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2845B1 - 식용유지저장장치 - Google Patents

식용유지저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2845B1
KR101832845B1 KR1020160102914A KR20160102914A KR101832845B1 KR 101832845 B1 KR101832845 B1 KR 101832845B1 KR 1020160102914 A KR1020160102914 A KR 1020160102914A KR 20160102914 A KR20160102914 A KR 20160102914A KR 101832845 B1 KR101832845 B1 KR 101832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ing
reservoir
maintenance
edible oil
inert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2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8037A (ko
Inventor
신승아
감동규
Original Assignee
신승아
감동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승아, 감동규 filed Critical 신승아
Priority to KR1020160102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2845B1/ko
Publication of KR20180018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8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2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2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8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 A47J47/10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with arrangements for keeping fre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Abstract

본 발명은 식용유지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식용유지(食用油脂)가 저장되는 유지저장공간을 마련하는 유지저장부; 상기 유지저장부 내에 저장된 식용유지의 산패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유지저장부측과 연결되어 불활성가스를 공급하는 불활성가스공급부; 상기 유지저장부 내에 저장된 식용유지가 일정한 온도 범위내에서 저장될 수 있도록 상기 유지저장부측의 상기 유지저장공간을 냉각시키는 냉각부; 및 상기 유지저장공간 내에 저장된 식용유지의 관리를 위하여 상기 유지저장부, 상기 불활성가스공급부 또는 상기 냉각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저장공간 내에서, 상기 식용유지로 채워지지 못한 공간을 상기 불활성가스가 채우도록 상기 불활성가스공급부측으로부터 상기 불활성가스가 공급되므로, 식용유지가 산소와 접하여 산패되는 것이 억제되므로 식용유지의 품질저하를 억제할 수 있으며, 식용유지를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으므로 식용유지 관리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식용유지저장장치{Preservation Apparatus for Edible Oil and Fat}
본 발명은 식용유지를 저장하는 식용유지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용유지가 저장되는 동안에 산패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는 식용유지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선하고 보다 맛있는 요리에 관한 관심이 날로 증대함에 따라 각종 요리에 사용되는 식재료의 신선도에 대한 관심 또한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식재료 중에서도 각종 요리에 많이 사용되는 참기름, 들기름, 식용유 등과 같은 식용유지(이하 간단히 식용유지로 통칭함.)의 보관기술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불포화지방산이 포함되는 식물성 식용유지는 건강에 이로운 식재료이지만, 빛과 온도에 따른 적절한 보관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빠르게 트랜스지방화 또는 산패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트랜스 지방화 또는 산패화가 진행된 식용유지는 섭취자의 건강에 상당히 위해하게 된다.
따라서, 식용유지가 산패되지 않도록 안전하게 보관시킬 수 있는 것이 중요하므로 이에 관하여 많은 기술이 연구되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들 중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50689호(발명의 명칭 : 식용유용 산화 방지장치. 이하 선행기술 1)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3374호(발명의 명칭 : 식용기름병. 이하 선행기술 2) 등이 있다.
선행기술 1에 따르면, 튀김통 내부의 식용유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음이온과 원적외선을 발생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기술은 음식점 등에서 요리를 하는 동안에는 유용한 기술이 될 수 있으나, 비교적 장기간 기름을 저장하는데 적용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 2에 따르면, 식용기름병 내에 식용기름을 저장하되 외부의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시킴으로써 기름의 산패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 소개되어 있다. 이러한 기술은 가정에서 소량의 기름에 대하여 이용하기에는 적당할 수 있으나, 저장된 기름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적정보관기간내에 있는지 알기 어려웠으며, 특히 기름이 안전하게 보관될 수 있도록 특정 온도를 유지시켜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식용유지의 적정사용기간동안에 산패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안전하게 저장시킬 수 있는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식용유지가 저장되는 동안에 트랜스지방화 또는 산패되는 것을 억제하여 식용유지의 품질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식용유지저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용유지저장장치는, 식용유지(食用油脂)가 저장되는 유지저장공간을 마련하는 유지저장부; 상기 유지저장부 내에 저장된 식용유지의 산패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유지저장부측과 연결되어 불활성가스를 공급하는 불활성가스공급부; 상기 유지저장부 내에 저장된 식용유지가 일정한 온도 범위내에서 저장될 수 있도록 상기 유지저장부측의 상기 유지저장공간을 냉각시키는 냉각부; 및 상기 유지저장공간 내에 저장된 식용유지의 관리를 위하여 상기 유지저장부, 상기 불활성가스공급부 또는 상기 냉각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저장공간 내에서, 상기 식용유지로 채워지지 못한 공간을 상기 불활성가스가 채우도록 상기 불활성가스공급부측으로부터 상기 불활성가스가 공급되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유지저장부는, 상기 유지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유지저장통; 상기 유지저장통 내에 축적되는 유지침전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유지저장통의 하측에 마련되는 유지침전물배출밸브; 상기 유지저장통의 일측에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유지저장공간 내에 저장된 유지가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유지인출관; 및 상기 유지인출관에 마련되며, 상기 유지저장통 내에 저장된 식용유지가 외부로 반출되는 것을 단속하는 유지인출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유지저장통 내 바닥면은, 상기 유지침전물이 상기 유지침전물배출밸브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하여 상기 유지침전물배출밸브 측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유지저장통 내에 저장된 상기 식용유지에 대한 정보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외부로 전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유지저장통 내에 저장된 상기 식용유지의 보관만료일까지 소정의 기간보다 적은 기간이 남은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외부로 알림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유지저장통 내에 저장되는 상기 식용유지에 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유지저장부는, 상기 유지인출관에 마련되며, 상기 유지저장공간 내에 저장된 식용유지가 외부로 인출되는 양을 제어할 수 있도록 인출되는 유지의 양을 측정하는 인출유량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출유량계로부터 인출되는 유지의 양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고, 소정의 양만큼 식용유지가 인출되면 상기 유지인출밸브가 닫히도록 상기 유지인출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유지인출관 내에 존재하는 식용유지가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유지인출관에는 유지인출관냉각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각부를 제어하여 상기 유지인출관을 냉각시키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유지인출관에 구비된 상기 유지인출관냉각수단은 펠티에(Peltier) 소자인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불활성가스공급부는, 상기 불활성가스가 저장되는 가스저장통; 및 상기 가스저장통 내에 저장된 상기 불활성가스가 상기 유지저장통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가스저장통과 상기 유지저장통 사이를 연통시켜주는 가스공급관;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저장통은, 상기 불활성가스가 저장되는 양에 따라 부피가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가스공급관에는, 상기 불활성가스가 상기 유지저장통 내로 유입되는 것을 단속하는 가스공급밸브가 마련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가스공급관에는, 상기 불활성가스가 상기 유지저장통 내로 유입되는 양을 측정하는 가스유량계; 가 마련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가스공급관에는, 상기 불활성가스가 상기 유지저장통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밀어주는 가스공급펌프; 가 마련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용유지저장장치는 식용유지가 저장되는 유지저장통 내에 불활성가스가 공급되므로, 공기 중의 산소에 의하여 식용유지가 산패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식용유지가 보관되는 온도 또한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식용유지가 저장되는 동안 산패되는 것을 억제시켜줄 수 있다.
또한, 빛이 유지저장통 내로 조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빛에 의한 트랜스지방화 또는 산패가 발생하게 되는 것을 억제시켜주는 효과 또한 있다.
따라서, 산패로 인한 식용유지의 보관기간이 단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저장되는 식용유지의 품질저하를 억제하여 주므로, 식용유지 보관 및 관리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식용유지의 품질관리에 도움이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용유지저장장치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내부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용유지저장장치에서 유지저장통의 일부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용유지저장장치의 불활성가스공급부의 가스저장통이 내부부피가 변화될 수 있도록 수축 또는 팽창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용유지저장장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용유지저장장치에 저장되어 보관중인 식용유지에 대한 정보를 전시하고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용유지저장장치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내부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용유지저장장치에서 유지저장통의 일부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용유지저장장치의 불활성가스공급부의 가스저장통이 내부부피가 변화될 수 있도록 수축 또는 팽창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용유지저장장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용유지저장장치에 저장되어 보관중인 식용유지에 대한 정보를 전시하고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용유지저장장치는 유지저장부, 불활성가스공급부, 냉각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좀 더 바람직하게는 데이터저장부, 디스플레이부, 스피커 또는 입력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유지저장부는 식용유지(食用油脂)가 저장되는 유지저장공간을 마련한다.
여기서, 저장시킬 식용유지에 대하여 외부의 빛을 차단하고 보관적정온도와 유통기한을 지켜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식용유지의 예로서 참기름, 들기름, 올리브유, 대두유, 정제올리브유, 카놀라유 등이 있다. 식용유지는 종류에 따라 보관적정온도와 유통기한이 제각기 다르다. 따라서, 식용유지의 종류에 맞게 보관적정온도와 유통기한을 지켜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지저장부는 유지저장통(110), 유지침전물배출밸브(121), 유지인출관(135) 및 유지인출밸브(1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유지저장통(110)은 유지저장공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유지저장통(110)은 식용유지를 저장할 용량에 맞게 적당한 부피의 유지저장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유지저장통(110)은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티타늄 이나 서스 소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유지저장통(110)은 외부의 빛을 차단하여 식용유지의 변질을 억제한다.
유지저장통(110)은 그 형상이 직사각기둥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원통형으로 형성된 것 또한 바람직하다.
그리고, 유지저장통(110) 내의 바닥면(125)에는 식용유지가 저장되어 있는 동안에 유지침전물이 적재될 수 있다. 이렇게 적재되는 유지침전물을 외부로 반출시켜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지침전물이 좀 더 수월하게 외부로 반출될 수 있도록 유지저장통(110) 내의 바닥면(125)이 기울어지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유지저장통(110) 내 바닥면(125)은 유지침전물이 후술할 유지침전물배출밸브(121)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침전물배출밸브 (121)측으로 테이퍼(taper)지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유지저장통(110) 내에는 유지저장통(110)의 내부용량보다 적은 양의 식용유지가 저장되므로 유지저장공간 내에서, 식용유지로 채워지지 못한 공간을 불활성가스가 채우도록 후술할 불활성가스공급부측으로부터 질소나 아르곤과 같은 불활성가스가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지저장통(110)내에 형성된 유지저장공간에서, 식용유지 외에 산소 등이 포함된 공기가 존재하게 되면, 식용유지가 저장되는 동안에 유지저장통(110) 내의 산소에 의하여 산패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것을 억제 내지 예방하기 위하여, 불활성가스가 유지저장통(110) 내의 상측공간을 차지하도록 함으로써 산소에 의한 산패가 일어나는 것을 억제 또는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후술할 불활성가스공급부로부터 불활성가스가 유지저장통(110) 내로 공급되어진다.
그리고, 도 1에는 유지저장통(110)을 지지하여 주는 유지저장통지지대(140)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저장통지지대(140)에 의해 유지지지통(110)이 지지될 수도 있으며, 유지저장통지지대(140) 없이 식용유지저장장치의 케이스(11. 도 5참조)의 내측에 장착된 형태 또한 충분히 가능하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유지침전물배출밸브(121)는 유지저장통(110) 내에 축적되는 유지침전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유지저장통(110)의 하측에 마련된다.
이러한 유지침전물배출밸브(121)가 후술할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개폐동작을 하여 유지침전물의 배출을 단속하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물론, 사용자에 의하여 수동적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유지인출관(135)은 유지저장통(110)의 일측에 연동되도록 연결되며, 유지저장공간 내에 저장된 유지가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가이드를 한다. 이러한 유지인출관(135) 또한 앞서 언급한 유지저장통(110)과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그리고, 후술할 냉각부에 의하여 유지인출관(135) 또한 일정한 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냉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유지인출관(135) 내에 머무르고 있는 식용유지 또한 유지인출관(135) 내에서 높은 온도로 인하여 부분적으로 산패가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점을 억제 또는 예방하기 위하여 유지인출관(135) 내에서 머무르고 있는 식용유지 또한 일정한 온도 범위 내에 있도록 냉각시켜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유지인출관(135) 또한 일정한 온도 범위 내에 있도록 냉각수단(137)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유지인출관(135) 내에 머무르고 있는 식용유지가 일정한 온도 범위 내에 있도록 하기 위하여 유지인출관(135)을 냉각시켜주는 냉각수단(137)로서, 펠티어(peltier) 소자 또는 냉장고처럼 냉매를 이용하여 냉각시켜주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유지인출밸브(131)는 유지인출관(135)에 마련된다. 바람직하게는 유지인출관(135)의 끝단 측에 마련된다. 그리고, 유지인출밸브(131)는 유지저장통(110) 내에 저장된 식용유지가 외부로 반출되는 것을 개폐통작을 통해 단속한다.
여기서, 유지인출밸브(131)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개폐동작을 하여 식용유지의 반출을 단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유지저장부는 유지인출밸브(131)를 통해 인출되는 식용유지의 양을 측정하는 인출유량계(133)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인출유량계(133)는 유지인출관(135)에 마련되며, 유지저장공간 내에 저장된 식용유지가 유지인출관(135)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는 양을 제어할 수 있도록 외부로 인출되는 유지의 양을 측정한다. 인출유량계(133)를 통해 측정된 정보는 제어부 측으로 전달되며, 제어부는 인출유량계(133)를 통해 측정된 정보를 토대로 인출되는 식용유지의 양을 판단하여 그에 따라 상술한 유지인출밸브(131)의 개폐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유지저장통(110)의 상측단에는 유지저장통캡(113)이 마련되어 있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유지저장통캡(113)에는 후술할 가스공급관(220), 가스회수관(210), 유지공급구(117)와 연결되어 있으며, 유지저장통(110)내 유지저장공간과 연통된다.
유지저장통캡(113)을 핸들링할 수 있도록 상측에는 손잡이(115)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시 유지저장통캡(113)을 열어서 유지저장통(110)을 개방하고 내부를 세척관리할 수도 있다.
예시적 형태로서, 도 5에 식용유지저장장치의 외관형태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제1도어(15)와 제2도어(17)는 식용유지저장장치의 케이스(11)에 마련되어 있다. 제1도어(15)에는 후술할 디스플레이부(300)이 마련되어 있다. 물론, 디스플레이부(300)가 제1도어(15)가 아닌 케이스(11)의 다른 부위에 마련된 형태 또한 충분히 가능하다.
제1도어(15)를 열면 앞서 설명한 유지저장통(110)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게 개방이 된다. 제1도어를 열고 유지저장통(110)을 외부로 꺼내어 세척관리를 할 수도 있으며, 유지저장통캡(113)에 마련된 유지공급구(117)를 통해 유지저장통(110)의 내측으로 식용유지를 주입시킬 수도 있다.
제2도어(17)을 열면 앞서 설명한 유지침전물배출밸브(121)의 하측공간이 개방되어 나타난다. 여기에 유지침전물을 받기 위한 그릇이나 병 등을 놓아두고 유지침전물배출밸브(121)를 개방시켜서 유지침전물을 유지저장통(110)으로부터 배출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도 5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유지인출밸브(131)의 하측공간에 식용유지를 인출받기위한 병이나 그릇을 놓아두고 식용유지를 인출받을 수도 있다.
불활성가스공급부는 유지저장부 내에 저장된 식용유지의 산패를 방지하기 위하여 유지저장부측과 연결되어 불활성가스를 공급한다. 여기서 불활성가스로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질소, 아르곤, 헬륨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불활성가스공급부는 가스저장통(250) 및 가스공급관(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좀 더 바람직하게는 가스공급밸브(221), 가스공급유량계(223), 가스공급펌프(22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가스회수관(21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가스저장통(250)은 불활성가스를 저장한다. 이러한 가스저장통(250)은 불활성가스가 저장되는 양에 따라 부피가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활성가스가 저장되는 양에 따라 부피가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도록 가스저장통(250)은 도면에 예시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자바라와 같은 형태로서 주름관과 같은 형태를 갖춘 것 또한 바람직하다.
유지저장통(110)에 식용유지가 거의 가득찬 경우 유지저장통(110)측으로 공급되어야할 불활성가스의 양은 적다. 따라서 가스저장통(250)은 많은 양의 불활성가스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도록 가스저장통(250)의 부피가 확장된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유지저장통(110)에서 식용유지가 반출됨에 따라 유지저장통(110)측으로 공급되는 불활성가스의 양 또한 증가된다. 이에 따라 가스저장통(250) 내에 저장된 불활성가스의 양은 감소되며 그에 따라 가스저장통(250)의 부피 또한 감소된다.
이와 같이 가스저장통(250) 내에 저장되는 불활성가스의 양에 따라 가스저장통(250)의 부피가 확장 또는 수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가스저장통(250)의 부피가 가변적으로 조정될 수 있으면, 가스저장통(250) 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가스저장통(250)내의 압력이 커서 불활성가스가 유지공급관(220)으로 과잉공급되거나 불활성가스가 공급되는 속도가 너무 빨라서 유지저장통(110) 내 저장된 식용유지가 불필요하게 압력을 받거나 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반대로 가스저장통(250) 내의 압력이 너무 낮으면 유지저장통(110)측으로 불활성가스 공급이 어려울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스저장통(250) 내의 압력변화로 인한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도록 식용유지가 반출되는 양이나 식용유지가 공급되는 양 등에 따라 능동적으로 가스저장통의 용량이 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또한, 유지저장통(110)에 식용유지가 공급되어 식용유지가 차오를 때에는 불활성가스를 회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불활성가스가 원활하게 가스저장통(250) 측으로 회수될 수 있도록 가스저장통(250)의 용량이 확장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가스저장통(250)의 용량변화는 후술할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지저장통(110)에 식용유지가 거의 가득 차 있는 경우 유지저장통(110) 내에 불활성가스는 거의 없고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가스저장통(250) 내에 불활성가스가 저장된 상태이다. 여기서 가스저장통상판프레임(251)은 가스저장통(250)의 상측에 마련되어 가스저장통(250)의 상측단을 잡아준다.
그리고 가스저장통(250)의 하측단에는 가스저장통하판프레임(253)이 마련되어 있다. 가스저장통하판프레임(253)은 가스공급관(220), 가스회수관(210)과 연결되어 있다. 가스저장통하판프레임(253)에 연결된 가스공급관(220)과 가스회수관(210)은 가스저장통(250)과 연통된다. 가스공급관(220)에는 제어부의 제어를 받는 가스공급밸브(221), 가스공급유량계(223), 가스공급펌프(225)가 마련되어있으며, 불활성가스가 유지저장통(110) 측으로 공급될 때 가스공급밸브(221)이 개방된다.
가스회수관(210)에는 가스회수밸브(미도시)가 마련되어 있으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불활성가스를 회수할 때 밸브가 열리도록 한다.
그리고, 유지저장통(110)에서 소정의 양만큼 식용유지가 인출된 경우 식용유지가 인출되어 나간 양만큼 가스저장통(250) 내에 있던 불활성가스가 가스공급관(220)을 통해 유지저장통(110)으로 공급된다.
가스저장통(250)으로부터 빠져나가는 불활성가스의 양만큼 가스저장통(250)의 부피가 감소되도록 가스저장통상판프레임(251)이 가이드봉(257)의 가이드를 받아서 하향이동된다. 따라서, 가스저장통(250) 내에 불활성가스의 압력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반대로 유지저장통(110) 내로 식용유지가 공급되는 경우 유지저장통(110) 내에 존재하는 불활성가스는 다시 가스회수관(210)을 통해 가스저장통(250)으로 회수된다. 여기서 보다 원활하게 가스저장통(250) 내로 불활성가스가 회수될 수 있도록 가스저장통상판프레임(251)이 가이드봉(257)의 가이드를 받아서 상측으로 이동하여 가스저장통(250) 내부의 부피를 확장시킨다. ]
이와 같이 불활성가스를 유지저장통(110)측으로 공급 또는 회수 함으로써 공기중의 산소에 의한 식용유지의 산패를 억제 또는 예방할 수 있게 된다.
가스공급관(220)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가스저장통(250) 내에 저장된 불활성가스가 유지저장통(110)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가스저장통(250)과 유지저장통(110) 사이를 연통시켜준다.
이러한 가스공급관(220)에는 불활성가스가 유지저장통(110)내로 유입되는 것을 단속하기 위한 가스공급밸브(221)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스공급밸브(221)는 후술할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개폐동작을 통해 불활성가스의 공급에 대한 단속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가스공급관(220)에 가스공급유량계(223)가 마련되어 있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불활성가스가 유지저장통(110) 내로 유입되는 양을 가스공급유량계(223)가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제어부 측으로 전달하면 제어부는 가스공급유량계(223)를 통해 불활성가스가 공급되는 양을 판단하고 그에 따라 가스공급밸브(221)의 개폐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가스공급관(220)에 가스공급펌프(225)가 마련된 것 또한 바람직하다.
불활성가스의 압력이 충분하지 못해서 유지저장통(110) 측으로 필요한 양만큼 공급되지 못할 경우 이를 보완하여 불활성가스를 유지저장통(110) 측으로 넣어줄 수 있도록 가스공급펌프(225)가 공급압력을 높여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가스공급펌프(225) 또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부는 유지저장부 내에 저장된 식용유지가 일정한 온도 범위내에서 저장될 수 있도록 유지저장부 측의 유지저장공간을 냉각시켜준다.
이러한 냉각부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냉매를 통해 유지저장통(110)을 일정 온도로 낮춰주거나 펠티어 소자를 이용하여 일정 온도로 낮춰준다.
식용유지가 참기름인 경우, 참기름의 보관적정온도는 섭씨 18도 내지 22도씨이다. 온도가 섭씨 18도 미만이거나 섭씨 22도를 초과하게 되면 참기름은 빠르게 상하게 되므로 18도 내지 22도를 준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들기름의 경우 보관적정온도는 섭씨 0도 내지 섭씨 5도이다. 보관적정온도 범위 밖의 온도에서는 들기름이 빠르게 부패하게 되므로 보관적정온도 범위내에서 보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저장되는 식용유지에 따라 보관적정온도의 범위가 다르기에 제어부는 유지저장통(110) 내에 저장되는 식용유지의 종류에 맞게 냉각부를 제어하여 유지저장통(110)을 일정 온도로 낮추도록 한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지인출관 또한 일정 온도로 낮춰준다.
제어부는 유지저장공간 내에 저장된 식용유지의 관리를 위하여 유지저장부, 불활성가스공급부 또는 냉각부를 제어한다.
제어부는 인출유량계(133)로부터 인출되는 유지의 양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고, 소정의 양만큼 식용유지가 인출되면 유지인출밸브(131)가 닫히도록 유지인출밸브(131)를 제어한다. 여기서 유지인출관(135)을 통해 인출되는 식용유지의 양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인출양에 따라 제어부가 유지인출밸브(131)를 제어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지인출관(135) 내에 존재하는 식용유지가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유지인출관(135)에는 유지인출관냉각수단(137)이 구비되어 있으며, 제어부는 냉각부를 제어하여 유지인출관(135)을 냉각시켜준다.
여기서, 유지인출관(135)에 구비된 유지인출관냉각수단(137)은 펠티에(Peltier) 소자인 것 또한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는 식용유지가 인출된 양만큼 유지저장통(110) 상측에 불활성가스가 공급되도록 불활성가스공급부를 제어한다. 즉, 식용유지가 100mL 만큼 인출될 때 제어부는 가스저장통(250)으로부터 불활성가스가 100mL 만큼 공급되도록 가스공급밸브(221)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며, 공급되는 불활성가스의 양을 가스공급유량계(223)를 통해 파악한다. 그리고, 필요시에는 가스공급펌프(225)가 작동되도록 하여 불활성가스가 필요한 양만큼 유지저장통(110) 내로 공급되도록 한다.
아울러 가스저장통(250)에서 불활성가스가 유지저장통(110)으로 공급된 양에 해당되는 부피만큼 가스저장통(250)의 부피가 축소되도록 가스저장통상단프레임(251)을 하향이동되도록 제어부가 제어한다.
마찬가지로 유지저장통(110) 내에 식용유지가 채워지면, 불활성가스를 가스회수관(210)을 통해 가스저장통(250) 내로 회수하며, 이를 위해 가스저장통상단프레임(251)이 상향이동 되도록 제어부가 제어를 한다.
한 편, 이와 같은 제어부의 제어를 위하여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미도시)가 구비된 것 또한 바람직하다.
데이터저장부 내에는 식용유지의 종류에 따른 적정보관온도범위 및 보관가능기간에 대한 정보등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는 데이터저장부를 제어하여 필요에 따라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토대로 식용유지의 보관온도를 설정하고 보관가능한 잔여기간 등을 계산할 수 있다.
식용유지는 식약청에서 고시한 제조일로부터 권장된 사용기한이 있으며, 일부 식용유지는 별도로 제조일로부터 사용기한을 명시하고 있다. 따라서, 식용유지의 명칭만 정확하게 입력을 하면, 자동설정으로 인해 제어부가 사용기한을 자동으로 설정시킴으로써, 좀 더 구첵저면서도 명확하게 사용기한을 준수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아울러 제어부는 후술할 입력부 등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식용유지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고 이를 데이터저장부에 저장시킬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유지저장통(110) 내에 저장된 식용유지에 대한 정보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외부로 전시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형태(300)를 도 6에 개략적으로 도시를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디스플레이부는 터치스크린(300)인 것 또한 바람직하다.
터치스크린(300)을 터치하면, 터치에 의해 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하게되고 제어부는 신호에 따라 정보내용을 변경하거나 스크린상에 정보내용을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에 의해 식용유지의 사용가능여부에 관하여 3단계로 구분하여 표시하여 알려주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좀 더 구체적인 예를 들면, 식용유지류별 사용가능여부는 보관된 식용유지류의 현재일자와 유통기한의 일자에 따라 식용유지류별 사용가능여부를 정상상태, 주의상태, 교체요망상태로 구분하여 출력을 하고, 보관된 식용유지류의 현재일자와 유통기한일자를 비교하여 유통기한의 잔여정도에 따라 색상을 달리 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색상구분은 다음과 같은 예와 같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정상상태는 정상적으로 사용가능하다는 의미로 녹색으로 출력되고, 주의상태는 유통기한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의미로 황색으로 출력되며, 교체요망상태는 유통기한 이후에 교체하라는 의미로 적색으로 출력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정상상태, 주의상태, 교체요망상태는 다음과 같이 구분지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조일에서 유통기한까지 총 일수 중에서 지난 일수가 0~33%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정상상태로 판단하며, 34~66%에 해당되는 경우 주의상태로 판단하고, 67~100% 인 경우에는 교체요망상태로 판단하고, 판단된 상태에 맞는 색상을 출력한다.
그리고 좀 더 바람직하게는 스피커(미도시)와 같은 소리출력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스피커는 유지저장통(110) 내에 저장된 식용유지의 보관만료일까지 소정의 기간보다 적은 기간이 남은 경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외부로 알림음을 출력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알림음을 듣고 식용유지의 보관만료일이 얼마 남지 않았음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보관만료일까지 남은 잔여기간이 어느 정도일 때 알림음이 출력되게 할 것인지를 후술할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보관만료일까지 남은 기간이 2일일 때 알림음을 출력하도록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으면 그에 따라 제어부는 보관만료일이 2일 남은 때에 알림음을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보관만료일이 다가왔음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유지저장부에 저장되는 식용유지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하여 입력수단(미도시)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에 의한 정보입력도 바람직하며, 별도로 키보드와 같은 입력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이러한 입력수단을 통해 유지저장부에 저장시킬 식용유지에 관한 정보 또는 보관만료일까지 남은 기간을 알려주는 알림시기 등과 같은 작동조건 등을 입력하면, 제어부는 입력된 정보를 토대로 식용유지에 대한 상태를 디스플레이부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용유지저장장치는, 식용유지가 저장되는 유지저장통 내에 불활성가스가 공급되므로, 공기 중의 산소에 의하여 산패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보관되는 온도 또한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식용유지가 저장되는 동안 산패되는 것을 억제시켜주는 장점이 있다.
또한, 빛이 유지저장통 내로 조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빛에 의한 트랜스지방화 또는 산패가 발생하게 되는 것을 억제시켜주는 장점 또한 있다.
따라서, 식용유지 보관 및 관리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식용유지 보관기간이 단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저장되는 식용유지의 품질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아울러 필요한 양만큼 식용유지를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다는 장점 또한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10 : 유지저장통 121 : 유지침전물배출밸브
131 : 유지인출밸브 133 : 인출유량계
210 : 가스회수관 220 : 가스공급관
221 : 가스공급밸브 223 : 가스공급유량계
250 : 가스저장통

Claims (14)

  1. 식용유지(食用油脂)가 저장되는 유지저장공간을 마련하는 유지저장부;
    상기 유지저장부 내에 저장된 식용유지의 산패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유지저장부측과 연결되어 불활성가스를 공급하는 불활성가스공급부;
    상기 유지저장부 내에 저장된 식용유지가 일정한 온도 범위내에서 저장될 수 있도록 상기 유지저장부측의 상기 유지저장공간을 냉각시키는 냉각부; 및
    상기 유지저장공간 내에 저장된 식용유지의 관리를 위하여 상기 유지저장부, 상기 불활성가스공급부 또는 상기 냉각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저장공간 내에서,
    상기 식용유지로 채워지지 못한 공간을 상기 불활성가스가 채우도록 상기 불활성가스공급부측으로부터 상기 불활성가스가 공급되며,
    상기 유지저장부는,
    상기 식용유지에 대하여 외부의 빛을 차단하기 위하여 밀폐되는 상기 유지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유지저장통;
    상기 유지저장통 내에 축적되는 유지침전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유지저장통의 하측에 마련되는 유지침전물배출밸브;
    상기 유지저장통의 일측에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유지저장공간 내에 저장된 유지가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유지인출관;
    상기 유지인출관에 마련되며, 상기 유지저장통 내에 저장된 식용유지가 외부로 반출되는 것을 단속하는 유지인출밸브; 및
    상기 유지인출관에 마련되며, 상기 유지저장공간 내에 저장된 식용유지가 외부로 인출되는 양을 제어할 수 있도록 인출되는 유지의 양을 측정하는 인출유량계;를 포함하되,
    상기 유지저장통을 개폐시켜줄 수 있는 유지저장통캡이 상기 유지저장통의 상측단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출유량계로부터 인출되는 유지의 양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고, 소정의 양만큼 식용유지가 인출되면 상기 유지인출밸브가 닫히도록 상기 유지인출밸브를 제어하며,
    상기 유지저장통 내에 저장된 상기 식용유지에 대한 정보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외부로 전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유지저장통 내에 저장된 상기 식용유지의 보관만료일까지 소정의 기간보다 적은 기간이 남은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외부로 알림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및
    상기 유지저장통 내에 저장되는 상기 식용유지에 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유지저장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저장통 내 바닥면은,
    상기 유지침전물이 상기 유지침전물배출밸브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하여 상기 유지침전물배출밸브 측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유지저장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인출관 내에 존재하는 식용유지가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유지인출관에는 유지인출관냉각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각부를 제어하여 상기 유지인출관을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유지저장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인출관에 구비된 상기 유지인출관냉각수단은 펠티에(Peltier)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유지 저장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불활성가스공급부는,
    상기 불활성가스가 저장되는 가스저장통; 및
    상기 가스저장통 내에 저장된 상기 불활성가스가 상기 유지저장통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가스저장통과 상기 유지저장통 사이를 연통시켜주는 가스공급관;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저장통은,
    상기 불활성가스가 저장되는 양에 따라 부피가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유지저장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공급관에는,
    상기 불활성가스가 상기 유지저장통 내로 유입되는 것을 단속하는 가스공급밸브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유지저장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공급관에는,
    상기 불활성가스가 상기 유지저장통 내로 유입되는 양을 측정하는 가스유량계; 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유지저장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공급관에는,
    상기 불활성가스가 상기 유지저장통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밀어주는 가스공급펌프; 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유지저장장치.




KR1020160102914A 2016-08-12 2016-08-12 식용유지저장장치 KR101832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914A KR101832845B1 (ko) 2016-08-12 2016-08-12 식용유지저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914A KR101832845B1 (ko) 2016-08-12 2016-08-12 식용유지저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8037A KR20180018037A (ko) 2018-02-21
KR101832845B1 true KR101832845B1 (ko) 2018-02-27

Family

ID=61394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2914A KR101832845B1 (ko) 2016-08-12 2016-08-12 식용유지저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28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997B1 (ko) 2020-07-28 2020-09-14 김서현 항노화 식용유지 보관장치
KR102155998B1 (ko) * 2020-07-29 2020-09-14 김서현 항노화 식용유지 보관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992B1 (ko) * 2009-08-28 2013-01-02 오은수 튀김조리기
JP5234456B2 (ja) 2008-03-28 2013-07-10 公益財団法人北九州産業学術推進機構 油脂の接触分解方法
KR101489407B1 (ko) * 2014-09-19 2015-02-04 범일산업 주식회사 전자 유도가열을 이용한 산패방지용 튀김장치
JP7112408B2 (ja) 2017-09-01 2022-08-03 株式会社クラレ 重荷重タイヤ用ゴム組成物およびタイ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34456B2 (ja) 2008-03-28 2013-07-10 公益財団法人北九州産業学術推進機構 油脂の接触分解方法
KR101217992B1 (ko) * 2009-08-28 2013-01-02 오은수 튀김조리기
KR101489407B1 (ko) * 2014-09-19 2015-02-04 범일산업 주식회사 전자 유도가열을 이용한 산패방지용 튀김장치
JP7112408B2 (ja) 2017-09-01 2022-08-03 株式会社クラレ 重荷重タイヤ用ゴム組成物およびタイ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997B1 (ko) 2020-07-28 2020-09-14 김서현 항노화 식용유지 보관장치
KR102155998B1 (ko) * 2020-07-29 2020-09-14 김서현 항노화 식용유지 보관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8037A (ko) 201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2845B1 (ko) 식용유지저장장치
US20190053658A1 (en) Apparatus for making a drink
CN106103334A (zh) 包括冷却单元的饮料分配器具
KR20180025899A (ko) 수소 용해 액체 토출 포트 및 가압된 수소 용해 액체를 생성하는 방법
JP2014202579A (ja) 表面張力測定装置および表面張力測定方法、ならびに臨界ミセル濃度測定装置および臨界ミセル濃度測定方法
US10947098B2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42668B1 (ko) 더치커피 추출장치
US11350786B2 (en) Beverage brewing assembly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US20170297891A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8511095A (zh) 一种核电厂反应堆一回路冷却剂充排系统
JP6010716B1 (ja) 水素水製造装置及び水素水製造方法
CN204815797U (zh) 一种卤制机的去油装置
KR20150022670A (ko) 음료수 디스펜서 및 음료수 디스펜서의 제어 방법
US20090120961A1 (en) Multiple Chilled Alcoholic Beverages Dispenser System
AU2014396061A1 (en) An automatic beverage cooler and a method for cooling beverages
CN116171252A (zh) 微型液氮注入器
CN209889198U (zh) 一种适合不饱和脂肪酸油脂的新型充氮装置
KR200475582Y1 (ko) 병렬식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1580100B1 (ko) 맥주 충전과 공급이 편리한 맥주공급장치 및 이를 위한 맥주충전시스템과 맥주충전방법
JP2011025973A (ja) 缶詰の製造方法
KR20090042707A (ko) 녹차 추출 방법 및 장치
AU2001100273B4 (en) Wine storage and dispensing machine
NL2022987B1 (nl) Inrichting voor het gekoeld drinken en presenteren van een te consumeren drank
KR101611706B1 (ko) 탄산수 제조 장치, 탄산수 제조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CN115682532B (zh) 一种冰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