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1215B1 - 도어 틈새 간격조절도구 - Google Patents

도어 틈새 간격조절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1215B1
KR101941215B1 KR1020180104467A KR20180104467A KR101941215B1 KR 101941215 B1 KR101941215 B1 KR 101941215B1 KR 1020180104467 A KR1020180104467 A KR 1020180104467A KR 20180104467 A KR20180104467 A KR 20180104467A KR 101941215 B1 KR101941215 B1 KR 101941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piece
fixing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4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춘남
Original Assignee
(주)동방파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방파스텍 filed Critical (주)동방파스텍
Priority to KR1020180104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12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33/00Hand tools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0007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mounting doors, windows or frames; their fit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009Adjustable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2Adjustable by manual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틈새 간격조절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문짝과 문틀을 훼손하지 않도록 경첩을 구성하는 고정편 만을 지렛대원리로 밀거나 당겨 문짝을 이동시켜 양측 틈새간격을 맞추도록 구성하여, 새로 설치되는 경첩뿐만아니라 사전에 설치된 경첩을 재사용 가능하도록 하고, 더불어 무게는 경량화하면서도 지렛대원리로 큰 토크를 발생시켜 작업자의 편의성을 도모하도록, 상기 문틀에 고정되는 고정편과 문짝에 고정된 회전편의 단부를 힌지축으로 고정시켜 회전편을 회전되도록 설치된 경첩을 밀거나 당겨 도어의 틈새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도구로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의 일면에서 중앙에 간격을 두고 상부와 하부에 각각 타면이 고정되고, 힌지축이 관통 삽입되는 수용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구멍에서 외부와 연통하도록 길이 전부가 절개되어 고정편의 두께만 삽입 수용된 후 고정편의 어느 일측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지렛대원리로 상기 수용구멍에 수용된 힌지축을 당기거나 밀어낼 때 받침점 역할을 수행하는 절개부가 형성된 홀더와, 상기 고정대의 타면에 고정되는 손잡이로 구성된 도어 틈새 간격조절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도어 틈새 간격조절도구{Tool to adjust door gap}
본 발명은 도어 틈새 간격조절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를 설치한 상태에서 문틀과 문짝의 양측 사이 틈새간격의 차이로 균형이 안맞을 때, 경첩에서 문틀에 고정된 고정편만을 내부로 수용한 상태에서 지렛대원리로 밀거나 당겨 양측 틈새간격을 균형있게 맞추도록 하는 도어 틈새 간격조절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는 건물 실내외로 사용자가 출입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벽체의 개구부에 사각틀 형상으로 설치되는 문틀과 그 문틀과 경첩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개구부를 개폐하는 문짝으로 구성된다.
상기 경첩은 문틀에 고정되는 고정편과 문짝에 고정되는 회전편이 힌지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경첩은 문짝의 개방되는 회전반경을 달리하도록 고정편과 회전편의 각각 단부가 힌지축의 중앙에서 돌출되게 설치되거나, 또는 힌지축의 일측 즉, 문틀방향으로 치우친 상태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도어는 개구부의 내면이 고르지 않거나 시공설계에 오차가 발생한 경우 문틀과 문짝의 양측 사이의 틈새가 균형이 안맞게 서로 비대칭으로 벌어지게 되어 인테리어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는 최초 도어 시공시 발생하거나, 또는 장기간 사용으로 파손이나 훼손된 문짝을 새것으로 교체할 경우 건물의 하중으로 미세하게 틀어진 기존 문틀에 새문짝이 맞춰지지 않아 설치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문틀과 문짝의 틈새에 배척연장(일명: 빠루)을 꽂은 후, 작업자가 지렛대의 원리로 밀거나 당겨서 양측 틈새간격을 맞췄으나 이는 쇠로된 배척연장이 문짝과 문틀을 훼손시키는 문제점과 길고 무거운 배척연장을 작업자가 들고 이동하거나 여러번의 반복작업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문틀과 문짝의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틈새간격을 조절하도록 특허공개 제2009-0120993호(명칭: 간격 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경첩)가 선행기술로 개시되었으며, 그 구성을 살펴보면 제 1관체가 형성된 일측 플레이트와, 결합공이 구비된 서포터가 형성된 타측 플레이트와, 고정되어 회전 가능한 높이조절수단인 결합봉 및 제 2관체를 구비하여서 된 연장부와, 전술한 서포터의 결합공에 연장부의 결합봉이 결합되도록 하되, 결합봉이 결합공에 결합되는 위치가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선행기술은 경첩으로결합된 도어나 도어 프레임 등 2개의 물체 사이 간격을 필요시 충분히 조절 할 수 있게 되는 것이어서, 설치시 도어나 도어 프레임 등 2개의 물체 사이 간격이 불균일하거나 시공 후 설치간격이 변화된 경우에 경첩의 양측 플레이트 사이 간격을 최적화하도록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경첩에 의한 도어나 커버의 개폐가 원활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다수의 구성품으로 이루어져 현재 제공되는 단순한 구성의 경첩보다 제조비용이 상승하게 되고, 이는 고스란히 소비자에게 돌아가 구입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장기간 사용으로 훼손된 문짝을 교체할 경우에는 기존 경첩 또한 제거한 후, 선행기술의 간격조절 가능한 새경첩을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제거 및 교체비용의 상승과 작업시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문짝과 문틀을 훼손하지 않도록 경첩을 구성하는 고정편 만을 지렛대원리로 밀거나 당겨 문짝을 이동시켜 양측 틈새간격을 맞추도록 구성하여, 새로 설치되는 경첩뿐만아니라 사전에 설치된 경첩을 재사용 가능하도록 하고, 더불어 무게는 경량화하면서도 지렛대원리로 큰 토크를 발생시켜 작업자의 편의성을 도모하는 도어 틈새 간격조절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문틀에 고정되는 고정편과 문짝에 고정된 회전편의 단부를 힌지축으로 고정시켜 회전편을 회전되도록 설치된 경첩을 밀거나 당겨 도어의 틈새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도구로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의 일면에서 중앙에 간격을 두고 상부와 하부에 각각 타면이 고정되고, 힌지축이 관통 삽입되는 수용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구멍에서 외부와 연통하도록 길이 전부가 절개되어 고정편의 두께만 삽입 수용된 후 고정편의 어느 일측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지렛대원리로 상기 수용구멍에 수용된 힌지축을 당기거나 밀어낼 때 받침점 역할을 수행하는 절개부가 형성된 홀더와, 상기 고정대의 타면에 고정되는 손잡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개부는 경첩의 힌지축에서 중앙에 배치된 고정편을 수용하도록 홀더의 중앙을 관통하는 중앙슬릿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경첩의 힌지축에서 일측에 배치된 고정편을 수용하도록 홀더의 중앙에서 벗어나 관통하는 일측슬릿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문틀에 고정되는 고정편과 문짝에 고정된 회전편의 단부를 힌지축으로 고정시켜 회전편을 회전되도록 설치된 경첩을 밀거나 당겨 도어의 틈새를 조절하는 간격조절도구로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일면에서 상부에서 하부로 "ㅏ"형상으로 관통되는 레일홈이 형성되며, 상부측과 하부측 타면에서 일면으로 각각 관통 형성되는 제1볼트공이 형성된 고정대와, 상기 레일홈으로 삽입되도록 타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출되어 삽탈가능하도록 레일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1볼트공과 대응위치에 제2볼트공이 형성되어 상기 레일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볼트로 고정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일면에서 중앙에 간격을 두고 상부와 하부에 각각 타면이 고정되고, 힌지축이 관통 삽입되는 수용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구멍에서 외부와 연통하도록 길이 전부가 절개되어 고정편의 두께만 삽입 수용된 후 고정편의 어느 일측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지렛대원리로 상기 수용구멍에 수용된 힌지축을 당기거나 밀어낼 때 받침점 역할을 수행하는 절개부가 형성된 홀더와, 상기 고정대의 타면에 고정되는 손잡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개부는 경첩의 힌지축에서 중앙에 배치된 고정편을 수용하도록 홀더의 중앙을 관통하는 중앙슬릿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경첩의 힌지축에서 일측에 배치된 고정편을 수용하도록 홀더의 중앙에서 벗어나 관통하는 일측슬릿으로 각각 형성되어, 힌치축에 배치되는 고정편의 위치에 따라 각각으로 형성된 절개부로 이루어진 지지대를 고정대에 교체 설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홀더부의 길이는 힌지축의 상부와 하부에 연결되는 고정편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비교적 짧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 일단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고정대의 타면 중앙에는 상기 수나가 나선체결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착탈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와 하부에 간격을 두고 홀더를 구성함으로써, 문틀과 문짝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틈새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경첩의 고정편 만을 수용한 상태에서 지렛대원리로 밀거나 당겨 고정편을 미세한 정도로 구부리면 회전편과 문짝이 동시에 이동하여 양측 틈새간격을 균형있게 맞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경첩을 구성하는 고정편은 문틀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구부리더라도 회전편과 문짝이 동시에 이동하여 문짝의 개폐에 간섭되지 않지만, 회전편을 구부리면 회전중심이 편심되어 회전이 간섭되어 문틀과 문짝이 어긋나 개폐가 불가능한 것을 해결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절개부를 중앙슬릿 또는 일측슬릿으로 형성함으로써, 고정편 및 회전편의 다른 돌출위치의 경첩에 따라 작업자가 선택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는, 고정대의 레일홈과 지지대의 레일턱을 이용하여 삽탈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경첩에 형상에 따라 작업자가 적합한 홀더가 구성된 지지대로 교체하여 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홀더를 중앙에 간격을 두고 상,하부에 배치함으로써, 그 중앙 간격에 회전편을 안전하게 수용하여 휨하중이 회전편으로 전달됨을 방지하는 효과와 더불어 중앙을 빈 공간으로 형성시켜 간격조절도구의 전체 무게를 경량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고정대와 손잡이를 나사로 체결함으로써, 적합한 토크를 발생 가능한 길이로 이루어진 손잡이로 교체가능하고, 손잡이를 분해하면 간격조절도구의 운반이 용이하도록 전체길이를 축소시켜 작업자의 편의롤 도모가능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첩으로 설치된 문짝과 문틀이 일측은 좁은 틈새간격과 타측은 넓은 틈새간격으로 균형이 맞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전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앙슬릿으로 이루어진 일체식 간격조절도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경첩이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에 경첩이 삽입된 상태에서 간격조절도구를 밀거나 당겨 틈새간격을 조절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측슬릿으로 이루어진 간겨조절도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경첩이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경첩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써, (a)는 중앙슬릿에 경첩이 삽입된 상태의 평면도, (b)는 일측슬릿에 경첩ㅇ리 삽입된 상태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편을 구부리도록 간격조절도구를 밀거나 당겨 회전편과 문짝을 이동시켜 틈새간격을 조절하는 하는 상태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중앙슬릿으로 이루어진 교체식 간격조절도구를 분해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일측슬릿으로 이루어진 교체식 간격조절도구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간격조절도구(1)는 경첩(100)을 지렛대원리로 미세하게 여러 번 구부려 문짝(200)을 이동시켜 양측 틈새간격을 균형있게 맞추는 것으로써, 첨부된 도면 도 2 및 도 9와 같이 일체식과 삽탈가능한 교체식으로 구분되고, 크게 상기 일체식은 고정대(10)와 그 고정대(10)의 일면 상,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홀더(30)와 상기 고정대(10)의 타면에 고정되는 손잡이(40)로 구성된다.
상기 탈착식은 고정대(10)와 그 고정대(10)에 삽탈가능한 지지대(20)와 그 지지대(20)의 상,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홀더(30)와 고정대(10)의 타면에 고정되는 손잡이(40)로 구성된다.
상기 경첩(100)은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0과 같이, 개구부에 설치되는 문틀(200)과 고정되는 고정편(110)이 구비되고, 문짝(300)과 고정되는 회전편(120)으로 구비되어 문짝(300)이 회전방식으로 개폐되며, 상기 고정편(110)과 회전편(120)은 힌지축(130)의 중앙 또는 일측으로 벗어나 설치된다.
본 발명의 간격조절도구(1)는 경첩(100)을 구성하는 고정편(110) 만을 미세하게 여러번 구부려 회전편(120)과 문짝(300)을 동시에 이동시켜 문틀(200)과 문짝(300)의 서로 다른 양측 틈새간격 예컨대, 일측은 좁은틈새간격(g) 타측은 넓은틈새간격(G)을 조절하여 균형을 맞추도록 하는 것으로써, 상기 고정편(110)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 공간에 회전편(120)이 수용된 상태로 그 고정편(110)에서 돌출된 상,하부측과 회전편(120)의 중앙 부분 힌지축(130)과 결합된 경첩(100)에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먼저, 일체식의 상기 고정대(1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사각형기둥 또는 원형기둥으로 형성된다.
상기 홀더(30)는 경첩(100)을 구성하는 고정편(110)의 상측과 하측을 내부로 수용한 상태에서 구부리는 받침점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써, 상기 고정대(10)의 일면에서 중앙에 간격을 두고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된 후 그 타면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대(10)의 중앙 빈 공간에는 경첩(100)을 구성하는 회전편(120)이 수용되어 간격조절도구(1)를 당기거나 밀어낼 때 휨하중 전달에서 제외되어 변형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홀더(30)는 상면에서 하면까지 관통되는 수용구멍(31)이 형성되어 경첩(100)을 구성하는 힌지축(130)이 삽입된 후 그 상,하부측이 각각 홀더(30) 내부의 수용구멍(31)으로 수용된다.
더불어, 상기 홀더(30)에는 외면 즉, 손잡이(40)와 동일한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수용구멍(31)과 연통하는 절개부(32)로 구성되는 것으로써, 힌지축(130)의 삽입시 상,하부측에 각각 돌출된 고정편(110)의 두께가 그 절개부(32)로 간섭없이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절개부(32)로 수용된 고정편(110)은 손잡이(40)를 당기거나 밀어내어 간격조절도구(1)를 회전시키면 수용구멍(31)으로 삽입된 힌지축(130)도 동일방향으로 회전되고, 이때 상기 절개부(32)의 내면과 고정편(110)의 양측면 중 어느 한 일측면과 접촉된 후 지렛대원리의 받침점 역할을 수행하게 되어 고정편(110)을 미세하게 구부려 좁거나 넓은 틈새간격(g)(G)을 조절하여 균형을 맞출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절개부(32)는 전술한 바와 같이, 힌지축(130)에서 고정편(110)과 회전편(120)이 중앙 또는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각종 경첩(100)에 휨하중을 가할 수 있도록 수용구멍(31)의 중앙을 관통하는 중앙슬릿(32a)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수용구멍(31)의 중앙에서 벗어난 일측 즉, 문틀방향으로 치우쳐 관통하는 일측슬릿(32b)으로 각각 형성되어 작업자가 선택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홀더부(30)의 높이에 해당하는 전체 길이는 고정편(110)에서 힌지축(130)의 상,하측에서 돌출된 길이와 동일하거나 비교적 짧게 형성되고, 그 홀더(30)의 짧은 길이는 고정편(110)의 길이보다 3mm ~ 5mm 짧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길이를 갖는 상기 홀더부(30)는 회전편(120)을 제외한 고정편(110) 만을 수용공간(31) 내부에 수용할 수 있음으로써, 상술한 바와같이 토크에 의한 휨하중을 고정편(110)에 가하여 회전편(120)과 문짝(300)을 동시에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용구멍(31)의 중심은 홀더(30)의 중심에서 절개부(32)가 형성되는 외방향으로 벗어난 편심위치에 형성시킴으로써, 토크를 발생하는 길이가 길어져 회전력을 높일 수 있고, 더불어 토크 발생시 취약한 고정대(10)와 마주하는 홀더(30)의 타면 두께를 두껍게하여 전단응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나아가, 상기 홀더(30)는 고정대(10) 또는 후술할 지지대(20)와 일체로 가공하여 형성할 있고, 또는 각각으로 분해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분할 고정되는 홀더(30)의 타면에는 삽입홈(33)이 상면에서 하면까지 관통하여 형성되어 그 삽입홈(33)에 고정대(10) 또는 지지대(20)의 일면이 삽입되고, 이렇게 삽입이 완료되면 고정대(10) 또는 지지대(20)의 외부 전,후면과 삽입홈(33) 내부의 전,후벽면이 접촉된 상태에서 용접으로 견고히 고정시켜 일체화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삽입홈(33) 내부로 고정대(10) 또는 지지대(20)를 삽입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삽입홈(33)의 전,후면이 고정대(10) 또는 지지대(20)를 감싸듯 지지하게 되어 토크 발생시 취약한 용접부분을 보강할 수 있고, 더불어 고정대(10) 또는 지지대(20)의 전면 또는 후면 및 일면이 삽입홈(33) 내부의 직각면에 휨하중을 가하여 그 하중이 안정적으로 고스란히 고정편에 전달되어 구부릴 수 있는 것이다.
다음 교체식의 고정대(10)는 사각기둥 또는 원기둥으로 길게 형성되고, 그 일면에 "ㅏ"형상으로 길게 형성되는 레일홈(11)이 형성되며, 상부측과 하부측에 각각 타면에서 일면으로 관통하되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볼트공(1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대(10)와 슬라이드방식으로 삽탈되는 지지대(20)가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20)는 타면에 상기 레일홈(11)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레일턱(21)이 형성되어 슬라이드방식으로 삽탈되고, 타면에는 상기 제1볼트공(12)과 연통하여 고정볼트(50)로 체결되는 제2볼트공(2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볼트(50)를 풀면 고정대(10)와 지지대(20)는 분해되어 해체가능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지지대(20)의 일면 상부측과 하부측에는 고정편(110)을 수용하여 휨하중을 가하는 홀더(30)가 고정되는 것으로써, 상기 홀더(30)의 구성은 상술한 일체식과 동일하여 중복설명을 피하기 위해서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홀더(30)를 구성하는 절개부(32)는 경첩(100)의 형상에 따라 중앙슬릿(32a) 또는 일측슬릿(32b)으로 각각 형성하고, 이를 상기 지지대(20)에 고정하여 교체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이렇게 상기 레일턱(21)과 레일홈(11)을 이용하여 지지대(20)를 고정대(10)에 교체가능함으로써, 경첩(100)의 고정편(110) 위치에 따라 작업자가 적합한 홀더(30)가 구비된 지지대(20)를 신속하게 간편하게 교체하여 작업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갖는 것이다.
한편, 상기 손잡이(4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고정대(10)의 타면 중앙에 고정시켜 작업자가 지렛대원리로 토크를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40)는 작업현장조건 및 작업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적합한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40)의 일단에는 수나사(41)가 형성되고, 그에 대응하는 고정대(10) 타면 중앙에는 암나사(13)를 형성시켜, 상기 손잡이(40)를 고정대(10)에 용이하게 교체하여 고정할 수 있으며, 더불어 간격조절도구(1)의 전체 길이를 축소하도록 손잡이(40)를 분해하여 운반시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작용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간격조절도구(1)는 고정편(110) 에만 휨하중을 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문틀(200)과 문짝(300)을 훼손 및 파손하지 않으면서도 서로 다른 양측 틈새간격(g)(G)을 맞추도록 미세하게 여러번 휨하중을 가하여 균형을 맞출 수 있고, 경첩(100)에서 고정편(110)이 배치된 위치에 따라 적합한 중앙슬릿(32a) 또는 일측슬릿(32b)으로 이루어진 절개부(32)를 선택 또는 교체하여 신속하게 작업 가능한 작용효과가 있으며, 손잡이(40)를 분해 가능하게 구성하여 교체사용 및 운반의 편의성을 갖춘 유용한 도어 틈새 간격조절도구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간격조절도구: 1 고정대: 10
레일홈: 11 제1볼트공: 12
암나사: 13 지지대: 20
레일턱: 21 제2볼트공: 22
홀더: 30 수용구멍: 31
절개부: 32 중앙슬릿: 32a
일측슬릿: 32b 삽입홈: 33
손잡이: 40 수나사: 41
고정볼트 : 50 경첩: 100
고정편: 110 회전편: 120
힌지축: 130 문틀: 200
문짝: 300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문틀(200)에 고정되는 고정편(110)과 문짝(300)에 고정된 회전편(120)의 단부를 힌지축(130)으로 고정시켜 회전편(130)을 회전되도록 설치된 경첩(100)을 밀거나 당겨 도어의 틈새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도구(1)로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일면에서 상부에서 하부로 "ㅏ"형상으로 관통되는 레일홈(11)이 형성되며, 상부측과 하부측 타면에서 일면으로 각각 관통 형성되는 제1볼트공(12)이 형성된 고정대(10);
    상기 레일홈(11)으로 삽입되도록 타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출되어 삽탈가능하도록 레일턱(21)이 형성되고, 상기 제1볼트공(12)과 대응위치에 제2볼트공(22)이 형성되어 상기 레일홈(11)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볼트(50)로 고정되는 지지대(20);
    상기 지지대(20) 일면에서 중앙에 간격을 두고 상부와 하부에 각각 타면이 고정되고, 힌지축(130)이 관통 삽입되는 수용구멍(31)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구멍(31)에서 외부와 연통하도록 길이 전부가 절개되어 고정편(110)의 두께만 삽입 수용된 후 고정편(110)의 어느 일측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지렛대원리로 상기 수용구멍(31)에 수용된 힌지축(130)을 당기거나 밀어낼 때 받침점 역할을 수행하는 절개부(32)가 형성된 홀더(30);
    상기 고정대(10)의 타면에 고정되는 손잡이(40);로 구성되되,
    상기 절개부(32)는 경첩(100)의 힌지축(130)에서 중앙에 배치된 고정편(110)을 수용하도록 홀더(30)의 중앙을 관통하는 중앙슬릿(32a)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경첩(100)의 힌지축(130)에서 일측에 배치된 고정편(110)을 수용하도록 홀더(30)의 중앙에서 벗어나 관통하는 일측슬릿(32b)으로 각각 형성되어, 상기 힌지축(130)에 배치되는 고정편(110)의 위치에 따라 각각으로 형성된 절개부(32)로 이루어진 지지대(20)를 고정대(10)에 교체 설치하고,
    상기 홀더(30)의 길이는 힌지축(130)의 상부와 하부에 연결되는 고정편(110)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비교적 짧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틈새 간격조절도구.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80104467A 2018-09-03 2018-09-03 도어 틈새 간격조절도구 KR101941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4467A KR101941215B1 (ko) 2018-09-03 2018-09-03 도어 틈새 간격조절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4467A KR101941215B1 (ko) 2018-09-03 2018-09-03 도어 틈새 간격조절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1215B1 true KR101941215B1 (ko) 2019-04-12

Family

ID=66167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4467A KR101941215B1 (ko) 2018-09-03 2018-09-03 도어 틈새 간격조절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12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350Y1 (ko) 2019-09-25 2021-03-15 김송기 방화문용 힌지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9917U (ko) * 1986-07-25 1988-02-09
JP3127048U (ja) * 2006-09-07 2006-11-16 銘賢 林 水絞りモップの清掃素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9917U (ko) * 1986-07-25 1988-02-09
JP3127048U (ja) * 2006-09-07 2006-11-16 銘賢 林 水絞りモップの清掃素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350Y1 (ko) 2019-09-25 2021-03-15 김송기 방화문용 힌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139978U1 (ru) Душевая дверь
US6032333A (en) Hinge
CA2364823C (en) Casement window with improved tie bar guide and striker
US8919715B2 (en) Folding-type shelf holder
KR101941215B1 (ko) 도어 틈새 간격조절도구
JP2014503270A (ja) 引き出しを長手方向ガイドに掛止するフッキング装置
KR102482281B1 (ko) 가구 피팅
EP2772605B1 (en) Pivot door assembly
US20190358715A1 (en) Hole-drilling guiding device
WO2011090983A1 (en) Ring pliers
JPH02164991A (ja) ドアのヒンジ
TWI463060B (zh) 具有接合器之裝置結構
WO1998022680A1 (en) Device for a door hinge structure
KR20070008575A (ko) 개구부 내에 장착되는 힌지
US20190211597A1 (en) Furniture hinge
US20020074705A1 (en) Dual force rapid action lever clamp
JPWO2002100602A1 (ja) 軸用および孔用止め輪の脱着具
EP1474581B1 (en) Hinge for furniture
JP6243153B2 (ja) ストライク
ES2768687T3 (es) Unidad constructiva para la fijación a un mecanismo de cierre de una puerta o de una ventana
KR100419526B1 (ko) 간이착탈형 2축경첩구조
JPH05113068A (ja) ヒンジ
KR200309593Y1 (ko) 냉장고 도어의 상부 힌지 조립체
JPH1162365A (ja) 吊戸の吊垂移動装置
CN220357789U (zh) 一种用于钢琴调音校准的通用扳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