쪽에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샤프트(10)의 하단부(12)와 결합공(21)은 다각형으로 형성되거나 스플라인 결합이 되도록 형성됨으로써, 퍼터 헤드(20)와 샤프트(10)의 결합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타격부재(30)는, 양쪽 외측면 또는 한쪽 외측면에 타격면(34)이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한 쪽에는 타격면(34)이 형성되고 반대쪽에는 보조 타격면(34-5)이 형성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저면에는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23A)를 감싸면서 끼움 결합되기 위한 결합홈(H)이 하향 및 타격방향과 직교되는 양쪽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결합홈(H)의 저면에는 체결볼트(40)가 체결되기 위한 나사 체결홈(H1)이 형성된다.
타격부재(30)에는, 타격면(34) 전체 또는 타격면(34) 중에서 정타점(P)에 해당하는 영역의 면으로 골프공을 타격했을 때 타격음이 발생하도록 타격음 발생홈(34-4)이 형성된다. 이 타격음 발생홈(34-4)은,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격면(34)에 해당하는 영역 또는 타격면(34)의 정타점(P)에 해당하는 영역에서 타격부재(30)의 저면 방향, 측면방향, 상면방향 또는 결합홈(35) 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타격부재(30) 저면 방향으로 개구된다.
이와 같이 타격부재(30)에 타격음 발생홈(34-4)을 형성하는 것은 골프공을 정타점(P)으로 정확하게 타격했을 때에는 경쾌한 타격음이 발생되고, 정타점(P)이 아닌 영역으로 타격을 했을 때에는 둔탁한 타격음이 발생되도록 하여 정확한 타격이 이루어졌는지를 소리로서 판단하고 인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타격음 발생홈(34-4)에는, 타격부재(30)와는 다른 재질의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타격재가 충진되거나, 끼움 결합되거나,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타격부재(30)와 일체화될 수 있다. 이러한 타격재를 일체화시키는 것은 다양한 타격감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 13의 (c), 도 17,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격부재(30)에는 타격음 발생홈(34-4)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즉, 타격음 발생홈(34-4)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타격부재(30)는, 구형, 반구형, 사각형 또는 사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과 구형이 결합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타격부재(30)와 퍼터 헤드(20)는 다음과 같은 구조로 서로 결합된다. 즉 타격면(34) 또는 보조 타격면(34-6)이 절개부(26)를 통하여 헤드 타격면(24)보다 더 돌출되거나 헤드 타격면(24)과 일치되도록 결합홈(H)에 결합부(23A)가 삽입되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체결볼트(40)가 관통공(22)을 통하여 나사 체결홈(H1)에 체결됨으로써, 타격부재(30)가 퍼터 헤드(20)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타격부재(30)의 일부는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공(29)에 위치한 상태가 된다. 즉, 퍼터 헤드(20)의 절개부(26)와 절개공(29) 사이에 결합부(23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결합홈(H)에 결합부(23A)가 삽입되도록 타격부재(30)를 하향으로 이동시키면, 결합홈(H)이 결합부(23A)를 감싸면서 가 결합되면서, 타격방향 쪽의 타격부재(30) 일부는 절개부(26) 쪽에 위치하게 되고 반대쪽의 타격부재(30) 일부는 절개공(29)에 삽입되어 위치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타격부재(30)는 결합홈(H)이 결합부(23A)를 감싸면서 결합되므로 퍼터 헤드(20)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격부재(30)는,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격부재(30)의 외주면에는 타격방향을 표시하기 위한 표식(C)이 다수개의 홈 또는 라인으로 이루어져 형성된다. 사용자는 이 표식(C)을 통하여 퍼팅방향을 인지하여 퍼팅에 적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표식(C)은 일렬로 형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격부재(30)는,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면에 보석 또는 준 보석으로 이루어진 장식을 위한 장식부재(J1)가 구비된다. 이러한 장식부재(J1)는 일부가 타격부재(30)의 상면 중앙에 형성되는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거나, 장식부재(J1)에 구비된 숫나사로 된 체결부가 타격부재(30)의 상면에 형성된 나사공에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장식부재(J1)의 교체 또는 교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장식부재(J1)는 홈 형상으로 된 표식(C)에 결합될 수도 있고, 표식(C)과는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타격부재(30)가 구형, 반구형 또는 다각형과 구형이 결합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전체 크기(지름)가 설정되며 타격을 위한 타격위치(P2)가 구형의 몸체 외주연에 형성되고 타격부재(30)의 중심(P1)과 타격위치(P2) 간의 거리(L)가 미리 설정된 경우에,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격되는 면의 면적을 크게 형성하거나 작게 형성할 수 있도록, 외주연에 형성되는 타격면(34)에는 반구형의 보조구(34-6)를 돌출 형성하고, 보조구(34-6)에 보조 타격면(34-5)을 형성한다.
즉,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격부재(30)의 중심(P1)과 타격위치(P2) 간의 거리(L)가 미리 설정되고 타격부재(30)의 크기가 미리 정해진 경우에는 구형의 몸체 외주연에 형성되는 타격면(34)의 면적을 크게 하거나 작게 형성할 수 없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 구형의 몸체 외주연에 형성되는 타격면(34)에 반구형의 보조구(34-6)를 돌출 형성한다. 그리고 타격위치(P2)에 해당하는 보조구(34-6)의 외주연에 보조 타격면(34-5)을 평편하게 형성하는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보조 타격면(34-5)의 면적이 큰 타격부재(30)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보조구(34-6)의 크기를 크게 하여 보조구(34-6)의 정점영역(타격되는 위치)에 보조 타격면(34-5)을 면적이 크도록 형성하고, 보조 타격면(34-5)의 면적이 작은 타격부재(30)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보조구(34-6)의 크기를 작게 한 후 보조구(34-6)의 정점영역(타격되는 위치)에 보조 타격면(34-5)을 면적이 작도록 형성한다. 이러한 과정으로 보조 타격면(34-5)의 크기(면적)가 서로 다른 타격부재(30)들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즉, 타격을 위한 타격위치(P2)와 타격부재(30)의 중심(P1) 간의 거리(L)는 변화시키지 않고, 보조 타격면(34-5)의 면적을 크게 형성하여 보조 타격면(34-5)의 면적이 큰 타격부재(30)를 얻거나, 보조 타격면(34-5)의 면적을 작게 형성하여 보조 타격면(34-5)의 면적이 작은 타격부재(30)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크기의 보조 타격면(34-5)을 갖는 타격부재(30)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샤프트 20,200 : 퍼터 헤드
21 : 결합부 22 : 관통공
23 : 상면 23A : 가장자리
24 : 퍼터 헤드의 타격면 25 : 안착홈
26 : 절개부 27 : 결합돌기
30 : 타격부재 31 : 타격재용 홈
32 : 안착면 32A : 지지면
32B : 나사 체결홈 32C : 결합홈
32C-1 : 결합면 33 : 결합부
34,340 : 타격면 34-1 : 연습 타격면
34A,34-2,320 : 구면 타격면 34B,340 : 평면 타격면
35 : 삽입홈
37 : 두께 조절홈 39 : 타격재
40 : 체결볼트 210 : 결합단
300A : 제1 타격부재 300B : 제2 타격부재
320C : 제3 타격부재 400 : 결합로드
500 : 위치변경수단 510,510A,510B : 연결 결합부재
520 : 위치결정홈

Claims (2)

  1. 샤프트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헤드 타격면을 갖는 퍼터 헤드와, 상기 퍼터 헤드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타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퍼터 헤드에는, 체결볼트가 저면에서 상향으로 관통되기 위한 관통공이 단이지게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과 대응되는 상기 헤드 타격면에는 상기 퍼터 헤드의 상면 일부를 타격방향 쪽으로 개방하기 위한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타격부재는, 골프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에 타격면이 형성되고, 상기 상면에 안착되도록 상기 상면의 가장자리에 지지되는 안착면과 지지면이 저면에 단이지게 형성되며, 상기 안착면에는 상기 체결볼트가 체결되어 결합되기 위한 나사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타격면 일부가 상기 절개부를 통하여 상기 헤드 타격면보다 더 돌출되도록 상기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볼트에 의해 상기 퍼터 헤드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타격부재의 타격면은, 골프공과 같은 곡률로 이루어진 구면 타격면 또는 평면으로 이루어진 평면 타격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평면 타격면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상기 타격부재는 상기 평면 타격면의 면적 크기별로 다수개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퍼터 헤드에 결합되고,
    상기 구면 타격면 또는 평면 타격면에는, 상기 타격부재와 다른 재질의 타격재가 일체화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타격재는, 상기 구면 타격면 또는 평면 타격면에 형성되는 타격재용 홈에 채워지거나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상기 타격부재와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골프 퍼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하단부는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퍼터 헤드에는 상기 샤프트의 하단부가 결합되기 위한 다각형의 결합부가 왼손잡이 또는 오른손잡이가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양쪽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다각형의 결합부는 상호 결합되는 각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샤프트의 하단부가 상기 결합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퍼터 헤드의 저면으로부터 체결되는 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골프 퍼터.





KR1020190031169A 2019-03-19 2019-03-19 가변형 골프 퍼터 KR102040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169A KR102040830B1 (ko) 2019-03-19 2019-03-19 가변형 골프 퍼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169A KR102040830B1 (ko) 2019-03-19 2019-03-19 가변형 골프 퍼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137A Division KR102039548B1 (ko) 2017-11-08 2017-11-08 가변형 골프 퍼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655A KR20190052655A (ko) 2019-05-16
KR102040830B1 true KR102040830B1 (ko) 2019-11-05

Family

ID=66672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1169A KR102040830B1 (ko) 2019-03-19 2019-03-19 가변형 골프 퍼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0830B1 (ko)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20163A (en) 1919-10-28 Oole-cltjb attachment
US4884808A (en) 1988-03-24 1989-12-05 Retzer Jerome E Golf club with head having exchangeable face plates
JP3172497B2 (ja) * 1998-09-29 2001-06-04 株式会社東芝 永久磁石式リラクタンス型回転電機
KR200253958Y1 (ko) 2001-08-10 2001-11-23 공승욱 퍼팅용 부착물
KR200263698Y1 (ko) 2001-10-17 2002-02-08 주식회사 테크네트 연습용 골프채
KR200429945Y1 (ko) 2006-08-23 2006-10-30 (주)창해엔지니어링 퍼터와 치퍼겸용 골프클럽
US7169058B1 (en) 2004-03-10 2007-01-30 Fagan Robert P Golf putter head having multiple striking surfaces
KR100860488B1 (ko) 2007-02-01 2008-09-29 궁지성 골프 퍼터
KR100865717B1 (ko) 2008-06-28 2008-10-28 홍재형 골프채에 구비되어지는 거리측정용 끼움부재
KR100921857B1 (ko) 2008-06-26 2009-10-13 윤대병 사면을 이용한 골프퍼터
KR101080091B1 (ko) 2011-05-27 2011-11-04 강문구 퍼터
JP2013521861A (ja) 2010-03-11 2013-06-13 ナイキ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クラブヘッドの音を選択的に制御する構造を含むゴルフクラブおよびゴルフクラブヘッド
KR101828465B1 (ko) * 2016-07-27 2018-03-29 최용식 연습용 골프 퍼터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03913A1 (fr) * 1993-04-16 1994-10-21 Taylor Made Golf Co Tête de club de golf du type fer amortie.
JPH11137742A (ja) * 1997-11-07 1999-05-25 Yamaha Corp ゴルフ用クラブヘッドの製法
JPH11146934A (ja) * 1997-11-17 1999-06-02 Yamaha Corp ゴルフ用クラブヘッド
JPH11151330A (ja) * 1997-11-21 1999-06-08 Yamaha Corp ゴルフ用クラブヘッド
KR200350462Y1 (ko) 2004-02-03 2004-05-13 이성윤 골프연습용 퍼터
KR200395835Y1 (ko) 2005-06-14 2005-09-14 호 열 이 골프퍼터용 퍼팅연습구
KR20100004057U (ko) * 2008-10-09 2010-04-19 이기윤 골프 클럽용 퍼터헤드 및 이를 가지는 퍼터
KR20110087589A (ko) * 2010-01-26 2011-08-03 이철호 골프 퍼터
KR200463887Y1 (ko) * 2010-08-30 2012-12-03 진재삼 골프 퍼팅 연습용 기구
JP3172497U (ja) * 2011-10-07 2011-12-22 株式会社渡辺製作所 ゴルフクラブ、そのクラブフシャフト取付具及びそれ用カバー
KR101714416B1 (ko) * 2015-01-16 2017-03-09 손광영 반원주형 모양의 곡선 볼록 조립식 타격면 퍼터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20163A (en) 1919-10-28 Oole-cltjb attachment
US4884808A (en) 1988-03-24 1989-12-05 Retzer Jerome E Golf club with head having exchangeable face plates
JP3172497B2 (ja) * 1998-09-29 2001-06-04 株式会社東芝 永久磁石式リラクタンス型回転電機
KR200253958Y1 (ko) 2001-08-10 2001-11-23 공승욱 퍼팅용 부착물
KR200263698Y1 (ko) 2001-10-17 2002-02-08 주식회사 테크네트 연습용 골프채
US7169058B1 (en) 2004-03-10 2007-01-30 Fagan Robert P Golf putter head having multiple striking surfaces
KR200429945Y1 (ko) 2006-08-23 2006-10-30 (주)창해엔지니어링 퍼터와 치퍼겸용 골프클럽
KR100860488B1 (ko) 2007-02-01 2008-09-29 궁지성 골프 퍼터
KR100921857B1 (ko) 2008-06-26 2009-10-13 윤대병 사면을 이용한 골프퍼터
KR100865717B1 (ko) 2008-06-28 2008-10-28 홍재형 골프채에 구비되어지는 거리측정용 끼움부재
JP2013521861A (ja) 2010-03-11 2013-06-13 ナイキ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クラブヘッドの音を選択的に制御する構造を含むゴルフクラブおよびゴルフクラブヘッド
KR101080091B1 (ko) 2011-05-27 2011-11-04 강문구 퍼터
KR101828465B1 (ko) * 2016-07-27 2018-03-29 최용식 연습용 골프 퍼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655A (ko) 2019-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8465B1 (ko) 연습용 골프 퍼터
US7101288B2 (en) Golf club having an alignment device thereon
US6527649B1 (en) Adjustable golf putter
US8382604B2 (en) Modular hosel, weight-adjustable golf club head assembly
US9079077B2 (en) Adjustable putter head assembly
JP5345763B2 (ja) ゴルフパター
KR102039548B1 (ko) 가변형 골프 퍼터
JP2007313304A5 (ko)
US8905857B1 (en) Golf putter with adjustable head
KR102040830B1 (ko) 가변형 골프 퍼터
KR102040832B1 (ko) 가변형 골프 퍼터
KR102040833B1 (ko) 가변형 골프 퍼터
KR102040841B1 (ko) 가변형 골프 퍼터
KR102040835B1 (ko) 가변형 골프 퍼터
US8579716B1 (en) Golf putter with adjustable head
JP3009657B1 (ja) ゴルフクラブのパタ−ヘッド
US9283446B2 (en) Golf club
US7104898B1 (en) Golf putter training device and method
US20050096144A1 (en) Line-of-sight putters and methods
JP5937739B1 (ja) スイング練習用ゴルフクラブ
KR102583206B1 (ko) 스윙 웨이트 및 무게 밸런스 조절이 가능한 골프클럽
JP3223386U (ja) キャップを取り換えることができる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14217514A (ja) パターヘッド
US20240033584A1 (en) Adjustable and interchangeable modular hosel golf club assembly
JP3043328U (ja) ゴルフクラ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