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7124B1 - 개인카드를 이용한 부정경비처리 방지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개인카드를 이용한 부정경비처리 방지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7124B1
KR101837124B1 KR1020160167212A KR20160167212A KR101837124B1 KR 101837124 B1 KR101837124 B1 KR 101837124B1 KR 1020160167212 A KR1020160167212 A KR 1020160167212A KR 20160167212 A KR20160167212 A KR 20160167212A KR 101837124 B1 KR101837124 B1 KR 101837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card
management service
servic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7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창규
Original Assignee
비즈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즈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즈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7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7124B1/ko
Priority to GB1702267.4A priority patent/GB2565993A/en
Priority to JP2017510673A priority patent/JP6680764B2/ja
Priority to PCT/KR2016/014644 priority patent/WO2018105800A1/ko
Priority to SG11201809590UA priority patent/SG11201809590U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12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6Transaction verification involving fraud or risk level assessment in transaction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3Solvency checks
    • G06Q20/4037Remote solvency che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5Establishing or using transaction specific ru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7Cancellation of a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개인카드를 이용한 부정경비처리 방지 시스템은, 개인카드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 및 관리 서비스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장치는, 카드사 서버로부터 개인카드 사용내역을 수신하고, 상기 개인카드 사용내역 중 경비처리를 위하여 제출할 것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을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을 경비처리를 위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장치는,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취소된 개인카드 사용내역을 더 수신하며, 상기 취소된 개인카드 사용내역을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에 전송된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과 비교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 중 취소된 사용내역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개인카드를 이용한 부정경비처리 방지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EVENTING INAPPROPRIATE EXPENSE PROCESSING USING PERSONAL CARD}
실시예들은 개인카드를 이용한 부정경비처리 방지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사의 임직원 등이 경비 목적으로 개인카드를 이용하여 지출한 내역 중 취소되는 내역을 자동 수집하여 부정경비처리를 방지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기업에서는 보통 비용 집행의 편의성을 위하여 소속 임직원들에게 법인공용카드 또는 법인개별카드를 발급한다. 그러나, 모든 임직원들에게 법인카드를 발급할 수는 없으므로, 법인카드를 발급받지 못한 임직원의 경우에는, 개인카드를 이용하여 경비를 지출하고 경비지출에 상응하는 지출 결의서를 작성하여 증빙서류(예컨대, 영수증)와 함께 기업의 경비처리 담당자에게 제출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제출 과정은 통상적으로 종이에 인쇄된 서류를 이용한 수기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지출 결의서의 승인이 완료된 후 승인 완료된 지출결의서를 편철하여 창고에 보관하거나 이미지로 스캔하여 서버에 저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회사의 경비 목적으로 사용한 내역이라 하더라도 개인정보 보호 및 사생활 침해 방지 등을 이유로 회사에서 직원의 카드 사용내역을 직접 수집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경비 지출이 발생하더라도 개인카드를 사용한 직원이 증빙서류를 첨부하여 제출하기 전까지는 경비처리 담당자가 지출 사실을 인지할 수 없다. 그러나, 개인카드를 사용한 직원의 입장에서는 종이 영수증 등 증빙서류를 첨부하여 지출 결의서를 작성하는 것은 모두 수작업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매우 번거로운 과정이므로, 지출결의서의 월말 집중발생에 따른 업무효율성 저하, 수작업에 따른 불필요한 업무처리시간 지연, 수작업에 따른 데이터 오류 및 데이터 누락, 및 종이 서류 작성을 위한 불필요한 부대비용 증대 등 각종 문제점을 고스란히 감수할 수밖에 없었다.
더구나, 직원이 개인카드를 이용하여 경비를 지출한 후 회사의 사정 변경이나 직원 개인의 악의적인 목적으로 제출한 사용 건을 취소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개인카드를 이용하여 사용된 건의 취소 내역을 회사에서 직접 수집하거나 통지받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사용 건의 취소 행위를 한 직원이 스스로 보고하지 않는 한 회사에서는 지출이 최종적으로 확정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회사의 입장에서는 직원의 개인카드의 사용으로 인하여 비용 지급의 정당성 및 향후 리스크 관리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9028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회사의 경비 목적으로 임직원 등이 자신의 개인카드를 사용하여 지출한 내역을 수집하여 경비처리 담당자에게 제출하며, 제출된 영수증의 취소 내역을 자동 수집하고 회사 관리자에게 제공되는 보고서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회사가 지급하지 않아야 할 비용의 지급 리스크를 사후에 검증할 수 있고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개인카드를 이용한 부정경비처리 방지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관리 서비스 서버, 사용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카드를 이용한 부정경비처리 방지 시스템은, 개인카드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 및 관리 서비스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장치는, 카드사 서버로부터 개인카드 사용내역을 수신하고, 상기 개인카드 사용내역 중 경비처리를 위하여 제출할 것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을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을 경비처리를 위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장치는,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취소된 개인카드 사용내역을 더 수신하며, 상기 취소된 개인카드 사용내역을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에 전송된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과 비교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 중 취소된 사용내역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장치는 주기적으로 상기 취소된 개인카드 사용내역을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수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장치는, 미리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사용자 장치상에서 실행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취소된 개인카드 사용내역을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수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카드를 이용한 부정경비처리 방지를 위한 관리 서비스 서버는, 개인카드 사용자의 제1 사용자 장치로부터, 개인카드 사용내역 중 경비처리를 위하여 제출할 것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과,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 중 취소된 사용내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부; 상기 통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을 경비처리를 위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과 상기 취소된 사용내역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을 갱신하도록 구성된 취소 이력 관리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취소 이력 관리부는, 경비처리를 위하여 제출된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의 취소 이력에 대한 보고서를 경비처리 담당자의 제2 사용자 장치에 제공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 및 상기 취소된 사용내역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에서 사용자의 계정 정보 또는 카드 정보를 이용한 스크래핑(scrapping) 또는 전자문서교환(Electronic Data Interchange; EDI) 방식으로 카드사 서버로부터 획득된 것이다. 이때,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는 상기 계정 정보 및 상기 카드 정보를 저장하지 않으며, 상기 제1 사용자 장치가 카드사 서버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는, 개인카드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사용자의 계정 정보 또는 카드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계정 정보 또는 상기 카드 정보를 이용한 스크래핑 또는 전자문서교환 방식으로 카드사 서버로부터 개인카드 사용내역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부; 상기 개인카드 사용내역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개인카드 사용내역에 기초하여, 경비처리를 위하여 제출할 사용내역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정보를 입력받도록 구성된 입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선택 정보에 의해 제출할 것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을 경비처리를 위하여 관리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계정 정보 또는 상기 카드 정보를 이용한 스크래핑 또는 전자문서교환 방식으로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취소된 개인카드 사용내역을 더 수신하고, 상기 취소된 개인카드 사용내역을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에 전송된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과 비교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 중 취소된 사용내역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부는 주기적으로 상기 취소된 개인카드 사용내역을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수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부는, 미리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사용자 장치상에서 실행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취소된 개인카드 사용내역을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수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취소된 개인카드 사용내역 수신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동으로 상기 취소된 개인카드 사용내역을 수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카드를 이용한 부정경비처리 방지 방법은, 관리 서비스 서버가, 개인카드 사용자의 제1 사용자 장치로부터 경비처리를 위하여 제출된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가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을 경비처리를 위하여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가 상기 제1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 중 취소된 사용내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가, 상기 취소된 사용내역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을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카드를 이용한 부정경비처리 방지 방법은, 경비처리를 위하여 제출된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의 취소 이력에 대한 보고서를 경비처리 담당자의 제2 사용자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 및 상기 취소된 사용내역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에서 사용자의 계정 정보 또는 카드 정보를 이용한 스크래핑 또는 전자문서교환 방식으로 카드사 서버로부터 획득된 것이다. 이때,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는 상기 계정 정보 및 상기 카드 정보를 저장하지 않으며, 상기 제1 사용자 장치가 카드사 서버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수신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카드를 이용한 부정경비처리 방지 방법은, 개인카드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계정 정보 또는 카드 정보를 이용한 스크래핑 또는 전자문서교환 방식으로 카드사 서버로부터 개인카드 사용내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장치상에 상기 개인카드 사용내역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장치상에 표시된 상기 개인카드 사용내역에 기초하여, 경비처리를 위하여 제출할 사용내역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치에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선택 정보에 의해 제출할 것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을 관리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계정 정보 또는 카드 정보를 이용한 스크래핑 또는 전자문서교환 방식으로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취소된 개인카드 사용내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취소된 개인카드 사용내역을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에 전송된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과 비교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 중 취소된 사용내역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취소된 개인카드 사용내역을 수신하는 단계는 주기적으로 수행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취소된 개인카드 사용내역을 수신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사용자 장치상에서 실행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수행된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취소된 개인카드 사용내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취소된 개인카드 사용내역 수신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동으로 수행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개인카드를 이용한 부정경비처리 방지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개인카드를 이용한 부정경비처리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회사의 경비 목적으로 개인카드를 사용하여 지출한 임직원 등이 자신의 사용자 장치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또는, 앱(app))을 통하여 사용내역을 용이하게 조회하고, 경비처리를 위해 제출할 사용내역에 대해 수신인을 지정하고 사용 용도 등을 기재하여 영수증 데이터를 경비처리 담당자에게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개인카드를 이용한 부정경비처리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경비처리를 위하여 제출된 사용내역 중 취소된 사용내역이 있는지 여부를 개인카드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에서 자동적으로 조회하고, 조회된 취소 내역을 관리 서비스 서버에 자동 전송함으로써, 회사가 지급하지 않아야 할 비용의 지급 리스크를 사후에 검증할 수 있고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개인카드를 이용한 부정경비처리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서, 개인카드 사용자가 제출하는 사용내역 및 취소 내역은 사용자 자신의 사용자 장치를 이용하여 카드사로부터 수신된 후 관리 서비스 서버에 전송되는 것이므로, 임직원의 개인정보 및 사생활에 대한 침해의 우려가 없으면서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개인카드 사용내역을 수집하고 검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개인카드를 이용한 부정경비처리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개인카드 사용자가 전송한 영수증 데이터와 사용 용도 등을 관리 서비스 서버에 저장하고, 지정된 경비처리 담당자에게 알림을 전송하여 경비처리를 수행하도록 수 있다. 나아가, 경비처리를 위하여 제출된 영수증 데이터 중 취소 내역에 대한 보고서를 경비처리 담당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후 검증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카드를 이용한 부정경비처리 방지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카드를 이용한 부정경비처리 방지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7은 실시예들에 따른 개인카드를 이용한 부정경비처리 방지를 위한 사용자 장치상의 예시적인 화면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8은 경비처리 담당자의 사용자 장치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비스 서버에 접속한 예시적인 화면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9는 경비처리 담당자의 사용자 장치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취소된 사용내역을 확인하기 위한 예시적인 화면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카드를 이용한 부정경비처리 방지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개인카드를 이용한 부정경비처리 방지 시스템은 개인카드 사용자의 제1 사용자 장치(1) 및 제1 사용자 장치(1)로부터 경비처리를 위하여 제출된 사용내역을 수신하는 관리 서비스 서버(3)를 포함한다. 제1 사용자 장치(1) 및 관리 서비스 서버(3)는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2)를 통하여 상호간에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1 사용자 장치(1)는 카드사 서버(4)와도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관리 서비스 서버(3)은 국세청 서버(5)와도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관리 서비스 서버(3)는 경비처리 담당자의 제2 사용자 장치(6)와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2)를 통한 통신 방법은 객체와 객체가 네트워킹 할 수 있는 모든 통신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선 통신, 무선 통신, 3G, 4G, 혹은 그 이외의 방법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2)는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GSM(Global System for Mobile Network),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LTE Advanced, IEEE802.16m, WirelessMAN-Advanced, HSPA+,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Mobile WiMAX (IEEE 802.16e), UMB (formerly EV-DO Rev. C), Flash-OFDM, iBurst and MBWA (IEEE 802.20) systems, HIPERMAN, Beam-Division Multiple Access (BDMA),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및 초음파 활용 통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법에 의한 통신 네트워크를 지칭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관리 서비스 서버(3)는 수신부(31), 저장부(32) 및 취소 이력 관리부(35)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관리 서비스 서버(3)는 알림 전송부(33)를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관리 서비스 서버(3)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34)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시스템, 사용자 장치 및 서버는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장치(1, 6) 및 관리 서비스 서버(3)와, 이들에 포함된 각 부(unit)는 특정 형식 및 내용의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또는/또한 전자통신 방식으로 주고받기 위한 하드웨어 및 이에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통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 "모듈", "장치", "단말기", "서버" 또는 "시스템" 등의 용어는 하드웨어 및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는 CPU 또는 다른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기기일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는 실행중인 프로세스, 객체(object), 실행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등을 지칭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비스 서버(3)를 구성하는 각각의 요소는 반드시 서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장치를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즉, 도 1의 수신부(31), 저장부(32), 알림 전송부(33), 사용자 데이터베이스(34) 및 취소 이력 관리부(35)는 관리 서비스 서버(3)를 구성하는 하드웨어를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에 따라 기능적으로 구분한 것일 뿐, 반드시 각각의 부가 서로 독립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는 수신부(31), 저장부(32), 알림 전송부(33), 사용자 데이터베이스(34) 및 취소 이력 관리부(35) 중 하나 이상이 서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장치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관리 서비스 서버(3)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인카드 사용자의 제1 사용자 장치(1)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또는, 앱(app))과 통신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의 기능 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는/또한, 관리 서비스 서버(3)는 제1 사용자 장치(1) 및 제2 사용자 장치(6)상에서 실행되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 등을 통하여 접속 가능한 소정의 웹 페이지(web page)를 제공하는 웹 서버(web server)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사용자 장치(1)는 스마트폰(smartphone)의 형태로 구현되며, 제1 사용자 장치(1)에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카드사 서버(4) 및 관리 서비스 서버(3)와 통신함으로써 경비처리를 위한 개인카드 사용내역 조회 및 영수증 제출 등을 수행한다. 그러나, 제1 사용자 장치(1)의 형태는 스마트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사용자 장치(1)는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notebook)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tablet),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등을 위한 셋톱박스(set-top box) 등 임의의 컴퓨팅 장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인카드의 사용자란, 회사의 경비 지출을 목적으로 카드를 사용하되 회사 명의의 법인카드가 아니라 개인 명의로 발급된 카드를 사용하는 회사의 임직원 등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사용자 장치(1)는 위와 같은 개인카드 사용자가 사용하는 장치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인카드란, 회사 명의의 법인카드가 아닌, 제1 사용자 장치(1)를 사용하는 사용자 개인의 명의로 발급된 카드를 지칭한다. 나아가, 본 명세서에서 제2 사용자 장치(2)란, 회사 내 경비처리를 주 업무로 하는 경비처리 담당자가 사용하는 장치를 지칭한다.
임직원의 개인카드로 지출한 금액을 경비 처리하는 경우, 개인정보 및 사생활 침해의 우려가 있어 회사에서 카드 사용내역을 직접 수집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사용자 장치(1)에서 사용자가 제출할 것으로 선택한 사용내역만을 관리 서비스 서버(3)에 전송함으로써 관리 서비스 서버(3)가 임직원의 개인정보나 사생활에 대한 침해 없이 영수증 데이터를 수집하여 경비 처리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임직원의 개인카드로 지출한 금액을 경비 처리하는 경우, 경비 처리를 위하여 영수증을 제출한 후 카드 사용을 취소하더라도 회사에서 취소 내역을 직접 수집하거나 확인할 수 없으며, 따라서 실수 또는 악의적인 목적에 의한 부정경비처리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사용자 장치(1)가 개인카드 취소 내역을 카드사 서버(4)로부터 자동 수집하고, 경비 처리를 위하여 제출된 사용내역 중 취소된 것이 있을 경우 취소된 사용내역에 대한 정보를 관리 서비스 서버(3)에 자동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관리 서비스 서버(3)에서는 경비 처리를 위하여 제출된 사용내역 중 취소된 내역을 반영함으로써 지급하지 않아야 할 비용의 지급 리스크를 사후에 검증할 수 있고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는 개인카드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제1 사용자 장치(1)에 대응된다. 사용자 장치(1)는 통신부(11), 표시부(12) 및 입력부(13)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각각의 부(11-13)는 사용자 장치(1)에서 개인카드를 이용한 부정경비처리 방지를 위하여 수행하는 동작에 따라 사용자 장치(1)를 기능적으로 구분한 것이며, 반드시 서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소자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표시부(12) 및 입력부(13)는 화면을 통한 표시와 입력을 한꺼번에 수행하는 터치스크린(touchscreen) 형태로 일체화될 수 있다.
통신부(11)는 개인카드 사용내역 요청을 카드사 서버(4)에 전송하고, 카드사 서버(4)로부터 개인카드 사용내역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카드사 서버(4)로부터 사용내역을 조회하는 방식에 따라, 통신부(11)는 사용자의 계정 정보(예컨대, 아이디와 비밀번호, 또는 공인인증서와 인증서 비밀번호 등) 및/또는 개인카드의 카드 정보(예컨대, 카드 번호, 유효 기간 및 CVC)를 저장하며, 사용내역 요청 시 이들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카드사 서버(4)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11)는 스크래핑(scrapping) 방식으로 카드사 서버(4)로부터 개인카드 사용내역을 획득한다. 본 명세서에서 스크래핑은 카드사 서버(4)가 홈페이지 등을 통하여 제공하는 정보 중 필요한 것만을 추출하여 데이터로 가져오는 기술을 의미하며, 스크래핑에는 구체적인 추출 방식에 따라 스크린 스크래핑(screen scrapping) 또는 데이터 스크래핑(data scrapping) 등이 있다. 통신부(11) 공지된 임의의 형태의 스크래핑 기술에 의하여 카드사 서버(4)로부터 개인카드 사용내역을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통신부(11)에 의한 스크래핑은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며, 또는 사용자로부터 조회 요청이 있는 경우에 수행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통신부(11)는 전자문서교환(Electronic Data Interchange; EDI) 방식으로 카드사 서버(4)로부터 개인카드 사용내역을 획득한다. 본 명세서에서 EDI는 일정한 통신표준에 따라 카드사 서버(4)가 제공하는 정보를 표준화된 전자문서로 변화시켜 통신부(11)에 수신할 수 있는 정보전달방식을 지칭한다. EDI 방식을 통한 개인카드 사용내역 획득이 가능하도록, 사용자 장치(1)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요청에 응답하도록 카드사 서버(4)와 협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11)에 의한 개인카드 사용내역의 조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카드사 서버(4)에 연결된 전용 회선을 이용하여 수행된다. 이를 위하여, 통신부(11)는 카드사 서버(4)와 전용 회선으로 연결된 게이트웨이 서버(미도시)를 경유하여 카드사 서버(4)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전용 회선이란, 공중망이 아니라 카드사 서버(4)에 독점적으로 연결된 형태의 네트워크를 지칭한다. 예컨대, 전용 회선은 TCP/IP 프로토콜 기반 네트워크상에서 가상 사설망(Virtual Private Network; VPN)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소프트웨어 수단에 의한 전용 회선일 수도 있고, 디지털 서비스 유닛(Digital Service Unit; DSU) 및 라우터(router) 등을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하드웨어 수단에 의한 전용 회선일 수도 있다. 또한, 관리 서비스 서버(3)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러한 카드사 서버(4)와 전용 회선으로 연결되어 게이트웨이 서버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11)는 국세청 서버(5)와 더 통신함으로써 개인카드 사용내역의 각 사용처에 대한 과세유형을 조회하고, 각 사용처에 대한 과세유형 정보를 더 수신한다. 제1 사용자 장치(1)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사용처의 과세유형 정보를 개인카드 사용내역과 함께 표시하며, 이를 통하여, 개인카드 사용자는 각 사용처에 대응되는 사업자가 과세 대상인지 면세 대상인지, 또는 일반과세자인지 간이과세자인지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11)는 국세청 서버(5)와 통신함으로써 각 사용처에 대응되는 사업자의 휴업 및/또는 폐업 여부를 더 조회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과세유형 조회, 및 휴업 및/또는 폐업 여부의 조회는, 국세청 서버(5)가 제공하는 정보를 통신부(11)에 의해 스크래핑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는, 국세청 서버(5)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전용 회선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유하여 과세유형 조회, 및 휴업 및/또는 폐업 여부의 조회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전용 회선은, 전술한 게이트웨이 서버와 카드사 서버(4) 사이를 연결하는 전용 회선과 유사한 것일 수 있다.
표시부(12)는 통신부(11)에 수신된 개인카드 사용내역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개인카드 사용자는 표시부(12)에 표시된 개인카드 사용내역을 보고 경비 처리를 위하여 경비처리 담당자에게 영수증 데이터로서 제출할 사용내역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력부(13)에 입력할 수 있다. 제출되는 사용내역의 영수증 데이터는 개인카드를 이용한 지출의 승인번호, 승인일시, 사용처 정보 및 사용 금액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제출할 사용내역과 관련하여 사용 용도 및 내용, 해당 영수증을 수신할 수신인 정보(즉, 경비처리 담당자 정보) 등을 입력부(13)에 더 입력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를 이용한 구체적인 영수증 선택 및 제출 과정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7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관리 서비스 서버(3)의 수신부(31)는 개인카드 사용자의 제1 사용자 장치(1)로부터 제출된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을 수신한다. 수신된 사용내역은 영수증 데이터를 포함하며, 나아가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 용도, 내용 및/또는 해당 영수증을 수신할 수신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관리 서비스 서버(3)는 개인카드 사용내역을 조회하기 위한 계정 정보나 카드 정보를 저장하지 않는다. 계정 정보 또는 카드 정보를 이용한 조회 과정은 제1 사용자 장치(1)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관리 서비스 서버(3)는 사용자가 제출한 영수증 데이터만을 수신한다. 따라서, 개인카드 사용자의 개인정보나 사생활에 대한 침해의 우려가 없다.
일 실시예에서, 관리 서비스 서버(3)는 수신부(31)에 수신된 사용내역을 저장부(32)에 저장하며, 제1 사용자 장치(1)의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된 수신인(즉, 경비처리 담당자)에게 사용내역 수신에 대한 알림 정보를 전송한다. 관리 서비스 서버(3)는, 미리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34)를 조회하여 수신인에 해당하는 경비처리 담당자의 제2 사용자 장치(6)를 특정하고, 제2 사용자 장치(6)에 알림을 전송할 수도 있다. 알림은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메시지,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푸시 알림(push notification) 또는 다른 적절한 형태로 제2 사용자 장치(6)에 전송된다.
경비처리 담당자는 제2 사용자 장치(6)에 수신된 알림을 통하여 경비 처리를 위하여 신청된 영수증이 있음을 인지할 수 있고, 제2 사용자 장치(6)를 이용하여 관리 서비스 서버(3)에 접속함으로써 관리 서비스 서버(3)에 저장된 사용내역을 열람하고, 영수증을 접수 또는 반송하거나, 영수증의 금액, 용도 및 내용을 확인하고 필요할 경우 이를 수정하는 등 비용 집행의 승인을 위하여 필요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1)는 취소된 개인카드 사용내역을 카드사 서버(4)로부터 더 수신한다. 또한 통신부(11)는, 경비 처리를 위하여 제1 사용자 장치(1)로부터 관리 서비스 서버(3)에 제출된 사용내역과 취소된 개인카드 사용내역을 비교하여, 관리 서비스 서버(3)에 제출된 사용내역 중 취소된 내역이 있을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관리 서비스 서버(3)에 전송한다. 이상의 동작은 사용자에 의한 별도의 입력이 없이도 제1 사용자 장치(1)에서 자동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부정경비처리의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별도의 사용자 입력을 통하여 취소내역의 수집 및 관리 서비스 서버(3)로의 제출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통신부(11)에 의한 이상의 동작은 제1 사용자 장치(1)상에서 실행되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실행되면 자동적으로 취소된 개인카드 사용내역을 수집하며, 제출된 사용내역 중 취소된 내역에 대한 정보를 관리 서비스 서버(3)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제1 사용자 장치(1)의 메모리(memory)에 항시 적재되어 있으면서 주기적으로 취소된 개인카드 사용내역을 수집하며, 제출된 사용내역 중 취소된 내역에 대한 정보를 관리 서비스 서버(3)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이상의 동작은 표시부(12)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가 인지하는 상태에서 수행될 수도 있으며, 또는 제1 사용자 장치(1)의 운영체제가 허용하는 경우 상기 동작을 사용자에게 드러내지 않고 백그라운드(background)에서 실행할 수도 있다.
제출된 사용내역 중 취소된 내역에 대한 정보는 관리 서비스 서버(3)의 수신부(31)에 수신된다. 취소된 내역에 대한 정보가 수신부(31)에 수신되면, 관리 서비스 서버(3)의 취소 이력 관리부(35)는 취소된 내역을 경비 처리를 위해 저장부(32)에 저장되어 있는 기존의 사용내역과 비교하여, 취소된 내역을 반영하도록 저장부(32)에 저장된 사용내역을 갱신한다. 갱신은 취소된 내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즉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또는 일정 기간 동안 수신된 취소된 내역을 수집한 후 주기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취소 이력 관리부(35)는 취소 이력에 대한 보고서를 생성하여 경비처리 담당자의 제2 사용자 장치(6)에 제공한다. 취소 이력 보고서는, 경비처리를 위하여 제출된 사용내역 중 개별 취소 내역의 상세 정보뿐만 아니라, 설정된 기간 내에 취소된 건 수, 취소된 사용 금액의 합계, 각 직원별 취소 내역 건수 및 취소된 사용 금액 합계 등과 같은 통계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취소 이력 보고서는 이메일 등의 형태로 제2 사용자 장치(6)에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취소 이력 보고서가 생성되었다는 사실만을 SMS 메시지, MMS 메시지, 이메일, 푸시 알림 등을 이용하여 제2 사용자 장치(6)에 통지하고, 취소 이력 보고서 자체는 제2 사용자 장치(6)에서 관리 서비스 서버(3)에 접속하여 열람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경비처리 담당자는 취소 이력 보고서를 통하여 직원이 제출한 개인카드 사용내역의 유효성 여부를 검증하고 부당한 지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카드를 이용한 부정경비처리 방지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개인카드 사용자는 자신의 제1 사용자 장치(1)를 이용하여 카드사 서버(4)에 사용내역을 요청할 수 있다(S1).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제1 사용자 장치(1)에 자신이 사용하는 개인카드에 관련된 정보로서 카드사 홈페이지의 계정 정보(예컨대, 아이디와 비밀번호, 또는 공인인증서와 인증서 비밀번호 등) 및/또는 카드 정보(예컨대, 카드 번호, 유효 기간 및 CVC)를 미리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사용자 장치(1)는 전술한 계정 정보 및/또는 카드 정보를 이용한 스크린 스크래핑 방식 또는 EDI 방식으로 카드사 서버(4)로부터 개인카드 사용내역을 수신한다.
카드사 서버(4)로부터 개인카드를 이용한 일련의 지출에 대한 승인번호, 숭인일시, 사용처 정보, 사용 금액 등을 포함하는 개인카드 사용내역이 제1 사용자 장치(1)에 전송되면(S2), 제1 사용자 장치(1)는 수신된 개인카드 사용내역을 표시한다(S3). 이때, 제1 사용자 장치(1)는 사용내역에 대응되는 사용처의 과세유형이나 휴업 및/또는 폐업 여부를 국세청 서버로부터 조회하는 과정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제1 사용자 장치(1)와 카드사 서버(4) 사이의 통신은 공중망을 통한 암호화된 통신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카드사 서버(4)와 전용 회선으로 연결된 게이트웨이 서버를 경유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컨대, 관리 서비스 서버(3)가 게이트웨이 서버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개인카드 사용자는 제1 사용자 장치(1)상에 표시된 개인카드 사용내역을 확인하고, 경비 처리를 위하여 제출할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에 대한 선택 정보를 제1 사용자 장치(1)에 입력할 수 있다(S4). 또한, 이때 개인카드 사용자는 제출하고자 하는 사용내역에 관련된 사용 용도 및 내용, 해당 영수증을 수신할 수신인 정보(즉, 경비처리 담당자 정보) 등을 더 입력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사용자 장치(1)는 관리 서비스 서버(3)로부터 관리 서비스 서버(3)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한 사용자 목록을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목록을 기초로 사용자가 영수증의 수신인을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 내지 7은 실시예들에 따른 개인카드를 이용한 부정경비처리 방지를 위한 사용자 장치상의 예시적인 화면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4 내지 7을 참조하여, 사용자 장치상의 개인카드 사용내역 표시 및 제출할 사용내역을 선택하는 과정(S3, S4)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a는 개인카드 사용자가 사용자 장치상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메인 화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등록된 개인카드에 상응하는 이미지(400), 카드사 서버와의 통신을 통하여 수신된 잔여한도(410), 및 사용 금액(420) 등의 정보가 사용자 장치의 화면상에 표시된다. 화면에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요약, 사용내역 목록, 알림 및 기타 설정에 각각 해당하는 인터페이스 요소(401-40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드 사용내역 보기에 해당하는 인터페이스 요소(430)를 선택하여 사용내역 목록을 열람할 수도 있다.
도 4b는 사용할 개인카드를 등록하기 위한 화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사용자는 개인카드의 카드사 및 카드번호를 입력하고 인증서를 통한 인증 과정을 거쳐 개인카드를 애플리케이션에 등록할 수 있다. 등록된 개인카드는 도 4a에 도시된 화면에서와 같이 이미지(400)의 형태로 가시화되어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개인카드의 등록 시 카드별칭 및/또는 이용한도를 더 입력할 수 있으며, 또는 카드별칭 및/또는 이용한도는 사용자가 입력한 카드사 및 카드번호를 이용하여 카드사 서버로부터 조회될 수도 있다.
그러나,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형태는 단지 예시에 불과하다는 것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화면에서 인터페이스 요소(402) 또는 인터페이스 요소(430)를 선택하여 사용내역 목록이 표시된 화면을 나타낸다. 사용자가 보유한 개인카드가 복수 개일 경우, 조회할 개인카드를 선택하기 위한 드롭다운(drop-down) 요소(405)가 화면상에 표시될 수도 있다. 도 5의 화면에는 카드사 서버와의 통신을 통하여 조회한 개인카드 사용내역(501-504, 511 및 512)이 목록 형태로 표시되었다. 각각의 사용내역(501-504, 511 및 512)은 사용 일시, 사용 금액, 사용처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보유한 개인카드가 복수 개일 경우, 사용내역은 각각의 카드별로 구분하여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개인카드 사용자가 경비 처리를 위해 이미 영수증을 제출한 사용내역(501-504)과 아직 영수증을 제출하지 않은 사용내역(511, 512)의 표시 형태를 서로 상이하게 하여 사용자가 영수증을 제출할 사용내역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에서는 영수증을 제출한 사용내역(501-504)과 영수증을 제출하지 않은 사용내역(511, 512)을 서로 상이한 색으로 표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영수증의 제출 여부에 따라 사용내역을 별도로 정렬하는 등 다른 상이한 형태로 표시할 수도 있다.
도 6a 내지 6e는 개인카드 사용자가 특정 사용내역에 대한 영수증 제출을 위하여 선택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화면들이다.
사용자가 도 6a에 도시된 사용내역 목록으로부터 아직 영수증을 제출하지 않은 어느 하나의 사용내역(600)을 선택하면, 도 6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해당 사용내역에 관련된 상세 정보가 별도의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별도의 화면으로 표시된 상세 정보는, 카드 승인 번호, 승인 금액, 공급 금액, 부가세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내역 정보(604)와, 사용처 명칭이나 사업자 등록번호 등을 포함하는 사용처 정보(601), 사용처의 업무 유형(603) 등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치는 국세청 서버와 통신함으로써 해당 사용처의 과세유형 정보를 더 수신하며, 이는 도 6b에 602로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내역에 대한 상세 정보의 일부로서 사용자 장치상에 표시된다.
사용자가 도 6b에 도시된 화면에서 해당 사용내역에 대한 영수증 제출을 진행하기 위하여 인터페이스 요소(605)를 선택하면, 도 6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영수증의 수신인을 선택하기 위한 별도의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영수증의 수신인이란 해당 영수증에 대한 경비 처리의 승인 및 결재를 진행할 경비처리 담당자를 지칭한다. 사용자 장치는 관리 서비스 서버로부터 관련 사용자 목록을 수신하여 표시하며, 개인카드 사용자는 수신된 사용자 목록 내의 하나 또는 복수의 사용자를 수신인으로 지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관리 서비스 서버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는 복수의 사용자 사이의 관계 정보를 포함하며, 관리 서비스 서버에서는 상기 관계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카드 사용자에 관련된 관련 사용자 목록을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 장치에 제시함으로써 개인카드 사용자가 자신과 관련된 경비처리 담당자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는 각각의 사용자들의 소속기업 정보가 저장되며, 관리 서비스 서버에서는 영수증 제출을 요청하는 개인카드 사용자와 동일한 기업에 속한 사용자들만으로 구성된 관련 사용자 리스트를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여, 사용자가 상기 관련 사용자 리스트에서 영수증 수신인을 특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는 각 사용자가 사전에 입력하여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온라인 연락처 정보를 포함하며, 관리 서비스 서버에서는 영수증 제출을 요청하는 개인카드 사용자의 온라인 연락처에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 리스트를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온라인 연락처에서 영수증 수신인을 특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개인카드 사용자가 영수증의 수신인을 선택하면, 도 6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정된 수신인 정보(606)를 포함하는 사용내역 조회 화면이 표시된다. 또한, 사용자는 해당 화면에서 인터페이스 요소(607)를 선택함으로써 해당 사용내역에 대한 사용 용도(예컨대, 주유비, 교통비 등)를 입력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 요소(608)를 선택함으로써 사용 내용을 더 입력할 수도 있다. 개인카드 사용자는 필요한 정보를 모두 입력한 후 영수증 제출을 위해 인터페이스 요소(609)를 선택함으로써, 사용자가 지정한 수신인 정보와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 용도 및/또는 내용을 관리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의 선택 정보로서 관리 서비스 서버에 전송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제출할 사용내역에 대한 정보로서 종이 영수증을 촬영 또는 스캔(scan)한 이미지를 더 첨부할 수도 있다. 도 6e는 6d에 도시된 화면에서 사용자가 인터페이스 요소(608)를 선택할 경우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사용자는 도 6e에 도시된 화면의 입력란(610)을 통하여 사용 내역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화면에 도시된 각각의 인터페이스 요소(611-613)를 선택함으로써, 새로 이미지를 촬영하거나,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를 선택하거나, 또는 이미지 외 다른 첨부 파일을 선택하여 입력란(610)에 입력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자신이 제출하는 영수증 데이터에 해당하는 종이 영수증의 이미지(620)를 입력란(610)에 입력함으로써, 영수증 이미지(620)가 다른 전자적 정보와 함께 관리 서비스 서버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서는 개인카드 사용자가 영수증 제출을 최초로 진행하는 경우의 화면을 도시하였으나, 해당 사용자가 이전에 영수증 제출을 진행한 적이 있을 경우에는 매번 수신인을 새로 지정할 필요가 없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도 7a 및 7b는 이를 위한 예시적인 화면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전에 영수증을 제출한 적이 있다면 도 7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내역의 상세 조회 화면상에 이전에 해당 개인카드 사용자로부터 영수증을 수신한 담당자 정보(700)가 표시될 수 있다. 개인카드 사용자는 담당자 정보(700)에서 특정 담당자를 선택하는 것에 의하여 금번 제출하는 영수증을 수신할 경비처리 담당자를 지정할 수 있다. 또한, 개인카드 사용자는 인터페이스 요소(701)를 선택하는 것에 의하여 도 7b에 도시되는 것과 같은 담당자 목록 관리 화면을 호출하고, 담당자 정보(700)로 표시될 담당자를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도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개인카드 사용자의 제1 사용자 장치(1)로부터 제출된 사용내역은 관리 서비스 서버(3)에 전송된다(S5). 관리 서비스 서버(3)에서는, 수신된 사용내역의 영수증 데이터 및 관련 정보를 관리 서비스 서버(3)에 저장하며(S6), 관련 정보에 의하여 수신인으로 지정된 경비처리 담당자의 제2 사용자 장치(6)에 알림 정보를 전송한다(S7). 알림 정보는 경비 처리를 위하여 제출된 영수증이 있다는 사실을 경비처리 담당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SMS, MMS,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푸시 알림 등의 형태로 제2 사용자 장치(6)에 전송된다. 관리 서비스 서버(3)에서는, 개인카드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수신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함으로써 수신할 경비처리 담당자의 휴대전화 번호나 이메일 주소 등 필요한 정보를 특정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알림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알림 정보를 수신한 경비처리 담당자는, 제2 사용자 장치(6)를 이용하여 관리 서비스 서버(3)에 접속함으로써 관리 서비스 서버(3)에 수신되어 저장된 영수증 및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S8). 이때, 관리 서비스 서버(3)는 경비처리 담당자가 영수증 열람 및 영수증이 제출된 사용내역에 대한 결재 및 승인 등의 경비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소정의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웹 서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경비처리 담당자의 사용자 장치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비스 서버에 접속한 예시적인 화면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경비처리 담당자는 관리 서비스 서버에 접속함으로써 자신을 수신인으로 하여 수신된 개인카드 사용내역을 열람할 수 있다. 제출된 사용내역은 영수증 데이터와, 해당 영수증에 대응되는 사용자, 사용 일시, 사용 금액, 거래처 및 사용 용도 및/또는 내용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출된 사용내역은 영수증 데이터에 대응되는 실물 영수증의 이미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경비처리 담당자는 전체 개인카드 사용자의 사용내역을 한꺼번에 열람할 수도 있고, 또는 카드 사용자 현황을 조회하거나 개별 사용자의 사용내역을 별도로 열람할 수도 있다. 또한, 경비처리 담당자는 경비 처리를 위한 개인카드 사용자를 등록하거나 수정하는 등 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경비처리를 위하여 사용내역을 관리 서비스 서버(3)에 전송한 제1 사용자 장치(1)는, 카드사 서버(4)로부터 취소된 개인카드 사용내역을 수신한다(S9). 개인카드 사용내역을 수신하는 단계(S2)와 마찬가지로, 취소된 개인카드 사용내역을 수신하는 과정 역시 사용자의 계정 정보 및/또는 카드 정보를 이용한 스크린 스크래핑 방식 또는 EDI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취소된 개인카드 사용내역을 수신하는 단계(S9)는 상기 단계의 수행을 위한 별도의 사용자 입력이 없더라도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영수증 데이터 제출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에서 실행과 동시에 자동적으로 취소된 개인카드 사용내역을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제1 사용자 장치(1)의 메모리 상에 적재된 상태에서 백그라운드 동작으로 취소된 개인카드 사용내역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취소된 개인카드 사용내역을 수신하는 단계(S9)는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취소된 개인카드 사용내역이 수신되면, 제1 사용자 장치(1)는 전술한 단계 S5에서 관리 서비스 서버(3)에 전송된 사용내역과 취소된 개인카드 사용내역을 비교하여, 관리 서비스 서버(3)에 전송된 사용내역 중 취소된 것이 있을 경우 취소된 사용내역에 대한 정보를 관리 서비스 서버(3)에 전송한다(S10). 전술한 단계 S9와 마찬가지로, 취소된 사용내역에 대한 정보를 관리 서비스 서버(3)에 전송하는 단계(S10) 역시 별도의 사용자 입력이 없이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그러나, 개인카드 사용자가 필요할 경우 별도의 사용자 입력을 통하여 취소된 개인카드 사용내역을 수신하는 단계(S9) 및/또는 취소된 사용내역에 대한 정보를 관리 서비스 서버(3)에 전송하는 단계(S10)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제1 사용자 장치(1)를 구성할 수도 있다.
관리 서비스 서버(3)는 제1 사용자 장치(1)로부터 취소된 사용내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전술한 단계 S6에서 저장된 사용내역을 취소된 사용내역과 비교하여, 저장된 사용내역을 갱신한다(S11). 즉, 개인카드를 이용한 사용 건 중 취소된 건에 대해서는 회사에서 경비를 지급할 필요가 없으므로, 관리 서비스 서버(3)는 단계 S6에서 저장된 사용내역 중 취소된 사용내역을 삭제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직원이 제출한 개인카드 사용내역의 유효성 여부를 검증하고 부당한 지급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내역의 갱신은 취소된 사용내역이 수신되는 것에 응답하여 즉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또는 일정 기간 동안 수신된 취소된 사용내역을 수집하였다가 주기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9는 경비처리 담당자의 사용자 장치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취소된 사용내역을 확인하기 위한 예시적인 화면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예를 들어, 취소된 사용내역은 경비처리 담당자가 확인하는 화면에서 일정 영역(예컨대, 화면 최상단)(900)에 표시됨으로써 경비처리 담당자가 취소 내역을 확인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영역(900)의 사용내역들은 음영 처리 등에 의하여 취소되지 않은 다른 사용내역과 직관적으로 구분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취소된 사용내역의 표시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관리 서비스 서버(3)는 경비처리 담당자의 제2 사용자 장치(6)에 취소 이력 보고서를 제공한다(S12). 취소 이력 보고서는 취소된 사용내역이 있을때마다 관리 서비스 서버(3)에 의해 생성되어 제공될 수도 있으며, 또는 일정한 주기(예컨대, 한 달)마다 해당 주기 동안 취소된 사용내역을 취합하여 생성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단계 S12는 취소 이력 보고서 자체를 제2 사용자 장치(6)에 전송하는 것일 수도 있으며, 또는 취소 이력 보고서를 열람할 수 있다는 통지만을 제2 사용자 장치(6)에 전송하고 취소 이력 보고서 자체는 제2 사용자 장치(6)에서 관리 서비스 서버(3)에 접속하여 열람하도록 하는 것일 수도 있다. 경비처리 담당자가 여러 명일 경우, 관리 서비스 서버(3)에서는 취소된 사용내역과 관련하여 단계 S5의 사용내역 제출 시 수신인으로 지정되었던 경비처리 담당자를 조회하고, 해당 경비처리 담당자의 제2 사용자 장치(6)로 취소 이력 보고서를 제공할 수 있다.
취소 이력 보고서는, 경비처리를 위하여 제출된 사용내역 중 취소된 각 사용내역에 연관된 상세 정보, 예컨대, 취소된 지출의 승인번호, 승인일시, 사용처 정보, 사용 금액 및 이와 관련하여 제1 사용자 장치(1)의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 용도 및 내용, 영수증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취소 이력 보고서는, 보고서 생성 기간 내에 취소된 전체 건 수, 취소된 사용 금액의 합계, 각 직원별 취소 내역 건 수, 및 각 직원별 취소된 사용 금액 합계와 같은 통계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경비처리 담당자는 취소 이력 보고서를 통하여 직원이 제출한 개인카드 사용내역의 유효성 여부를 검증하고 부당한 지급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개인카드를 이용한 부정경비처리 방지 방법에 의한 동작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개인카드를 이용한 부정경비처리 방지 방법에 의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8)

  1. 개인카드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서, 카드사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개인 명의로 발급된 개인카드 사용내역을 수신하고,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수신된 개인카드 사용내역 중 경비처리를 위하여 제출할 사용내역을 지정하는 사용자의 선택 정보 및 상기 제출할 사용내역을 수신할 수신인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개인카드 사용내역 중 경비처리를 위하여 제출할 것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상기 사용자 장치; 및
    상기 사용자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 및 상기 수신인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을 상기 수신인 정보에 상응하는 경비처리 담당자에 의한 경비처리를 위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된 관리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 및 취소된 사용내역에 대한 정보는, 상기 사용자 장치에서 사용자의 계정 정보 또는 카드 정보를 이용한 스크래핑 또는 전자문서교환 방식으로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획득된 것이며,
    상기 사용자 장치는, 미리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이 적재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에 의하여, 취소된 사용내역의 수신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은 상태에서 주기적으로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취소된 개인카드 사용내역을 더 수신하며, 상기 취소된 개인카드 사용내역을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에 전송된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과 비교하여,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에 전송된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 중 취소된 사용내역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취소된 개인카드 사용내역의 수신 및 전송은, 상기 취소된 개인카드 사용내역의 수신 및 전송 과정을 상기 사용자 장치상에 표시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는, 복수의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 간의 관계 정보가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관련 사용자 목록을 상기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의 개인카드에 연관된 상기 계정 정보 및 상기 카드 정보를 저장하지 않으며, 경비처리를 위하여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과 상기 취소된 사용내역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여,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 중 취소된 내역을 삭제하도록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을 갱신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수신인 정보는 상기 관련 사용자 목록의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 대한 선택 정보를 포함하는, 개인카드를 이용한 부정경비처리 방지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개인카드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관리 서비스 서버로서,
    복수의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 간의 관계 정보가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개인카드 사용자의 제1 사용자 장치로부터, 카드사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에 수신된 상기 사용자 개인 명의의 개인카드 사용내역 중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에 입력된 사용자의 선택 정보에 의하여 경비처리를 위하여 제출할 것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을 수신할 수신인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1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 중 취소된 사용내역에 대한 정보를 더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을, 상기 수신인 정보에 상응하는 경비처리 담당자에 의한 경비처리를 위하여 저장하며, 상기 경비처리 담당자의 제2 사용자 장치에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과 상기 취소된 사용내역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여,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 중 취소된 내역을 삭제하도록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을 갱신하도록 구성된 취소 이력 관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신부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의 상기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관련 사용자 목록을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수신인 정보는 상기 관련 사용자 목록의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 대한 선택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 및 상기 취소된 사용내역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에서 상기 사용자의 계정 정보 또는 카드 정보를 이용한 스크래핑 또는 전자문서교환 방식으로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획득된 것이며,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개인카드에 연관된 상기 계정 정보 및 상기 카드 정보를 저장하지 않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1 사용자 장치 상에서 동작하며 상기 취소된 사용내역의 수신을 위한 사용자 입력 없이 자동으로 상기 취소된 사용내역을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전송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취소된 사용내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된, 개인카드를 이용한 부정경비처리 방지를 위한 관리 서비스 서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취소 이력 관리부는, 경비처리를 위하여 제출된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의 취소 이력에 대한 보고서를 경비처리 담당자의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에 제공하도록 더 구성된, 개인카드를 이용한 부정경비처리 방지를 위한 관리 서비스 서버.
  6. 삭제
  7.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서비스 서버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개인카드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기 위한 사용자 장치로서,
    미리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이 적재되는 메모리;
    상기 사용자 개인 명의로 발급된 카드에 연관된 상기 사용자의 계정 정보 또는 카드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계정 정보 또는 상기 카드 정보를 이용한 스크래핑 또는 전자문서교환 방식으로 카드사 서버로부터 개인카드 사용내역을 수신하며,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관련 사용자 목록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부;
    상기 개인카드 사용내역 및 상기 관련 사용자 목록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개인카드 사용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수신된 개인카드 사용내역 중 경비처리를 위하여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에 제출할 사용내역을 지정하는 사용자의 선택 정보 및 상기 제출할 사용내역을 수신할 수신인 정보를 입력받도록 구성된 입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관련 사용자 목록은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간의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것이며, 상기 수신인 정보는 상기 관련 사용자 목록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 대한 선택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선택 정보에 의해 제출할 것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이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에 저장되고 상기 수신인 정보에 대응되는 경비처리 담당자에 의한 경비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 및 상기 수신인 정보를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에 의하여, 취소된 사용내역의 수신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계정 정보 또는 상기 카드 정보를 이용한 스크래핑 또는 전자문서교환 방식으로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주기적으로 취소된 개인카드 사용내역을 더 수신하고, 상기 취소된 개인카드 사용내역을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에 전송된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과 비교하여,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에 전송된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 중 취소된 사용내역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에 저장된 사용내역 중 취소된 내역의 삭제를 위하여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취소된 개인카드 사용내역의 수신 및 전송은, 상기 취소된 개인카드 사용내역의 수신 및 전송 과정을 상기 사용자 장치상에 표시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사용자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개인카드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관리 서비스 서버가, 개인카드 사용자의 제1 사용자 장치로부터, 카드사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에 수신된 개인카드 사용내역 중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에 입력된 사용자의 선택 정보에 의하여 경비처리를 위하여 제출할 것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가 상기 제1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을 수신할 수신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가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을 상기 수신인 정보에 상응하는 경비처리 담당자에 의한 경비처리를 위하여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가 상기 제1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 중 취소된 사용내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가, 경비처리를 위하여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과 상기 취소된 사용내역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 중 취소된 내역을 삭제하도록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을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가,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을 경비처리 담당자의 제2 사용자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 및 상기 취소된 사용내역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에서 사용자의 계정 정보 또는 카드 정보를 이용한 스크래핑 또는 전자문서교환 방식으로 카드사 서버로부터 획득된 것이며,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는, 복수의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 간의 관계 정보가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개인카드에 연관된 상기 계정 정보 및 상기 카드 정보를 저장하지 않으며,
    상기 취소된 사용내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장치 상에서 동작하며 상기 취소된 사용내역의 수신을 위한 사용자 입력 없이 자동으로 상기 취소된 사용내역을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전송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취소된 사용내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수신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의 상기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관련 사용자 목록을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신인 정보는 상기 관련 사용자 목록의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 대한 선택 정보를 포함하는, 개인카드를 이용한 부정경비처리 방지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경비처리를 위하여 제출된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의 취소 이력에 대한 보고서를 경비처리 담당자의 제2 사용자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개인카드를 이용한 부정경비처리 방지 방법.
  13. 삭제
  14.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서비스 서버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미리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된 메모리를 포함하는 개인카드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계정 정보 또는 카드 정보를 이용한 스크래핑 또는 전자문서교환 방식으로 카드사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개인 명의로 발급된 개인카드 사용내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관련 사용자 목록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장치 상에 상기 개인카드 사용내역 및 상기 관련 사용자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장치 상에 표시된 상기 개인카드 사용내역 및 상기 관련 사용자 목록에 기초하여,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수신된 개인카드 사용내역 중 경비처리를 위하여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에 제출할 사용내역을 지정하는 사용자의 선택 정보 및 상기 제출할 사용내역을 수신할 수신인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치에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선택 정보에 의해 제출할 것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이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에 저장되어 상기 수신인 정보에 상응하는 경비처리 담당자에 의한 경비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 및 상기 수신인 정보를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계정 정보 또는 카드 정보를 이용한 스크래핑 또는 전자문서교환 방식으로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취소된 개인카드 사용내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취소된 개인카드 사용내역을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에 전송된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과 비교하여,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에 저장된 사용내역 중 취소된 내역의 삭제를 위하여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에 전송된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 중 취소된 사용내역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관련 사용자 목록은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간의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것이며, 상기 수신인 정보는 상기 관련 사용자 목록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 대한 선택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취소된 개인카드 사용내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장치 상에서 동작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취소된 사용내역의 수신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주기적으로 상기 취소된 사용내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취소된 사용내역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취소된 개인카드 사용내역의 수신 및 전송 과정을 상기 사용자 장치상에 표시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개인카드를 이용한 부정경비처리 방지 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 11항, 제 12항 또는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개인카드를 이용한 부정경비처리 방지 방법을 실행하도록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60167212A 2016-12-09 2016-12-09 개인카드를 이용한 부정경비처리 방지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837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212A KR101837124B1 (ko) 2016-12-09 2016-12-09 개인카드를 이용한 부정경비처리 방지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GB1702267.4A GB2565993A (en) 2016-12-09 2016-12-14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eventing processing of fraudulent expense using personal card
JP2017510673A JP6680764B2 (ja) 2016-12-09 2016-12-14 個人カードを利用した不正経費処理の防止システム、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PCT/KR2016/014644 WO2018105800A1 (ko) 2016-12-09 2016-12-14 개인카드를 이용한 부정경비처리 방지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SG11201809590UA SG11201809590UA (en) 2016-12-09 2016-12-14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eventing processing of fraudulent expense using personal c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212A KR101837124B1 (ko) 2016-12-09 2016-12-09 개인카드를 이용한 부정경비처리 방지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7124B1 true KR101837124B1 (ko) 2018-04-19

Family

ID=62087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7212A KR101837124B1 (ko) 2016-12-09 2016-12-09 개인카드를 이용한 부정경비처리 방지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680764B2 (ko)
KR (1) KR101837124B1 (ko)
GB (1) GB2565993A (ko)
SG (1) SG11201809590UA (ko)
WO (1) WO201810580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52159B2 (ja) * 1999-06-07 2009-04-08 株式会社日本総合研究所 小口経費処理システム,同システムを構成するクライアント・コンピュータおよび同コンピュータのためのプログラム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8557A (ja) * 2002-01-10 2003-07-25 Orient Corp 決済情報処理方法、クレジットカードの発行方法、決済情報処理システム、決済情報処理用プログラム並びにクライアント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004030416A (ja) * 2002-06-27 2004-01-29 Dc Card Co Ltd 決済口座指定機能付クレジット取引用のサーバ
JP2006350679A (ja) * 2005-06-16 2006-12-28 Jtb Corp 補助金支給システムとそれを実現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とその方法
JP4838747B2 (ja) * 2007-03-22 2011-12-14 三菱電機インフォメーションシステムズ株式会社 明細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130005940A (ko) * 2011-07-08 2013-01-16 웹케시 주식회사 경비처리절차 관리/감사 시스템
KR101503459B1 (ko) * 2012-07-13 2015-03-18 주식회사 신한은행 은행에 의한 과제비 중개 서비스 방법 및 은행 과제비 중개 서버
JP6184257B2 (ja) * 2013-08-30 2017-08-23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交通費精算システム、交通費精算プログラム及び交通費精算方法
KR20160133058A (ko) * 2015-05-11 2016-11-22 기웅정보통신 주식회사 통합금융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단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52159B2 (ja) * 1999-06-07 2009-04-08 株式会社日本総合研究所 小口経費処理システム,同システムを構成するクライアント・コンピュータおよび同コンピュータのためのプログラム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05800A1 (ko) 2018-06-14
JP2019501426A (ja) 2019-01-17
SG11201809590UA (en) 2018-11-29
GB201702267D0 (en) 2017-03-29
JP6680764B2 (ja) 2020-04-15
GB2565993A (en) 2019-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645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unt registration method, and program
JP6090020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
US950795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101885072B1 (ko) 복지카드 이용에 따른 효율적 사후 통제를 위한 사내 경비지출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854393B1 (ko) 개인카드 사용내역 처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471136B1 (ko) 세금 간편 신고 및 환급을 위한 세무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1742693B1 (ko) 법인카드 사용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679051B1 (ko) 세무 간편화 시스템 및 그 세무 관리 방법
KR20180062436A (ko) 개인카드 사용내역 처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214194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업무 자동화 방법
KR101837124B1 (ko) 개인카드를 이용한 부정경비처리 방지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EP2642440B1 (en) Reservation management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program for reservation management device
JP2016040658A (ja) 棚卸支援装置、棚卸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854394B1 (ko) 개인경비 이중 공제 방지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80131959A (ko) 개인경비 이중 공제 방지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691956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統合方法
JP2008210177A (ja) 給与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給与情報管理方法
JP7414470B2 (ja) サーバー装置、プログラム、利用者端末装置、およびシステム
KR102341696B1 (ko) 출장 서비스 제공 및 출장비용 처리 시스템
US20230308584A1 (en) Print device management apparatus and print device management method for systems with different usage locations
KR102638537B1 (ko) 구매 개별 내역을 이용한 경비 처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US1106821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KR102324062B1 (ko) 카드사 서버와 연동되는 경비처리서버 및 이에 의한 경비처리방법
JP2016218607A (ja) 訪問サービス支援装置、訪問サービス支援方法および訪問サービス支援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KR20200078064A (ko) 공과금 납부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