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3516B1 - 고출력신호 경로선택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출력신호 경로선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3516B1
KR101833516B1 KR1020160183607A KR20160183607A KR101833516B1 KR 101833516 B1 KR101833516 B1 KR 101833516B1 KR 1020160183607 A KR1020160183607 A KR 1020160183607A KR 20160183607 A KR20160183607 A KR 20160183607A KR 101833516 B1 KR101833516 B1 KR 101833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ignal
inverter
output
selection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3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보균
박종설
김호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텔
Priority to KR1020160183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35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3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3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1/0458Arrangements for matching and coupling between power amplifier and antenna or between amplifying stag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56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 H03K17/687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the devices being field-effect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56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 H03K17/687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the devices being field-effect transistors
    • H03K17/693Switching arrangements with several input- or output-terminals, e.g. multiplexers, distribu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PnT 및 SPnT의 구동회로를 이용하여 고출력신호의 전달경로를 선택할 수 있는 고출력신호 경로선택 시스템을 제안한다. 상기 고출력신호 경로선택 시스템은, 전력증폭기에서 출력하는 고출력신호를 복수의 안테나 중 하나의 안테나로 스위칭하는 것으로, 멀티플렉서, 선택스위치 구동부 및 선택스위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출력신호 경로선택 시스템{The path selecting system for high power signal}
본 발명은 고출력신호의 경로를 선택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력증폭기로부터 출력되는 고출력신호를 복수의 경로 중에서 선택한 하나의 경로로 스위칭하는 고출력신호 경로선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입력단자는 하나인데 출력단자가 n (n은 2 이상의 자연수)개인 마이크로파 스위치를 SPnT (Single Pole n-Throw)라고 부른다. SPnT를 이용한 경로선택형(transfer switch) 스위치는 하나의 입력단자로 인가되는 신호(전력)를 복수의 출력단자 중 하나의 출력단자로만 스위칭하고, 나머지 출력단자는 개방(open) 상태 즉 하이-임피던스(high impedance) 상태를 가지도록 한다.
특히 고출력신호의 경로를 선택하는 스위치는 전력증폭기와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는 안테나그룹 사이에 위치하며, 스위치는 환경변화에 따라 안테나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안테나 중 최적의 안테나를 선택하여 송신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의 목적에 맞게 효율적인 시스템의 구성 및 정보를 획득 가능하게 한다.
일반적인 경로선택 스위치의 구성 방법은 솔레노이드 (Solenoid)를 이용한 기계적인 SPnT 구성방법과 PIN 다이오드를 이용한 전자적인 SPnT 구성 방법이 있다. 이중 PIN 다이오드를 이용한 전자적인 방법은 스위칭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신속성을 요구하는 시스템의 스위치로서 적절하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26555(2006.9.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SPnT 및 SPnT의 구동회로를 이용하여 고출력신호의 전달경로를 선택할 수 있는 고출력신호 경로선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출력신호 경로선택 시스템은, 전력증폭기에서 출력하는 고출력신호를 복수의 안테나 중 하나의 안테나로 스위칭하는 것으로, 멀티플렉서, 선택스위치 구동부 및 선택스위치부를 포함한다. 상기 멀티플렉서는 복수의 경로선택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일 입력단자로 인가되는 활성 펄스신호를 복수의 출력단자 중 하나의 출력단자로 스위칭한다. 상기 선택스위치 구동부는 입력단자가 상기 멀티플렉서의 출력단자 중 하나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선택스위치 구동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선택스위치 구동회로 중 상기 멀티플렉서로부터 활성 펄스신호가 전달된 선택스위치 구동회로는 제1구동신호 생성회로 및 제2구동신호 생성회로를 이용하여 제1구동신호 및 제2구동신호를 각각 생성한다. 상기 선택스위치부는 상기 복수의 선택스위치 구동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제1구동신호 및 제2구동신호 중 해당 제1구동신호 및 해당 제2구동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복수의 선택스위치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구동신호 및 상기 제2구동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고출력신호를 복수의 안테나 중 하나의 안테나로 스위칭한다. 상기 선택스위치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선택스위치 회로는, 입력단자에 상기 고출력신호가 인가되는 제1핀 다이오드, 입력단자가 상기 제1핀 다이오드의 출력단자에 연결되는 제2핀 다이오드, 일 단자가 상기 제1구동신호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상기 제1핀 다이오드의 출력단자와 상기 제2핀 다이오드의 입력단자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제2 인턱터 및 일 단자가 상기 제2구동신호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상기 제2핀 다이오드의 출력단자에 연결되는 제3 인덕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핀 다이오드의 출력단자가 안테나와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출력신호 경로선택 시스템은, 멀티플렉서의 활용을 통해 스위칭 속도의 개선을 달성하였으며, 복수의 다이오드를 동시에 구동할 수 있어 효과적으로 고출력신호를 스위칭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출력신호 경로선택 시스템의 사용 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출력신호 경로선택 시스템(100)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선택스위치 구동회로의 게이트 레벨에서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선택스위치 구동회로의 소자 단위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선택스위치부를 구성하는 선택스위치 회로의 일 실시 예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출력신호 경로선택 시스템의 사용 예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출력신호 경로선택 시스템(100)은 임의의 신호(in)를 증폭하는 전력증폭기(10)와 복수의 안테나(21~23)를 구비하는 안테나 어레이(20) 사이에 설치되어, 제1전원전압(28V) 제2전원전압(5V), 경로선택 제어신호(PS) 및 활성 펄스신호(A_Pulse)에 응답하여, 전력증폭기(10)로부터 출력되는 증폭된 고출력신호(A_In)를 송출에 최적인 안테나로 스위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경로선택 제어신호(PS)는 디지털 신호로써, 1비트(bit)인 경우에는 2가지 경로를 선택할 수 있으며, 2비트인 경우에는 4가지 경로를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비트의 수가 하나씩 늘어날수록 선택 가능한 경로의 수는 2의 배수로 늘어나게 될 것이다. 활성 펄스신호(A_Pulse)는 일정한 크기의 전압을 가지는 시간구간이 한정적인 신호로서, 상기 시간구간 동안 본 발명에 따른 고출력 경로선택시스템(100)을 구성하는 구성요소가 활성화되도록 하는 신호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출력신호 경로선택 시스템(100)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출력신호 경로선택 시스템(100)은, 멀티플렉서(210), 선택스위치 구동부(220) 및 선택스위치부(230)를 포함한다.
제1커패시터(C1)는 외부로부터 일 단자에 인가되는 증폭된 고출력신호(A_In)에 포함된 DC 성분을 차단한 고출력신호(H_S)를 생성하여 다른 일 단자에 연결된 선택스위치부(230)에 전달한다. 제1인덕터(L1)는 일 단자가 제1커패시터(C1)의 다른 일 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에 제2전원전압(5V)이 인가된다. 제2커패시터(C2)는 일 단자가 접지전압(GND)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제1인덕터(L1)의 다른 일 단자에 연결된다.
멀티플렉서(210)는 복수의 경로선택 제어신호(PS)에 응답하여 일 입력단자로 인가되는 활성 펄스신호(A_Pulse)를 복수의 출력단자 중 하나의 출력단자로 스위칭한다.
선택스위치 구동부(220)는 입력단자가 멀티플렉서(210)의 출력단자 중 하나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선택스위치 구동회로(221~224)를 포함하며, 복수의 선택스위치 구동회로(221~224) 중 멀티플렉서(210)로부터 활성 펄스신호가 전달된 선택스위치 구동회로는 제1구동신호 생성회로(310, 도 3 참조) 및 제2구동신호 생성회로(320, 도 3 참조)를 이용하여 제1구동신호 및 제2구동신호를 각각 생성한다.
선택스위치부(230)는 복수의 선택스위치 구동회로(221~224)로부터 출력되는 제1구동신호(V-) 및 제2구동신호(V+) 중 해당 제1구동신호 및 해당 제2구동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복수의 선택스위치 회로(231~234)를 포함하며, 제1구동신호(V-) 및 제2구동신호(V+)에 응답하여 고출력신호(H_S)를 복수의 안테나 중 하나의 안테나로 스위칭한다.
SPnT 및 SPnT의 구동회로는 각각 선택스위치부(230)와 선택스위치 구동회로(220)가 대응된다.
도 3은 선택스위치 구동회로의 게이트 레벨에서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각각의 선택스위치 구동회로는 제1구동신호 생성회로(310) 및 제2구동신호 생성회로(320)를 구비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1구동신호 생성회로(310)는 제1인버터(301), 제2인버터(302) 및 제3인버터(303)를 포함한다. 제1인버터(301)는 일 단자가 활성 펄스신호(S1)를 인버팅 (inverting)한다. 제2인버터(302)는 제1인버터(301)의 출력을 인버팅한다. 제3인버터(303)는 활성 펄스신호(S1)를 바이어스(bias) 전압으로 하여 제2인버터(302)의 출력을 인버팅하여 제1구동신호(V-)를 생성한다.
제2구동신호 생성회로(320)는, 제4인버터(304), 제5인버터(305) 및 제6인버터(306)를 포함한다. 제4인버터(304)는 활성 펄스신호(S1)를 인버팅한다. 제5인버터(305)는 바이어스 전압에 응답하여 제4인버터(304)의 출력을 인버팅하여 제2구동신호(V+)를 생성한다. 제6인버터(306)는 활성 펄스신호(S1)를 인버팅하여 바이어스 전압을 생성하고, 생성된 바이어스 전압을 제5인버터(305)에 제공한다.
도 4는 선택스위치 구동회로의 소자 단위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소자 단위의 회로와 도 3에 도시된 게이트 레벨의 회로를 비교하면, 4개의 인버터(302, 303, 304, 305)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는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4개의 인버터(302, 303, 304, 305)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2인버터(302)는 제1부하저항(R1), 제2부하저항(R2) 및 제1트랜지스터(Q1)로 구현할 수 있다. 제1부하저항(R1)은 일 단자가 제1전원전압(28V)에 연결되어 있다. 제2부하저항(R2)은 일 단자가 제1부하저항(R1)의 다른 일 단자에 연결된다. 제1트랜지스터(Q1)는 일 단자가 제2부하저항(R2)의 다른 일 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는 접지전압(GND)에 연결되며, 게이트 단자가 제2인버터(302)의 출력단자와 연결된다.
제3인버터(303)는 제2트랜지스터(Q2), 직렬저항(RS) 및 제3트랜지스터(Q3)로 구현할 수 있다. 제2트랜지스터(Q2)는 일 단자가 제1전원전압(28V)에 연결되고 게이트 단자가 제1부하저항(R1) 및 제2부하저항(R2)의 공통단자에 연결된다. 직렬저항(Rs)은 일 단자가 제2트랜지스터(Q2)의 다른 일 단자에 연결된다. 제3트랜지스터(Q3)는 일 단자가 직렬저항(Rs)의 다른 일 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접지전압(GND)에 연결되며 게이트 단자에 활성 펄스신호(S1)가 인가된다.
제4인버터(304)는 제4부하저항(R4), 제5부하저항(R5) 및 제4트랜지스터(Q4)로 구현할 수 있다.
제4부하저항(R4)은 일 단자가 상기 제1전원전압(28V)에 연결된다. 제5부하저항(R5)은 일 단자가 제4부하저항(R4)의 다른 일 단자에 연결된다. 제4트랜지스터(Q4)는 일 단자가 제5부하저항(R5)의 다른 일 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는 접지전압(GND)에 연결되며, 게이트 단자에 활성 펄스신호(S1)가 인가된다.
제5인버터(305)는 제5트랜지스터(Q5), 병렬저항(Rp) 및 제6트랜지스터(Q6)로 구현할 수 있다. 제5트랜지스터(Q5)는 일 단자가 제1전원전압(28V)에 연결되고, 게이트 단자가 제4부하저항(R4) 및 제4부하저항(R4)의 공통단자에 연결된다. 병렬저항(Rp)은 일 단자가 제5트랜지스터(Q5)의 다른 일 단자에 연결된다. 제6트랜지스터(Q6)는 일 단자가 병렬저항(Rp)의 다른 일 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접지전압(GND)에 연결되며, 게이트 단자가 제6인버터(306)의 출력단자에 연결된다.
도 5는 선택스위치부를 구성하는 선택스위치 회로의 일 실시 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선택스위치 회로(231)는 제1핀 다이오드(D1), 제2핀 다이오드(D2), 제2인덕터(L2), 제3인덕터(L3), 제3커패시터(C3), 제4커패시터(C4) 및 제5커패시터(C5)를 포함한다.
제1핀 다이오드(D1)는 입력단자에 고출력신호(H_S)가 인가되며, 제1핀 다이오드(D1)의 출력단자는 안테나와 연결될 것이다. 제2핀 다이오드(D2)는 입력단자가 제1핀 다이오드(D1)의 출력단자에 연결된다. 제2인덕터(L2)는 일 단자가 제1구동신호(V-)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제1핀 다이오드(D1)의 출력단자와 제2핀 다이오드(D2)의 입력단자에 공통으로 연결된다. 제3인덕터(L3)는 일 단자가 제2구동신호(V+)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제2핀 다이오드(D2)의 출력단자에 연결된다. 제3커패시터(C3)는 일 단자에 제1구동신호(V-)가 인가되고 다른 일 단자는 접지전압(GND)에 연결된다. 제4커패시터(C4)는 일 단자가 제2핀 다이오드(D2)의 출력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접지(GND)된다. 제5커패시터(C5)는 일 단자에 제2구동신호(V+)가 인가되고 다른 일 단자는 접지전압(GND)에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고출력신호 경로선택 시스템(100)의 동작 및 전기적인 특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선택스위치 구동회로(221)는 멀티플렉서(210)의 4개의 출력단자(S1~S4) 중 하나의 출력단자(S1)와 연결된 것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4개의 선택스위치 구동회로(221~224) 중 하나를 선택하여 설명한 것이고, 여기의 설명은 다른 선택스위치 구동회로(222~224)에 적용하면 될 것이다.
멀티플렉서(210)의 출력단자(S1)에서 전달되는 신호는 스위칭 된 활성 펄스신호(A_Pulse)이다. 선택스위치 구동회로(221)는 활성 펄스신호(A_Pulse, S1)를 홀수 회 인버팅 시켜 제1구동신호(V-)로 생성하고, 짝수 회 인버팅 시켜 제2구동신호(V+)를 생성한다. 따라서 제1구동신호(V-)와 제2구동신호(V+)는 2개의 논리 값 중 하나의 값을 서로 나누어 나타내게 될 것이다.
제1구동신호 생성회로(310)를 구성하는 제3인버터(303)의 동작 전압(Operating voltage) 및 제2구동신호 생성회로(320)를 구성하는 제5인버터(305)의 동작 전압)의 크기에 따라 제1구동신호(V-)와 제2구동신호(V+)의 논리 값에 대응되는 전압 준위가 결정된다.
도 3에 도시한 선택스위치 구동회로(221)를 소자단위로 구현한 도 4를 참조하면, 인버터(301~306)의 동작 전압은 28V와 0V(GND)이므로, 제1구동신호(V-)와 제2구동신호(V+)는 28V와 0V(GND) 중 하나의 전압 값을 표시할 것이다. 예를 들면, 활성 펄스신호(A_Pulse, S1)가 논리 하이 값을 가지는 경우, 활성 펄스신호(A_Pulse, S1)를 세 번 인버팅 한 제1구동신호(V-)는 논리 로우 값 즉 0V가 되고 두 번 인버팅한 제2구동신호(V+)는 28V의 전압준위를 나타내게 될 것이다.
제2인버터(302)를 구성하는 2개의 부하저항(R1, R2)의 값은 제3인버터(303)를 구성하는 제2트랜지스터(Q2)의 게이트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 준위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며, 제3인버터(303)를 구성하는 직렬저항(Rs)는 제1구동신호(V-)의 전압준위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는 것, 그리고 이러한 저항의 값을 결정하는 과정이나 이유 등은 설계자가 필요에 따라 변경 및 설정 가능한 것이므로, 여기서는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제4인버터(304) 및 제5인버터(305)를 구성하는 저항들의 기능은 제2인버터(302) 및 제3인버터(303)에 포함되는 저항과 1 대 1로 대응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선택스위치회로(231)는 도 2에 도시된 복수의 선택스위치회로(231~234) 중 하나이며, 이들 중 하나만 선택하여 설명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활성 펄스신호(A_Pulse, S1)가 논리 하이 상태일 때에는 제1구동신호(V-)는 논리 로우 상태가 되고 제2구동신호(V+)는 논리 하이 상태가 될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구동신호(V-)는 RF 초크 역할을 수행하는 제2인덕터(L2) 경유하여 제2핀 다이오드(D2)의 입력단자로 인가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만일 제1구동신호(V-)가 0V라고 하면 제2핀 다이오드(D2)는 턴 오프 (Turn Off)되지만 제1핀 다이오드(D1)는 턴 온 (Turn On) 될 것이다. 이 경우 선택스위치회로(231)의 출력(OUT1)은 고출력신호(H_S)와 동일한 값을 가지게 된다.
반대로 활성 펄스신호(A_Pulse, S1)가 논리 로우 상태일 때에는 제1구동신호(V-)는 논리 하이 상태가 되고 제2구동신호(V+)는 논리 로우 상태가 될 것이다. 이렇게 되면, 활성 펄스신호(A_Pulse, S1)가 논리 하이 상태와는 반대가 되어, 선택스위치회로(231)의 출력(OUT1)은 제2핀 다이오드(D2)로부터 인가되는 제2구동신호(V+)의 전압준위인 접지전압의 전압준위를 가지게 될 것이다.
도 6은 테스트를 위해 제작한 본 발명에 따른 고출력신호 경로선택 시스템의 일 실시 예이다.
도 6a는 시스템의 평면도이고 도 6b는 시스템의 배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지그를 이용하여 온-웨이퍼 측정방법을 통해 삽입손실, 반사손실 및 격리도를 측정하였다. 삽입손실은 1.1dB 이하, 반사손실을 -12.5dB, 그리고 격리도는 41dB 이상이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210: 멀티플렉서
220: 선택스위치 구동부
221: 제1선택스위치 구동회로
222: 제2선택스위치 구동회로
223: 제3선택스위치 구동회로
224: 제4선택스위치 구동회로
V-: 제1구동신호 V+: 제2구동신호
230: 선택스위치부
231: 제1선택스위치 회로
232: 제2선택스위치 회로
233: 제3선택스위치 회로
234: 제4선택스위치 회로
310: 제1구동신호 생성회로 320: 제2구동신호 생성회로
A_In: 증폭된 고출력신호
H_S: 고출력신호

Claims (5)

  1. 전력증폭기에서 출력하는 고출력신호를 복수의 안테나 중 하나의 안테나로 스위칭하는 고출력신호 경로선택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경로선택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일 입력단자로 인가되는 활성 펄스신호를 복수의 출력단자 중 하나의 출력단자로 스위칭하는 멀티플렉서;
    입력단자가 상기 멀티플렉서의 출력단자 중 하나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선택스위치 구동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선택스위치 구동회로 중 상기 멀티플렉서로부터 활성 펄스신호가 전달된 선택스위치 구동회로는 제1구동신호 생성회로 및 제2구동신호 생성회로를 이용하여 제1구동신호 및 제2구동신호를 각각 생성하는 선택스위치 구동부; 및
    상기 복수의 선택스위치 구동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제1구동신호 및 제2구동신호 중 해당 제1구동신호 및 해당 제2구동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복수의 선택스위치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구동신호 및 상기 제2구동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고출력신호를 복수의 안테나 중 하나의 안테나로 스위칭하는 선택스위치부; 를 포함하며,
    상기 선택스위치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선택스위치 회로는,
    입력단자에 상기 고출력신호가 인가되는 제1핀 다이오드;
    입력단자가 상기 제1핀 다이오드의 출력단자에 연결되는 제2핀 다이오드;
    일 단자가 상기 제1구동신호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상기 제1핀 다이오드의 출력단자와 상기 제2핀 다이오드의 입력단자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제2 인턱터; 및
    일 단자가 상기 제2구동신호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상기 제2핀 다이오드의 출력단자에 연결되는 제3 인덕터; 를 포함하며,
    상기 제1핀 다이오드의 출력단자가 안테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출력신호 경로선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스위치 구동부를 구성하는 선택스위치 구동회로는,
    상기 제1구동신호 생성회로는,
    일 단자가 상기 활성 펄스신호를 인버팅하는 제1인버터;
    상기 제1인버터의 출력을 인버팅하는 제2인버터; 및
    상기 활성 펄스신호를 바이어스 전압으로 하여 상기 제2인버터의 출력을 인버팅하여 상기 제1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제3인버터; 를 포함하며,
    상기 제2구동신호 생성회로는,
    상기 활성 펄스신호를 인버팅하는 제4인버터;
    바이어스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제4인버터의 출력을 인버팅하여 상기 제2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제5인버터; 및
    상기 활성 펄스신호를 인버팅하여 상기 바이어스 전압을 생성하는 제6인버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출력신호 경로선택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인버터는,
    일 단자가 제1전원전압에 연결된 제1부하저항;
    일 단자가 상기 제1부하저항의 다른 일 단자에 연결된 제2부하저항; 및
    일 단자가 상기 제2부하저항의 다른 일 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는 접지전압에 연결되며, 게이트단자가 상기 제2인버터의 출력단자와 연결된 제1트랜지스터; 를 구비하고,
    상기 제3인버터는,
    일 단자가 상기 제1전원전압에 연결되고 게이트 단자가 상기 제1부하저항 및 상기 제2부하저항의 공통단자에 연결된 제2트랜지스터;
    일 단자가 상기 제2트랜지스터의 다른 일 단자에 연결된 직렬저항; 및
    일 단자가 상기 직렬저항의 다른 일 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접지전압에 연결되며 게이트 단자에 상기 활성 펄스신호가 인가되는 제3트랜지스터; 를 포함하며,
    상기 제4인버터는,
    일 단자가 상기 제1전원전압에 연결된 제4부하저항;
    일 단자가 상기 제4부하저항의 다른 일 단자에 연결된 제5부하저항; 및
    일 단자가 상기 제5부하저항의 다른 일 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는 접지전압에 연결되며, 게이트 단자에 상기 활성 펄스신호가 인가되는 제4트랜지스터; 를 포함하며,
    상기 제5인버터는,
    일 단자가 상기 제1전원전압에 연결되고, 게이트 단자가 상기 제4부하저항 및 상기 제4부하저항의 공통단자에 연결된 제5트랜지스터;
    일 단자가 상기 제5트랜지스터의 다른 일 단자에 연결된 병렬저항; 및
    일 단자가 상기 병렬저항의 다른 일 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접지전압에 연결되며, 게이트 단자가 상기 제6인버터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제6트랜지스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출력신호 경로선택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스위치 회로는,
    일 단자에 상기 제1구동신호가 인가되고 다른 일 단자는 접지전압에 연결된 제3커패시터;
    일 단자가 상기 제2핀 다이오드의 출력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접지된 제4커패시터; 및
    일 단자에 상기 제2구동신호가 인가되고 다른 일 단자는 접지전압에 연결된 제5커패시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출력신호 경로선택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일 단자에 상기 고출력신호가 인가되고 다른 일 단자가 상기 선택스위치부에 연결된 제1커패시터;
    일 단자가 상기 제1커패시터의 다른 일 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에 제2전원전압이 인가되는 제1인덕터; 및
    일 단자가 접지전압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상기 제1인덕터의 다른 일 단자에 연결된 제2커패시터;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출력신호 경로선택 시스템.
KR1020160183607A 2016-12-30 2016-12-30 고출력신호 경로선택 시스템 KR101833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607A KR101833516B1 (ko) 2016-12-30 2016-12-30 고출력신호 경로선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607A KR101833516B1 (ko) 2016-12-30 2016-12-30 고출력신호 경로선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3516B1 true KR101833516B1 (ko) 2018-02-28

Family

ID=61401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3607A KR101833516B1 (ko) 2016-12-30 2016-12-30 고출력신호 경로선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351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0144A (ja) 2003-05-23 2004-12-09 Mitsubishi Electric Corp 大信号高周波スイッチ回路
JP2007515900A (ja) 2003-12-15 2007-06-14 インテル・コーポレーション ダイバーシティ結合のためのアンテナ選択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0144A (ja) 2003-05-23 2004-12-09 Mitsubishi Electric Corp 大信号高周波スイッチ回路
JP2007515900A (ja) 2003-12-15 2007-06-14 インテル・コーポレーション ダイバーシティ結合のためのアンテナ選択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16176B2 (ja) 低電圧差動信号を生成するための回路
US8030965B2 (en) Level shifter using SR-flip flop
US8975920B2 (en) Programmable transceiver circuit
KR950012313A (ko) 액정 디스플레이에서 선택선 스캐너로 사용되는 시프트 레지스터
US6639397B2 (en) Automatic test equipment for testing a device under test
JP2010524303A5 (ko)
TWI519073B (zh) 移位暫存器電路及其操作方法
KR20010068165A (ko) 데이터 래치 회로와 그 구동 방법
US10291230B2 (en) Level shifter and level shifting method
US7449955B2 (en) Chain-chopping current mirror and method for stabilizing output currents
CN116699363A (zh) 芯片测试电路、测试系统及测试方法
CN110830027B (zh) 转压器
US7852119B1 (en) SR-flip flop with level shift function
CN101208861A (zh) 由低压vcc供电的差分晶体管对电流开关
US9762242B2 (en) Multi-supply output circuit
KR101833516B1 (ko) 고출력신호 경로선택 시스템
KR940006230A (ko)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및 그 기능시험방법
EP0193459B1 (en) Ttl tristate output device
US5955890A (en) Backmatch resistor structure for an integrated circuit tester
CN113422500B (zh) 一种卫星电源功率使能n沟道mosfet驱动电路
CN107196639B (zh) 多路并行的双向电平转换电路
JP3336105B2 (ja) マルチプレクサ装置
JP2012134219A (ja) 半導体スイッチ及びその測定方法
KR100466540B1 (ko) 입출력 포트 회로
US6791357B2 (en) Bus signal hold cell, bus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