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9284B1 - 경첩 - Google Patents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9284B1
KR100389284B1 KR10-1999-0041979A KR19990041979A KR100389284B1 KR 100389284 B1 KR100389284 B1 KR 100389284B1 KR 19990041979 A KR19990041979 A KR 19990041979A KR 100389284 B1 KR100389284 B1 KR 100389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door
groove
fasten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1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9250A (ko
Inventor
정향임
Original Assignee
(주)정인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인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정인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1999-0041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9284B1/ko
Publication of KR20010029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9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9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92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4Flat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1Threaded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둥 또는 문틀과 도어를 결합하여 여닫는데 필수요소가 되는 경첩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반적인 도어는 물론 특수 도어 등에서 경첩을 비교적 자주 해체하고 결합하는 도어의 경첩과 또한 도어의 중량이 많이 나가는 등으로, 구조적 강도의 강함을 요구하는 도어 힌지 등에 적용할 수 있는 경첩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암수 두개의 플레이트가 서로 맞물려 체결핀에 의해 힌지 결합된 경첩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상하 각각에 결합수단으로 일정 깊이와 길이로 절결해낸 홈부를 갖는 경첩 본체와;
상기 홈부에 결합수단으로 걸림되는 걸림턱을 상하에 내향 돌출시키고, 상기 경첩 플레이트에 형성된 체결공 대응위치에 나사공을 형성한 한 쌍의 보강 플레이트와;
상기 보강 플레이트의 나사공에 나사 결합되게 외부 둘레에 수나사부을 갖고 내부에 암나사홈을 형성하되 선단은 첨예하고, 두부에는 드라이버 홈을 형성한 체결부재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경첩{A HINGE}
본 발명은 기둥 또는 문틀과 도어를 결합하여 여닫는데 필수요소가 되는 경첩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반적인 도어는 물론 특수 도어 등에서 경첩을 비교적 자주 해체하고 결합하는 도어의 경첩과, 또한 문짝의 중량이 많이 나가는 등으로, 구조적 강도의 강함을 요구하는 도어 힌지에 적용할 수 있는 경첩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첩은 일반적으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암수 두개의 플레이트 (110,120)가 서로 맞물려 체결핀(130)에 의해힌지 결합되어 경첩(100)을 구성한다.
이 경첩(100)은 문짝(200)과 문설주(300)에 각각 상기 플레이트(110,120)의 두께만큼을 파내어 안착시킨 후, 나사 등과 같은 체결부재(400)로써, 상기 플레이트(110,120)에 가공된 홀(h)을 통하여 각각의 문설주(300) 또는 문짝(200)에 고정 시켜서 결합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경첩(100)은 문설주(300) 또는 문짝(200)의 재질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오랜 사용에 따라 문짝의 하중과 문을 여닫는데 따른 작동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문짝의 처짐이 발생되어 문이 제대로 여닫히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문설주와 문짝 사이의 상하로 적어도 경첩을 3개소 이상에 결합하여 고정하는 등으로 구조적 하중을 해결하고자 하나, 이 역시 근본적인 해결이 되지는 못한다.
또한 경첩(100)의 오랜 사용으로 체결부재(400)의 풀림 등이 발생되고, 이를 재 조임하는 등의 반복에 따라 결국 문짝(200) 내지는 문설주(300)의 경첩을 체결했던 부위가 마모되어, 재 결합시 원래의 결합 강도를 유지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요즘에는 문짝에도 단순 도어의 기능뿐만 아니라 도난 방지 장치나 기밀 기능 등, 각종의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장치들이 제공되고 있는데, 이 제반장치의 부가적 설치나, 또는 점검, 정비 등을 위해서 문짝을 문설주로부터 떼어내야 하는 일이 빈번해지고 있는 실정에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경첩은, 문짝의 탈,부착을 반복하면 할수록 그 결합 강도를 유지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문짝 결합시 보다 안정되고 강한 결합을 이룰 수 있는 경첩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난 방지 장치나 기밀 기능 등의 각종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제공되는 장치들의 부가적 설치나, 또는 설치후 점검, 정비 등을 위해서 문짝을 문설주로부터 떼어내야 하는 일이 빈번한 상황에서도, 그 결합 강도를 유지하기가 적당한 경첩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암수 두 개의 플레이트가 서로 맞물려 체결핀에 의해 힌지 결합된 경첩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상하 각각에 결합 수단으로 일정 깊이와 길이로 절결해낸 홈부를 갖는 경첩 본체와;
상기 홈부에 결합 수단으로 걸림되는 걸림턱을 상하에 내향 돌출시키고, 상기 경첩 플레이트에 형성된 체결공 대응위치에 나사공을 형성한 한 쌍의 보강 플레이트와;
상기 보강 플레이트의 나사공에 나사 결합되게 외부 둘레에 수나사부을 갖고 내부에 암나사홈을 형성하되 선단은 첨예하고, 두부에는 드라이버 홈을 형성한 체결부재;
로 이루어진 경첩으로 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경첩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요부 확대 단면도로써, 결합상태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B-B선 요부 확대 단면도로써, 결합상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
이하에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의 첨부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암수 두 개의 플레이트가 서로 맞물려 체결핀에 의해 힌지 결합된 경첩에 있어서,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11,12)의 상하 각각에 결합 수단을 갖는 경첩 본체(1)와;
상기 경첩 본체(1)와 결합수단에 의해 합체를 이루되, 상기 경첩 본체(1)의 체결공(h) 대응 위치에 보다 큰 직경의 나사공(H)을 형성한 한쌍의 보강 플레이트 (11P,12P)와;
상기 보강 플레이트(11P,12P)를 각각 문짝(200)과 문설주(300)에 고정하는 체결부재(2);
를 포함하는 경첩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 부재(2)는 보강 플레이트(11P,12P)의 나사공(H)에 나사 결합하되, 내부에 암나사홈(21)을 갖고, 외부 둘레에 수나사부(22)를 갖되 선단은 첨예하고, 두부에는 드라이버 홈(23)을 형성한 체결부재(2)로 구성되어, 그 두부 선단면이 보강 플레이트(11P,12P)의 겉면과 일치되는 깊이로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경첩 본체(1)와 보강 플레이트(11P,12P)의 합체는, 경첩 본체 플레이트(11,12)의 상하 각각에 일정 깊이와 길이로 절결해낸 홈부(11a,11b,12a,12b)를 갖는 결합수단과, 상기 홈부(11a,11b,12a,12b)에 걸림되는 걸림턱(11A,11B, 12A,12B)을 보강 플레이트(11P,12P)의 상하에 내향 돌출시킨 결합수단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치상태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경첩이 설치될 자리에 홈파기를 한다. 이때 상기 홈(a)의 깊이는 경첩 본체(1)의 플레이트(11 또는 12)와 보강 플레이트(11P 또는 12P)의 두께를 합한 깊이이거나 그 이하의 깊이가 될 것이다.
이후, 보강 플레이트(11P,12P)를 각각 문설주(300) 및 문짝(200)에 형성된 홈(a) 바닥에 대고 나사공(H)을 통해 본 발명의 체결부재(2)를 체결한다.
이는 드라이버홈(23)에 주지의 드라이버 등을 이용하여 통상의 나사 결합방식으로 돌리면, 체결부재(2)의 외면에 형성된 수나사부(22)가 상기 보강 플레이트 (11P,12P)의 나사공(H)을 통하여 문설주(300) 또는 문짝(200)에 첨예한 선단부가 파고들면서 고정될 것이다.
이때 상기 체결부재(2)는 그 두부 선단면이 보강 플레이트(11P,12P)의 겉면에 일치되는 높이로 결합 고정되어야 한다.
이후, 본 발명의 경첩 본체(1)의 플레이트(11P,12P)를 상기 문설주(300)와 문짝(200) 각각에 고정된 보강 플레이트(11P,12P)에 안착시키면 플레이트(11,12) 각각의 홈부(11a,11b,12a,12b)에 보강 플레이트(11P,12P)의 걸림턱(11A,11B,12A, 12B)이 걸림되어 맞추어진다. 이때 걸림턱(11A,11B,12A,12B)의 돌출된 길이는 경첩 본체(1)의 플레이트(11 또는 12)의 두께와 같거나 작게 돌출된다.
그러면 상기 경첩 본체(1)의 플레이트(11,12)에 형성된 홀(h)이 상기 보강 플레이트(11P,12P)의 나사공(H)을 통하여 결합된 체결부재(2)의 센타와 일치되고,이후, 주지의 볼트부재(3)를 결합 고정시킴으로써 설치 완료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경첩은 종래 문짝의 하중과 작동 하중을 단순히 나사부재에 의한 결합력으로 버티도록한 것을, 본 발명의 체결부재(2)에 의해 보강 플레이트(11P,12P)를 문짝(200) 또는 문설주(300)에 보강하여, 이들 자체의 구조적 강도를 증대시킨 후, 여기에 경첩 본체(1)를 결합함에 따라 강도 증진의 효과를 이루며, 이는 경첩 본체(1)의 플레이트(11,12)에 보강 플레이트(11P,12P)가 걸림 결합되는 것으로 문짝의 하중을 받침하는 작용을 갖게 되어 그 강도가 배가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문짝에 각종 기능을 부여함에 따른 장치가 내장된 경우에 보수점검 또는 부품의 교체 등을 이유로 문짝(200)을 떼어 낼 경우에는, 경첩 본체(1)로부터 볼트부재(3)를 풀어줌으로써, 볼트부재(3)가 체결부재(2)의 암나사홈(21)으로부터 풀려나와 간단히 해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강 플레이트(11P, 12P)는 체결부재(2)와 함께 처음 결합 고정한 상태 그대로이면서 경첩 본체(1)만을 착탈할 수가 있어서, 잦은 착탈에도 문설주(300)나 문짝(200)이 손상을 입어 그 결합력을 저해하는 일이 없이 부품의 교체 및 점검 보수가 이루어질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은 경첩을 이중 구조의 결합체로 하므로써, 결합 강도를 증대시키는 효과와 중요하게는 특수 도어 등에 설치된 장치의 점검 보수 및 교체를 위한 잦은 착탈에도 그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암수 두 개의 플레이트(11,12)가 서로 맞물려 체결핀에 의해 힌지 결합된 경첩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11,12)의 상하 각 각에 일정 깊이와 길이로 절결해낸 홈부(11a,11b,12a,12b) 결합수단을 갖는 경첩 본체(1);
    상기 경첩 본체와 결합수단에 의해 합체를 이루되, 상기 경첩 본체의 체결공(h) 대응위치에 보다 큰 직경의 나사공(H)을 형성하고 상하에는 상기 홈부에 걸림되는 걸림턱(11A,11B,12A,12B) 내향 돌출시킨 결합수단을 갖는 한쌍의 보강 플레이트(11P,12P); 및
    상기 보강 플레이트를 각각 문짝 또는 문설주에 고정하는 체결부재(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경첩.
  2. 제 1항에 있어서, 체결부재(2)는 보강 플레이트(11P,12P)의 나사공(H)에 나사 결합하되 내부에 암나사홈(21)를 갖고, 외부 둘레에 수나사부(22)를 갖되 선단은 첨예하고, 두부에는 드라이버 홈(23)을 형성하여 상기 두부 선단면이 보강 플레이트의 겉면과 일치되는 깊이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경첩.
  3. 삭제
KR10-1999-0041979A 1999-09-30 1999-09-30 경첩 KR100389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1979A KR100389284B1 (ko) 1999-09-30 1999-09-30 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1979A KR100389284B1 (ko) 1999-09-30 1999-09-30 경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9250A KR20010029250A (ko) 2001-04-06
KR100389284B1 true KR100389284B1 (ko) 2003-06-27

Family

ID=19613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1979A KR100389284B1 (ko) 1999-09-30 1999-09-30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92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194B1 (ko) 2009-09-16 2012-03-20 안중식 문짝틀 연결 장치
KR200493350Y1 (ko) * 2019-09-25 2021-03-15 김송기 방화문용 힌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627B1 (ko) * 2010-07-06 2011-05-06 디스커버리씨에스 주식회사 인공 암벽 패널, 인공 암벽 패널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인공 암벽 구조체
KR102657431B1 (ko) * 2022-09-14 2024-04-16 임석대 접이식 매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9973A (ko) * 1987-02-25 1988-10-06 하인리히 베커, 베른 하르트 베크 결정화된 세펨-산부가염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9973A (ko) * 1987-02-25 1988-10-06 하인리히 베커, 베른 하르트 베크 결정화된 세펨-산부가염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194B1 (ko) 2009-09-16 2012-03-20 안중식 문짝틀 연결 장치
KR200493350Y1 (ko) * 2019-09-25 2021-03-15 김송기 방화문용 힌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9250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7069B2 (en) Lock and keeper set
CA2339100A1 (en) Adjustable interconnected lock
US6152498A (en) Latch assembly
KR102389099B1 (ko) 잠금장치를 구비한 자동식 후크
US3863968A (en) Security device for a door
KR100389284B1 (ko) 경첩
US4369994A (en) Strike plate support
CN209761128U (zh) 一种插入式防盗门大角度开启暗铰链
CN1122871A (zh) 金属板固定螺钉
US5906404A (en) Latch socket for reinforcing the lock between a door and a door frame
US3866269A (en) Door security lock
US8356387B1 (en) Bi-fold door structural integrity clamping assembly
CN218759351U (zh) 一种球形锁扣
CN214532533U (zh) 90度内外开启隐藏式防脱落大门装置
CN2750026Y (zh) 一种防盗窗
CN218150295U (zh) 一种围栏锁具及围栏锁具系统
EP0659968B1 (en) Hinge
JP2543499Y2 (ja) 門柱の構造
KR200361302Y1 (ko) 내풍압 강화용 보조재
KR100436931B1 (ko) 에어컨 실외기의 도어구조
KR200413787Y1 (ko) 도어용 손잡이 고정 장치
JP3464997B2 (ja) 障子のあおり止め装置
KR200151467Y1 (ko) 벽걸이형 기기의 도어개폐장치
IE41937B1 (en) Push bar latch operating devices for doors
GB2173248A (en) Locking window fasten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