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3104B1 - 차량에서 토크 리져브를 최적화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에서 토크 리져브를 최적화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3104B1
KR101843104B1 KR1020160181961A KR20160181961A KR101843104B1 KR 101843104 B1 KR101843104 B1 KR 101843104B1 KR 1020160181961 A KR1020160181961 A KR 1020160181961A KR 20160181961 A KR20160181961 A KR 20160181961A KR 101843104 B1 KR101843104 B1 KR 101843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rque
vehicle
reduction
engine speed
reser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1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형태
조영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160181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31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3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44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seat belt parameters, e.g. length, tension or height-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0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81Seat occupation; Driver or passenger pres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3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vehicle conditions or values, not covered by groups B60W2510/00 or B60W2520/00
    • B60W2530/13Mileage
    • B60W2530/14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차량에서 토크 리져브를 최적화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이 방법은, 전자 제어 유닛에서, 시동이 켜진 차량 내에서 탑승자 존재 유무를 감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전자 제어 유닛에서, 상기 감지한 정보에 기초해 차량 내에 탑승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최초 토크 리져브를 일정한 감소폭으로 단계적으로 감소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전자 제어 유닛에서, 최초 토크 리져브를 감소시키는 동안, 기준 시간 내에서 엔진 회전수의 변동이 확인되면, 엔진 회전수가 변동하기 바로 직전에 감소된 토크 리져브를 최적의 토크 리져브로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에서 토크 리져브를 최적화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torque reserve in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에서 토크 리져브를 최적화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차량의 아이들(idle) 상황에서 토크 리져브의 최적화를 통해 차량의 연비 개선을 도모할 수 있게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자는 블루링크를 통해 원거리에서 차량에 시동을 걸거나, 또는, 차에 시동을 걸어둔 채 잠깐 동안 업무를 보거나 주변 관광지를 돌아다니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는 데, 이러한 상황에서 차량은 아이들(idle) 상태에 놓인다.
이러한 아이들 상태에서, 차량의 전자 제어 유닛(Electronic Control Unit, ECU)은 차량 내부에 사람이 없더라도 내부 로직에서 계산한 토크로 차량의 아이들 제어를 수행한다. 이때, 차량의 아이들 제어를 위해 계산된 토크값에는 '토크 리져브(torque reserve)'라고 하는 여유분의 토크값이 포함되어 있다.
토크 리져브는 운전자가 순간적으로 보기류 등을 켜는 순간 엔진 부하가 들어가게 되어 시동이 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추가적인 여유 토크이다. 보기류는 '보조 기계류'의 줄인 말로, 에어컨, 헤드램프, 파워 스티어링, 디프로스터(defroster) 등 엔진 구동을 보조하는 각종 기계의 종류를 말한다.
토크는 공기량으로 변환이 되므로 토크 리져브가 크면 클수록 공기량이 더 크게 들어온다. 또한, 토크는 공기량에 맞게 연료 분사가 이루어지므로 토크 리져브가 줄어들수록 연료량을 줄일 수가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차량 밖에 있지만 시동이 켜진 상황과 같은 아이들 상황마다 최적의 토크 리져브를 찾아 운용한다면, 그 만큼의 연료량을 저감할 수 있고 연비측면에서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차량의 아이들 상황에서 토크 리져브를 최적화하는 시스템이 개발된 바 없으며, 이에 대한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아이들 상황에서 토크 리저브의 최적화를 통해 차량의 연비 개선을 도모할 수 있게 하는 차량에서 토크 리져브 최적화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차량에서 토크 리져브를 최적화하는 방법은, 전자 제어 유닛에서, 시동이 켜진 차량 내에서 탑승자 존재 유무를 감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전자 제어 유닛에서, 상기 감지한 정보에 기초해 차량 내에 탑승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최초 토크 리져브를 일정한 감소폭으로 단계적으로 감소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전자 제어 유닛에서, 최초 토크 리져브를 감소시키는 동안, 기준 시간 내에서 엔진 회전수의 변동이 확인되면, 엔진 회전수가 변동하기 바로 직전에 감소된 토크 리져브를 최적의 토크 리져브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차량에서 토크 리져브를 최적화하는 시스템은, 시동이 켜진 차량 내에서 탑승자 존재 유무를 감지하는 탑승자 감지 센서 및 상기 감지한 정보에 기초해 차량 내에 탑승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최초 토크 리져브를 일정한 감소폭으로 단계적으로 감소시키고, 최초 토크 리져브를 감소시키는 동안, 기준 시간 내에서 엔진 회전수의 변동이 확인되면, 엔진 회전수가 변동하기 바로 직전에 감소된 토크 리져브를 최적의 토크 리져브로 확정하는 전자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시동이 켜진 상태에서 차량 내에 운전자가 없는 차량의 아이들 상황에서 토크 리져브를 자동으로 최적화함으로써, 차량의 연비를 크게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토크 리져브 최적화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제어 유닛의 내부 로직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토크 리져브의 최적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과 연관되어 기재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개시(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시동이 켜진 상태에서 운전자가 차량 밖에 있을 때와 같은 차량의 아이들 상태에서는, 내부적으로 보기류에 대한 추가 요청 사항이 없거나 대응할 수 있는 시간이 있으므로 최적의 토크 리져브를 찾을 수 있는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차량의 아이들 상황마다 최적의 토크 리져브를 찾아 운용하면, 그 만큼의 연료량을 저감할 수 있고 연비를 개선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시동이 켜진 상태에서 운전자가 차량 밖에 있을 때, 토크 리져브 최적화 모듈이 토크 리져브 최적화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최소한의 토크 리져브만으로 차량의 아이들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최소한의 토크 리져브로 최적화된 만큼의 연비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토크 리져브 최적화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토크 리져브 최적화 시스템(100)은 차량 내부에 탐재되는 시스템으로, 시동이 켜진 상태에서 운전자가 차량 밖에 있을 때와 같은 차량의 아이들 상태에서 최적의 토크 리져브를 운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토크 리져브 최적화 시스템(100)은 엔진 회전수 검출부(110), 가속 페달 검출부(120), 탑승자 감지 센서(130), 차량용 통신 버스(140) 및 전자 제어 유닛(150)을 포함한다.
엔진 회전수 검출부(110)는 크랭크 샤프트의 회전각으로부터 엔진 회전수(RPM)를 검출하여, 그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가속 페달 검출부(120)는 운전자가 구동하는 가속 페달의 페달 변위량을 검출하여 그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탑승자 감지 모듈(130)은 차량 내에 탑승자의 존재 유무를 검출하여 그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차량 내의 탑승자 존재 유무를 검출하기 위해, 탑승자 감지 모듈(130)은 무선 신호 수신 모듈, 차량 도어 센서, 시트 센서, 안전 벨트 착용 감지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신호 수신 모듈은 키 FOB와 같은 원격 제어 유닛과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통신한다. 원격 제어 유닛은 무선 신호 수신 모듈과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통신하여 차량 도어의 잠금 작동, 차량의 시동 작동 및 차량의 경보 작동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신호 수신 모듈이 원격 제어 유닛으로부터 차량 도어의 원거리 잠금 작동, 차량의 원거리 시동 작동 및 차량의 원거리 경보 작동을 제어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이 무선 신호는 차량 내에 운전자를 포함하는 탑승자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차량 도어 센서는 차량 도어의 열림과 닫힘을 감지하는 센서로, 이 센서에 의해 감지된 정보 또한 차량 내에 탑승자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시트 센서는 탑승자의 압력(또는 하중)을 감지하는 센서로, 압력 센서 또는 무게 센서일 수 있으며, 이 센서에 의해 감지된 정보 또한 차량 내에 탑승자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안전 벨트 착용 감지 센서는 안전 벨트의 잠김과 풀림을 감지하는 센서로, 이 센서에 의해 감지된 정보 또한 차량 내에 탑승자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전자 제어 유닛(150)은 차량용 네트워크 통신 버스(140)을 통해 엔진 회전수 검출부(110), 가속 페달 검출부(120) 및 탑승자 감지 센서(130)와 통신한다. 여기서, 차량용 네트워크 통신 버스(140)는, 예를 들면, CAN 통신 버스 또는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통신 버스일 수 있다.
전자 제어 유닛(150)은 시동이 켜진 상태에서 운전자가 차량 밖에 있을 때와 같은 차량의 아이들 상태에서 토크 리져브를 최적으로 제어하고, 최적으로 제어된 토크 리져브를 이용하여 최종적인 토크를 계산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제어 유닛의 내부 로직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제어 유닛(150)은 토크 계산 로직(151), 토크 리져브 계산 로직(153), 토크 리저브 최적화 로직(155), 가산기(157) 및 최종 토크 계산 로직(159)를 포함한다.
토크 계산 로직(151)은 사전에 설정된 토크 맵을 참조하여, 페달 변위량과 엔진 회전수(rpm)에 맵핑되는 토크를 계산한다.
토크 리져브 계산 로직(153)은 토크 리져브를 계산하는 구성으로, 토크 리져브는 보기류 토크 리져브, 아이들 토크 리져브, 촉매 가열(Catalyst Heating) 토크 리져브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보기류 토크 리져브는 알터네이터, 에어 콤프레셔, 헤드 램프, 디프로스터와 같은 전자 제어 기기에서 발생하는 토크 리져브일 수 있다. 토크 리져브의 계산은 차종, 차량 제조 회사, OEM 별로 상이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토크 리져브의 계산을 한정하는 데 있는 것이 아니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공지의 기술로 대신한다.
토크 리져브 최적화 로직(155)은 탑승자 감지 센서(130)로부터의 탑승자 감지 정보에 응답하여 토크 리져브에 대한 최적화 프로세스를 시작한다. 즉, 토크 리져브 최적화 로직(155)은 무선 신호 수신 모듈에서 수신한 원격 제어 정보, 차량 도어 센서에서 감지한 도어 개폐 정보, 시트 센서에서 감지한 하중 정보, 안전 벨트 착용 감지 센서에서 감지한 안전 벨트 잠김/풀림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내의 탑승자 존재 유무를 판단하고, 차량 내에 탑승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토크 리져브에 대한 최적화 프로세스가 시작된다.
종래에는 아이들 상황에서 토크 리져브는 일반적으로 주변 환경에 따른 캘리브레이션으로 제공하는 값들을 사용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차량간 편차나 상태 및 주변 환경에 따른 최적화 된 토크 리져브는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토크 리져브에 대한 최적화 프로세스에서는, 운전자를 포함하는 탑승자가 차량 밖에 있다는 정보가 들어오면, 토크 리져브를 일정한 시간에 일정한 감소폭으로 감소시킨 후 일정한 시간 동안 시동 꺼짐(시동 떨림)에 대한 안정 여부(시동이 꺼지지 않고 유지되는지 여부)를 확인 한다. 시동 꺼짐에 대한 안정 여부는 엔진 회전수(rpm)의 흔들림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정 시간 동안 엔진 회전수(rpm)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지 않고, 유동적으로 변동한다면, 시동 불안정 상태로 볼 수 있다.
토크 리져브에 대한 최적화 프로세스에서, 토크 리져브를 감소시켰을 때, 엔진 회전수(rpm)의 감소폭이 시동이 꺼질 정도가 아니라면, 즉, 엔진 회전수(rpm)가 일정 시간 동안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면, 상기 감소폭으로 토크 리져브를 계속 감소시킨다.
만일, 엔진 회전수(rpm)가 일정 시간 동안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지 않고, 변동한다면, 엔진 회전수(rpm)가 변동하기 바로 직전에 감소된 토크 리져브를 고정(fix)하고 이 고정된 토크 리져브를 최적의 토크 리져브로 유지한다. 이러한 최적의 토크 리져브는 운전자가 차량 안으로 들어올 때까지 유지된다. 탑승자 감지 정보에 의해 운전자가 다시 차량 안으로 들어왔다고 감지되면, 운전자가 차에서 내리기 직전의 값으로 토크 리져브를 복귀한다.
이러한 프로세스에 따라, 운전자가 차량 안으로 들어올 때까지 유지되는 최적의 토크 리져브는 가산기(157)로 출력된다.
가산기(157)는 토크 리져브 최적화 로직(155)으로부터 출력되는 최적의 토크 리져브와 토크 계산 로직(151)에서 계산한 토크를 가산하여, 가산된 토크를 최종 토크 계산 로직(159)으로 출력한다.
최종 토크 계산 로직(159)은 연료 분사량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공기량을 계산하기 위해 상기 가산된 토크와 변환 팩터를 연산하여 최종 토크를 계산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시동이 켜진 상태에서 차량 내에 운전자가 없는 차량의 아이들 상황이 시동이 유지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토크 리져브를 단계적으로 최대한 낮춘 최적의 토크 리져브로 운용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운전자가 차량 안으로 다시 들어올 때까지 불필요하게 유지되는 토크 리져브에 의한 연료 사용량을 줄임으로써, 차량의 연비를 크게 개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토크 리져브 최적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탑승자 감지 센서(130)에 의해, 탑승자 감지가 시작된다(S310).
이어, 차량 내에서 탑승자가 감지되면, 이전 단계(S310)로 돌아가 탑승자 감지를 계속 수행하고, 이 과정은 탑승자가 감지되지 않을 때까지 계속 진행된다.
이어, 차량 내에서 탑승자가 감지되지 않으면, 사전에 설정된 제1 감소폭(X1)으로 토크 리져브를 단계적으로 감소시킨다(S330).
이어, 토크 리져브를 제1 감소폭(X1)으로 단계적으로 감소시키는 동안, 엔진 회전수(rpm)가 기준 시간 동안 변동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 즉, 시동 안정 상태를 유지하면, 이전 단계(S330)로 돌아가 토크 리져브를 상기 제1 감소폭(X1)으로 계속 감소시킨다. 만일, 토크 리져브를 제1 감소폭(X1)으로 단계적으로 감소시키는 동안, 엔진 회전수(rpm)가 기준 시간 동안 고정되지 않고, 변동한다면, 토크 리져브를 제1 감소폭(X1)으로 감소시키는 과정을 중지하고, 엔진 회전수(rpm)가 변동하기 시작하기 바로 직전에 감소된 토크 리져브(이하, '제1 토크 리져브'라 함)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1차로 고정한다. 상기 메모리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도 2에 도시된 전자 제어 유닛(150) 내에 구비된 내부 메모리일 수 있다.
이어, 토크 리져브의 감소폭을 제1 감소폭(X1)에서 제2 감소폭(X2)으로 변경한다(S350). 제2 감소폭(X2)은 제1 감소폭(X1)보다 작으며, 예를 들면, 제1 감소폭(X1)의 50%로 설정될 수 있다.
이어, 상기 제1 토크 리져브를 제2 감소폭(X2)으로 단계적으로 감소시킨다(S360).
이어, 상기 제1 토크 리져브를 제2 감소폭(X2)으로 단계적으로 감소시키는 동안, 엔진 회전수(rpm)가 기준 시간 동안 변동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 즉, 시동 안정 상태를 유지하면, 이전 단계(S360)로 돌아가 제1 토크 리져브를 상기 제2 감소폭(X2)으로 계속 감소시킨다.
만일, 상기 제1 토크 리져브를 제2 감소폭(X2)으로 단계적으로 감소시키는 동안, 엔진 회전수(rpm)가 기준 시간 동안 고정되지 않고, 변동한다면, 토크 리져브를 제2 감소폭(X2)으로 감소시키는 과정을 중지하고, 엔진 회전수(rpm)가 변동하기 시작하기 바로 직전에 감소된 토크 리져브(이하, '제2 토크 리져브'라 함)를 메모리에 저장한 후, 제2 토크 리져브를 최적의 토크 리져브로 확정한다(S380).
이후, 확정된 최적의 토크 리져브는 차량 내에 탑승자가 없는 동안 계속 유지되다가, 차량 내로 탑승자가 탑승하면, 토크 리져브를 최적화하기 이전의 최초 토크 리져브로 복원한다.
이상에서는 토크 리져브를 제1 감소폭(X1)과 제2 감소폭(X2)으로 이루어진 2개로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더 많은 감소폭을 이용하여 토크 리져브를 감소시킬 경우, 더욱 최적화된 토크 리져브를 확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전자 제어 유닛에서, 시동이 켜진 차량 내에서 탑승자 존재 유무를 감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전자 제어 유닛에서, 상기 감지한 정보에 기초해 차량 내에 탑승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최초 토크 리져브를 일정한 감소폭으로 단계적으로 감소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전자 제어 유닛에서, 최초 토크 리져브를 감소시키는 동안, 기준 시간 내에서 엔진 회전수의 변동이 확인되면, 엔진 회전수가 변동하기 바로 직전에 감소된 토크 리져브를 최적의 토크 리져브로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에서 토크 리져브를 최적화하는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감지한 정보는,
    차량 도어 센서에서 감지한 정보, 시트 센서에서 감지한 정보 및 안전 벨트 착용 감지 센서에서 감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차량에서 토크 리져브를 최적화하는 방법.
  3. 제1항에서, 상기 감소시키는 단계는,
    상기 최초 토크 리져브를 제1 감소폭으로 감소시키는 단계;
    상기 최초 토크 리져브를 상기 제1 감소폭으로 감소시키는 동안, 기준 시간 내에서 엔진 회전수의 변동이 확인되면, 엔진 회전수가 변동하기 바로 직전에 감소된 토크 리져브(이하, 제1 토크 리져브)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제1 감소폭을 상기 제1 감소폭보다 작은 제2 감소폭으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토크 리져브를 상기 제2 감소폭으로 감소시키는 단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서 토크 리져브를 최적화하는 방법.
  4. 제3항에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감소폭을 상기 제1 감소폭의 50%인 상기 제2 감소폭으로 변경하는 것인 차량에서 토크 리져브를 최적화하는 방법.
  5. 제3항에서, 상기 최적의 토크 리져브로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토크 리져브를 상기 제2 감소폭으로 감소시키는 동안, 기준 시간 내에서 엔진 회전수의 변동이 확인되면, 엔진 회전수가 변동하기 바로 직전에 감소된 토크 리져브를 최적의 토크 리져브로 확정하는 것인 차량에서 토크 리져브를 최적화하는 방법.
  6. 제1항에서, 상기 최적의 토크 리져브를 상기 감지한 정보에 기초해 차량 내에 탑승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될 때까지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에서 토크 리져브를 최적화하는 방법.
  7. 제1항에서, 상기 감지한 정보에 기초해 차량 내에 탑승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최적의 토크 리져브를 상기 최초 토크 리져브로 복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에서 토크 리져브를 최적화하는 방법.
  8. 시동이 켜진 차량 내에서 탑승자 존재 유무를 감지하는 탑승자 감지 센서; 및
    상기 감지한 정보에 기초해 차량 내에 탑승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최초 토크 리져브를 일정한 감소폭으로 단계적으로 감소시키고, 최초 토크 리져브를 감소시키는 동안, 기준 시간 내에서 엔진 회전수의 변동이 확인되면, 엔진 회전수가 변동하기 바로 직전에 감소된 토크 리져브를 최적의 토크 리져브로 확정하는 전자 제어 유닛
    을 포함하는 차량에서 토크 리져브를 최적화하는 시스템.
KR1020160181961A 2016-12-29 2016-12-29 차량에서 토크 리져브를 최적화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843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961A KR101843104B1 (ko) 2016-12-29 2016-12-29 차량에서 토크 리져브를 최적화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961A KR101843104B1 (ko) 2016-12-29 2016-12-29 차량에서 토크 리져브를 최적화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3104B1 true KR101843104B1 (ko) 2018-03-28

Family

ID=61901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1961A KR101843104B1 (ko) 2016-12-29 2016-12-29 차량에서 토크 리져브를 최적화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310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8082A (ja) 2006-11-20 2008-06-05 Denso Corp エンジントルク制御装置及びその調整方法
JP2010024963A (ja) * 2008-07-18 2010-02-04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10065571A (ja) * 2008-09-09 2010-03-25 Toyota Motor Corp 車載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12008082A (ja) * 2010-06-28 2012-01-12 Institute Of Physical & Chemical Research 軽元素分析装置及び分析方法
KR20140101085A (ko) * 2013-02-08 2014-08-19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공간 분할을 이용한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10722B1 (ko) * 2014-12-15 2016-04-08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엔진 토크 제어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8082A (ja) 2006-11-20 2008-06-05 Denso Corp エンジントルク制御装置及びその調整方法
JP2010024963A (ja) * 2008-07-18 2010-02-04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10065571A (ja) * 2008-09-09 2010-03-25 Toyota Motor Corp 車載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12008082A (ja) * 2010-06-28 2012-01-12 Institute Of Physical & Chemical Research 軽元素分析装置及び分析方法
KR20140101085A (ko) * 2013-02-08 2014-08-19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공간 분할을 이용한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10722B1 (ko) * 2014-12-15 2016-04-08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엔진 토크 제어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34672B2 (ja) 車両用制御システム
US7701167B2 (en) System and method for supervising battery for vehicle
EP1983189B1 (en) Eco-run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resetting the same
EP1992815B1 (en) Eco-Run control device and engine restart method
US7696719B2 (en) Power control apparatus, power control method
US8260509B2 (en) Vehicle speed limiting via engine control commands issued by electronic transmission controller
US20060276947A1 (en)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US10911252B2 (en) Communication system for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9013953A (ja) エンジンの自動停止始動制御装置
JP4416802B2 (ja) 電源管理装置
US20110218729A1 (en) Engine start control system
US20170166197A1 (en) Belt controll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belt for hybrid vehicle
JP2007146727A (ja) 車両制御装置および車両制御方法
KR101843104B1 (ko) 차량에서 토크 리져브를 최적화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4005865A (zh) 发动机控制装置
JP2007138878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15117634A (ja) 車両制御装置
JP4488241B2 (ja) 車載機器制御装置
KR101295044B1 (ko) 인텔리젼트 아이들 스탑 앤 고 제어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JP5569474B2 (ja) アイドリングストップ制御装置
KR101683471B1 (ko) 운행차용 강제 출력 제한 및 모니터링 장치
WO2015128728A1 (en) Start-stop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a change of steering angle as automatic start condition
JP2008279854A (ja) 車両の制御装置
JP2007239528A (ja) 車両用制御装置
JP5817252B2 (ja) 制御装置、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