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3004B1 - 광섬유 모재 증착 장치 - Google Patents

광섬유 모재 증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3004B1
KR101833004B1 KR1020170086560A KR20170086560A KR101833004B1 KR 101833004 B1 KR101833004 B1 KR 101833004B1 KR 1020170086560 A KR1020170086560 A KR 1020170086560A KR 20170086560 A KR20170086560 A KR 20170086560A KR 101833004 B1 KR101833004 B1 KR 101833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lock
coupled
fixing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6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동현
김주성
김확
홍승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론
Priority to KR1020170086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30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3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3004B1/ko
Priority to CN201821031240.8U priority patent/CN208732919U/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7/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flakes, fibres, or filaments from softened glass, minerals, or slags
    • C03B37/01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 C03B37/012Manufacture of preforms for drawing fibres or filaments
    • C03B37/014Manufacture of preforms for drawing fibres or filaments made entirely or partially by chemical means, e.g. vapour phase deposition of bulk porous glass either by outside vapour deposition [OVD], or by outside vapour phase oxidation [OVPO] or by vapour axial deposition [VAD]
    • C03B37/01446Thermal after-treatment of preforms, e.g. dehydrating, consolidating, sintering
    • C03B37/0146Furnaces therefor, e.g. muffle tubes, furnace li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03Locking bars, cross bars, security ba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섬유 모재 증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어를 가지는 증착로와, 상기 도어와 상기 증착로의 측면부를 개폐가능하게 고정하는 힌지와, 상기 힌지의 반대편 도어의 전면부에 마련되어 도어를 닫았을 때 고정되도록 함과 아울러 도어와 증착로의 밀착도가 증가하도록 로킹하는 잠금장치부와, 상기 증착로의 장치하부에 고정되고 상기 도어에 마련된 검출창의 전면까지 연장되어 센서를 고정하되, 상기 도어를 열때 회전하여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센서고정장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광섬유 모재 증착 장치{Deposition device for optical fiber preform}
본 발명은 광섬유 모재 증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광섬유 모재 증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섬유 모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화학기상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외부기상증착(Outside Vapor Deposition, OVD), 기상축증착(Vapor-phase Axial Deposition, VAD) 등의 방법이 알려져 있다.
위에서 OVD법은 석영봉의 외부에 모재 재료물질을 증착하는 방법이며, 대형 모재의 제조에 적합한 방법으로 알려져있다.
등록특허 10-0342593호(2002년 6월 18일 등록, 광섬유 모재 증착장치)는 통상 레이저 발생장치와 수신장치를 포함하는 감지수단을 이용하여 증착되는 광섬유 모재의 두께를 측정하고, 그에 따라 모재의 외면과 버너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증착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위의 등록특허의 도 3 등에는 레이저 발생장치와 수신장치가 증착 장치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증착 장치는 버너에 의해 고온으로 유지되어야 하는 환경이며, 증착 두께의 측정을 위한 수단은 열에 상대적으로 약하기 때문에 증착 두께 측정 수단의 수명이 단축되어 자주 교체를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 레이저를 이용하여 증착 두께를 검출하는 장치들은 레이저의 위치를 증착 장치의 외부에 위치시키도록 개량되었다.
특히 증착 장치의 도어에 투명한 검출창을 마련하여 광의 투과가 가능하게 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때 센서를 직접 검출창이 마련된 도어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센서에 도어를 통해 열이 전달되기 때문에 증착 장치의 도어에 직접 설치하지 않고, 도어의 하부측 구조물 등에 고정되어 센서를 상기 검출창의 특정 위치에서 검출창과는 이격되는 위치에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고정장치는 단순히 증착물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는 광학적인 센서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였으며, 도어를 열어 증착 장치 내부를 세정하는 등의 작업을 할 때 고정장치가 도어에 간섭되기 때문에 고정장치를 반드시 분리해야 한다.
증착 장치 내부의 세정이 완료된 후에 다시 고정장치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센서가 정위치에 위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정확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조정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종래에는 도어를 오픈하기 위하여 고정장치를 분해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세정 작업을 완료한 후 도어를 닫고 고정장치를 다시 결합할 때 결합 공차에 의해 미세하지만 센서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의도하지 않은 센서의 위치 변경은 두께 측정 오류를 유발하며, 수율이 저하되는 원인이된다.
아울러 센서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새로운 고정장치의 제작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등록특허는 모재를 제조한 후 인출하기 위한 도어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광섬유 모재 증착시 증착 장치 내의 온도와 가스의 농도는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도어의 기밀성에 따라 온도 및 농도의 유지 특성이 결정된다.
등록특허 10-1410880호(링크구조를 활용한 도어 개폐장치, 2014년 6월 17일 등록)에는 링크구조를 이용하여 도어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으며,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계폐장치가 기재되어 있으나, 이는 상부 도어에 적당한 구성이며, 광섬유 모재 증착 장치와 같이 전면에 도어가 설치된 경우에는 적용이 용이하지 않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한 본 발명은, 도어의 기밀성을 높일 수 있는 광섬유 모재 증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두께 측정용 센서를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탈거하지 않고도 도어를 열 수 있는 광섬유 모재 증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센서 위치에 대한 별도의 조정 과정 없이도 항상 설정된 위치에 센서를 위치시킬 수 있는 광섬유 모재 증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아울러 센서의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있을 때, 간단한 조작으로 센서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광섬유 모재 증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 광섬유 모재 증착 장치는, 도어를 가지는 증착로와, 상기 도어와 상기 증착로의 측면부를 개폐가능하게 고정하는 힌지와, 상기 힌지의 반대편 도어의 전면부에 마련되어 도어를 닫았을 때 고정되도록 함과 아울러 도어와 증착로의 밀착도가 증가하도록 로킹하는 잠금장치부와, 상기 증착로의 장치하부에 고정되고 상기 도어에 마련된 검출창의 전면까지 연장되어 센서를 고정하되, 상기 도어를 열때 회전하여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센서고정장치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잠금장치부는, 도어(210)를 닫힌 상태로 고정하는 제1잠금부(310)와, 제1잠금부(310)에 의해 닫힌 도어(210)를 밀착시켜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제2잠금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잠금부(310)는, 상기 도어(210)의 전면부 일측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상하로 배치되며, 다수의 고정부(312)에 의해 고정되는 핸들바(311)와, 상기 증착로(200)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21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핸들바(311)의 상하 양단을 각각 고정하는 원터치 로킹부(313)와, 상기 핸들바(311)의 일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핸들바(311)를 로커(315)에 고정하는 핸들부(314)를 포함하고, 상기 제2잠금부(320)는 상기 힌지(250)와는 반대편의 도어(210)의 전면 가장자리에 결합되며, 측면외측으로 돌출되어 회동축(322)을 제공하는 다수의 전면고정부(321)와, 상기 증착로(200)의 측면에 고정설치되어 걸림축(327)을 제공하는 다수의 측면고정부(326)와, 상기 전면고정부(321)의 회동축(322)을 중심으로 회동함과 아울러 핸들바(324)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회동부(323)와, 상기 회동부(323)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부(323)가 측면고정부(326)에 근접하였을 때 상기 걸림축(327)에 걸려 도어(210)를 밀폐하는 로크(32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고정장치부는, 도어의 하부에 결합되며, 증착 장치의 전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연장축부를 제공하는 판상의 결합부와, 상기 연장축부의 끝단에 위치하여 설치면을 제공하는 고정블록과, 상기 고정블록에 결합된 제1이동블록과, 상기 제1이동블록의 전면에 결합되어 설치면을 제공하는 결합블록과, 상기 결합블록 및 제1이동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회전정도를 제한하는 회동가이드홈과 가이드핀을 포함하여 정확한 각도 범위에서 회동하여, 상기 도어의 개폐시 간섭을 피할 수 있는 회동블록과, 센서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회동블록의 회동과 함께 회동하며, 상기 도어에 위치하는 검출창의 정확한 위치에 상기 센서를 위치시키는 센서고정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동블록과 상기 센서고정블록의 사이에 결합되는 제2이동블록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블록의 일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이동블록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제1위치조정부와, 상기 회동블록의 일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이동블록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2위치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이동블록과 제2이동블록 각각은 장공을 통해 상기 고정블록 또는 상기 회동블록에 결합되며, 상기 장공의 방향에 의해 이동 방향이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위치조정부와 제2위치조정부 각각은, 상기 제1이동블록과 제2이동블록에 일부가 결합 되어 회전에 의해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위치조정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이동블록은 상기 결합블록과 접하는 면의 중앙부에서 돌출되어, 베어링을 고정하는 중심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블록은 상기 중심축부가 관통되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블록은 상기 베어링이 결합된 중심축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심축부의 중앙부에는 체결공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블록의 체결공을 통해 상기 중심축부의 체결공에 결합되는 노브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블록과 회동블록에 각각 마련되는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회동블록의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광섬유 모재 증착 장치는, 도어의 잠금장치를 이중화하되, 1차 잠금상태에 비하여 2차 잠금상태의 밀착력을 증가시킴으로써, 기밀성을 높여 온도 및 가스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광섬유 모재의 품질 저하를 방지하고, 증착공정을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증착 장치의 도어 개폐 방향에 간섭되지 않도록 회동하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도어를 열기 위하여 고정장치를 분해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쉽게 센서를 정위치로 위치시킬 수 있어 위치의 조정을 위한 작업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증착물의 두께 측정 오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제품의 신뢰성과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센서의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있을 때, 새로운 고정장치를 제작할 필요 없이 단순한 조작으로 센서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모재 증착 장치의 닫힌 상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어가 열린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어(210)와 잠금장치부(300)의 정면 구성도이다.
도 4는 잠금장치부(300)의 평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센서고정장치부(100)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제1이동블록(130)과 결합블록(190)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주요 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와 도 10은 각각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모재 증착 장치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모재 증착 장치의 닫힌 상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어가 열린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1과 도 2를 각각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모재 증착장치는, 전면부에 도어(210)가 설치된 증착로(200)와, 상기 도어(210)와 증착로(200)를 힌지결합하는 힌지(250)와, 증착로(200) 하부의 장치하부(220)에 고정되어 상기 도어(210)에 마련된 검출창(230)으로 연장되는 센서고정장치부(100)와, 상기 힌지(250)의 반대편 측면에 마련되어 도어(210)와 증착로(200)를 밀착된 상태로 잠그어 고정시키거나, 상기 힌지(250)를 이용하여 도어(210)를 오픈 할 수 있도록 잠금 해제할 수 있는 잠금장치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미설명 부호 400은 가스공급 및 가열수단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모재 증착 장치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증착로(200)는 도면상 정면을 향하여 오픈되는 도어(210)가 복수의 힌지(250)로 연결되어, 상기 힌지(250)의 회동에 의해 도어(210)의 일측면부가 전면부를 향해 원호를 그리면서 오픈되는 구조이다.
증착로(200)의 내부는 광섬유 모재를 증착할 때 증착온도가 일정한 수준에서 유지되어야 하며, 공급되는 원료가스 역시 일정한 농도를 유지해야 균일한 증착이 가능하다. 또한, 광섬유 모재의 배출 및 증착로(200) 내부의 세정을 위하여 전면부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210)가 필요하다.
필수적인 구성요소인 도어(210)의 기밀성이 저하되면 증착로(200) 내부의 온도 유지가 용이하지 않으며, 원료가스의 농도도 균일도가 저하되어 광섬유 모재의 증착 균일성이 저하될 수 있다.
특히 광섬유 모재의 증착을 위한 증착로(200)는 높이가 폭이나 길이에 비하여 높이가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구조이기 때문에 높이 방향의 중앙측에서 기밀의 유지가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는 도어(210)의 기밀성을 높임과 아울러 개폐시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이중 잠금이 가능한 잠금장치부(300)를 사용한다.
도 3은 도어(210)와 잠금장치부(300)의 정면 구성도이고, 도 4는 잠금장치부(300)의 평면 구성도이다.
도 3과 도 4를 각각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잠금장치부(300)는, 도어(210)를 닫힌 상태로 고정하는 제1잠금부(310)와, 제1잠금부(310)에 의해 닫힌 도어(210)를 밀착시켜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제2잠금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잠금부(310)는 상기 도어(210)의 전면부 일측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상하로 배치되며, 다수의 고정부(312)에 의해 고정되는 핸들바(311)와, 상기 증착로(200)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21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핸들바(311)의 상하 양단을 각각 고정하는 원터치 로킹부(313)와, 상기 핸들바(311)의 일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핸들바(311)를 로커(315)에 고정하는 핸들부(3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핸들바(311)는 상기 고정부(312)에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으며, 로커(315)로부터 핸들부(314)를 분리하고, 핸들부(314)를 잡아 당겨 도어(210)를 열 수 있다.
상기 핸들바(311)의 높이는 상기 도어(210)의 높이보다 더 높은 것으로 하며, 도어(210)의 상하방향으로 핸들바(311)의 양단이 돌출되는 것으로 한다. 상기 핸들바(311)의 양단은 원터치 로킹부(313)에 로킹되어 도어(210)를 닫을 수 있다.
상기 원터치 로킹부(313)는 도어(210)가 닫힐 때 핸들바(311)에 접촉되어 자동으로 잠겨 핸들바(311)를 고정하며, 도어(210)가 열릴 때 일정한 힘 이상이 작용하면 잠김이 해제되는 구조이면 그 구조에 무관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터치 로킹부(313)의 예로는 한 쌍의 탄성 롤러 구조의 사이에 상기 핸들바(311)가 삽입되는 구성이거나, 핸들바(311)가 접촉되면 회전하는 캠과 상기 캠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면서 핸들바(311)를 고정하는 로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잠금부(310)는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도어(210)를 개폐할 수 있으며, 핸들바(311)를 힌지(250)로부터 먼 위치의 도어(210) 전면부에 설치하고, 그 핸들바(311)의 양단을 원터치 로킹부(313)로 고정하여, 잠김 힘을 일정하게 제공하여 높이가 높은 증착로(200)의 중앙부분에서 도어(210)의 기밀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잠금부(320)는 상기 힌지(250)와는 반대편의 도어(210)의 전면 가장자리에 결합되며, 측면외측으로 돌출되어 회동축(322)을 제공하는 다수의 전면고정부(321)와, 상기 증착로(200)의 측면에 고정설치되어 걸림축(327)을 제공하는 다수의 측면고정부(326)와, 상기 전면고정부(321)의 회동축(322)을 중심으로 회동함과 아울러 핸들바(324)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회동부(323)와, 상기 회동부(323)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부(323)가 측면고정부(326)에 근접하였을 때 상기 걸림축(327)에 걸려 도어(210)를 밀폐하는 로크(3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잠금장치부(300)는 제1잠금부(310)를 이용하여 도어(210)를 밀폐상태로 닫을 수 있으며, 제2잠금부(320)를 이용하여 도어(210)를 증착로(200)에 더욱 밀착된 상태로 로킹할 수 있어 더욱 완전한 밀폐를 할 수 있으며, 증착로(200) 내부의 온도 유지가 용이하고, 원료가스의 농도 유지에 더 적합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센서고정장치부(100)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측단면도이다. 도 5와 도 6을 각각 참조하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센서고정장치부(100)는 증착로(200)의 외부에 설치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증착로(200)는 도어(210)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210)에 마련되어 광의 투과가 가능한 검출창(230)을 포함하며, 증착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설비가 수용되며, 상기 도어(210)의 하부측에 위치하는 장치하부(220)를 포함한다.
증착로(200)는 증착공정 중 내부 온도가 증착 온도로 상승하며, 이때 내부 온도에 의해 도어(210)에도 상당한 열이 전달되어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상기 도어(21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장치하부(220)는 온도가 낮으며, 센서에 전달되는 열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센서고정장치부(100)는 증착로(200)의 장치하부(220)에 고정되어 센서를 상기 검출창(230)의 외측으로 이격된 곳에 위치시킨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센서고정장치부(100)는, 상기 증착로(200)의 장치하부(220)에 고정되는 결합부(110)와, 상기 결합부(110)로부터 돌출되는 연장축부(111)와, 상기 연장축부(111)에 고정되어 설치면을 제공하는 고정블록(120)과, 상기 고정블록(120)에 결합되는 제1이동블록(130)과, 상기 제1이동블록(130)에 결합되어 설치면을 제공하는 결합블록(190)과, 상기 결합블록(19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검출창(230)을 향해 연장되는 회동블록(150)과, 상기 회동블록(150)의 일부에 위치하여 이동이 가능하며, 일단에 센서를 고정하는 센서고정블록(180)이 위치하는 제2이동블록(170)을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 센서고정장치부(100)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판상의 결합부(110)가 장치하부(220)에 고정되며, 그 결합부(110)에는 증착로(200)의 전면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연장축부(111)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연장축부(111)는 센서를 검출창(230)으로부터 이격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장축부(111)의 끝단에는 고정블록(120)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고정블록(120)은 다른 구성요소들이 결합될 수 있는 면을 제공하는 판상 구조이다.
상기 고정블록(120)에는 제1이동블록(130)이 고정설치되어 있다.
도 7의 (a)는 제1이동블록(130)의 정면 구성도로서, 다수의 좌우장공(131)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장공(131)을 통해 고정블록(120)에 체결되는 고정볼트(13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중앙부에는 중심축부(133)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중심축부(133)는 상기 제1이동블록(130)과 일체 또는 회전이 불가능하게 고정된 것일 수 있으며, 중심축부(133)의 중앙에는 체결공(134)이 마련되어 있다.
도 7의 (b)는 상기 제1이동블록(130)에 결합된 결합블록(190)의 평면도이다.
결합블록(190)은 상기 중심축부(133)가 관통되는 통공(191)이 마련되어 있으며, 그 통공(191)을 중앙에 두고 상하 방향으로 한 쌍의 체결공(192)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중심축부(133)의 상부측 일부에 전후면을 관통하는 관통공(193)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중심축부(133)는 상기 통공(191)을 통해 회동블록(150)의 배면측에 마련된 삽입홈에 삽입되며, 노브 볼트(151)가 상기 중심축부(133)의 체결공(134)에 체결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체결공(192)에는 가이드핀(153)이 결합되며, 관통공(193)에는 고정핀(155)이 삽입된다. 노브 볼트(151), 가이드핀(153) 및 고정핀(155)의 기능에 대해서는 이후에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이동블록(130)의 일측면에는 제1위치조정부(140)가 마련되어 있으며, 제1위치조정부(140)에 결합되는 제1조정볼트(141)의 단부가 상기 제1이동블록(130)의 측면에 마련되는 결합부(135)에 아이들 상태로 결합된다. 제1조정볼트(141)는 제1위치조정부(140)와 나사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1조정볼트(141)를 회전하여 상기 제1이동블록(130)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이동블록(130)의 이동은 상기 좌우장공(131)을 통해 고정블록(120)에 결합되는 고정볼트(132)를 느슨하게 풀어둔 상태에서 가능하며, 조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고정볼트(132)를 견고하게 결합하여 제1이동블록(130)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결합블록(190)의 전면에는 회동블록(150)이 결합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주요 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블록(150)은 제1이동블록(130)이 위치하는 증착 장치하부(220)의 전면측에서 도어(210)에 마련된 검출창(230)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bar) 형상이다.
회동블록(150)과 결합블록(190) 사이의 결합은 앞서 설명한 노브볼트(151) 및 고정핀(155)을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회동블록(150)의 배면에는 제1이동블록(130)의 중심축부(133)가 삽입되는 삽입홈(부호 생략)이 마련되어 있으며, 전면측에서 상기 삽입홈에 연통되는 체결공(156)이 위치한다.
회동블록(150)과 결합블록(190) 및 제1이동블록(13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공(156)은 중심축부(133)의 중앙에 마련된 체결공(134)과 연통되며, 노브볼트(151)가 체결된다. 상기 노브볼트(151)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으며, 회동블록(150)을 회동시키기 위해서 노브볼트(151)를 풀어 회동블록(150)과 결합블록(190)간의 결합을 느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회동블록(150)에 마련된 관통공(157)은 결합블록(190)의 관통공(193)과 연통되며, 고정핀(155)을 두 관통공(157,193)에 관통 삽입하여 회동블록(150)이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한다. 상기 고정핀(155)은 이탈 방지를 위하여 상기 관통공(193)을 관통하여 노출되는 부분에 통공이 마련되고, 그 통공에 이탈방지핀(부호 생략)을 삽입하여 회동블록(150)과 결합블록(190)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회동블록(150) 배면의 삽입홈과 중심축부(133)의 사이에는 베어링(154)이 치합되어 있으며, 회동블록(150)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회동블록(150)을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고정핀(155)을 빼고, 노브볼트(151)를 풀어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동블록(150)의 회전을 제한하고, 원래의 위치로 정확하게 복귀할 수 있도록 회동가이드홈(152)과 그 회동가이드홈(152)을 통해 상기 결합블록(190)의 한 쌍의 체결공(192) 각각에 결합되는 가이드핀(153)을 포함한다.
상기 회동가이드홈(152)은 원호형이며, 회동블록(150)이 중심축부(133)를 중심으로 90도 회전할 수 있도록 한 쌍이 마련된다.
도 8에서는 생략되었으나, 회동블록(150)에는 제2위치조정부(160)와 제2이동블록(170)이 결합된다. 제2이동블록(170)의 끝단에는 센서(도면 미도시)를 고정하는 센서고정블록(180)이 결합되어 있다.
제2이동블록(170)에는 상기 회동블록(150)이 수직방향으로 위치하여 상기 센서고정블록(180)이 검출창(230)의 전방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긴 상하장공(171)이 다수로 마련되어 있으며, 상하장공(171)을 통해 상기 회동블록(150)에 결합되는 고정볼트(172)가 마련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제1이동블록(130)이 상기 센서고정블록(180)의 좌우방향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이고, 제2이동블록(170)은 센서고정블록(180)의 상하방향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2위치조정부(160)는 제2이동블록(170)의 일부에 관통체결되는 제2조정볼트(161)를 포함하며, 제2조정볼트(161)를 회전시켜 제2이동블록(170)의 상하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이 가능하도록 제2조정볼트(161)는 제2위치조정부(160)에 아이들 상태로 회전할 수 있도록 관통 삽입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본 발명은 센서의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있을 때 고정볼트(132,172)를 느슨하게 풀고, 제1조정볼트(141)와 제2조정볼트(161)를 조작하여 쉽게 센서고정블록(18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도 9와 도 10은 각각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9는 도 1에서와 같이 도어(210)가 닫힌 상태에서 센서고정블록(180)이 검출창(230)의 앞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센서고정블록(180)에 장착된 센서는 증착로(200)를 이용한 증착 공정에서 증착대상물의 증착 두께를 검출할 수 있으며, 정확한 위치에 센서를 위치시켜 두께 검출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증착로(200)는 주기적으로 내부 세정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도어(210)를 오픈해야 한다. 도면에는 생략되었으나 도어(210)는 한쪽 측면이 힌지로 결합되어 있으며, 반대쪽 측면부를 앞으로 당겨 열도록 되어 있다.
상기 회동블록(150) 등의 도어(210) 전면에 위치하는 구성요소들이 간섭되어 도어(210)를 열 수 없기 때문에 상기 회동블록(150)을 도면에서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의 회전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동가이드홈(152)과 가이드핀(153)의 작용으로 90도로 제한되며, 이처럼 회동블록(150)이 도 9의 상태에서 시계 반대방향으로 90도 회전된 상태를 도 10에 도시하였다.
도 10의 상태에서는 간섭물이 없기 때문에 도어(210)를 안전하게 열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증착로(200)의 내부를 세정한다. 세정작업이 완료되면 도어(210)를 닫는다.
그 다음, 상기 회동블록(150)을 다시 원래의 위치로 위치시킨다. 즉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상기 센서고정블록(180)을 원래의 위치로 위치시킨 후, 노브볼트(151)를 조여 회동블록(150)의 이동을 방지하고, 고정핀(155)을 관통공(157, 136)에 삽입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동가이드홈(152)과 가이드핀(153)에 의해 센서고정블록(180)은 정확하게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으며, 따라서 센서의 위치를 조정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0:센서고정장치부 110:결합부
111:연장축부 120:고정블록
130:제1이동블록 131:좌우장공
132:고정볼트 140:제1위치조정부
150:회동블록 151:노브볼트
152:회동가이드 153:가이드핀
154:베어링 155:고정핀
160:제2위치조정부 161:제2조정볼트
170:제2이동블록 171:상하장공
172:고정볼트 180:센서고정블록
190:결합블록 191:통공
192:체결공 193:관통공
200:증착로 210:도어
220:장치하부 230:검출창
300:잠금장치부 310:제1잠금부
320:제2잠금부

Claims (9)

  1. 도어(210)를 가지는 증착로(200);
    상기 도어(210)와 상기 증착로(200)의 측면부를 개폐가능하게 고정하는 힌지(250);
    상기 힌지(250)의 반대편 도어(210)의 전면부에 마련되어 도어를 닫았을 때 고정되도록 함과 아울러 도어와 증착로의 밀착도가 증가하도록 로킹하는 잠금장치부(300); 및
    상기 증착로(200)의 장치하부에 고정되고 상기 도어(210)에 마련된 검출창의 전면까지 연장되어 센서를 고정하되, 상기 도어(210)를 열 때 회전하여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센서고정장치부(100)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고정장치부(100)는,
    도어의 하부에 결합되며, 증착 장치의 전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연장축부를 제공하는 판상의 결합부;
    상기 연장축부의 끝단에 위치하여 설치면을 제공하는 고정블록;
    상기 고정블록에 결합된 제1이동블록;
    상기 제1이동블록의 전면에 결합되어 설치면을 제공하는 결합블록;
    상기 결합블록 및 제1이동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회전정도를 제한하는 회동가이드홈과 가이드핀을 포함하여 정확한 각도 범위에서 회동하여, 상기 도어의 개폐시 간섭을 피할 수 있는 회동블록; 및
    센서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회동블록의 회동과 함께 회동하며, 상기 도어에 위치하는 검출창의 정확한 위치에 상기 센서를 위치시키는 센서고정블록을 포함하는 광섬유 모재 증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잠금장치부는,
    도어(210)를 닫힌 상태로 고정하는 제1잠금부(310)와, 제1잠금부(310)에 의해 닫힌 도어(210)를 밀착시켜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제2잠금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잠금부(310)는, 상기 도어(210)의 전면부 일측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상하로 배치되며, 다수의 고정부(312)에 의해 고정되는 핸들바(311)와, 상기 증착로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21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핸들바(311)의 상하 양단을 각각 고정하는 원터치 로킹부(313)와, 상기 핸들바(311)의 일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핸들바(311)를 로커(315)에 고정하는 핸들부(314)를 포함하고,
    상기 제2잠금부(320)는 상기 힌지(250)와는 반대편의 도어(210)의 전면 가장자리에 결합되며, 측면외측으로 돌출되어 회동축(322)을 제공하는 다수의 전면고정부(321)와, 상기 증착로(200)의 측면에 고정설치되어 걸림축(327)을 제공하는 다수의 측면고정부(326)와, 상기 전면고정부(321)의 회동축(322)을 중심으로 회동함과 아울러 핸들바(324)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회동부(323)와, 상기 회동부(323)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부(323)가 측면고정부(326)에 근접하였을 때 상기 걸림축(327)에 걸려 도어(210)를 밀폐하는 로크(325)를 포함하는 광섬유 모재 증착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블록과 상기 센서고정블록의 사이에 결합되는 제2이동블록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블록의 일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이동블록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제1위치조정부와,
    상기 회동블록의 일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이동블록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2위치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광섬유 모재 증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블록과 제2이동블록 각각은 장공을 통해 상기 고정블록 또는 상기 회동블록에 결합되며, 상기 장공의 방향에 의해 이동 방향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모재 증착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조정부와 제2위치조정부 각각은,
    상기 제1이동블록과 제2이동블록에 일부가 결합 되어 회전에 의해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위치조정볼트를 포함하는 광섬유 모재 증착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블록은 상기 결합블록과 접하는 면의 중앙부에서 돌출되어, 베어링을 고정하는 중심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블록은 상기 중심축부가 관통되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블록은 상기 베어링이 결합된 중심축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모재 증착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부의 중앙부에는 체결공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블록의 체결공을 통해 상기 중심축부의 체결공에 결합되는 노브볼트를 포함하는 광섬유 모재 증착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블록과 회동블록에 각각 마련되는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회동블록의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하는 광섬유 모재 증착 장치.
KR1020170086560A 2017-06-30 2017-07-07 광섬유 모재 증착 장치 KR101833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560A KR101833004B1 (ko) 2017-07-07 2017-07-07 광섬유 모재 증착 장치
CN201821031240.8U CN208732919U (zh) 2017-06-30 2018-07-02 光纤预制棒芯棒沉积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560A KR101833004B1 (ko) 2017-07-07 2017-07-07 광섬유 모재 증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3004B1 true KR101833004B1 (ko) 2018-04-13

Family

ID=61974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6560A KR101833004B1 (ko) 2017-06-30 2017-07-07 광섬유 모재 증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30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3053B1 (ko) * 2021-06-10 2022-03-11 주식회사 에이치케이정공 도어 지지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81351B2 (ja) * 2000-07-31 2012-11-28 アルカテル−ルーセント 光ファイバープリフォーム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JP5678711B2 (ja) * 2011-02-16 2015-03-04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ガラス微粒子堆積体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81351B2 (ja) * 2000-07-31 2012-11-28 アルカテル−ルーセント 光ファイバープリフォーム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JP5678711B2 (ja) * 2011-02-16 2015-03-04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ガラス微粒子堆積体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3053B1 (ko) * 2021-06-10 2022-03-11 주식회사 에이치케이정공 도어 지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3004B1 (ko) 광섬유 모재 증착 장치
KR101772971B1 (ko) 세탁물 처리장치
TWI707981B (zh) 用於電漿增強化學氣相沉積期間之厚度測量的現地量測方法
CN108868417B (zh) 长度能设定的控制臂
CA2776060C (en) Home appliance with adjustable hinges
KR101855159B1 (ko) 광섬유 모재 증착 두께 측정용 센서의 고정장치
JP2020039865A5 (ko)
KR100468906B1 (ko) 도어 지지장치
KR20030081607A (ko) 두께측정시스템이 구비된 회전식각장치
KR102022804B1 (ko) 웨이퍼 이송용 로봇 감지장치
EP2342408B1 (en) Adjustment device for hidden hinges and hidden hinge comprising said adjustment device
CN208732919U (zh) 光纤预制棒芯棒沉积装置
CA1097170A (en) Oven hinge mechanism including detent lock
KR101660255B1 (ko) 유리문 경첩
US20110193352A1 (en) Lock structure
JP2015010398A (ja) ストライク
JP2001220935A (ja) 建 具
EP1165913B1 (en) Door fastening device
KR101941215B1 (ko) 도어 틈새 간격조절도구
KR102404580B1 (ko) 증착막 두께 측정 모듈에서 캐로셀의 평탄도 유지가 용이한 샤프트 커플링의 결합구조
JPH09179218A (ja) 原稿圧着板の開成角度規制装置
KR950010624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카세트 커버 열림 고정구
KR100406308B1 (ko) 제빵기
KR101991620B1 (ko) 캐로셀 회전을 위한 동력전달이 개선된 증착막 두께 측정 모듈
JP6978648B2 (ja) 扉錠用ストライ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