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350Y1 - 방화문용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방화문용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350Y1
KR200493350Y1 KR2020190003911U KR20190003911U KR200493350Y1 KR 200493350 Y1 KR200493350 Y1 KR 200493350Y1 KR 2020190003911 U KR2020190003911 U KR 2020190003911U KR 20190003911 U KR20190003911 U KR 20190003911U KR 200493350 Y1 KR200493350 Y1 KR 2004933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plate
screw hole
fixed piece
piece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9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송기
Original Assignee
김송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송기 filed Critical 김송기
Priority to KR20201900039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3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3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3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32Scre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르면, 문틀(10)과 방화문(20) 사이에 설치되어 방화문(20)이 개폐가능하도록 회동동작하는 방화문용 힌지장치에 있어서, 직립배치되어 상기 문틀(10)에 고정장착되며 측방으로 개구된 보강판나사공(111)이 형성된 고정편보강판(110); 직립배치되고 상기 보강판나사공(111)과 대응되는 일측 위치에는 보강판나사공(111)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고정편나사공(121)이 형성되어 보강판나사공(111)과 고정편나사공(121)에 연속으로 회전결합하는 체결나사에 의해 고정편보강판(110)에 고정장착되는 고정편(120); 직립배치되어 상기 방화문(20) 상에서 고정편(120)과 대응되는 위치에 일측이 고정장착되는 회동편(130); 상기 고정편(120)의 타측과 회동편(130)의 타측에 수직축 결합되어 고정편(120)에 대하여 회동편(130)이 회동하도록 지지하는 힌지축(140); 상기 고정편보강판(110) 상에서 내측으로 함몰되거나 천공되어 형성되는 정합용삽입공(150); 및 상기 고정편(120) 상에서 정합용삽입공(150)과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정합용삽입공(150)에 삽입되면서 보강판나사공(111)의 중심(C1)과 고정편나사공(121)의 중심(C2)이 정합되도록 하는 정합용돌기부(160);를 포함하는 방화문용 힌지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방화문용 힌지장치{HINGE APPARATUS FOR FIRE DOOR}
본 고안은 문틀과 방화문 사이에 설치되어 방화문이 개폐가능하도록 회동동작하는 방화문용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화문 설치시 방화문의 하중이 과중하더라도 보강판의 나사공과 고정편의 나사공을 손쉽게 정합시킬 수 있어 방화문의 쳐짐현상을 방지하고 설치가 간편한 방화문용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문은 화재시 화염의 전파를 최소화하고 피난경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출입구에 설치되는 시설물로서 힌지장치를 매개로 문틀에 장착되어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방화문을 문틀에 설치하기 위한 종래의 힌지장치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고하면 종래의 힌지장치(30)는 문틀(10) 측에 장착되는 고정편(31), 방화문(20) 측에 장착되는 회동편(32) 및, 고정편(31)과 회동편(32)에 수직축 결합되어 고정편(31)에 대하여 회동편(32)이 회동되도록 지지하는 힌지축(33)으로 구성되었다.
따라서, 방화문(20) 측에 회동편(32)을 나사결합하여 고정시키고, 고정편(31)에 형성된 나사공의 중심과 문틀(10) 측에 형성된 나사공의 중심이 정합되도록 작업자가 방화문(20)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체결나사를 각 나사공에 회전결합시켜 고정편(120)을 문틀(10)에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방화문(20)을 문틀(10)에 설치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제조특성상 고정편(31)의 나사공의 직경은 문틀(10)측의 나사공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방화문은 화염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통상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40kg 내지 120kg의 고중량을 갖기 때문에 고정편(31)의 나사공 중심과 문틀(10)의 나사공 중심이 정합되도록 유지하기가 매우 힘들고 난해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각 나사공이 정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체결나사가 회전결합되면 체결나사의 외주면과 나사공 사이의 간극으로 인해 도 1에 청색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방화문(20)의 상측은 우측으로 치우쳐지고 하측은 좌측으로 치우쳐지는 쳐짐현상이 발생하여 방화문(20)이 문틀(10)에 완전히 닫히지 않거나 닫히는 과정에서 큰 소음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장기간 이용시 체결부위가 헐거워져 훼손되거나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941215호(2019.01.16), 도어 틈새 간격조절도구.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방화문 설치시 문틀 측에 장착된 고정편보강판의 정합용삽입공에 고정편의 정합용돌기부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고정편보강판의 보강판나사공과 고정편의 고정편나사공을 손쉽게 정합시킬 수 있어 방화문의 쳐짐현상을 방지하고 설치가 간편하며 설치소요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방화문용 힌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방화문용 힌지장치는, 문틀(10)과 방화문(20) 사이에 설치되어 방화문(20)이 개폐가능하도록 회동동작하는 방화문용 힌지장치에 있어서, 직립배치되어 상기 문틀(10)에 고정장착되며 측방으로 개구된 보강판나사공(111)이 형성된 고정편보강판(110); 직립배치되고 상기 보강판나사공(111)과 대응되는 일측 위치에는 보강판나사공(111)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고정편나사공(121)이 형성되어 보강판나사공(111)과 고정편나사공(121)에 연속으로 회전결합하는 체결나사에 의해 고정편보강판(110)에 고정장착되는 고정편(120); 직립배치되어 상기 방화문(20) 상에서 고정편(120)과 대응되는 위치에 일측이 고정장착되는 회동편(130); 상기 고정편(120)의 타측과 회동편(130)의 타측에 수직축 결합되어 고정편(120)에 대하여 회동편(130)이 회동하도록 지지하는 힌지축(140); 상기 고정편보강판(110) 상에서 내측으로 함몰되거나 천공되어 형성되는 정합용삽입공(150); 및 상기 고정편(120) 상에서 정합용삽입공(150)과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정합용삽입공(150)에 삽입되면서 보강판나사공(111)의 중심(C1)과 고정편나사공(121)의 중심(C2)이 정합되도록 하는 정합용돌기부(1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정합용삽입공(150)은 고정편보강판(110) 상에서 복수 개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정합용돌기부(160)는 각 정합용삽입공(150)과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판나사공(111)과 고정편나사공(121)의 직경 차는 0.3mm 내지 0.7mm이고, 상기 정합용삽입공(150)과 정합용돌기부(160)의 직경 차는 0.05mm 내지 0.2m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편보강판(110)에는 하나의 정합용삽입공(150)이 선형으로 길게 연장형성되고, 상기 정합용돌기부(160)는 정합용삽입공(150)과 대응되게 선형으로 길게 연장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편보강판(110)에는 +자 형상을 갖는 하나의 정합용삽입공(150)이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정합용돌기부(160)는 정합용삽입공(150)과 대응되게 +자 형상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편(120) 상에서 정합용삽입공(150)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측방으로 개구된 돌기장착공(161)이 형성되고, 상기 정합용돌기부(160)는 정합용삽입공(150)의 홈깊이보다 상대적으로 긴 길이의 블럭형태로 이루어져 일측이 돌기장착공(161)에 끼움결합되면서 타측이 노출되어 정합용삽입공(150)을 향해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편보강판(110)과 고정편(120)은 보강판나사공(111)과 고정편나사공(121)의 각 중심(C1,C2)이 상호 정합된 상태에서 천공수단(40)이 연속관통하여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직경을 갖는 상기 정합용삽입공(150)과 돌기장착공(161)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편(130)의 일측에는 측방으로 개구된 회동편나사공(131)이 형성되고, 직립배치되어 상기 문틀(10) 상에서 회동편(130)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측방으로 개구된 보강판나사공(171)이 형성되어 회동편나사공(131)과 보강판나사공(171)에 연속으로 회전결합하는 체결나사에 의해 회동편(130)이 방화문(20)에 고정장착되도록 하는 회동편보강판(170); 상기 회동편보강판(170) 상에서 내측으로 함몰되거나 천공되어 형성되는 문측 정합용삽입공(180); 및 상기 회동편(130) 상에서 문측 정합용삽입공(180)과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문측 정합용삽입공(180)에 삽입되면서 회동편나사공(131)의 중심과 보강판나사공(171)의 중심이 정합되도록 하는 문측 정합용돌기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힌지장치에 따르면, 문틀(10)과 방화문(20) 사이에 설치되어 방화문(20)이 개폐가능하도록 회동동작하는 방화문용 힌지장치에 있어서, 직립배치되어 상기 문틀(10)에 고정장착되며 보강판나사공(111)이 형성된 고정편보강판(110); 직립배치되고 상기 보강판나사공(111)과 대응되는 일측 위치에는 보강판나사공(111)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고정편나사공(121)이 형성되어 보강판나사공(111)과 고정편나사공(121)에 연속으로 회전결합하는 체결나사에 의해 고정편보강판(110)에 고정장착되는 고정편(120); 직립배치되어 상기 방화문(20) 상에서 고정편(120)과 대응되는 위치에 일측이 고정장착되는 회동편(130); 상기 고정편(120)의 타측과 회동편(130)의 타측에 수직축 결합되어 고정편(120)에 대하여 회동편(130)이 회동하도록 지지하는 힌지축(140); 상기 고정편보강판(110) 상에서 내측으로 함몰되거나 천공되어 형성되는 정합용삽입공(150); 및 상기 고정편(120) 상에서 정합용삽입공(150)과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정합용삽입공(150)에 삽입되면서 보강판나사공(111)의 중심(C1)과 고정편나사공(121)의 중심(C2)이 정합되도록 하는 정합용돌기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방화문용 힌지장치에 의하면,
첫째, 문틀(10)에 고정장착되는 고정편보강판(110)은 측방으로 개구된 보강판나사공(111)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판나사공(111)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고정편나사공(121)이 일측에 형성된 고정편(120)은 보강판나사공(111)과 고정편나사공(121)에 연속으로 회전결합하는 체결나사에 의해 고정편보강판(110)에 고정장착되며, 회동편(130)은 방화문(20) 상에서 고정편(120)과 대응되는 위치에 일측이 고정장착되고, 힌지축(140)은 고정편(120)의 타측과 회동편(130)의 타측에 수직축 결합되며, 정합용삽입공(150)은 고정편보강판(110) 상에서 천공되어 형성되고, 정합용돌기부(160)는 고정편(120) 상에서 정합용삽입공(150)과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정합용돌기부(160)가 정합용삽입공(150)에 삽입되면서 보강판나사공(111)의 중심(C1)과 고정편나사공(121)의 중심(C2)이 정합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방화문(20) 설치시 쳐짐현상을 방지하고 설치가 간편하며 설치소요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둘째, 상기 정합용삽입공(150)은 고정편보강판(110) 상에서 복수 개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정합용돌기부(160)는 각 정합용삽입공(150)과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됨으로써, 정합용삽입공(150)과 정합용돌기부(160)가 각각 하나만 구비된 경우와 비교하여 볼 때 설치시 정합용삽입공(150)에 정합용돌기부(160)가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편(120)이 정합용돌기부(160)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보강판나사공(111)과 회동편나사공(131)의 정합된 상태가 틀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상기 보강판나사공(111)과 고정편나사공(121)의 직경 차는 0.3mm 내지 0.7mm이고, 상기 정합용삽입공(150)과 정합용돌기부(160)의 직경 차는 0.05mm 내지 0.2mm로 형성됨으로써, 정합용삽입공(150)에 정합용돌기부(160)를 삽입하기가 용이하면서도 삽입된 상태에서 직경 차에 따른 간극으로 유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상기 고정편보강판(110)에는 하나의 정합용삽입공(150)이 선형으로 길게 연장형성되고 상기 정합용돌기부(160)는 정합용삽입공(150)과 대응되게 선형으로 길게 연장형성되거나, 상기 고정편보강판(110)에는 +자 형상을 갖는 하나의 정합용삽입공(150)이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정합용돌기부(160)는 정합용삽입공(150)과 대응되게 +자 형상으로 돌출형성됨으로써, 두 개 이상의 정합용돌기부(160)를 각각의 정합용삽입공(150)에 삽입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보다 견고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섯째, 상기 고정편(120) 상에서 정합용삽입공(150)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측방으로 개구된 돌기장착공(161)이 형성되고, 상기 정합용돌기부(160)는 정합용삽입공(150)의 홈깊이보다 상대적으로 긴 길이의 블럭형태로 이루어져 일측이 돌기장착공(161)에 끼움결합되면서 타측이 노출되어 정합용삽입공(150)을 향해 돌출되도록 배치됨으로써, 다양한 설치환경에 부합되도록 정합용돌기부(160)의 돌출된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여섯째, 상기 고정편보강판(110)과 고정편(120)은 보강판나사공(111)과 고정편나사공(121)의 각 중심(C1,C2)이 상호 정합된 상태에서 천공수단(40)이 연속관통하여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직경을 갖는 상기 정합용삽입공(150)과 돌기장착공(161)이 각각 형성된 구조로 구비됨으로써, 정합용삽입공(150)과 돌기장착공(161)의 직경 차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동일한 위치에 각 정합용삽입공(150)과 돌기장착공(161)을 형성하기 위한 제조공정이 간소화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일곱째, 상기 회동편(130)의 일측에는 측방으로 개구된 회동편나사공(131)이 형성되고, 상기 문틀(10) 상에서 회동편(130)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회동편보강판(170)은 측방으로 개구된 보강판나사공(171)이 형성되어 회동편나사공(131)과 보강판나사공(171)에 연속으로 회전결합하는 체결나사에 의해 회동편(130)이 방화문(20)에 고정장착되며, 문측 정합용삽입공(180)는 회동편보강판(170) 상에서 내측으로 함몰되거나 천공되어 형성되고, 문측 정합용돌기부(190)는 회동편(130) 상에서 문측 정합용삽입공(180)과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형성됨으로써, 문측 정합용돌기부(190)가 문측 정합용삽입공(180)에 삽입되면서 회동편나사공(131)의 중심과 보강판나사공(171)의 중심이 정합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방화문(20)에 회동편(130)을 고정장착하면서 쳐짐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공정이 간소해지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힌지장치를 이용하여 방화문을 문틀에 설치한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및 사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힌지장치를 이용하여 방화문을 문틀에 설치하는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편보강판과 고정편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합용삽입공에 정합용돌기부가 삽입되면서 보강판나사공과 고정편나사공이 정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합용삽입공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합용돌기부가 고정편에 끼움결합되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편보강판과 고정편에 정합용삽입공 및 돌기장착홈부를 형성하는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돌기장착홈부에 정합용돌기부가 끼움결합되어 장착되는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합용삽입공이 고정편에 형성되고 정합용돌기부가 고정편보강판에 형성된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힌지장치(100)는 문틀(10)과 방화문(20) 사이에 설치되어 방화문(20)이 개폐가능하도록 회동동작하는 힌지장치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편보강판(110), 고정편(120), 회동편(130), 힌지축(140), 정합용삽입공(150) 및 정합용돌기부(16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고정편보강판(110)은 방화문용 힌지장치(100)가 문틀(10) 측에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문틀(10)에 설치되는 보강재로서, 직립배치되어 문틀(10)에 고정장착되며 고정편(120)과의 체결을 위한 보강판나사공(111)이 측방으로 개구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편보강판(110)은 문틀(10) 측에 용접되어 고정장착될 수 있고 이 밖에 체결나사와 같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문틀(10)에 고정될 수 있는 다양한 장착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편보강판(110)은 고정편(120)보다 상하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면서 고정편(120)과 면접촉하는 중앙부(112)를 기준으로 상측에는 상향 연장된 상단연장부(113)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하향 연장된 하단연장부(114)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편(120)은 문틀(10) 측에 장착되어 지지력을 제공받는 연결부재로서 직립배치되고 보강판나사공(111)과 대응되는 일측 위치에는 보강판나사공(111)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고정편나사공(121)이 형성되어 보강판나사공(111)과 고정편나사공(121)에 연속으로 회전결합하는 체결나사에 의해 고정편보강판(110)에 고정장착되면서 문틀(10) 측에 설치된다.
상기 회동편(130)은 방화문(20) 측에 장착되는 연결부재로서, 직립배치되어 방화문(20) 상에서 고정편(120)과 대응되는 위치에 일측이 고정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회동편(130)에는 측방으로 개구된 회동편나사공(131)이 형성되어 체결나사를 통해 방화문(20) 측에 고정장착될 수 있다.
상기 힌지축(140)은 고정편(120)의 타측과 회동편(130)의 타측에 수직축 결합되어 고정편(120)에 대하여 회동편(130)이 회동하도록 지지한다.
상기 정합용삽입공(150)과 정합용돌기부(160)는 방화문(20)의 설치작업시 고정편보강판(110)의 보강판나사공(111)과 고정편(120)의 고정편나사공(121)이 정합될 수 있도록 하는 부재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합용삽입공(150)은 고정편보강판(110) 상에서 내측으로 함몰된 홈형상으로 형성되나 천공된 통공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합용돌기부(160)는 고정편(120) 상에서 정합용삽입공(150)과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정합용삽입공(150)에 삽입되면서 보강판나사공(111)의 중심(C1)과 고정편나사공(121)의 중심(C2)이 정합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방화문(20)을 문틀(10)에 설치하는 작업시 상기 정합용돌기부(160)가 정합용삽입공(150)에 삽입되면서 보강판나사공(111)의 중심(C1)과 고정편나사공(121)의 중심(C2)이 정합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방화문(20) 설치시 쳐짐현상을 방지하고 설치가 간편하며 설치소요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합용삽입공(150)은 고정편보강판(110) 상에서 복수 개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정합용돌기부(160)는 각 정합용삽입공(150)과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됨으로써, 정합용삽입공(150)과 정합용돌기부(160)가 각각 하나만 구비된 경우와 비교하여 볼 때 설치시 정합용삽입공(150)에 정합용돌기부(160)가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편(120)이 정합용돌기부(160)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보강판나사공(111)과 회동편나사공(131)의 정합된 상태가 틀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합용삽입공(150)은 상기 중앙부(112) 내에서 상하로 이격배치된 두 보강판나사공(111) 사이에 복수 개가 상하로 이격배치되어 원판형상으로 천공되고, 상기 정합용돌기부(160)는 상기 고정편(120) 상에서 상하로 이격배치된 두 고정편나사공(121) 사이에 복수 개가 상하로 이격배치되어 상기 정합용삽입공(150)과 대응되는 원판형상으로 돌출된다.
더불어, 상기 보강판나사공(111)과 고정편나사공(121)의 직경 차는 0.3mm 내지 0.7mm이고, 상기 정합용삽입공(150)과 정합용돌기부(160)의 직경 차는 0.05mm 내지 0.2mm로 형성됨으로써, 정합용삽입공(150)에 정합용돌기부(160)를 삽입하기가 용이하면서도 삽입된 상태에서 직경 차에 따른 간극으로 유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직경 차가 0.05mm 미만인 경우에는 정합용돌기부(160)를 정합용삽입공(150)에 삽입하기가 번거로우며 0.2mm 초과하는 경우에는 직경차로 인해 보강판나사공(111)과 고정편나사공(121) 간에 각 중심(C1,C2)이 정합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편보강판(110)에는 하나의 정합용삽입공(150)이 선형으로 길게 연장형성되고 상기 정합용돌기부(160)는 정합용삽입공(150)과 대응되게 선형으로 길게 연장형성되거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편보강판(110)에는 +자 형상을 갖는 하나의 정합용삽입공(150)이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정합용돌기부(160)는 정합용삽입공(150)과 대응되게 +자 형상으로 돌출형성됨으로써, 두 개 이상의 정합용돌기부(160)를 각각의 정합용삽입공(150)에 삽입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보다 견고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편(120) 상에서 정합용삽입공(150)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측방으로 개구된 돌기장착공(161)이 형성되고, 상기 정합용돌기부(160)는 정합용삽입공(150)의 홈깊이보다 상대적으로 긴 길이의 블럭형태로 이루어져 일측이 돌기장착공(161)에 끼움결합되면서 타측이 노출되어 정합용삽입공(150)을 향해 돌출되도록 배치됨으로써, 다양한 설치환경에 부합되도록 정합용돌기부(160)의 돌출된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편보강판(110)과 고정편(120)은 보강판나사공(111)과 고정편나사공(121)의 각 중심(C1,C2)이 상호 정합된 상태에서 드릴 등의 천공수단(40)이 연속관통하여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직경을 갖는 상기 정합용삽입공(150)과 돌기장착공(161)이 각각 형성된 구조로 구비됨으로써, 정합용삽입공(150)과 돌기장착공(161)의 직경 차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동일한 위치에 각 정합용삽입공(150)과 돌기장착공(161)을 형성하기 위한 제조공정이 간소화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회동편(130)을 방화문(20) 측에 나사체결함에 있어서, 고정편(120)이 고정편보강판(110)에 의해 문틀(10) 측에 나사결합될 수 있는 것처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편보강판(170)을 이용하여 회동편(130)을 방화문(20) 측에 고정장착할 수 있다.
부연하면, 상기 회동편(130)의 일측에는 측방으로 개구된 회동편나사공(131)이 형성되고, 상기 문틀(10) 상에서 회동편(130)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회동편보강판(170)은 측방으로 개구된 보강판나사공(171)이 형성되어 회동편나사공(131)과 보강판나사공(171)에 연속으로 회전결합하는 체결나사에 의해 회동편(130)이 방화문(20)에 고정장착되며, 문측 정합용삽입공(180)는 회동편보강판(170) 상에서 내측으로 함몰되거나 천공되어 형성되고, 문측 정합용돌기부(190)는 회동편(130) 상에서 문측 정합용삽입공(180)과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형성됨으로써, 문측 정합용돌기부(190)가 문측 정합용삽입공(180)에 삽입되면서 회동편나사공(131)의 중심과 보강판나사공(171)의 중심이 정합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방화문(20)에 회동편(130)을 고정장착하면서 쳐짐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공정이 간소해지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편보강판(110)에 정합용삽입공(150)이 형성되고 고정편(120)에 정합용돌기부(160)가 돌출형성되어 보강판나사공(111)과 고정편나사공(121)을 정합시킬 수 있으며, 이 밖에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합용삽입공(150)은 고정편(120) 상에서 내측으로 함몰되거나 천공되어 형성되고, 정합용돌기부(160)는 고정편보강판(110) 상에서 정합용삽입공(150)과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정합용삽입공(150)에 삽입되면서 보강판나사공(111)의 중심(C1)과 고정편나사공(121)의 중심(C2)이 정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방화문용 힌지장치 110...고정편보강판
111...보강판나사공 120...고정편
121...고정편나사공 130...회동편
131...회동편나사공 140...힌지축
150...정합용삽입공 160...정합용돌기부
161...돌기장착홈부 170...회동편보강판
180...문측 정합용삽입공 190...문측 정합용돌기부

Claims (8)

  1. 문틀(10)과 방화문(20) 사이에 설치되어 방화문(20)이 개폐가능하도록 회동동작하는 방화문용 힌지장치에 있어서, 직립배치되어 상기 문틀(10)에 고정장착되며 보강판나사공(111)이 형성된 고정편보강판(110); 직립배치되고 상기 보강판나사공(111)과 대응되는 일측 위치에는 보강판나사공(111)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고정편나사공(121)이 형성되어 보강판나사공(111)과 고정편나사공(121)에 연속으로 회전결합하는 체결나사에 의해 고정편보강판(110)에 고정장착되는 고정편(120); 직립배치되어 상기 방화문(20) 상에서 고정편(120)과 대응되는 위치에 일측이 고정장착되는 회동편(130); 상기 고정편(120)의 타측과 회동편(130)의 타측에 수직축 결합되어 고정편(120)에 대하여 회동편(130)이 회동하도록 지지하는 힌지축(140); 상기 고정편보강판(110) 상에서 천공되어 형성되는 정합용삽입공(150); 및 상기 고정편(120) 상에서 정합용삽입공(150)과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정합용삽입공(150)에 삽입되면서 보강판나사공(111)의 중심(C1)과 고정편나사공(121)의 중심(C2)이 정합되도록 지지하는 정합용돌기부(16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편보강판(110)은 고정편(120)보다 상하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면서 고정편(120)과 면접촉하는 중앙부(112)를 기준으로 상측에는 상향 연장된 상단연장부(113)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하향 연장된 하단연장부(114)가 형성되며,
    상기 정합용삽입공(150)은 상기 중앙부(112) 내에서 상하로 이격배치된 두 보강판나사공(111) 사이에 복수 개가 상하로 이격배치되어 원판형상으로 천공되고, 상기 정합용돌기부(160)는 상기 고정편(120) 상에서 상하로 이격배치된 두 고정편나사공(121) 사이에 복수 개가 상하로 이격배치되어 상기 정합용삽입공(150)과 대응되는 원판형상으로 돌출되며,
    상기 보강판나사공(111)과 고정편나사공(121)의 직경 차는 0.3mm 내지 0.7mm이고, 상기 정합용삽입공(150)과 정합용돌기부(160)의 직경 차는 0.05mm 내지 0.2mm이며,
    상기 고정편(120) 상에서 정합용삽입공(150)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측방으로 개구된 돌기장착공(161)이 형성되고, 상기 정합용돌기부(160)는 돌기장착공(161)의 깊이보다 상대적으로 긴 길이의 블럭형태로 이루어져 일측이 돌기장착공(161)에 끼움결합되면서 타측이 노출되어 정합용삽입공(150)을 향해 돌출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고정편보강판(110)과 고정편(120)은 보강판나사공(111)과 고정편나사공(121)의 각 중심(C1,C2)이 상호 정합된 상태에서 천공수단(40)이 연속관통하여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직경을 갖는 상기 정합용삽입공(150)과 돌기장착공(161)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힌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2020190003911U 2019-09-25 2019-09-25 방화문용 힌지장치 KR2004933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911U KR200493350Y1 (ko) 2019-09-25 2019-09-25 방화문용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911U KR200493350Y1 (ko) 2019-09-25 2019-09-25 방화문용 힌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350Y1 true KR200493350Y1 (ko) 2021-03-15

Family

ID=74871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911U KR200493350Y1 (ko) 2019-09-25 2019-09-25 방화문용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350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555U (ja) * 1991-02-15 1993-01-19 株式会社長澤製作所 蝶 番
KR19980026063U (ko) * 1996-11-07 1998-08-05 황천익 플로어힌지용 외부케이싱
KR100389284B1 (ko) * 1999-09-30 2003-06-27 (주)정인종합건축사사무소 경첩
KR101941215B1 (ko) 2018-09-03 2019-04-12 (주)동방파스텍 도어 틈새 간격조절도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555U (ja) * 1991-02-15 1993-01-19 株式会社長澤製作所 蝶 番
KR19980026063U (ko) * 1996-11-07 1998-08-05 황천익 플로어힌지용 외부케이싱
KR100389284B1 (ko) * 1999-09-30 2003-06-27 (주)정인종합건축사사무소 경첩
KR101941215B1 (ko) 2018-09-03 2019-04-12 (주)동방파스텍 도어 틈새 간격조절도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4363B1 (en) Adjustable hinge
US20080034539A1 (en) Adjustable refrigerator door hinge
KR200493350Y1 (ko) 방화문용 힌지장치
JP7102690B2 (ja) 扉構造
KR200411572Y1 (ko) 문과 그 문이 설치되는 문틀
JP2006183278A (ja) 扉用傾き補正具
JP4912272B2 (ja) 電気電子機器収納用キャビネット
JP2021031923A (ja) 開度制限蝶番及びその部品
JP2020090846A (ja) ヒンジ装置および建具
KR102318267B1 (ko) 피봇식과 플래그식 조합형 방화문용 힌지
KR200387445Y1 (ko) 자동닫힘기능을 갖는 도아 힌지장치
KR100623085B1 (ko) 유리도어 힌지바아
KR102510181B1 (ko) 방화문용 하부힌지 구조체
KR100737824B1 (ko) 보안형 상부 피봇힌지
EP1828515A1 (en) Adjustable door hinge
KR200287926Y1 (ko) 목재 문짝지지용 힌지
JP2024004018A (ja) パネル体の取り付け構造
JP2018127861A (ja) 建具及び建具における戸体の吊り込み方法
KR101098237B1 (ko) 기능성 방음문
KR200353798Y1 (ko) 도어용 피벗 힌지
KR200339803Y1 (ko) 편심회전축을 갖는 방화문용 무돌출 경첩
KR200408834Y1 (ko) 도어용 경첩 조립체
KR100561054B1 (ko) 도어용 피벗 힌지
KR20230007159A (ko) 접이식 문의 연결구조
JP2022076266A (ja) 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