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5652B1 - 얇은 두께의 가장자리를 갖는 드레싱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얇은 두께의 가장자리를 갖는 드레싱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5652B1
KR102205652B1 KR1020180104576A KR20180104576A KR102205652B1 KR 102205652 B1 KR102205652 B1 KR 102205652B1 KR 1020180104576 A KR1020180104576 A KR 1020180104576A KR 20180104576 A KR20180104576 A KR 20180104576A KR 102205652 B1 KR102205652 B1 KR 102205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dressing material
press
fabric
mold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4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6527A (ko
Inventor
고현준
Original Assignee
고현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현준 filed Critical 고현준
Priority to KR1020180104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5652B1/ko
Publication of KR20200026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6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7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A61F13/0289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manufacturing of adhesive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0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 A61F13/021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the fluid retention member being a layer of hydrocolloid, gel forming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544Plasters form or structure
    • A61F2013/00604Multilayer
    • A61F2013/00612Multilayer with different thick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727Plasters means for wound humidity control
    • A61F2013/00748Plasters means for wound humidity control with hydrocolloids or superabsorb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얇은 두께의 가장자리를 갖는 드레싱재의 제조장치는 회전하면서 드레싱재 원단(A)을 베벨링 형상으로 프레스 성형하는 로터리식 제1 프레스롤러(11)를 갖는 제1 성형장치(10); 및 회전하면서 제1 성형장치(10)를 거친 드레싱재 원단(A)을 베벨링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반복하여 프레스 성형하는 로터리식 제2 프레스롤러(21)를 갖는 제2 성형장치(20)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프레스롤러(11, 21) 상에 연속하여 배열되는 복수의 제1 및 제2 프레스면(12, 22)에는 각각 드레싱재 원단(A)이 중앙부가 두껍고 가장자리가 얇게 베벨링된 형상으로 성형되도록 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제1 및 제2 성형부(13, 23)가 형성되고, 제1 성형장치(10)에 의한 프레스 성형 후에 제2 성형장치(20)에 의한 프레스 성형이 연속하여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얇은 두께의 가장자리를 갖는 드레싱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DRESSING PATCH HAVING A THIN THICKNESS EDGE}
본 발명은 화상, 창상, 외상 등과 같은 피부의 상처를 보호함과 동시에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얇은 두께의 가장자리를 갖는 드레싱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단을 프레스 성형하는 시간을 크게 단축시키고, 열이 지속적으로 가해지지 않더라도 원단이 쉽게 복원되지 않고 효과적으로 성형되도록 하는 드레싱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 창상, 외상 등과 같은 피부의 상처가 발생하게 되면 피부의 보호 작용이 상실되어 여러 가지 부작용과 외부로부터의 세균감염 등을 일으켜 환부의 치료를 어렵게 하거나 이차적인 기능장애 또는 손상 등과 같은 추가적인 부작용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피부에 발생한 상처의 치료를 신속하게 하고 이차적인 각종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적절한 드레싱을 이용한 상처 치료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드레싱을 위하여 종래에는 거즈형 드레싱재가 사용되었는데, 이는 상처 분비물의 흡수는 용이하지만 세균, 박테리아 등의 감염에 대한 방어기능이 없고 상처를 건조한 상태로 유지시켜 치료를 지연시킬 뿐만 아니라, 상처면에 부착된 드레싱재의 교환시의 제거가 용이하지 않으며, 치유 초기 단계에서는 삼출물이 많기 때문에 하루에도 몇 번씩 드레싱을 교환해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 근래에는 이러한 거즈형 드레싱재의 문제점을 개선한 필름 드레싱재,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재,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특히,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재는 점착력을 가지는 소수성의 고무상 매트릭스 부착면에 친수성의 하이드로콜로이드 고분자가 분산되어 있는 형태로서,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재는 흡습성과 습윤 환경 유지에 기인하는 상처보호능력과 뛰어난 점착력을 가지고 있어 최근에 널리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드레싱재는 적절한 흡수성과 상처치유능력 발현을 위해 일정수준 이상의 두께(약, 100 ~ 2000μm)로 형성되어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두께의 드레싱재를 피부에 부착하였을 경우 비록 점착력이 우수하다 하더라도 부착시간이 오래됨에 따라 상처분비물이 드레싱재의 가장자리로 흘러나오거나, 피부와 드레싱재의 모듈러스 차이에 의해 피부의 탄성을 드레싱재가 견디지 못하면서 드레싱재의 가장자리가 피부에서 쉽게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87287호 및 제10-1248121호에서는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재의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를 중앙부에 비해 얇게 형성하여 점착력이 보다 오래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이를 베벨링이라고 한다.
상기 특허문헌들에서의 드레싱재의 제조장치는 성형부를 통과하는 밴드용 원단을 프레스하여 성형하는 피스톤식 성형장치를 채택하고 있다. 일 예로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특허문헌들에서는 피스톤식 성형장치(1)를 통하여 유압 또는 공압식 가압실린더(2)에 의한 상부 금형(3)의 하강동작에 의해, 드레싱재 원단(4)의 중간부분은 두껍고 외곽은 얇게 베벨링된 상태로 프레스 성형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피스톤식 성형장치에는 고체에 가까운 상태로 굳어 있는 하이드로콜로이드로 이루어진 드레싱재 원단을 정교하게 성형하기 위하여, 약 80℃ 정도의 온도로 드레싱재 원단의 성형될 부분을 가열하는 가열 장치가 필요하다. 가열 장치에 의하여 가열된 드레싱재 원단은 피스톤식 성형장치에 의하여 눌려지면서 성형되는데, 이때, 하이드로콜로이드로 이루어진 드레싱재 원단은 탄력이 있으므로 성형 전 상태로 복원되려는 성질을 갖는다.
원단이 복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의 성형장치에서는 성형장치가 원단의 성형부분을 프레스 성형하는 시간이 길어야 할 뿐만 아니라, 성형과정 동안 원단이 고온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종래의 피스톤식 성형장치는 드레싱재 완제품의 생산속도가 현저하게 느릴 뿐만 아니라, 성형과정에서의 제조비용이 높아지므로, 제품단가도 함께 높아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단을 프레스 성형하는 시간을 크게 단축시키고, 열이 지속적으로 가해지지 않더라도 원단이 쉽게 복원되지 않고 효과적으로 성형되도록 하는 드레싱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런 목적은, 본 발명에서의 성형장치가 로터리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2개의 프레스 롤러에 의한 다중 프레스 성형장치와, 다중 프레스 성형을 위한 피치조절기를 갖도록 구성됨을 전제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연속하는 로터리식의 성형장치 사이의 원단의 장력을 조절하여 동일한 위치에서 원단의 반복 베벨링 성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정교한 베벨링 성형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얇은 두께의 가장자리를 갖는 드레싱재의 제조장치는, 회전하면서 드레싱재 원단을 베벨링 형상으로 프레스 성형하는 로터리식 제1 프레스롤러를 갖는 제1 성형장치; 및 회전하면서 제1 성형장치를 거친 드레싱재 원단을 상기 베벨링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반복하여 프레스 성형하는 로터리식 제2 프레스롤러를 갖는 제2 성형장치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프레스롤러 상에 연속하여 배열되는 복수의 제1 및 제2 프레스면에는 각각 드레싱재 원단이 중앙부가 두껍고 가장자리가 얇게 베벨링된 형상으로 성형되도록 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제1 및 제2 성형부가 형성되고, 제1 성형장치에 의한 프레스 성형 후에 제2 성형장치에 의한 프레스 성형이 연속하여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얇은 두께의 가장자리를 갖는 드레싱재의 제조장치는, 제1 성형장치에 의해 성형된 드레싱재 원단 상의 베벨링 위치와 제2 성형장치에 의해 성형된 드레싱재 원단 상의 베벨링 위치가 일치되도록 반복 프레스 성형하기 위하여, 제1 성형장치와 제2 성형장치 사이에서 드레싱재 원단의 장력을 조절가능한 장력조절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얇은 두께의 가장자리를 갖는 드레싱재의 제조장치에서, 복수의 제1 및 제2 성형부는 제1 및 제2 프레스롤러 상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얇은 두께의 가장자리를 갖는 드레싱재의 제조장치에서, 장력조절장치는 장력조절부 및 장력조절부와 연결된 피치조절부를 포함하며, 피치조절부는 장력조절부의 위치를 조절가능하고, 장력조절부는 제1 성형장치로부터 제2 성형장치로 이동하는 드레싱재 원단과 접촉하면서 상하로 움직임으로써, 제1 성형장치와 제2 성형장치에 의하여 동일한 부분이 반복하여 프레스 성형되도록 원단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얇은 두께의 가장자리를 갖는 드레싱재의 제조방법은, 제1 성형장치의 로터리식 제1 프레스롤러가 회전하면서 드레싱재 원단을 베벨링 형상으로 프레스 성형하는 제1 성형공정; 및 제2 성형장치의 로터리식 제2 프레스롤러가 회전하면서 제1 성형장치를 거친 드레싱재 원단을 베벨링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반복하여 프레스 성형하는 제2 성형공정을 포함하며, 제1 및 제2 성형공정에서는 드레싱재 원단이 중앙부가 두껍고 가장자리가 얇게 베벨링된 형상으로 성형되도록 하고, 제1 성형공정 후에 제2 성형공정이 연속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얇은 두께의 가장자리를 갖는 드레싱재의 제조방법은, 제1 성형장치에 의해 성형된 드레싱재 원단 상의 베벨링 위치와 제2 성형장치에 의해 성형된 드레싱재 원단 상의 베벨링 위치가 일치되도록 반복 프레스 성형하기 위하여, 제1 성형장치와 제2 성형장치 사이에서 장력조절장치로 원단의 장력을 조절하는 피치조절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은 원단을 프레스 성형하는 시간을 크게 단축시키고, 열이 지속적으로 가해지지 않더라도 원단이 쉽게 복원되지 않고 효과적으로 성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연속하는 로터리식의 성형장치 사이의 원단의 장력을 조절하여 동일한 위치에서 원단의 장력을 조절하여 동일한 위치에서 원단의 반복 베벨링 성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정교한 베벨링 성형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지나가는 밴드용 원단을 찍어서 성형하는 피스톤식 성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드레싱재의 제조장치에서 생산된 얇은 두께의 가장자리를 갖는 드레싱재의 포장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드레싱재의 이형지를 절취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드레싱재의 이형지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얇은 두께의 가장자리를 갖는 드레싱재의 제조장치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성형장치에서의 제1 프레스롤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성형장치에서의 제2 프레스롤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장력조절장치와 그 연결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성형장치와 제2 성형장치의 상세 구조 및 그 사이의 장력조절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성형장치의 제1 성형부 및 제2 성형장치의 제2 성형부를 펼쳐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얇은 두께의 가장자리를 갖는 드레싱재의 제조방법의 각 공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명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출원의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의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 내지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얇은 두께의 가장자리를 갖는 드레싱재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는 대략 스팟(spot) 형태로 이루어지고 외곽은 얇은 두께로 베벨링 성형되며 일정간격 이격된 복수의 드레싱재(R) 하면에 드레싱재(R)를 쉽게 떼어낼 수 있도록 파단선(L)이 형성된 투명한 이형지(B)가 적층 부착되고, 상기 드레싱재(R)의 상부에는 얇은 두께로 이루어진 보호용 필름(C)이 부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한 복수의 드레싱재(R)는 상, 하부 포장지(F, G) 내부에 포장단위마다 밀봉 상태로 포장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드레싱재(R)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는 두껍고 가장자리 부분은 얇은 두께로 베벨링 성형되어 환부에 부착시 잘 떨어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 드레싱재(R)의 소재는 하이드로콜로이드, 폴리우레탄 폼 등을 포함하며,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형지(B)가 부착된 시트 상의 드레싱재 원단(A)을 제1 및 제2 성형장치(10, 20)를 거쳐 내측 중앙부는 두껍고 가장자리 부분은 얇은 두께로 성형되는데, 이 드레싱재의 크기와 형태는 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드레싱재(R)의 아래에 부착되는 이형지(B)에 형성된 파단선(L)은 낱개의 드레싱재(R)를 피부에 부착하기 위하여 이형지(B)에서 떼어낼 때, 드레싱재(R)가 손상되거나 접히지 않은 원래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손으로 드레싱재(R)를 떼어서 붙이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 파단선(L)은 대략 드레싱재(R)의 중앙을 지나도록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직선형 또는 파형(곡선형)으로 형성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떼어내고자 하는 드레싱재(R)를 경계로 한 손으로는 일측 이형지(B)를 잡고 다른 손으로는 타측 이형지(B')를 손으로 잡아 파단선(L)을 분리시켜주게 되면 드레싱재(R)의 절반부분이 이형지(B)로부터 떨어지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드레싱재(R)의 노출부분을 손이나 핀셋 등과 같은 도구로 잡아 떼어서 환부에 부착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에서 낱개의 드레싱재(R)를 포장하기 위한 상, 하부 포장지(F, G)는 열이나 고주파 또는 초음파 융착에 의해 외곽이 밀봉되어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얇은 두께의 가장자리를 갖는 드레싱재의 제조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드레싱재의 제조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형지(B)가 부착된 드레싱재 원단(A)이 풀리면서 공급되는 원단공급부(110)와; 상기 원단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드레싱재 원단(A)의 경로를 고정시켜 성형공정으로 공급하도록 하는 아이들 롤러(120)와; 상기 아이들 롤러(120)를 통과한 드레싱재 원단을 소정 형태가 되도록 프레스 성형하는 성형기(130)와; 상기 성형기에서 성형된 드레싱재를 이형지의 손상없이 낱개로 커팅하기 위한 커팅 롤러(140)와; 드레싱재와 보호용 필름이 부착된 이형지를 포장단위로 커팅하는 이형지 커팅기(150)와; 상기 이형지 커팅기에서 커팅된 이형지 잔재(C)를 회수하는 이형지 잔재 회수기(160)와; 드레싱재 원단(A) 아래의 이형지(B)에 파단선(L)을 형성하기 위한 반칼 유니트(170)와; 포장단위로 커팅된 드레싱재를 포장간격으로 재배치하는 피치변환기(180)와; 상기 피치변환된 단위 드레싱재를 포장하기 위하여 상, 하부 포장지(D, F)를 공급하여 실링하는 포장기(190)와; 상기 포장기에서 실링된 드레싱지의 포장지를 낱개로 커팅하기 위한 포장 커팅기(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성형기(13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기술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얇은 두께의 가장자리를 갖는 드레싱재의 제조장치의 성형기(130)는 제1 성형장치(10), 제2 성형장치(20)를 포함하며, 나아가 제1 성형장치(10)와 제2 성형장치(20) 사이에 원단의 장력을 조절가능한 장력조절장치(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성형장치(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면서 이형지(B)가 부착된 드레싱재 원단(A)을 베벨링 형상으로 프레스 성형하는 로터리식 제1 프레스롤러(11)를 갖는다. 또한, 제1 프레스롤러(11) 하부에는 공급되는 원단을 받치면서 제1 프레스롤러(11)에 의한 프레스 성형을 보조하는 제1 보조롤러(14)가 구성된다. 원단은 제1 프레스롤러(11)와 제1 보조롤러(14) 사이로 들어가면서 제1 프레스롤러(11)에 의하여 프레스 성형된다. 도 5에서는 제1 성형장치(10)와 제2 성형장치(20)에 의해 본 발명의 드레싱재의 제조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제1 성형장치(10)만으로도 본 발명의 드레싱재의 제조공정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 성형장치(20)는,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면서 제1 성형장치(10)를 거친 드레싱재 원단(A)을 상기 베벨링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반복하여 프레스 성형하는 로터리식 제2 프레스롤러(21)를 갖는다. 또한, 제2 프레스롤러(21) 하부에는 공급되는 원단을 받치면서 제2 프레스롤러(21)에 의한 프레스 성형을 보조하는 제2 보조롤러(24)가 구성된다. 원단(A)은 제2 프레스롤러(21)와 제2 보조롤러(24) 사이로 들어가면서 제2 프레스롤러(21)에 의하여 프레스 성형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프레스롤러(11, 21) 상에 연속하여 배열되는 복수의 제1 및 제2 프레스면(12, 22)에는 각각 드레싱재 원단(A)이 중앙부가 두껍고 가장자리가 얇게 베벨링된 형상으로 성형하도록 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제1 및 제2 성형부(13, 23)가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1 및 제2 프레스롤러(11, 21)와 제1 및 제2 보조롤러(14, 24) 사이로 들어가는 원단(A)은 제1 및 제2 프레스롤러(11, 21)상에 형성된 제1 및 제2 성형부(13, 23)에 의해 베벨링된 형상으로 성형되며, 제1 성형장치(10)에 의한 프레스 성형 후에 제2 성형장치(20)에 의한 프레스 성형이 연속하여 수행되도록 구성된다. 다만, 이러한 연속 성형은 제1 및 제2 성형장치(10, 20) 사이에서의 임의의 과정을 배제하는 의미는 아니며, 성형과정에서 원단이 복원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짧은 시간 내에 이차적인 성형이 연이어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도 10(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얇은 두께의 가장자리를 갖는 드레싱재를 제조하기 위하여 이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1 및 제2 성형부(13, 23)가 도 9의 형태로 제1 및 제2 프레스롤러(11, 21) 상에 연속하여 배열된다. 원단(A)은 제1 프레스롤러(11)의 제1 성형부(13) 의하여 일차적으로 프레스 성형되며, 연속적으로 제2 프레스롤러(21)의 제2 성형부(23)에 의하여 이차적으로 프레스 성형됨으로써, 원단(A)은 사전에 정해진 베벨링된 형상으로 더욱 정교하게 성형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프레스롤러(11, 21) 상에 연속하여 배열되는 복수의 제1 및 제2 성형부(13, 23)는 상기 제1 및 제2 프레스롤러(11, 21) 상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을 갖는 제1 및 제2 프레스롤러(11, 21)에 의해 성형되는 베벨링된 드레싱재는 상기 일정 간격 이격된 제1 및 제2 성형부(13, 23)에 의하여 투영된 형상을 가지므로, 이러한 이격된 형상들의 집합 사이에 형성되는 절취선을 통하여 드레싱재를 쉽게 절단 가공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프레스롤러(11, 21)에 의한 두 번에 걸친 이차 프레스 성형에 의하여, 원단을 프레스 성형하는 시간을 크게 단축시키고, 열이 지속적으로 가해지지 않더라도 원단이 쉽게 복원되지 않고 효과적으로 성형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종래의 피스톤식 성형장치에서는 원단이 성형과정에서 복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성형장치가 원단의 성형부분을 프레스 성형하는 시간이 길어야 할 뿐만 아니라, 성형과정 동안 원단이 고온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드레싱재 완제품의 생산속도가 현저하게 느려질 뿐만 아니라, 성형과정에서 제조비용이 높아지므로, 제품단가도 함께 높아지게 된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은 로터리 방식의 이차적인 성형 방식을 통하여, 프레스 성형 직전에 원단을 가열하는 것을 최소화하거나 또는 가열하지 않고도, 빠르고 정교하게 드레싱재 원단을 베벨링된 드레싱재로 만들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의 피스톤식 성형장치에서는 원단을 누른 다음 고온을 가하면서 대기하는 시간이 반드시 필요한 반면, 본 발명의 로터리식 이차 프레스 성형장치에서는 이와 같은 대기 시간이 없이도 이형지를 빠르게 공급하면서 연속적으로 베벨링된 드레싱재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의 원단을 성형하는 성형장치는 반드시 제1 및 제2 성형장치(10, 20)의 두 개로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한 개의 성형장치로 이루어지거나 세 개 이상의 성형장치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 개의 성형장치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한 개의 성형장치 내에 복수개의 롤러를 배치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세 개 이상의 성형장치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이러한 복수의 성형장치들이 연속적으로 같은 모양을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며, 나아가 같은 모양이 아니라도 예를 들어, 두 개의 성형장치는 특정 형태의 성형을 수행하며, 나머지 두 개의 성형장치는 중첩되거나 그 외의 다른 특정 형태의 성형을 연속하여 수행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연속되는 복수의 성형장치를 통하여 사전에 정해진 다양한 형태를 드레싱재 원단상에 투영하는 방식으로 성형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도 8(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성형장치(10)와 제2 성형장치(20) 사이에는 장력조절장치(3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장력조절장치(30)는 제1 성형장치(10)에 의해 프레스 성형된 드레싱재 원단(A)이 제2 성형장치(20)에 의해 동일한 위치에서 베벨링 형상으로 반복 프레스 성형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1 성형장치(10)와 제2 성형장치(20) 사이에서 드레싱재 원단(A)의 장력을 조절가능하도록 한다.
즉, 장력조절장치(30)는 제1 성형장치(10)에 의해 성형된 드레싱재 원단(A) 상의 베벨링 위치와 제2 성형장치(20)에 의해 성형된 드레싱재 원단(A) 상의 베벨링 위치가 일치되도록 반복 프레스 성형하기 위하여, 제1 성형장치(10)와 제2 성형장치(20) 사이에서 드레싱재 원단(A)의 장력을 조절가능한 장치이다.
상기 장력조절장치(30)는 장력조절부(31) 및 장력조절부(31)와 연결된 피치조절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피치조절부(32)는 장력조절부(31)의 위치를 조절가능하고, 장력조절부(31)는 제1 성형장치(10)로부터 제2 성형장치(20)로 이동하는 드레싱재 원단(A)과 접촉하면서 상하로 움직임으로써 원단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피치조절부(32)가 모터 혹은 작업자에 의하여 조절됨으로써 그와 연결된 장력조절부(31)가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장력조절부(31)가 원단의 하부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하부에서 상부로 장력조절부(31)의 돌출된 부분을 원단(A)으로 가압함으로써 원단의 장력을 크게 조절할 수 있으며, 장력조절부(31)가 원단의 상부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장력조절부(31)의 돌출된 부분을 원단(A)으로 가압함으로써 마찬가지로 원단의 장력을 크게 조절할 수 있다. 다만, 피치조절부(32)는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부(31)를 구동하게 하기 위한 보조적인 임의의 장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피치조절부(32)는 예를 들어, 손잡이 부분과 손잡이 부분에 연결된 나선형의 티스가 있어, 피치조절부(32)의 나선형의 티스와 장력조절부(31)의 단부에 연결된 나사상의 티스가 서로 수직하게 치합되면서 피치조절부(32)를 돌림으로써 장력조절부(31)의 단부의 높이를 조절하여 장력조절부(31)를 승하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장력조절장치(30)에 의한 원단(A)의 장력 조절은 제1 성형장치(10)와 제2 성형장치(20)에 의하여 원단(A)의 동일한 부분이 반복하여 프레스 성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 성형장치(10)와 제2 성형장치(20) 사이의 원단(A)의 장력의 정도에 따라 제1 및 제2 성형장치(10, 20)에 의하여 프레스 성형되는 부분이 조금이라도 달라지게 되면, 베벨링된 드레싱재의 완성품에 있어서 불량률이 크게 높아지게 되므로, 본 발명의 장력조절장치(30)를 통하여 이를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장력조절장치(30)를 통하여 연속하는 로터리식의 성형장치 사이의 원단(A)의 장력을 조절하여 동일한 위치에서 원단의 반복 베벨링 성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정교한 베벨링 성형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성형장치가 제1 및 제2 성형장치(10, 20)에 제한되지 않고 세 개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각각의 성형장치 사이의 임의의 부분에 상술한 바와 같은 장력조절장치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베벨링된 드레싱재의 제조장치를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얇은 두께의 가장자리를 갖는 드레싱재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레싱재 원단을 중앙부에 비해 얇은 두께의 가장자리를 갖는 드레싱재로 만드는 제조방법은, 제1 성형장치(10)의 제1 프레스롤러(11)가 회전하면서 드레싱재 원단(A)을 베벨링 형상으로 로터리식 프레스 성형하는 제1 성형 공정(S10), 및 제2 성형장치(20)의 제2 프레스롤러(21)가 회전하면서 제1 성형장치(1)를 거친 드레싱재 원단(A)을 상기 베벨링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반복하여 로터리식 프레스 성형하는 제2 성형 공정(S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성형공정(S10, S20)에서는 드레싱재 원단(A)의 중앙부가 두껍고 가장자리가 얇게 베벨링된 형상으로 성형되도록 하고, 제1 성형공정(S10) 후에 제2 성형공정(S20)이 연속하여 수행된다.
나아가, 상기 제조방법은 제1 성형장치(10)에 의해 성형된 드레싱재 원단(A) 상의 베벨링 위치와 제2 성형장치(20)에 의해 성형된 드레싱재 원단(A) 상의 베벨링 위치가 일치되도록 반복 프레스 성형하기 위하여, 제1 성형장치(10)와 제2 성형장치(20) 사이에서 장력조절장치(30)로 원단(A)의 장력을 조절하는 피치조절공정(S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로터리식의 반복 프레스 방식을 통하여, 원단을 가압 성형하는 시간이 피스톤식의 성형방식보다 크게 단축될 뿐만 아니라, 열이 지속적으로 가해지지 않더라도 원단이 쉽게 복원되지 않고 효과적으로 성형되도록 한다. 나아가, 연속하는 로터리식의 성형장치 사이의 원단의 장력을 조절하여 동일한 위치에서 원단의 반복 베벨링 성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정교한 베벨링 성형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및/또는 변경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그에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제1 성형장치 11: 제1 프레스롤러
12: 제1 프레스면 13: 제1 성형부
20: 제2 성형장치 21: 제2 프레스롤러
22: 제2 프레스면 23: 제2 성형부
30: 장력조절장치 31: 장력조절부
32: 피치조절부 A: 드레싱재 원단
S10: 제1 성형공정 S20: 제2 성형공정
S30: 피치조절공정

Claims (6)

  1. 드레싱재 원단을 중앙부에 비해 얇은 두께의 가장자리를 갖는 드레싱재로 만드는 제조장치에 있어서,
    회전하면서 드레싱재 원단(A)을 베벨링 형상으로 프레스 성형하는 로터리식 제1 프레스롤러(11)를 갖는 제1 성형장치(10);
    회전하면서 상기 제1 성형장치(10)를 거친 드레싱재 원단(A)을 상기 베벨링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반복하여 프레스 성형하는 로터리식 제2 프레스롤러(21)를 갖는 제2 성형장치(20); 및
    상기 제1 성형장치(10)에 의해 성형된 드레싱재 원단(A) 상의 베벨링 위치와 제2 성형장치(20)에 의해 성형된 드레싱재 원단(A) 상의 베벨링 위치가 일치되도록 반복 프레스 성형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성형장치(10)와 상기 제2 성형장치(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성형장치(10)와 상기 제2 성형장치(20) 사이의 드레싱재 원단(A)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장치(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프레스롤러(11, 21) 상에 연속하여 배열되는 복수의 제1 및 제2 프레스면(12, 22)에는 각각 드레싱재 원단(A)이 중앙부가 두껍고 가장자리가 얇게 베벨링된 형상으로 성형되도록 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제1 및 제2 성형부(13, 23)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성형장치(10)에 의한 프레스 성형 후에 상기 제2 성형장치(20)에 의한 프레스 성형이 연속하여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얇은 두께의 가장자리를 갖는 드레싱재의 제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 성형부(13, 23)는 상기 제1 및 제2 프레스롤러(11, 21) 상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열되는
    얇은 두께의 가장자리를 갖는 드레싱재의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장치(30)는 장력조절부(31) 및 상기 장력조절부(31)와 연결된 피치조절부(32)를 포함하며,
    상기 피치조절부(32)는 상기 장력조절부(31)의 위치를 조절가능하고, 상기 장력조절부(31)는 제1 성형장치(10)로부터 제2 성형장치(20)로 이동하는 드레싱재 원단(A)과 접촉하면서 상하로 움직임으로써, 제1 성형장치(10)와 제2 성형장치(20)에 의하여 동일한 부분이 반복하여 프레스 성형되도록 원단(A)의 장력을 조절하는
    얇은 두께의 가장자리를 갖는 드레싱재의 제조장치.
  5. 드레싱재 원단을 중앙부에 비해 얇은 두께의 가장자리를 갖는 드레싱재로 만드는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1 성형장치(10)의 로터리식 제1 프레스롤러(11)가 회전하면서 드레싱재 원단(A)을 베벨링 형상으로 프레스 성형하는 제1 성형공정(S10);
    제2 성형장치(20)의 로터리식 제2 프레스롤러(21)가 회전하면서 상기 제1 성형장치(10)를 거친 드레싱재 원단(A)을 상기 베벨링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반복하여 프레스 성형하는 제2 성형공정(S20); 및
    상기 제1 성형장치(10)에 의해 성형된 드레싱재 원단(A) 상의 베벨링 위치와 제2 성형장치(20)에 의해 성형된 드레싱재 원단(A) 상의 베벨링 위치가 일치되도록 반복 프레스 성형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성형장치(10)와 상기 제2 성형장치(20) 사이에 배치된 장력조절장치(30)로 상기 제1 성형장치(10)와 상기 제2 성형장치(20) 사이의 드레싱재 원단(A)의 장력을 조절하는 피치조절공정(S3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성형공정(S10, S20)에서는 드레싱재 원단(A)이 중앙부가 두껍고 가장자리가 얇게 베벨링된 형상으로 성형되도록 하고,
    상기 제1 성형공정(S10) 후에 상기 제2 성형공정(S20)이 연속하여 수행되는
    얇은 두께의 가장자리를 갖는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6. 삭제
KR1020180104576A 2018-09-03 2018-09-03 얇은 두께의 가장자리를 갖는 드레싱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205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4576A KR102205652B1 (ko) 2018-09-03 2018-09-03 얇은 두께의 가장자리를 갖는 드레싱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4576A KR102205652B1 (ko) 2018-09-03 2018-09-03 얇은 두께의 가장자리를 갖는 드레싱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6527A KR20200026527A (ko) 2020-03-11
KR102205652B1 true KR102205652B1 (ko) 2021-01-21

Family

ID=69809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4576A KR102205652B1 (ko) 2018-09-03 2018-09-03 얇은 두께의 가장자리를 갖는 드레싱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565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287B1 (ko) * 2010-04-05 2010-10-12 박영준 얇은 두께의 가장자리를 갖는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KR101004818B1 (ko) 2010-07-08 2010-12-28 박영준 얇은 두께의 가장자리를 갖는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1248121B1 (ko) * 2012-08-31 2013-04-03 이종철 환부 보호용 드레싱재의 성형 및 포장장치
JP2017529114A (ja) * 2014-07-04 2017-10-05 リュイェ ファーマ アーゲーLuye Pharma AG 医療用パッチを製造するための装置
KR101842697B1 (ko) 2017-04-20 2018-03-27 박영준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287B1 (ko) * 2010-04-05 2010-10-12 박영준 얇은 두께의 가장자리를 갖는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KR101004818B1 (ko) 2010-07-08 2010-12-28 박영준 얇은 두께의 가장자리를 갖는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1248121B1 (ko) * 2012-08-31 2013-04-03 이종철 환부 보호용 드레싱재의 성형 및 포장장치
JP2017529114A (ja) * 2014-07-04 2017-10-05 リュイェ ファーマ アーゲーLuye Pharma AG 医療用パッチを製造するための装置
KR101842697B1 (ko) 2017-04-20 2018-03-27 박영준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6527A (ko) 202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8121B1 (ko) 환부 보호용 드레싱재의 성형 및 포장장치
US1159655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absorbent articles
KR102056627B1 (ko) 이형지 필름 상에 드레싱재를 다수개 부착시킨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 제조장치
EP302868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elasticized web with intermittent elastic sections
US428445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elastic bands transversely to a diaper line
US6719031B2 (en) Device for cutting out an article from a long tape and adhering the article to an adhesive tape
US440904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ecting intermittent securement of a stretched elastic member to a moving web
JP4973783B2 (ja) フィルム貼着装置及びフィルム貼着方法及び電子ペーパの製造方法
KR20070015091A (ko) 막 박리 방법 및 막 박리 장치
KR102329118B1 (ko) 패치 제조장치
KR101313495B1 (ko) 환부 보호용 드레싱재의 성형 및 포장장치
JPS6319601B2 (ko)
US2018035424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an elastic composite tape with intermittent elastic sections
KR102205652B1 (ko) 얇은 두께의 가장자리를 갖는 드레싱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US7438779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wearing article
US76770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films
KR102174580B1 (ko)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 포장 장치
KR101351064B1 (ko) 패치 제조 방법
KR102292540B1 (ko) 베벨링 타입 하이드로콜로이드 패치 제조 장치
KR102048717B1 (ko)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 제조를 위한 원단 이송장치
KR102151977B1 (ko)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 및 드레싱 밴드 포장체의 진공 흡착 이재기
KR102311714B1 (ko) 의료용 드레싱재 제조장치
KR101499389B1 (ko)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KR102258076B1 (ko) 습윤 밴드 제조 설비 및 이를 사용한 습윤 밴드 제조 방법
US20220331166A1 (en) Advanced Wound Dressing For Incisional Wounds That Provides Apposition Forces As A Result Of Fluid Absorp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