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3764B1 - 죽여 추출물로 표면 처리된 금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죽여 추출물로 표면 처리된 금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3764B1
KR101843764B1 KR1020160142134A KR20160142134A KR101843764B1 KR 101843764 B1 KR101843764 B1 KR 101843764B1 KR 1020160142134 A KR1020160142134 A KR 1020160142134A KR 20160142134 A KR20160142134 A KR 20160142134A KR 101843764 B1 KR101843764 B1 KR 101843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d nanoparticles
extract
gold
cosmetic composition
tr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2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근태
박순영
채선영
박진오
이규진
홍석원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42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37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2Co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죽여 추출물로 표면 처리된 금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죽여 추출물로 표면 처리된 금 나노입자는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DPPH 라디칼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증가시키고 헴 옥시게나제-1의 발현을 증가시켜 항산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효과를 갖는 죽여 추출물로 표면 처리된 금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로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죽여 추출물로 표면 처리된 금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urface-modified gold nanoparticles by extract of Bambusae Caulis in Taeniam}
본 발명은 죽여 추출물로 표면 처리된 금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항산화 작용, 항염증 작용, 항암 작용, 진해 작용 등의 효능을 가진 것으로 알려진 대나무 속껍질, 즉 죽여를 이용하여 금 나노입자를 제조하고, 상기 금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금은 고대 오리엔트 문명으로부터 시작하여 지난 6천 년 동안 인류의 역사와 함께 해왔으며, 영원과 불변의 가치를 지니고 있어 여러 나라에서 중요한 자산 보전 수단이 되어 왔다. 금은 심미적인 의미 이외에도 화학적으로 안정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녹슬지 않으며, 인체에 해가 없고 면역력을 증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각종 액세서리와 술 등의 음료수에 첨가되는 등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금은 두뇌작용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항암, 관절염, 비만, 소화촉진, 피부미용 등 다방면에 걸쳐 효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미세 입자가 분산된 콜로이드의 경우, 감기, 결막염, 폐렴, 류마티스 관절염, 사마귀, 여드름, 기미, 주근깨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질환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피부에 바르는 금은 이온작용을 통해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며, 호르몬 분비를 촉진시켜 주름 생성을 방지하고 해독 및 정화작용으로 피부 트러블을 예방하며, 신경 안정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금은 숙취를 제거하며, 동맥경화 등 각종 성인병을 예방하는 효과와 항노화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피부 노화의 주요 원인으로는 햇빛과 활성산소를 들 수 있다. 활성산소는 체내에 들어온 이물질을 녹여 없애는 작용을 하는 물질로서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반면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과잉 생성되면 자체의 세포조직을 침범할 뿐만 아니라 체내의 불포화 지방산과 결합하여 과산화지질을 형성한다. 특히, 피부에서는 단백질, 지질 등과 결합하여 산화물을 만들어 노화를 촉진시키고, 멜라닌의 산화과정에 강력하게 작용하여 색소 침착을 일으킨다. 일반적으로 활성산소는 피부노화 뿐만 아니라, 암까지 유발하는 매우 위험한 물질로 이러한 활성 산소를 제거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생체적합성 및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는 금을 의약품이나 화장품 등에 적용하여 금의 특성을 발현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994-0019541호에는 자석을 도금하여 이를 화장료 조성물에 도입하는 방법이 소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32249호에서는 금 및/또는 은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화장료용 안료 조성물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현재까지 금 나노입자를 이용한 의약품이나 화장품 등이 개발되어 왔으나, 죽여 추출물로 표면 처리된 금 나노입자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은 아직까지 알려져 있지 않으며, 이에 관한 연구도 전무한 상태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732249호 (2007. 06. 19. 등록)
본 발명은 목적은 죽여 추출물로 표면 처리된 금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죽여 추출물로 표면 처리된 금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죽여 추출물로 표면 처리된 금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죽여 추출물로 표면 처리된 금 나노입자는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DPPH 라디칼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증가시키고, 헴 옥시게나제-1의 발현을 증가시켜 항산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효과를 갖는 죽여 추출물로 표면 처리된 금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죽여 추출물 또는 죽여 추출물로 표면 처리된 금 나노입자의 흡광도를 UV-vis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한 것이며, 도 1C 및 도 1D는 죽여 추출물로 표면 처리된 금 나노입자의 역학적 직경 및 제타 전위를 제타 전위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한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죽여 추출물로 표면 처리된 금 나노입자의 크기와 형태를 고분해능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분석한 것이며, 도 2E는 상기 금 나노입자의 결정성을 전자회절법을 이용하여 확인한 것이다.
도 3은 죽여 추출물로 표면 처리된 금 나노입자의 물질구조 및 입자의 결정구조를 X선 회절을 이용하여 분석한 것이다.
도 4는 금 이온의 환원과 금 나노입자 합성에서 안정화에 관여하는 생체 분자의 작용기를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학을 이용하여 식별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죽여 추출물로 표면 처리된 금 나노입자의 항산화 효과를 DPPH 라디칼 및 ABTS+ 라디칼 소거능 활성을 측정하여 분석한 것이다.
도 7은 죽여 추출물로 표면 처리된 금 나노입자의 세포 독성 및 세포 생존율을 MTT 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한 것이다.
도 8은 죽여 추출물로 표면 처리된 금 나노입자에 의한 헴 옥시게나제-1의 발현을 웨스턴 블랏을 이용하여 분석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증류수를 이용하여 열수 추출함으로써 죽여 추출물을 제조하였으며, 상기 죽여 추출물과 염화금산(HAuCl4) 용액을 반응시켜 죽여 추출물로 표면 처리된 금 나노입자를 제조하였고, 상기 금 나노입자는 농도 의존적으로 DPPH 라디칼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을 증가시키고 헴 옥시게나제-1의 발현을 증가시켜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며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죽여 추출물로 표면 처리된 금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죽여 추출물은 금 나노입자 사이사이에 삽입되거나 금 나노입자를 코팅하여 표면처리 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명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죽여 추출물은 죽여 분말을 80 내지 120℃의 온도에서 2시간 내지 4시간 동안 열수 추출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명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 나노입자는 상기 죽여 추출물과 금염을 2000:1 내지 500:1 부피비로 첨가하고 상온에서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명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염은 염화금(AuCl), 염화금(II)(AuCl3), 염화금산(HAuCl4), 염화금산칼륨(KAuCl4), 염화금산나트륨(NaAuCl4), 브롬화금(AuBr3), 브롬화금산(HAuBr4), 브롬화금산나트륨(NaAuBr4) 및 금아세틸아세토네이트(gold acetylaceton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명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 나노입자는 평균 직경이 50 내지 120 nm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 나노입자는 DPPH 라디칼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증가시키고, 헴 옥시게나제-1의 발현을 증가시켜 항산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유액, 스킨, 토너, 로션, 에센스, 선 스크린, 크림, 젤, 팩, 에센스, 립스틱,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연고, 패취, 에어로졸, 스프레이, 파우더, 샴푸, 린스, 바디클렌져, 메이크업 제거제 및 세정제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명시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인 경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외에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그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피부 흡수 촉진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유액, 스킨, 토너, 로션, 에센스, 선 스크린, 크림,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파우더, 립스틱, 팩, 젤, 샴푸, 린스, 스프레이, 연고, 패취, 에어로졸, 바디클렌져, 메이크업 제거제 및 세정제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명시한다.
상기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상기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 죽여 추출물 제조
본 발명에 사용된 죽여는 ㈜광명생약(Pusan, Korea)에서 구매하였다. 물 2 L에 죽여 분말 300 g을 넣고 3시간 동안 가열하여 500 mL의 죽여 추출물을 얻었다. 죽여 추출물은 동결 건조한 후 -75℃에 보관하였고, 실험에 사용하기 전, 3차 증류수에 2 mg/mL의 농도가 되도록 재용해 시킨 다음 0.2 μm 필터로 멸균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2 : 금 나노입자 제조
죽여 추출물 10 mL에 염화금산(HAuCl4, 1.0 M) 용액 10 μL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10분 동안 500 rpm으로 교반하였다. 용액의 색이 담청색에서 진홍색으로 변화하면 반응을 중지하고 5분 동안 안정화 시켰다.
실시예 3 : 금 나노입자의 특성 분석
금 나노입자의 합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UV-vis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 Ultrospec 6300 pro, Amersham Biosciences)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나노입자의 역학적 직경과 제타 전위는 제타 전위 측정기(Nano-ZS90, Malvern)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나노입자의 크기와 형태는 고분해능 투과전자현미경(high resolution-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HR-TEM, TALOS F200X, FEI)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물질구조와 입자의 결정구조에 대한 정성 및 정량 분석은 X선 회절(X-ray diffraction, XRD, Empyrean series2, Panalytical)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분자의 구조는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학(FTIR spectroscopy, Spectrum GX, Perkin Elmer)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1은 죽여 추출물을 이용하여 합성된 금 나노입자의 흡광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보면, 금 나노입자는 보통 530 내지 540 nm 파장에서 최대 흡광도를 나타내는데, 죽여 추출물을 이용하여 합성된 금 나노입자는 합성되기 전에 비해 합성된 후 540 nm에서 최대 흡광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고 색의 변화도 관찰되었다. 이를 통해 죽여 추출물을 이용한 금 나노입자의 합성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용액 상태에서 합성된 금 나노입자의 응집을 측정한 결과, 도 1C 및 도 1D를 참조하여 보면, 100 nm의 크기를 가지는 입자가 많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평균 크기는 약 67.17 ± 1.39 nm로 측정되었다. 응집된 금 나노입자의 응집 정도와 입자의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제타 전위를 측정한 결과, 19.8 ± 0.4 mV의 값을 얻었다.
도 2는 고분해능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금 나노입자의 크기와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여 보면, 입자들은 전체적으로 둥근 형태를 띠며 뭉쳐져 있지 않고 잘 분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얇은 유기층을 통해 죽여 추출물이 금 나노입자를 둘러싸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2E는 전자회절법(selected area electron diffraction, SAED)으로 입자의 결정구조를 분석한 것으로 입자가 결정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3은 X선 회절을 이용하여 본래의 (A)죽여 추출물과 (B)죽여 추출물을 이용하여 합성된 금 나노입자의 결정 구조를 분석한 것이다. 본래의 죽여 추출물과 달리 죽여 추출물을 이용하여 합성된 금 나노입자에서 4개의 피크가 관찰되었으며, 2θ = 38.2, 44.4, 64.6, 77.5일 때, (111), (200), (220), (311) 면을 가지는 본래의 금과 같은 면심입방구조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피크 중에서 (111) 면이 가장 높게 관찰되었으며 이를 통해 (111)이 주 방향임을 확인하였다.
도 4는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학을 이용하여 금 이온의 환원과 금 나노입자의 합성에서 안정화에 관여하는 생체 분자의 작용기를 식별한 것이다. 본래의 죽여 추출물에서는 3,411, 1,619, 1,118에서 흡수 밴드가 관찰되었다. 3,411 밴드는 O-H 결합을 나타내고, 1,619와 1,118은 1차 아미드와 아미드 결합에서 카르보닐기의 신축 진동을 나타낸다. 반면, 죽여 추출물을 이용하여 금 나노입자를 합성한 후에는 O-H 결합 피크가 3,409로 이동하고 1차 아미드와 카르보닐기의 신축 진동을 나타내던 피크가 각각 1,642와 1,118로 이동한 것을 확인하였다. 1,512와 1,331에서 나타난 약한 피크는 각각 메틸렌기의 가위질 진동과 3차 아미드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여진다.
실시예 4 : 죽여 추출물로 표면 처리된 금 나노입자의 라디칼 소거능 측정
DPPH는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기 위한 자유 라디칼이다.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은 항산화능을 측정하는데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보라색을 띠고 있는 DPPH 라디칼이 항산화제와 반응하여 탈색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메탄올과 증류수가 1:1 비율로 혼합된 용액에 DPPH를 첨가하여 0.1 mmol/L 농도의 DPPH 용액을 준비하였다. 24 웰 플레이트(24 well plate)에 DPPH 용액 500 μL와 시료 100 μL를 반응시킨 후, 형광분광분석기(Multilabel Counter, VICTOR 3, Perkin Elmer)를 이용하여 54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음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DPPH 라디칼 소거 정도를 백분율로 나타내었고, 코직산(kojic acid)을 양성 대조군으로 이용하여 함께 비교 분석하였다.
ABTS+ 라디칼 소거능 역시 항산화능을 측정하는데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원리는 DPPH 라디칼 소거능과 유사하다. ABTS 7.4 mM과 과황산칼륨(potassium persulfate) 2.6 mM을 암실에서 하루 동안 방치해 ABTS+을 형성시킨 후 734 nm에서의 흡광도 값이 1.4 내지 1.5가 되도록 증류수로 희석하였다. 희석한 용액 1 mL와 시료 50 μL를 30분 동안 반응시킨 후, UV-vis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734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음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ABTS+ 라디칼 소거 정도를 백분율로 나타내었고, 코직산을 양성 대조군으로 이용하여 함께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에서는 금 나노입자의 농도가 0.1, 0.2, 0.4 mg/mL로 증가할수록 항산화능 또한 각각 42.3, 52.3, 68.8%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찬가지로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에서도 금 나노입자의 농도가 0.1, 0.2, 0.4 mg/mL로 증가할수록 항산화능이 각각 48.6, 67.9, 82.7%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죽여 추출물을 이용하여 합성된 금 나노입자는 금 나노입자 농도에 의존적으로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 종래 구연산으로 합성된 금 나노입자와의 라디칼 소거능 비교 측정
금 나노입자 합성의 가장 기본적으로 제시되는 방법인 구연산(citric acid)을 이용하여 합성된 금 나노입자와 본 발명의 죽여 추출물을 이용하여 합성된 금 나노입자의 항산화능을 DPPH 라디칼과 ABTS+ 라디칼 소거능 실험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DPPH 라디칼과 ABTS+ 라디칼 소거능 두 실험에서 모두 구연산을 이용하여 합성된 금 나노입자의 항산화능은 구연산 농도에 영향을 받지 않은 반면 죽여 추출물을 이용하여 합성된 금 나노입자의 항산화능은 금 나노입자 농도에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구연산을 이용하여 합성된 금 나노입자의 항산화능은 죽여 추출물을 이용하여 합성된 금 나노입자의 항산화능에 비해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6 : 세포 독성 측정
1. 세포 배양
RAW 264.7 대식세포는 10%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과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100 U/mL)-streptomycin(100 μg/mL)이 포함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37℃,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2. MTT 분석
죽여 추출물을 이용하여 합성된 금 나노입자의 세포 독성을 확인하기 위해 MTT 분석을 이용하여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RAW 264.7 대식세포를 24 웰 플레이트에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시료를 농도 별로(0.1, 0.2, 0.4 mg/mL)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MTT 시약을 5 mg/mL 농도로 첨가하고 4시간 동안 37℃ 배양기에서 반응시켰다. 4시간 후에 상층액을 제거하고 각 웰에 200 μL의 디메틸 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DMSO)를 첨가한 후 형광분광분석기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금 나노입자의 농도를 0.1, 0.2, 0.4 mg/mL로 증가시켜 처리하여도 세포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범위 농도 내에서는 금 나노입자가 RAW 264.7 대식세포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고 세포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7 : 헴 옥시게나제 -1( heme oxygenase -1, HO- 1)의 발현 분석
헴 옥시게나제-1은 헴(heme)의 분해 대사과정에 관여하여 빌리베르딘(biliverdin), 자유 이온(free ion), 일산화탄소 등으로 분해시키는 속도 조절 효소로서 항산화 작용 뿐만 아니라 세포 내 지질 및 단백질들을 보호하고 다양한 스트레스성 자극으로부터 생체를 방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RAW 264.7 대식세포를 24 웰 플레이트에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시료를 농도 별로(0.1, 0.2, 0.4 mg/mL)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세포는 인산완충식염수(phosphate buffered saline, PBS)로 2회 세척하고 용해 버퍼(lysis buffer)를 첨가하여 4℃에서 반응시켜 단백질을 추출하였다. 단백질 정량 후, 각 조건마다 동량의 단백질 40 μL를 5LSB 10 μL와 함께 100℃에서 10분 동안 불활성화시킨 후, 7.5% SDS 폴리아크릴아마이드 겔(polyacrylamide gel)로 분리하여 웨스턴 블랏을 수행하였다. 전기영동으로 분리된 단백질은 트랜스퍼 버퍼(transfer buffer)를 이용하여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nitrocellulose membrane)으로 이동시켰다. 단백질이 이동된 멤브렌인은 3% 탈지유(skim milk)로 블로킹(blocking) 시킨 후, 1:1000의 비율로 희석된 항-헴 옥시게나제-1 항체로 1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PBST 버퍼로 10분 동안 3회 세척하였다. 그 후, HRP가 접합된 이차 항체를 1:2000의 비율로 희석하여 30분 동안 반응시키고 PBST 버퍼로 10분 동안 3회 세척하였다. 멤브레인에 ECL 검출 키트(WesternBright™, advansta)의 발색시약 Ⅰ과 Ⅱ를 1:1로 섞은 혼합액을 도포하고, X-선 필름(X-ray film; CP-G plus, Agfa Healthcare Ltd, New Orleans, LA, USA)에 노출하여 현상한 다음 필름 상에서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8을 참조하여 보면, 죽여 추출물을 이용하여 합성된 금 나노입자는 농도 의존적으로 헴 옥시게나제-1의 발현을 유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죽여 추출물을 이용하여 합성된 금 나노입자는 항산화 작용을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한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죽여 추출물로 표면 처리된 금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상기 죽여 추출물은 죽여 분말을 80 내지 120℃의 온도에서 2시간 내지 4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며,
    상기 금 나노입자는 죽여 추출물과 금염을 2000:1 내지 500:1 부피비로 첨가하고 상온에서 교반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염은 염화금(AuCl), 염화금(II)(AuCl3), 염화금산(HAuCl4), 염화금산칼륨(KAuCl4), 염화금산나트륨(NaAuCl4), 브롬화금(AuBr3), 브롬화금산(HAuBr4), 브롬화금산나트륨(NaAuBr4) 및 금아세틸아세토네이트(gold acetylaceton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 나노입자는 평균 직경이 50 내지 12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 나노입자는 DPPH 라디칼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증가시키고, 헴 옥시게나제-1의 발현을 증가시켜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유액, 스킨, 토너, 로션, 에센스, 선 스크린, 크림, 젤, 팩, 에센스, 립스틱,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연고, 패취, 에어로졸, 스프레이, 파우더, 샴푸, 린스, 바디클렌져, 메이크업 제거제 및 세정제로 제형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142134A 2016-10-28 2016-10-28 죽여 추출물로 표면 처리된 금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43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134A KR101843764B1 (ko) 2016-10-28 2016-10-28 죽여 추출물로 표면 처리된 금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134A KR101843764B1 (ko) 2016-10-28 2016-10-28 죽여 추출물로 표면 처리된 금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3764B1 true KR101843764B1 (ko) 2018-03-30

Family

ID=61899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2134A KR101843764B1 (ko) 2016-10-28 2016-10-28 죽여 추출물로 표면 처리된 금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37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09443A1 (fr) * 2019-07-16 2021-01-21 Torskal Nanoparticules d'or comprenant un extrait de plantes et leur utilisation cosmetiqu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09443A1 (fr) * 2019-07-16 2021-01-21 Torskal Nanoparticules d'or comprenant un extrait de plantes et leur utilisation cosmetique
FR3098713A1 (fr) * 2019-07-16 2021-01-22 Torskal Nanoparticules d’or comprenant un extrait de plantes et leur utilisation cosmetiqu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69596B (zh) 包含纳米铂胶体离子水的抗氧化用化妆料组合物
Bujak et al. Antioxidant and cytoprotective properties of plant extract from dry flowers as functional dyes for cosmetic products
KR100968391B1 (ko) 화장 및/또는 피부의약 조성물에서의 나방콩 식물 유래추출물의 용도
JP4723705B2 (ja) 酸化反応、または遊離基によって誘起される酸化反応を、化学的に減少させる方法
Rizzi et al. Snail slime-based gold nanoparticles: An interesting potential ingredient in cosmetics as an antioxidant, sunscreen, and tyrosinase inhibitor
KR101843764B1 (ko) 죽여 추출물로 표면 처리된 금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3142058A (ja) Aureobasidiumpullulans菌体抽出物を含む多機能化粧品原料
KR101475505B1 (ko) 톳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JPH09194385A (ja) 抗アレルギー剤及びこれを配合する皮膚外用剤あるいは 浴用剤
KR100758960B1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한 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Arya et al. Nanomaterials in the cosmetics industry: A greener approach
KR100905388B1 (ko) 엘라직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활성을 갖는 재배딸기류의 잎 추출물
KR20090109789A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산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US11154493B2 (en) Mitigating adverse effects of sunlight with ingredients obtained from living plants
JP2004026743A (ja) ポリリジン製剤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WO2014010657A1 (ja) ニクズク加工処理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4511323A (ja) カルニチンサリシレート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化粧料組成物
KR102048982B1 (ko) 이데베논 유도체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4502139A (zh) 富含2,5-二甲酰基呋喃的阿拉伯辣木种子提取物、其获得方法及其在化妆品组合物中的用途
KR102040230B1 (ko) 푸르푸로갈린을 포함하는, 활성산소종, 자외선 또는 미세먼지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2067B1 (ko) 내부에 아가위 열매 추출물이 포집된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또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91734B1 (ko) 도인피 추출물 및 분획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EP3248961B1 (en) Compound, salt of compound, external agent for skin, cosmetic, and food additive
KR100867202B1 (ko) 결명자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에모딘을 포함하는미백용 피부 외용 조성물
KR101534557B1 (ko) 마키아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