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5060Y1 - 인조석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인조석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5060Y1
KR200395060Y1 KR20-2005-0016382U KR20050016382U KR200395060Y1 KR 200395060 Y1 KR200395060 Y1 KR 200395060Y1 KR 20050016382 U KR20050016382 U KR 20050016382U KR 200395060 Y1 KR200395060 Y1 KR 2003950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stone
mold
manufacturing apparatus
concrete
artific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63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창성
Original Assignee
은성맨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은성맨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은성맨홀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163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50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50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50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8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 B28B1/087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by means acting on the mould ; Fixation thereof to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02Auxiliary parts or elements of the mould
    • B28B7/0014Fastening means for mould parts, e.g. for attaching mould walls on mould tables; Mould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29Moulds or moulding surfaces not covered by B28B7/0058 - B28B7/36 and B28B7/40 - B28B7/465, e.g. moulds assembled from several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29Moulds or moulding surfaces not covered by B28B7/0058 - B28B7/36 and B28B7/40 - B28B7/465, e.g. moulds assembled from several parts
    • B28B7/0035Mould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sidewalls of the mould and the moulded article move with respect to each other during de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64Moulds characterised by special surfaces for producing a desired surface of a moulded article, e.g. profiled or polished moulding surfaces
    • B28B7/007Moulds characterised by special surfaces for producing a desired surface of a moulded article, e.g. profiled or polished moulding surfaces with moulding surfaces simulating natural effets, e.g. wood or st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36Linings or coatings, e.g. removable, absorbent linings, permanent anti-stick coatings; Linings becoming a non-permanent layer of the moulded article
    • B28B7/362Linings or coatings, e.g. removable, absorbent linings, permanent anti-stick coatings; Linings becoming a non-permanent layer of the moulded article specially for making moulded articles from concrete with exposed aggreg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36Linings or coatings, e.g. removable, absorbent linings, permanent anti-stick coatings; Linings becoming a non-permanent layer of the moulded article
    • B28B7/364Linings or coatings, e.g. removable, absorbent linings, permanent anti-stick coatings; Linings becoming a non-permanent layer of the moulded article of plastic material or rub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나의 금형으로 여러 형상으로 이루어진 여러 종류의 인조석을 제조할 수 있는 인조석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인조석을 제조하는 인조석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조석 제조장치는, 다수의 탭홀이 형성된 측,하판과 상기 탭홀에 내측의 돌출길이가 조정될 수 있게 체결되는 다수의 형상 변형볼트를 포함하는 금형과, 상기 금형의 내부 공간에 고정수단을 통해 삽입 고정되고 내부에는 콘크리트나 색소가 혼합된 콘크리트가 충진되는 충진 공간부가 구비되어 있는 고무 성형체로 구성된 인조석 제조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조석 제조장치{Artificiality stone manufacture apparatus}
본 고안은 인조석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하나의 금형으로 여러 형상으로 이루어진 여러 종류의 인조석을 제조할 수 있는 인조석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조석이라 함은 콘크리트의 양생을 통해 제조되는 암석을 말하는 것으로 자연석의 분위기를 내기 위하여 제작되는 암석을 총칭하는 것이다.
이에, 종래에 인조석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인조석 제조방법은, 먼저 하판과 이 하판의 상부 둘레에 구비되고 내측에는 굴곡이진 암석 형성부가 형성된 다수의 측판으로 구성된 금형을 제작하는 단계를 진행한다.
다음 금형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진행한다.
다음 일정시간이 경과되어 콘크리트의 양생을 마친 후에 측판을 금형으로부터 개방시키는 단계를 진행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콘크리트 양생물을 금형으로부터 이탈시킨 다음 콘크리트 양생물의 표면에 암석의 표면과 유사한 안료를 칠하는 단계를 진행함으로서, 인조석을 완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공정을 통해 인조석을 제조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
먼저, 하나의 금형으로는 단일 종류의 인조석 밖에 제조할 수 없음에 따라서 종류별로 금형으로 달리 구성해야 한다. 따라서 많은 종류의 인조석을 제작할 경우에는 각 종류별로 금형의 개수를 늘려야 함으로서 막대한 시설투자비가 들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하나의 금형으로 동일한 형상의 인조석을 대량으로 제작함으로서 인조석을 통해 시공된 옹벽이나 호안 등이 획일화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 상기 콘크리트 양생물의 표면에 안료를 직접적으로 칠하는 과정을 통해 자연석의 표면의 효과를 내고 있으나, 안료 자체의 색깔로 인하여 자연석의 효과를 충분히 낼 수 없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 하나의 금형으로 많은 형상의 인조석을 제조할 수 있는 인조석 제조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자연석과 거의 흡사한 표면색을 내고자 하는 목적도 있다.
또 다양한 형상의 인조석을 저가의 비용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인조석이 시공되는 옹벽이나 호안이 획일화 되는 현상을 예방하고자 하는 목적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인조석을 제조하는 인조석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조석 제조장치는, 다수의 탭홀이 형성된 측,하판과 상기 탭홀에 내측의 돌출길이가 조정될 수 있게 체결되는 다수의 형상 변형볼트를 포함하는 금형과, 상기 금형의 내부 공간에 고정수단을 통해 삽입 고정되고 내부에는 콘크리트나 색소가 혼합된 콘크리트가 충진되는 충진 공간부가 구비되어 있는 고무 성형체로 구성된 인조석 제조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인조석 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이에 본 고안의 인조석 제조장치는, 인조석을 제조할 수 있도록 개량된 콘크리트 타설용 금형(1)과 상기 금형(1)의 내부에 구비되어 콘크리트의 타설을 통해 인조석을 성형하는 고무 성형체(2)로 구성된다.
즉, 상기 금형(1)은, 다수의 탭홀(13)이 형성된 측,하판(12,11)과 상기 탭홀(13)에 내측의 돌출길이가 조정될 수 있게 체결되는 다수의 형상 변형볼트(1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측판(12)은 다수의 연결수단(122)을 통해 하판(11)의 둘레에서 사방으로 열릴 수 있도록 구비된 다수의 분할판(121)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즉 연결수단(122)은 경첩과 볼트 등을 사용함으로서 각각의 분할판(121)을 상호 조립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분리된 분할판(121)은 하부에 구비된 경첩을 통해 사방으로 열릴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무 성형체(2)는, 상기 금형(1)의 내부 공간에 고정수단(22)을 통해 삽입 고정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콘크리트나 색소가 혼합된 콘크리트가 충진되는 충진 공간부(21)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22)은 고무 성형체(2)의 상단을 상기 금형(1)의 측판(12)의 상단에 고정시키는 클램프(221)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클램프(211)는 금형(1)의 상부 둘레에 다수로 장착함으로서 고무 성형체(2)를 금형의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클램프(22)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으로 디귿자형 브라켓과 이 브라켓을 상기 금형(1)의 둘레에 고정하는 볼트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인조석 제조장치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진 공간부(21)의 내측에는 색소층을 더 구비함으로서 성형되는 인조석의 표면에 색을 입힐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금형(1)의 외측에는 진동수단(3)이 더 구비됨으로서 상기 충진 공간부(21)에 채워진 콘크리트를 고르게 분포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진동수단(3)은 초음판을 방출하는 진동기를 사용함으로 콘크리트를 고르게 분포시키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형상 변형볼트(14)는 상기 탭홀(13)에 길이 조정이 가능하게 관통 체결되는 볼트축(141)과 이 볼트축(141)의 내측에 고정되는 형상체(142)로 구성된다.
즉 상기 볼트축(141)에 형상체(142)를 고정할 경우에는 열간이나 냉간 등의 억지끼워맞춤이나 핀 연결 또는 용접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볼트축(141)에 고정되는 상기 형상체(142)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형상으로 제작하여 자연석과 아주 흡사하게 인조석을 성형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장치를 이용하는 인조석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조방법의 각 공정을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금형 제작단계를, 도 4b는 고무 성형체 삽입단계를, 도 4c는 충진 공간부의 형상을 형성하는 단계를, 도 4d는 콘크리트 충진 양생단계를, 도 4e는 탈형단계를, 도 4f는 고무 성형체를 벗겨내는 단계를 나타낸다.
이에 본 고안의 제조방법를 설명하면, 먼저, 하판의 둘레에서 사방으로 열리는 다수의 분할판(121)으로 구성된 측판을 포함하고 측,하판(12,11)에 내측의 돌출길이가 조정될 수 있도록 다수로 구비된 형상 변형볼트(14)를 포함하는 금형을 제작하는 단계(10;도4a참조)를 진행한다.
즉 상기의 금형(1)을 제작하여 측판(12)을 구성하는 다수의 분할판(121)들 연결수단(122)을 통해 상호 조립한다.
다음, 상기 금형(1)의 내부에 상부가 개방된 충진 공간부(21)가 포함되는 고무 성형체(2)를 삽입한 후 고정수단(22)으로 고정하는 고무 성형체 삽입단계(20;도4b참조)를 진행한다.
즉 상기 고무 성형체(2)를 금형의 내부 공간에 삽입하면서 상부 둘레를 금형(1)의 상부 둘레에 안착 시킨다. 그런후 금형의 상부 둘레에 클램프(221)를 고정함으로서 고무 성형체(2)를 금형(1)의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상기 각각의 형상 변형볼트(14)의 내측 돌출길이의 조정을 통해 상기 고무 성형체(2)를 변형시켜 충진 공간부(21)의 형상을 형성하는 단계(30;도4c참조)를 진행한다.
즉 상기 형상 변형볼트(14)를 금형의 외부에서 회전시킴으로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각각의 형상 변형볼트(14)의 내부 돌출길이를 각기 틀리게 조정하게 되면 고무 성형체(2)의 내부에 형성되는 충진 공간부(21)의 형상이 불규칙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불규칙하게 형성된 충진 공간부(21)를 통해 인조석을 얻게 되면 인조석의 형상이 자연석의 형상과 매우 흡사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 상기 충진 공간에 콘크리트 또는 색소가 포함된 콘크리트를 충진하여 양생하는 단계(40;도4d참조)를 진행한다.
즉 상이 콘크리트는 색소가 포함된 콘크리트를 충진함으로서 성형되는 인조석의 표면색이 자연석의 표면색과 매우 흡사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 양생 후 상기 고정수단(22;도4d참조)을 해체하고 상기 측판(12)을 구성하는 다수의 분할판(121)을 사방으로 개방하는 탈형 단계(50;도4e참조)를 진행한다.
즉 상기와 같이 탈형을 할 경우에는, 먼저 금형(1)의 상부 둘레에 고정되어 있는 클램프(221)를 해체한다. 그런 다음 다수의 분할판(121)을 연결하고 있는 연결수단(122)를 해체한 후, 분할판(12)을 하판(11)의 둘레에서 사방으로 확산되게 개방하는 것이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상기 양생된 콘크리트 주위를 감싸는 고무 성형체(2)를 벗겨내는 단계(60;도4f참조)를 진행함으로서 완성된 인조석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인조석을 제조할 경우에는, 하나의 금형으로 많은 형상의 인조석을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콘크리트 충진 양생단계(40)의 이전에는, 인조석 표면에 색을 입힐 수 있도록 색소 도포단계를 더 진행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러면 성형되는 인조석의 표면에 색을 입힐 수 있는 것이다. 즉 이와 같이 인조석의 표면에 색을 입히게 되면 콘크리트가 양생되면서 색소를 흡수함으로서, 거의 자연석의 표면과 매우 흡사한 표면색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충진 양생단계(40)에서는 콘크리트의 충진전에 철근을 더 배근함으로서, 인조석의 강도를 최대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콘크리트 충진 양생단계(40)에서는 콘크리트를 충진하는 과정이나 콘크리트의 충진을 마친 후에 별도의 진동수단을 통해 금형 전체를 진동시키는 과정을 더 진행함으로서, 충진된 콘크리트를 고르게 분포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콘크리트 충진 양생단계(40)에서는, 콘크리트의 충진 전에 금형의 상부로 돌출되는 기중기 인상 고리를 더 구비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고무 성형체를 벗겨내는 단계(60)에서는, 고무 성형체를 벗겨내기 전에 양생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상기 금형의 하판으로부터 인상하는 과정을 더 진행함으로서, 고무 성형체(2)를 손쉽게 벗겨 내어 인조석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하나의 금형으로 많은 형상의 인조석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시설 투자비를 최소로 하면서 다종의 인조석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연석과 거의 같은 표면색을 냄으로서 자연과 매우 흡사하게 옹벽이나 호안을 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다양한 형상의 인조석을 저가의 비용으로 대량 생산함으로 인조석이 시공되는 옹벽이나 호안이 획일화 되는 현상을 예방하는 친환경적인 인조석을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인조석 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조방법의 각 공정을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금형 제작단계를,
도 4b는 고무 성형체 삽입단계를,
도 4c는 충진 공간부의 형상을 형성하는 단계를,
도 4d는 콘크리트 충진 양생단계를,
도 4e는 탈형단계를,
도 4f는 고무 성형체를 벗겨내는 단계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금형
11 : 하판
12 : 측판
121 : 분할판, 122 : 연결수단
13 : 탭홀
14 : 형상 변형볼트
141 : 볼트축, 142 : 형상체
2 : 고무 성형체
21 : 충진 공간부
22 : 고정수단
3 : 진동수단

Claims (7)

  1. 인조석을 제조하는 인조석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조석 제조장치는,
    다수의 탭홀(13)이 형성된 측,하판(12,11)과 상기 탭홀(13)에 내측의 돌출길이가 조정될 수 있게 체결되는 다수의 형상 변형볼트(14)를 포함하는 금형(1)과,
    상기 금형의 내부 공간에 고정수단(22)을 통해 삽입 고정되고 내부에는 콘크리트나 색소가 혼합된 콘크리트가 충진되는 충진 공간부(21)가 구비되어 있는 고무 성형체(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석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12)은,
    다수의 연결수단(122)을 통해 하판(11)의 둘레에서 사방으로 열릴 수 있도록 구비된 다수의 분할판(121)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석 제조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 공간부(21)의 내측에는,
    성형되는 인조석의 표면에 색을 입힐 수 있도록 색소층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석 제조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1)의 외측에는,
    상기 충진 공간부(21)에 채워진 콘크리트를 고르게 분포시킬 수 있도록 진동수단(3)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석 제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수단(3)은,
    초음판을 방출하는 진동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석 제조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22)은,
    고무 성형체(2)의 상단을 상기 금형(1)의 측판(12)의 상단에 고정시키는 클램프(2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석 제조장치.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 변형볼트(14)는,
    상기 탭홀(13)에 길이 조정이 가능하게 관통 체결되는 볼트축(141)과 이 볼트축(141)의 내측에 고정되는 형상체(14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석 제조장치.
KR20-2005-0016382U 2005-06-08 2005-06-08 인조석 제조장치 KR2003950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382U KR200395060Y1 (ko) 2005-06-08 2005-06-08 인조석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382U KR200395060Y1 (ko) 2005-06-08 2005-06-08 인조석 제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9053A Division KR100642301B1 (ko) 2005-06-08 2005-06-08 인조석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5060Y1 true KR200395060Y1 (ko) 2005-09-07

Family

ID=43696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6382U KR200395060Y1 (ko) 2005-06-08 2005-06-08 인조석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506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41363A2 (en) 2016-08-31 2017-03-15 JSTEC Co., Ltd. Apparatus for bonding release film for separating artificial stone from rubber mold
CN109318348A (zh) * 2018-12-12 2019-02-12 怀化智信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可拆卸式混凝土预制块模具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41363A2 (en) 2016-08-31 2017-03-15 JSTEC Co., Ltd. Apparatus for bonding release film for separating artificial stone from rubber mold
US10195795B2 (en) 2016-08-31 2019-02-05 Jstec Co., Ltd. Apparatus for bonding release film for separating artificial stone from rubber mold
CN109318348A (zh) * 2018-12-12 2019-02-12 怀化智信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可拆卸式混凝土预制块模具
CN109318348B (zh) * 2018-12-12 2024-02-23 内蒙古鑫垚淼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可拆卸式混凝土预制块模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2301B1 (ko) 인조석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3433860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sink and vanity top combination
KR200395060Y1 (ko) 인조석 제조장치
CN210316264U (zh) 一种屋面排气管支护墩模具与楔形销栓的安装结构
CN110733112B (zh) 空腔预制构件生产方法及内模具
CN106890948B (zh) 高铁枕梁铸造用分体组装式芯子的制作及安装方法
US5851564A (en) Apparatus for forming a hollow structural profile
CN213198087U (zh) 圆雕形混凝土栏杆立柱柱头加工模具
JPH06235297A (ja) 合成トンネルライナ及びその製造方法
CN208706579U (zh) 一种用于引脚安装孔不对称的管座底板阵列装配模具
JP2578319B2 (ja) 遠心成形コンクリートライナ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3339241B2 (ja) 中空孔を有するコンクリート成形体の製造方法及びコンクリート成形体の中空孔成形用中型
US2847714A (en) Method of making centrifugal castings
US4058584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luminous hollow bodies for signs or the like
JP2869341B2 (ja) 擁壁構築用型枠の成形板
JPH08291591A (ja) コンクリート柱用外郭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210636686U (zh) 一种现浇混凝土楼板厚度控制器及其预制模具
CN110918886B (zh) 一种分模组合造型消失模的方法
CN214238754U (zh) 一种用于混凝土制品的养护装置
CN215090521U (zh) 一种防止脱蜡后浇口杯开裂的蜡棒
JP3406280B2 (ja) 合成セグメントの製造方法
JP2914930B2 (ja) 地中線多孔管の継手管とその製造法
KR20050047578A (ko) 착탈식 펜스를 이용한 프로펠러 주형 조형법
CN207458762U (zh) 一种环形变压器绕线机用排线胶轮结构
SE544404C2 (en) Concrete base mou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24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