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5072B1 - 복지카드 이용에 따른 효율적 사후 통제를 위한 사내 경비지출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복지카드 이용에 따른 효율적 사후 통제를 위한 사내 경비지출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5072B1
KR101885072B1 KR1020170048596A KR20170048596A KR101885072B1 KR 101885072 B1 KR101885072 B1 KR 101885072B1 KR 1020170048596 A KR1020170048596 A KR 1020170048596A KR 20170048596 A KR20170048596 A KR 20170048596A KR 101885072 B1 KR101885072 B1 KR 101885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service server
usage
serve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8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창규
Original Assignee
비즈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즈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즈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8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072B1/ko
Priority to PCT/KR2017/007493 priority patent/WO201819046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12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4Credit schemes, i.e. "pay af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echnology Law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복지카드 이용에 따른 효율적 사후 통제를 위한 사내 경비지출 관리 시스템은, 사내 복지 포인트를 부여받은 카드 사용자의 제1 사용자 장치로부터 사용내역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카드사 서버로부터 카드사용내역을 수신하며, 상기 카드사용내역을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 및 사내 복지포인트 지출규정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제1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카드사용내역 중 경비처리를 위하여 제출할 것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을 수신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 중 사내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에 위반한 사용내역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도록 구성된 관리 서비스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을 이용하면, 회사의 직원이 법인카드나 개인카드를 사용하여 경비를 지출하고 사후 보고하여 개인 경비가 아닌 복지 포인트로 처리하고자 할 때, 회사의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에 부합하는 사용내역인지 여부를 검토하여 사후 보고되는 경비 지출을 자동으로 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지카드 이용에 따른 효율적 사후 통제를 위한 사내 경비지출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MANAGING CORPORATE EXPENSES FOR EFFECTIVE FEED BACK CONTROL OF USAGE OF CARD FOR WELFARE}
실시예들은 복지카드 이용에 따른 효율적 사후 통제를 위한 사내 경비지출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사의 직원이 사내 복지의 일환으로 법인카드나 개인카드를 사용하여 경비를 지출하고 사후 보고하여 개인 경비가 아닌 복지 포인트로 처리하고자 할 때, 회사의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에 부합하는 사용내역인지 여부를 검토하여 사후 보고되는 경비 지출을 자동으로 통제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기업에서는 임직원들의 복지 향상을 위해 복지카드 제도를 만들어 운영하는 경우가 많다. 복지카드 제도에서 임직원들은 의료비, 복리후생비 등을 지출한 후 복지포인트에서 차감하거나, 혹은 임직원이 개인카드로 선지출 후 회사의 경비처리 담당자에게 증빙서류(예컨대, 종이영수증)와 함께 지출 결의서를 제출하고 결재를 거쳐 지출 금액을 사후 환급받게 된다. 복지카드는 카드사에서 발행한 임직원 복지전용 카드이거나 법인카드일 수도 있고, 혹은 일반 개인카드일 수도 있다.
그런데, 카드사의 임직원 복지전용 카드의 경우, 기업의 복지예산 규모나 직원수가 일정 규모 이상이어야지만 해당 카드를 만들 수 있도록 카드사에서 제한을 두고 있어서, 소규모 사업장이나 중소기업 등에서는 발급받기가 어렵다.
복지전용 카드 외에 외부 복지시스템 위탁운영기관 등을 통한 쇼핑몰 형태로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러한 복지시스템 역시 가입 조건 등이 까다로워 영세 사업장이나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 등에서 사용하기는 힘든 실정이다.
결국 소규모 사업장이나 중소기업 등에서는 법인카드나 개인카드를 사용하여 선 지출 사후 환급받도록 복지카드 제도를 운영하게 되는데, 이 경우, 지출결의서의 작성, 결재 및 승인에 수반되는 모든 과정이 각 담당자의 수작업에 의해 진행되므로, 지출결의서의 월말 집중발생에 따른 업무효율성 저하, 수작업에 따른 불필요한 업무처리시간 지연, 수작업에 따른 데이터 오류 및 데이터 누락, 및 종이 서류 작성을 위한 불필요한 부대비용 증대 등 각종 문제점을 고스란히 감수할 수밖에 없었다.
특히, 이러한 종래의 기술 하에서 직원이 법인카드 또는 개인카드를 이용하여 먼저 지출을 발생시킨 후 사후 보고를 진행하는 경우, 경비처리 담당자는 서류로 제출된 영수증 등을 눈으로 보고 회사의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에 맞는 사용내역인지를 판단하여야 하였으므로, 회사의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에 맞는 사용내역인지 여부의 판단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었고, 사후 보고되는 경비 지출에 대한 통제가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담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특2001-0110996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회사의 직원이 사내 복지의 일환으로 법인카드나 개인카드를 사용하여 경비를 지출하고 사후 보고하여 개인 경비가 아닌 복지 포인트로 처리하고자 할 때, 회사의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에 부합하는 사용내역인지 여부를 검토하여 사후 보고되는 경비 지출을 자동으로 통제할 수 있는, 복지카드 이용에 따른 효율적 사후 통제를 위한 사내 경비지출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관리 서비스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복지카드 이용에 따른 효율적 사후 통제를 위한 사내 경비지출 관리 시스템은, 사내 복지 포인트를 부여받은 카드 사용자의 제1 사용자 장치로부터 사용내역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카드사 서버로부터 카드사용내역을 수신하며, 상기 카드사용내역을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 및 사내 복지포인트 지출규정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제1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카드사용내역 중 경비처리를 위하여 제출할 것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을 수신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 중 사내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에 위반한 사용내역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도록 구성된 관리 서비스 서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내 복지포인트 지출규정 정보는 카드 사용 업종, 카드 사용처, 카드 사용 시간, 또는 카드 사용 금액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정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 중 사내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을 위반한 사용내역에 대한 안내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 중 사내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에 부합하는 사용내역에 상응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의 사용자에게 부여된 복지 포인트를 차감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는, 사내 복지 포인트를 부여받은 카드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기 위한 것으로서, 카드 사용내역 요청을 카드사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카드사용내역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부; 상기 카드사용내역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카드사용내역에 기초하여 경비처리를 위하여 제출할 사용내역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정보를 입력받도록 구성된 입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선택 정보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을 관리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 중 사내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을 위반한 사용내역에 대한 안내 정보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복지카드 이용에 따른 효율적 사후 통제를 위한 사내 경비지출 관리를 위한 관리 서비스 서버는, 사내 복지 포인트를 부여받은 카드 사용자의 제1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카드사용내역 중 경비처리를 위하여 제출할 것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부; 사내 복지포인트 지출규정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사내 복지포인트 지출규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 중 사내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에 위반한 사용내역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도록 구성된 지출 관리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시간대, 또는 카드 사용 금액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정의되며, 상기 카드 사용 업종은, 서로 상이한 카드사 서버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업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생성된 표준 업종 테이블에 기초하여 정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출 관리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 중 사내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을 위반한 사용내역에 대한 안내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비스 서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 중 사내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에 부합하는 사용내역에 상응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의 사용자에게 부여된 복지 포인트를 차감하도록 더 구성된 포인트 관리부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 중 사내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에 부합하는 사용내역을 경비처리를 위하여 저장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비스 서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 중 사내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에 부합하는 사용내역에 대한 알림 정보를 경비처리 담당자의 제2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알림 전송부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복지카드 이용에 따른 효율적 사후 통제를 위한 사내 경비지출 관리 방법은, 관리 서비스 서버에 사내 복지포인트 지출규정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가, 사내 복지 포인트를 부여받은 카드 사용자의 제1 사용자 장치로부터 경비처리를 위하여 제출된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내 복지포인트 지출규정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된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 중 사내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에 위반한 사용내역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내 복지포인트 지출규정 정보는 카드 사용 업종, 카드 사용처, 카드 사용 시간, 또는 카드 사용 금액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정의되며, 상기 카드 사용 업종은 표준 업종 테이블에 기초하여 정의된다. 이때, 상기 사내 복지포인트 지출규정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서로 상이한 카드사 서버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업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표준 업종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에 상기 표준 업종 테이블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복지카드 이용에 따른 효율적 사후 통제를 위한 사내 경비지출 관리 방법은,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가,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 중 사내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을 위반한 사용내역에 대한 안내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복지카드 이용에 따른 효율적 사후 통제를 위한 사내 경비지출 관리 방법은,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가,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 중 사내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에 부합하는 사용내역에 상응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의 사용자에게 부여된 복지 포인트를 차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복지카드 이용에 따른 효율적 사후 통제를 위한 사내 경비지출 관리 방법은,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 중 사내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에 부합하는 사용내역을 경비처리를 위하여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복지카드 이용에 따른 효율적 사후 통제를 위한 사내 경비지출 관리 방법은,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가,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 중 사내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에 부합하는 사용내역에 대한 알림 정보를 경비처리 담당자의 제2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복지카드 이용에 따른 효율적 사후 통제를 위한 사내 경비지출 관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복지카드 이용에 따른 효율적 사후 통제를 위한 사내 경비지출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사내 복지의 일환으로 사용자가 법인카드 또는 개인카드를 이용하여 지출한 비용이 소정의 요건을 만족하는 경우 이를 회사 경비지출로 처리함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제출된 사용내역이 회사의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에 부합하는 사용내역인지 여부를 검토하여,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을 위반한 사용내역에 대한 경비처리 요청은 즉각적으로 반송하는 등 사후 보고되는 경비 지출을 자동으로 통제할 수 있다.
한편,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에 부합하는 사용내역에 대해서는, 법인카드 또는 개인카드를 사용한 직원이 선택한 영수증과 사용 용도 등을 관리 서비스 서버에 저장하고, 지정된 경비처리 담당자에게 알림을 전송함으로써, 경비처리 담당자가 관리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법인카드 또는 개인카드 영수증 데이터를 조회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복지카드 이용에 따른 효율적 사후 통제를 위한 사내 경비지출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사용내역이 회사의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에 부합하는 사용내역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표준화된 업종 테이블을 생성함으로써 카드사 별로 상이한 업종 정의 등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사내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을 위반한 사용내역을 정확하게 걸러낼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지카드 이용에 따른 효율적 사후 통제를 위한 사내 경비지출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비스 서버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지카드 이용에 따른 효율적 사후 통제를 위한 사내 경비지출 관리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지카드 이용에 따른 효율적 사후 통제를 위한 사내 경비지출 관리 방법에서 표준 업종 테이블을 구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 내지 7은 실시예들에 따른 복지카드 이용에 따른 효율적 사후 통제를 위한 사내 경비지출 관리를 위한 사용자 장치상의 예시적인 화면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8은 경비처리 담당자의 사용자 장치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사내 경비지출 관리 시스템에 접속한 예시적인 화면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지카드 이용에 따른 효율적 사후 통제를 위한 사내 경비지출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내 경비지출 관리 시스템(3)은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2)를 통하여 제1 사용자 장치(1), 카드사 서버(4) 및 경비처리 담당자의 제2 사용자 장치(6)와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사내 경비지출 관리 시스템(3)은 국세청 서버(5)와도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2)를 통한 통신 방법은 객체와 객체가 네트워킹 할 수 있는 모든 통신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선 통신, 무선 통신, 3G, 4G, 혹은 그 이외의 방법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2)는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GSM(Global System for Mobile Network),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LTE Advanced, IEEE802.16m, WirelessMAN-Advanced, HSPA+,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Mobile WiMAX (IEEE 802.16e), UMB (formerly EV-DO Rev. C), Flash-OFDM, iBurst and MBWA (IEEE 802.20) systems, HIPERMAN, Beam-Division Multiple Access (BDMA),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및 초음파 활용 통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법에 의한 통신 네트워크를 지칭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내 경비지출 관리 시스템(3)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application service server)(31) 및 관리 서비스 서버(32)를 포함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시스템 및 사용자 장치는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장치(1, 6) 및 사내 경비지출 관리 시스템(3)과, 이에 포함된 각 서버 또는 부(unit)는 특정 형식 및 내용의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또는/또한 전자통신 방식으로 주고받기 위한 하드웨어 및 이에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통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 "모듈", "장치", "단말기", "서버" 또는 "시스템" 등의 용어는 하드웨어 및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는 CPU 또는 다른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기기일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는 실행중인 프로세스, 객체(object), 실행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등을 지칭할 수 있다.
사내 경비지출 관리 시스템(3)을 구성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31) 및 관리 서비스 서버(32)는 반드시 서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장치를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즉, 도 1의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31) 및 관리 서비스 서버(32)는 사내 경비지출 관리 시스템(3)을 구성하는 하드웨어를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에 따라 기능적으로 구분한 것일 뿐, 반드시 두 서버가 서로 독립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31)와 관리 서비스 서버(32)가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서버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31)는, 제1 사용자 장치(1)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또는, 앱(app))과 통신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의 기능 수행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관리 서비스 서버(32)는 카드 사용내역 중 회사의 경비 지출로 처리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사용내역을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내역이 사내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을 위반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며, 규정 위반 여부에 따른 추가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관리 서비스 서버(32)는, 제1 사용자 장치(1) 및 제2 사용자 장치(6)상에서 실행되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 등을 통하여 접속 가능한 소정의 웹 페이지(web page)를 제공하는 웹 서버(web server)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사용자 장치(1)는 스마트폰(smartphone)의 형태로 구현되며, 제1 사용자 장치(1)에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31) 및 관리 서비스 서버(32)와 통신함으로써 경비처리를 위한 카드 사용내역 조회 및 영수증 제출 등을 수행한다. 그러나, 제1 사용자 장치(1)의 형태는 스마트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사용자 장치(1)는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notebook)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tablet),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등을 위한 셋톱박스(set-top box) 등 임의의 컴퓨팅 장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사용자 장치(1)의 사용자란, 자신에게 부여된 사내 복지 포인트를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카드를 사용하는 회사의 임직원 등을 지칭한다. 회사 등에서는 사내 복지의 일환으로 임직원에게 일정 기간(예컨대, 1년) 마다 소정의 복지 포인트를 지급하고, 임직원이 지출 후 사후 보고하는 사용내역이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에 부합하는 경우 지출 내역을 회사의 경비지출로 처리함으로써 임직원에게 혜택을 제공하는 경우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사용자 장치(1)의 사용자는, 카드를 사용하여 지출한 내역을 회사에 보고함으로써 지출 내역을 자신에게 부여된 복지 포인트에서 차감하고자 하는 의도를 가진 사용자이다.
사용자가 사용하는 카드는 회사 명의의 법인카드일 수도 있고, 또는 제1 사용자 장치(1)를 사용하는 사용자 개인의 명의로 발급된 개인카드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사용자 장치(1)가 사용하는 카드란 경비처리를 위한 지출 발생에 사용된 임의의 카드로서, 법인카드, 개인형 법인카드, 개인카드, 임직원 복지전용 카드 및 해외카드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2 사용자 장치(2)란, 회사 내 경비처리를 주 업무로 하는 경비처리 담당자가 사용하는 장치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경비처리 담당자란 사내 복지 포인트를 관리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담당자일 수 있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는 카드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제1 사용자 장치(1)에 대응된다. 사용자 장치(1)는 통신부(11), 표시부(12) 및 입력부(13)를 포함한다. 도 2a에 도시된 각각의 부(11-13)는 사용자 장치(1)에서 수행하는 동작에 따라 사용자 장치(1)를 기능적으로 구분한 것이며, 반드시 서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소자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표시부(12) 및 입력부(13)는 화면을 통한 표시와 입력을 한꺼번에 수행하는 터치스크린(touchscreen) 형태로 일체화될 수 있다.
통신부(11)는 카드 사용내역 요청을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31)에 전송하고,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31)를 통하여 카드사 서버(4)로부터 카드 사용내역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 통신부(11)에서 카드사 서버(4) 등 외부 서버를 이루어지는 수행하는 동작에 대한 설명은, 통신부(4)가 외부 서버와 직접 통신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통신부(4)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31)를 게이트웨이(gateway)로 하여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31)를 경유하여 외부 서버와 통신 연결되어 동작을 수행하는 것까지도 포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카드사 서버(4)로부터 사용내역을 조회하는 방식에 따라, 통신부(11)는 사용자의 계정 정보(예컨대, 아이디와 비밀번호, 또는 공인인증서와 인증서 비밀번호 등) 및/또는 개인카드의 카드 정보(예컨대, 카드 번호, 유효 기간 및 CVC)를 저장하며, 사용내역 요청 시 이들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카드사 서버(4)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11)는 스크래핑(scrapping) 방식으로 카드사 서버(4)로부터 카드 사용내역을 획득한다. 본 명세서에서 스크래핑은 카드사 서버(4)가 홈페이지 등을 통하여 제공하는 정보 중 필요한 것만을 추출하여 데이터로 가져오는 기술을 의미하며, 스크래핑에는 구체적인 추출 방식에 따라 스크린 스크래핑(screen scrapping) 또는 데이터 스크래핑(data scrapping) 등이 있다. 통신부(11)는 공지된 임의의 형태의 스크래핑 기술에 의하여 카드사 서버(4)로부터 카드 사용내역을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통신부(11)에 의한 스크래핑은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며, 또는 사용자로부터 조회 요청이 있는 경우에 수행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31)는 통신부(11)의 요청에 따라 전자문서교환(Electronic Data Interchange; EDI) 방식으로 카드사 서버(4)로부터 카드 사용내역을 획득한다. 본 명세서에서 EDI는 일정한 통신표준에 따라 카드사 서버(4)가 제공하는 정보를 표준화된 전자문서로 변화시켜 통신부(11)에 수신할 수 있는 정보전달방식을 지칭한다. EDI 방식을 통한 카드 사용내역 획득이 가능하도록, 사용자 장치(1)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31)를 통해 이루어지는 요청에 응답하도록 사내 경비지출 관리 시스템(3)과 카드사 서버(4)와 협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11)에 의한 카드 사용내역의 조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카드사 서버(4)에 연결된 전용 회선을 이용하여 수행된다. 이를 위하여,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31)는 통신부(11)에 대하여 게이트웨이 서버의 역할을 수행하며, 통신부(11)에서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31)를 경유하여 카드사 서버(4)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전용 회선이란, 공중망이 아니라 카드사 서버(4)에 독점적으로 연결된 형태의 네트워크를 지칭한다. 예컨대, 전용 회선은 TCP/IP 프로토콜 기반 네트워크상에서 가상 사설망(Virtual Private Network; VPN)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소프트웨어 수단에 의한 전용 회선일 수도 있고, 디지털 서비스 유닛(Digital Service Unit; DSU) 및 라우터(router) 등을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하드웨어 수단에 의한 전용 회선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11)는 국세청 서버(5)와 더 통신함으로써 카드 사용내역의 각 사용처에 대한 과세유형을 조회하고, 각 사용처에 대한 과세유형 정보를 더 수신한다. 제1 사용자 장치(1)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사용처의 과세유형 정보를 카드 사용내역과 함께 표시하며, 이를 통하여, 카드 사용자는 각 사용처에 대응되는 사업자가 과세 대상인지 면세 대상인지, 또는 일반과세자인지 간이과세자인지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11)는 국세청 서버(5)와 통신함으로써 각 사용처에 대응되는 사업자의 휴업 및/또는 폐업 여부를 더 조회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과세유형 조회, 및 휴업 및/또는 폐업 여부의 조회는, 국세청 서버(5)가 제공하는 정보를 통신부(11)에 의해 스크래핑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는, 국세청 서버(5)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전용 회선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유하여 과세유형 조회, 및 휴업 및/또는 폐업 여부의 조회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전용 회선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31)와 카드사 서버(4) 사이를 연결하는 전술한 전용 회선과 유사한 것일 수 있다.
표시부(12)는 통신부(11)에 수신된 카드 사용내역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카드 사용자는 표시부(12)에 표시된 카드 사용내역을 보고 경비 처리를 위하여 경비처리 담당자에게 영수증 데이터로서 제출할 사용내역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력부(13)에 입력할 수 있다. 제출되는 사용내역의 영수증 데이터는 개인카드를 이용한 지출의 승인번호, 승인일시, 사용처 정보 및 사용 금액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제출할 사용내역과 관련하여 사용 용도 및 내용, 해당 영수증을 수신할 수신인 정보(즉, 경비처리 담당자 정보) 등을 입력부(13)에 더 입력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를 이용한 구체적인 영수증 선택 및 제출 과정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사용자가 선택한 사용내역은, 관리 서비스 서버(32)에 제출되어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에 부합하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사용내역이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에 부합하는 경우, 회사에서는 사용내역에 해당하는 금액을 사용자에게 지급하고 대신 해당 사용자에게 부여된 복지 포인트를 차감할 것이다. 한편, 사용자가 선택한 사용내역이 관리 서비스 서버(32)에 제출된 후, 통신부(11)는 제출된 사용내역이 사내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을 위반한 경우 이에 대한 안내 정보를 관리 서비스 서버(32)로부터 수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안내 정보는 제출한 사용내역이 사내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을 위반한 사유 등에 대한 안내 화면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제출된 사용내역의 영수증 데이터를 반송 형태로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비스 서버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또한, 도 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지카드 이용에 따른 효율적 사후 통제를 위한 사내 경비지출 관리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2b 및 도 3a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들에 따른 관리 서비스 서버 및 사내 경비지출 관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비스 서버(32)는, 경비처리 담당자에 의해 설정된 사내 복지포인트 지출규정 정보를 저장부(322)에 미리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사내 복지포인트 지출규정 정보란, 법인카드 또는 개인카드를 이용하여 지출이 발생되더라도 회사의 경비지출로서 처리할 수 없는 사용내역을, 예컨대, 카드 사용 업종, 카드 사용처, 카드 사용 시간, 카드 사용 금액 및/또는 다른 적절한 기준에 의하여 정의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제출된 사용내역이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에 부합한다면 회사에서는 사용내역에 해당하는 금액을 임직원에게 지급하고 대신 사용내역 제출자에게 지급된 복지 포인트를 차감할 것이나, 제출된 사용내역이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에 부합하지 않는다면 이를 회사 경비지출로 처리하는 것을 거절함으로써 임직원의 자비로 지불하도록 할 수 있다.
사내 복지포인트 지출규정 정보는 경비처리가 불가능한 사용내역만을 정의하는 블랙리스트(blacklist) 방식일 수도 있으며, 경비처리가 가능한 사용내역만을 정의하는 화이트리스트(whitelist) 방식일 수도 있고, 이 두 가지 방식을 병행하거나 혼합한 방식일 수도 있다.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의 일 예로서 카드 사용 업종에 따른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에 대해 설명하면, 카드 사용 업종이 경비지출이 가능한 것으로 사전에 정의된 특정 업종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경비지출을 허락하거나, 또는 카드 사용 업종이 업무를 위한 것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특정 업종(예컨대, 오락 서비스 업종)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 업종에 대한 사용내역은 회사 경비지출로 처리하는 것을 거절하도록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회사의 영업 분야에 해당하는 특정 업종에 대해서는 회사 경비지출로 처리하는 것을 거절하도록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을 설정하여, 임직원의 자사 제품의 구매를 유도할 수도 있다. 예컨대, 스포츠 의류 판매업을 수행하는 회사의 경우, 복지 포인트를 이용한 의류 업종의 구매는 불가능하도록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금지 또는 허용 업종으로 설정되는 카드 사용 업종은 관리 서비스 서버(32)에 의해 생성되는 표준 업종 테이블(table)을 기초로 정의된다. 카드사에 따라 가맹점의 업종을 분류하는 방식이 상이하기 때문에, 동일한 가맹점이라고 하더라도 카드사용 내역을 통해 조회되는 업종 분류 코드는 카드사 별로 상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사용한 카드의 종류에 관계 없이 일원화된 복지포인트 지출규정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표준화된 업종 분류 기준이 생성되어 테이블 형태로 관리 서비스 서버(32)의 저장부(322)에 저장될 수 있다.
도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지카드 이용에 따른 효율적 사후 통제를 위한 사내 경비지출 관리 방법에서 표준 업종 테이블을 구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b를 더 참조하면, 관리 서비스 서버(32)의 지출 관리부(323)는 서로 상이한 복수의 카드사 서버로부터 업종 테이블을 수신하고(S1), 수신된 업종 테이블을 이용하여 표준 업종 테이블을 생성한다(S2). 예컨대, 복수의 카드사 서버(4)로부터 해당 카드사의 가맹점 및 각 가맹점에 대하여 해당 카드사의 분류에 따른 업종별 분류 코드들을 각각 획득하고, 카드사들로부터 얻어진 업종별 분류 코드를 병합하여 관리 서비스 서버(32)에 저장하기 위한 업종별 코드를 가진 표준 업종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카드사들로부터 얻어진 업종별 분류 코드를 병합함에 있어서 통계청 서버(7)로부터 획득한 표준산업분류 코드가 참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준 업종 테이블은, 각 카드사 서버로부터 얻어진 업종 테이블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세분화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특정 가맹점에 대한 분류 코드가 카드사별로 상이할 경우, 각 카드사의 분류를 소분류로 하여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소분류를 포괄하는 대분류 코드를 생성하고, 이 대분류 코드를 기초로 각각의 업종별 코드를 정의하도록 표준 업종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그 결과, 특정 가맹점에 대한 업종 분류가 카드사 별로 상이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대분류의 결정에는 표준산업분류 코드가 참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화 상영관에 해당하는 특정 가맹점에 대하여 제1 카드사는 [영화관]으로 분류하는 반면, 제2 카드사는 [공연장/전시장]으로 분류하여 코드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처럼 카드사 별로 업종 분류가 상이하면 사용한 카드의 종류에 따라 복지포인트 지출규정 적용 결과가 달라지므로, 이를 일원화하기 위하여 [영화관] 및 [공연장/전시장] 모두를 포괄하는 대분류로서 [공연시설 운영]에 해당하는 업종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업종 코드는 통계청의 표준산업분류코드와 일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전술한 과정에 의해 생성된 표준 업종 [공연시설 운영]의 경우, [영화관] 및 [공연장/전시장]을 소분류로서 포함하며 표준산업분류코드 90110을 갖는 [공연시설 운영업] 업종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라 생성되는 표준 업종 테이블의 각 업종별 코드는 반드시 표준산업분류코드와 동일한 것은 아니다. 예컨대, 각 카드사별 코드를 소분류로 하되 표준산업분류코드와는 상이한 별도의 코드로 업종을 분류할 수도 있으며, 필요할 경우에는 표준산업분류코드를 소분류로 하여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표준산업분류코드를 포괄하는 대분류 코드를 포함하도록 표준 업종 테이블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카드사별로 업종 코드가 상이한 특정 가맹점에 대한 표준 업종 코드를 정의하기 위하여 가맹점명을 이용한 패턴 인식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 카페"라는 이름을 가진 특정 가맹점을 제1 카드사에서는 [커피전문점]으로 분류하였으나, 동일 가맹점을 제2 카드사에서는 [기타 휴게 음식점]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준산업분류코드를 참조하더라도 [커피전문점]은 표준산업분류코드 56220를 갖는 [비알콜 음료점업]에 해당하는 반면, [기타 휴게 음식점]의 경우 표준산업분류코드 56199를 갖는 [그외 기타 음식점업]에 해당하므로, 각 카드사의 분류를 포괄하는 대분류를 표준산업분류코드만을 참조하여 결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본 실시예에서는, 대상이 되는 가맹점명 "○○ 카페"와 유사한 이름을 가진 다른 가맹점에 대한 업종 분류를 참조하여 대상이 되는 가맹점에 대한 표준 업종 코드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대상 가맹점명을 구성하는 단어 "○○" 또는 "카페"가 포함된 이름을 가지는 다른 가맹점들에 대한 각 카드사의 업종 분류를 조회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또는 가장 많은 빈도로 나타내는 업종 분류를 채택하여 표준 업종 코드를 결정할 수 있다. 본 예의 경우, "○○" 및 "카페"가 포함된 이름을 가지는 다른 가맹점들을 조회한 결과 [커피전문점]으로 분류된 경우의 수가 더 많았다면, "○○ 카페"라는 대상 가맹점의 표준 업종을 [커피전문점]에 해당하는 표준산업분류인 [비알콜 음료점업]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생성된 표준 업종 테이블은 각 카드사 가맹점 데이터와 연계하여 관리 서비스 서버(32)의 저장부(322)에 저장된다. 예를 들면, 각 카드사로부터 수신된 업종 테이블에서 기존 카드사별 업종 코드는 그대로 두고 별도의 필드로서 표준 업종 코드를 추가함으로써 표준 업종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와 같이 생성된 표준 업종 테이블은 각 카드사의 가맹점 정보 갱신에 따라 주기적 및/또는 비주기적으로 갱신될 수 있다.
사내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의 또 다른 예로서 카드 사용처에 따른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회사의 관리자에 의하여 지정되거나 또는 회사에서 설정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사용처에서 사용된 사용내역만 회사 경비지출로 처리하는 것을 인정하도록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직원이 카드로 결제한 식대를 회사 경비로 처리하고자 하는 경우, 회사에서 지정한 한정된 개수의 사용처 또는 회사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예컨대, 1 km) 내에 위치한 사용처에서 사용된 내역만을 식대 지출로 인정하도록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을 설정할 수 있다.
사내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의 또 다른 예로서 카드 사용 시간에 따른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카드 사용 시간이 사전에 정의된 업무 시간대(예컨대,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 등)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경비지출을 허락하거나, 또는 카드 사용 시간이 업무 시간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특정 시간대(예컨대, 평일 오후 9시부터 익일 오전 6시, 또는 주말 등)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 업종에 대한 사용내역은 회사 경비지출로 처리하는 것을 거절하도록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을 설정할 수 있다.
사내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의 또 다른 예로서 카드 사용 금액에 따른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회사의 임직원에 대하여 직원 개인 또는 직원들의 그룹(예컨대, 부서)이 사용 가능한 금액(즉, 총 복지 포인트 합계)을 사전에 설정해 두고, 경비지출을 위한 사용내역이 발생할 때마다 할당된 사용 금액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검사하여 할당된 사용 금액을 초과할 경우 초과한 사용내역은 회사 경비지출로 처리하는 것을 거절하도록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복지포인트 지출규정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경비처리를 위해 정의되는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은 경비처리 담당자나 회사의 관리자에 의해 적절히 설정될 수 있고 본 명세서에 설명된 것과 상이할 수 있다.
회사의 관리자나 경비처리 담당자는, 관리 서비스 서버(32)에 접속함으로써 전술한 것과 같은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을 설정할 수 있다. 설정된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은 관리 서비스 서버(32)의 저장부(322)에 저장된다(S3).
법인카드 또는 개인카드를 이용하여 지출을 발생시킨 후, 해당 지출을 자신이 지불하지 않고 자신의 복지 포인트에서 차감하고자 하거나 자신이 선 지급후 사후 회사에 청구를 하고자 하는 카드 사용자는, 제1 사용자 장치(1)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31)에 사용내역을 요청할 수 있다(S4).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제1 사용자 장치(1)에 자신이 사용하는 법인카드 또는 개인카드에 관련된 정보로서 카드사 홈페이지의 계정 정보(예컨대, 아이디와 비밀번호, 또는 공인인증서와 인증서 비밀번호 등) 및/또는 카드 정보(예컨대, 카드 번호, 유효 기간 및 CVC)를 미리 입력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31)는 카드 사용자의 제1 사용자 장치(1)로부터 카드 사용내역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계정 정보 및/또는 카드 정보를 이용한 스크린 스크래핑 방식 또는 EDI 방식으로 카드사 서버(4)로부터 카드 사용내역을 수신한다(S5, S6). 또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31)는 수신된 카드 사용내역을 다시 제1 사용자 장치(1)에 전송한다(S7).
일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31)는, 사용내역을 조회할 카드가 제휴된 카드사의 카드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제휴된 카드사의 카드일 경우 카드사 서버(4)와의 전용 회선을 통해 사용내역을 수신하며, 미제휴된 카드사의 카드일 경우 사용자 계정 정보를 이용한 스크래핑 방식으로 사용내역을 획득하도록 더 구성된다.
조회할 카드가 제휴되지 않은 카드사의 카드인 경우의 구체적인 동작으로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31)는 제1 사용자 장치(1)로부터 수신된 계정 정보를 이용하여 스크래핑 방식으로 카드사 서버(4)로부터 카드 사용내역을 획득한다.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31)에 의한 스크래핑은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며, 또는 제1 사용자 장치(1)로부터 조회 요청이 있는 경우에 수행될 수도 있다. 스크래핑된 정보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31)에 저장되었다가 카드 사용자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제1 사용자 장치(1)로 전송된다. 반면, 사용자의 계정 정보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31)에 저장되지 않으며, 제1 사용자 장치(1)에만 저장되었다가 매 조회 요청 시 제1 사용자 장치(1)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31)에 전송될 수도 있다.
조회할 카드가 제휴된 카드사의 카드인 경우의 구체적인 동작으로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31)는 최초 카드 등록 시 카드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카드유효성검사 전문을 전용 회선을 통하여 카드사 서버(4)에 송신하며, 카드사 서버(4)에서는 수신한 카드 정보가 인증될 경우 이에 대한 응답으로 해당 카드에 대한 고객정보(예컨대, 사업자 등록번호, 업체명 등)를 마찬가지로 전용 회선을 통하여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31)에 응답 전문으로 송신한다. 이상의 검증 과정을 한차례 거치고 나면, 카드사 서버(4)에서는 위와 같이 검증된 카드 및 사용자에 한해서는 추가적인 인증 과정 없이 전용 회선을 통한 사용내역 조회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상의 전용 회선을 통한 사용내역 조회를 위해서는 사내 경비지출 관리 시스템(3)의 운영자와 카드사 사이의 사전 제휴가 필요하므로, 이 방식은 법인카드의 사용내역 조회에 특히 유용하다.
일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31)는 국세청 서버(5)와 더 통신함으로써 법인카드 사용내역의 각 사용처에 대한 과세유형을 조회하고, 각 사용처에 대한 과세유형 정보를 제1 사용자 장치(1)에 더 제공할 수도 있다. 제1 사용자 장치(1)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사용처의 과세유형 정보를 카드 사용내역과 함께 표시하며, 이를 통하여, 카드 사용자는 각 사용처에 대응되는 사업자가 과세 대상인지 면세 대상인지, 또는 일반과세자인지 간이과세자인지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31)는 국세청 서버(5)와 통신함으로써 각 사용처에 대응되는 사업자의 휴업 및/또는 폐업 여부를 더 조회할 수도 있다.
과세유형 조회, 및 휴업 및/또는 폐업 여부의 조회는, 국세청 서버(5)가 제공하는 정보를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31)에 의해 스크래핑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31)와 국세청 서버(5)를 통신 가능하게 연결하는 전용 회선을 통하여 과세유형 조회, 및 휴업 및/또는 폐업 여부의 조회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전용 회선은, 전술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31)와 카드사 서버(4) 사이를 연결하는 전용 회선과 유사한 것일 수 있다.
카드를 이용한 일련의 지출에 대한 승인번호, 승인일시, 사용처 정보, 사용 금액 등을 포함하는 카드 사용내역이 제1 사용자 장치(1)에 전송되면(S7), 제1 사용자 장치(1)는 수신된 카드 사용내역을 표시한다(S8).
카드 사용자는 제1 사용자 장치(1)상에 표시된 카드 사용내역을 확인하고, 경비처리를 위하여 제출할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에 대한 선택 정보를 제1 사용자 장치(1)에 입력할 수 있다(S9). 또한, 이때 카드 사용자는 제출하고자 하는 사용내역에 관련된 사용 용도 및 내용, 해당 영수증을 수신할 수신인 정보(즉, 경비처리 담당자 정보) 등을 더 입력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사용자 장치(1)는 관리 서비스 서버(32)로부터 관리 서비스 서버(32)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326)에 기초한 사용자 목록을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목록을 기초로 사용자가 영수증의 수신인을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 내지 7은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장치상의 예시적인 화면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4 내지 7을 참조하여, 사용자 장치상에서 카드를 등록하고, 카드 사용내역을 조회하며, 경비처리를 위해 제출할 사용내역을 선택하는 과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a는 카드 사용자가 사용자 장치상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메인 화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등록된 카드에 상응하는 이미지(400), 카드사 서버와의 통신을 통하여 수신된 잔여한도(410), 및 사용 금액(420) 등의 정보가 사용자 장치의 화면상에 표시된다. 화면에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요약, 사용내역 목록, 알림 및 기타 설정에 각각 해당하는 인터페이스 요소(401-40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드 사용내역 보기에 해당하는 인터페이스 요소(430)를 선택하여 사용내역 목록을 열람할 수도 있다.
도 4b는 사용할 카드를 등록하기 위한 화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사용자는 카드의 카드사 및 카드번호를 입력하고 인증서를 통한 인증 과정을 거쳐 카드를 애플리케이션에 등록할 수 있다. 등록된 카드는 도 4a에 도시된 화면에서와 같이 이미지(400)의 형태로 가시화되어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카드의 등록 시 카드별칭 및/또는 이용한도를 더 입력할 수 있으며, 또는 카드별칭 및/또는 이용한도는 사용자가 입력한 카드사 및 카드번호를 이용하여 카드사 서버로부터 조회될 수도 있다.
그러나,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형태는 단지 예시에 불과하다는 것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형태는 대상 카드가 법인카드인지 또는 개인카드인지 여부에 따라 상이할 수도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화면에서 인터페이스 요소(402) 또는 인터페이스 요소(430)를 선택하여 사용내역 목록이 표시된 화면을 나타낸다. 사용자가 보유한 카드가 복수 개일 경우, 조회할 카드를 선택하기 위한 드롭다운(drop-down) 요소(405)가 화면상에 표시될 수도 있다. 도 5의 화면에는 카드사 서버와의 통신을 통하여 조회한 카드사용내역(501-504, 511 및 512)이 목록 형태로 표시되었다. 각각의 사용내역(501-504, 511 및 512)은 사용 일시, 사용 금액, 사용처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보유한 카드가 복수 개일 경우, 사용내역은 각각의 카드별로 구분하여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카드 사용자가 경비 처리를 위해 이미 영수증을 제출한 사용내역(501-504)과 아직 영수증을 제출하지 않은 사용내역(511, 512)의 표시 형태를 서로 상이하게 하여 사용자가 영수증을 제출할 사용내역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에서는 영수증을 제출한 사용내역(501-504)과 영수증을 제출하지 않은 사용내역(511, 512)을 서로 상이한 색으로 표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영수증의 제출 여부에 따라 사용내역을 별도로 정렬하는 등 다른 상이한 형태로 표시할 수도 있다.
도 6a 내지 6e는 카드 사용자가 특정 사용내역에 대한 영수증 제출을 위하여 선택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화면들이다.
사용자가 도 6a에 도시된 사용내역 목록으로부터 아직 영수증을 제출하지 않은 어느 하나의 사용내역(600)을 선택하면, 도 6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해당 사용내역에 관련된 상세 정보가 별도의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별도의 화면으로 표시된 상세 정보는, 카드 승인 번호, 승인 금액, 공급 금액, 부가세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내역 정보(604)와, 사용처 명칭이나 사업자 등록번호 등을 포함하는 사용처 정보(601), 사용처의 업무 유형(603) 등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사용자 장치(1)는 국세청 서버와 통신함으로써 해당 사용처의 과세유형 정보를 더 수신하며, 이는 도 6b에 602로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내역에 대한 상세 정보의 일부로서 제1 사용자 장치(1)상에 표시된다.
사용자가 도 6b에 도시된 화면에서 해당 사용내역에 대한 영수증 제출을 진행하기 위하여 인터페이스 요소(605)를 선택하면, 도 6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영수증의 수신인을 선택하기 위한 별도의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영수증의 수신인이란 해당 영수증에 대한 경비 처리의 승인 및 결재를 진행할 경비처리 담당자를 지칭한다. 제1 사용자 장치(1)는 관리 서비스 서버(32)로부터 관리 서비스 서버(32)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326)에 저장된 관련 사용자 목록을 수신하여 표시하며, 카드 사용자는 수신된 사용자 목록 내의 하나 또는 복수의 사용자를 수신인으로 지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관리 서비스 서버(32)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326)는 복수의 사용자 사이의 관계 정보를 포함하며, 관리 서비스 서버(32)에서는 상기 관계 정보를 이용하여 카드 사용자에 관련된 관련 사용자 목록을 생성하고 이를 제1 사용자 장치(1)에 제시함으로써 카드 사용자가 자신과 관련된 경비처리 담당자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데이터베이스(326)에는 각각의 사용자들의 소속기업 정보가 저장되며, 관리 서비스 서버에서는 영수증 제출을 요청하는 카드 사용자와 동일한 기업에 속한 사용자들만으로 구성된 관련 사용자 리스트를 제1 사용자 장치(1)에 전송하여, 사용자가 상기 관련 사용자 리스트에서 영수증 수신인을 특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326)는 각 사용자가 사전에 입력하여 사용자 데이터베이스(326)에 저장된 온라인 연락처 정보를 포함하며, 관리 서비스 서버(32)에서는 영수증 제출을 요청하는 카드 사용자의 온라인 연락처에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 리스트를 제1 사용자 장치(1)에 전송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온라인 연락처로부터 영수증 수신인을 특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카드 사용자가 영수증의 수신인을 선택하면, 도 6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정된 수신인 정보(606)를 포함하는 사용내역 조회 화면이 표시된다. 또한, 사용자는 해당 화면에서 인터페이스 요소(607)를 선택함으로써 해당 사용내역에 대한 사용 용도(예컨대, 주유비, 교통비 등)를 입력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 요소(608)를 선택함으로써 사용 내용을 더 입력할 수도 있다. 카드 사용자는 필요한 정보를 모두 입력한 후 영수증 제출을 위해 인터페이스 요소(609)를 선택함으로써, 사용자가 지정한 수신인 정보와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 용도 및/또는 내용을 관리 서비스 서버(32)에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의 선택 정보로서 관리 서비스 서버(32)에 전송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제출할 사용내역에 대한 정보로서 종이 영수증을 촬영 또는 스캔(scan)한 이미지를 더 첨부할 수도 있다. 도 6e는 6d에 도시된 화면에서 사용자가 인터페이스 요소(608)를 선택할 경우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사용자는 도 6e에 도시된 화면의 입력란(610)을 통하여 사용 내역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화면에 도시된 각각의 인터페이스 요소(611-613)를 선택함으로써, 새로 이미지를 촬영하거나,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를 선택하거나, 또는 이미지 외 다른 첨부 파일을 선택하여 입력란(610)에 입력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자신이 제출하는 영수증 데이터에 해당하는 종이 영수증의 이미지(620)를 입력란(610)에 입력함으로써, 영수증 이미지(620)가 다른 전자적 정보와 함께 관리 서비스 서버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서는 카드 사용자가 영수증 제출을 최초로 진행하는 경우의 화면을 도시하였으나, 해당 사용자가 이전에 영수증 제출을 진행한 적이 있을 경우에는 매번 수신인을 새로 지정할 필요가 없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도 7a 및 7b는 이를 위한 예시적인 화면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전에 영수증을 제출한 적이 있다면 도 7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내역의 상세 조회 화면상에 이전에 해당 카드 사용자로부터 영수증을 수신한 담당자 정보(700)가 표시될 수 있다. 카드 사용자는 담당자 정보(700)에서 특정 담당자를 선택하는 것에 의하여 금번 제출하는 영수증을 수신할 경비처리 담당자를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카드 사용자는 인터페이스 요소(701)를 선택하는 것에 의하여 도 7b에 도시되는 것과 같은 담당자 목록 관리 화면을 호출하고, 담당자 정보(700)로 표시될 담당자를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도 있다.
다시 도 2b 및 도 3a를 참조하면, 카드 사용자의 제1 사용자 장치(1)로부터 제출된 사용내역 및 관련 정보들은 관리 서비스 서버(32)의 수신부(321)에 의해 수신된다(S10).
관리 서비스 서버(32)의 지출 관리부(323)는, 저장부(322)에 저장되어 사내 복지포인트 지출규정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부(321)에 수신된 사용내역이 사내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을 위반한 것인지 여부를 검사한다(S11). 이는 사용 금액을 임직원에게 현금으로 지급하고 대신 사내 복지 포인트에서 차감 처리할지 또는 임직원의 개인 비용으로 지급하도록 할지를 결정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카드 사용내역에 포함되어 있는 승인일시, 사용처 정보 및 사용 금액 등의 정보를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에 의하여 정의된 카드 사용 업종, 카드 사용처, 카드 사용 시간 및/또는 카드 사용 금액 등과 비교함으로써 수행된다. 예컨대, 카드 사용내역이 블랙리스트로 정의되거나 또는 화이트리스트로 정의되어 있지 않은 카드 사용 업종, 카드 사용처, 카드 사용 시간에 해당하는지 여부, 또는 누적된 카드 사용 금액이 직원 또는 직원들의 그룹(예컨대, 부서)에 할당된 사용 금액(즉, 총 복지 포인트 합계)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검사함으로써 사용내역이 사내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을 위반한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장치(1)로부터 제출된 사용내역 중 사내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을 위반한 것이 있을 경우, 관리 서비스 서버(32)의 지출 관리부(323)는 이에 대한 안내 정보를 제1 사용자 장치(1)에 전송한다(S12). 안내 정보는 제출한 사용내역이 사내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을 위반한 사유 등에 대한 안내 화면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제출된 사용내역의 영수증 데이터를 반송 형태로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안내 정보는 제1 사용자 장치(1)의 사용자가 경비처리 거절 사실을 인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 예컨대,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메시지, 이메일(e-mail) 및/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푸시 알림(push notification) 등의 형태로 제1 사용자 장치(1)에 전송될 수도 있다.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을 위반한 사용내역의 검출은 경비처리 담당자의 개입 없이 지출 관리부(323)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수행된다. 따라서, 안내 정보를 통하여, 제1 사용자 장치(1)의 사용자는 자신이 경비처리를 위해 제출한 영수증 중 어떤 것이 거절되었는지를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경비처리가 거절된 사용내역에 대해서는 제1 사용자 장치(1)의 사용자의 개인 경비로 부담하여야 한다.
한편, 수신된 사용내역 중 사내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에 부합하는 사용내역이 있다면, 관리 서비스 서버(32)는 사내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에 부합하는 사용내역의 영수증 데이터 및 관련 정보 등을 경비처리를 위하여 저장부(322)에 저장한다(S13).
다음으로, 관리 서비스 서버(32)의 포인트 관리부(324)는 수신된 사용내역 중 사내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에 부합하는 사용내역에 해당하는 금액 만큼 제1 사용자 장치(1)의 사용자에게 할당된 복지 포인트를 차감하는 처리를 더 수행한다. 이때 차감되는 복지 포인트는 제1 사용자 장치(1)의 사용자 개인에게 할당된 것일 수도 있고, 제1 사용자 장치(1)의 사용자를 포함하는 사용자 그룹(예컨대, 부서)에 할당된 것일 수도 있다. 만약 복지 포인트가 모두 차감되어 0으로 되었다면, 그 다음부터 제1 사용자 장치(1)의 사용자로부터 제출되는 사용내역은 지출 관리부(323)에 의해 복지포인트 지출규정 위반으로 처리될 것이다.
다음으로, 관리 서비스 서버(32)의 알림 전송부(325)는 사용내역의 관련 정보에 의하여 수신인으로 지정된 경비처리 담당자의 제2 사용자 장치(6)에 알림 정보를 전송한다(S14). 알림 정보는 경비 처리를 위하여 제출된 영수증이 있다는 사실을 경비처리 담당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SMS 메시지, MMS 메시지,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푸시 알림 등의 형태로 제2 사용자 장치(6)에 전송된다.
일 실시예에서, 알림 전송부(325)는, 카드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수신인 정보를 이용하여 관리 서비스 서버(32)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326)를 조회함으로써 수신할 경비처리 담당자의 휴대전화 번호나 이메일 주소 등 필요한 정보를 특정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알림 정보를 전송한다.
알림 정보를 수신한 경비처리 담당자는, 제2 사용자 장치(6)를 이용하여 관리 서비스 서버(32)에 접속함으로써 관리 서비스 서버(32)에 수신되어 저장된 영수증 및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S15). 이때, 관리 서비스 서버(32)는 경비처리 담당자가 영수증 열람 및 영수증이 제출된 사용내역에 대한 결재 및 승인 등의 경비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소정의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웹 서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경비처리 담당자의 사용자 장치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비스 서버에 접속한 예시적인 화면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경비처리 담당자는 관리 서비스 서버에 접속함으로써 자신을 수신인으로 하여 수신된 카드 사용내역을 열람할 수 있다. 제출된 사용내역은 영수증 데이터와, 해당 영수증에 대응되는 사용자, 사용 일시, 사용 금액, 거래처 및 사용 용도 및/또는 내용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출된 사용내역은 영수증 데이터에 대응되는 실물 영수증의 이미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경비처리 담당자는 전체 카드 사용자의 사용내역을 한꺼번에 열람할 수도 있고, 또는 카드 사용자 현황을 조회하거나 개별 사용자의 사용내역을 별도로 열람할 수도 있다. 또한, 경비처리 담당자는 경비 처리를 위한 카드 사용자를 등록하거나 수정하는 등 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관리 서비스 서버(32)의 지출 관리부(323)는 경비처리를 위해 제출된 사용내역 중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을 위반한 사용내역에 대한 보고서를 제2 사용자 장치(6)에 더 제공한다. 이러한 보고서는 경비처리가 거절된 사용내역이 있을 때마다 관리 서비스 서버(32)에 의해 생성되어 제공될 수도 있으며, 또는 일정한 주기(예컨대, 한 달)마다 해당 주기 동안 취소된 사용내역을 취합하여 생성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보고서는,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을 위반한 사용내역에 대한 상세 정보, 예컨대, 경비처리가 거절된 지출의 승인번호, 승인일시, 사용처 정보, 사용 금액, 거절 사유 및 이와 관련하여 제1 사용자 장치(1)의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 용도 및 내용, 영수증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고서는, 보고서 생성 기간 내에 경비처리가 거절된 전체 건 수, 경비처리가 거절된 사용 금액의 합계, 각 직원별 거절 건 수, 및 각 직원별 거절 금액 합계와 같은 통계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을 위반한 사용내역에 대한 보고서는 그 자체가 제2 사용자 장치(6)에 전송될 수도 있으며, 또는 해당 보고서를 열람할 수 있다는 통지만을 제2 사용자 장치(6)에 전송하고 보고서 자체는 제2 사용자 장치(6)에서 관리 서비스 서버(32)에 접속하여 열람하도록 할 수도 있다. 경비처리 담당자가 여러 명일 경우, 지출 관리부(323)는 경비처리가 거절된 사용내역과 관련하여 단계 S10의 사용내역 제출 시 수신인으로 지정되었던 경비처리 담당자를 조회하고, 해당 경비처리 담당자의 제2 사용자 장치(6)로 보고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복지카드 이용에 따른 효율적 사후 통제를 위한 사내 경비지출 관리 방법에 의한 동작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복지카드 이용에 따른 효율적 사후 통제를 위한 사내 경비지출 관리 방법에 의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8)

  1. 사내 복지 포인트를 부여받은 카드 사용자의 제1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카드 사용자의 계정 정보 또는 카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1 사용자 장치로부터 사용내역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카드사 서버로부터 상기 계정 정보 또는 상기 카드 정보를 이용한 스크래핑 방식 또는 전자문서교환 방식으로 카드사용내역을 수신하며, 상기 카드사용내역을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 및
    사내 복지포인트 지출규정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제1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카드사용내역 중 경비처리를 위하여 제출할 것으로 상기 카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을 수신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 중 사내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에 위반한 사용내역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도록 구성된 관리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사내 복지포인트 지출규정 정보는 카드 사용 업종, 카드 사용처, 카드 사용 시간, 및 카드 사용 금액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정의되며,
    상기 카드 사용 업종은, 서로 상이한 복수의 카드사 서버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업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생성된 표준 업종 테이블에 기초하여 정의되고,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는, 상기 복수의 카드사 서버 각각으로부터 가맹점 및 상기 가맹점에 대해 상기 카드사 서버에서 부여한 업종별 분류 코드를 포함하는 상기 업종 테이블을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업종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카드사 서버에서 부여한 업종별 분류 코드를 소분류로 이용하여 하나 또는 복수의 소분류를 포괄하는 대분류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대분류 코드와 상기 가맹점의 업종별 코드를 서로 매칭시켜 저장함으로써 상기 대분류 코드를 기초로 상기 가맹점의 업종별 코드를 정의하도록 상기 표준 업종 테이블을 생성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는,
    상기 카드사용내역을 수신할 카드가 제휴된 카드사의 카드인지 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카드사용내역을 수신할 카드가 제휴된 카드사의 카드일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와 상기 카드사 서버를 통신 가능하게 연결하는 전용 회선을 통하여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상기 카드사용내역을 수신하되, 상기 카드사용내역의 수신 전에, 카드유효성검사 전문을 상기 카드사 서버에 송신하며,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상기 카드유효성검사 전문에 대한 응답 전문을 수신하고, 상기 응답 전문의 수신 후 추가적인 인증 과정 없이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상기 카드사용내역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카드사용내역을 수신할 카드가 제휴되지 않은 카드사의 카드일 경우,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계정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계정 정보를 이용한 스크래핑 방식으로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상기 카드사용내역을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계정 정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에 저장되지 않는,
    복지카드 이용에 따른 효율적 사후 통제를 위한 사내 경비지출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 중 사내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을 위반한 사용내역에 대한 안내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된 복지카드 이용에 따른 효율적 사후 통제를 위한 사내 경비지출 관리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 중 사내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에 부합하는 사용내역에 상응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의 사용자에게 부여된 복지 포인트를 차감하도록 더 구성된 복지카드 이용에 따른 효율적 사후 통제를 위한 사내 경비지출 관리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관리 서비스 서버가,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에 사내 복지포인트 지출규정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가, 사내 복지 포인트를 부여받은 카드 사용자의 제1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카드 사용자의 계정 정보 또는 카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가, 상기 제1 사용자 장치로부터 사용내역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가, 수신된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카드사 서버로부터 상기 계정 정보 또는 상기 카드 정보를 이용한 스크래핑 방식 또는 전자문서교환 방식으로 카드사용내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가, 상기 카드사용내역을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가, 상기 제1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카드사용내역 중 경비처리를 위하여 제출할 것으로 상기 카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내 복지포인트 지출규정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된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 중 사내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에 위반한 사용내역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사내 복지포인트 지출규정 정보는 카드 사용 업종, 카드 사용처, 카드 사용 시간, 및 카드 사용 금액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정의되며, 상기 카드 사용 업종은 표준 업종 테이블에 기초하여 정의되고,
    상기 사내 복지포인트 지출규정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가, 서로 상이한 복수의 카드사 서버로부터 가맹점 및 상기 가맹점에 대해 상기 카드사 서버에서 부여한 업종별 분류 코드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업종 테이블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가, 상기 복수의 업종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카드사 서버에서 부여한 업종별 분류 코드를 소분류로 이용하여 하나 또는 복수의 소분류를 포괄하는 대분류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대분류 코드와 상기 가맹점의 업종별 코드를 서로 매칭시켜 저장함으로써 상기 대분류 코드를 기초로 상기 가맹점의 업종별 코드를 정의하도록 상기 표준 업종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가,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에 상기 표준 업종 테이블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카드사용내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가, 상기 카드사용내역을 수신할 카드가 제휴된 카드사의 카드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카드사용내역을 수신할 카드가 제휴된 카드사의 카드일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와 상기 카드사 서버를 통신 가능하게 연결하는 전용 회선을 통하여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상기 카드사용내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카드사용내역을 수신할 카드가 제휴되지 않은 카드사의 카드일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가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사용자 장치로부터 계정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계정 정보를 이용한 스크래핑 방식으로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상기 카드사용내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용 회선을 통하여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상기 카드사용내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가 카드유효성검사 전문을 상기 카드사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가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상기 카드유효성검사 전문에 대한 응답 전문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가 상기 응답 전문의 수신 후 추가적인 인증 과정 없이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상기 카드사용내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계정 정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에 저장되지 않는,
    복지카드 이용에 따른 효율적 사후 통제를 위한 사내 경비지출 관리 방법.
  13. 삭제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가,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 중 사내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을 위반한 사용내역에 대한 안내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지카드 이용에 따른 효율적 사후 통제를 위한 사내 경비지출 관리 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가,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 중 사내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에 부합하는 사용내역에 상응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의 사용자에게 부여된 복지 포인트를 차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지카드 이용에 따른 효율적 사후 통제를 위한 사내 경비지출 관리 방법.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가,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 중 사내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에 부합하는 사용내역을 경비처리를 위하여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지카드 이용에 따른 효율적 사후 통제를 위한 사내 경비지출 관리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비스 서버가,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내역 중 사내 복지포인트 지출규정에 부합하는 사용내역에 대한 알림 정보를 경비처리 담당자의 제2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지카드 이용에 따른 효율적 사후 통제를 위한 사내 경비지출 관리 방법.
  18.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2항 또는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지카드 이용에 따른 효율적 사후 통제를 위한 사내 경비지출 관리 방법을 실행하도록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70048596A 2017-04-14 2017-04-14 복지카드 이용에 따른 효율적 사후 통제를 위한 사내 경비지출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885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596A KR101885072B1 (ko) 2017-04-14 2017-04-14 복지카드 이용에 따른 효율적 사후 통제를 위한 사내 경비지출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PCT/KR2017/007493 WO2018190469A1 (ko) 2017-04-14 2017-07-13 복지카드 이용에 따른 효율적 사후 통제를 위한 사내 경비지출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596A KR101885072B1 (ko) 2017-04-14 2017-04-14 복지카드 이용에 따른 효율적 사후 통제를 위한 사내 경비지출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5072B1 true KR101885072B1 (ko) 2018-08-03

Family

ID=63250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8596A KR101885072B1 (ko) 2017-04-14 2017-04-14 복지카드 이용에 따른 효율적 사후 통제를 위한 사내 경비지출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85072B1 (ko)
WO (1) WO2018190469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012B1 (ko) * 2019-05-10 2019-09-11 제이앤케이솔루션 주식회사 주식거래에 대한 세금납부를 위한 양도소득세 자동계산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038129A (ko) * 2018-10-02 2020-04-10 코리아크레딧뷰로 (주) 사업체 리스크의 평가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프로그램
KR102222342B1 (ko) 2019-10-02 2021-03-03 비즈플레이 주식회사 카드 사용 사전 통제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30054140A (ko) * 2021-10-15 2023-04-24 이미정 전자쿠폰 기반의 포인트 상품 구매 장치
KR20230072384A (ko) * 2021-11-16 2023-05-24 비즈플레이 주식회사 표준화된 매장 정보를 이용한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0996A (ko) 2000-06-08 2001-12-15 서동석 신용카드 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17562A (ko) * 2006-02-09 2006-02-23 이제너두 주식회사 온라인 복지카드 시스템 및 복지카드 연동 방법
KR100705912B1 (ko) * 2000-10-31 2007-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법인 카드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090089533A (ko) * 2008-02-19 2009-08-24 이봉수 노약자용 신용카드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노약자용신용카드 서비스 방법
KR20120015505A (ko) * 2010-08-12 2012-02-22 (주)온세일육팔오 법인카드 사용 안내 방법 및 그 서비스 제공 서버
KR20140035547A (ko) * 2012-09-14 2014-03-24 박주환 큐알코드를 이용한 영수증 정보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230B1 (ko) * 2007-10-25 2008-06-19 이지웰페어 주식회사 신용 복지 포인트를 제공하는 근로자 복리후생 서비스시스템
KR101024021B1 (ko) * 2009-05-28 2011-03-29 이지웰페어 주식회사 근로자별 복지포인트 관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0996A (ko) 2000-06-08 2001-12-15 서동석 신용카드 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05912B1 (ko) * 2000-10-31 2007-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법인 카드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060017562A (ko) * 2006-02-09 2006-02-23 이제너두 주식회사 온라인 복지카드 시스템 및 복지카드 연동 방법
KR20090089533A (ko) * 2008-02-19 2009-08-24 이봉수 노약자용 신용카드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노약자용신용카드 서비스 방법
KR20120015505A (ko) * 2010-08-12 2012-02-22 (주)온세일육팔오 법인카드 사용 안내 방법 및 그 서비스 제공 서버
KR20140035547A (ko) * 2012-09-14 2014-03-24 박주환 큐알코드를 이용한 영수증 정보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8129A (ko) * 2018-10-02 2020-04-10 코리아크레딧뷰로 (주) 사업체 리스크의 평가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프로그램
KR102175616B1 (ko) * 2018-10-02 2020-11-06 코리아크레딧뷰로 (주) 사업체 리스크의 평가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프로그램
KR102021012B1 (ko) * 2019-05-10 2019-09-11 제이앤케이솔루션 주식회사 주식거래에 대한 세금납부를 위한 양도소득세 자동계산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22342B1 (ko) 2019-10-02 2021-03-03 비즈플레이 주식회사 카드 사용 사전 통제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30054140A (ko) * 2021-10-15 2023-04-24 이미정 전자쿠폰 기반의 포인트 상품 구매 장치
KR102563463B1 (ko) * 2021-10-15 2023-08-04 이미정 전자쿠폰 기반의 포인트 상품 구매 장치
KR20230072384A (ko) * 2021-11-16 2023-05-24 비즈플레이 주식회사 표준화된 매장 정보를 이용한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90469A1 (ko) 2018-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5072B1 (ko) 복지카드 이용에 따른 효율적 사후 통제를 위한 사내 경비지출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1077645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unt registration method, and program
JP6868387B2 (ja) 配送サービスシステム、サーバ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50105359A (ko) 액세스-제어된 상호작용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20009793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JP2018041118A (ja) 店舗端末装置、会員管理サーバー、決済代行サーバー、および決済方法
KR102471136B1 (ko) 세금 간편 신고 및 환급을 위한 세무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469607B1 (ko) 안전한 거래를 실현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장치
US20170262874A1 (en) Methods and system for identifying consumer preferences
KR101854393B1 (ko) 개인카드 사용내역 처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742693B1 (ko) 법인카드 사용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5835818B2 (ja) 注文情報を集積・判定する事による不正注文情報の照会方法とそのプログラム及び情報照会装置
TW201723985A (zh) 飲食店之預約結算管理系統、預約管理伺服器及預約結算管理方法
EP2442266A1 (en) Disparate barcode transaction processing
JP6175735B1 (ja) SNSを利用したWebサイトの中継サーバ、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8002529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ing travel bookings
KR20180062436A (ko) 개인카드 사용내역 처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50039667A (ko) 가맹점정보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US20170124610A1 (en) Rules-based folio routing
US201600350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n-Demand Service Advertising
KR101854394B1 (ko) 개인경비 이중 공제 방지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22025379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ivatized parcel delivery
US1074808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event access through payment accounts
KR20180131959A (ko) 개인경비 이중 공제 방지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70082825A (ko) Soho 기업을 위한 자금 관리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