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3798Y1 - 도어용 피벗 힌지 - Google Patents

도어용 피벗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3798Y1
KR200353798Y1 KR20-2004-0008811U KR20040008811U KR200353798Y1 KR 200353798 Y1 KR200353798 Y1 KR 200353798Y1 KR 20040008811 U KR20040008811 U KR 20040008811U KR 200353798 Y1 KR200353798 Y1 KR 2003537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ixing plate
hinge
hinge portion
do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88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기철
Original Assignee
아진테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진테크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진테크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088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37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37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37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4Flat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near one edge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bottom, e.g. trun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2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gravity-actuated, e.g. by use of counterweights
    • E05F1/04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gravity-actuated, e.g. by use of counterweights for wings which lift during movement, operated by their own weight
    • E05F1/06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the weight of the wing
    • E05F1/061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the weight of the wing with cams or helical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용 피벗힌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가 열릴 때 일정 높이로 상승되게 함으로써, 도어의 처짐에 의한 바닥면의 긁힘이나, 소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기능이 대폭 향상된 도어용 피벗힌지에 관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문틀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절곡형성되는 문틀고정판과, 상기 문틀고정판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며 중앙에 힌지축을 구비한 힌지부와, 도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힌지축의 상부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 일측으로 연장되는 도어고정판으로 구성되는 피벗힌지에 있어서, 상기 문틀고정판의 힌지부와 도어고정판의 힌지부 사이에 승강부재가 상하로 대향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어용 피벗 힌지{A pivot hinge for door}
본 고안은 도어용 피벗힌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가 열릴 때 일정 높이로 상승되게 함으로써, 도어의 처짐에 의한 바닥면의 긁힘이나, 소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기능이 대폭 향상된 도어용 피벗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출입구에는 방범, 방음을 목적으로 여닫이식 도어가 설치되며, 도어의 원활한 개폐를 위해 도어와 문틀의 상하단부에 피벗힌지가 설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종래의 피벗힌지(10)는, 문틀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절곡형성되는 문틀고정판(20)과, 상기 문틀고정판(20)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며 중앙에 힌지축(25)을 구비한 힌지부(21)와, 도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힌지축(25)의 상부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는 힌지부(31)와, 상기 힌지부(31)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도어고정판(3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문틀고정판(20)의 힌지부(21)와 도어고정판(30)의 힌지부(31) 사이에는 회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베어링(60)이 결합되며, 도어 하부에 결합되는 피벗힌지(10)의 경우에는 도어고정판(30)에 체결공(32)이 형성되며, 도어 상부에 결합되는 피벗힌지(10)의 경우에는 문틀고정판(20)과 도어고정판(20) 모두에 체결공(22,32)이 형성되어 보울트에 의해 문틀과 도어에 결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피벗힌지는 도어가 바닥면에서부터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반복적으로 열리거나 닫히기 때문에 도어를 오래 사용하다 보면 도어의 자체 하중에 의해 도어가 아래로 처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도어 하부가 바닥면에 밀착되어 도어의 개폐가 부자연스러워 지고 마찰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게 되어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문틀고정판의 힌지부와 도어고정판의 힌지부 사이에 승강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도어가 열릴 때 일정 높이로 상승되어 도어가 부드럽게 열릴 수 있도록 한 도어용 피벗 힌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도어용 피벗힌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가 닫힌 상태의 승강부재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가 열린 상태의 승강부재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피벗힌지 20:문틀고정판 21:힌지부
22:체결공 23:관통공 24:끼움공
25:힌지축 30:도어고정판 31:힌지부
32:체결공 33:관통공 34:끼움공
40:승강부재 41:작동부 42:상면
43:슬라이딩면 44:끼움공 45:하면
46:나사공 50:체결보울트 60:베어링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문틀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절곡형성되는 문틀고정판과, 상기 문틀고정판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며 중앙에 힌지축을 구비한 힌지부와, 도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힌지축의 상부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도어고정판으로 구성되는 피벗힌지에 있어서, 상기 문틀고정판의 힌지부와 도어고정판의 힌지부 사이에 승강부재가 상하로 대향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승강부재는, 상기 문틀고정판의 힌지부의 중앙에 형성되는 힌지축에 끼움 결합되며, 상부에는 평면의 상,하면과 상기 상,하면 사이의 경사형 슬라이딩면으로 구성되는 작동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승강부재는, 저면에 문틀고정판의 힌지부와 도어고정판의 힌지부에 형성된 관통공과 대응되는 나사공을 형성하여 체결보울트에 의해 상기 문틀고정판의 힌지부와 도어고정판의 힌지부에 고정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승강부재는, 문들 및 도어고정판의 힌지부와 한몸체의 일체로 대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도어용 피벗힌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가 닫힌 상태의 승강부재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가 열린 상태의 승강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피벗힌지(10)는 문틀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절곡형성되는 문틀고정판(20)과, 상기 문틀고정판(20)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며 중앙에 힌지축(25)을 구비한 힌지부(21)와, 도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힌지축(21)의 상부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부(31)와, 상기 힌지부(31)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도어고정판(30)으로 구성되는 피벗힌지(10)에 있어서, 문틀고정판(20)의 힌지부(21)와 도어고정판(30)의 힌지부(31) 사이에 승강부재(40)가 상하로 대향설치 된다.
상기 문틀고정판(20)의 힌지부(21)에는, 승강부재(40)의 저면에 형성된 나사공(46)과 대응되는 관통공(23)을 형성하여 체결보울트(50)에 의해 승강부재(40)가 힌지부(21)에 고정 결합되게 한다.
상기 도어고정판(30)의 힌지부(31)에도 역시 승강부재(40)의 저면에 형성되는 나사공(46)과 대응되는 관통공(33)을 형성하여 체결보울트(50)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승강부재(40)가 힌지부(31)에 고정 결합되게 한다.
상기 승강부재(40)는, 문틀고정판(20)의 힌지부(21)와 도어고정판(30)의 힌지부(31)에 사이에 대향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부에는 작동부(41)가 형성되며 저면에는, 나사공(46)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힌지축(25)에 끼움되는 끼움공(44)이 형성된다.
상기 작동부(41)는, 상부에 평면으로 형성되는 상면(42)과, 상기 상면(42)의 하부에 평면으로 형성되는 하면(45)과, 상기 상면(42)과 하면(45) 사이에 경사지게형성되는 슬라이딩면(43)으로 구성된다.
상기 나사공(46)은, 승강부재(40)의 결합시 문틀 및 도어고정판(20,30)의 힌지부(21,31)에 형성된 관통공(23,33)과 대응된다.
도 7,8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및 분리 사시도로서, 앞에서 설명한 피벗힌지(10)는 도어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이나, 이는 도어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문틀고정판(20)이 평판형으로 구성되고 힌지축(25)이 도어고정판(30)의 힌지부(31)에 형성되는 것 외에는 앞에서 설명한 도어의 하부에 설치되는 피벗힌지(10)와 모든 구성이 동일하다.
또한, 하부에 설치되는 피벗힌지(10)와 마찬가지로 문틀고정판(20)의 힌지부(21)와 도어고정판(30)에 힌지부(31)사이에 승강부재(40)가 상하로 대향결합 된다.
한편,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 사시도로서, 문틀고정판(20)의 힌지부(21)와 도어고정판(30)의 힌지부(21)와 승강부재(40)를 한 몸체가 되도록 일체로 형성하여 분리형 일때 보다 더욱 향상된 내구성을 갖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문틀고정판(20)의 힌지부(21)와 도어고정판(30)의 힌지부(31)사이에 승강부재(40)를 대향 설치함으로써, 도어가열릴 때 도어가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상승되게 한 것으로서,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제공하는 피벗힌지(10)를 사용할 경우 도어가 닫혀 있을 때는 도어고정판(30)의 힌지부(31) 하부에 결합된 승강부재(40) 상면(42)이 문틀고정판(20)의 힌지부(21) 상부에 결합된 승강부재(40)의 하면(45)과 맞닿은 상태가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가 열릴 때는 도어고정판(30)의 힌지부(31) 하부에 결합된 승강부재(40)의 상면(42)이 문틀고정판(20)의 힌지부(21) 상부에 결합된 승강부재(40)의 경사형 슬라이딩면(43)을 따라 회전하여 상면(42)에 도달하면 도어가 바닥에서 일정 높이로 상승된다.
도 7,8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및 분리 사시도로서, 앞에서 설명한 피벗힌지(10)는 도어 하부에 설치되는 것이나, 이는 도어의 상부에 설치되는 피벗힌지(10)로서, 앞에서 설명한 도어 하부 설치되는 피벗힌지(10)와 같이 문틀고정판(20)의 힌지부(21)와 도어고정판(30)의 힌지부(31) 사이에 승강부재(40)를 대향으로 설치하여 도어가 열릴 때 바닥에서 일정 높이로 상승되게 한 것이다.
한편,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 사시도로서, 문틀고정판(20)의 힌지부(21)와 도어고정판(30)의 힌지부(31)에 승강부재(40)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도어를 열때 도어가 일정높이로 상승되는 동일한 효과를 얻음은 물론 분리형이 아닌 힌지부(21,31)와 승강부재(40)를 일체로 형성하여 더욱 향상된 내구성을 갖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문틀고정판의 힌지부와 도어고정판의 힌지부 사이에 상하 대향되도록 승강부재를 설치하여, 도어가 열릴 때는 상부측 승강부재의 상면이 하부측 승강부재의 경사형 슬라이딩면을 타고 회전하여 하부측 승강부재의 상면과 맞닿아 도어가 일정 높이로 상승되고, 도어가 닫힐 때는 상부측 승강부재 상면이 하부측 승강부재의 경사형 슬라이딩면을 타고 회전하여 하부 승강부재의 하면과 맞닿아 도어가 하강되게 함으로써, 도어가 자연스럽게 개폐되고 도어의 처짐에 의한 바닥면의 긁힘이나 손상, 소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문틀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절곡형성되는 문틀고정판과, 상기 문틀고정판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며 중앙에 힌지축을 구비한 힌지부와, 도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힌지축의 상부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도어고정판으로 구성되는 피벗힌지에 있어서,
    상기 문틀고정판의 힌지부와 도어고정판의 힌지부 사이에 승강부재가 상하로 대향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피벗힌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문틀고정판의 힌지부의 중앙에 형성되는 힌지축에 끼움 결합되며, 상부에는 평면의 상,하면과 상기 상,하면 사이의 경사형 슬라이딩면으로 구성되는 작동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도어용 피벗힌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저면에 문틀고정판의 힌지부와 도어고정판의 힌지부에 형성된 관통공과 대응되는 나사공을 형성하여 체결보울트에 의해 상기 문틀고정판의 힌지부와 도어고정판의 힌지부에 고정 결합됨을 특징으로 도어용 피벗힌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문들 및 도어고정판의 힌지부와 한몸체의 일체로 대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피벗힌지.
KR20-2004-0008811U 2004-03-30 2004-03-30 도어용 피벗 힌지 KR2003537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811U KR200353798Y1 (ko) 2004-03-30 2004-03-30 도어용 피벗 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811U KR200353798Y1 (ko) 2004-03-30 2004-03-30 도어용 피벗 힌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1777A Division KR100561054B1 (ko) 2004-03-30 2004-03-30 도어용 피벗 힌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3798Y1 true KR200353798Y1 (ko) 2004-06-22

Family

ID=49347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8811U KR200353798Y1 (ko) 2004-03-30 2004-03-30 도어용 피벗 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37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6339A1 (en) * 2018-10-12 2020-04-16 Arconic Inc. Fine adjustment mechanism for multi-level hin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6339A1 (en) * 2018-10-12 2020-04-16 Arconic Inc. Fine adjustment mechanism for multi-level hin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7929B1 (en) Window hinge
US5210908A (en) Window stay
KR200353798Y1 (ko) 도어용 피벗 힌지
KR100561054B1 (ko) 도어용 피벗 힌지
KR101068134B1 (ko) 문의 비노출식 경첩구조
KR101654051B1 (ko) 공동주택용 도어 처짐 방지장치
KR100561053B1 (ko) 도어용 경첩
KR200411572Y1 (ko) 문과 그 문이 설치되는 문틀
KR200353797Y1 (ko) 도어용 경첩
KR101152837B1 (ko) 상하 개폐식 가구 도어용 경첩
JP3076983U (ja) 建物用開き戸
KR200388873Y1 (ko) 건축용 호차
JP3245318B2 (ja) 上げ下げ窓及び上げ下げ窓付ドア
KR200287926Y1 (ko) 목재 문짝지지용 힌지
KR960015115B1 (ko) 중력에 의한 자동복귀 미닫이문의 설치구조
KR102623560B1 (ko) 매립형 도어클로저가 적용된 pvc 터닝 도어
CN2869248Y (zh) 一种升降铰链
KR102337827B1 (ko) 사물함 도어용 경첩
KR200453615Y1 (ko) 여닫이 창문용 처짐방지장치
CN2869250Y (zh) 一种升降铰链
KR200447256Y1 (ko) 도어 지지 바퀴 장치
JP2004211360A (ja) 窓構造及び窓の組立方法
KR200249886Y1 (ko) 하부문틀이 없는 도어의 기밀 유지장치
KR100559002B1 (ko) 차량 도어의 닫힘성 개선을 위한 힌지 어셈블리 구조
KR20230032504A (ko) 도어용 손끼임방지 경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07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