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2385A - 복수의 카드에 대한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복수의 카드에 대한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2385A
KR20230072385A KR1020220067992A KR20220067992A KR20230072385A KR 20230072385 A KR20230072385 A KR 20230072385A KR 1020220067992 A KR1020220067992 A KR 1020220067992A KR 20220067992 A KR20220067992 A KR 20220067992A KR 20230072385 A KR20230072385 A KR 20230072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hback
information
support
card
manage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7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정원
김창민
김경민
Original Assignee
비즈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즈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즈플레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072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23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7Payment using discounts or coup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캐시백(cashback) 통합 관리 시스템은, 카드 사용금액에 상응하는 캐시백을 정의하는 정책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데이터베이스; 및 카드사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카드 사용금액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카드 사용금액 정보 및 상기 정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상응하는 캐시백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캐시백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구성된 캐시백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캐시백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에 상응하여 서로 상이한 복수 개의 카드사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카드 사용금액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캐시백 정보를 갱신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복수의 카드에 대한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CASHBACK BASED ON MULTIPLE CARDS AND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실시예들은 캐시백(cashback)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들은 각 카드사별로 또는 각 카드별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사용 내역에 대해 소비자들에게 포인트, 현금 또는 쿠폰 등의 형태로 제공하는 캐시백의 지급과 정산을 일원화된 시스템에서 통합 관리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정부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개인 또는 기업에 대한 지원금 제도로 소기업 및 중견기업에 인건비를 지원하는 고용 장려금, 일하는 세대 자녀의 양육비를 지원하는 근로/자녀 장려금, 근로자 한 명당 월 설정 금액을 보조하는 일자리 안정자금, 근로자 여행경비의 적립 금액을 추가 지원하는 근로자 휴가지원금 등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의 창궐로 인한 경제적 피해를 입은 국민들을 지원하기 위한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 상생소비지원금 등의 제도가 운영되고 있다.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 및 상생소비지원금의 경우, 지원금을 받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카드사 홈페이지, 애플리케이션, 콜센터, ARS 등을 통해 특정 카드를 기반으로 지원금을 신청하거나, 또는 지역사랑상품권 홈페이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지역사람상품권을 신청하여야 한다. 사용자는 신용카드, 체크카드, 선불카드 또는 지역사랑상품권을 선택하여 지원금을 지급받을 수 있고, 지원금의 사용과 이에 대한 한도 관리도 사용자가 선택한 카드 또는 상품권을 기반으로 각 카드사에 의해 이루어진다.
한편, 특정 매장 또는 특정 형태의 매장(예컨대, 전통시장)에서의 지원금 사용에 대하여 사용자들에게 포인트, 현금 또는 쿠폰 등의 형태로 캐시백(cashback)을 제공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지원금 관리 방식에 의하면 지원금의 사용 가맹점과 사용 내역이 각 카드사에 의하여 관리되므로, 각 사용자가 카드사에 직접 신청하여 캐시백을 지급받아야 하며, 지원금 정책에 따른 혜택의 적용과 지급이 일괄적으로 관리되기 힘든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16353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각 카드사별로 또는 각 카드별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사용 내역에 대해 소비자들에게 포인트, 현금 또는 쿠폰 등의 형태로 제공하는 캐시백(cashback)의 지급과 정산을 일원화된 시스템에서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는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캐시백(cashback) 통합 관리 시스템은, 카드 사용금액에 상응하는 캐시백을 정의하는 정책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데이터베이스; 및 카드사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카드 사용금액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카드 사용금액 정보 및 상기 정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상응하는 캐시백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캐시백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구성된 캐시백 관리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캐시백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에 상응하여 서로 상이한 복수 개의 카드사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카드 사용금액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캐시백 정보를 갱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지원기관으로부터 수신되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 대한 지원금액을 포함하는 지원금 정보를 저장하도록 더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정책 정보는 하나 이상의 사용처에서의 지원금 사용금액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캐시백을 정의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캐시백 관리부는,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지원금 사용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지원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지원금 사용 요청을 검증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지원금 사용 가능 여부 및 지원금 사용금액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지원금 정산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카드 사용 검증부; 및 상기 정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지원금 정산 정보에 의해 결정된 지원금 사용금액에 상응하는 캐시백 금액을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하도록 상기 캐시백 정보를 갱신하도록 구성된 정산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산부는, 상기 지원금 정산 정보에 의해 결정된 지원금 사용금액을 상기 사용자에 대한 지원금액으로부터 차감하도록 상기 지원금 정보를 갱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캐시백 통합 관리 방법은,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이, 카드 사용금액에 상응하는 캐시백을 정의하는 정책 정보를 상기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이 카드사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카드 사용금액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이 상기 카드 사용금액 정보 및 상기 정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상응하는 캐시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이 상기 캐시백 정보를 상기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이, 상기 사용자에 상응하여 서로 상이한 복수 개의 카드사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카드 사용금액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캐시백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캐시백 통합 관리 방법은, 상기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이, 지원기관으로부터 수신되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 대한 지원금액을 포함하는 지원금 정보를 상기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정책 정보는 하나 이상의 사용처에서의 지원금 사용금액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캐시백을 정의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캐시백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이,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지원금 사용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이, 상기 지원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지원금 사용 요청을 검증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지원금 사용 가능 여부 및 지원금 사용금액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지원금 정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이, 상기 정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지원금 정산 정보에 의해 결정된 지원금 사용금액에 상응하는 캐시백 금액을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하도록 상기 캐시백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캐시백 통합 관리 방법은, 상기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이, 상기 지원금 정산 정보에 의해 결정된 지원금 사용금액을 상기 사용자에 대한 지원금액으로부터 차감하도록 상기 지원금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캐시백 통합 관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캐시백(cashback)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각 카드사별로 또는 각 카드별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사용 내역에 대해 소비자들에게 포인트, 현금 또는 쿠폰 등의 형태로 제공하는 캐시백의 지급과 정산을 일원화된 시스템에서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들이 여러 카드사에 걸쳐 보유한 카드의 사용으로 인한 캐시백 혜택이 편리하게 활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국민지원금과 같이 정부 등이 개별 소비자들에게 지원한 금액을 카드를 통해 사용하는 형태의 지원금의 사용에 따른 캐시백 혜택을 통합 시스템이 일원화된 방식으로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지원금의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카드사 또는 카드의 종류에 관계 없이 지원기관이 설정한 규칙에 따라 사용자들에게 일괄적으로 캐시백을 지급할 수 있고, 사용 카드에 관계 없이 캐시백의 정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캐시백(cashback) 통합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캐시백 통합 관리 방법에서 캐시백의 적립과 사용을 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캐시백 통합 관리 방법에서 지원금의 사용을 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캐시백 통합 관리 방법에서 지원금의 사용처 정보를 표준화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캐시백(cashback) 통합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은 하나 이상의 카드사 서버(41-44)로부터 카드 사용금액 정보를 수신하고, 미리 저장된 정책 정보에 기초하여 카드 사용금액에 상응하는 캐시백 정보를 생성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캐시백을 결정하기 위한 정책 정보는 개별 카드사 서버(41-44)로부터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에 전송되는 것일 수도 있다. 또는, 정책 정보는 정부 등 지원기관(5)에서 일괄적으로 정의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지원기관(5)이 사용자(100)에게 지급하는 지원금의 사용금액에 관련된 것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정책 정보는 지원기관(5)으로부터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에 전송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카드(110)는 신용카드, 체크카드, 선불카드 등을 지칭하며, 카드사 서버(41-44)는 이러한 카드를 발행한 카드회사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에서 카드(110)는 실물 카드가 아니라 사용자의 스마트폰 등 모바일 장치(1)에서 사용 가능한 가상의 카드 또는 상품권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고, 이 경우 카드사 서버(41-44)는 가상의 카드 또는 상품권을 발급한 결제 서비스 서버 또는 결제 중개 서비스 서버일 수도 있다.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은 각 카드사 서버(41-44)로부터 수신한 카드 사용금액에 정책 정보를 적용하여 카드 사용금액에 따라 적립될 캐시백 금액을 포함하는 캐시백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은 복수 개의 카드사 서버(41-44)로부터 카드 사용금액이 수신될 때마다 정책 정보에 기초하여 캐시백 적립 금액을 수정하도록 캐시백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나아가,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사용자(100)의 요청이 있을 경우 사용자가 적립된 캐시백 금액을 가맹점(2)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정산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상의 동작을 위하여,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지원기관(5), 하나 이상의 카드사 서버(41-44) 및/또는 사용자 장치(1)와 통신하며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은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30), 통신부(31) 및 캐시백 관리부(33)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정보 가공부(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알림 전송부(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장치들은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을 구성하는 각 부(unit) 및 이와 통신하는 각각의 시스템, 장치, 서버 등과 이들에 포함된 각 모듈 또는 부는, 특정 형식 및 내용의 데이터를 전자통신 방식으로 주고받기 위한 장치 및 이에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통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 "모듈", "서버", "시스템", "플랫폼", "장치" 또는 "단말" 등의 용어는 하드웨어 및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여기서 하드웨어는 CPU 또는 다른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기기일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는 실행중인 프로세스, 객체(object), 실행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등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을 구성하는 각각의 장치는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즉, 도 1에서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에 포함된 각각의 DB(30) 및 부(31-33)는 서로 구분되는 별개의 블록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을 이에 의해 실행되는 동작에 의해 기능적으로 구분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전술한 각 부분 중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한 하나의 장치 내에 집적화될 수 있으며, 또는 하나 이상의 부분이 다른 부분과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을 구성하는 각각의 장치들은 분산 컴퓨팅 환경 하에서 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컴포넌트들일 수도 있다.
통신부(31)는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지원기관(5), 하나 이상의 카드사 서버(41-44) 및/또는 사용자 장치(1)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통신부(31)는 지원기관(5) 또는 카드사 서버(41-44)로부터 카드 사용금액에 따른 캐시백을 정의하는 정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1)는 카드사 서버(41-44)로부터 사용자(100)의 카드 사용금액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31)는 적립된 캐시백 금액의 사용 시 사용자(100)의 승인을 얻기 위하여 사용자 장치(1)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캐시백 관리부(33)는 정책 정보 관리부(331) 및 정산부(333)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캐시백 관리부(33)는 캐시백 사용 검증부(334)를 더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캐시백 관리부(33)는 카드 사용 검증부(332)를 더 포함한다.
정책 정보 관리부(331)는, 통신부(31)를 통해 카드사 서버(41-44) 또는 지원기관(5)으로부터 수신된 정책 정보를 DB(30)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정산부(33)는, 카드사 서버(41-44)로부터 카드 사용금액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DB(30)의 정책 정보를 기초로 카드 사용금액에 상응하는 캐시백 금액을 산출하고, 이를 반영하기 위한 캐시백 정보를 생성하여 DB(30)에 저장하거나 또는 DB(30)에 저장된 캐시백 정보를 갱신하도록 구성된다.
캐시백 사용 검증부(334)는, 사용자(100)가 자신이 적립한 캐시백 금액을 사용하고자 하는 캐시백 사용 요청이 카드사 서버(41-44)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100)의 캐시백 사용에 대한 승인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이 과정에서, 캐시백 사용 검증부(334)는 사용자 장치(1)로부터 사용자(100)의 승인을 얻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캐시백 사용 검증부(334)에 의해 캐시백 사용이 검증되는 경우, 정산부(333)는 적립된 캐시백 금액 중 사용된 금액을 차감하도록 캐시백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캐시백이란 각 카드사별로 또는 각 카드별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사용 내역에 대해 소비자들에게 포인트, 현금 또는 쿠폰 등의 형태로 제공하는 임의의 종류의 혜택을 지칭하도록 의도되며, 반드시 현금을 지급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캐시백 적립을 위한 카드 사용금액은 카드사 서버(41-44)에 의한 카드 승인이 이루어진 후 사후적으로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에 전송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카드사 서버(41-44)가 카드 사용금액을 포함한 카드 승인 요청을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에 전송하면,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에서 검증 과정을 거쳐 카드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한편, 카드 사용이 승인되는 경우 사용금액에 따른 캐시백 금액을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은, 지원기관(5)이 사용자들에게 지급하는 지원금이 카드(110)를 통하여 사용 가능한 형태의 지원금 운용 시스템에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이 적용되는 경우 특히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지원기관(5)은 일정 기준에 따라 사용자(100)에게 사용자(100)가 사용할 수 있는 금액을 지급하는 정부, 공공기관, 기업 또는 단체 등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지원기관(5)은 대한민국 정부이며, 지원기관(5)이 지급하는 지원금은 대한민국 국민들에 대한 복지 또는 재난 구호 정책의 일환으로 국민들에게 지급하는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 상생소비지원금 등을 지칭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지원기관(5)과 지원금의 형태는 실시예들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에서 지원기관(5)은 사기업이며, 지원금은 해당 기업이 기업의 임직원들에게 사내 복지의 일환으로 제공하는 복지 비용일 수도 있다.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을 통한 캐시백 관리가 지원기관(5)의 지원금 운용 시스템에 적용되는 경우,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의 통신부(31)는 지원기관(5)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사용자(100)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와 각 사용자(100)에 대한 지원금액을 포함하는 지원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1)는 미리 설정된 조건의 지원금 사용 내역에 상응하는 캐시백을 정의하는 정책 정보를 지원기관(5)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사용자(100)가 지원금 사용을 위하여 가맹점(2)에서 카드(110)를 사용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카드사 서버(41-44)와 통신함으로써 지원금에 대한 한도 확인 및/또는 정산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사용자(100)에 대한 지원금 잔액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사용자(100)가 사용을 요청한 금액과 지원금 잔액을 비교하여 카드 사용금액의 일부 또는 전부를 승인하며, 승인된 금액을 사용자(100)의 지원금 잔액에서 차감하는 정산 처리를 할 수 있다.
캐시백 관리부(33)의 카드 사용 검증부(332)는, 카드사 서버(41-44)로부터 지원금 사용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DB(30)에 저장된 사용자(100)의 지원금 정보에 기초하여 지원금 사용 요청을 검증할 수 있다. 즉, 카드 사용 검증부(332)는 사용자(100)에 대한 지원금이 존재하는지 여부 및/또는 지원금의 잔액을 조회하고, 지원금 사용이 가능한 경우 카드 사용이 요청된 금액과 지원금 잔액을 비교하여 지원금 사용을 검증할 수 있다.
검증 결과 사용자(100)의 지원금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카드 사용 검증부(332)는 지원금 사용을 승인하는 응답 및/또는 지원금 사용금액 등을 포함하는 정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정산부(333)는 카드 사용 검증부(332)에 의하여 지원금 사용이 승인되는 경우 사용자(100)에 대한 지원금액으로부터 사용된 금액을 차감하기 위해 DB(30)의 지원금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100)에게 부여된 지원금을 사용자(100)가 하나 또는 복수의 카드사로부터 발급받은 하나 또는 복수의 카드(110)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금의 정산을 일원화시켜 관리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또는 지원기관의 서비스 가입 또는 인증 등의 과정을 거쳐 지원기관(5)이 사용자(100)에게 지원하는 지원금 정보가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에 저장된다. 이후, 사용자가 제1 카드사로부터 발급받은 제1 카드로 사용한 금액이 지원금 한도로부터 차감되며, 또한 사용자가 제2 카드사로부터 발급받은 제2 카드를 사용하는 경우 앞서 제1 카드의 사용 금액을 차감한 지원금 잔액에서 다시 제2 카드의 사용금액이 차감되도록 복수의 카드를 통한 지원금 사용 및 지원금 잔액이 통합 관리된다.
정보 가공부(32)는 카드사 별로 상이한 가맹점(2)에 대한 정보를 체계화 및 표준화하고, 이를 지원기관(5)이 규정하는 사용처에 따라 분류함으로써 표준화된 매장 정보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정보 가공부(32)는 복수 개의 카드사 서버(41-44)로부터 각각 가맹점 정보를 수신하고, 가맹점 정보를 지원기관(5)이 규정하는 사용처 정보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표준화된 매장 정보를 생성하며 이를 DB(3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정보 가공부(32)는 표준화된 매장 정보를 하나 이상의 카드사 서버(41-44)에 전송하거나 또는 이를 하나 이상의 카드사 서버(41-44)의 가맹점 DB와 동기화할 수 있다.
알림 전송부(34)는 사용자(100)에 대한 지원금 및/또는 캐시백의 지급, 사용 및 관리에 연관된 알림을 사용자(100)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알림 전송부(34)는 사용자의 스마트폰 등 사용자 장치(1)와 통신함으로써 문자 메시지,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푸시 알림(push notification) 또는 다른 적절한 형태로 사용자 장치(1)에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치(1)에 전송되는 알림 메시지는 사용자(100)에게 지급된 지원금 및/또는 캐시백의 사용에 대한 확인 또는 승인을 요청하는 메시지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캐시백 통합 관리 방법에서 캐시백의 적립과 사용을 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에 사용자의 카드 사용금액에 따른 캐시백을 정의하는 정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11). 예를 들어, 카드 사용금액과 캐시백의 비율은 각각의 카드사 별로 또는/또한 각각의 카드 별로 상이할 수 있으며,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은 하나 또는 다수의 카드사 서버(4)로부터 정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정책 정보는 복수 개의 카드사가 발급하는 카드의 사용에 일괄적으로 적용되는 정책을 결정하는 지원기관(미도시)으로부터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에 전송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사용자가 카드를 사용하는 경우,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은 해당 카드를 발급한 카드사 서버(4)로부터 사용자의 카드 사용금액 정보를 수신하고, 미리 저장된 정책 정보에 기초하여 카드 사용금액에 상응하는 캐시백 정보를 생성하거나 또는 기존의 캐시백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카드사 서버(4)에 의한 카드 사용 승인이 이루어진 후 카드사 서버(4)로부터 카드 사용금액 정보를 수신한다. 즉, 사용자가 가맹점에서 카드를 사용하면, 가맹점 단말(2)에서는 카드사 서버(4)에 카드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S12). 카드사 서버(4)에서는 카드사의 자체 정책에 따라 카드 사용 승인 여부를 결정하고(S13), 카드 사용이 승인되는 경우 승인 정보를 가맹점 단말(2)에 전송할 수 있다(S14).
또한, 카드사 서버(4)에서는 카드 사용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승인 정보를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에 전송하며(S14),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카드 사용이 승인된 금액과 캐시백 정책 정보를 토대로 캐시백 정보를 생성하거나 갱신할 수 있다(S15). 이때 캐시백이란 해당 카드를 소지한 사용자, 해당 카드를 발급한 카드사, 또는 해당 카드 중 하나 이상에 상응하여 관리되는 것으로서, 기존에 적립된 캐시백 금액이 없는 경우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카드 사용금액 정보를 토대로 캐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기존에 적립된 캐시백 금액이 있는 경우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카드 사용금액 정보를 토대로 캐시백 금액을 추가하는 형태로 캐시백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이때,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은 복수의 카드사 서버(4)로부터 수신되는 카드 사용금액 정보를 토대로 캐시백 정보를 일원화하여 관리할 수 있다. 예컨대, 캐시백이 특정 사용자에 상응하여 관리되는 경우, 사용자가 제1 카드사에서 발급된 제1 카드를 사용한 금액 중 일부가 해당 사용자의 캐시백으로 적립되며, 또한 동일한 사용자가 제2 카드사에서 발급된 제2 카드를 사용한 금액 중 일부도 해당 사용자의 캐시백으로 적립될 수 있다. 이는 캐시백 형태로 제공되는 혜택이 각 카드사의 정책에 따른 것이 아니라 정부 등 지원기관에서 일괄적으로 제공하는 정책에 기인하는 것일 경우 특히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카드사 서버(4)에 의한 카드 사용 승인이 이루어진 후 사후적으로 카드 사용금액 정보를 수신하였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른 실시예에서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카드사 서버가 카드 사용을 승인하기에 앞서 먼저 카드사 서버로부터 카드 사용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승인 요청을 수신하고,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이 카드 사용을 승인하는 동시에 해당 카드 사용 승인에 따른 캐시백 금액을 산출하여 캐시백 정보를 갱신하도록 동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캐시백을 지급받은 사용자가 카드사 서버(4)에 캐시백의 사용을 요청하는 경우(S16), 카드사 서버(4)에서는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에 캐시백의 사용을 요청할 수 있다(S17).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또는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카드 사용 금액의 일부 또는 전부에 우선하여 캐시백 금액이 먼저 사용되도록 카드 승인 과정을 관리할 수 있다. 예컨대, 캐시백 사용을 포함하여 카드 승인이 요청되었는데, 사용자가 카드를 사용한 매장에서 사용 가능한 캐시백 금액이 있는 경우,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일반적인 카드 사용에 앞서 캐시백 금액을 먼저 사용할 것인지 여부에 대한 확인을 사용자 장치(1)에 요청할 수 있다(S18).
사용자가 사용자 장치(1)를 이용하여 캐시백 사용을 승인하면(S18),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에서는 카드 승인이 요청된 금액의 적어도 일부를 캐시백 잔액으로부터 사용하는 캐시백 사용 승인을 카드사 서버(4)에 전송하고(S19), 카드사 서버(4)에서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 카드 사용을 승인하는 응답을 가맹점 단말(2)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사용자의 캐시백 사용 금액을 해당 사용자의 카드사 통합 캐시백 금액으로부터 차감하도록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의 캐시백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캐시백 사용이 승인되었으며 카드 사용 금액이 캐시백 잔액 이하일 경우,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카드 승인 정보를 가맹점 단말(2)에 전송하는 한편(S20) 사용 금액 전부를 캐시백 잔액으로부터 차감하도록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의 DB를 갱신할 수 있다. 또는,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카드 사용 금액이 캐시백 잔액을 초과하는 경우, 사용금액 중 캐시백 잔액에 해당하는 금액을 우선 차감하도록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의 DB를 갱신하면서 캐시백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만의 카드 사용을 승인하는 응답을 카드사 서버(4)에 전송할 수도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캐시백 통합 관리 방법에서 지원금의 사용을 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지원기관 서버(5)로부터 지원금 및 정책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S31). 지원금 정보란, 국가, 공공기관, 또는 사기업 등에서 해당 국가의 국민, 해당 기관의 유관인, 또는 해당 기업의 임직원과 같은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해당 사용자들의 소비 금액 중 지원기관이 지원하는 지원금을 명시하는 정보로서, 각 사용자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 해당 사용자에 대한 지원금 정보, 및 해당 지원금을 사용하기 위한 사용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책 정보란 예를 들어 지원기관의 지원금 중 특정인, 특정 사용처 또는 특정 사용금액 등과 같은 일정 조건을 충족하는 사용금액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지급될 혜택을 정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에 대한 지원금 정보를 지원기관 서버(5)로부터 수신하기 위하여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사용자로부터 가입 정보를 수신하고, 가입 정보를 이용하여 지원기관 서버(5)를 통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다른 실시예에서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은 개별 사용자에 의한 별도의 가입 절차 없이 지원기관(5) 서버로부터 해당 지원기관이 지원하는 지원금을 수령할 수 있는 사용자들에 대한 지원금 정보를 일괄적으로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가맹점에서 카드를 사용하면, 가맹점 단말(2)에서는 해당하는 카드사 서버(4)에 카드 사용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S22). 카드 사용 승인 요청 시, 가맹점 단말(2)에서는 대상 카드 정보, 사용 가맹점 정보, 승인요청 금액, 및 승인요청 일시 등을 카드사 서버(4)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인 카드 승인 과정은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사업자 및/또는 전자지급 대행(Payment Gateway; PG) 사업자의 서버를 더 경유하여 일어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자는 카드사 서버에 특정 카드에 대한 지원금 사용을 따로 신청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사용자가 카드 결제를 요청함에 있어서 지원금을 사용하는 것인지 여부를 특정할 필요도 없다. 사용자는 단지 종래와 동일하게 자신의 카드를 가맹점의 결제 단말에 접촉시켜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카드사 서버(4)는 지원금 사용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기에 앞서 해당 카드 사용이 지원금 사용 대상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23). 이는 해당 카드 사용이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에 의하여 관리되는 지원금의 사용 영역에 해당하는 것인지를 각 카드사가 1차적으로 판단함으로써, 카드 승인 전에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에 지원금 사용을 요청할 것인지 여부를 카드사에서 결정하기 위한 과정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각 카드사에서는 카드 승인이 요청된 대상 가맹점의 업종, 카드 승인요청 금액, 및/또는 카드 승인요청 일시 등을 토대로 지원금 승인이 필요한 사용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른 실시예에서 카드사 서버(4)는 자체적으로 지원금 사용 대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없이, 특정 카드 또는 특정 사용자의 모든 카드 승인 요청에 대해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에 지원금 사용을 요청하는 것도 가능하다.
카드사 서버(4)에서는, 카드 승인 요청 건에 대하여 지원금의 사용 승인이 필요한 것으로 결정되었을 경우,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에 지원금 사용을 요청할 수 있다(S24).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에 전송되는 지원금 사용 요청에는, 카드사 서버(4)가 카드 승인 요청 시 가맹점 단말(2)로부터 수신한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가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에 전송되는 지원금 사용 요청에는 카드 사용자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 사용 가맹점 정보, 승인요청 금액 및 승인요청 일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지원금 사용 요청을 수신한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에서는, 해당 카드 사용이 지원금 사용 대상에 해당하는 것인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S25). 특히,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카드 승인이 요청된 가맹점이 지원금의 사용 대상 가맹점인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원금은 특정 업종의 매장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도록 지원금 정보가 정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지원금 사용이 요청된 가맹점 정보의 업종분류코드를 기반으로 해당 가맹점의 업종이 지원금 사용 업종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또는, 매장들을 소정의 기준에 따라 분류하는 분류 코드에 기반하여 특정 분류의 매장(예컨대, 전통시장, 프랜차이즈 가맹점)에서만 사용이 가능하고 다른 분류의 매장(예컨대, 마트, 프랜차이즈 직영점 등)에서는 지원금의 사용이 불가능하도록 지원금 정보가 정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예컨대 지원금 사용이 요청된 가맹점이 전통시장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지원금 사용을 검증할 수도 있다.
또한,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지원금 사용이 요청된 대상 사용자에 대한 지원금 한도를 검증할 수 있다(S26). 지원기관이 각 사용자들에게 지원하는 지원금액은 무한하지 않으며, 지원금 정보는 각 사용자에게 할당된 지원금액을 명시할 수 있다.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지원금이 사용될 때마다 이를 각 사용자들의 지원금액으로부터 차감하여 관리하며, 지원금 사용이 요청될 때마다 사용금액이 현재의 지원금 잔액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지원금 잔액을 초과하는 금액에 대해서는 지원금 사용을 거절할 수 있다.
이처럼,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지원금 사용이 요청된 금액에 대하여 지원금 사용 가능 여부 및/또는 사용 금액을 결정하고, 이를 지원금 정산 정보로서 카드사 서버(4)에 전송할 수 있다(S27). 지원금 사용 금액은 해당 사용자의 현재 지원금 잔액에 따라 카드 승인이 요청된 금액의 일부 또는 전부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지원금이 사용 가능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사용된 금액을 해당 사용자의 현재 지원금 잔액으로부터 차감하도록 DB의 지원금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S28).
이때,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지원금 사용 내역이 정책 정보에서 정의하는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에게 혜택을 제공하도록 캐시백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S28). 예를 들어, 지원금의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캐시백 혜택은 특정 종류의 사용처(예컨대, 전통시장 등)에서 사용된 지원금의 일부(예컨대, 10%)를 사용자에게 캐시백 형태의 지원금으로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에게 지급된 캐시백 금액은 지원금액과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자신의 카드를 이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캐시백은 지원기관에 의해 해당 사용자에게 본래 지급된 지원금과는 서로 상이한 성격을 갖는 지불 수단으로 관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캐시백 조건을 충족하는 사용처 외에도 자신의 희망하는 임의의 매장에서 지원금을 사용할 수 있지만, 캐시백으로 지급된 지원금에 대해서는 지원기관에 의해 미리 설정된 조건을 더 충족하는 사용처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도록, 지원금 정보에서 사용자에 대한 지원금액과 캐시백 금액을 별도의 지불 수단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는, 지원기관에 의해 지급되는 지원금은 지원금 정보에서 정의하는 특정 분류의 매장(예컨대, 전통시장, 프랜차이즈 가맹점)에서만 사용이 가능하지만, 지원금의 사용에 의하여 획득된 캐시백 금액의 경우에는 해당 분류의 매장뿐만 아니라 다른 분류의 매장(예컨대, 마트, 프랜차이즈 직영점 등)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지원금액과 캐시백 금액을 별도의 지불 수단으로 관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비자들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외면되는 특정 분류의 매장(예컨대, 전통시장 등)에서 지원금액을 사용할 경우 소비자들이 상대적으로 쉽게 찾는 다른 분류의 매장(예컨대, 특정 프랜차이즈 등)에서도 사용 가능한 캐시백 금액을 제공하도록 사용 정책을 구성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비인기 분류의 매장에서의 지원금 사용을 독려하고 서로 상이한 분류나 층위에 속하는 매장 간의 상생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카드사 서버(4)는,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으로부터 수신한 정산 정보에 따라 카드 승인이 요청된 금액의 일부 또는 전부를 승인할 수 있다(S29). 예를 들어, 승인 요청금액 중 일부에 대해서만 지원금으로 사용이 승인된 경우, 카드사 서버(4)는 지원금 사용이 승인된 금액에 대해서만 카드 사용을 승인하거나, 또는 지원금 사용이 승인된 금액에 대해서는 지원금 사용으로 숭인하고 그 외의 금액에 대해서는 카드 지원금과 별도의 일반적인 카드 사용 금액으로 승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지원기관이 관리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들에 대한 지원금 및 캐시백 사용 정보를 지원기관 서버(5)에 전송할 수 있다(S30). 이때 전송되는 지원금 및 캐시백 사용 정보에는, 각 사용자들의 지원금 사용금액과 지원금의 사용처(즉, 가맹점)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지원기관에서 여러 카드사의 카드들에 걸쳐 사용되는 지원금의 사용 현황을 일목 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일 실시예에서,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카드사 서버(4)에 의하여 지원금 사용이 요청되었으나(S23) 가맹점 검증 과정(S25)에서 가맹점의 업종 또는 매장 분류가 지원기관이 규정한 사용처 정보와 일치하지 않아 지원금 사용이 거절된 카드 사용 건에 대한 통계 정보를 생성하고, 해당 통계 정보를 지원기관 서버(5)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통계 정보는 각 사용자 개인별로 생성되며,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의 알림 전송부(34; 도 1)는 해당 통계 정보를 사용자 장치(1)에 전송하거나 또는/또한 해당 통계 정보를 기반으로 지원금 사용 지역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사용자 장치(1)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개인이 사용 가능한 지원금의 사용처가 해당 개인의 거주지 또는 해당 개인이 지원기관 또는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에 신청한 사용지역에 따라 달라지도록 지원금 정보가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예로, 프랜차이즈 업종의 경우 직영점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거주하는 또는 신청한 지역에 본사가 위치한 프랜차이즈의 매장에서만 지원금을 사용할 수 있고, 가맹점(대리점)에 대해서는 지역과 관계없이 지원금을 사용할 수 있는 등, 매장 형태(프랜차이즈 직영점 또는 가맹점) 및 사용자의 지역 양자에 기초하여 사용처 여부가 달라지도록 지원금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카드사 서버(4)는 사용자의 거주 또는 신청 지역을 알 수 없으므로 프랜차이즈 매장을 가맹점으로 한 카드 승인 요청 건을 일단 지원금 대상으로 분류하여(S23)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에 지원금 사용을 요청하고(S24),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에서 사용자의 거주 또는 신청 지역을 토대로 지원금 사용이 가능한 가맹점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25). 이때, 만약 사용자가 제1 지역, 예컨대,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거나 경기도에서 지원금 사용을 신청하였으나 프랜차이즈 매장에서의 사용은 이와 상이한 제2 지역, 예컨대, 서울에서 많이 이루어진 경우, 서울 프랜차이즈 매장에서의 카드 사용에 대해서는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의 가맹점 검증 과정(S25)에서 지원금 사용이 거절되는 결과가 누적될 것이다.
이 경우,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의 카드 사용 검증부(33; 도 1)는 카드사 서버의 지원금 사용 요청이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에 의해 거절된 건을 취합한 통계 정보 중 사용자에 상응하는 지역(거주 또는 신청 지역)이 매장에 대한 판단 기준(예컨대, 프랜차이즈 본사 소재지 등)과 불일치하여 거절된 건들을 추출하고, 이와 같이 거절된 건들의 비율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 지원금 사용 지역에 대한 변경을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추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생성된 추천 정보는 알림 전송부(34; 도 1)에 의해 사용자 장치(1)에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은 각 카드사 별로 상이한 가맹점 분류를 지원기관의 지원금 사용처에 따라 표준화함으로써, 카드사 별로 상이한 가맹점 분류에 영향을 받지 않고 일원화된 방식으로 지원금 사용 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캐시백 통합 관리 방법에서 지원금의 사용처 정보를 표준화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지원기관 서버(5)로부터 지원금의 사용처를 정의하는 사용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31). 이때 사용처 정보란, 지원금을 사용할 수 있는 매장들을 하나 이상의 미리 설정된 카테고리로 분류한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매장들의 업종 또는 매장들의 형태(예컨대, 전통시장)를 분류한 분류코드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을 통해 지원금 사용이 관리되는 하나 이상의 카드사 서버(41, 42)로부터 각 카드사의 가맹점 분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32, S33). 각각의 카드사에서는 독자적인 방식으로 가맹점들의 업종을 분류하는데, 본 실시예에서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카드사 별로 상이한 업종 분류를 하나의 일원화된 분류 체계에 매칭시킴으로써 표준화된 매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34). 예를 들어,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지원기관의 사용처 정보에서 정의하는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에 따라 카드사의 가맹점들을 분류함으로써 표준화된 매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표준화된 매장 정보는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에 저장될 수 있다(S35). 또한,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은 표준화된 매장 정보를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지원금 사용 검증 중 가맹점 검증(S15; 도 2)에 이용함으로써, 카드사 별로 상이한 매장 분류로 인하여 동일한 매장에 대한 지원금 사용이 어느 카드사에서는 허용되고 다른 카드사에서는 허용되지 않는 등의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3)은 전술한 과정에 의하여 생성된 표준화된 매장 정보를 각 카드사 서버(41, 42)와 동기화함으로써(S36, S37), 카드사 별로 상이한 가맹점 분류 체계를 통합된 형태로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표준화된 매장 정보의 동기화는 일정 시간 주기(예컨대, 일, 주, 월 등) 또는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정 방식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캐시백 통합 관리 방법에 의한 동작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에 의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순서도들에 도시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카드 사용금액에 상응하는 캐시백을 정의하는 정책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데이터베이스; 및
    카드사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카드 사용금액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카드 사용금액 정보 및 상기 정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상응하는 캐시백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캐시백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구성된 캐시백 관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캐시백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에 상응하여 서로 상이한 복수 개의 카드사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카드 사용금액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캐시백 정보를 갱신하도록 더 구성된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지원기관으로부터 수신되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 대한 지원금액을 포함하는 지원금 정보를 저장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정책 정보는 하나 이상의 사용처에서의 지원금 사용금액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캐시백을 정의하는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캐시백 관리부는,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지원금 사용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지원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지원금 사용 요청을 검증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지원금 사용 가능 여부 및 지원금 사용금액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지원금 정산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카드 사용 검증부; 및
    상기 정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지원금 정산 정보에 의해 결정된 지원금 사용금액에 상응하는 캐시백 금액을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하도록 상기 캐시백 정보를 갱신하도록 구성된 정산부를 포함하는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산부는, 상기 지원금 정산 정보에 의해 결정된 지원금 사용금액을 상기 사용자에 대한 지원금액으로부터 차감하도록 상기 지원금 정보를 갱신하도록 더 구성된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
  5.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이, 카드 사용금액에 상응하는 캐시백을 정의하는 정책 정보를 상기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이 카드사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카드 사용금액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이 상기 카드 사용금액 정보 및 상기 정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상응하는 캐시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이 상기 캐시백 정보를 상기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이, 상기 사용자에 상응하여 서로 상이한 복수 개의 카드사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카드 사용금액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캐시백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캐시백 통합 관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이, 지원기관으로부터 수신되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 대한 지원금액을 포함하는 지원금 정보를 상기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책 정보는 하나 이상의 사용처에서의 지원금 사용금액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캐시백을 정의하는 캐시백 통합 관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캐시백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이,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지원금 사용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이, 상기 지원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지원금 사용 요청을 검증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지원금 사용 가능 여부 및 지원금 사용금액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지원금 정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이, 상기 정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지원금 정산 정보에 의해 결정된 지원금 사용금액에 상응하는 캐시백 금액을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하도록 상기 캐시백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캐시백 통합 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이, 상기 지원금 정산 정보에 의해 결정된 지원금 사용금액을 상기 사용자에 대한 지원금액으로부터 차감하도록 상기 지원금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캐시백 통합 관리 방법.
  9.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캐시백 통합 관리 방법을 수행하도록 컴퓨터에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20067992A 2021-11-16 2022-06-03 복수의 카드에 대한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300723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57974 2021-11-16
KR1020210157974 2021-11-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2385A true KR20230072385A (ko) 2023-05-24

Family

ID=86540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7992A KR20230072385A (ko) 2021-11-16 2022-06-03 복수의 카드에 대한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238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6353A (ko) 2007-08-10 2009-02-13 전달용 각종 카드와 마일리지를 통합하여 사용/결제하는 방법 및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6353A (ko) 2007-08-10 2009-02-13 전달용 각종 카드와 마일리지를 통합하여 사용/결제하는 방법 및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2901B2 (en) Business-to-business commerce using financial transaction numbers
RU2451337C2 (ru) Контроль соответствия правилам в программе, основанной на картах
CN101185282B (zh) 用于无线用户记帐和分发的系统、装置和方法
US9721268B2 (en) Providing offers associated with payment credentials authenticated in a specific digital wallet
JP4926404B2 (ja) 電子請求書の提示および支払いに対する方法およびソフトウェアアプリケーション
US2019030402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company expenses
US20150254658A1 (en) Limiting token collaboration network usage by token
US20150254635A1 (en) Limiting the use of a token based on a user location
US2023036817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er-to-peer assistance in provisioning payment tokens to mobile devices
US20150254665A1 (en) Authorizing a temporary token for a user
US20150254663A1 (en) Token usage scaling based on determined level of exposure
US201703009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authorization and payment rules regarding usage of payment tokens
US10803459B2 (en) Online transaction processing system for multi-product transactions
US2017030089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ports on usage of payment token
US20150254657A1 (en) Limiting token collaboration network usage by user
KR101111259B1 (ko) 충전식 선불 카드의 사용처 제한 방법,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KR102609713B1 (ko)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30072385A (ko) 복수의 카드에 대한 캐시백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US11790371B1 (en) Dynamic travel profile
KR102664462B1 (ko) 표준화된 매장 정보를 이용한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30071916A (ko) 지원금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US20220044243A1 (en) Smart account control for authorized users
WO20171803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oken based employee corporate cards
US20170278019A1 (en) Online transaction processing system for multi-product transactions
KR20240072972A (ko) 표준화된 매장 정보를 이용한 카드 사용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