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3270B1 - 인조석을 고무 몰드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이형필름 부착 장치 - Google Patents

인조석을 고무 몰드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이형필름 부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3270B1
KR101833270B1 KR1020160111787A KR20160111787A KR101833270B1 KR 101833270 B1 KR101833270 B1 KR 101833270B1 KR 1020160111787 A KR1020160111787 A KR 1020160111787A KR 20160111787 A KR20160111787 A KR 20160111787A KR 101833270 B1 KR101833270 B1 KR 101833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ease film
frame
mold
coupled
artificial s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1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중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에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에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에스텍
Priority to KR1020160111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3270B1/ko
Priority to EP16192170.5A priority patent/EP3141363B1/en
Priority to US15/286,868 priority patent/US1019579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3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3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38Treating surfaces of moulds, cores, or mandrels to prevent sticking
    • B28B7/382Devices for treating, e.g. sa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9/00Combinations of shap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main groups B29C39/00 - B29C67/00, e.g. associations of moulding and joining techniques; Apparatus therefore
    • B29C69/001Combinations of shap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main groups B29C39/00 - B29C67/00, e.g. associations of moulding and joining techniques; Apparatus therefore a shaping technique combined with cutting, e.g. in parts or slices combined with rearranging and joining the cu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34Moulds, cores, or mandrels of special material, e.g. destructible materials
    • B28B7/348Moulds, cores, or mandrels of special material, e.g. destructible materials of plastic material or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36Linings or coatings, e.g. removable, absorbent linings, permanent anti-stick coatings; Linings becoming a non-permanent layer of the moulded article
    • B28B7/364Linings or coatings, e.g. removable, absorbent linings, permanent anti-stick coatings; Linings becoming a non-permanent layer of the moulded article of plastic material or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56Coatings, e.g. enameled or galvanised; Releasing, lubricating or separating agents
    • B29C33/68Release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조석을 고무 몰드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이형필름 부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조석 제조용 몰드와, 인조석 제조용 몰드에서 제조된 인조석을 분리함에 있어서, 이형제를 도포하지 않고도 손쉽게 몰드로부터 인조석을 분리할 수 있는 인조석을 고무 몰드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이형필름 부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조석을 고무 몰드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이형필름 부착 장치{APPARATUS FOR BONDING RELEASE FILM FOR SEPARATING ARTIFICIAL STONE FROM RUBBER MOLD}
본 발명은 인조석을 고무 몰드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이형필름 부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조석 제조용 몰드와, 인조석 제조용 몰드에서 제조된 인조석을 분리함에 있어서, 이형제를 도포하지 않고도 손쉽게 몰드로부터 인조석을 분리할 수 있는 인조석을 고무 몰드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이형필름 부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조석은 천연석의 모조로서, 모르타르나 콘크리트의 표면에 각종 돌가루, 돌조각을 넣은 건축재료로 색깔이 아름다운 화강암(花崗岩)이나 대리석의 부서진 조각을 적당히 배합하고, 물로 반죽하여 형틀에 넣고 경화시킨 후, 표면을 마무리하여 완성시키는 것으로서, 부서진 조각이나 돌가루 등을 사용하므로 경제적이고, 곡면의 다듬질도 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이다.
인조석은 벽·바닥 재료 등에 주로 사용되나, 광을 내어 계단·창틀 등에도 사용되며, 테라초는 인조석 광내기의 고급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인조석을 제조하기 위한 기술로는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5'가 있다.
'특허문헌 1'은, 건물 장식용 인조석 몰딩을 제조하기 위한 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미려한 장식성과 내구성을 갖는 인조석 몰딩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쪽면에 개구된 상자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인조석 몰딩을 성형하기 위한 캐비티가 형성되는 금형본체와, 금형본체의 개구된 면에 조립되며 금형본체의 개구된 단면적보다 작은 면적의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누름판과, 금형본체에 누름판이 이탈되지 않도록 조립 고정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건물 장식용 인조석 몰딩을 제조하기 위한 금형을 제공하는 것이고,
'특허문헌 2'는, 인조석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a) 인조석 원료에 상이한 입경을 갖는 2종 이상의 칩을 혼합하는 단계; (b) 칩이 혼합된 인조석 원료를 몰드에 투입하는 단계; (c) 진동장치를 사용하여 원료가 몰드 내에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1차 진동을 가하는 단계; (d) 원료의 기포를 제거하기 위하여 진공을 가하는 단계; 및 (e) 진동장치를 사용하여 2차 진동을 가하여 인조석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인조석 표면에 노출되는 칩의 출석률을 극대화시켜, 보다 자연스러운 인조석의 외관 디자인 표현과 더불어 내마모성 및 내오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고,
'특허문헌 3'은, 석재의 표면가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석재 표면가공 처리시 표면 가공과 동시에 표면 세정 공정을 하나의 라인에서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전 공정을 자동화하고, 임펠러(impeller)에서 투사되는 쇼트 볼에 의해서 쇼트실 내의 벽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조립 가능한 내벽을 더 설치하며, 상기 내벽의 전부 혹은 파손된 일부분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할 목적으로, 석재(S)를 본체(1) 내부로 연속적으로 공급 및 이송시키는 이송단계(S10)와, 상기 공급된 석재 표면의 이물질과 본체 저부의 비산물질을 흡입하는 전처리단계(S20)와, 임펠러에서 투사되는 쇼트 볼을 석재 표면에 입사시키는 쇼트단계(S30)와, 석재 표면의 이물질을 불어내는 동시에 비산하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후처리단계(S40)와, 석재 표면을 회전하는 브러시로 닦아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동시에 비산하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세정단계(S50) 및 브러시 처리된 석재 표면의 이물질을 불어내기 위한 제2블로우(61)가 구비되고 비산하는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제4흡입구(62)가 연결된 최종처리실(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특허문헌 4'는, 인조석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자연석의 느낌을 갖는 인조석을 연속적으로 자동 제조할 수 있어 인조석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조석용혼합물의 콘크리트용 색소를 변경함으로 인해 다양한 자연석의 느낌을 갖는 인조석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으며, 이러한 목적은 일단은 바닥면에 고정된 이송부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안착되어 이송부가 구동하는 것에 의해 이송부를 따라 순환 이동되며 일면에는 인조석에 대응되는 형상의 단면을 형성하여 인조석을 성형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인조석성형틀과, 상기 이송부의 일측 외부에 설치되어 각각 다른 콘크리트용 색소가 혼합된 인조석용혼합물을 교반시켜 이송부를 따라 이송된 인조석성형틀 내측으로 각각 공급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인조석용혼합물공급부와, 상기 다수의 인조석용혼합물공급부의 전방에 위치되게 이송부의 또 다른 일측에 설치되어 내부에 인조석용혼합물이 저장된 인조석성형틀측으로 습식모르타르를 공급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습식모르타르공급부와, 상기 습식모르타르공급부의 전방 일측에 설치되어 이송된 인조석성형틀의 상부를 덮기 위한 파렛트를 공급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파렛트공급부와, 상기 파렛트공급부의 전방에 위치되게 이송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송된 인조석성형틀의 상단을 덮고 있는 파렛트를 가압시킴과 동시에 인조석성형틀 저면에서 진동을 발생시켜 인조석성형틀로 공급된 인조석용혼합물이 서로 혼합되어 양생시 자연석 느낌을 갖도록 구비되는 가압진동부와, 상기 가압진동부 전방에 설치되어 이송부를 통하여 이송된 인조석성형틀을 180도 회전시킨 후, 진동을 발생시켜 인조석성형틀로부터 저장된 인조석용혼합물과 습식모르타르가 용이하게 탈형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회전탈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고,
'특허문헌 5'는, 인조석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금형으로 여러 형상으로 이루어진 여러 종류의 인조석을 제조할 수 있는 인조석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인조석을 제조하는 인조석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조석 제조장치는, 다수의 탭홀이 형성된 측,하판과 상기 탭홀에 내측의 돌출길이가 조정될 수 있게 체결되는 다수의 형상 변형볼트를 포함하는 금형과, 상기 금형의 내부 공간에 고정수단을 통해 삽입 고정되고 내부에는 콘크리트나 색소가 혼합된 콘크리트가 충진되는 충진 공간부가 구비되어 있는 고무 성형체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인조석은 보통 포틀랜드시멘트나 백색시멘트를 물로 반죽해서 종석(種石)으로서 화강암이나 대리석의 돌가루·돌조각을 첨가하고, 안료로는 황토나 벵갈라(red oxide) 등을 사용하여 판 모양으로 성형(成型)하게 되는데, 이때, 표면을 다듬는 방법으로는 도료를 칠한 후의 표면처리에 의해 씻어내기(마무리질 후 브러시로 2회 이상 닦아낸 다음 돌의 위치를 조정한 후, 硬化 상태를 보아 펌프로 깨끗한 물을 분사하여 닦아 냄), 광내기(모르타르의 경화를 예측하고 표면을 차차 숫돌로 평활하게 다듬질하는 것으로 숫돌 다듬질을 한 후, 왁스 등으로 광내기를 하는 것도 있음), 두들기기(종석을 6mm의 체로 걸러, 그 체에서 빠져나온 것을 사용하여 칠두께를 9mm 정도로 해서 표면이 충분히 경화한 다음 끌 등으로 두드려 다듬질 함) 등의 다양한 방법이 있으며, 이는 인조석 제조 공정에 있어서,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표면을 다듬는 공정은, 인조석이 제조된 상태에 따라,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상당히 늘어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제조된 인조석의 표면 상태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서, 인조석 제조시, 몰드에 이형제가 골고루 도포되지 않으면, 양생된 인조석을 몰드로부터 분리할 때, 인조석의 표면 상태가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형제를 사용하여 인조석을 제조하는 공정에 있어,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인조석의 제조 공정에 따라 면밀히 살펴보면,
종래의 인조석 제조방법은, 둘레에 단턱부가 구비된 하판과, 상기 하판의 단턱부 상부를 덮어 압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된 상판으로 구성된 고무 몰드를 제작하고, 천연 돌을 분쇄하여 PVC와 함께 믹싱한 후, 믹싱된 천연 돌 혼합물을 상기 하판에 타설하고, 바이브레이터를 이용하여 하판에 진동을 가함으로써 하판에 타설된 천연 돌과 PVC 혼합물의 입자를 보다 조밀하게 가공한 뒤, 상판을 하판의 상부에 덮어 프레서로 압착하여 인조석을 양생한 뒤, 최종적으로 양생된 인조석을 고무 몰드로부터 이탈시킨 다음 인조석의 표면을 매끄럽게 다듬음으로써 인조석을 완성하는 것이다.
이때, 종래에는 인조석을 고무 몰드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천연 돌과 PVC 혼합물을 고무 몰드에 타설하기 이전에, 상판과 하판에 이형제를 도포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방법 및 전술한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5'의 기술을 통해 인조석을 제조하는 경우, 고무 몰드에 이형제를 도포하기 위한 스프레이 설비가 추가적으로 필요하고, 이형제가 고무 몰드에 완벽하게 도포되지 않을 경우, 인조석을 고무 몰드로부터 분리하였을 때 천연 돌과 PVC 혼합물의 잔량이 몰드에 접착되어 고무 몰드의 수명이 단축되고, 이를 청소하기 위해 추가적인 노동을 필요로 하게 되며, 청소가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제조 장비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형제의 주 성분인 PVA는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물질로서, 종래에는 증류법을 활용하여 PVA를 재활용하기도 하였으나, 이를 증류하기 위한 설비비용이 매우 비싸기 때문에 증류법을 활용하기에도 많은 금전적 부담이 따르게 된다.
뿐만 아니라, 이형제를 도포한 이후에, 도포된 이형제를 건조하기 위한 건조 설비도 필요하게 되므로, 인조석을 제조하기 위한 설비의 구매 비용이 추가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12642호(2008.03.05.)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81962호(2015.12.2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96565호(2011.12.1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08503호(2013.09.09.)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5060호(2005.09.01.)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인조석 제조용 몰드와, 인조석 제조용 몰드에서 제조된 인조석을 분리함에 있어서, 이형제를 도포하지 않고도 이형필름을 몰드에 부착함으로써 손쉽게 몰드로부터 인조석을 분리할 수 있는 인조석을 고무 몰드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이형필름 부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조석 제조용 몰드의 사용 수명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는 인조석을 고무 몰드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이형필름 부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인조석 제조용 몰드에 이형필름을 부착함에 있어서, 이형필름을 몰드의 구석진 모서리까지 구겨짐 없이 깔끔하게 부착할 수 있는 인조석을 고무 몰드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이형필름 부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인조석 제조용 몰드에 이형필름을 부착함에 있어서, 몰드에 부착된 이형필름의 구겨짐으로 인해, 인조석 표면이 울퉁불퉁하게 불규칙적으로 양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인조석을 고무 몰드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이형필름 부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필름 부착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 상부에 구성되며,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몰드(M) 또는 이형필름(F)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일측으로 운송하여, 운송진행방향 종부의 운송목적위치에 도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컨베이어(200)와;
상기 컨베이어(200)의 운송진행방향 종부의 운송목적위치 상측에 구성되되, 상하강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하강시, 컨베이어(200)의 운송진행방향 종부의 운송목적위치에 도달한 몰드(M)의 상부 평면의 중앙에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미들프레임(310)과,
상기 미들프레임(310)의 좌·우측면에 각각 바 형태로 결합되어 구성되되, 상기 미들프레임(310)의 좌·우측면과 수평으로 각각 좌우왕복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좌우유동프레임(320A),
상기 미들프레임(310)의 전·후면에 각각 바 형태로 결합되어 구성되되, 상기 미들프레임(310)의 전·후면과 수평으로 각각 전후왕복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전후유동프레임(320B)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사방유동프레임(320)과,
상기 미들프레임(310)의 외측으로 이격 확장되어 구성되되, 상하강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하강시, 컨베이어(200)의 운송진행방향 종부의 운송목적위치에 도달한 몰드(M)의 상부 평면의 테두리에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엣지프레임(3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구동프레임(300)과;
언와인드롤로부터 풀려져 나오는 이형필름(F)을 이송롤을 통해 이송시, 이형필름(F)을 이송롤의 외주연에 흡착시킨 상태로 이송 가능하도록, 이송롤의 외주연을 천공하여 구성되는 다수의 석션홈(430),
절단날(510)을 삽입하여, 이송되는 이형필름(F)을 이송롤 상에서 절단할 수 있도록, 이송롤의 길이방향으로 요홈 형성되어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단가이드홈(4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석션이송롤(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조석 제조용 몰드와, 인조석 제조용 몰드에서 제조된 인조석을 분리함에 있어서, 이형제를 도포하지 않고도 손쉽게 몰드로부터 인조석을 분리할 수 있는 인조석을 고무 몰드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이형필름 부착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인조석 제조용 몰드의 사용 수명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는 인조석을 고무 몰드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이형필름 부착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인조석 제조용 몰드에 이형필름을 부착함에 있어서, 이형필름을 몰드의 구석진 모서리까지 구겨짐 없이 깔끔하게 부착할 수 있는 인조석을 고무 몰드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이형필름 부착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더불어 본 발명은, 인조석 제조용 몰드에 이형필름을 부착함에 있어서, 몰드에 부착된 이형필름의 구겨짐으로 인해, 인조석 표면이 울퉁불퉁하게 불규칙적으로 양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인조석을 고무 몰드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이형필름 부착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서의 구동프레임이 동작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서의 구동프레임이 동작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7에서의 본 발명의 미들프레임이 이형필름과 함께 하강하여 몰드 내의 평면상에 안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미들프레임이 이형필름과 함께 하강하여 몰드 내의 평면상에 안착된 이후에, 사방유동프레임이 동작하여 몰드 내의 측벽부에 밀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사방유동프레임이 동작한 이후에, 본 발명의 엣지프레임이 하강하여, 몰드의 테두리 상부 평면에 안착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A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이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이 구성예에 따른 펀칭롤러(700)가 구성된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확대도면이다.
도 16은 도 14의 B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이 구성예에 따른 구동프레임(300)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이 구성예에 따른 구동프레임(300)의 저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이 구성예에 따른 구동프레임(300)의 정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이 구성예에 따른 구동프레임(300)의 우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 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도 7에서의 구동프레임이 동작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에서의 구동프레임이 동작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10은 도 7에서의 본 발명의 미들프레임이 이형필름과 함께 하강하여 몰드 내의 평면상에 안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미들프레임이 이형필름과 함께 하강하여 몰드 내의 평면상에 안착된 이후에, 사방유동프레임이 동작하여 몰드 내의 측벽부에 밀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사방유동프레임이 동작한 이후에, 본 발명의 엣지프레임이 하강하여, 몰드의 테두리 상부 평면에 안착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A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확대도로서, 도 1을 참조하면, 일 구성예에 따른 본 발명은 크게 본체(100), 컨베이어(200), 구동프레임(300), 석션이송롤(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필름 부착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 상부에 구성되며,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몰드(M) 또는 이형필름(F)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일측으로 운송하여, 운송진행방향 종부의 운송목적위치에 도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컨베이어(200)와,
상기 컨베이어(200)의 운송진행방향 종부의 운송목적위치 상측에 구성되되, 상하강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하강시, 컨베이어(200)의 운송진행방향 종부의 운송목적위치에 도달한 몰드(M)의 상부 평면의 중앙에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미들프레임(310)과,
상기 미들프레임(310)의 좌·우측면에 각각 바 형태로 결합되어 구성되되, 상기 미들프레임(310)의 좌·우측면과 수평으로 각각 좌우왕복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좌우유동프레임(320A),
상기 미들프레임(310)의 전·후면에 각각 바 형태로 결합되어 구성되되, 상기 미들프레임(310)의 전·후면과 수평으로 각각 전후왕복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전후유동프레임(320B)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사방유동프레임(320)과,
상기 미들프레임(310)의 외측으로 이격 확장되어 구성되되, 상하강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하강시, 컨베이어(200)의 운송진행방향 종부의 운송목적위치에 도달한 몰드(M)의 상부 평면의 테두리에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엣지프레임(3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구동프레임(300)과,
언와인드롤로부터 풀려져 나오는 이형필름(F)을 이송롤을 통해 이송시, 이형필름(F)을 이송롤의 외주연에 흡착시킨 상태로 이송 가능하도록, 이송롤의 외주연을 천공하여 구성되는 다수의 석션홈(430),
절단날(510)을 삽입하여, 이송되는 이형필름(F)을 이송롤 상에서 절단할 수 있도록, 이송롤의 길이방향으로 요홈 형성되어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단가이드홈(4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석션이송롤(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0)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컨베이어(200)는, 상기 본체(100) 상부에 구성되며,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몰드(M) 또는 이형필름(F)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일측으로 운송하여, 운송진행방향 종부의 운송목적위치에 도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운송목적위치란, 몰드(M)에 이형필름(F)을 부착하는 공정이 수행되는 위치로서, 상기 컨베이어(200)의 운송진행방향 종부의 이송벨트 평면 상측 및 상기 구동프레임(300)의 하측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베이어(200)는, 이형필름(F)의 이송시, 이형필름(F)을 컨베이어(200) 상에 고정시킨 상태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200)의 이송벨트에 다수의 천공형성된 벨트상필름홀딩공(21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프레임(300)은, 미들프레임(310), 사방유동프레임(320), 엣지프레임(3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사방유동프레임(320)은, 좌우유동프레임(320A), 전후유동프레임(32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미들프레임(310)은, 상기 컨베이어(200)의 운송진행방향 종부의 운송목적위치 상측에 구성되되, 상하강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하강시, 컨베이어(200)의 운송진행방향 종부의 운송목적위치에 도달한 몰드(M)의 상부 평면의 중앙에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미들프레임(310)은, 상기 미들프레임(310)을 몰드(M) 내의 평면과 접촉할 때까지 하강시켜, 상기 미들프레임(310)과 몰드(M) 사이에 위치하는 이형필름(F)을 몰드(M) 내의 평면에 구김없이 안착시키며 몰드(M) 내의 평면에 부착하기 위해, 상기 미들프레임(310)의 저면에 결합되는 필름가압플레이트(3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좌우유동프레임(320A)은, 상기 미들프레임(310)의 좌·우측면에 각각 바 형태로 결합되어 구성되되, 상기 미들프레임(310)의 좌·우측면과 수평으로 각각 좌우왕복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후유동프레임(320B)은, 상기 미들프레임(310)의 전·후면에 각각 바 형태로 결합되어 구성되되, 상기 미들프레임(310)의 전·후면과 수평으로 각각 전후왕복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엣지프레임(330)은, 상기 미들프레임(310)의 외측으로 이격 확장되어 구성되되, 상하강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하강시, 컨베이어(200)의 운송진행방향 종부의 운송목적위치에 도달한 몰드(M)의 상부 평면의 테두리에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도 14 및 도 17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엣지프레임(330)은, 상기 엣지프레임(330)의 내부에 진공을 가할 수 있도록, 일측부 또는 상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진공펌프를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진공펌프결합부(33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엣지프레임(330)은, 상기 엣지프레임(330)이 하강하여, 상기 컨베이어(200)를 통해 이송된 이형필름(F)이 상기 엣지프레임(330)의 저면과 접촉시, 접촉된 이형필름(F)을 흡착할 수 있도록, 저면에 다수의 천공형성된 필름흡착홀딩공(33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석션이송롤(400)은, 이송롤로서, 석션홈(430), 절단가이드홈(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석션홈(430)은, 언와인드롤로부터 풀려져 나오는 이형필름(F)을 이송롤을 통해 이송시, 이형필름(F)을 이송롤의 외주연에 흡착시킨 상태로 이송 가능하도록, 이송롤의 외주연을 다수로 천공하여 구성된다.
상기 절단가이드홈(420)은, 절단날(510)을 삽입하여, 이송되는 이형필름(F)을 이송롤 상에서 절단할 수 있도록, 이송롤의 길이방향으로 다수로 요홈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 구성예에 따른 본 발명은, 크게 본체(100), 컨베이어(200), 구동프레임(300), 석션이송롤(400), 필름절단부(500), 실린더결합용지지프레임(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필름 부착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 상부에 구성되며,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몰드(M) 또는 이형필름(F)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일측으로 운송하여, 운송진행방향 종부의 운송목적위치에 도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컨베이어(200)와,
상기 본체의 상부 일측 및 상기 컨베이어의 운송진행방향 종부의 운송목적위치의 상측에 구성되되, 상하유동실린더(340)를 상기 컨베이어(200)의 상측으로 이격시켜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실린더결합용지지프레임(600)과,
상부가 상기 실린더결합용지지프레임(600)에 결합되어 구성되되, 지면과 수직방향이 되도록 결합되어,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다수의 상하유동실린더(340)와,
상기 컨베이어(200)의 운송진행방향 종부의 운송목적위치 상측에 구성되되, 상기 상하유동실린더(340)와 결합되어 상하강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하강시, 컨베이어(200)의 운송진행방향 종부의 운송목적위치에 도달한 몰드(M)의 상부 평면의 중앙에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미들프레임(310)과,
상기 미들프레임(310)의 좌·우측면에 각각 바 형태로 결합되어 구성되되, 상기 미들프레임(310)의 좌·우측면과 수평으로 각각 좌우왕복운동 가능하도록, 사방유동실린더(321)를 통해 상기 미들프레임(310)과 결합되어 구성되는 좌우유동프레임(320A),
상기 미들프레임(310)의 전·후면에 각각 바 형태로 결합되어 구성되되, 상기 미들프레임(310)의 전·후면과 수평으로 각각 전후왕복운동 가능하도록, 사방유동실린더(321)를 통해 상기 미들프레임(310)과 결합되어 구성되는 전후유동프레임(320B)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사방유동프레임(320)과,
상기 미들프레임(310)의 외측으로 이격 확장되어 구성되되, 상기 상하유동실린더(340)와 결합되어 상하강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하강시, 컨베이어(200)의 운송진행방향 종부의 운송목적위치에 도달한 몰드(M)의 상부 평면의 테두리에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엣지프레임(3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구동프레임(300)과,
언와인드롤로부터 풀려져 나오는 이형필름(F)을 이송롤을 통해 이송시, 이형필름(F)을 이송롤의 외주연에 흡착시킨 상태로 이송 가능하도록, 이송롤의 외주연을 천공하여 구성되는 다수의 석션홈(430),
절단날(510)을 삽입하여, 이송되는 이형필름(F)을 이송롤 상에서 절단할 수 있도록, 이송롤의 길이방향으로 요홈 형성되어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단가이드홈(42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양측에 석션이송롤상하유동실린더(410)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석션이송롤(400)과,
이형필름(F)을 절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절단날(510)과,
일측에 상기 절단날(510)이 결합되도록 구성되되, 칼날이 상기 석션이송롤(400)을 향하도록 결합되어 구성되고, 결합된 절단날(510)을 상기 석션이송롤(400)의 상기 절단가이드홈(420)에 삽입하여 이송중인 이형필름(F)을 절단하거나, 이형필름(F)을 절단한 이후에, 상기 절단가이드홈(420)에 삽입된 상기 절단날(510)을 상기 절단가이드홈(420)으로부터 빼낼 수 있도록, 상기 석션이송롤(400)을 향해 왕복운동하도록 구성되는 절단용유동실린더(5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필름절단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2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도 14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되는 이형필름(F)에 다수의 구멍을 천공할 수 있도록, 외주연에 다수의 펀칭핀(710)이 형성된 펀칭롤러(7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0)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컨베이어(200)는, 상기 본체(100) 상부에 구성되며,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몰드(M) 또는 이형필름(F)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일측으로 운송하여, 운송진행방향 종부의 운송목적위치에 도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운송목적위치란, 몰드(M)에 이형필름(F)을 부착하는 공정이 수행되는 위치로서, 상기 컨베이어(200)의 운송진행방향 종부의 이송벨트 평면 상측 및 상기 구동프레임(300)의 하측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베이어(200)는, 이형필름(F)의 이송시, 이형필름(F)을 컨베이어(200) 상에 고정시킨 상태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200)의 이송벨트에 다수의 천공형성된 벨트상필름홀딩공(21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벨트상필름홀딩공(215)은, 상기 컨베이어(200) 상에서, 평면으로부터 공기를 빨아들여 흡착공의 역할을 하거나, 상방으로 공기를 불어내는 분사공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진공탱크 또는 에어컴프레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과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진공탱크 및 에어컴프레서와 모두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공기를 빨아들이거나 불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결합용지지프레임(600)은, 상기 본체의 상부 일측 및 상기 컨베이어의 운송진행방향 종부의 운송목적위치의 상측에 구성되되, 상하유동실린더(340)를 상기 컨베이어(200)의 상측으로 이격시켜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프레임(300)은, 미들프레임(310), 사방유동프레임(320), 엣지프레임(330), 상하유동실린더(3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사방유동프레임(320)은, 좌우유동프레임(320A), 전후유동프레임(320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하유동실린더(340)는, 상부가 상기 실린더결합용지지프레임(600)에 결합되어 구성되되, 지면과 수직방향이 되도록 결합되어,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실린더결합용지지프레임(600)에 다수의 상기 상하유동실린더(340)가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결합용지지프레임(600)에 결합된 다수의 상기 상하유동실린더(340)의 하측에, 상기 미들프레임(310) 또는 상기 엣지프레임(3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결합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들프레임(310)과 상기 엣지프레임(330)이 상기 다수의 상하유동실린더(340)와 각각 결합되어, 상기 미들프레임(310)과 상기 엣지프레임(330)이 각각 상하강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미들프레임(310)은, 상기 컨베이어(200)의 운송진행방향 종부의 운송목적위치 상측에 구성되되, 상기 상하유동실린더(340)와 결합되어 상하강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하강시, 컨베이어(200)의 운송진행방향 종부의 운송목적위치에 도달한 몰드(M)의 상부 평면의 중앙에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몰드(M)의 상부 평면의 중앙은, 몰드의 내부 바닥면, 즉, 돌가루를 타설할 수 있도록 형성된 공간부의 바닥면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미들프레임(310)은, 상기 미들프레임(310)을 몰드(M) 내의 평면과 접촉할 때까지 하강시켜, 상기 미들프레임(310)과 몰드(M) 사이에 위치하는 이형필름(F)을 몰드(M) 내의 평면에 구김없이 안착시키며 몰드(M) 내의 평면에 부착하기 위해, 상기 미들프레임(310)의 저면에 결합되는 필름가압플레이트(3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좌우유동프레임(320A)은, 상기 미들프레임(310)의 좌·우측면에 각각 바 형태로 결합되어 구성되되, 상기 미들프레임(310)의 좌·우측면과 수평으로 각각 좌우왕복운동 가능하도록, 사방유동실린더(321)를 통해 상기 미들프레임(310)과 결합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미들프레임(310)의 양측부에 다수의 상기 사방유동실린더(321)가 결합되고, 상기 사방유동실린더(321)의 왕복운동방향이 되는 측부에 상기 좌우유동프레임(320A)이 각각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전후유동프레임(320B)은, 상기 미들프레임(310)의 전·후면에 각각 바 형태로 결합되어 구성되되, 상기 미들프레임(310)의 전·후면과 수평으로 각각 전후왕복운동 가능하도록, 사방유동실린더(321)를 통해 상기 미들프레임(310)과 결합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미들프레임(310)의 전후부에 다수의 상기 사방유동실린더(321)가 결합되고, 상기 사방유동실린더(321)의 왕복운동방향이 되는 전후부에 상기 전후유동프레임(320B)이 각각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엣지프레임(330)은, 상기 미들프레임(310)의 외측으로 이격 확장되어 구성되되, 상기 상하유동실린더(340)와 결합되어 상하강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하강시, 컨베이어(200)의 운송진행방향 종부의 운송목적위치에 도달한 몰드(M)의 상부 평면의 테두리에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도 14 및 도 17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엣지프레임(330)은, 상기 엣지프레임(330)의 내부에 진공을 가할 수 있도록, 일측부 또는 상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진공펌프를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진공펌프결합부(33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엣지프레임(330)은, 상기 엣지프레임(330)이 하강하여, 상기 컨베이어(200)를 통해 이송된 이형필름(F)이 상기 엣지프레임(330)의 저면과 접촉시, 접촉된 이형필름(F)을 흡착할 수 있도록, 저면에 다수의 천공형성된 필름흡착홀딩공(33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엣지프레임(330)은, 상기 컨베이어(200)를 통해 이송된 이형필름(F)의 테두리부를 집게식으로 집어서 파지(把持)할 수 있도록,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형필름홀더(3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형필름홀더(370)는, 도 16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홀딩용실린더(371)의 하측 일면에 결합되는 내측고정홀더부(372)와, 상기 필름홀딩용실린더(371)의 상측에 결합되되, 상기 필름홀딩용실린더(371)에 의해 왕복운동되도록 결합되고, 왕복운동시 일측면이 상기 내측고정홀더부(372)의 일측면과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외측홀더부(37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형필름홀더(370)는, 상기 엣지프레임(330)의 상부 평면에 결합되되, 상기 엣지프레임(330)의 사방향의 외측을 향해 각각 왕복운동 하도록 다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벨트상필름홀딩공(215)은, 상기 컨베이어(200) 상에서, 평면으로부터 공기를 빨아들여 흡착공의 역할을 하거나, 상방으로 공기를 불어내는 분사공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벨트상필름홀딩공(215)를 통해, 공기를 불어냄으로써, 이형필름(F)의 둘레가 상부를 향해 공중으로 부양되도록 하여, 상기 이형필름홀더(370)가 상기 공중으로 부양된 이형필름(F)의 둘레를 집에서 파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석션이송롤(400)은, 절단가이드홈(420), 석션홈(4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석션이송롤(400)은, 상기 석션이송롤(4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양측에 석션이송롤상하유동실린더(410)가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석션홈(430)은, 언와인드롤로부터 풀려져 나오는 이형필름(F)을 이송롤을 통해 이송시, 이형필름(F)을 이송롤의 외주연에 흡착시킨 상태로 이송 가능하도록, 이송롤의 외주연을 다수로 천공하여 구성된다.
상기 절단가이드홈(420)은, 절단날(510)을 삽입하여, 이송되는 이형필름(F)을 이송롤 상에서 절단할 수 있도록, 이송롤의 길이방향으로 다수로 요홈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필름절단부(500)는, 절단날(510), 절단용유동실린더(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절단날(510)은, 이형필름(F)을 절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절단용유동실린더(520)는, 일측에 상기 절단날(510)이 결합되도록 구성되되, 칼날이 상기 석션이송롤(400)을 향하도록 결합되어 구성되고, 결합된 절단날(510)을 상기 석션이송롤(400)의 상기 절단가이드홈(420)에 삽입하여 이송중인 이형필름(F)을 절단하거나, 이형필름(F)을 절단한 이후에, 상기 절단가이드홈(420)에 삽입된 상기 절단날(510)을 상기 절단가이드홈(420)으로부터 빼낼 수 있도록, 상기 석션이송롤(400)을 향해 왕복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필름절단부(500)는, 상기 석션이송롤(4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를 참조하면, 언와인드롤에서 풀려져 나오는 이형필름(F)이 상기 석션이송롤(400)에 흡착된 상태로 회전하며 상기 컨베이어(200)의 이송벨트로 이송되고, 이송된 이형필름(F)이 상기 컨베이어를 통해 일측으로 운송되며, 이형필름(F)이 몰드(M)의 길이만큼 이송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단용유동실린더(520)가 돌출되어 상기 절단용유동실린더(520)에 결합된 상기 절단날(510)이 상기 석션이송롤(400)의 상기 절단가이드홈(420)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석션이송롤(400)에 흡착된 상태로 이송되는 이형필름(F)에 칼집을 내게 되고, 이후 상기 필름절단부(500)가 상기 석션이송롤(4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이형필름(F)을 절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후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절단된 이형필름(F)이 컨베이어(200)에 의해 운송목적위치로 운송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결합용지지프레임(600)에 결합된 상기 다수의 상하유동실린더(340) 중, 상기 엣지프레임(330)과 결합된 상하유동실린더(340)를 하강시켜, 상기 엣지프레임(330)이 하강되도록 하고, 상기 엣지프레임(330)이 하강하여 상기 엣지프레임(330)의 저면이, 운송목적위치에 도달한 이형필름(F)의 평면과 접촉되면, 상기 엣지프레임(330)의 저면에 천공되어 구성된 상기 다수의 필름흡착홀딩공(335)에 의해, 이형필름(F)이 상기 엣지프레임(330)의 저면에 흡착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엣지프레임(330)을 들어올리면서, 상기 엣지프레임(330)의 저면에 흡착된 이형필름(F)을 상기 엣지프레임(330)과 함께, 상기 컨베이어로부터 상측 방향을 향해 이격되도록 들어올리게 되는 것이다.
이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200)를 통해 몰드(M)를 운송목적위치로 운송시키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M)가 운송목적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결합용지지프레임(600)에 결합된 상기 다수의 상하유동실린더(340) 중, 상기 미들프레임(310)과 결합된 상하유동실린더(340)를 하강시켜, 상기 미들프레임(310)이 하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엣지프레임(330)에 의해 흡착되어 들어올려진 상태의 이형필름(F)의 중앙부를 눌러, 몰드(M)의 내부 평면 중앙부와 이형필름(F)이 상호 접촉하며, 이형필름(F)의 중앙부를 몰드(M)의 내부 평면 중앙부에 부착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미들프레임(310)을 통해, 이형필름(F)을 몰드(M)의 내부 평면 중앙부 상에서 가압함으로써,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엣지프레임(33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하유동실린더(340)를 통해 상부로 상승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후,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상기 사방유동실린더(321)를 통해, 상기 미들프레임(310)과 결합된 상기 사방유동프레임(320)을 전후좌우로 밀어내며, 상기 사방유동프레임(320)이 몰드(M)의 내측 벽부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이형필름(M)이 몰드(M)의 내측 벽부에 밀착되어 부착되는 것이다.
이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엣지프레임(330)을 재하강시켜, 몰드(M) 테두리 상부 평면에 불규칙하게 배열된 이형필름(F)의 테두리를 가압함으로써, 이형필름(F)의 테두리가 몰드(M) 테두리 상부 평면에 밀착되며 부착되도록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조석 제조용 몰드와, 인조석 제조용 몰드에서 제조된 인조석을 분리함에 있어서, 이형제를 도포하지 않고도 손쉽게 몰드로부터 인조석을 분리할 수 있는 인조석을 고무 몰드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이형필름 부착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인조석 제조용 몰드의 사용 수명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는 인조석을 고무 몰드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이형필름 부착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인조석 제조용 몰드에 이형필름을 부착함에 있어서, 이형필름을 몰드의 구석진 모서리까지 구겨짐 없이 깔끔하게 부착할 수 있는 인조석을 고무 몰드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이형필름 부착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더불어 본 발명은, 인조석 제조용 몰드에 이형필름을 부착함에 있어서, 몰드에 부착된 이형필름의 구겨짐으로 인해, 인조석 표면이 울퉁불퉁하게 불규칙적으로 양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인조석을 고무 몰드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이형필름 부착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바를 바탕으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0 : 본체
200 : 컨베이어
300 : 구동프레임
400 : 석션이송롤
500 : 필름절단부

Claims (4)

  1. 필름 부착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 상부에 구성되며,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몰드(M) 또는 이형필름(F)을 선택적으로 일측으로 운송하여, 운송진행방향 종부의 운송목적위치에 도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컨베이어(200)와;
    상기 컨베이어(200)의 운송진행방향 종부의 운송목적위치 상측에 구성되되, 상하강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하강시, 컨베이어(200)의 운송진행방향 종부의 운송목적위치에 도달한 몰드(M)의 상부 평면의 중앙에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미들프레임(310)과,
    상기 미들프레임(310)의 좌·우측면에 각각 바 형태로 결합되어 구성되되, 상기 미들프레임(310)의 좌·우측면과 수평으로 각각 좌우왕복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좌우유동프레임(320A),
    상기 미들프레임(310)의 전·후면에 각각 바 형태로 결합되어 구성되되, 상기 미들프레임(310)의 전·후면과 수평으로 각각 전후왕복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전후유동프레임(320B)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사방유동프레임(320)과,
    상기 미들프레임(310)의 외측으로 이격 확장되어 구성되되, 상하강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하강시, 컨베이어(200)의 운송진행방향 종부의 운송목적위치에 도달한 몰드(M)의 상부 평면의 테두리에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엣지프레임(3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구동프레임(300)과;
    언와인드롤로부터 풀려져 나오는 이형필름(F)을 이송롤을 통해 이송시, 이형필름(F)을 이송롤의 외주연에 흡착시킨 상태로 이송 가능하도록, 이송롤의 외주연을 천공하여 구성되는 다수의 석션홈(430),
    절단날(510)을 삽입하여, 이송되는 이형필름(F)을 이송롤 상에서 절단할 수 있도록, 이송롤의 길이방향으로 요홈 형성되어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단가이드홈(4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석션이송롤(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컨베이어(200)에는 진공탱크와 에어컴프레셔와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공기를 빨아들이거나 불어내도록 구성된 벨트상필름홀딩공(2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석션이송롤(400)은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양측에 석션이송롤상하유동실린더(410)가 결합되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좌우유동프레임(320A) 및 전후유동프레임(320B)는 사방유동실린더(321)를 통해 미들프레임(310)과 결합됨으로써 왕복 운동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일측에 상기 절단날(510)이 결합되도록 구성되되, 칼날이 상기 석션이송롤(400)을 향하도록 결합되어 구성되고, 결합된 절단날(510)을 상기 석션이송롤(400)의 상기 절단가이드홈(420)에 삽입하여 이송중인 이형필름(F)을 절단하거나, 이형필름(F)을 절단한 이후에, 상기 절단가이드홈(420)에 삽입된 상기 절단날(510)을 상기 절단가이드홈(420)으로부터 빼낼 수 있도록, 상기 석션이송롤(400)을 향해 왕복운동하도록 구성되는 절단용유동실린더(5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필름절단부(500)와,
    상기 본체의 상부 일측 및 상기 컨베이어의 운송진행방향 종부의 운송목적위치의 상측에 구성되되, 상하유동실린더(340)를 상기 컨베이어(200)의 상측으로 이격시켜 결합 구성되는 실린더결합용지지프레임(6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미들프레임(310)과 상기 엣지프레임(330)은 다수의 상하유동실린더(340)와 각각 결합되어 상기 미들프레임(310)과 상기 엣지프레임(330)이 각각 상하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엣지프레임(330)은, 이형필름(F)의 테두리부를 집게식으로 집어서 파지(把持)할 수 있도록, 이형필름홀더(3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이형필름홀더(370)는 엣지프레임(330)의 상부 평면에 결합되는 필름홀딩용실린더(371)와, 필름홀딩용실린더(371)의 하측 일면에 결합되는 내측고정홀더부(372)와, 상기 필름홀딩용실린더(371)의 상측에 결합되되, 상기 필름홀딩용실린더(371)에 의해 왕복운동되도록 결합되고, 왕복운동시 일측면이 상기 내측고정홀더부(372)의 일측면과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외측홀더부(373)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엣지프레임(330)은 저면에 접촉된 이형필름(F)을 흡착할 수 있도록, 저면에 다수의 천공형성된 필름흡착홀딩공(335)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부에는 진공펌프가 연결되는 진공펌프결합부(336)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석을 고무 몰드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이형필름 부착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이송되는 이형필름(F)에 다수의 구멍을 천공할 수 있도록, 외주연에 다수의 펀칭핀(710)이 형성된 펀칭롤러(7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석을 고무 몰드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이형필름 부착 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160111787A 2016-08-31 2016-08-31 인조석을 고무 몰드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이형필름 부착 장치 KR101833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787A KR101833270B1 (ko) 2016-08-31 2016-08-31 인조석을 고무 몰드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이형필름 부착 장치
EP16192170.5A EP3141363B1 (en) 2016-08-31 2016-10-04 Apparatus for bonding release film for separating artificial stone from rubber mold
US15/286,868 US10195795B2 (en) 2016-08-31 2016-10-06 Apparatus for bonding release film for separating artificial stone from rubber mol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787A KR101833270B1 (ko) 2016-08-31 2016-08-31 인조석을 고무 몰드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이형필름 부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3270B1 true KR101833270B1 (ko) 2018-03-02

Family

ID=57240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1787A KR101833270B1 (ko) 2016-08-31 2016-08-31 인조석을 고무 몰드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이형필름 부착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195795B2 (ko)
EP (1) EP3141363B1 (ko)
KR (1) KR1018332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45101A1 (ko) * 2018-06-18 2019-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조 대리석 몰드 내 필름 접착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142686A (ko) * 2018-06-18 2019-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조 대리석 몰드 내 필름 접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03346B1 (ko) 2021-01-27 2022-05-30 윤중식 인조 대리석 몰드용 필름 부착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54750B (zh) * 2018-10-31 2020-05-05 重庆市瑞轩豪邦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混凝土砌块生产用设备
CN110576618B (zh) * 2019-09-12 2021-06-25 浙江一正文化用品有限公司 一种橡皮擦加工方法
CN111571780A (zh) * 2020-06-03 2020-08-25 迎福智能装备(烟台)有限公司 一种环保高效的多方位刷油机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060Y1 (ko) 2005-06-08 2005-09-07 은성맨홀 주식회사 인조석 제조장치
JP2007109831A (ja) 2005-10-13 2007-04-26 Towa Corp 電子部品の樹脂封止成形方法
US20070216064A1 (en) * 2006-03-16 2007-09-20 Benjamin Logan Customizable mold
JP5038783B2 (ja) * 2007-06-06 2012-10-03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フィルム供給機構
KR100812642B1 (ko) 2007-06-12 2008-03-13 주식회사 류림스톤 건물 장식용 인조석 몰딩을 제조하기 위한 금형
KR101581962B1 (ko) 2009-01-21 2015-12-31 (주)엘지하우시스 인조석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1096565B1 (ko) 2010-05-31 2011-12-22 (주)지디스톤 석재의 표면가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30088846A (ko) * 2010-07-14 2013-08-08 새들러 아이피 피티와이 엘티디 시멘트질 제품 패키징
US8826957B2 (en) * 2012-08-31 2014-09-09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ed ply layup for composites
KR101308503B1 (ko) 2013-06-25 2013-09-17 김갑중 인조석 제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45101A1 (ko) * 2018-06-18 2019-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조 대리석 몰드 내 필름 접착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142686A (ko) * 2018-06-18 2019-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조 대리석 몰드 내 필름 접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69491B1 (ko) * 2018-06-18 2020-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조 대리석 몰드 내 필름 접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03346B1 (ko) 2021-01-27 2022-05-30 윤중식 인조 대리석 몰드용 필름 부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195795B2 (en) 2019-02-05
EP3141363A3 (en) 2018-03-21
EP3141363A2 (en) 2017-03-15
EP3141363B1 (en) 2018-12-26
US20170021574A1 (en) 2017-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3270B1 (ko) 인조석을 고무 몰드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이형필름 부착 장치
US11865737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ngineered stone and an engineered stone
JPH06238639A (ja) 模様入り成形体の成形装置、及び模様入り成形体の製造方法
CN1108718A (zh) 同时供给微粒装置和用装置生产有图案的成型产品的方法
CN109760193B (zh) 石英石板材自动生产线
JPH01503129A (ja) シートの深絞り加工及び材料の流し込成形のための成形型
EP0947299B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making concrete products with exposed aggregates
JPH071418A (ja) 模様入り成形体の成形装置及び、模様入り成形体の製造方法
KR101833266B1 (ko) 진공챔버를 포함하는 진공흡착식 이형필름 부착 장치
KR101308503B1 (ko) 인조석 제조장치
KR101299662B1 (ko) 인조석 제조방법
KR20150119610A (ko) 도자기 진공성형장치 및 그 진공성형방법
CN205364147U (zh) 一种人造石的干湿成型装置
WO2019101149A1 (zh) 一种一体化预制泵站底座的制造工艺
CN109866303A (zh) 一种小型预制构件蓄水养护工艺
WO2003022543A1 (fr) Procede et unite a double distribution permettant la formation de carreaux de ceramique et produits obtenus conformement audit precede
EP088977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concrete block
JP2007098651A (ja) プレス成形装置及びプレス成形方法
CN1040305C (zh) 使用休止角形成件生产带图案的成形件的方法
JP4740041B2 (ja) プレス成形装置及びプレス成形方法
KR100635032B1 (ko) 타일블록의 제조장치
KR100527266B1 (ko) 콘크리이트블록제조방법및장치
CN1182009A (zh) 一种复合材料及其制造方法
JPS63128904A (ja) 化粧砂利面をもつコンクリ−トブロツクの製法
JP4421861B2 (ja) 無機質化粧板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