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2384A - 표준화된 매장 정보를 이용한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표준화된 매장 정보를 이용한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2384A
KR20230072384A KR1020220067991A KR20220067991A KR20230072384A KR 20230072384 A KR20230072384 A KR 20230072384A KR 1020220067991 A KR1020220067991 A KR 1020220067991A KR 20220067991 A KR20220067991 A KR 20220067991A KR 20230072384 A KR20230072384 A KR 20230072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information
support
store
u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7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4462B1 (ko
Inventor
황정원
김창민
김경민
Original Assignee
비즈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즈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즈플레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072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2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4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4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8Databases characterised by their database models, e.g. relational or object models
    • G06F16/284Relational databases
    • G06F16/285Clustering or class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은, 카드 가맹점에 연관된 사용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데이터베이스; 복수 개의 카드사 서버로부터 각각 가맹점 분류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가맹점 분류 정보를 상기 사용처 정보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표준화된 매장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표준화된 매장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구성된 정보 가공부; 및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가맹점 정보를 포함하는 카드 승인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표준화된 매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카드 승인 요청에 상응하는 가맹점을 검증하고, 상기 카드 승인 요청에 상응하는 가맹점이 검증될 경우 카드 사용에 대한 승인 정보를 상기 카드사 서버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사용내역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준화된 매장 정보를 이용한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CARD PAYMENTS USING STANDARDIZED STORE INFORMATION AND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실시예들은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들은 각 카드사 별로 상이한 가맹점의 업종분류코드를 일관된 기준에 따라 표준화된 매장 정보로 관리함으로써, 가맹점의 업종에 따른 카드 사용 관리, 예컨대, 국민지원금과 같은 지원금의 정산 등이 오류 없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정부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개인 또는 기업에 대한 지원금 제도로 소기업 및 중견기업에 인건비를 지원하는 고용 장려금, 일하는 세대 자녀의 양육비를 지원하는 근로/자녀 장려금, 근로자 한 명당 월 설정 금액을 보조하는 일자리 안정자금, 근로자 여행경비의 적립 금액을 추가 지원하는 근로자 휴가지원금 등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의 창궐로 인한 경제적 피해를 입은 국민들을 지원하기 위한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 상생소비지원금 등의 제도가 운영되고 있다.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 및 상생소비지원금의 경우, 지원금을 받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카드사 홈페이지, 애플리케이션, 콜센터, ARS 등을 통해 특정 카드를 기반으로 지원금을 신청하거나, 또는 지역사랑상품권 홈페이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지역사람상품권을 신청하여야 한다. 사용자는 신용카드, 체크카드, 선불카드 또는 지역사랑상품권을 선택하여 지원금을 지급받을 수 있고, 지원금의 사용과 이에 대한 한도 관리도 사용자가 선택한 카드 또는 상품권을 기반으로 각 카드사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각각의 카드사에서는 독자적인 방식으로 가맹점들의 업종을 분류하므로, 지원금이 특정 업종의 매장 또는 특정 형태(예컨대, 전통시장)의 매장에서만 사용 가능하도록 설정된 경우에도 각 카드사별로 상이한 가맹점 관리 형태로 인하여 지원금 운용이 당초의 목적대로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담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16353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각 카드사 별로 상이한 가맹점의 업종분류코드를 일관된 기준에 따라 표준화된 매장 정보로 관리함으로써, 가맹점의 업종에 따른 카드 사용 관리, 예컨대, 국민지원금과 같은 지원금의 정산 등이 오류 없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은, 카드 가맹점에 연관된 사용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데이터베이스; 복수 개의 카드사 서버로부터 각각 가맹점 분류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가맹점 분류 정보를 상기 사용처 정보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표준화된 매장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표준화된 매장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구성된 정보 가공부; 및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가맹점 정보를 포함하는 카드 승인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표준화된 매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카드 승인 요청에 상응하는 가맹점을 검증하고, 상기 카드 승인 요청에 상응하는 가맹점이 검증될 경우 카드 사용에 대한 승인 정보를 상기 카드사 서버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사용내역 관리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보 가공부는, 상기 표준화된 매장 정보를 상기 복수 개의 카드사 서버 중 하나 이상의 카드사 서버의 상기 가맹점 분류 정보와 동기화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보 가공부는, 지원기관 서버로부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 대한 지원금액을 포함하는 지원금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지원금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더 구성된다. 이때, 상기 사용처 정보는 상기 지원금액을 사용 가능한 카드 가맹점을 정의하고, 상기 사용내역 관리부는, 상기 카드 승인 요청에 포함된 상기 가맹점 정보를 상기 표준화된 매장 정보와 매칭함으로써 지원금 사용 가능 여부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원금 정보는 하나 이상의 사용처에서의 지원금 사용금액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캐시백(cashback)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사용내역 관리부는, 상기 캐시백 정보에 기초하여, 지원금 사용금액에 상응하는 캐시백 금액을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하도록 상기 지원금 정보를 갱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카드 사용 통합 관리 방법은,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이 복수 개의 카드사 서버로부터 각각 가맹점 분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이, 상기 가맹점 분류 정보를 미리 설정된 사용처 정보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표준화된 매장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이,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가맹점 정보를 포함하는 카드 승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이, 상기 표준화된 매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카드 승인 요청에 상응하는 가맹점을 검증하는 단계; 및 상기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이, 상기 카드 승인 요청에 상응하는 가맹점이 검증될 경우, 카드 사용에 대한 승인 정보를 상기 카드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사용 통합 관리 방법은, 상기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이, 상기 표준화된 매장 정보를 상기 복수 개의 카드사 서버 중 하나 이상의 카드사 서버의 상기 가맹점 분류 정보와 동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사용 통합 관리 방법은, 상기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이, 지원기관 서버로부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 대한 지원금액을 포함하는 지원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사용처 정보는 상기 지원금액을 사용 가능한 카드 가맹점을 정의하고, 상기 가맹점을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이, 상기 카드 승인 요청에 포함된 상기 가맹점 정보를 상기 표준화된 매장 정보와 매칭함으로써 지원금 사용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원금 정보는 하나 이상의 사용처에서의 지원금 사용금액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캐시백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카드 사용 통합 관리 방법은, 상기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이, 상기 캐시백 정보에 기초하여, 지원금 사용금액에 상응하는 캐시백 금액을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하도록 상기 지원금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카드 사용 통합 관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각 카드사 별로 상이한 가맹점의 업종분류코드를 일관된 기준에 따라 표준화된 매장 정보로 관리함으로써, 가맹점의 업종에 따른 카드 사용 관리가 각 카드사 별로 상이한 가맹점 분류에 영향을 받지 않고 일원화된 시스템을 통하여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국민지원금과 같이 정부 등의 지원기관이 개별 소비자들에게 지원한 금액을 카드를 통해 사용하는 형태의 지원금의 사용에 적용되어, 지원금 사용 가능 여부 및 사용금액 정산을 통합 시스템이 일원화된 방식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지원금의 사용자들이 카드사 또는 카드의 종류에 제한을 받지 않고 자신의 희망하는 임의의 카드를 이용하여 지원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지원금의 정산이 오류 없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사용 통합 관리 방법에서 매장 정보를 표준화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사용 통합 관리 방법에서 표준화된 매장 정보를 이용하여 카드 승인 요청을 검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사용 통합 관리 방법을 이용하여 지원금의 사용을 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사용 통합 관리 방법에서 지원금 사용에 따른 캐시백(cashback)을 관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이와 제휴된 복수 개의 카드사 서버(41-44)와 통신하며 동작하여, 각 카드사 서버(41-44)로부터 가맹점 분류 정보를 수신하고, 가맹점 분류 정보를 미리 설정된 사용처 정보를 기준으로 표준화하여 표준화된 매장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따른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정부 등 지원기관(5)으로부터 카드 가맹점에 관련된 사용처 정보를 수신하고, 카드사별 가맹점 분류 정보를 이러한 사용처 정보에 기초하여 가공함으로써 표준화된 매장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카드(110)는 신용카드, 체크카드, 선불카드 등을 지칭하며, 카드사 서버(41-44)는 이러한 카드를 발행한 카드회사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에서 카드(110)는 실물 카드가 아니라 사용자의 스마트폰 등 모바일 장치(1)에서 사용 가능한 가상의 카드 또는 상품권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고, 이 경우 카드사 서버(41-44)는 가상의 카드 또는 상품권을 발급한 결제 서비스 서버 또는 결제 중개 서비스 서버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사용자(100)가 가맹점(2)에서 카드(110)를 사용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카드사 서버(41-44)와 통신함으로써 카드사 서버(41-44)로부터 카드 승인 요청을 수신하고, 표준화된 매장 정보에 기초하여 카드 사용을 승인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여 승인 여부에 대한 응답을 카드사 서버(41-44)에 전송하는 검증 과정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지원기관(5)이 사용자들에게 지급하는 지원금이 카드(110)를 통하여 사용 가능한 형태의 지원금 운용 시스템에 적용되며, 카드사 시스템과 연계되어 지원금에 대한 한도 확인 및/또는 정산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사용자(100)의 카드(110) 사용 요청이 있는 경우 카드 사용이 요청된 가맹점(2)의 정보를 표준화된 매장 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가맹점(2)의 업종 등을 토대로 지원금 사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또한,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사용자(100)에 대한 지원금 잔액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사용자(100)가 사용을 요청한 금액과 지원금 잔액을 비교하여 카드 사용금액의 일부 또는 전부를 승인하며, 승인된 금액을 사용자(100)의 지원금 잔액에서 차감하는 정산 처리를 할 수 있다.
이상의 동작을 위하여,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지원기관(5) 및 하나 이상의 카드사 서버(41-44)와 통신하며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은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30), 정보 가공부(32) 및 사용내역 관리부(33)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은 통신부(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알림 전송부(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장치들은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을 구성하는 각 부(unit) 및 이와 통신하는 각각의 시스템, 장치, 서버 등과 이들에 포함된 각 모듈 또는 부는, 특정 형식 및 내용의 데이터를 전자통신 방식으로 주고받기 위한 장치 및 이에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통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 "모듈", "서버", "시스템", "플랫폼", "장치" 또는 "단말" 등의 용어는 하드웨어 및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여기서 하드웨어는 CPU 또는 다른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기기일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는 실행중인 프로세스, 객체(object), 실행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등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을 구성하는 각각의 장치는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즉, 도 1에서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에 포함된 각각의 DB(30) 및 부(31-33)는 서로 구분되는 별개의 블록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을 이에 의해 실행되는 동작에 의해 기능적으로 구분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전술한 각 부분 중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한 하나의 장치 내에 집적화될 수 있으며, 또는 하나 이상의 부분이 다른 부분과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을 구성하는 각각의 장치들은 분산 컴퓨팅 환경 하에서 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컴포넌트들일 수도 있다.
통신부(31)는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지원기관(5) 및 하나 이상의 카드사 서버(41-44)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통신부(31)는 하나 이상의 카드사 서버(41-44)로부터 각 카드사의 가맹점 분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31)는 각 카드사별로 상이한 가맹점 분류 정보를 미리 설정된 사용처 정보에 기초하여 표준화한 매장 정보를 카드사 서버(41-44)에 전송할 수 있다.
정보 가공부(32)는 카드사 별로 상이한 가맹점(2)에 대한 정보를 체계화 및 표준화하고, 이를 미리 설정된 사용처 정보에 따라 분류함으로써 표준화된 매장 정보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 가공부(32)는 수신부(321) 및 표준화부(322)를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정보 가공부(32)는 동기화부(3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321)는 복수 개의 카드사 서버(41-44)로부터 각각 가맹점 분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표준화부(322)는 가맹점 분류 정보를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표준화된 매장 정보를 생성하며 이를 DB(30)에 저장할 수 있다. 표준화 작업을 위한 사용처 정보는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에 입력 또는 저장되거나, 또는 정부 등 지원기관(5)으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또한, 동기화부(323)는, 통신부(31)를 통하여, 표준화된 매장 정보를 하나 이상의 카드사 서버(41-44)에 전송하거나 또는 이를 하나 이상의 카드사 서버(41-44)의 가맹점 DB와 동기화할 수 있다.
사용내역 관리부(33)는 카드사 서버(41-44)로부터 가맹점(2)의 정보를 포함하는 카드 승인 요청을 수신하고, DB(30)에 저장되어 있는 표준화된 매장 정보에 기초하여 카드 승인 요청에 상응하는 가맹점(2)을 검증할 수 있다. 이는 사전에 설정된 사용 규칙(즉, 사용처 정보)에 따라 해당 가맹점(2)이 사용자(100)의 카드(110) 사용이 가능한 매장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지칭한다. 카드 승인 요청에 상응하는 가맹점(2)이 사용 가능한 매장으로 검증될 경우, 사용내역 관리부(33)는 카드 사용에 대한 승인 정보를 카드사 서버(41-44)에 전송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의 동작은, 지원기관(5)이 사용자들에게 지급하는 지원금이 카드(110)를 통하여 사용 가능한 형태의 지원금 운용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대하여 아래에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지원기관(5)은 일정 기준에 따라 사용자(100)에게 사용자(100)가 사용할 수 있는 금액을 지급하는 정부, 공공기관, 기업 또는 단체 등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지원기관(5)은 대한민국 정부이며, 지원기관(5)이 지급하는 지원금은 대한민국 국민들에 대한 복지 또는 재난 구호 정책의 일환으로 국민들에게 지급하는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 상생소비지원금 등을 지칭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지원기관(5)과 지원금의 형태는 실시예들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에서 지원기관(5)은 사기업이며, 지원금은 해당 기업이 기업의 임직원들에게 사내 복지의 일환으로 제공하는 복지 비용일 수도 있다.
이 경우, 통신부(31)는 먼저 지원기관(5)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사용자(100)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와 각 사용자(100)에 대한 지원금액을 포함하는 지원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31)에 의하여 수신된 지원금 정보는 DB(3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100)가 가맹점(2)에서 카드(110)를 이용하여 지원금을 사용하려고 하는 경우, 통신부(31)는 사용자(100)가 사용하는 카드(110)와 연관된 하나 또는 복수의 카드사 서버(41-44)로부터 지원금의 사용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1)는 사용자(100)의 지원금 사용 가능 여부 및 지원금 사용금액 등을 포함하는 지원금 정산 정보를 카드사 서버(41-44)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내역 관리부(33)는, 카드사 서버(41-44)로부터 지원금 사용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카드사들의 가맹점 분류를 지원기관(5)의 사용처 정보에 기초하여 표준화한 매장 정보에 기초하여, 카드 승인이 요청된 대상 가맹점(2)이 지원금 사용이 가능한 매장인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또한 사용내역 관리부(33)는, DB(30)에 저장된 사용자(100)의 지원금 정보에 기초하여 지원금 사용 요청을 검증할 수 있다. 즉, 사용내역 관리부(33)는 사용자(100)에 대한 지원금이 존재하는지 여부 및/또는 지원금의 잔액을 조회하고, 지원금 사용이 가능한 경우 카드 사용이 요청된 금액과 지원금 잔액을 비교하여 지원금 사용을 검증할 수 있다.
검증 결과 해당 가맹점(2)에서 사용자(100)의 지원금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사용내역 관리부(33)는 지원금 사용을 승인하는 응답 및/또는 지원금 사용금액 등을 포함하는 정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내역 관리부(33)는 지원금 사용이 승인되는 경우 사용자(100)에 대한 지원금액으로부터 사용된 금액을 차감하기 위해 DB(30)의 지원금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내역 관리부(33)는 사용자(100)에게 부여된 지원금을 사용자(100)가 하나 또는 복수의 카드사로부터 발급받은 하나 또는 복수의 카드(110)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금 사용에 대한 검증과 지원금의 정산을 일원화시켜 관리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또는 지원기관의 서비스 가입 또는 인증 등의 과정을 거쳐 지원기관(5)이 사용자(100)에게 지원하는 지원금 정보가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에 저장된다. 이후, 사용자가 제1 카드사로부터 발급받은 제1 카드로 사용한 금액이 지원금 한도로부터 차감되며, 또한 사용자가 제2 카드사로부터 발급받은 제2 카드를 사용하는 경우 앞서 제1 카드의 사용 금액을 차감한 지원금 잔액에서 다시 제2 카드의 사용금액이 차감되도록 복수의 카드를 통한 지원금 사용 및 지원금 잔액이 통합 관리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내역 관리부(33)는 지원금 사용이 요청된 가맹점(2)이 지원금 사용대상인지 여부를 검증하는 가맹점 검증부(331), 지원금 잔액에 대한 관리와 정산을 수행하는 지원금 정산부(332), 및 사전에 설정된 캐시백(cashback) 정보에 따라 지원금 중 조건을 충족하는 사용금액에 상응하는 혜택을 지원금 정보에 반영하도록 구성된 캐시백 관리부(333)를 포함한다. 이들 각 부(331-333)의 동작에 대해서는 상세히 후술한다.
알림 전송부(34)는 사용자(100)에 대한 지원금의 지급, 사용 및 관리에 연관된 알림을 사용자(100)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알림 전송부(34)는 사용자의 스마트폰 등 사용자 장치(1)와 통신함으로써 문자 메시지,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푸시 알림(push notification) 또는 다른 적절한 형태로 사용자 장치(1)에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치(1)에 전송되는 알림 메시지는 사용자(100)에게 지급된 캐시백의 사용에 대한 확인 또는 승인을 요청하는 메시지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사용 통합 관리 방법에서 매장 정보를 표준화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지원기관 서버(5)로부터 지원금의 사용처를 정의하는 사용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1). 이때 사용처 정보란, 지원금을 사용할 수 있는 매장들을 하나 이상의 미리 설정된 카테고리로 분류한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매장들의 업종 또는 매장들의 형태(예컨대, 전통시장)를 분류한 분류코드의 형태를 갖는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정부 등 지원기관이 정의하는 사용처 분류를 토대로 각 카드사의 가맹점 분류를 표준화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매장 정보를 표준화하기 위한 사용처 정보는 다른 상이한 방식으로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에 미리 입력되거나 저장될 수 있으며, 지원금의 지원기관에 의해 정의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을 통해 지원금 사용이 관리되는 하나 이상의 카드사 서버(41, 42)로부터 각 카드사의 가맹점 분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2, S13). 각각의 카드사에서는 독자적인 방식으로 가맹점들의 업종을 분류하는데, 본 실시예에서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카드사 별로 상이한 업종 분류를 하나의 일원화된 분류 체계에 매칭시킴으로써 표준화된 매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4). 예를 들어,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지원기관의 사용처 정보에서 정의하는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에 따라 카드사의 가맹점들을 분류함으로써 표준화된 매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표준화된 매장 정보는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에 저장될 수 있다(S15). 또한,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이러한 표준화된 매장 정보를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카드 사용 검증 과정에 이용함으로써, 카드사 별로 상이한 매장 분류에 영향을 받지 않고 가맹점의 업종 등 분류를 기반으로 정의되는 카드 사용 규칙을 카드사의 종류 또는 사용 카드의 종류에 관계없이 통합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전술한 과정에 의하여 생성된 표준화된 매장 정보를 각 카드사 서버(41, 42)와 동기화함으로써(S16, S17), 카드사 별로 상이한 가맹점 분류 체계를 통합된 형태로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표준화된 매장 정보의 동기화는 일정 시간 주기(예컨대, 일, 주, 월 등) 또는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정 방식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은 각 카드사 서버(41, 42)가 관리하는 가맹점 분류의 변경이 있을 때마다 또는 주기적으로 각 카드사 서버(41, 42)로부터 갱신된 가맹점 분류 정보를 수신하고, 갱신된 가맹점 분류 정보가 수신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이에 기초한 표준화된 매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은, 다수의 카드사 서버 중 갱신된 가맹점 분류 정보를 보내온 카드사 서버(41, 42)만을 대상으로 표준화된 매장 정보를 동기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은 각 카드사의 가맹점 분류를 표준화함에 있어서 통계청 서버로부터 획득한 표준산업분류 코드를 참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준화된 매장 정보는 각 카드사 서버(41, 42)로부터 얻어진 가맹점 분류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세분화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특정 가맹점에 대한 분류 코드가 카드사별로 상이할 경우, 각 카드사의 분류를 소분류로 하여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소분류를 포괄하는 대분류 코드를 생성하고, 이 대분류 코드를 기초로 각각의 업종별 코드를 정의하도록 표준화된 매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대분류의 결정에는 표준산업분류 코드가 참조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영화 상영관에 해당하는 특정 가맹점에 대하여 제1 카드사는 [영화관]으로 분류하는 반면, 제2 카드사는 [공연장/전시장]으로 분류하여 분류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처럼 카드사 별로 업종 분류가 상이하면 카드 사용 규칙의 통합 관리가 어려워지므로, 이를 일원화하기 위하여 [영화관] 및 [공연장/전시장] 모두를 포괄하는 카테고리로서 [공연시설 운영]에 해당하는 업종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과정에 의해 생성된 매장 카테고리 [공연시설 운영]의 경우, [영화관] 및 [공연장/전시장]을 소분류로서 포함하며 표준산업분류코드 90110을 갖는 [공연시설 운영업] 업종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는, 카드사별로 가맹점 분류가 상이한 특정 가맹점에 대한 카테고리를 정의하기 위하여 가맹점명을 이용한 패턴 인식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 카페"라는 이름을 가진 특정 가맹점을 제1 카드사에서는 [커피전문점]으로 분류하였으나, 동일 가맹점을 제2 카드사에서는 [기타 휴게 음식점]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준산업분류코드를 참조하더라도 [커피전문점]은 표준산업분류코드 56220를 갖는 [비알콜 음료점업]에 해당하는 반면, [기타 휴게 음식점]의 경우 표준산업분류코드 56199를 갖는 [그외 기타 음식점업]에 해당하므로, 각 카드사의 분류를 포괄하는 매장의 카테고리를 표준산업분류코드만을 참조하여 결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본 실시예에서는, 대상이 되는 가맹점명 "○○ 카페"와 유사한 이름을 가진 다른 가맹점에 대한 업종 분류를 참조하여 대상이 되는 가맹점에 대한 표준화된 매장 정보 내의 해당 가맹점의 카테고리(예컨대, 업종 코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은 대상이 되는 가맹점명 "○○ 카페"를 각 어절별로 "○○" 및 "카페"로 분리하고, 미리 설정된 지역 구분(예컨대, 구 또는 시)을 기준으로 대상 가맹점과 동일한 지역 내에 위치하는 다른 가맹점들의 매장명으로부터 "○○" 및 "카페"를 각각 검색하여, 해당 어절이 포함된 매장명의 빈도가 미리 설정된 수준 미만인 어절(예컨대, "○○" 부분)은 매장의 고유 상호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은 매장명으로부터 고유 상호로 판단된 부분을 제외한 다른 어절, 또는 매장명으로부터 분리된 어절들을 표준화된 매장 정보에서 검색한 결과 다른 가맹점들에서 미리 설정된 수준 이상의 빈도로 사용하고 있는 어절(예컨대, "카페" 부분)의 경우에는 업종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단어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은 해당 어절이 포함된 다른 가맹점들에 대한 표준화된 매장 정보 내의 카테고리를 확인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또는 가장 많은 빈도로 나타내는 카테고리를 채택하는 방식으로 표준화된 매장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사용 통합 관리 방법에서 표준화된 매장 정보를 이용하여 카드 승인 요청을 검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가맹점에서 카드를 사용하기 위해 가맹점 단말(2)에 카드를 읽히면, 가맹점 단말(2)에서는 가맹점 정보 및 사용금액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승인 요청을 카드사 서버(4)에 전송할 수 있다(S21). 이때, 카드사 서버(4)에서는 카드 사용의 승인 여부를 결정하기에 앞서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에 카드 사용에 대한 검증을 요청할 수 있다(S22).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은 미리 설정된 사용처 정보 및 표준화된 매장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카드 사용 승인이 요청된 가맹점을 검증할 수 있다(S23). 예를 들어, 사용처 정보란 사용 자금의 종류에 따라 기업, 공공기관, 정부 등이 해당 자금을 사용 가능한 매장의 종류를 미리 정의해놓은 사용 규칙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 규칙은 가맹점의 업종 분류를 기반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처 정보는 정부 등 지원기관이 사용자들에게 지급하는 지원금의 사용 업종을 제한해 둔 정보일 수도 있으며, 또는 회사 등 기업이 자사의 임직원들에게 지급된 법인카드의 사용 업종을 제한해둔 정보일 수도 있다.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카드 사용이 요청된 가맹점의 업종, 매장형태(전통시장 등) 등 분류가 사용처 정보에서 정의하는 사용 가능 분류인지(또는, 사용 불가능한 분류가 아닌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카드 승인 요청에 상응하는 가맹점을 검증할 수 있다(S23). 가맹점이 검증될 경우,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에서는 카드 사용을 승인하는 응답을 카드사 서버(4)에 전송하며, 카드사 서버(4)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 카드 사용을 승인하고(S25) 승인 정보를 가맹점 단말(2)에 전송할 수 있다(S26).
한편, 전술한 것과 같이, 실시예들에 따른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은 지원기관이 사용자들에게 지급하는 지원금이 카드를 통하여 사용 가능한 형태의 지원금 운용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운용 형태에 대하여 아래에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사용 통합 관리 방법을 이용하여 지원금의 사용을 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지원기관 서버(5)로부터 지원금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S31). 지원금 정보란, 국가, 공공기관, 또는 사기업 등에서 해당 국가의 국민, 해당 기관의 유관인, 또는 해당 기업의 임직원과 같은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해당 사용자들의 소비 금액 중 지원기관이 지원하는 지원금을 명시하는 정보로서, 각 사용자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 해당 사용자에 대한 지원금 정보, 및 해당 지원금을 사용하기 위한 사용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에 대한 지원금 정보를 지원기관 서버(5)로부터 수신하기 위하여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사용자로부터 가입 정보를 수신하고, 가입 정보를 이용하여 지원기관 서버(5)를 통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다른 실시예에서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은 개별 사용자에 의한 별도의 가입 절차 없이 지원기관(5) 서버로부터 해당 지원기관이 지원하는 지원금을 수령할 수 있는 사용자들에 대한 지원금 정보를 일괄적으로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자는 카드사 서버에 특정 카드에 대한 지원금 사용을 따로 신청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사용자가 카드 결제를 요청함에 있어서 지원금을 사용하는 것인지 여부를 특정할 필요도 없다. 사용자는 단지 종래와 동일하게 자신의 카드를 가맹점의 결제 단말에 접촉시켜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가 가맹점에서 카드를 사용하면, 가맹점 단말(2)에서는 해당하는 카드사 서버(4)에 카드 사용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S32). 카드 사용 승인 요청 시, 가맹점 단말(2)에서는 대상 카드 정보, 사용 가맹점 정보, 승인요청 금액, 및 승인요청 일시 등을 카드사 서버(4)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인 카드 승인 과정은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사업자 및/또는 전자지급 대행(Payment Gateway; PG) 사업자의 서버를 더 경유하여 일어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예에서, 카드사 서버(4)는 지원금 사용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기에 앞서 해당 카드 사용이 지원금 사용 대상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33). 이는 해당 카드 사용이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에 의하여 관리되는 지원금의 사용 영역에 해당하는 것인지를 각 카드사가 1차적으로 판단함으로써, 카드 승인 전에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에 지원금 사용을 요청할 것인지 여부를 카드사에서 결정하기 위한 과정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각 카드사에서는 카드 승인이 요청된 대상 가맹점의 업종, 카드 승인요청 금액, 및/또는 카드 승인요청 일시 등을 토대로 지원금 승인이 필요한 사용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른 실시예에서 카드사 서버(4)는 자체적으로 지원금 사용 대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없이, 특정 카드 또는 특정 사용자의 모든 카드 승인 요청에 대해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에 지원금 사용을 요청하는 것도 가능하다.
카드사 서버(4)에서는, 카드 승인 요청 건에 대하여 지원금의 사용 승인이 필요한 것으로 결정되었을 경우,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에 지원금 사용을 요청할 수 있다(S34).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에 전송되는 지원금 사용 요청에는, 카드사 서버(4)가 카드 승인 요청 시 가맹점 단말(2)로부터 수신한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가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에 전송되는 지원금 사용 요청에는 카드 사용자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 사용 가맹점 정보, 승인요청 금액 및 승인요청 일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지원금 사용 요청을 수신한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에서는, 해당 카드 사용이 지원금 사용 대상에 해당하는 것인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S35). 특히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에 의한 정보 가공 과정을 거쳐 생성된 표준화된 매장 정보를 기반으로, 카드 승인이 요청된 가맹점이 지원금의 사용 대상 가맹점인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원금은 특정 업종의 매장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도록 지원금 정보가 정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은 표준화된 매장 정보에서 지원금 사용이 요청된 가맹점 정보의 업종분류코드를 기반으로 해당 가맹점의 업종이 지원금 사용 업종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또는, 매장들을 소정의 기준에 따라 분류하는 분류 코드에 기반하여 특정 분류의 매장(예컨대, 전통시장, 프랜차이즈 가맹점)에서만 사용이 가능하고 다른 분류의 매장(예컨대, 마트, 프랜차이즈 직영점 등)에서는 지원금의 사용이 불가능하도록 지원금 정보가 정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은 표준화된 매장 정보에서 지원금 사용이 요청된 가맹점이 전통시장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지원금 사용을 검증할 수도 있다.
또한,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지원금 사용이 요청된 대상 사용자에 대한 지원금 한도를 검증할 수 있다(S36). 지원기관이 각 사용자들에게 지원하는 지원금액은 무한하지 않으며, 지원금 정보는 각 사용자에게 할당된 지원금액을 명시할 수 있다.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지원금이 사용될 때마다 이를 각 사용자들의 지원금액으로부터 차감하여 관리하며, 지원금 사용이 요청될 때마다 사용금액이 현재의 지원금 잔액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지원금 잔액을 초과하는 금액에 대해서는 지원금 사용을 거절할 수 있다.
이처럼,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지원금 사용이 요청된 금액에 대하여 지원금 사용 가능 여부 및/또는 사용 금액을 결정하고, 이를 지원금 정산 정보로서 카드사 서버(4)에 전송할 수 있다(S37). 지원금 사용 금액은 해당 사용자의 현재 지원금 잔액에 따라 카드 승인이 요청된 금액의 일부 또는 전부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지원금이 사용 가능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사용된 금액을 해당 사용자의 현재 지원금 잔액으로부터 차감하도록 DB의 지원금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S38).
카드사 서버(4)는,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으로부터 수신한 정산 정보에 따라 카드 승인이 요청된 금액의 일부 또는 전부를 승인할 수 있다(S39). 예를 들어, 승인 요청금액 중 일부에 대해서만 지원금으로 사용이 승인된 경우, 카드사 서버(4)는 지원금 사용이 승인된 금액에 대해서만 카드 사용을 승인하거나, 또는 지원금 사용이 승인된 금액에 대해서는 지원금 사용으로 숭인하고 그 외의 금액에 대해서는 카드 지원금과 별도의 일반적인 카드 사용 금액으로 승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지원기관이 관리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들에 대한 지원금 사용 정보를 지원기관 서버(5))에 전송할 수 있다(S40). 이때 전송되는 지원금 사용 정보에는, 각 사용자들의 지원금 사용금액과 지원금의 사용처(즉, 가맹점)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지원기관에서 여러 카드사의 카드들에 걸쳐 사용되는 지원금의 사용 현황을 일목 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일 실시예에서,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카드사 서버(4)에 의하여 지원금 사용이 요청되었으나(S33) 가맹점 검증 과정(S35)에서 가맹점의 업종 또는 매장 분류가 지원기관이 규정한 사용처 정보와 일치하지 않아 지원금 사용이 거절된 카드 사용 건에 대한 통계 정보를 생성하고, 해당 통계 정보를 지원기관 서버(5)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통계 정보는 각 사용자 개인별로 생성되며,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의 알림 전송부(34; 도 1)는 해당 통계 정보를 사용자 장치(1)에 전송하거나 또는/또한 해당 통계 정보를 기반으로 지원금 사용 지역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사용자 장치(1)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개인이 사용 가능한 지원금의 사용처가 해당 개인의 거주지 또는 해당 개인이 지원기관 또는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에 신청한 사용지역에 따라 달라지도록 지원금 정보가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예로, 프랜차이즈 업종의 경우 직영점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거주하는 또는 신청한 지역에 본사가 위치한 프랜차이즈의 매장에서만 지원금을 사용할 수 있고, 가맹점(대리점)에 대해서는 지역과 관계없이 지원금을 사용할 수 있는 등, 매장 형태(프랜차이즈 직영점 또는 가맹점) 및 사용자의 지역 양자에 기초하여 사용처 여부가 달라지도록 지원금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카드사 서버(4)는 사용자의 거주 또는 신청 지역을 알 수 없으므로 프랜차이즈 매장을 가맹점으로 한 카드 승인 요청 건을 일단 지원금 대상으로 분류하여(S33)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에 지원금 사용을 요청하고(S34),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에서 사용자의 거주 또는 신청 지역을 토대로 지원금 사용이 가능한 가맹점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35). 이때, 만약 사용자가 제1 지역, 예컨대,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거나 경기도에서 지원금 사용을 신청하였으나 프랜차이즈 매장에서의 사용은 이와 상이한 제2 지역, 예컨대, 서울에서 많이 이루어진 경우, 서울 프랜차이즈 매장에서의 카드 사용에 대해서는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의 가맹점 검증 과정(S35)에서 지원금 사용이 거절되는 결과가 누적될 것이다.
이 경우,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의 사용내역 관리부(33; 도 1)는 카드사 서버의 지원금 사용 요청이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에 의해 거절된 건을 취합한 통계 정보 중 사용자에 상응하는 지역(거주 또는 신청 지역)이 매장에 대한 판단 기준(예컨대, 프랜차이즈 본사 소재지 등)과 불일치하여 거절된 건들을 추출하고, 이와 같이 거절된 건들의 비율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 지원금 사용 지역에 대한 변경을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추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생성된 추천 정보는 알림 전송부(34; 도 1)에 의해 사용자 장치(1)에 전송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은 각 카드사 별로 상이한 가맹점 분류를 지원기관의 지원금 사용처에 따라 표준화함으로써, 카드사 별로 상이한 가맹점 분류에 영향을 받지 않고 일원화된 방식으로 지원금 사용 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지원기관이 제공하는 지원금과 관련하여 사용자들의 소비를 진작시키기 위한 혜택으로서 캐시백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사용자들의 지원금 사용 금액 중 특정 조건을 충족하는 사용금액에 상응하는 혜택을 사용자들에게 지급하도록 지원금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사용 통합 관리 방법에서 지원금 사용에 따른 캐시백을 관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지원기관 서버(5)로부터 캐시백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S41). 캐시백 정보란 예를 들어 지원기관의 지원금 중 특정인, 특정 사용처 또는 특정 사용금액 등과 같은 일정 조건을 충족하는 사용금액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지급될 혜택을 정의하는 것으로서, 지원금 정보의 일부로서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에 등록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카드를 사용하는 경우,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카드사 서버(4)로부터 지원금 사용 요청을 수신하고(S42), 지원금의 사용 한도와 사용처 등에 대한 검증을 수행한 후(S43), 그 결과를 지원금 정산 정보로서 카드사 서버(4)에 전송할 수 있다(S44). 본 과정은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지원금 사용 내역이 미리 설정된 캐시백 정보에서 정의된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에게 혜택을 제공하도록 지원금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S45). 예를 들어, 지원금의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혜택은 특정 종류의 사용처(예컨대, 전통시장 등)에서 사용된 지원금의 일부(예컨대, 10%)를 사용자에게 캐시백 형태의 지원금으로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에게 지급된 캐시백 금액은 지원금액과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자신의 카드를 이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캐시백은 지원기관에 의해 해당 사용자에게 본래 지급된 지원금과는 서로 상이한 성격을 갖는 지불 수단으로 관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캐시백 조건을 충족하는 사용처 외에도 자신의 희망하는 임의의 매장에서 지원금을 사용할 수 있지만, 캐시백으로 지급된 지원금에 대해서는 지원기관에 의해 미리 설정된 조건을 더 충족하는 사용처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도록, 지원금 정보에서 사용자에 대한 지원금액과 캐시백 금액을 별도의 지불 수단으로 관리할 수 있다.
캐시백을 지급받은 사용자의 카드 사용이 카드사 서버(4)로부터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에 요청되는 경우(S46),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또는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지원금의 일부 또는 전부에 우선하여 캐시백 금액이 먼저 사용되도록 지원금 정산 과정을 관리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지원금 사용이 요청되었는데, 사용자가 카드를 사용한 매장에서 사용 가능한 캐시백 금액이 있는 경우,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일반적인 지원금 사용에 앞서 캐시백 금액을 먼저 사용할 것인지 여부에 대한 확인을 사용자 장치(1)에 요청할 수 있다(S47).
지원금의 사용자가 사용자 장치(1)를 이용하여 캐시백 사용을 승인하면(S48),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에서는 사용자가 사용한 금액의 적어도 일부를 지원금 및 캐시백 잔액으로부터 사용하는 정산 정보를 카드사 서버(4)에 전송하고(S49), 해당 지원금 및 캐시백 사용 금액을 잔액으로부터 차감하도록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의 지원금 정보 및 캐시백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S50).
예를 들어,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사용자에 의해 캐시백 사용이 승인되었으며 카드 사용 금액이 캐시백 잔액 이하일 경우, 사용 금액 전부를 지원금에 우선하여 캐시백 잔액으로부터 차감하도록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의 DB를 갱신할 수 있다. 또는,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카드 사용 금액이 캐시백 잔액을 초과하지만 캐시백 잔액과 지원금 잔액을 합산한 금액 이하일 경우, 사용금액 중 캐시백 잔액에 해당하는 금액을 우선 차감하고 나머지 금액을 지원금 잔액에서 차감하도록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3)의 DB를 갱신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카드 사용 통합 관리 방법에 의한 동작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에 의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순서도들에 도시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카드 가맹점에 연관된 사용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데이터베이스;
    복수 개의 카드사 서버로부터 각각 가맹점 분류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가맹점 분류 정보를 상기 사용처 정보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표준화된 매장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표준화된 매장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구성된 정보 가공부; 및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가맹점 정보를 포함하는 카드 승인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표준화된 매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카드 승인 요청에 상응하는 가맹점을 검증하고, 상기 카드 승인 요청에 상응하는 가맹점이 검증될 경우 카드 사용에 대한 승인 정보를 상기 카드사 서버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사용내역 관리부를 포함하는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가공부는, 상기 표준화된 매장 정보를 상기 복수 개의 카드사 서버 중 하나 이상의 카드사 서버의 상기 가맹점 분류 정보와 동기화하도록 더 구성된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가공부는, 지원기관 서버로부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 대한 지원금액을 포함하는 지원금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지원금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사용처 정보는 상기 지원금액을 사용 가능한 카드 가맹점을 정의하고,
    상기 사용내역 관리부는, 상기 카드 승인 요청에 포함된 상기 가맹점 정보를 상기 표준화된 매장 정보와 매칭함으로써 지원금 사용 가능 여부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된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원금 정보는 하나 이상의 사용처에서의 지원금 사용금액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캐시백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내역 관리부는, 상기 캐시백 정보에 기초하여, 지원금 사용금액에 상응하는 캐시백 금액을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하도록 상기 지원금 정보를 갱신하도록 더 구성된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
  5.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이 복수 개의 카드사 서버로부터 각각 가맹점 분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이, 상기 가맹점 분류 정보를 미리 설정된 사용처 정보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표준화된 매장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이,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가맹점 정보를 포함하는 카드 승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이, 상기 표준화된 매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카드 승인 요청에 상응하는 가맹점을 검증하는 단계; 및
    상기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이, 상기 카드 승인 요청에 상응하는 가맹점이 검증될 경우, 카드 사용에 대한 승인 정보를 상기 카드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드 사용 통합 관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이, 상기 표준화된 매장 정보를 상기 복수 개의 카드사 서버 중 하나 이상의 카드사 서버의 상기 가맹점 분류 정보와 동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카드 사용 통합 관리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이, 지원기관 서버로부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 대한 지원금액을 포함하는 지원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사용처 정보는 상기 지원금액을 사용 가능한 카드 가맹점을 정의하고,
    상기 가맹점을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이, 상기 카드 승인 요청에 포함된 상기 가맹점 정보를 상기 표준화된 매장 정보와 매칭함으로써 지원금 사용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드 사용 통합 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원금 정보는 하나 이상의 사용처에서의 지원금 사용금액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캐시백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이, 상기 캐시백 정보에 기초하여, 지원금 사용금액에 상응하는 캐시백 금액을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하도록 상기 지원금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카드 사용 통합 관리 방법.
  9.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카드 사용 통합 관리 방법을 수행하도록 컴퓨터에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20067991A 2021-11-16 2022-06-03 표준화된 매장 정보를 이용한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6644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57973 2021-11-16
KR1020210157973 2021-11-1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58730A Division KR20240072972A (ko) 2021-11-16 2024-05-02 표준화된 매장 정보를 이용한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2384A true KR20230072384A (ko) 2023-05-24
KR102664462B1 KR102664462B1 (ko) 2024-05-14

Family

ID=86540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7991A KR102664462B1 (ko) 2021-11-16 2022-06-03 표준화된 매장 정보를 이용한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446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6353A (ko) 2007-08-10 2009-02-13 전달용 각종 카드와 마일리지를 통합하여 사용/결제하는 방법 및그 시스템
KR20110109537A (ko) * 2010-03-31 2011-10-06 중소기업은행 충전식 선불 카드의 사용처 제한 방법,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KR20120013144A (ko) * 2010-08-04 2012-02-14 웹케시 주식회사 통합 바우처카드 운용 시스템, 서버,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101885072B1 (ko) * 2017-04-14 2018-08-03 비즈플레이 주식회사 복지카드 이용에 따른 효율적 사후 통제를 위한 사내 경비지출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6353A (ko) 2007-08-10 2009-02-13 전달용 각종 카드와 마일리지를 통합하여 사용/결제하는 방법 및그 시스템
KR20110109537A (ko) * 2010-03-31 2011-10-06 중소기업은행 충전식 선불 카드의 사용처 제한 방법,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KR20120013144A (ko) * 2010-08-04 2012-02-14 웹케시 주식회사 통합 바우처카드 운용 시스템, 서버,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101885072B1 (ko) * 2017-04-14 2018-08-03 비즈플레이 주식회사 복지카드 이용에 따른 효율적 사후 통제를 위한 사내 경비지출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4462B1 (ko) 2024-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3895B2 (en) Tokenization of user accounts for direct payment authorization channel
US11080712B2 (en) Secondary account management platform
US9830597B2 (en) Formation and funding of a shared token
US20150254658A1 (en) Limiting token collaboration network usage by token
US20150254635A1 (en) Limiting the use of a token based on a user location
US20150254664A1 (en) Token collaboration network
US20150254665A1 (en) Authorizing a temporary token for a user
US20150254648A1 (en) Managed digital wallets
US2023036817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er-to-peer assistance in provisioning payment tokens to mobile devices
US20100268570A1 (en) Global concierge
US11122049B2 (en) Attribute database system and method
US20150254663A1 (en) Token usage scaling based on determined level of exposure
AU202039209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usage of a payment card in accordance with a corporate travel policy
US2017030089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ports on usage of payment token
US201703009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oken based employee corporate cards
US20150254657A1 (en) Limiting token collaboration network usage by user
US2020017549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2609713B1 (ko)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22512074A (ja) 購入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2664462B1 (ko) 표준화된 매장 정보를 이용한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US11790371B1 (en) Dynamic travel profile
KR20230071916A (ko) 지원금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30072385A (ko) 복수의 카드에 대한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40072972A (ko) 표준화된 매장 정보를 이용한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WO20171803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oken based employee corporate car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