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3353B1 - 고기구이용 불판 - Google Patents
고기구이용 불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43353B1 KR101843353B1 KR1020160165696A KR20160165696A KR101843353B1 KR 101843353 B1 KR101843353 B1 KR 101843353B1 KR 1020160165696 A KR1020160165696 A KR 1020160165696A KR 20160165696 A KR20160165696 A KR 20160165696A KR 101843353 B1 KR101843353 B1 KR 1018433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ill
- width direction
- grill member
- longitudinal direction
- sl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고기구이용 불판은 폭 방향 양측으로 이격되고 서로 마주하는 홈이 형성되며 길이 방향 일측 또는 양측으로 개구된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 사이에서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석쇠부재로 이루어진 제1 석쇠와;
폭 방향 양측으로 이격된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 사이에서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는 제2 석쇠부재로 이루어진 제2 석쇠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석쇠는 상기 제1 석쇠의 안착부의 홈으로 길이 방향 일측에서 슬라이딩되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용 불판에 관한 것이다.
폭 방향 양측으로 이격된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 사이에서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는 제2 석쇠부재로 이루어진 제2 석쇠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석쇠는 상기 제1 석쇠의 안착부의 홈으로 길이 방향 일측에서 슬라이딩되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용 불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기구이용 불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석쇠를 2단으로 구비하여 석쇠가 골고루 가열되며, 기름이 화기로 직접 떨어지지 않아 연기의 발생이 감소되며, 분리 가능하여 세척이 용이한 고기구이용 불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기구이용 불판은 후라이팬 형태의 불판, 화공이 천공된 불판, 다수의 살이 격자형태로 제작된 석쇠 등이 있다.
예를 들어 불판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가 개구된 사각의 주변프레임(13)과, 상기 개구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며 양단이 상기 주변프레임(13)에 연결되는 다수의 제1 지지프레임(11) 및 다수의 제2 지지프레임(1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주변프레임(13)은 외곽부를 따라 형성된 펜스(13-2)와 펜스(13-2)의 내측으로 형성된 도랑형태의 집하부(13-4)를 포함하며,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름 등의 추출물이 제1, 제2 지지프레임(11,12)을 거쳐 유입되어 상기 집하부(13-4)에 모이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화공이 천공된 불판 또는 석쇠 형태의 고기구이용 불판은 열원의 불꽃이 불판에 설치되어 있는 화공 또는 격자 형태의 공간을 통하여 고기에 직접 가열해지는 열이 많기 때문에 고기가 타기 쉽고, 또한 고기로부터 배출되는 기름이 열원으로 떨어지면서 순간적인 불꽃이 발생하거나 연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화기가 직접 고기에 닿지 않도록 하여 고기가 타지 않으며, 기름이 열원에 직접 떨어지지 않아 연기의 발생을 줄이며, 세척이 용이한 고기구이용 불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기구이용 불판은 폭 방향 양측으로 이격되고 서로 마주하는 홈이 형성되며 길이 방향 일측 또는 양측으로 개구된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 사이에서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석쇠부재로 이루어진 제1 석쇠와;
폭 방향 양측으로 이격된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 사이에서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는 제2 석쇠부재로 이루어진 제2 석쇠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석쇠는 상기 제1 석쇠의 안착부의 홈으로 길이 방향 일측에서 슬라이딩되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용 불판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제1 석쇠부재와 제2 석쇠부재는 서로 어긋난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이웃하는 제1 석쇠부재 사이에 형성된 제1 슬릿은 상기 제2 석쇠부재의 상부로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웃하는 제2 석쇠부재 사이에 형성된 제2 슬릿은 상기 제1 석쇠부재의 하부로 바로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1 석쇠부재와 제2 석쇠부재는 원호 형상이며, 폭 방향으로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1 슬릿의 폭 방향 중심은 상기 제2 석쇠부재의 폭 방향 중심과 일치되며;
상기 제2 슬릿의 폭 방향 중심은 상기 제1 석쇠부재의 폭 방향 중심과 일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1 석쇠부재의 하면에는 하향 돌출된 하나 이상의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는 상기 제1 석쇠부재의 폭 방향 일측 끝단과 제2 석쇠부재의 폭 방향 일측 끝단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기구이용 불판은 제1 석쇠의 제1 슬릿 사이를 통해 화기가 고기에 직접 닿지 않으며, 제1 석쇠부재로 열기가 고르게 전달되어 고기가 타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석쇠부재에 돌기가 형성되어 기름이 열원에 직접 떨어지지 않아 연기의 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제1 석쇠와 제2 석쇠가 분리 가능하여 세척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고기구이용 불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의 고기구이용 불판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기구이용 불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기구이용 불판의 제1 석쇠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기구이용 불판의 제2 석쇠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3의 A-A부의 단면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고기구이용 불판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기구이용 불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기구이용 불판의 제1 석쇠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기구이용 불판의 제2 석쇠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3의 A-A부의 단면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기구이용 불판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기구이용 불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기구이용 불판의 제1 석쇠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기구이용 불판의 제2 석쇠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3의 A-A부의 단면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에서 가로 방향을 "폭 방향"으로 하고, 세로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하며, 도 4에서 세로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기재한다. 또한, 도 3에서 2개의 안착부(113)가 마주하는 방향을 폭 방향 "내측"으로 하고, 그 반대 방향을 폭 방향"외측"으로 하여 기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기구이용 불판(100)은 제1 석쇠(110)와 제2 석쇠(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석쇠(130)는 상기 제1 석쇠(110)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제2 석쇠(130)는 상기 제1 석쇠(110) 내로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석쇠(110)는 사각형인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1 석쇠(110)는 안착부(113)와, 복수의 제1 석쇠부재(111)와, 제1 단부벽체(117)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착부(113)는 2개 구비되어 폭 방향으로 이격 구비된다. 상기 안착부(113)에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홈(113a)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113)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이웃하는 안착부(113)와 나란하게 구비된다.
상기 안착부(113)는 제1 연장부(1131)와 굴곡부(1133) 및 제2 연장부(1135)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연장부(1131)는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1 연장부(1131)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굴곡부(1133)는 상기 제1 연장부(1131)의 폭 방향 외측 단부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 연장부(1135)는 상기 굴곡부(1133)의 하부로부터 절곡되어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제2 연장부(1135)는 상기 굴곡부(1133)로부터 만곡 형성된다. 상기 제2 연장부(1135)의 폭 방향 내측 단부는 상향 절곡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연장부(1131)와 굴곡부(1133) 및 제2 연장부(1135)에 의해 폭 방향 내향 오목하게 홈(113a)이 형성된다. 상기 홈(113a)은 길이 방향 일측 또는 양측으로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홈(113a)은 상기 제2 석쇠(130)가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공간이 된다.
상기 제1 석쇠부재(111)는 상기 안착부(113) 사이에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제1 석쇠부재(111)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1 석쇠부재(111)는 상향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1 석쇠부재(111)는 길이 방향 일측 또는 양단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석쇠부재(111)의 단면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폭 방향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석쇠부재(111)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가열시 고르게 가열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1 석쇠부재(111)는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1 석쇠부재(111)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구비된다. 상기 제1 석쇠부재(111)가 폭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어 상기 이웃하는 제1 석쇠부재(111) 사이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슬릿(111-1)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단부벽체(117)는 폭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단부벽체(117)는 상기 제1 석쇠부재(111)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제1 단부벽체(117)에는 상기 제1 석쇠부재(111)의 단부가 위치되는 위치가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제1 석쇠부재(111)의 길이 방향 양단이 관통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고기구이용 불판(100) 설치시 일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기름 등이 불판(100)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가 된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석쇠(130)는 사각형인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2 석쇠(130)는 상기 제1 석쇠(110)의 안착부(113)에 형성된 홈(113a)에 길이 방향 일측에서 슬라이딩 삽입되어 상기 제1 석쇠부재(111)의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제2 석쇠(130)는 상기 제1 석쇠(1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분리 가능하여 세척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상기 제2 석쇠(130)는 삽입부(133)와, 복수의 제2 석쇠부재(131)와, 제2 단부벽체(135)로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부(133)는 2개 구비되어 폭 방향으로 이격 구비된다. 상기 삽입부(133)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133)는 이웃하는 삽입부(133)와 나란하게 구비된다. 상기 삽입부(133)의 폭 방향 외측 단부는 상향으로 만곡지게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133)의 폭 방향 외측 단부가 만곡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석쇠(110)로 삽입시 안착부(113)의 굴곡부(1133)와 삽입부(133) 사이에 슬라이딩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석쇠부재(131)는 상기 삽입부(133) 사이에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제2 석쇠부재(131)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2 석쇠부재(131)는 상향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2 석쇠부재(131)는 길이 방향으로 양단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 석쇠부재(131)의 단면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폭 방향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 석쇠부재(131)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가열시 고르게 가열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2 석쇠부재(131)는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2 석쇠부재(131)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구비된다. 상기 제2 석쇠부재(131)가 폭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어 상기 이웃하는 제2 석쇠부재(131) 사이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슬릿(131-1)이 형성된다.
상기 제2 단부벽체(135)는 폭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 단부벽체(135)는 상기 제2 석쇠부재(131)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제2 단부벽체(135)에는 상기 제2 석쇠부재(131)의 단부가 위치되는 위치가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제2 석쇠부재(131)의 길이 방향 양단이 관통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고기구이용 불판(100) 설치시 일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기름 등이 불판(100)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가 된다.
상기 제2 석쇠(130)에는 손잡이부(13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137)는 상기 제2 석쇠(130)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 또는 양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부(137)는 상기 제2 단부벽체(135)에 연결되어 고정 결합된다.
이하에서, 상기 제1 석쇠(110)의 제1 석쇠부재(111)와 제2 석쇠(130)의 제2 석쇠부재(131) 사이의 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석쇠부재(111)와 제2 석쇠부재(131)는 서로 어긋난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이웃하는 제1 석쇠부재(111) 사이에 형성된 제1 슬릿(111-1)은 상기 제2 석쇠부재(131)의 상부로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이웃하는 제2 석쇠부재(131) 사이에 형성된 제2 슬릿(131-1)은 상기 제1 석쇠부재(111)의 하부로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슬릿(111-1)의 폭 방향 중심은 상기 제2 석쇠부재(131)의 폭 방향 중심과 일치되며, 상기 제2 슬릿(131-1)의 폭 방향 중심은 상기 제1 석쇠부재(111)의 폭 방향 중심과 일치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 슬릿(131-1)의 폭(l)은 상기 제1 슬릿(111-1)의 폭(L)과 같거나 작게 형성된다. 상기 제2 슬릿(131-1)의 폭(l)이 상기 제1 슬릿(111-1)의 폭(L)보다 작게 형성된 경우, 상기 제2 석쇠(130)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이동(B)하는 화기가 상기 제1 석쇠부재(111)를 가열하여 열이 고르게 전달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1 석쇠부재(111)의 하면에는 하향 돌출된 돌기(111a)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111a)는 상기 제1 석쇠부재(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 형성된다. 상기 돌기(111a)는 상기 제1 석쇠부재(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111a)는 상기 제1 석쇠부재(111)의 폭 방향 일측 끝단과 제2 석쇠부재(131)의 폭 방향 일측 끝단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돌기(111a)의 단부는 상기 제2 석쇠부재(131)의 폭 방향 끝단보다 제2 석쇠부재(131)의 내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1 석쇠부재(111)에 돌기(111a)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석쇠부재(111)의 하면으로 기름이 흘러내릴 경우, 기름은 돌기(111a)에 의해 제2 석쇠부재(131) 내로 기름이 모이게 된다(도 6에 표시된 화살표 A방향).
상기 돌기(111a)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석쇠부재(111)의 하면으로 기름이 흘러내려도 기름이 열원에 직접 떨어지지 않아 기름이 타면서 연기가 발생하지 않으며, 불판 또한 타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기구비용 불판(100)의 변형으로, 상기 제1 석쇠(110)는 중앙에서 폭 방향 양단부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석쇠(110)가 중앙에서 폭 방향 양단부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면, 상기 제2 석쇠(130)도 중앙에서 폭 방향 양단부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1 석쇠(110) 및 제2 석쇠(130)가 폭 방향 양단부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조리시 화기의 전달이 폭 방향 양단부까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기구이용 불판(100)은 설치시, 길이 방향 일측으로 기울어지도록 설치된다. 상기 불판(100)을 기울어지게 설치함으로써 고기로부터 배출되는 기름 등이 상기 제1 석쇠부재(111) 및 제2 석쇠부재(131)를 따라 외부에서 수집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고기구이용 불판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고기구이용 불판
110 : 제1 석쇠 111 : 제1 석쇠부재
113 : 안착부 115 : 제1 단부벽체
130 : 제2 석쇠 131 : 제2 석쇠부재
133 : 삽입부 135 : 제2 단부벽체
137 : 손잡이부
110 : 제1 석쇠 111 : 제1 석쇠부재
113 : 안착부 115 : 제1 단부벽체
130 : 제2 석쇠 131 : 제2 석쇠부재
133 : 삽입부 135 : 제2 단부벽체
137 : 손잡이부
Claims (5)
- 폭 방향 양측으로 이격되고 서로 마주하는 홈(113a)이 형성되며 길이 방향 일측 또는 양측으로 개구된 안착부(113)와, 상기 안착부(113) 사이에서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석쇠부재(111)로 이루어진 제1 석쇠(110)와;
폭 방향 양측으로 이격된 삽입부(133)와, 상기 삽입부(133) 사이에서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는 제2 석쇠부재(131)로 이루어진 제2 석쇠(1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착부(113)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의 제1 연장부(1131)와, 상기 제1 연장부(1131)의 폭 방향 외측 단부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형성된 굴곡부(1133)와, 상기 굴곡부(1133)의 하부로부터 절곡되어 만곡 형성되며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 제2 연장부(1135)로 이루어지며, 상기 홈(113a)은 제1 연장부(1131)와 굴곡부(1133) 및 제2 연장부(1135)에 의해 폭 방향 내향 오목하게 형성되고 길이 방향 일측 또는 양측으로 개구되어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133)는 폭 방향 외측 단부가 상향으로 만곡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2 석쇠(130)가 제1 석쇠(110)의 홈(113a)에 삽입시 상기 삽입부(133)가 안착부(113)의 굴곡부(1133)로 슬라이딩 삽입되며;
상기 제1 석쇠부재(111)와 제2 석쇠부재(131)는 서로 어긋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이웃하는 제1 석쇠부재(111) 사이에 형성된 제1 슬릿(111-1)은 상기 제2 석쇠부재(131)의 상부로 위치하며, 상기 이웃하는 제2 석쇠부재(131) 사이에 형성된 제2 슬릿(131-1)은 상기 제1 석쇠부재(111)의 하부로 위치하며;
상기 제1 석쇠부재(111)와 제2 석쇠부재(131)의 단면은 상향 오목한 원호 형상으로 폭 방향으로 대칭이며, 상기 제1 슬릿(111-1)의 폭 방향 중심은 상기 제2 석쇠부재(131)의 폭 방향 중심과 일치되고, 상기 제2 슬릿(131-1)의 폭 방향 중심은 상기 제1 석쇠부재(111)의 폭 방향 중심과 일치되며,
상기 제2 석쇠부재(131) 사이에 형성된 제2 슬릿(131-1)의 폭(l)은 상기 제1 석쇠부재(111) 사이에 형성된 제1 슬릿(111-1)의 폭(L)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용 불판.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석쇠부재(111)의 하면에는 하향 돌출된 하나 이상의 돌기(111a)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111a)는 상기 제1 석쇠부재(111)의 폭 방향 일측 끝단과 제2 석쇠부재(131)의 폭 방향 일측 끝단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용 불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5696A KR101843353B1 (ko) | 2016-12-07 | 2016-12-07 | 고기구이용 불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5696A KR101843353B1 (ko) | 2016-12-07 | 2016-12-07 | 고기구이용 불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43353B1 true KR101843353B1 (ko) | 2018-03-30 |
Family
ID=61900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65696A KR101843353B1 (ko) | 2016-12-07 | 2016-12-07 | 고기구이용 불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43353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66157B1 (ko) | 2008-03-13 | 2008-10-30 | (주)창해엔지니어링 | 직화식 구이판 |
KR200475939Y1 (ko) * | 2014-11-26 | 2015-01-15 | 이영구 | 직화구이용 석쇠 |
KR200477707Y1 (ko) * | 2014-11-27 | 2015-07-10 | 김현철 | 구이용 불판 |
-
2016
- 2016-12-07 KR KR1020160165696A patent/KR10184335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66157B1 (ko) | 2008-03-13 | 2008-10-30 | (주)창해엔지니어링 | 직화식 구이판 |
KR200475939Y1 (ko) * | 2014-11-26 | 2015-01-15 | 이영구 | 직화구이용 석쇠 |
KR200477707Y1 (ko) * | 2014-11-27 | 2015-07-10 | 김현철 | 구이용 불판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18931B1 (ko) | 고기불판 | |
KR101843353B1 (ko) | 고기구이용 불판 | |
KR200475939Y1 (ko) | 직화구이용 석쇠 | |
US20170202394A1 (en) | Barbecue Grill Cooking System | |
WO2016060341A1 (ko) | 열기 및 스팀 혼합 가열식 구이용 불판 | |
KR20110027007A (ko) | 고기구이 불판 | |
KR20140139860A (ko) | 기름이 분리 배출되는 이중팬 | |
KR102059184B1 (ko) | 직화구이용 불판 | |
KR200414172Y1 (ko) | 구이판 | |
KR101632833B1 (ko) | 숯불구이용 직화 차단판 | |
KR20010025415A (ko) | 매연 발생이 없는 석쇠판 | |
KR200238657Y1 (ko) | 구이판 | |
KR101423541B1 (ko) | 양면형 직화구이 불판 | |
KR19990007621A (ko) | 이물질 받이를 구비한 숯불 구이판 | |
KR101819384B1 (ko) | 석쇠받침 보조불판 | |
CN211242968U (zh) | 防油火的烧烤炉散热板 | |
KR101664976B1 (ko) | 숯불 구이기 | |
KR200473640Y1 (ko) | 그릴 | |
KR20190094815A (ko) | 가스 그릴용 파이프 버너 | |
KR102166155B1 (ko) | 이중 기름 유출방지 불판 | |
KR200468581Y1 (ko) | 돌구이판을 가지는 테이블 | |
KR200412758Y1 (ko) | 상판과 하판으로 이루어진 불판 | |
KR100815543B1 (ko) | 고기구이 불판 | |
KR100401250B1 (ko) | 복층구조 불판 | |
JP6927789B2 (ja) | グリル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