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2697B1 -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2697B1
KR101842697B1 KR1020170156940A KR20170156940A KR101842697B1 KR 101842697 B1 KR101842697 B1 KR 101842697B1 KR 1020170156940 A KR1020170156940 A KR 1020170156940A KR 20170156940 A KR20170156940 A KR 20170156940A KR 101842697 B1 KR101842697 B1 KR 101842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sheet
release paper
sheet
paper
rel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6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준
Original Assignee
박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준 filed Critical 박영준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2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2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7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72Packaging of dressings
    • A61F13/00076Packaging of adhesive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59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liner covering the skin adher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7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A61F13/0283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for making adhesive or cohesive tape or fabrics therefor, e.g. coating or mechanical treat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rmatology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형지(200)가 권취되어 있는 이형지 공급 보빙(300)으로부터 이형지(200)를 공급하는 단계; 공급된 이형지(200)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함몰부(221)가 형성된 두 개의 원형이 연결된 형상으로 분리 이형지(220)를 성형하는 분리 이형지 성형단계; 일측면에 점착시트 보호필름(100′)이 부착되어 있는 점착시트(100)가 권취된 점착시트 공급 보빙(400)으로부터 점착시트(100)를 공급하여, 점착시트(100)는 분리 이형지가 성형된 이형지(200)에 합지시키고, 점착시트 보호필름(100′)은 점착시트 보호필름 회수 보빙(410)으로 회수하는 단계; 분리 이형지(220)와 소정 영역이 중첩되도록 점착시트(100)를 소정 모양으로 절단하고, 나머지 폐점착시트는 점착시트 스크랩 회수 보빙(450)으로 회수하는 단계; 이형지(200)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 포장지 상부 공급 보빙(500)으로부터 이형지(200) 상부에 포장지를 공급하고, 포장지 하부 공급 보빙(510)으로부터는 이형지(200) 하부에 포장지를 공급하여, 이형지(200) 상부와 하부에 포장지를 중첩시키는 단계; 및 이형지(200)가 밀봉되도록 상부와 하부 포장지를 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위한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pparatus for Medical Dressing Patch and Methods of the same}
본 발명은 화상, 창상, 외상 등과 같은 피부의 상처를 보호함과 동시에 치료를 하기 위해 사용되는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에 부착되는 점착시트, 점착시트를 분리하여 피부에 부착시키기 위한 분리 이형지 및 분리 이형지와 점착시트를 고정하여 보관하기 위한 고형 이형지를 포함하여 사용의 편리성과 보관성을 향상시킨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용 드레싱재는 경미한 화상, 창상, 외상 등과 같은 피부의 상처를 보호함과 동시에 치료를 위해서 널리 사용된다. 즉, 의료용 드레싱재는 상처 표면으로부터의 열 증발과 수분 손실을 감소시켜서 더 이상의 오염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고, 상처 내에 존재하는 세균 발육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의료용 드레싱재는 이형지 상면에 점착시트가 부착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며, 이형지로부터 점착시트를 분리해 점착시트의 하면에 형성된 부착면을 상처부위에 부착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점착시트를 이형지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점착시트 일측을 잡고 떼어낸 후 상처부위에 부착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사용자가 점착시트를 파지하게 되므로 오염이 발생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점착시트는 부착한 환자의 착용감과 활동성을 더욱 더 보장할 수 있도록 점차 그 두께가 얇아지고 있는 추세이므로 이형지로부터 분리하는 행위 또한 불편하여 사용의 편의성이 저하되었다.
한편, 최근에는 상처보호능력과 점착력이 우수한 하이드로콜로이드 기반 점착시트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하이드로콜로이드 점착시트는 두께가 얇고 투명하여, 환자의 착용감과 활동성뿐만 아니라 피부 부착시에도 육안으로 쉽게 알아보기 어려워 미용측면에서 유리하다. 그러나 이러한 하이드로콜로이드 점착시트는 투명하고 얇은 특성으로 인해 이형지로 분리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한국등록실안신안공보 제439156호를 들 수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분리이형지의 손잡이 부분을 파지하여 이형지로부터 보호시트를 쉽게 분리한 뒤 상처부위에 부착하면서 분리 이형지를 보호시트로부터 다시 분리하게 되는 것을 주요지로 구성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보호시트를 파지하지 않고 분리이형지의 손잡이 부분을 파지하여 보호시트를 이형지로부터 분리한 뒤 상처 부위에 부착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면서도 이차적인 세균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손잡이 부분의 면적이 작고 보호시트 쪽에 부착되어 있는 부분의 접착면이 넓어, 손으로 잡기가 매우 불편하다. 또한 손잡이 부분을 잡고 떼는 과정에서도 손잡이 부분이 떨어지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손잡이 부분을 잡고 보호시트 면에 부착되어 있는 분리 이형지 부분을 매우 조심스럽게 박리시켜야 하므로 분리에서부터 상처부착까지 시간이 많이 걸리고, 게다가 이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이 보호시트의 점착부에 닿게 되어 이차적인 세균감염을 유발시킬 수 있다.
본 발명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고정 이형지에 형성된 절개부와 연결부에 의해 고정 또는 분리되는 분리 이형지와, 이와 일부 중첩되게 위치하는 점착제 등으로 이루어져 사용의 편리성과 이차적 세균감염을 방지할 수 의료용 드레싱재(10-2017-0020663)를 출원한 바 있다.
한국등록실안신안공보 제439156호 한국특허출원번호 제2017-0020663호
본 발명은 본 발명 출원인은 선출원 발명인 고정 이형지에 형성된 절개부와 연결부에 의해 고정 또는 분리되는 분리 이형지와, 이와 일부 중첩되게 위치하는 점착제 등으로 이루어진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방법과 그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방법은, 이형지(200)와 상기 이형지(200) 상부에 고정되며 피부에 부착되는 점착시트(100)를 포함하되, 상기 이형지(200)는, 고정 이형지(210)와 상기 고정 이형지(210)에 형성된 절개부(211)와 연결부(212)를 통해 상기 고정 이형지(210)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 이형지(210)로부터 점착시트(100)를 분리하는 경우 상기 점착시트(100)와 함께 분리되도록 소정 영역이 상기 점착시트(100) 하면에 중첩되도록 위치하되 소정 간격 이격되어 함몰부(221)가 형성되도록 두 개의 원형이 연결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분리 이형지(220)를 포함하는 의료용 드레싱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이형지(200)가 권취되어 있는 이형지 공급 보빙(300)으로부터 이형지(200)를 공급하는 단계; 공급된 이형지(200)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함몰부(221)가 형성된 두 개의 원형이 연결된 형상으로 분리 이형지(220)를 성형하는 분리 이형지 성형단계; 일측면에 점착시트 보호필름(100′)이 부착되어 있는 점착시트(100)가 권취된 점착시트 공급 보빙(400)으로부터 점착시트(100)를 공급하여, 점착시트(100)는 분리 이형지가 성형된 이형지(200)에 합지시키고, 점착시트 보호필름(100′)은 점착시트 보호필름 회수 보빙(410)으로 회수하는 단계; 분리 이형지(220)와 소정 영역이 중첩되도록 점착시트(100)를 소정 모양으로 절단하고, 나머지 폐점착시트는 점착시트 스크랩 회수 보빙(450)으로 회수하는 단계; 이형지(200)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 포장지 상부 공급 보빙(500)으로부터 이형지(200) 상부에 포장지를 공급하고, 포장지 하부 공급 보빙(510)으로부터는 이형지(200) 하부에 포장지를 공급하여, 이형지(200) 상부와 하부에 포장지를 중첩시키는 단계; 및 이형지(200)가 밀봉되도록 상부와 하부 포장지를 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분리 이형지 성형단계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함몰부(221)가 형성되도록 두 개의 원형이 연결된 분리 이형지(220) 형상에 대응되는 성형용 칼날이 표면에 구비된 한 쌍의 회전하는 압착 롤러의 의해 성형될 수 있다.
또한 분리 이형지가 성형된 이형지(200)에 점착시트(100)를 합지하는 단계와 소정 모양으로 점착시트(100)를 절단하는 단계 사이에, 소정 모양으로 점착시트(100)에 베벨링 형성단계를 더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형지(200) 절단 단계에서는, 소정 모양으로 이형지(200)를 연속적으로 절단할 수 있도록 성형용 칼날이 표면에 구비된 한 쌍의 회전하는 압착 롤러에 의해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본 발명의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장치는, 이형지(200)와 상기 이형지(200) 상부에 고정되며 피부에 부착되는 점착시트(100)를 포함하되, 상기 이형지(200)는, 고정 이형지(210)와 상기 고정 이형지(210)에 형성된 절개부(211)와 연결부(212)를 통해 상기 고정 이형지(210)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 이형지(210)로부터 점착시트(100)를 분리하는 경우 상기 점착시트(100)와 함께 분리되도록 소정 영역이 상기 점착시트(100) 하면에 중첩되도록 위치하되 소정 간격 이격되어 함몰부(221)가 형성되도록 두 개의 원형이 연결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분리 이형지(220)를 포함하는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장치로서, 이형지(200)가 권취되어 있는 이형지 공급 보빙(300); 상기 이형지 공급 보빙(300)으로부터 공급된 이형지(200)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함몰부(221)가 형성된 두 개의 원형이 연결된 형상으로 분리 이형지(220)를 성형하는 상기 이형지 공급 보빙(300) 일측에 위치하는 분리 이형지 성형부(320); 일측면에 점착시트 보호필름(100′)이 부착되어 있는 점착시트(100)가 권취된 점착시트 공급 보빙(400); 점착시트 공급 보빙(400)으로부터 공급된 점착시트(100)에서 점착시트 보호필름(100′)을 분리하고, 분리된 점착시트 보호필름(100′)을 회수하는 점착시트 보호필름 회수 보빙(410); 점착시트 보호필름(100′)이 분리된 점착시트(100)를 공급하여 분리 이형지(220)가 성형된 이형지(200)와 합지시키는 점착시트 공급롤러(420); 소정 영역이 상기 분리 이형지(220)와 중첩되도록 점착시트(100)를 소정 모양으로 절단하는 점착시트 절단부(440); 이형지(200)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는 이형지 절단부(460); 이형지(200) 상부에 포장지를 공급하는 포장지 상부 공급 보빙(500); 이형지(200) 하부에 포장지를 공급하는 포장지 하부 공급 보빙(510); 및 이형지(200)가 밀봉되도록 상부와 하부 포장지를 접합시키는 포장지 열씰링 금형부(5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분리 이형지 성형부(320)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함몰부(221)가 형성되도록 두 개의 원형이 연결된 분리 이형지(220) 형상에 대응되는 성형용 칼날이 표면에 구비된 한 쌍의 회전하는 압착 롤러일 수 있다.
또한 점착시트(100)에 소정 모양으로 베벨링을 형성하는 점착시트 베벨링 성형부(4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형지 절단부(460)는, 이형지(200)를 소정 모양으로 연속적으로 절단할 수 있도록 성형용 칼날이 표면에 구비된 한 쌍의 회전하는 압착 롤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의료용 드레싱재 제조방법과 제조장치에 의하면, 고정 이형지(210)로부터 점착시트(100) 분리시 분리 이형지(220)를 손으로 파지함으로써 사용이 편리하고 게다가 2차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의료용 드레상재를 신속하면서도 불량률이 낮도록 제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의료용 드레싱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5는 분리 이형지 성형부의 확대도이다(a : 금형 타입, b : 롤러 타입).
도 6은 점착시트 절단부의 확대도이다(a : 금형 타입, b : 롤러 타입).
도 7은 이형지 절단부의 확대도이다(a : 금형 타입, b : 롤러 타입).
도 8은 각 공정단계별 드레싱재의 상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 및 10은 본 발명의 의료용 드레싱재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의료용 드레싱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1000)는, 이형지(200)와 점착시트(100)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이형지(20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이형지(200)는 상기 점착시트(100)와 분리되는 고정 이형지(210)와 상기 점착시트(100)와 함께 분리되는 분리 이형지(220)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일면은 매끄러운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이형지(210)에는 상기 분리 이형지(220)의 외형과 동일한 모양으로 절개부(211)가 구비되어 있어, 점착시트(100)를 사용할 경우 고정 이형지(210)로부터 분리 이형지(220)가 쉽게 분리되고, 평소에는 절개부(211)에 형성된 연결부(212)를 통해 분리 이형지(220)와 고정 이형지(210)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 이형지(210)의 소정 위치에는 단어, 무늬 및 도형 중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제1 식별부(213)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점착시트(100) 하면 일부분은 분리 이형지(220)가 접착되어 있고 나머지 부분은 고정 이형지(210)와 접하고 있다. 따라서 점착시트(100)를 사용하려고 분리 이형지(220)를 분리하는 경우, 분리 이형지(220)에 점착시트(100)가 함께 부착된 상태로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분리 이형지(220)를 점착시트(100)가 부착되어 있는 방향으로 젖혀야 하며, 이와 반대로 젖히게 되면 점착시트(100)로부터 분리 이형지(220)만 분리되어 사용이 어려울 수 있다.
특히 최근의 드레싱재를 구성하는 이형지와 점착시트는 투명도가 매우 높아 분리 이형지(220)의 어느 면에 점착시트(100)가 부착되어 있는지 쉽게 알 수 없는 경우가 많고, 게다가 시력이 좋지 않는 경우에는 더욱 파악하기 곤란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단어, 무늬 및 도형과 같은 제1 식별부(213)를 고정 이형지(210)에 형성시킴으로써, 분리 이형지(220)를 어느 방향으로 젖혀야 하는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알려준다.
상기 분리 이형지(220)는 전술한 바와 같은 고정 이형지(210)에 형성된 절개부(211)와 연결부(212)를 통해 고정 이형지(210)에 고정되고, 고정 이형지(210)로부터 점착시트(100)를 분리하는 경우 점착시트(100)와 함께 분리될 수 있도록 일부분은 점착시트(100) 하면에 중첩되도록 위치한다.
또한 분리 이형지(220)는 분리시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두 개의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이들 원형들을 연결하거나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함몰부(221)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함몰부(221)에 의해 형성되는 폭(W)은 두 개의 원형 직경(A, A′) 보다 작으며, 따라서 상기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질 경우, 면적이 넓은 원형부분을 손으로 잡을 수 있어 파지가 용이하고 게다가 상대적으로 폭(W)이 좁은 함몰부(221)가 구비되어 있어 분리 이형지(220)를 부드럽게 젖힐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점착시트(100)와 분리 이형지(220)를 구성하는 두 개 원형 중심점 모두는 가상의 연장선에 위치하도록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고정 이형지(210)로부터 분리 이형지(220)를 분리하는 경우, 점착시트(100)가 뒤틀리거나 어느 한쪽으로 치우지지 않는 상태로 고정 이형지(210)로부터 떼어 내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분리 이형지(220)의 소정 위치에는 제2 식별부(222) 및/또는 제3 식별부를 형성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식별부(22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분리 이형지(220)의 어느 면에 점착시트(100)가 부착되어 있는지 쉽게 파악하기 위한 제1 식별부(213)와 동일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역할과 함께, 어느 부분을 파지해야 하는지를 시각적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특히, 고정 이형지(210)와 분리 이형지(220)가 동일한 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 분리 이형지(220)가 이형지(200)의 어느 부분에 위치하는지 육안으로 확인하기 매우 곤란하여 점착시트(100)를 신속하게 사용할 수 없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제2 식별부(222)는 무늬, 단어 및 도형 중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고, 일예로 도 1 및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 이형지(220) 내측면 소정 위치에 절개부(211)를 따라 띠를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제3 식별부(223)는, 전술한 바와 같이 분리 이형지(220)의 어느 면에 점착시트(100)가 부착되어 있는지 쉽게 파악하기 위한 제1 식별부(213)와 동일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역할과 함께, 어느 부분을 파지해야 하는지를 촉각적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즉, 분리 이형지(220)가 이형지(200)의 어느 부분에 위치하는지 육안으로 확인하기 곤란하여 점착시트(100)를 신속하게 사용할 수 없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제3 식별부(223)는 도 1 및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개부(211)와 인접한 분리 이형지(220) 내측 상부 소정 위치에 하나 이상의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 이형지(210)와 분리 이형지(220)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에틸렌(PE)과 같은 가소성 물질을 사용하여 투명 또는 불투명한 것이 바람직하고, 휘어진 경우에도 신속하게 원래의 위치로 돌아올 수 있는 소정의 복원력을 갖도록 20 내지 300 ㎛의 두께를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두께가 20 ㎛ 미만이면 두께가 너무 얇아 복원력이 부족하고, 300 ㎛를 초과하면 잘 휘어지지 않아 분리 이형지(220)를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하므로, 고정 이형지(210)와 분리 이형지(220)는 상기 두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212)는 분리 이형지(220)를 쉽게 분리하면서도 고정 이형지(210)와의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점착시트(100)와 중첩되지 않은 나머지 하나의 원형 외주연부에 2개의 연결부(212)가 절개부(211)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212)는 분리 이형지(220)의 2개 원형과 점착시트(100) 중심점을 지나는 가상의 연장선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위치에 서로 마주보도록 2개의 연결부(212)가 구비될 수 있다. 분리 이형지(220)의 일측 원형은 점착시트(100) 아래에 위치한 상태로 점착시트(100)에 의해 고정되며, 타측 원형은 2개의 연결부(212)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분리 이형지(220)를 신속하게 분리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 이형지(210)와 분리 이형지(220)의 복원력으로 인해 절개부(211) 부근에서 분리 이형지(220)가 들뜨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분리 이형지(220)의 2개 원형 중에서, 식별부(213, 222, 223)가 형성된 원형은 점착시트(100)의 하면과 접촉하는 원형보다 단면적이 큰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파지가 용이하고 또 피부에 접착시트(100)를 부착시킨 이후 분리 이형지(220)를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함이다.
게다가 상기 접착시트(100)와 접착되는 분리 이형지(220) 원형의 면적은, 접착시트(100) 총 면적의 10%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내지 40%가 보다 바람직하다. 접착시트(100) 면적의 10% 미만으로 접착되면 접착력이 너무 약하여 분리 이형지(220) 분리시 함께 분리되지 않을 수 있고, 반대로 50%를 초과하면 접착력이 너무 강하여 접착시트(100)를 피부에 부착시킨 이후 접착시트(100)로부터 분리 이형지(220)가 잘 떨어지지 않으므로 상기 범위로 분리 이형지(220)와 접착시트(100)를 접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점착시트(100)는 하이드로콜로이드 점착시트, 폴리우레탄 폼 점착시트 타입 일 수 있고, 상기 하이드로콜로이드 점착시트는 점착력을 가지는 소수성의 고무상 매트릭스 부착면에 친수성의 하이드로콜로이드 고분자가 분산되어 있는 형태이고, 상기 폴리우레탄 폼 점착시트는 점착력을 가지는 소수성의 우레탄 부착면에 폴리에틸렌글리콜, 이소시아네이트, 촉매, 물 등의 고분자가 혼합 분산되어 있는 형태이다. 이들 하이드로콜로이드 점착시트나 폴리우레탄 폼 점착시트는 흡습성과 습윤 환경 유지에 기인하는 상처보호능력과 뛰어난 점착력을 가지고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시트에 해당되므로 더욱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에 관하여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2 실시예는 점착시트(100)와 분리 이형지(220)의 개수와 이에 따른 배치구조를 제외하고는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들로 나타내고, 또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 실시예에서는, 1장의 이형지(200)와 다수개의 점착시트(100)를 포함하고 있다.
일예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폭과 넓이를 갖는 1장의 이형지(200) 상부면에 일렬은 3개, 이와 수직인 열은 5개로 이루어진 총 15개의 점착시트(10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점착시트(100) 저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분리 이형지(220)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이형지(200)의 단위 면적당 점착시트(100)가 많이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분리 이형지(220)가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점착시트(100)가 3개 구비된 열을 가로 열, 5개 구비된 열을 세로 열로 정의할 경우, 상기 분리 이형지(220)는 가로 열 또는 세로 열에 대해 40° 내지 50°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따라서 고정 이형지(210)의 활용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도 3)에 도시한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방법과 제조장치에 관하여 도 4 내지 8을 참조하면서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 도 5는 분리 이형지 성형부의 확대도, 도 6은 점착시트 절단부의 확대도, 도 7은 이형지 절단부의 확대도 그리고 도 8은 각 공정단계별 드레싱재의 상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는, 이형지(200)를 공급하는 단계, 분리 이형지(220)를 성형하는 단계, 점착시트(100)는 이형지(200)에 합지시키고 점착시트 보호필름(100′)은 회수하는 단계, 소정 모양으로 점착시트(100)에 베벨링을 형성하는 단계, 점착시트(100)를 소정 모양으로 절단하고 나머지 폐점착시트는 회수하는 단계, 이형지(200)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 이형지(200)와 포장지를 중첩시키는 단계, 포장지를 접합시키는 단계, 포장지를 커팅하는 단계 및 완성된 제품을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긴 롤 형태로 이형지(200)가 권취되어 있는 이형지 공급 보빙(300)으로부터 이형지 공급롤러(310)를 경유하여 이형지(200)를 공급한다.
이어서, 공급된 이형지(200)는 분리 이형지 성형부(320)로 이동된 후, 전술한 분리 이형지(220) 형상, 구체적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면서 함몰부(221)가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원형이 연결된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도록 분리 이형지(220)를 성형한다(도 8(a) 참조).
여기서, 상기 분리 이형지 성형부(320)는 이동하는 이형지(200) 하측에는 고정 또는 상하로 이동하는 제1 분리 이형지 성형 금형(321)이 위치하고, 이형지(200) 상측에는 상하 이동하는 제2 분리 이형지 성형 금형(322)이 위치할 수 있다. 또 상기 제2 분리 이형지 성형 금형(322)의 저면에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 이형지(220)의 모양에 대응되는 칼날이 구비되어 있다.
도 5(b)는 분리 이형지 성형부(320)의 변형 실시예로서, 회전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분리 이형지 성형 롤러(323, 324)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분리 이형지 성형 롤러(323, 324)의 일측 외표면에는 제2 분리 이형지 성형 금형(322)과 마찬가지로 분리 이형지(220)의 모양에 대응되는 칼날이 구비되어 있다. 회전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분리 이형지 성형 롤러(323, 324)로 분리 이형지(220)를 성형하는 경우, 연속적인 성형이 가능함과 동시에 이형지(200)의 공급속도를 높일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상기 제2 분리 이형지 성형 금형(322)을 상하로 이동시켜 성형하는 것 보다 소음이 적어 작업 환경이 개선된다는 장점도 있다.
한편, 상기 분리 이형지(220) 성형단계에서, 고정 이형지(210)에 형성되는 제1 식별부(213), 분리 이형지(220)에 형성되는 제2 및 제3 식별부(222, 223)를 함께 구비시킬 수 있고, 또 별도의 단계를 통해 이들 제1 내지 제3 식별부(213, 222, 223)의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분리 이형지(220)가 성형된 이형지(200) 상면으로 점착시트(100)가 합지된다. 구체적으로, 일측면에는 점착시트 보호필름(100′)이 부착되고 타측면에는 점착시트(100)가 권취되어 있는 점착시트 공급 보빙(400)으로부터 점착시트 공급롤러(420)를 경유하여 점착시트(100)를 공급함으로써, 점착시트(100)는 이형지(200)에 합지되고(도 8(b) 참조), 점착시트 보호필름(100′)은 다시 점착시트 보호필름 회수 보빙(410)으로 회수한다.
계속하여, 베벨링, 구체적으로 드레싱재의 형상에 맞게 점착시트(100)의 중앙부는 볼록하고 상기 중앙부의 가장자리는 완만한 경사면이 형성되어 중앙부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성형하는 베벨링 성형단계가 이어진다(도 8(c) 참조).
여기서, 상기 베벨링 성형단계는 이형지(200) 하측에는 고정 또는 상하 이동하는 제1 베벨링 성형 금형(431)이 위치하고, 점착시트(100) 상측에는 상하 이동하는 제2 베벨링 성형 금형(432)이 위치할 수 있다.
이어서, 분리 이형지(220)와 소정 영역이 중첩되도록 점착시트(100)를 소정 모양으로 절단하고(도 8(d) 참조), 나머지 폐점착시트는 점착시트 스크랩 회수 보빙(450)으로 회수한다.
여기서, 점착시트 절단부(440)는 이동하는 이형지(200) 하측에는 고정 또는 상하 이동하는 제1 점착시트 절단 금형(441)이 위치하고, 점착시트(100) 상측에는 상하 이동하는 제2 점착시트 절단 금형(442)이 위치할 수 있다. 또 상기 제2 점착시트 절단 금형(442) 저면에는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레싱재의 모양에 대응되는 칼날이 구비되어 있다.
도 6(b)은 점착시트 절단부(440)의 변형 실시예로서, 회전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점착시트 절단 롤러(443, 444)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점착시트 절단 롤러(443, 444)의 일측 외표면에는 제2 점착시트 절단 금형(442)과 마찬가지로 드레싱재의 모양에 대응되는 칼날이 구비되어 있다. 회전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점착시트 절단 롤러(443, 444)로 점착시트(100)를 절단하는 경우, 연속적인 성형이 가능함과 동시에 이형지(200)의 공급속도를 높일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상기 제2 점착시트 절단 금형(442)을 상하로 이동시켜 성형하는 것 보다 소음이 적어 작업 환경이 개선된다는 장점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점착시트 절단 금형(442)과 제2 점착시트 절단 롤러(444)에 구비된 칼날의 높이는 점착시트만 절단하고 고정 이형지(210)는 절단하지 않아야 함은 자명하다.
한편 상기 베벨링 성형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할 수 있고, 또 베벨링 성형단계와 점착시트(100) 절단단계를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드레싱재의 모양에 맞게 점착시트(100)가 절단되고, 소정 영역이 분리 이형지(220)와 중첩된 상태에서, 이형지(200)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한다(도 8(e) 참조).
여기서, 이형지 절단부(460)는 이동하는 이형지(200) 하측에는 고정 또는 상하 이동하는 제1 이형지 절단 금형(461)이 위치하고, 이형지(200) 상측에는 상하 이동하는 제2 이형지 절단 금형(462)이 위치할 수 있다. 또 상기 제2 이형지 절단 금형(462)의 저면에는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단하고자 하는 이형지(220)의 모양에 대응되는 칼날이 구비되어 있다.
도 7(b)는 이형지 절단부(460)의 변형 실시예로서, 회전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이형지 절단 롤러(463, 464)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이형지 절단 롤러(463, 464)의 일측 외표면에는 절단하고자 하는 이형지(220)의 모양에 대응되는 칼날이 구비되어 있다. 회전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이형지 절단 롤러(463, 464)로 이형지(220)를 절단하는 경우, 연속적인 성형이 가능함과 동시에 이형지(200)의 공급속도를 높일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상기 제2 이형지 절단 금형(462)을 상하로 이동시켜 성형하는 것 보다 소음이 적어 작업 환경이 개선된다는 장점도 있다.
다음으로는 절단된 이형지를 포장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포장지 상부 공급 보빙(500)으로부터 이형지(200) 상부에 포장지를 공급하고, 포장지 하부 공급 보빙(510)으로부터는 이형지(200) 하부에 포장지를 공급하여, 이형지(200) 상부와 하부에 포장지를 중첩시킨 후 접합시키고(도 8(f) 참조), 이어서 접합된 주연부를 따라 커팅한다(도 8(f) 참조).
여기서, 상기 포장지를 접합하는 방법은 공지의 열융착 등 상기 포장지를 접합할 수 있다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접합되어 완성된 제품은 컨베이어 등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후 별도 포장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1 식별부(213), 제2 식별부(222) 및 제3 식별부(223)는 이형지(200)에 점착시트(100)를 합지시키는 단계 이전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식별부 형성장치(미도시), 제2 식별부 형성장치(미도시) 및 제3 식별부 형성장치(미도시)를 사용하여, 이형지(200)에 미리 제1 식별부(213) 내지 제3 식별부(223)를 형성시킨 후 권취시켜 둘 수 있다. 또 이형지 공급롤러(310)와 분리 이형지 성형부(320) 사이, 또는 분리 이형지 성형부(320)와 점착시트 공급롤러(420)사이에 제1 식별부 형성장치 내지 제3 식별부 형성장치를 구비시켜 제1 식별부(213) 내지 제3 식별부(223)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
시각적 또는 촉각적 식별부인 제1 식별부(213) 내지 제3 식별부(223)은 인쇄장치, 압착장치를 사용할 수 있고, 이는 공지 기술에 해당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의료용 드레싱재의 사용방법에 대해서 도 9 및 10을 참조하면서도 설명하기로 한다.
도 9에서와 같이, 이형지(200)의 일면에 접착되어 있는 점착시트(100)를 분리하기 위해, 먼저 제1 식별부(213), 제2 식별부(222) 및 제3 식별부(223) 중 어느 하나의 식별부로부터 점착시트(100)가 상부면에 있는지 확인한다. 다음으로 분리 이형지(220)를 상측으로 젖히거나 고형 이형지(210)를 하측으로 젖힌 후, 절개선에 의해 분리된 분리 이형지(220)의 소정 부분을 파지하고 상부면으로 떼어 낸다. 그러면 분리 이형지(220)와 소정 부분이 접착되어 있는 점착시트(100)가 함께 분리된다.
다음으로 도 10과 같이, 분리 이형지(220)를 파지한 재 상처 부위에 점착시트(100)를 부착하면서, 분리 이형지(220)를 점착시트(100)로부터 떼어 낸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1000 : 의료용 드레싱재
100 : 점착시트
100′ : 점착시트 보호필름
200 : 이형지
210 : 고정 이형지
211 : 절개부 212 : 연결부
213 : 제1 식별부
220 : 분리 이형지
221 : 함몰부 222 : 제2 식별부
223 : 제3 식별부
300 : 이형지 공급 보빙
310 : 이형지 공급롤러
320 : 분리 이형지 성형부
321 : 제1 분리 이형지 성형 금형 322 : 제2 분리 이형지 성형 금형
323 : 제1 분리 이형지 성형 롤러 324 : 제2 분리 이형지 성형 롤러
400 : 점착시트 공급 보빙
410 : 점착시트 보호필름 회수 보빙
420 : 점착시트 공급롤러
430 : 점착시트 베벨링 성형부
431 : 제1 베벨링 성형 금형 432 : 제1 베벨링 성형 금형
440 : 점착시트 절단부
441 : 제1 점착시트 절단 금형 442 : 제2 점착시트 절단 금형
443 : 제1 점착시트 절단 롤러 444 : 제2 점착시트 절단 롤러
450 : 점착시트 스크랩 회수 보빙
460 : 이형지 절단부
461 : 제1 이형지 절단 금형 462 : 제2 이형지 절단 금형
463 : 제1 이형지 절단 롤러 464 : 제2 이형지 절단 롤러
500 : 포장지 상부 공급 보빙
510 : 포장지 하부 공급 보빙
520 : 포장지 열씰링 금형부
530 : 포장지 커팅부
A, A′ : 분리 이형지의 원형 직경
W : 함몰부 폭

Claims (4)

  1. 고정 이형지(210)와 분리 이형지(220)로 이루어진 이형지(200); 및
    상기 이형지(200) 상부에 고정되며 피부에 부착되는 원형의 점착시트(100)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 이형지(210)는, 소정의 복원력을 갖도록 두께가 20 내지 300 ㎛이고, 상기 분리 이형지(220) 상면에 상기 점착시트(100)가 위치하는 것을 시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단어, 무늬 및 도형 중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제1 식별부(213)가 상기 고정 이형지(210) 소정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분리 이형지(220)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두 개의 원형과 상기 두 개의 원형을 연결하는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함몰부(221)가 구비된 형상으로, 소정의 복원력을 갖도록 두께가 20 내지 300 ㎛이고, 일측 원형 내부 상면에는 점착시트(100)의 부착위치와 파지영역을 시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절개부(211)를 따라 구비된 띠 형상의 제2 식별부(222), 및 촉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돌기로 이루어진 제3 식별부(223)가 구비되고,
    상기 분리 이형지(220) 외주연부를 따라 형성된 고정 이형지(210)의 절개부(211), 상기 두 개의 원형 중심점을 통과하는 가상의 연장선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위치에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는 상기 점착시트(100)와 중첩되지 않은 일측 원형 외주연부에 구비된 2개의 연결부(212) 및 타측 원형의 소정 영역이 상기 점착시트(100) 하면에 중첩되어 상기 고정 이형지(210)에 고정되어, 분리 이형지(220)의 분리시에는 분리 이형지(220) 상면에 점착시트(100)가 부착된 상태로 분리되는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제조방법은 이형지(200)가 권취되어 있는 이형지 공급 보빙(300)으로부터 이형지(200)를 공급하는 단계;
    공급된 이형지(200)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함몰부(221)가 형성된 두 개의 원형이 연결된 형상으로 분리 이형지(220)를 성형하는 분리 이형지 성형단계;
    일측면에 점착시트 보호필름(100′)이 부착되어 있는 점착시트(100)가 권취된 점착시트 공급 보빙(400)으로부터 점착시트(100)를 공급하여, 점착시트(100)는 분리 이형지가 성형된 이형지(200)에 합지시키고, 점착시트 보호필름(100′)은 점착시트 보호필름 회수 보빙(410)으로 회수하는 단계;
    분리 이형지(220)와 소정 영역이 중첩되도록 점착시트(100)를 소정 모양으로 절단하고, 나머지 폐점착시트는 점착시트 스크랩 회수 보빙(450)으로 회수하는 단계;
    이형지(200)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
    포장지 상부 공급 보빙(500)으로부터 이형지(200) 상부에 포장지를 공급하고, 포장지 하부 공급 보빙(510)으로부터는 이형지(200) 하부에 포장지를 공급하여, 이형지(200) 상부와 하부에 포장지를 중첩시키는 단계; 및
    이형지(200)가 밀봉되도록 상부와 하부 포장지를 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분리 이형지 성형단계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함몰부(221)가 형성되도록 두 개의 원형이 연결된 분리 이형지(220) 형상에 대응되는 성형용 칼날이 표면에 구비된 한 쌍의 회전하는 압착 롤러의 의해 성형되고,
    이형지(200) 절단 단계에서는, 소정 모양으로 이형지(200)를 연속적으로 절단할 수 있도록 성형용 칼날이 표면에 구비된 한 쌍의 회전하는 압착 롤러에 의해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분리 이형지가 성형된 이형지(200)에 점착시트(100)를 합지하는 단계와 소정 모양으로 점착시트(100)를 절단하는 단계 사이에, 소정 모양으로 점착시트(100)에 베벨링 형성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 방법.
  3. 고정 이형지(210)와 분리 이형지(220)로 이루어진 이형지(200); 및
    상기 이형지(200) 상부에 고정되며 피부에 부착되는 원형의 점착시트(100)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 이형지(210)는, 소정의 복원력을 갖도록 두께가 20 내지 300 ㎛이고, 상기 분리 이형지(220) 상면에 상기 점착시트(100)가 위치하는 것을 시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단어, 무늬 및 도형 중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제1 식별부(213)가 상기 고정 이형지(210) 소정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분리 이형지(220)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두 개의 원형과 상기 두 개의 원형을 연결하는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함몰부(221)가 구비된 형상으로, 소정의 복원력을 갖도록 두께가 20 내지 300 ㎛이고, 일측 원형 내부 상면에는 점착시트(100)의 부착위치와 파지영역을 시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절개부(211)를 따라 구비된 띠 형상의 제2 식별부(222), 및 촉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돌기로 이루어진 제3 식별부(223)가 구비되고,
    상기 분리 이형지(220) 외주연부를 따라 형성된 고정 이형지(210)의 절개부(211), 상기 두 개의 원형 중심점을 통과하는 가상의 연장선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위치에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는 상기 점착시트(100)와 중첩되지 않은 일측 원형 외주연부에 구비된 2개의 연결부(212) 및 타측 원형의 소정 영역이 상기 점착시트(100) 하면에 중첩되어 상기 고정 이형지(210)에 고정되어, 분리 이형지(220)의 분리시에는 분리 이형지(220) 상면에 점착시트(100)가 부착된 상태로 분리되는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장치로서,
    이형지(200)가 권취되어 있는 이형지 공급 보빙(300);
    상기 이형지 공급 보빙(300)으로부터 공급된 이형지(200)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함몰부(221)가 형성된 두 개의 원형이 연결된 형상으로 분리 이형지(220)를 성형하는 상기 이형지 공급 보빙(300) 일측에 위치하는 분리 이형지 성형부(320);
    일측면에 점착시트 보호필름(100′)이 부착되어 있는 점착시트(100)가 권취된 점착시트 공급 보빙(400);
    점착시트 공급 보빙(400)으로부터 공급된 점착시트(100)에서 점착시트 보호필름(100′)을 분리하고, 분리된 점착시트 보호필름(100′)을 회수하는 점착시트 보호필름 회수 보빙(410);
    점착시트 보호필름(100′)이 분리된 점착시트(100)를 공급하여 분리 이형지(220)가 성형된 이형지(200)와 합지시키는 점착시트 공급롤러(420);
    소정 영역이 상기 분리 이형지(220)와 중첩되도록 점착시트(100)를 소정 모양으로 절단하는 점착시트 절단부(440);
    이형지(200)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는 이형지 절단부(460);
    이형지(200) 상부에 포장지를 공급하는 포장지 상부 공급 보빙(500);
    이형지(200) 하부에 포장지를 공급하는 포장지 하부 공급 보빙(510); 및
    이형지(200)가 밀봉되도록 상부와 하부 포장지를 접합시키는 포장지 열씰링금형부(520)를 포함하되,
    분리 이형지 성형부(320)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함몰부(221)가 형성되도록 두 개의 원형이 연결된 분리 이형지(220) 형상에 대응되는 성형용 칼날이 표면에 구비된 한 쌍의 회전하는 압착 롤러이고,
    이형지 절단부(460)는, 이형지(200)를 소정 모양으로 연속적으로 절단할 수 있도록 성형용 칼날이 표면에 구비된 한 쌍의 회전하는 압착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점착시트(100)에 소정 모양으로 베벨링을 형성하는 점착시트 베벨링 성형부(43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장치.
KR1020170156940A 2017-04-20 2017-11-23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8426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942 2017-04-20
KR20170050942 2017-04-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2697B1 true KR101842697B1 (ko) 2018-03-27

Family

ID=61874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6940A KR101842697B1 (ko) 2017-04-20 2017-11-23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269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8050B1 (ko) * 2019-09-25 2020-01-20 박영준 의료용 드레싱재 및 제조방법
KR102086400B1 (ko) 2019-06-12 2020-03-09 김상기 집적화된 하이드로콜로이드 패치의 성형방법 및 성형용 금형
KR20200026527A (ko) * 2018-09-03 2020-03-11 고현준 얇은 두께의 가장자리를 갖는 드레싱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200129433A (ko) * 2019-05-08 2020-11-18 주식회사 액트엠 습윤 밴드 제조 설비 및 이를 사용한 습윤 밴드 제조 방법
KR20210057929A (ko) * 2019-11-13 2021-05-24 박영준 의료용 드레싱재 제조장치
CN113855391A (zh) * 2021-11-04 2021-12-31 河北广艺高新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导管固定贴的生产工艺及生产设备
KR20230037854A (ko) * 2021-09-10 2023-03-17 주식회사 영우 마커 인식을 이용한 피부용 패치 제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4562B1 (ko) * 2015-07-08 2016-05-26 김연택 하이드로 콜로이드 제조방법 및 그의 제품
KR101690703B1 (ko) * 2016-07-29 2016-12-28 (주)네오메디제약 개봉이 용이한 일회용 의료밴드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4562B1 (ko) * 2015-07-08 2016-05-26 김연택 하이드로 콜로이드 제조방법 및 그의 제품
KR101690703B1 (ko) * 2016-07-29 2016-12-28 (주)네오메디제약 개봉이 용이한 일회용 의료밴드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6527A (ko) * 2018-09-03 2020-03-11 고현준 얇은 두께의 가장자리를 갖는 드레싱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205652B1 (ko) 2018-09-03 2021-01-21 고현준 얇은 두께의 가장자리를 갖는 드레싱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200129433A (ko) * 2019-05-08 2020-11-18 주식회사 액트엠 습윤 밴드 제조 설비 및 이를 사용한 습윤 밴드 제조 방법
KR102258076B1 (ko) 2019-05-08 2021-05-31 주식회사 액트엠 습윤 밴드 제조 설비 및 이를 사용한 습윤 밴드 제조 방법
KR102086400B1 (ko) 2019-06-12 2020-03-09 김상기 집적화된 하이드로콜로이드 패치의 성형방법 및 성형용 금형
KR102068050B1 (ko) * 2019-09-25 2020-01-20 박영준 의료용 드레싱재 및 제조방법
WO2021060610A1 (ko) * 2019-09-25 2021-04-01 박영준 의료용 드레싱재 및 제조방법
KR20210057929A (ko) * 2019-11-13 2021-05-24 박영준 의료용 드레싱재 제조장치
KR102311714B1 (ko) * 2019-11-13 2021-10-12 박영준 의료용 드레싱재 제조장치
KR20230037854A (ko) * 2021-09-10 2023-03-17 주식회사 영우 마커 인식을 이용한 피부용 패치 제조장치
KR102633740B1 (ko) * 2021-09-10 2024-02-06 주식회사 영우 마커 인식을 이용한 피부용 패치 제조장치
CN113855391A (zh) * 2021-11-04 2021-12-31 河北广艺高新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导管固定贴的生产工艺及生产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2697B1 (ko)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736212B1 (ko) 의료용 드레싱재
KR102068050B1 (ko) 의료용 드레싱재 및 제조방법
WO2012029831A1 (ja) 貼付体シート、及び、その使用、並びに、貼付体シートの貼付方法
KR102311714B1 (ko) 의료용 드레싱재 제조장치
KR20160054388A (ko) 분리가 간편한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
EP2482774B1 (en) A method of attaching grip tabs to the carrier layer of a film dressing
US9468561B2 (en) Medical dressing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CN1190885A (zh) 用于一次性吸湿制品的带状接头式紧固件
KR101934882B1 (ko) 지압용 밴드의 제조방법 및 제조 장치
KR20150134030A (ko) 의료용 드레싱 밴드의 제조방법
KR101916582B1 (ko) 지압용 밴드
CN103189097A (zh) 带药剂的支承体及其制造方法
JP2013255856A (ja) 貼付体シート
KR20210097069A (ko) 의료용 드레싱재 및 제조방법
US20180243141A1 (en) Medical dressing patch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80110397A (ko) 롤형 의료용 밴드
KR102633740B1 (ko) 마커 인식을 이용한 피부용 패치 제조장치
KR20230146289A (ko) 의료용 드레싱 밴드 및 제조방법
KR102033955B1 (ko) 다층필름의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KR102618189B1 (ko) 마이크로니들 패치 조립체 제조를 위한 하이드로콜로이드에부착된 이형지의 분리 제거 장치
CN219361569U (zh) 一种贴剂包装系统
US3288135A (en) Drape
KR102622473B1 (ko) 의료용 드레싱 밴드 제조방법
KR20200080575A (ko) 자석 재질의 지압용 밴드, 이의 제조방법 및 제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