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9230B1 - 신용 복지 포인트를 제공하는 근로자 복리후생 서비스시스템 - Google Patents

신용 복지 포인트를 제공하는 근로자 복리후생 서비스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9230B1
KR100839230B1 KR1020070107883A KR20070107883A KR100839230B1 KR 100839230 B1 KR100839230 B1 KR 100839230B1 KR 1020070107883 A KR1020070107883 A KR 1020070107883A KR 20070107883 A KR20070107883 A KR 20070107883A KR 100839230 B1 KR100839230 B1 KR 100839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fare
credit
point
worker
poi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7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용
Original Assignee
이지웰페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웰페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지웰페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7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92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9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9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6Debit schemes, e.g. "pay now"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용 복지 포인트를 제공하는 복리후생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해 타 컴퓨터 혹은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가맹점 정보가 저장되는 가맹점정보DB와, 근로자 개인 정보가 저장되는 근로자정보DB와, 근로자 별 복지 포인트가 저장되는 일반복지포인트DB와, 일반복지포인트DB에 근로자별로 복지 포인트 값을 설정하여 복지 포인트를 부여하는 일반복지포인트설정부를 포함하는 복지서비스 서버에 있어서, 서버가, 신용으로 부여된 신용 복지 포인트 값과, 현재 사용 가능한 신용 복지 포인트 값이 저장되는 신용복지포인트DB와, 신용복지포인트DB에 근로자가 요청하여 승인된 신용 복지 포인트를 부여하는 신용복지포인트설정부와, 근로자의 요청에 따라 복지카드사로부터 수신된 근로자의 복지카드 거래 내역 정보들 중 복지 관련 거래 내역 정보들만 추출하는 복지거래추출부와, 복지거래추출부에서 추출된 복지 거래 내역 정보들 중 선택된 복지 거래 항목의 금액만큼 일반복지포인트DB에 저장된 근로자의 복지 포인트를 차감 처리하되, 근로자의 복지 포인트가 부족할 경우, 신용복지포인트DB에 저장된 근로자의 신용 복지 포인트를 차감 처리하는 복지포인트사용처리부와, 일반복지포인트DB와 신용복지포인트DB에 저장된 근로자의 사용 가능한 복지 포인트 및 복지 포인트 사용처리 내역을 조회하는 거래내역조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지 포인트, 복리후생 서비스, 신용 복지 포인트

Description

신용 복지 포인트를 제공하는 근로자 복리후생 서비스 시스템 {Employee welfare service system providing credit welfare point}
본 발명은 근로자의 복리후생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지카드를 이용하여 근로자에게 복리후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복리후생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 기업의 복리후생제도는 급식, 피복, 기숙사 등 생계 보조형 항목으로 구성되어 처음 도입하게 되었다. 80년대 이후, 경제가 성장하면서 정부의 임금통제와 노동운동의 활성화로 복리후생제도는 생계 보조형 항목에서 벗어나 의료비 지원, 교육비 지원, 여가생활비 지원 등과 같은 자기계발 항목들이 점차 다양하게 증가 되어 왔다. 근래에는 주 5일 근무제도가 널리 확대되면서, 근로자들은 풍요로운 삶에 대한 욕구가 더욱 증가하게 되었다.
이 같은 현상은 근로자들이 기업을 지원하는데 있어서, 급여뿐만 아니라, 기 업의 복리후생제도가 중요한 잣대로 평가되어 지고 있다. 최근에는 근로자들의 개성과 욕구가 더욱 다양화됨에 따라, 기업은 근로자들에게 당해 년도에 할당될 복지 예산을 복지 포인트로 각각 할당하고, 할당받은 근로자들은 각자의 기호에 맞는 복리후생 항목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선택적 복리후생제도가 도입되었다. 또한 복리후생 서비스를 보다 편리하게 이용하도록 근로자들에게 복지카드를 발급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 같은, 복지카드는 사용가능한 한도 내에서 복지 관련 제품을 구매하거나, 복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시스템을 전산 처리로 관리되어 지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선택적 복리후생제도는 규모가 큰 기업의 근로자들만이 복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영세한 다수의 중, 소기업의 복리후생제도는 현실적으로 기업의 운영 예산이 충분하지 못하기 때문에 영세한 다수의 중, 소기업에 종사하는 다수의 근로자들은 다양한 복지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게 된다. 만약, 중, 소기업에서 복리후생제도를 실시하여 각각의 근로자들에게 복지 예산이 할당된다 하더라도, 중, 소기업은 각각의 근로자들에게 충분한 복지 예산이 지급되지 못하기 때문에, 근로자들은 원하는 복지 서비스를 충분히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기업이 근로자에게 부여하는 복지예산이 부족하거나, 근로자가 추가적인 복지예산을 필요로 할 경우, 근로자에게 신용 복지 포인트를 부여하여 기업의 복지제도를 보다 탄력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복리후생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는 기업의 근로자들에게 다양한 방법으로 복리후생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들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해 타 컴퓨터 혹은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가맹점 정보가 저장되는 가맹점정보DB와, 근로자 개인 정보가 저장되는 근로자정보DB와, 근로자 별 복지 포인트가 저장되는 일반복지포인트DB와, 일반복지포인트DB에 근로자별로 복지 포인트 값을 설정하여 복지 포인트를 부여하는 일반복지포인트설정부를 포함하는 복지서비스 서버에 있어서, 서버가, 신용으로 부여된 신용 복지 포인트 값과, 현재 사용 가능한 신용 복지 포인트 값이 저장되는 신용복지포인트DB와, 신용복지포인트DB에 근로자가 요청하여 승인된 신용 복지 포인트를 부여하는 신용복지포인트설정부와, 근로자의 요청에 따라 복지카드사로부터 수신된 근로 자의 복지카드 거래 내역 정보들 중 복지 관련 거래 내역 정보들만 추출하는 복지거래추출부와, 복지거래추출부에서 추출된 복지 거래 내역 정보들 중 선택된 복지 거래 항목의 금액만큼 일반복지포인트DB에 저장된 근로자의 복지 포인트를 차감 처리하되, 근로자의 복지 포인트가 부족할 경우, 신용복지포인트DB에 저장된 근로자의 신용 복지 포인트를 차감 처리하는 복지포인트사용처리부와, 일반복지포인트DB와 신용복지포인트DB에 저장된 근로자의 사용 가능한 복지 포인트 및 복지 포인트 사용처리 내역을 조회하는 거래내역조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 같은 양상에 따라, 복지서비스 서버는 근로자에게 부여된 복지 포인트가 부족하거나, 기업으로부터 복리후생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는 근로자에게 신용 복지 포인트를 부여함으로써, 다수의 근로자들이 복리후생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른 거래내역조회부는 복지카드사로부터 수신된 신용 복지 포인트 상환 정보에 따라 상환된 신용 복지 포인트 값과 미상환된 포인트 값을 조회 및 관리하는 포인트상환조회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같은 양상에 따라 근로자는 부여받은 신용 복지 포인트에 따른 상환 내역 정보 및 거래 내역 정보를 포함한 신용 복지 포인트 사용 내역 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른 신용복지포인트설정부는 복지카드사로부터 근로자의 신용 한도 내에서 신용 복지 포인트를 생성하는 카드포인트설정부와, 근로자의 급여 중 일부를 담보로 신용 복지 포인트를 생성하는 급여포인트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같은 양상에 따라 근로자는 본인의 신용 정보 한도 내에서 신용 복지 포인트를 부여받거나, 본인의 급여 한도 내에서 신용 복지 포인트를 부여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용 복지 포인트를 제공하는 근로자 복리후생 서비스 시스템은 기업이 근로자에게 부여하는 복지예산이 부족하거나, 근로자가 추가적인 복지예산을 필요로 할 경우, 근로자에게 신용 복지 포인트를 부여함으로써, 근로자는 보다 다양한 복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기업은 복지제도를 보다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복리후생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는 영세한 기업의 근로자들에게 다양한 복리후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복지서비스 서버에 근로자의 신용 복지 포인트에 따른 상환 내역 정보 및 거래 내역 정보를 포함한 모든 기록이 데이터로 남아 있기 때문 에, 근로자는 신용 복지 포인트와 관련된 정보를 더욱 정확하게 파악 및 관리할 수 있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후술하는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용 복지 포인트를 제공하는 복지서비스 서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지서비스 서버는 통신부(100)와, 데이터베이스인 가맹점정보DB(300), 근로자정보DB(310), 일반복지포인트DB(330), 신용복지포인트DB(350)와 각각의 데이터베이스들을 제어하는 구성들을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들 각각을 제어하는 구성들은 가맹점정보처리부(200), 근로자정보처리부(210), 일반복지포인트설정부(220), 신용복지포인트설정부(230), 복지거래추출부(240), 복지포인트사용처리부(250), 거래내역조회부(26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같은, 데이터베이스들 각 각을 제어하는 구성들은 하나의 서버 또는 복수의 서버에서 구현 가능한 프로그램들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신부(100)는 일반 컴퓨터와 가맹점 단말기 그리고 밴(VAN)사와 통신하는 일반적인 구성이다. 가맹점정보DB(300)는 가맹점정보처리부(200)를 통해 복지가 허용되는 가맹점(이하 가맹점이라 함)의 정보가 저장되며, 여기서 가맹점 정보는 가맹점 단말기 코드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 같이, 가맹점정보DB(300)에 저장된 가맹점 정보는 후술할 복지거래추출부(240)를 통해 복지 관련 거래 내역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정보로 제공된다.
기업 또는 기업과 관련된 근로자로부터 복지서비스에 따른 복지 포인트를 제공받을 근로자 정보가 수신되면, 근로자정보처리부(210)는 수신된 근로자 정보를 근로자정보DB(310)에 저장한다. 근로자정보DB(310)에 저장된 근로자 정보는 근로자의 복지카드정보, 아이디, 비밀번호, 인적사항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후, 일반복지포인트설정부(220)는 근로자정보DB(310)에 저장된 근로자 정보와 관련된 복지 포인트 값을 설정 및 생성하여 일반복지포인트DB(330)에 저장한다. 이 같이, 복지 포인트가 부여되어 일반복지포인트DB(330)에 저장됨에 따라, 근로자는 근로자의 복지카드를 이용하여 가맹점에서 구매한 제품에 따른 금액을 복지 포인트로 차감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근로자는 결제한 금액을 환급받거나, 후술할 온라인 전용복지몰(Mall)에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다. 여기서 복지카드란, 복지 포인트를 사용할 수 있는 신용카드를 말한다. 복지거래추출부(240)는 근로자의 요청에 따라 복지카드사로부터 수신된 근로자의 복지카드 거래 내역 정보들 중 복지 관련 거래 내역 정보들만 추출한다. 여기서, 복지카드사는 복지카드를 발급한 일반적인 신용카드사이며, 복지카드 거래 내역 정보는 가맹점 단말기의 코드 정보를 포함한다.
복지포인트사용처리부(250)는 복지거래추출부(240)로부터 추출된 복지 관련 거래 내역 정보들 중 선택된 복지 거래 항목의 금액만큼 일반복지포인트DB(330)에 저장된 복지 포인트를 차감 처리하여 일반복지포인트DB(330)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근로자가 복지카드를 이용하여 가맹점에서 제품을 구매함에 따라, 가맹점은 구비된 카드결제단말기를 통해 근로자의 복지카드 정보를 밴(VAN)사 서버에 전송하여 승인요청을 한다. 복지카드사로부터 승인 처리된 정보를 수신한 밴사는 수신된 승인 정보를 가맹점의 카드결제단말기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근로자의 카드결제는 완료 처리되고, 근로자는 복지카드사에게 결제 금액을 납부처리한다.
이후, 납부 처리된 결제 금액을 근로자의 복지 포인트로 차감 처리 요청에 따라, 복지서비스 서버는 근로자의 복지카드 사용 내역 정보를 복지카드사 서버에 요청한다. 이에 따라, 복지카드 사용 내역 정보가 수신되면, 복지거래추출부(240)는 가맹점정보DB(300)에 저장된 복지 관련 가맹점 정보를 통해 수신된 복지카드 사용 내역 정보들 중 복지 관련 거래 내역 정보들만 추출한다. 이후, 복지거래추출부(240)로부터 추출된 복지 관련 거래 정보들 중 선택된 복지 관련 거래 정보만이 복지 포인트로 차감 처리된다. 이에 따라, 복지포인트사용처리부(250)는 일반복지 포인트DB(330)에 저장된 복지 포인트를 선택된 복지 거래 정보와 관련된 금액만큼 차감 처리한다. 이후, 복지 포인트로 차감 처리된 복지 거래 정보와 해당 근로자 정보는 통신부(100)를 통해 근로자와 관련된 기업 서버와 복지카드사 서버로 전송된다. 이를 수신한 기업 서버는 차감 처리된 복지 포인트만큼 복지카드사에 납부 처리하고, 이에 따라, 복지카드사는 해당 근로자에게 결제한 복지 포인트만큼의 금액을 환급 처리한다. 이에 따라 근로자는 복지카드사로부터 복지 포인트 사용에 따른 금액을 환급받을 수 있다.
한편, 복지서비스 서버와 관련된 온라인 전용복지몰(Mall)에서 근로자의 복지 거래가 이루어지면, 온라인 전용복지몰에서 거래된 거래 내역 정보는 복지서비스 서버에 전송된다. 이 같이, 거래 내역 정보가 수신되면, 복지포인트사용처리부(250)는 일반복지포인트DB(330)에 저장된 복지 포인트를 수신된 거래 내역 정보와 관련된 제품의 금액만큼 실시간 차감 처리한다.
거래내역조회부(260)는 일반복지포인트DB(330)와 후술할 신용복지포인트DB(350)에 저장된 근로자의 사용 가능한 복지 포인트를 조회 처리한다. 또한 거래내역조회부(260)는 복지 포인트를 사용한 내역 정보를 수신하여 조회 처리한다. 이에 따라, 근로자는 복지가 허용되는 가맹점 또는 온라인 전용복지몰에서 복지 포인트로 차감 처리된 복지 거래 내역 정보와 사용 가능한 복지 포인트를 거래내역조회부(260)를 통해 조회할 수 있다.
신용복지포인트설정부(230)는 근로자정보DB(310)에 저장된 근로자 정보와 관련된 신용 복지 포인트 값을 설정 및 생성하여 신용복지포인트DB(350)에 저장한다.
이 같이, 신용 복지 포인트는 선 지급된 복지 포인트로써, 일반복지포인트DB(330)에 저장된 복지 포인트가 부족하면, 근로자는 본인의 신용 한도 내에서 신용 복지 포인트를 신청할 수 있다. 신청된 신용 복지 포인트는 신용복지포인트설정부(230)를 통해 해당 근로자의 신용 복지 포인트 값으로 설정 및 생성되어 신용복지포인트DB(350)에 저장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용복지포인트설정부에서 신용 복지 포인트를 생성하는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신용복지포인트설정부(230)는 카드포인트설정부(231)와 급여포인트설정부(233)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카드포인트설정부(231)는 복지카드사로부터 근로자의 신용 한도 내에서 선 지급된 카드 복지 포인트인 신용 복지 포인트를 생성한다. 근로자가 카드 복지 포인트인 신용 복지 포인트를 신청함에 따라, 복지서비스 서버는 해당 근로자와 관련된 복지카드사로부터 신용 복지 포인트 사용 승인 정보를 수신한다. 이에 따라, 신용복지포인트설정부(230)의 카드포인트설정부(231)는 근로자의 신용 한도 내에서 신용 복지 포인트를 생성되어 신용복지포인트DB(350)에 저장된다.
이 같이, 카드포인트설정부(231)에서 생성된 신용 복지 포인트는 근로자의 복지카드 거래 실적과 관련되어 적립된 누적 포인트를 통해 복지카드사에 의해 차감 처리된다. 급여포인트설정부(233)는 신용 복지 포인트를 신청한 근로자의 급여 중 일부를 담보로써 선 지급된 급여 복지 포인트인 신용 복지 포인트를 생성한다. 이 같이, 급여포인트설정부(233)에서 생성된 신용 복지 포인트는 근로자와 관련된 기업에서 근로자의 급여 중 일부로 차감 처리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거래내역조회부(260)는 포인트상환조회관리부(261)를 포함한다. 포인트상환관리부(261)는 복지카드사로부터 수신된 신용 복지 포인트 상환 정보를 통해 상환된 신용 복지 포인트 값과 미상환된 포인트 값을 조회 처리한다. 이에 따라, 근로자는 선 지급된 신용 복지 포인트 값 중 상환된 신용 복지 포인트 값과 미상환된 신용 복지 포인트 값을 조회하고 관리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근로자는 기업의 복지 서비스 제공에 따라 복지서비스 서버로부터 부여된 복지 포인트가 부족하거나, 기업으로부터 복지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근로자는 복지카드 거래 실적과 관련되어 적립된 누적 포인트로 신용 복지 포인트를 상환하는 카드 복지 포인트인 신용 복지 포인트를 복지서비스 서버에 요청한다. 이에 따라 복지서비스 서버는 신용 복지 포인트를 신청한 근로자와 관련된 복지카드사에게 신용 복지 포인트 사용 승인을 요청한다. 이후, 복지카드사로부터 사용 승인 정보가 회신되면, 신용복지포인트설 정부(230)의 카드포인트설정부(231)는 근로자의 신용 한도 내에서 신용 복지 포인트 값을 설정 및 생성하여 신용복지포인트DB(350)에 저장한다. 이 같이, 신용복지포인트DB(350)에 저장된 신용 복지 포인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복지포인트DB(330)에 저장된 복지 포인트와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 처리된다. 근로자가 복지카드를 이용하여 가맹점에서 제품을 구매함에 있어서, 가맹점은 구비된 카드결제단말기를 통해 근로자의 복지카드 정보를 밴사 서버에 전송하여 승인요청을 한다.
복지카드사로부터 승인 처리된 정보를 수신한 밴사는 수신된 승인 정보를 가맹점의 카드결제단말기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근로자의 카드결제는 완료 처리되고, 이후, 근로자는 복지카드사에게 결제 금액을 납부처리한다. 납부 처리된 결제 금액을 근로자의 신용 복지 포인트로 차감 처리 요청에 따라, 복지서비스 서버는 근로자의 복지카드 사용 내역 정보를 복지카드사 서버에 요청한다.
이에 따라, 복지카드 사용 내역 정보가 수신되면, 복지거래추출부(240)는 가맹점정보DB(300)에 저장된 복지 관련 가맹점 정보를 통해 수신된 복지카드 사용 내역 정보들 중 복지 관련 거래 내역 정보들만 추출한다. 이후, 복지거래추출부(240)로부터 추출된 복지 관련 거래 정보들 중 선택된 복지 관련 거래 정보만이 복지 포인트로 차감 처리된다. 이에 따라, 복지포인트사용처리부(250)는 신용복지포인트DB(350)에 저장된 신용 복지 포인트를 선택된 복지 거래 정보와 관련된 금액만큼 차감 처리한다.
이후, 신용 복지 포인트로 차감 처리된 복지 거래 정보와 해당 근로자 정보는 통신부(100)를 통해 근로자와 관련된 기업 서버와 복지카드사 서버로 전송된다. 이를 수신한 기업 서버는 신용 복지 포인트로 결제한 금액을 복지카드사에 납부 처리하고, 이에 따라, 복지카드사는 해당 근로자에게 신용 복지 포인트로 결제한 금액을 환급 처리한다. 이에 따라 근로자는 복지카드사로부터 복지 포인트 사용에 따른 금액을 환급받을 수 있다.
한편, 복지서비스 서버와 관련된 온라인 전용복지몰(Mall)에서 근로자의 복지 거래가 이루어지면, 온라인 전용복지몰에서 거래된 거래 내역 정보는 복지서비스 서버에 전송된다. 거래 내역 정보가 수신되면, 복지포인트사용처리부(250)는 신용복지포인트DB(330)에 저장된 신용 복지 포인트를 수신된 거래 내역 정보와 관련된 제품의 금액만큼 실시간 차감 처리한다. 이후, 근로자는 신용 복지 포인트를 사용한 복지 거래 내역 조회를 요청한다.
이 같은, 복지서비스 서버는 도 3과 같이, 복지가 허용되는 가맹점 또는 온라인 전용복지몰에서 복지 포인트로 차감 처리된 복지 거래 내역 정보를 조회 처리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복지 포인트인 신용 복지 포인트를 이용한 사용 내역 조회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근로자는 총 지급된 카드 복지 포인트인 신용 복지 포인트 중 사용한 포인트가 얼마인지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사용 내역 조회를 할 수 있다. 또한 근로자는 사용하고 남은 잔여 포인트와 복지 카드 거래 실적과 관련되어 적립된 누적 포인트로 상환 처리된 신용 복지 포인트가 얼마인지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근로자는 기업의 복지 서비스 제공에 따라 복지서비스 서버로부터 부여된 복지 포인트가 부족하거나, 기업으로부터 복지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근로자는 본인의 급여 중 일부를 담보로써 신용 복지 포인트를 상환하는 급여 복지 포인트인 신용 복지 포인트를 복지서비스 서버에 요청한다. 이에 따라, 복지서비스 서버는 신용 복지 포인트를 신청한 근로자와 관련된 기업 서버에 신용 복지 포인트 사용 승인을 요청한다. 근로자의 신용 복지 포인트 사용 승인 정보를 수신한 기업 서버는 수신된 신용 복지 포인트 신청 금액 정보만큼 해당 근로자의 급여에서 차감 처리한다.
이후, 급여포인트설정부(233)는 근로자의 신용 한도 내에서 신용 복지 포인트 값을 설정 및 생성하여 신용복지포인트DB(350)에 저장한다. 급여포인트설정부(233)는 근로자의 급여 한도 내에서 신용 복지 포인트 값을 설정 및 생성하여 신용복지포인트DB(350)에 저장한다. 이 같이, 신용복지포인트DB(350)에 저장된 신용 복지 포인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복지포인트DB(330)에 저장된 복지 포인트와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 처리된다. 근로자가 복지카드를 이용하여 가맹점에서 제품을 구매함에 있어서, 가맹점은 구비된 카드결제단말기를 통해 근로자의 복지카드 정보를 밴사 서버에 전송하여 승인요청을 한다. 복지카드사로부터 승인 처리된 정 보를 수신한 밴사는 수신된 승인 정보를 가맹점의 카드결제단말기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근로자의 카드결제는 완료 처리되고, 이후, 근로자는 복지카드사에게 결제 금액을 납부처리한다. 납부 처리된 결제 금액을 근로자의 신용 복지 포인트로 차감 처리 요청에 따라, 복지서비스 서버는 근로자의 복지카드 사용 내역 정보를 복지카드사 서버에 요청한다. 이에 따라, 복지카드 사용 내역 정보가 수신되면, 복지거래추출부(240)는 가맹점정보DB(300)에 저장된 복지 관련 가맹점 정보를 통해 수신된 복지카드 사용 내역 정보들 중 복지 관련 거래 내역 정보들만 추출한다.
이후, 복지거래추출부(240)로부터 추출된 복지 관련 거래 정보들 중 선택된 복지 관련 거래 정보만이 복지 포인트로 차감 처리된다. 이에 따라, 복지포인트사용처리부(250)는 신용복지포인트DB(350)에 저장된 신용 복지 포인트를 선택된 복지 거래 정보와 관련된 금액만큼 차감 처리한다.
이후, 신용 복지 포인트로 차감 처리된 복지 거래 정보와 해당 근로자 정보는 통신부(100)를 통해 근로자와 관련된 기업 서버와 복지카드사 서버로 전송된다. 이를 수신한 기업 서버는 신용 복지 포인트로 결제한 금액을 복지카드사에 납부 처리하고, 이에 따라, 복지카드사는 해당 근로자에게 신용 복지 포인트로 결제한 금액을 환급 처리한다. 이에 따라 근로자는 복지카드사로부터 복지 포인트 사용에 따른 금액을 환급받을 수 있다.
한편, 복지서비스 서버와 관련된 온라인 전용복지몰(Mall)에서 근로자의 복지 거래가 이루어지면, 온라인 전용복지몰에서 거래된 거래 내역 정보는 복지서비스 서버에 전송된다. 거래 내역 정보가 수신되면, 복지포인트사용처리부(250)는 신용복지포인트DB(330)에 저장된 신용 복지 포인트를 수신된 거래 내역 정보와 관련된 제품의 금액만큼 실시간 차감 처리한다. 이후, 근로자는 신용 복지 포인트를 사용한 복지 거래 내역 조회를 요청한다.
이에 따라, 복지서비스 서버는 도 4과 같이, 복지가 허용되는 가맹점 또는 온라인 전용복지몰에서 복지 포인트로 차감 처리된 복지 거래 내역 정보를 조회 처리한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급여 복지 포인트인 신용 복지 포인트를 이용한 사용 내역 조회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근로자는 총 지급된 급여 복지 포인트인 신용 복지 포인트 중 사용한 포인트가 얼마인지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사용 내역 조회를 할 수 있다. 또한 근로자는 사용하고 남은 잔여 포인트와 기업으로부터 복지카드사에 해당 근로자의 급여로 정산 처리된 신용 복지 포인트를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용 복지 포인트를 이용한 복지서비스 방법을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용 복지 포인트를 이용한 복지서비스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있어서, 근로자의 신용 정보로 부여된 신용 복지 포 인트 값은 신용복지포인트설정부를 통해 신용복지포인트DB에 저장된다(S100). 여기서 근로자의 신용 정보로 부여된 신용 복지 포인트 값은 선 지급된 복지 포인트로써, 카드 복지 포인트 값과 급여 복지 포인트 값을 포함한다.
카드 복지 포인트 값은 복지카드사로부터 선 지급된 신용 복지 포인트이다. 예를 들어, 근로자가 기업의 복지 서비스 제공에 따라 복지서비스 서버로부터 부여된 복지 포인트가 부족하거나, 기업으로부터 복지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근로자는 복지카드 거래 실적과 관련되어 적립된 누적 포인트로 신용 복지 포인트를 상환하는 카드 복지 포인트인 신용 복지 포인트를 복지서비스 서버에 요청한다. 이에 따라 복지서비스 서버는 신용 복지 포인트를 신청한 근로자와 관련된 복지카드사에게 신용 복지 포인트 사용 승인을 요청한다. 이후, 복지카드사로부터 사용 승인 정보가 회신되면, 신용복지포인트설정부는 근로자의 신용 복지 포인트 값을 설정 및 생성하여 신용복지포인트DB에 저장한다.
급여 복지 포인트 값은 근로자의 급여 중 일부를 담보로써 선 지급된 신용 복지 포인트이다. 예를 들어, 근로자가 기업의 복지 서비스 제공에 따라 복지서비스 서버로부터 부여된 복지 포인트가 부족하거나, 기업으로부터 복지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근로자는 기업에서 지급되는 급여를 담보로써 신용 복지 포인트를 신청한다. 이를 수신한 신용복지포인트설정부는 근로자의 신용 복지 포인트 값을 설정 및 생성하여 신용복지포인트DB에 저장한다. 이 같은, 급여 복지 포인트 값은 근로자의 급여 중 일부를 담보로 제공받는 신용 복지 포인트 값으로써, 근로자는 사용한 금액만큼의 신용 복지 포인트 값을 본인의 급여로 상환 처리할 수 있다.
이 같이, 신용 복지 포인트가 생성됨에 따라, 구매자는 복지가 허용되는 가맹점에서 복지카드를 이용하여 제품을 구매한다. 가맹점은 구비된 카드결제단말기를 통해 근로자의 복지카드 정보를 밴사 서버에 전송하여 승인요청을 한다. 복지카드사로부터 승인 처리된 정보를 수신한 밴사는 수신된 승인 정보를 가맹점의 카드결제단말기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근로자의 카드결제는 완료 처리되고, 이후, 근로자는 복지카드사에게 결제 금액을 납부처리한다. 납부 처리된 결제 금액을 근로자의 신용 복지 포인트로 차감 처리 요청에 따라, 복지서비스 서버는 복지카드사 서버로부터 근로자의 복지카드 사용 내역 정보를 수신한다(S200). 수신된 근로자의 복지카드 사용 내역 정보들은 복지거래추출부를 통해 가맹점정보DB에 저장된 복지 관련 가맹점 정보와 비교하여 복지카드 사용 내역 정보들 중 복지 관련 거래 내역 정보들만 추출한다(S300).
이후, 복지거래추출부로부터 추출된 복지 관련 거래 정보들 중 선택된 복지 관련 거래 정보만이 복지 포인트로 차감 처리된다. 이에 따라, 복지포인트사용처리부는 신용복지포인트DB에 저장된 신용 복지 포인트를 선택된 복지 거래 정보와 관련된 금액만큼 차감 처리한다(S400).
한편, 복지서비스 서버와 관련된 온라인 전용복지몰(Mall)에서 근로자의 복지 거래가 이루어지면, 온라인 전용복지몰에서 거래된 거래 내역 정보는 복지서비스 서버에 전송된다. 거래 내역 정보가 수신되면, 복지포인트사용처리부는 신용복지포인트DB에 저장된 신용 복지 포인트를 수신된 거래 내역 정보와 관련된 제품의 금액만큼 실시간 차감 처리한다. 차감 처리된 신용 복지 포인트는 복지포인트사용처리부를 통해 신용복지포인트DB에 저장된다(S500).
이 같이, 신용 복지 포인트로 차감 처리되는 복지 거래 내역 정보들과 해당 근로자 정보는 복지서비스 서버를 통해 기업 서버와 복지카드 서버에 전송된다(S600). 이를 수신한 기업 서버는 신용 복지 포인트로 결제한 금액을 복지카드사에 납부 처리하고, 이에 따라, 복지카드사는 해당 근로자에게 신용 복지 포인트로 결제한 금액을 환급 처리한다. 이에 따라 근로자는 복지카드사로부터 복지 포인트 사용에 따른 금액을 환급받을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신용 복지 포인트를 관리하는 복지서비스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이 같은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 같은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PC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신용 복지 포인트를 관리하는 복지서비스 방법이 구현된다. 이 같은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 록매체, 및 캐리어 웨이브 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용 복지 포인트를 제공하는 복지서비스 서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용복지포인트설정부에서 신용 복지 포인트를 생성하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복지 포인트인 신용 복지 포인트를 이용한 사용 내역 조회 예시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급여 복지 포인트인 신용 복지 포인트를 이용한 사용 내역 조회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용 복지 포인트를 이용한 복지서비스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통신부 : 100 가맹점정보처리부 : 200
근로자정보처리부 : 210 일반복지포인트설정부 : 220
신용복지포인트설정부 : 230 카드포인트설정부 : 231
급여포인트설정부 : 233 복지거래추출부 : 240
복지포인트사용처리부 : 250 거래내역조회부 : 650
포인트상환조회관리부 : 261 가맹점정보DB : 300
근로자정보DB : 310 일반복지포인트DB : 330
신용복지포인트DB : 350

Claims (8)

  1. 삭제
  2. 네트워크를 통해 타 컴퓨터 혹은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가맹점 정보가 저장되는 가맹점정보DB와;
    근로자 개인 정보가 저장되는 근로자정보DB와;
    근로자 별 복지 포인트가 저장되는 일반복지포인트DB와;
    상기 일반복지포인트DB에 근로자별로 복지 포인트 값을 설정하여 복지 포인트를 부여하는 일반복지포인트설정부;
    를 포함하는 복지서비스 서버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신용으로 부여된 신용 복지 포인트 값과, 현재 사용 가능한 신용 복지 포인트 값이 저장되는 신용복지포인트DB와;
    복지카드사로부터 근로자의 신용 한도 내에서 신용 복지 포인트를 생성하는 카드포인트설정부와, 상기 근로자의 급여 중 일부를 담보로 신용 복지 포인트를 생성하는 급여포인트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드포인트설정부와 상기 급여포인트설정부로부터 생성된 신용 복지 포인트를 상기 신용복지포인트DB에 부여하는 신용복지포인트설정부와;
    근로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복지카드사로부터 수신된 상기 근로자의 복지카드 거래 내역 정보들 중 복지 관련 거래 내역 정보들을 추출하는 복지거래추출부와;
    상기 복지거래추출부에서 추출된 복지 거래 내역 정보들 중 선택된 복지 거래 항목의 금액만큼 상기 일반복지포인트DB에 저장된 상기 근로자의 복지 포인트를 차감 처리하되, 상기 근로자의 복지 포인트가 부족할 경우, 상기 신용복지포인트DB에 저장된 상기 근로자의 신용 복지 포인트를 차감하는 복지포인트사용처리부와;
    상기 일반복지포인트DB와 상기 신용복지포인트DB에 저장된 근로자의 사용 가능한 복지 포인트 및 복지 포인트 사용처리 내역을 조회하는 거래내역조회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지서비스 서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지포인트사용처리부는:
    온라인 전용복지몰(Mall)에서 복지 거래가 이루어지면, 상기 일반복지포인트DB 및 상기 신용복지포인트DB에 저장된 해당 근로자의 복지 포인트를 실시간 차감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지서비스 서버.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내역조회부는:
    상기 복지카드사로부터 수신된 신용 복지 포인트 상환 정보에 따라 상환된 신용 복지 포인트 값과 미상환된 포인트 값을 조회 및 관리하는 포인트상환조회관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지서비스 서버.
  5. 삭제
  6. 복지카드를 소지한 근로자들에게 복지 포인트를 부여하고, 복지가 허용되는 다수의 가맹점에서 상기 복지카드를 이용하여 복지 관련 서비스를 거래하고, 거래된 복지 거래 내역 정보들 중 선택된 복지 거래 내역 정보와 관련된 제품의 금액만큼 상기 복지 포인트를 차감 처리하되, 상기 복지 포인트가 부족한 근로자에게 신용 복지 포인트를 제공하는 복지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용 복지 포인트는 복지카드사로부터 근로자의 신용 한도 내에서 제공받는 카드 복지 포인트와 상기 근로자의 급여 중 일부를 담보로 제공받는 급여 복지 포인트를 포함하며, 이 중 적어도 하나의 신용 복지 포인트를 생성하여 신용복지포인트DB에 저장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복지카드사로부터 거래 내역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거래 내역 정보들 중 복지 관련 내역 정보를 추출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추출된 복지 관련 내역 정보 중 선택된 복지 관련 내역 정보와 관련된 금액만큼 해당 근로자의 신용 복지 포인트를 차감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지서비스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온라인 전용복지몰(Mall)에서 거래 내역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거래 내역 정보와 관련된 거래 금액만큼 해당 근로자의 신용 복지 포인트를 실시간으로 차감 처리하도록 하는 제 2 - 1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지서비스 방법.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따른 복지서비스 방법이 구현된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KR1020070107883A 2007-10-25 2007-10-25 신용 복지 포인트를 제공하는 근로자 복리후생 서비스시스템 KR100839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7883A KR100839230B1 (ko) 2007-10-25 2007-10-25 신용 복지 포인트를 제공하는 근로자 복리후생 서비스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7883A KR100839230B1 (ko) 2007-10-25 2007-10-25 신용 복지 포인트를 제공하는 근로자 복리후생 서비스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9230B1 true KR100839230B1 (ko) 2008-06-19

Family

ID=39771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7883A KR100839230B1 (ko) 2007-10-25 2007-10-25 신용 복지 포인트를 제공하는 근로자 복리후생 서비스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923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582B1 (ko) 2008-08-29 2011-03-16 재단법인 한국사회서비스관리원 포인트를 이용한 전자 바우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124316B1 (ko) * 2009-12-30 2012-03-23 주식회사 온라인메드 제휴 포인트를 제공하는 선택적 복지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WO2018190469A1 (ko) * 2017-04-14 2018-10-18 비즈플레이 주식회사 복지카드 이용에 따른 효율적 사후 통제를 위한 사내 경비지출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10766380A (zh) * 2019-10-15 2020-02-07 深圳市新系区块链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系统及相关设备
KR102153327B1 (ko) 2019-07-16 2020-09-08 (주)제이코스 고객사 맞춤형 상품 제안이 가능한 복지몰 운영 서버
KR20200132763A (ko) 2019-05-16 2020-11-25 (주)제이코스 복지몰 상품 구성 학습 서버
IT201900020546A1 (it) 2019-11-07 2021-05-07 Well Work S R L Sistema di gestione e attribuzione del welfare aziendale ai dipendenti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4927A (ko) * 2003-05-06 2004-11-12 장슬기로 기업복지 및 근로자 선택적 복리후생제도를 위한 시스템
KR20050007069A (ko) * 2003-07-11 2005-01-17 이제너두 주식회사 복지카드를 이용한 온라인 복지관리 시스템 및 그운영방법
KR20060021799A (ko) * 2004-09-03 2006-03-08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카드 이용금액의 급여공제금 대체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4927A (ko) * 2003-05-06 2004-11-12 장슬기로 기업복지 및 근로자 선택적 복리후생제도를 위한 시스템
KR20050007069A (ko) * 2003-07-11 2005-01-17 이제너두 주식회사 복지카드를 이용한 온라인 복지관리 시스템 및 그운영방법
KR20060021799A (ko) * 2004-09-03 2006-03-08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카드 이용금액의 급여공제금 대체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기록매체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582B1 (ko) 2008-08-29 2011-03-16 재단법인 한국사회서비스관리원 포인트를 이용한 전자 바우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124316B1 (ko) * 2009-12-30 2012-03-23 주식회사 온라인메드 제휴 포인트를 제공하는 선택적 복지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WO2018190469A1 (ko) * 2017-04-14 2018-10-18 비즈플레이 주식회사 복지카드 이용에 따른 효율적 사후 통제를 위한 사내 경비지출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00132763A (ko) 2019-05-16 2020-11-25 (주)제이코스 복지몰 상품 구성 학습 서버
KR102153327B1 (ko) 2019-07-16 2020-09-08 (주)제이코스 고객사 맞춤형 상품 제안이 가능한 복지몰 운영 서버
CN110766380A (zh) * 2019-10-15 2020-02-07 深圳市新系区块链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系统及相关设备
IT201900020546A1 (it) 2019-11-07 2021-05-07 Well Work S R L Sistema di gestione e attribuzione del welfare aziendale ai dipendenti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33111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romotional pricing
US807373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deeming rewards associated with accounts
US7020633B2 (en) Method and system for merchant processing of purchase card transactions with expanded card type acceptance
US8224697B2 (en) Managing customer entitlements to rewards from multiple entitlement programs
US7424455B2 (en) Method and systems for providing merchant services with right-time creation and updating of merchant accounts
KR100662026B1 (ko) 네트워크를 통한 부가세 환급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39230B1 (ko) 신용 복지 포인트를 제공하는 근로자 복리후생 서비스시스템
US20040181453A1 (en) Configurable stored value platform
US200501253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etizing personal consumer profiles by aggregating a plurality of consumer credit card accounts into one card
US20040049452A1 (en) Multiple credit line presentation instrument
US20060136299A1 (en) Method and system for handling rebate-entitled credit card payment transactions
US20020046106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deling business card exchanges in a point-to -point value
US20100057580A1 (en) Unified payment card
US20080249861A1 (en) Bonus system
US20150228018A1 (en) System, method, and program products for compiling credits issued by a travel product provider
CA2475827A1 (en) System and method for single event authorization control of transactions
KR20010107852A (ko) 가상계좌를 이용한 지불 및 결제가 되는 카드 와전자화폐의 발행, 운용 시스템
JP2010529535A5 (ko)
KR20010083813A (ko) 통신망을 통해 가맹점에서의 카드즉시발급 시스템 및 그방법
CN101010687A (zh) 自动付款授权清算的方法和系统
US20080097853A1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lying Integrated Mileage Service
KR100869594B1 (ko) 멤버쉽카드를 활용한 복지관리 시스템 및 방법
EP1675080A1 (en) Method and system for handling rebate-entitled credit card payment transactions
US20090254451A1 (en) Transaction system and method
AU2021105552A4 (en) A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ng financial transaction processing and settlement and managing reward account using Block-chain smart contra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