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7992B1 - 튀김조리기 - Google Patents

튀김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7992B1
KR101217992B1 KR1020090080491A KR20090080491A KR101217992B1 KR 101217992 B1 KR101217992 B1 KR 101217992B1 KR 1020090080491 A KR1020090080491 A KR 1020090080491A KR 20090080491 A KR20090080491 A KR 20090080491A KR 101217992 B1 KR101217992 B1 KR 101217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frying
tank
discharge pipe
fil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0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2955A (ko
Inventor
오은수
Original Assignee
오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은수 filed Critical 오은수
Priority to KR1020090080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7992B1/ko
Publication of KR20110022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2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7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7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66Control devices, e.g. to control temperature, level or quality of the frying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23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with means for filtering the frying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6Constructional details
    • A47J37/1285Valves or arrangements to drain used oil or food particles settled at the bottom of the frying vess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름을 순환시켜 불순물을 제거함으로써 깨끗한 기름으로 음식을 조리할 수 있으며, 기름을 더 오래 사용하도록 한 튀김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음식물을 튀길 기름을 수용하는 튀김탱크; 상기 튀김탱크를 가열하는 히터; 상기 튀김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기름을 순환시키는 통로를 제공하는 순환관; 상기 순환관을 통해 상기 기름을 순환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펌프; 상기 순환관에 연결되어 불순물을 차단하는 필터탱크; 및 상기 튀김탱크와 필터탱크를 연결하는 연결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튀김조리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튀김조리시 불순물을 제거하여 깨끗한 기름을 상당 시간 유지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기름을 교체할 때 및 집진기를 세정할 때를 명확하게 알 수 있다.
튀김, 필터탱크, 펌프

Description

튀김조리기{Frying machine}
본 발명은 튀김조리기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기름을 순환시켜 불순물을 제거함으로써 깨끗한 기름으로 음식을 조리할 수 있으며, 기름을 더 오래 사용하도록 한 튀김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닭이나 돈까스 등 기름으로 음식물을 튀겨서 조리할 수 있게 하는 튀김조리기에 있어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불결한 기름상태이다.
위생적으로 음식을 조리하기 위해서는 물론 깨끗한 기름을 사용해야 하나 조리를 계속함에 따라 음식물에서 나오는 찌꺼기와 부산물들은 피할 수가 없다. 그렇다고 비싼 기름을 매번 한 번만 쓰고 버리는 것도 낭비이다. 왜냐하면, 어느 정도까지는 위생상태를 불량하게 하지 않고 기름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튀김조리기에 대해 설명한다.
종래의 튀김조리기는 본체(50), 튀김탱크(10), 히터(30), 그물망(20), 제어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50)는 전체 외관을 구성하는 프레임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상면에 구비된 튀김탱크(10)는 음식물을 튀길 기름을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튀김탱크(10)의 하면 내부에는 상기 기름을 가열시키는 히터(3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튀김탱크(10)의 내부홈에는 음식물을 올릴 수 있도록 그물망(2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50)에는 히터(30)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부(40)가 구비된다.
이러한 구조의 튀김조리기에서는 조리시 음식물에서 나오는 부산물로 인해 금방 기름이 오염되어 위생을 철저히 하려면 수시로 기름을 갈아줘야 한다. 하지만, 영업소 등에서 사용할 때에 자주 기름을 갈아야 함으로써 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또한 기름을 가는 동안 영업을 할 수 없어 매출에 상당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새로운 구조를 채용하여 튀김조리시 음식물에서 발생되는 불순물을 차단하여 깨끗한 기름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튀김조리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음식물을 튀길 기름을 수용하는 튀김탱크; 상기 튀김탱크를 가열하는 히터; 상기 튀김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기름을 순환시키는 통로를 제공하는 순환관; 상기 순환관을 통해 상기 기름을 순환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펌프; 상기 순환관에 연결되어 불순물을 차단하는 필터탱크; 및 상기 튀김탱크와 필터탱크를 연결하는 연결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튀김조리기를 제공한다.
또한, 외관을 형성하며 각종 부품들이 실장되는 본체; 음식물을 튀길 기름을 수용하는 튀김탱크; 상기 튀김탱크를 가열하는 히터; 상기 튀김탱크에 관통되어 상기 튀김탱크에 수용된 기름이 배출되는 배출관; 상기 튀김탱크에 관통되어 상기 배출관을 통한 기름을 다시 상기 튀김탱크로 넣는 입력관; 상기 기름을 상기 배출관 및 입력관을 통해 순환시키는 펌프; 및 상기 배출관 및 입력관 사이에 구비되어 불순물을 차단하는 필터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탱크 또는 상기 입력관에는 유량계 또는 압력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유량계 또는 압력센서의 측정결과에 따라 상기 집진기의 교체시기를 알려주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튀김조 리기를 제공한다.
상기 필터탱크는 다공성 돌, 알루미나 또는 세라믹으로 생성되는 집진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관은 상기 튀김탱크의 하면에 연결되고, 상기 기름은 상기 필터탱크를 분리함으로써 외부로 배출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튀김조리시 불순물을 제거하여 깨끗한 기름을 상당 시간 유지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름을 갈 때 및 집진기를 세정할 때를 명확하게 알 수 있다.
그리고, 집진기를 사용 후 세정하여 다시 쓸 수 있으므로 유지비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튀김조리기의 기본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튀김조리기는 본체(150), 튀김탱크(100), 히터(110), 순환관(260), 펌프(300), 필터탱크(400), 제어부(1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50)는 튀김조리기의 외관을 형성하며, 각종 부품들이 실장되는 하우징 역할을 한다.
상기 튀김탱크(100)는 음식을 튀길 기름(식용유)을 수용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기름은 해바라기유, 올리브유 등 여러가지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튀김탱크(100)의 형상은 음식물에 따라 네모형상이나 원형상 등 여러가지가 될 수 있으며, 재질은 보통 금속재질이 사용되고 특히 스테인레스 스틸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튀김탱크(100)의 하부에는 히터(11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히터(110)는 기름을 가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히터(110)는 가스나 석유 버너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상기 가스나 석유 버너는 그을음이 많이 발생하고 공기가 오염될 염려가 있으므로 전기히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튀김탱크(100)의 일면에는 상기 기름을 튀김탱크(100)로부터 배출하여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관(260)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순환관(260)의 중간에는 기름을 순환시키기 위한 압력을 발생시키는 펌프(30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펌프(300)의 전?후에는 기름의 흐름을 개폐시키기 위한 밸브(210, 220)가 설치된다.
상기 필터탱크(400)는 기름 속에 들어있는 각종 불순물이 다시 튀김탱크(100)로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필터탱크(400)에는 집진기(410)가 설치되는데, 상기 집진기는 다공성 돌, 알루미나 또는 세라믹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집진기(410)는 연속적인 삼차원으로 연결된 고리와 고 리 사이에 기공이 형성된 다공성 우레탄에 돌가루 반죽 및 세라믹 입자를 상기 다공성 우레탄으로 성형시킨 다음 압착한 후, 1500℃ 정도로 가열하여 제작한다. 가열공정 후에 상기 우레탄은 녹아 없어진다.
이러한 집진기는 여러가지 기공크기(pore size)로 제작할 수 있으며, 기름 속에 존재하는 여러가지 유해물질을 효과적으로 차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집진기는 세 개가 구비되는데, 세 개 각각 기공크기를 다르게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가 실험해 본 결과, 하나의 집진기로도 훌륭한 효과를 나타내지만, 기공크기를 다르게 하여 새 개의 집진기를 설치한 결과 기름 속의 불순물이 사라져 깨끗한 기름을 다시 공급받는 최적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상기 기공 크기는 5~15PPI, 16~25PPI, 26~35PPI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1집진기(412)는 10PPI, 제2집진기(414)는 20PPI, 제3집진기(416)는 30PPI로 제작하였다.
한편, 상기 집진기(410)는 1회용이 아니라, 필터탱크(400)에서 빼내어 세척한 다음 재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튀김탱크(100) 및 필터탱크(400) 사이에는 연결관(27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집진기(410)를 통과한 기름은 상기 연결관(270)을 통해 이동하여 다시 상기 튀김탱크(100)로 순환한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튀김조리기는 본체(150), 튀김탱크(100), 히터(110), 배출관(200), 입력관(250), 펌프(300), 필터탱크(400), 제어부(152)를 포함하여 구성된 다. 전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튀김탱크(100)의 일면에는 상기 기름을 튀김탱크(100)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200)이 연결된다.
상기 튀김탱크(100)의 하부에 있는 기름부터 배출되는 것이 원활한 순환을 위하여 바람직하므로, 도 6과 같이 상기 배출관(200)이 튀김탱크(10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으며, 특히,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배출관(200)이 상기 튀김탱크(100)의 하면에 아래쪽으로 연결되면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입력관(250)은 상기 배출관(200)으로 배출된 기름이 다시 튀김탱크(100)로 들어가게 해주는 통로이다. 기름의 순환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입력관(250)은 상기 튀김탱크(100)의 상부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관(200) 및 입력관(250) 사이에는 필터탱크(400)가 설치된다.
상기 필터탱크(400)는 기름 속에 들어있는 각종 불순물이 다시 튀김탱크(100)로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필터탱크(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탱크(400)는 직육면체 형태로 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세 개의 집진기(410)를 포함한다.
상기 집진기(410)는 사각형 형태로 구비되나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집진기(410)는 다공성 돌, 알루미나 또는 세라믹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탱크(500)의 단면적은 상기 배출관(200)의 단면적보다 넓게 제작되 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름과 불순물은 배출관(200) 내에서 섞여 있으므로 상기 필터탱크(400)의 단면적이 상기 배출관(200)의 단면적보다 넓어지면 상기 필터탱크(400)의 내부에서는 기름의 이동속도가 일시적으로 느려지면서 주위로 확산된다. 이렇게 되면, 기름속에 섞여 있던 불순물은 넓은 면적으로 균일하게 퍼지게 되며 기름은 원활하게 이동하게 된다.
세 개의 집진기를 통과한 기름은 다시 좁은 면적의 입력관(250)으로 들어가게 되므로 다시 빠른 속도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배출관(200) 또는 입력관(250)에는 펌프(300)가 구비되어 기름을 순환시킨다.
기름을 계속 사용하다 보면 기름 속의 음식 찌꺼기나 여러가지 불순물들이 쌓여 집진기(410)를 통과한 기름의 유량 또는 압력에 변화가 생긴다. 이러한 기름의 물리량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집진기(410)의 세척시기 및 기름의 교환시기를 알려주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입력관(250)에 유량계(500)가 설치된다. 설계조건에 따라 상기 유량계(500) 대신에 압력센서를 설치해도 된다.
상기 유량계(500)에서 측정된 정보는 본체(150)의 제어부(152)로 전송되고, 상기 제어부(152)에서는 미리 설정된 집진기임계값 및 상기 유량계(500)에서 송신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유량계(500)에서 송신된 정보가 상기 집진기임계값에 도달한 경우 LED(미도시)로 발광하여 집진기(410)의 세척시기를 알려준다.
한편, 상기 제어부(152)에는 기름교체시기에 해당하는 기름임계값이 미리 정 해져 있으며, 기름을 교체하면 상기 제어부(152)에는 기름을 교체할 당시의 유량계(500) 데이터가 저장된다. 그리고, 튀김조리기를 사용하는 동안 상기 유량계(500)의 데이터가 상기 제어부(152)로 전송되어 현재 유량계(500)의 데이터와 기름 교체 당시 유량계(500)의 데이터의 차이값을 계산하여 상기 기름임계값과 비교한 후, 상기 차이값이 상기 기름임계값에 도달한 경우 LED를 발광하여 기름의 교체시기를 알려준다. 상기 LED를 발광하는 대신 스피커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필터탱크(400)는 결합구(600)를 통해 상기 배출관(200) 및 입력관(250)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결합구는 통상 사용되는 여러가지 연결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배출관(200)은 상기 튀김탱크(100)의 하면에 아래쪽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관(200)에는 배출밸브(210)가 설치되어 상기 기름의 배출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배출관(200)의 구조에 따라 상기 필터탱크(400)를 분해하는 경우 동시에 바로 기름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즉, 상기 배출관(200)은 순환파이프의 역할 및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튀김조리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다른 튀김조리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튀김조리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튀김조리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따른 튀김조리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도 5 및 도 6에서 필터탱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튀김탱크 110 : 히터
150 : 본체 152 : 제어부
200 : 배출관 250 : 입력관
270 : 연결관 300 : 펌프
400 : 필터탱크 410 : 집진기
500 : 유량계

Claims (4)

  1. 삭제
  2.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인 본체;
    음식물을 튀길 기름을 수용하는 튀김탱크;
    상기 튀김탱크를 가열하는 히터;
    상기 튀김탱크에 관통되어 상기 튀김탱크에 수용된 기름이 배출되는 배출관;
    상기 튀김탱크에 관통되어 상기 배출관을 통한 기름을 다시 상기 튀김탱크로 넣는 입력관;
    상기 기름을 상기 배출관 및 입력관을 통해 순환시키는 펌프; 및
    상기 배출관 및 입력관 사이에 구비되어 불순물을 차단하는 집진기가 설치된 필터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탱크 또는 상기 입력관에는 유량계 또는 압력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유량계 또는 압력센서의 측정결과에 따라 상기 집진기의 교체시기를 알려주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튀김조리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탱크는 다공성 돌, 알루미나 또는 세라믹으로 생성되는 집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조리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은 상기 튀김탱크의 하면에 연결되고, 상기 기름은 상기 필터탱크를 분리함으로써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조리기.
KR1020090080491A 2009-08-28 2009-08-28 튀김조리기 KR101217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491A KR101217992B1 (ko) 2009-08-28 2009-08-28 튀김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491A KR101217992B1 (ko) 2009-08-28 2009-08-28 튀김조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2955A KR20110022955A (ko) 2011-03-08
KR101217992B1 true KR101217992B1 (ko) 2013-01-02

Family

ID=43931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0491A KR101217992B1 (ko) 2009-08-28 2009-08-28 튀김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79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2845B1 (ko) * 2016-08-12 2018-02-27 신승아 식용유지저장장치
WO2023158237A1 (ko) * 2022-02-18 2023-08-24 이수형 정제기 일체형 튀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40290A (zh) * 2019-11-28 2020-02-28 广东豹鼎厨具设备有限公司 一种温度一键设置炸锅
KR102555221B1 (ko) * 2021-01-22 2023-07-14 주식회사대한기계 식품 제조장치
KR102310020B1 (ko) * 2021-05-06 2021-10-08 주식회사 찬들푸드 스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2207A (ko) * 1998-07-31 1998-10-26 황인택 여과식 전기 튀김기
JP2001104720A (ja) * 1999-10-13 2001-04-17 Samii:Kk 濾過装置
KR20070038772A (ko) * 2005-10-06 2007-04-11 우신엔티아이 주식회사 순환식 식용유 정제기
KR20080092330A (ko) * 2006-04-03 2008-10-15 가부시키가이샤 마메드 튀김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2207A (ko) * 1998-07-31 1998-10-26 황인택 여과식 전기 튀김기
JP2001104720A (ja) * 1999-10-13 2001-04-17 Samii:Kk 濾過装置
KR20070038772A (ko) * 2005-10-06 2007-04-11 우신엔티아이 주식회사 순환식 식용유 정제기
KR20080092330A (ko) * 2006-04-03 2008-10-15 가부시키가이샤 마메드 튀김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2845B1 (ko) * 2016-08-12 2018-02-27 신승아 식용유지저장장치
WO2023158237A1 (ko) * 2022-02-18 2023-08-24 이수형 정제기 일체형 튀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2955A (ko) 201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7992B1 (ko) 튀김조리기
US10912415B2 (en) Gas fryer and methods having uniform heat exchange and improved access for cleaning
JP6125091B2 (ja) 油揚げ装置
KR101084671B1 (ko) 탄화물질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튀김 장치
US20090107344A1 (en) Filter Assembly for Fryer and Method
CA3052633C (en) Rotisserie oven with improved trap system
JPH1052373A (ja) フライヤー
KR101437002B1 (ko) 튀김유를 분사하여 찌꺼기를 제거하는 튀김장치
KR101636037B1 (ko) 전기가열식 튀김기
JP6072420B2 (ja) フライヤー
US6955118B1 (en) Filter mounting assembly
US10143337B1 (en) Deep fryer filter
CN210748858U (zh) 一种自清洁环保型压力电炸炉
KR200324774Y1 (ko) 오일 필터링 기능을 갖는 튀김기계
CN219940398U (zh) 一种烧烤炉
KR101379098B1 (ko) 기름정제기가 구비된 튀김통
JP2016073487A (ja) フライヤー
KR101384763B1 (ko) 기름온도 조절용 냉각파이프가 불필요한 튀김장치
KR20230089959A (ko) 튀김기름 정제 장치
CN216060218U (zh) 烹饪器具的进气装置和烹饪器具
KR200185525Y1 (ko) 튀김기
CN219331400U (zh) 一种带有除烟功能的火山石烧烤炉
CN217185742U (zh) 一种温度可控型防烤糊木炭烧烤炉
KR200466042Y1 (ko) 탄화물질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밀폐형 튀김장치
CN211186919U (zh) 一种食品电烤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