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582Y1 - 병렬식 더치커피 추출장치 - Google Patents

병렬식 더치커피 추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582Y1
KR200475582Y1 KR2020130003988U KR20130003988U KR200475582Y1 KR 200475582 Y1 KR200475582 Y1 KR 200475582Y1 KR 2020130003988 U KR2020130003988 U KR 2020130003988U KR 20130003988 U KR20130003988 U KR 20130003988U KR 200475582 Y1 KR200475582 Y1 KR 2004755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water
pipe
dropping
control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39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5993U (ko
Inventor
배진석
Original Assignee
배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진석 filed Critical 배진석
Priority to KR20201300039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582Y1/ko
Publication of KR201400059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9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5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5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 A47J31/56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having water-level controls; having temperature controls

Abstract

본 고안은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자면, 수도관에서 직접 연결되는 급수관 및 적하관(滴下管)과, 상기 적하관의 하단에 설치되는 원두보관통과, 상기 원두보관통 상단에 설치되는 월수관(越水管)과, 상기 원두보관통 하단에서 커피추출액을 받아두는 커피받침통과, 상기 커피받침통의 상단에 설치된 수위조절밸브로 구성되어 있어서, 각 생산 배치마다 따로 상온수를 공급해 줄 필요가 없고, 상온수의 적하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한 번에 많은 양의 더치커피를 균일한 품질로 연속 생산할 수 있는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병렬식 더치커피 추출장치{A parallel apparatus for extracting dutch coffee}
본 고안은 병렬식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자면, 수도관에서 직접 연결되는 급수관 및 적하관(滴下管)과, 상기 적하관의 하단에 설치되는 원두보관통과, 상기 원두보관통 상단에 설치되는 월수관(越水管)과, 상기 원두보관통 하단에서 커피추출액을 받아두는 커피받침통과, 상기 커피받침통의 상단에 설치된 수위조절밸브로 구성되어 있어서, 각 생산 배치마다 따로 상온수를 공급해 줄 필요가 없고, 상온수의 적하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한 번에 많은 양의 더치커피를 균일한 품질로 연속 생산할 수 있는 병렬식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치커피(Dutch coffee)는 드립커피(drip coffee) 커피의 일종으로서, 가열 또는 냉각을 하지 않은 상온의 물(이하, ‘상온수’라 함)을 사용하여 장시간 동안에 걸쳐서 천천히 추출해 낸 액상 커피를 말한다. 이러한 더치커피는 70~80℃ 정도의 가열수를 사용하는 통상적인 드립커피에 비해 카페인의 함량이 적고, 커피 고유의 깊은 맛과 풍미를 느낄 수 있으며, 특히 추출된 커피를 오랫동안 보관해 두고 마실 수 있는 장점이 있어서 애호가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종래의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일반적으로 상온수를 담고 있는 물통과, 분쇄한 원두커피를 담고 있는 원두보관통, 그리고 커피추출액을 받아두는 커피용기가 상하로 나란히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상기 물통에 저장된 상온수를 1~2초에 한 방울씩 천천히 원두통 위로 적하(滴下)시키고, 상기 원두보관통에서 흘러내리는 커피추출액을 상기 커피용기에 받아 모아서 음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더치커피 추출장치에서는 상기 물통과 원두보관통에 각각 일정량의 상온수와 분쇄한 원두커피를 넣고 드립(drip)을 시작하며, 그래서 상기 물통에 저장되어 있던 상온수가 모두 소진되면 커피 한 배치(batch)에 대한 추출이 완료된다. 이때, 더치커피 한 배치를 드립 하는데 보통 8~12시간이 소요되며, 이때 커피추출액이 일정한 맛과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물통에서 떨어지는 상온수가 일정한 적하속도를 유지해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추출장치에서는 물통에 저장되어 있는 상온수의 양이 점차 줄어들면서 수압이 달라지면 원두통 위에 떨어지는 상온수의 적하속도가 조금씩 늦어지고 마침내 상온수의 공급이 중단될 수도 있기 때문에 사람이 추출과정을 계속 지켜보면서 적하속도를 조절해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특허공개 제10-2012-0078180호(공개일자; 2012년 07월 10일)에는 첨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레임(10) 상부에 배치되어 상온수를 담고 있는 저장탱크(20)와, 상기 저장탱크(20)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드립뭉치(21)와, 상기 저장탱크(20)의 하부에서 상기 드립뭉치(21)를 내장하고 있는 물받이부(30)와, 상기 물받이부(30)에서 떨어지는 상온수의 양을 조절하는 조절밸브(31)와, 상기 조절밸브(31)의 하부에 배치되는 받침용기(40)와, 상기 받침용기(40)의 상단에 안치되어 분쇄 커피를 담고 있는 거름용기(41)와, 상기 드립뭉치(21)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상온수를 막을 수 있는 마개(50)와, 상기 드립뭉치(21)의 하부에서 상기 마개(50)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51)를 포함하여 구성된 더치커피기구(100)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더치커피기구(100)에서는 물받이부(30)에 고인 상온수의 양이 줄어들면 드립뭉치(21)의 하단에서 마개(50)가 이탈하여 드립뭉치(21)를 통해 물받이부(30)로 상온수가 적하되고, 물받이부(30)에 일정량의 상온수가 채워지면 마개(50)가 떠올라 상온수가 더 이상 적하되지 않도록 드립뭉치(21)의 하단을 막아준다. 그래서, 상기 물받이부(30) 내에는 항상 일정한 양의 상온수가 채워지게 되고, 따라서 조절밸브(31)를 통해 거름용기(41) 위로 떨어지는 상온수가 항상 일정한 적하속도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78180호(공개일자 2012년 07월 10일)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06406호(공개일자 2012년 09월 26일)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14693호(공개일자 2013년 02월 08일)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더치커피 추출기구에서는 상온수를 저장하는 물통의 용량이 한정되어 있어서 한 배치의 상온수를 소진한 이후에는 다시 물통에 상온수를 채워 넣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럽고, 오염의 우려가 있을 뿐 아니라, 대량의 더치커피를 추출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한 배치 당 추출 용량을 높이기 위해서 상기 물통의 용량을 늘이게 되면, 물통 속에 저장되어 있는 상온수의 수압이 높아져서 상기 특허공개 제10-2012-0078180호에 소개된 드립뭉치(21)와 마개(50)와 같은 구성만으로는 상온수의 적하속도를 일정하게 조절하기가 매우 곤란한 문제가 있다.
이에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온수가 자동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고, 나아가 상온수의 적하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서 품질이 균일한 더치커피를 대량으로 연속 생산할 수 있는 병렬식 추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병렬식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수도관(W)에서 바로 연결되는 하나의 급수관과; 상기 급수관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하방으로 분기되며, 각각 유량조절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적하관(滴下管)과; 상기 적하관의 하단에 설치되어 분쇄된 원두커피(C1)를 담고 있으며, 하단에는 추출관이 설치되어 있는 원두보관통과; 상기 원두보관통의 상단에 설치되어 일정 수위 이상의 물을 밖으로 배출하는 월수관(越水管)과; 상기 추출관 하단에 설치된 커피받침통과; 상기 커피받침통의 상단에 설치되어 커피추출액(C2)이 소정의 수위에 이르면 상기 추출관을 차단하는 수위조절밸브;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병렬식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각 생산 배치마다 따로 상온수를 공급해 줄 필요가 없고, 추출과정을 사람이 계속 지켜보지 않더라도 상온수의 적하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고, 나아가 한 번에 많은 양의 더치커피를 균일한 품질로 연속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더치커피 추출기구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하는 도 2에서는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 1과 상관없이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독자적인 명칭과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본 고안에 따른 병렬식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급수관(10)과 적하관(20), 원두보관통(30), 월수관(40), 커피받침통(50), 수위조절밸브(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급수관(10)은 통상적인 상수도나 지하수를 공급하는 수도관(W)에서 바로 연결되며, 정수기(1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급수관(10)에서는 따로 가온을 하거나 냉각을 하지 않은 상온수가 공급되며, 상기 정수기(11)는 통상적인 식수용 정수기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적하관(20)은 상기 급수관(10)에서 분기되어 상온수를 공급하는 것으로, 각각 유량조절밸브(21)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온수의 적하속도는 상기 유량조절밸브(21)에 의해서 1~2초에 한 방울 씩 떨어지도록 조절된다.
상기 원두보관통(30)은 상기 적하관(20)의 하단에 설치되어 분쇄된 원두커피(C1)를 담아 두는 것으로, 하단에는 추출관(3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원두보관통(30)의 구조는 커피추출액이 상기 추출관(31)으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반부를 깔때기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두보관통(30)은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취급이 용이한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지고, 크기에 따라 각각 1~3개의 적하관(2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원두보관통(30)은 지지대(F) 상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추출관(31)에는 각각 차단밸브(32)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월수관(40)은 상기 원두보관통(30) 내부에 채워지는 물이 일정한 수위에 이르면, 더 이상 물이 채워지지 않도록 물을 밖으로 배출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상기 월수관(40)은 상기 원두보관통(30)의 상단에 설치된다.
상기 커피받침통(50)은 상기 추출관(31)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원두보관통(30)에서 흘러나오는 커피추출액(C2)을 받아두는 기능을 한다.
상기 수위조절밸브(60)는 상기 커피받침통(40)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커피받침통(40) 속에 채워지는 커피추출액(C2)이 소정의 수위에 이르면 상기 추출관(31)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수위조절밸브(60)는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어떤 구조의 수위조절밸브를 사용해도 좋으나, 도 3와 같이 부구(浮球)가 설치된 플로우팅 밸브(floating valve)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더치커피 추출장치에서는, 상기 급수관(10)에 항상 일정한 수압이 미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적하관(20)이 막힐 염려가 없고, 유량조절밸브(21)만 한번 조정해 두면, 상기 원두보관통(30) 위로 떨어지는 상온수의 적하속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각 생산 배치마다 따로 상온수를 공급해 줄 필요가 없고, 상기 커피받침통(40)에 일정량의 커피추출액이 채워지면 상기 수위조절밸브(60)가 추출관(31)을 차단하기 때문에 커피받침통(40)이 흘러넘칠 우려가 없다.
그리고 상기 추출관(31)이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적하관(20)을 통해 원두보관통(30) 위로 계속 상온수가 공급되더라도 일정 수위 이상의 물은 월수관(40)을 통해 밖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상기 원두보관통(30) 역시 흘러넘칠 우려가 없다.
이처럼 본 고안의 병렬식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추출 과정을 사람이 계속이 지켜보지 않더라도 상온수의 적하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하나의 급수관(10)에 다수개의 원두보관통(30)과 다수개의 커피받침통(50)이 한 라인씩 짝을 이루어 각각 병렬로 연결되어 있어서 한 번에 많은 양의 더치커피를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도 있는 장점이 있다.
10; 급수관(給水管) 11; 정수기
20; 적하관(滴下管) 21; 유량조절밸브
30; 원두보관통 31; 추출관
32; 차단밸브 40; 월수관(越水管)
50; 커피받침통 60; 수위조절밸브
W; 수도관 C1; 원두커피
C2; 커피추출액 F; 지지대

Claims (4)

  1. 수도관(W)에서 바로 연결되는 하나의 급수관(10)과:
    상기 급수관(10)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하방으로 분기되며, 각각 유량조절밸브(21)가 설치되어 있는 적하관(20)과;
    상기 적하관(20)의 하단에 각각 설치되어 분쇄된 원두커피(C1)를 담고 있으며, 하단에는 추출관(31)이 설치되어 있는 원두보관통(30)과;
    상기 원두보관통(30)의 상단에 설치되어 일정 수위 이상의 물을 밖으로 배출하는 월수관(40)과;
    상기 추출관(31) 하단에 설치된 커피받침통(50)과;
    상기 커피받침통(50)의 상단에 설치되어 커피추출액(C2)이 소정의 수위에 이르면 상기 추출관(31)을 차단하는 수위조절밸브(6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급수관(10)에는 다수개의 원두보관통(30)과 다수개의 커피받침통(50)이 한 라인씩 짝을 이루어 각각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원두보관통(30)은 스테인레스 재질로서 지지대(F) 상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식 더치커피 추출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조절밸브(60)는 부구(浮球)가 설치된 플로우팅 밸브(floating valv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KR2020130003988U 2013-05-22 2013-05-22 병렬식 더치커피 추출장치 KR2004755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988U KR200475582Y1 (ko) 2013-05-22 2013-05-22 병렬식 더치커피 추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988U KR200475582Y1 (ko) 2013-05-22 2013-05-22 병렬식 더치커피 추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993U KR20140005993U (ko) 2014-12-02
KR200475582Y1 true KR200475582Y1 (ko) 2014-12-17

Family

ID=52457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3988U KR200475582Y1 (ko) 2013-05-22 2013-05-22 병렬식 더치커피 추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58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12433B (zh) * 2020-05-24 2022-11-25 林庆辉 一种自动调配奶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535B1 (ko) * 2012-05-17 2013-01-23 손연옥 워터드립커피 자동 추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535B1 (ko) * 2012-05-17 2013-01-23 손연옥 워터드립커피 자동 추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993U (ko) 2014-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78180A (ko) 더치커피기구의 수압 안정장치
KR101615852B1 (ko) 더치커피 추출장치
US20200102144A1 (en) Apparatus and products for producing beverage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ame
US8635944B2 (en) Coffee machine for the preparation of a fresh, cold, coffee-based beverage
KR101496932B1 (ko) 더치커피 제조기구
KR101395307B1 (ko) 워터드립 커피용 추출장치
RU2016121311A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из капсулы, капсула и систем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KR101330206B1 (ko) 에스프레소 커피머신
CN101953632A (zh) 用于输出饮料的设备
RU2016148737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горячих и холодных напитков
EP2277372B1 (en) Drip irrigator for potted plants
KR200475582Y1 (ko) 병렬식 더치커피 추출장치
KR20150069118A (ko) 더치커피 추출장치
RU2516862C2 (ru) Фильтров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KR101824522B1 (ko) 진공력을 이용한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
US3356010A (en) Beverage brewer
KR101582722B1 (ko) 더치커피(Dutch Coffee)추출수 드립(Drip)제어밸브
KR101569824B1 (ko) 커피 추출장치
KR101749938B1 (ko) 더치커피 제조장치
TWM590365U (zh) 數位咖啡冷萃機
EP2423167B1 (fr) Dispositif de filtration amovible, notamment pour un récipient tel qu'une bouteille
KR101825620B1 (ko)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이용하여 더치커피를 추출하는 제조방법
NO121061B (ko)
KR20210019970A (ko) 커피 캡슐
KR101464987B1 (ko) 더치 커피 추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