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3541B1 - 양면형 직화구이 불판 - Google Patents

양면형 직화구이 불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3541B1
KR101423541B1 KR1020130060039A KR20130060039A KR101423541B1 KR 101423541 B1 KR101423541 B1 KR 101423541B1 KR 1020130060039 A KR1020130060039 A KR 1020130060039A KR 20130060039 A KR20130060039 A KR 20130060039A KR 101423541 B1 KR101423541 B1 KR 101423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oil
fire
grill
fire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0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환
Original Assignee
김수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환 filed Critical 김수환
Priority to KR1020130060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35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3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3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면형 직화구이 불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형 직화구이 불판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열되며, 일면의 폭이 타면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복수의 상부 불판부(111)와, 상기 복수의 상부 불판부(111)를 연결하는 외곽부(113)를 포함하는 상판(110)과, 상기 상판(110)이 안착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상부 불판부(111)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배열되되, 상면이 상기 상부 불판부(111)의 상면과 같은 높이로 노출되는 복수의 하부 불판부(121)와, 상기 복수의 하부 불판부(121)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상부 불판부(111)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부에 열을 방출하는 화기공(123-1)이 형성되는 복수의 화기부(123)와, 상기 하부 불판부(121)와 상기 화기부(123)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불판부(111) 또는 상기 하부 불판부(121)를 통해 유출되는 기름을 수용하는 기름 수용부(125)를 포함하는 하판(120)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직화구이시 기름이 직접 불에 닿아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양면형 직화구이 불판{DOUBLE SIDED ROAST PLATE}
본 발명은 양면형 직화구이 불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면이 사용 가능한 직화구이 불판과 관련된 기술이 개시된다.
직화구이는 고기를 구울 때 고기를 직접 불에 접촉시켜 익히는 방법으로, 고기의 맛이 좋아 많은 사람들로부터 호응을 얻고 있다. 그러나, 고기를 직접 불로 익히는 경우 고기에 포함된 기름에 의해 고기가 타거나, 기름이 고여있는 불판이 타게 된다. 이 경우, 탄 고기를 섭취하면 암 발생률이 높아지고, 고기를 굽는 불판이 타는 경우에도 결국 고기가 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직화구이는 고기의 맛을 좋게 한다는 점에서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으나, 고기를 구울때 유출되는 기름이 불에 접촉함에 따라 불판이 쉽게 타버리기 때문에 불판을 자주 갈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불판이 개발되었다.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30140호(2012. 11. 29 공개)에는 상부, 하부 수로관을 이용하여 고기에서 떨어진 기름이 화로의 화염 속으로 유입되지 않게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수로관을 이용할 경우 불판으로의 열전달을 지연시켜 고기를 골고루 익히기 어려우며, 수로관 속에 흐르는 물이 일정 온도 이상 가열되면 고기가 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줄어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기가 일정 부분 익은 후에도 계속적인 열의 전달로 인해 고기가 금방 타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직화구이시 기름이 불에 타는 것을 방지하고, 불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양면형 직화구이 불판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형 직화구이 불판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열되며, 일면의 폭이 타면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복수의 상부 불판부(111)와, 상기 복수의 상부 불판부(111)를 연결하는 외곽부(113)를 포함하는 상판(110)과, 상기 상판(110)이 안착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상부 불판부(111)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배열되되, 상면이 상기 상부 불판부(111)의 상면과 같은 높이로 노출되는 복수의 하부 불판부(121)와, 상기 복수의 하부 불판부(121)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상부 불판부(111)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부에 열을 방출하는 화기공(123-1)이 형성되는 복수의 화기부(123)와, 상기 하부 불판부(121)와 상기 화기부(123)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불판부(111) 또는 상기 하부 불판부(121)를 통해 유출되는 기름을 수용하는 기름 수용부(125)를 포함하는 하판(12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부 불판부(111)는 측면이 내측으로 볼록한 형태의 곡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불판부(121)는 측면이 기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기름 수용부(125)는 바닥면이 상기 하부 불판부(121)의 상면 또는 상기 화기부(123)의 상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불판부(111)는, 상기 상판(110)이 상기 하판(120)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화기공(123-1)에 결합되도록 일면에 형성되는 돌출부(11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직화구이시 기름이 직접 불에 닿아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불판을 뒤집음에 따라 불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불판에 돌기를 형성하여 고기를 구울때 불판에 고기가 눌러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돌기가 화기공을 막아 불의 세기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형 직화구이 불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양면형 직화구이 불판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양면형 직화구이 불판의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따른 양면형 직화구이 불판 중 상판에 돌기가 형성된 경우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면형 직화구이 불판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형 직화구이 불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양면형 직화구이 불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형 직화구이 불판(100)은 상판(110) 및 하판(120)을 포함한다.
상판(110)은 삼각형, 사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의 불판으로 후술하는 하판(120)의 상부에 안착되어 사용되는 불판이다. 이 경우, 상판(110)은 상면과 하면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상판(110)을 뒤집어 사용할 수도 있다. 상판(110)의 재질은 철강, 스테인리스, 합금 등의 소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판(110)은 일측의 높이가 타측보다 높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고기를 구울 때 유출되는 기름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흐르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판(110)은 중앙의 높이가 양측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중앙에서 일측으로 기름이 흐르고, 중앙에서 타측으로 기름이 흐르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판(110)은 상부 불판부(111) 및 외곽부(113)를 포함한다.
상부 불판부(111)는 복수개로 형성되며,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열된다. 상부 불판부(111)는 상판(110)의 형태에 따라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원형, 타원형 또는 복수의 상부 불판부(111)가 격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불판부(111)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중심부에 원형의 상부 불판부(111)를 시작으로 그 주위를 이격되어 둘러싸는 원형 띠 형상의 복수의 상부 불판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불판부(111)는 일면의 폭이 타면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부 불판부(111)의 상면과 하면이 모두 불판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어느 하나의 면의 폭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불판부(111)의 상면 또는 하면은 그 단면이 밖으로 볼록한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고기에서 유출되는 기름이 가장자리로 흐르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부 불판부(111)는 사다리꼴 모양과 같이 그 측면이 기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불판부(111)는 측면이 내측으로 볼록한 형태의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불판을 통해 유출되는 기름이 곡면을 통해 후술하는 화기공(123-1)에 유입되지 않고 기름 수용부(125)에 수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부 불판부(111)는 돌출부(11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11-1)는 상부 불판부(111)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판(110)이 하판(120)에 안착되는 경우, 후술하는 화기공(123-1)에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즉, 돌출부(111-1)가 상판(110)의 상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직화구이가 가능하며, 고기가 눌러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11-1)가 상판(110)의 하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화기공(123-1)을 막아 열기가 직접 전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한편, 외곽부(113)는 복수의 상부 불판부(111)를 연결하는 프레임이다. 이 경우, 외곽부(113)는 복수의 상부 불판부(111)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복수의 상부 불판부(111)를 둘러싸면서 형성될 수 있다. 외곽부(113)는 상부 불판부(111)의 형태에 따라 삼각형, 사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 등의 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외곽부(113)는 상부 불판부(111)와 일체로 형성되며, 그 재질은 상부 불판부(111)와 동일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외곽부(113)는 양측에 복수의 상부 불판부(111)를 연결할 수 있다. 즉, 외곽부(113)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막대 형상인 경우, 일측에 복수의 상부 불판부(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 대응하여 복수의 상부 불판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곽부(113)의 높이가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된 복수의 상부 불판부(111)보다 높게 형성되어 양측으로 경사지게 할 수 있다.
한편, 상판(110)은 걸림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115)는 상판(1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어 후술하는 하판(120)의 수용홈(127)에 결합되는 걸림 부재이다. 걸림부(115)는 외곽부(113)의 영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판(120)의 수용홈(127)에 끼워져 상판(110) 및 하판(12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걸림부(115)의 돌출된 길이는 수용홈(127)의 깊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하판(120)은 삼각형, 사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의 불판으로 상부에 전술한 상판(110)이 안착되어 사용되는 불판이다. 이 경우, 하판(120)의 재질은 상판(110)과 동일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하판(120)은 상판(110)에 대응하여 일측의 높이가 타측보다 높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고기를 구울 때 유출되는 기름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흐르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하판(120)은 중앙의 높이가 양측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중앙에서 일측으로 기름이 흐르고, 중앙에서 타측으로 기름이 흐르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판(120)은 하부 불판부(121), 화기부(123) 및 기름 수용부(125)를 포함한다.
하부 불판부(121)는 상부 불판부(111)와 함께 불판으로 사용되는 부재로, 상판(110)이 하판(120)에 안착되는 경우 복수의 상부 불판부(111)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배열된다. 즉, 상판(110)과 하판(120)이 결합되는 경우, [상부 불판부(111)]-[하부 불판부(121)]-[상부 불판부(111)]와 같은 형태로 배열된다. 이 경우, 상부 불판부(111)와 하부 불판부(121)는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며, 이격된 공간을 통해 후술하는 화기부(123)에서 방출되는 열기가 전달된다.
또한, 하부 불판부(121)는 상면이 상부 불판부(111)의 상면과 같은 높이로 노출된다. 즉, 상판(110)이 하판(120)에 안착되는 경우 상부 불판부(111)와 하부 불판부(121)는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부 불판부(111)와 하부 불판부(121)에 고기가 고르게 놓여지게 되고, 상부 불판부(111)와 하부 불판부(121)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서 열기가 방출되어 고기를 직화로 구울 수 있다.
또한, 하부 불판부(121)의 상면은 그 단면이 밖으로 볼록한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고기에서 유출되는 기름이 가장자리로 흐르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하부 불판부(121)는 측면이 기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하부 불판부(121)를 통해 유출되는 기름을 후술하는 기름 수용부(125)로 흘러가게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화기부(123)는 복수의 하부 불판부(121) 사이에 형성되어 상부 불판부(111)의 하면 또는 상부 불판부(111) 및 하부 불판부(121)의 이격된 공간으로 열을 전달한다. 화기부(123)는 복수의 상부 불판부(111)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이 경우 상부 불판부(111)로부터 유출되는 기름이 닿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기부(123)의 상부에는 열을 방출하는 화기공(123-1)이 형성된다. 이 경우, 화기공(123-1)은 복수개의 천공된 형태로 형성되거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천공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화기공(123-1)은 하판(120) 아래에 놓이는 숯불 등의 화기에 의한 열을 방출하는 통로이다. 화기공(123-1)을 통해 방출된 열기는 상부 불판부(111)에 직접 전달되거나, 상부 불판부(111)와 하부 불판부(121)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방출된다.
또한, 화기부(123)는 상면이 하부 불판부(121)의 상면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판(110)이 하판(120) 위에 안착되면서, 상부 불판부(111)와 하부 불판부(121)의 평면 높이를 같게 하기 위해 화기부(123)의 높이를 낮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화기부(123)의 측면이 기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부 불판부(111) 또는 하부 불판부(121)를 통해 유출되는 기름을 후술하는 기름 수용부(125)로 흘러가게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화기공(123-1)에 기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기름 수용부(125)는 하부 불판부(121)와 화기부(123) 사이에 형성되어 상부 불판부(111) 또는 하부 불판부(121)를 통해 유출되는 기름을 수용한다. 따라서, 기름 수용부(125)는 일측에 하부 불판부(121)의 측면이 형성되고, 타측에 화기부(123)가 형성되어 기름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기름 수용부(125)는 바닥면이 하부 불판부(121)의 상면 또는 화기부(123)의 상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기름이 수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기름 수용부(125)는 일단이 또는 양단이 개방되어 수용된 기름을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다.
한편, 하판(120)은 수용홈(12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용홈(127)은 하판(120)의 상부에 형성되어 전술한 상판(110)의 걸림부(115)와 결합되어 고정하는 수용 부재이다. 수용홈(127)은 하판(120)의 둘레에 상판(110)의 걸림부(115)와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수용홈(127)의 깊이는 걸림부(115)의 돌출된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양면형 직화구이 불판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양면형 직화구이 불판 중 상판에 돌기가 형성된 경우의 단면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a)는 상부 불판부(111)의 폭이 좁은 면이 위로 향하고, 폭이 넓은 면이 아래로 향한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 화기부(123)의 화기공(123-1)을 통해 방출되는 열이 상부 불판부(111)와 하부 불판부(121) 사이로 방출된다. 또한, 상부 불판부(111) 또는 하부 불판부(121)를 통해 유출되는 기름은 상부 불판부(111)의 측면 또는 하부 불판부(121)의 측면을 따라 기름 수용부(125)에 모이게 된다.
한편, (b)는 상부 불판부(111)의 폭이 넓은 면이 위로 향하고, 폭이 좁은 면이 아래로 향한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 화기부(123)의 화기공(123-1)을 통해 방출되는 열이 상부 불판부(111)와 하부 불판부(121) 사이로 방출되나, (a)의 경우에 비해 상부 불판부(111)와 하부 불판부(121) 사이의 공간이 작아 열의 방출이 상대적으로 작아진다. 즉, 화기가 (a)에 비해 줄어들게 된다. 이에 따라, 고기를 구울 때 (a) 같은 상태로 굽다가 어느 정도 고기가 익으면, 상판을 뒤집어 (b)와 같은 상태로 구움으로써 고기가 쉽게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a)는 상부 불판부(111)에서 돌출부(111-1)가 형성되고 폭이 좁은 면이 위로 향하고, 폭이 넓은 면이 아래로 향한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 화기부(123)의 화기공(123-1)을 통해 방출되는 열이 상부 불판부(111)와 하부 불판부(121) 사이로 방출되며, 돌출부(111-1)에 의해 고기가 상부 불판부(111) 또는 하부 불판부(121)에 눌러 붙거나 쉽게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불판부(111) 또는 하부 불판부(121)를 통해 유출되는 기름은 상부 불판부(111)의 측면 또는 하부 불판부(121)의 측면을 따라 기름 수용부(125)에 모이게 된다.
한편, (b)는 상부 불판부(111)에서 폭이 넓은 면이 위로 향하고, 돌출부(111-1)가 형성된 폭이 좁은 면이 아래로 향한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 화기부(123)의 화기공(123-1)이 돌출부(111-1)에 의해 막혀 열이 직접적으로 방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직화구이 모드에서 일반 철판구이 모드로 전환이 가능하다. 즉, 화기가 (a)에 비해 많이 줄어들게 된다. 이에 따라, 고기를 구울 때 (a) 같은 상태로 굽다가 어느 정도 고기가 익으면, 상판을 뒤집어 (b)와 같은 상태로 구움으로써 고기가 쉽게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11-1)는 상부 불판부(111)에서 폭이 넓은 면에 형성하거나, 양면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면형 직화구이 불판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면형 직화구이 불판(500)은 상판(510), 하판(520), 하우징(530) 및 케이싱(5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판(510) 및 하판(520)은 도 1 내지 도 4의 양면형 직화구이 불판(100)의 상판(110) 및 하판(120)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양면형 직화구이 불판(500)은 화덕과 같은 형태로 구현한 것으로, 하우징(530) 내에 하판(520)이 위치하고, 하우징(530)의 상판 유입구(531)를 통해 상판(510)이 삽입되어 하판(520)에 안착된다. 이 경우, 상판(510)과 하판(520)은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 결합이 가능하며, 상판(510)의 일측에는 손잡이부(517)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판(510)에는 온도 센서(도시하지 않음)가 내장되어 표시창(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상판의 온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530)의 일측에는 숯불 유입구(533)가 형성되어 하우징(530) 내부로 숯불을 집어 넣을 수 있다.
한편, 하우징(530)의 상부에는 하우징(530)을 밀폐시키는 케이싱(540)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싱(540)은 하우징(530)과 밀착 결합함으로써 열의 외부 유출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케이싱(540)은 투명 강화 유리 성분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케이싱(540)은 세라믹 성분으로 구성되며, 일부분이 투명 강화 유리 성분으로 구성함으로써 외부에서 육안으로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면형 직화구이 불판은, 직화구이시 기름이 직접 불에 닿아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불판을 뒤집음에 따라 불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불판에 돌기를 형성하여 고기를 구울때 불판에 고기가 눌러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돌기가 화기공을 막아 불의 세기를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0 : 양면형 직화구이 불판
110 : 상판
111 : 상부 불판부
111-1 : 돌출부
113 : 외곽부
115 : 걸림부
120 : 하판
121 : 하부 불판부
123 : 화기부
123-1 : 화기공
125 : 기름 수용부
127 : 수용홈
500 : 양면형 직화구이 불판
510 : 상판
517 : 손잡이부
520 : 하판
530 : 하우징
531 : 상판 유입구
533 : 숯불 유입구
540 : 케이싱

Claims (3)

  1.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열되며, 일면의 폭이 타면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복수의 상부 불판부(111)와, 상기 복수의 상부 불판부(111)를 연결하는 외곽부(113)를 포함하는 상판(110); 및
    상기 상판(110)이 안착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상부 불판부(111)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배열되되, 상면이 상기 상부 불판부(111)의 상면과 같은 높이로 노출되는 복수의 하부 불판부(121)와, 상기 복수의 하부 불판부(121)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상부 불판부(111)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부에 열을 방출하는 화기공(123-1)이 형성되는 복수의 화기부(123)와, 상기 하부 불판부(121)와 상기 화기부(123)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불판부(111) 또는 상기 하부 불판부(121)를 통해 유출되는 기름을 수용하는 기름 수용부(125)를 포함하는 하판(120);
    을 포함하는 양면형 직화구이 불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불판부(111)는 측면이 내측으로 볼록한 형태의 곡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불판부(121)는 측면이 기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기름 수용부(125)는 바닥면이 상기 하부 불판부(121)의 상면 또는 상기 화기부(123)의 상면보다 낮게 형성되는 양면형 직화구이 불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불판부(111)는,
    상기 상판(110)이 상기 하판(120)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화기공(123-1)에 결합되도록 일면에 형성되는 돌출부(111-1)를 더 포함하는 양면형 직화구이 불판.
KR1020130060039A 2013-05-28 2013-05-28 양면형 직화구이 불판 KR101423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0039A KR101423541B1 (ko) 2013-05-28 2013-05-28 양면형 직화구이 불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0039A KR101423541B1 (ko) 2013-05-28 2013-05-28 양면형 직화구이 불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3541B1 true KR101423541B1 (ko) 2014-08-01

Family

ID=51748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0039A KR101423541B1 (ko) 2013-05-28 2013-05-28 양면형 직화구이 불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35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762B1 (ko) * 2018-06-22 2019-10-10 서재우 직화 구이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3527A (ko) * 2009-01-14 2010-07-22 김세웅 고기구이 불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3527A (ko) * 2009-01-14 2010-07-22 김세웅 고기구이 불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762B1 (ko) * 2018-06-22 2019-10-10 서재우 직화 구이 장치
WO2019245108A1 (ko) * 2018-06-22 2019-12-26 서재우 직화 구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4634B2 (en) Cooking apparatus with concave emitter
US20150260396A1 (en) Barbeque radiant burner
KR101546526B1 (ko) 이중구조를 갖는 조리기구
KR20190109058A (ko) 직화 구이용 조리기
KR200475939Y1 (ko) 직화구이용 석쇠
KR101423541B1 (ko) 양면형 직화구이 불판
KR101530589B1 (ko) 안전 전기로스터
EP2301397A1 (en) Flame tamers and arrangement thereof for barbeque grills
JP7265937B2 (ja) 加熱調理器
KR101715634B1 (ko) 복층형 구이용 팬
KR20080005957U (ko) 구이용 불판
KR102019791B1 (ko) 휴대용 조리기구
KR101591515B1 (ko) 복합가열식 숯불구이기
KR101632833B1 (ko) 숯불구이용 직화 차단판
KR102104393B1 (ko) 회전 구이기
KR200353170Y1 (ko) 토치착탈형 가스숯불겸용 바베큐구이기
JP3173613U (ja) 無煙炭火焼き器具
KR102251555B1 (ko) 직화구이가 가능한 불판
KR200479718Y1 (ko) 다용도 불판 및 이를 이용한 불판 장치
KR20160050973A (ko) 화로대
KR20150035849A (ko) 수랭식 다기능 불판
KR100717079B1 (ko) 가스버너가 내장된 테이블 및 이에 사용되는 구이판
JP7274254B2 (ja) 焼物器
KR101251739B1 (ko) 구이판
KR101521154B1 (ko) 천연석을 이용한 직화 구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