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2038B1 - 연료 전지 시스템, 연료 전지 케이스 - Google Patents

연료 전지 시스템, 연료 전지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2038B1
KR101832038B1 KR1020150153140A KR20150153140A KR101832038B1 KR 101832038 B1 KR101832038 B1 KR 101832038B1 KR 1020150153140 A KR1020150153140 A KR 1020150153140A KR 20150153140 A KR20150153140 A KR 20150153140A KR 101832038 B1 KR101832038 B1 KR 101832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case
hole
vehicle
low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3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7991A (ko
Inventor
히로아키 니시우미
다테키 다카야마
도시유키 도누마
Original Assignee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57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7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2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2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01M8/247Arrangements for tightening a stack, for accommodation of a stack in a tank or for assembling different tanks
    • H01M8/2475Enclosures, casings or containers of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9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comprising two or more groupings of fuel cells, e.g. modular assemblies
    • H01M8/2495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comprising two or more groupings of fuel cells, e.g. modular assemblies of fuel cells of different ty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20Fuel cell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차량 내에 침입한 물의 압력의 영향을 연료 전지 케이스가 받아 버리는 것을 억제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료 전지 시스템은, 차량에 탑재되어 있고, 애노드 가스와 캐소드 가스를 전기 화학 반응시키는 연료 전지와, 상기 연료 전지를 수용하는 연료 전지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연료 전지 케이스의 바닥면의 형상은, 대략 직사각형이며, 상기 연료 전지 케이스는, 상기 대략 직사각형의 긴 변이 상기 차량의 좌우 방향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바닥면에는, 상기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만 연장되는 리브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연료 전지 시스템, 연료 전지 케이스 {FUEL CELL SYSTEM, FUEL CELL CASE}
본원은, 2014년 11월 14일에 출원된 출원 번호 제2014-232043호의 일본 특허 출원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개시의 전체가 참조에 의해 본원에 원용된다.
본 발명은 연료 전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전원으로서, 연료 전지를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연료 전지는, 연료 전지 스택을 구비하고 있다. 연료 전지 스택은, 복수의 연료 전지 셀을 적층하고, 그 양측으로부터 볼트 등으로 고정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충격이 연료 전지에 가해진 경우에 있어서, 연료 전지 셀을 고정하는 힘이 연료 전지 스택 내의 압력보다도 일시적으로 낮아지는 경우가 있다. 이 결과, 냉매 유로를 흐르는 냉매액이나 반응 가스 유로 내에 저류되어 있는 생성수 등의 액체가 연료 전지 스택의 외부로 누설되는 경우가 있다.
통상, 연료 전지 스택은, 연료 전지 케이스에 수용된 상태에서 차량에 탑재되어 있다. 또한, 연료 전지 케이스는 내부의 보온이나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혼입 방지를 위해 밀봉되어 있다. 이로 인해, 연료 전지 스택으로부터 누출된 액체는 연료 전지 케이스에 머무르고, 의도하지 않는 범위로 유동함으로써 단락이나 누전의 원인으로 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 기술로서, 연료 전지 케이스 바닥면의 상면에, 종횡 각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홈이며, 격자 형상으로 연장되는 홈을 형성하는 기술이 있다(예를 들어, JP2006-221855A). 이에 의해, 홈에 액체를 저류시킬 수 있다.
그러나, JP2006-221855A의 기술에 있어서는, 연료 전지 케이스의 바닥면의 두께를 대략 일정하게 하기 위해, 연료 전지 케이스 바닥면의 하면에는, 홈으로서의 상면의 오목부에 대응하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볼록부는 종횡 각각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침수된 장소를 차량이 주행한 경우에, 차량 내에 침입한 물의 압력의 영향을 진행 방향과 직교하는 볼록부가 받아 버린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부터 연료 전지 케이스의 강성의 향상이 요망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의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이하의 형태로 하여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1)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차량에 탑재된 연료 전지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연료 전지 시스템은, 애노드 가스와 캐소드 가스를 전기 화학 반응시키는 연료 전지와, 상기 연료 전지를 수용하는 연료 전지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연료 전지 케이스의 바닥면의 형상은, 대략 직사각형이며, 상기 연료 전지 케이스는, 상기 대략 직사각형의 긴 변이 상기 차량의 좌우 방향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바닥면에는, 상기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만 연장되는 리브가 설치되어 있다. 이 형태에 의하면,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리브를 설치함으로써, 침수된 경로를 차량이 주행한 경우에, 차량 내에 침입한 물의 압력 영향을 연료 전지 케이스가 받아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연료 전지 케이스는, 대략 직사각형의 긴 변이 차량의 좌우 방향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리브가 짧은 변 방향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리브가 긴 변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나 리브가 격자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연료 전지 케이스의 상하 방향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상기 형태의 연료 전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연료 전지 케이스는, 복수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바닥면을 구비하는 부재는, 상기 연료 전지 케이스의 다른 부재와 고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제1 구멍과, 상기 제1 구멍과는 상이한 구멍이며, 상기 연료 전지 케이스의 다른 부재와의 상대적인 위치 결정에 사용하는 제2 구멍을 구비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고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구멍과 위치 결정에 사용하는 구멍을 동일한 구멍으로 한 경우, 위치 결정에 사용한 구멍을, 고정구를 사용한 고정에 사용하는 것을 잊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 형태에 의하면, 그와 같은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3) 상기 형태의 연료 전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을 구비하는 부재와 상기 연료 전지 케이스의 다른 부재는, 평와셔가 구비된 볼트 또는 접시 스프링 와셔가 구비된 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볼트를 체결할 때에, 바닥면을 구비하는 부재와 연료 전지 케이스의 다른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이 깎이는 양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를 들어 연료 전지 시스템의 제조 방법이나, 제조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등의 형태로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사용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10)의 외관 도.
도 2는 연료 전지 케이스(100)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로어 커버(115)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리브(116)에 의한 외력의 흡수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5는 로어 커버(115)와 스택 케이스(105)를 조립하는 방법의 설명도.
도 6은 위치 결정 방법의 설명도.
도 7A는 로어 커버(115)와 스택 케이스(105)를 고정하는 고정구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7B는 로어 커버(115)와 스택 케이스(105)를 고정하는 고정구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8A는 접시 스프링 와셔가 구비된 볼트(400)를 사용하는 것의 이점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8B는 접시 스프링 와셔가 구비된 볼트(400)를 사용하는 것의 이점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9는 고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구멍과 위치 결정에 사용하는 구멍을 동일한 구멍으로 하는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
A.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사용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10)의 외관도이다. 연료 전지 시스템(10)은 연료 전지 시스템 케이스(140)와, 프레임(200)을 구비한다. 연료 전지 시스템(10)은 차량에 탑재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연료 전지 시스템(10)은 운전자를 수용하는 차실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 X축 정방향은 차량 전방을 나타내고, Y축 정방향은 차량 상방을 나타내고, Z축 정방향은 차량 우측 방향을 나타낸다. XYZ축은, 도 1 이후의 도면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연료 전지 시스템 케이스(140)는 연료 전지 케이스(100)와, 보조 기계 케이스(130)를 구비한다. 내부에 물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입하지 않도록, 연료 전지 시스템 케이스(140)의 부재 사이는, 가스킷에 의해 시일되어 있다.
연료 전지는, 애노드 가스로서의 수소 가스와, 캐소드 가스로서의 산소 가스를 전기 화학 반응시킨다. 연료 전지 케이스(100)는 연료 전지를 수용하고 있다. 연료 전지는, 연료 전지 셀을 적층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연료 전지 셀은, 차량의 좌우 방향(Z축 방향)에 적층되어 있다.
보조 기계 케이스(130)는 연료 전지에 사용되는 복수의 보조 기계(도시하지 않음)를 수용하고 있다. 여기서, 복수의 보조 기계로서는, 예를 들어 수소 펌프, 인젝터, 배기 배수 밸브, 밸브, 센서 등을 들 수 있다. 보조 기계 케이스(130)에는, 보조 기계 이외에도, 냉각수용의 배관이나, 각 보조 기계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선 등이 설치되어 있다.
보조 기계 케이스(130)의 표면에는, 보조 기계류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이나 소음이 외부에 전해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NV(Noise Vibration) 커버(141, 142)로 덮여 있다(도 1 참조).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NV 커버(141, 142)는, 외층이 경질 수지에 의해 형성되고, 내층이 발포 우레탄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복수의 보조 기계는, 판 형상의 매니폴드(120)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보조 기계 케이스(130)의 차량 좌측(Z축 부방향측)의 측면은, 매니폴드(120)에 덮여 있다. 매니폴드(120)는 수소 가스와, 산소 가스와, 연료 전지를 냉각하는 냉각수의 유로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매니폴드(120)는 연료 전지 케이스(100) 내의 고전압 부품과의 절연성을 확보하는 기능이나, 연료 전지 셀끼리를 압축하는 기능을 갖는다.
프레임(200)은 연료 전지 시스템 케이스(140)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프레임(200)은 연료 전지 시스템 케이스(140)의 연료 전지 케이스(100)에 형성된 보스(111A, 111B)에, 볼트(112A, 112B)를 각각 삽입함으로써, 연료 전지 시스템 케이스(140)를 고정하고 있다.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해, 연료 전지 시스템 케이스(140)와 프레임(200) 사이에는, 방진 고무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프레임(200)은 도시하지 않은 차량의 바디에 체결되어 있다.
도 2는 연료 전지 케이스(100)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연료 전지 케이스(100)는 복수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연료 전지 케이스(100)는 연료 전지의 차량 우측(Z축 정방향측)의 측면을 덮는 판 형상의 매니폴드(120)(도 1 참조)와, 연료 전지의 차량 우측(Z축 정방향측)의 측면 이외의 측면과 상면을 덮는 스택 케이스(105)와, 연료 전지의 바닥면을 덮는 로어 커버(115)를 구비한다. 로어 커버(115)는, 연료 전지 케이스(100)의 바닥면을 구비하는 부재이다. 스택 케이스(105)와 로어 커버(115) 사이에는, 가스킷(107)이 설치되어 있다. 가스킷(107)에 의해, 물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연료 전지 케이스(100)의 내부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로어 커버(115)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로어 커버(115)에는, 차량의 전후 방향(X축 방향)으로만 연장되는 리브(116)가 설치되어 있다. 즉, 연료 전지 케이스(100)의 바닥면에는,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만 연장되는 리브(116)가 설치되어 있고, 환언하면, 리브(116)와 리브(116) 사이의 면은,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침수된 경로를 차량이 주행한 경우, 리브(116)가 차량의 좌우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연료 전지 케이스(100)의 바닥면과 접하는 물로부터 받는 압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이 험로를 주행하는 경우나 차체의 바닥면이 노면과 스치는 경우 등에 있어서, 연료 전지 케이스(100)의 바닥면에는, 하측 방향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향하는 힘과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하는 힘을 받는다. 그러나,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만 연장되는 리브(116)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연료 전지 케이스(100)가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로어 커버(115)의 형상은, 대략 직사각형이다. 환언하면, 연료 전지 케이스(100)의 바닥면의 형상은 대략 직사각형이다. 여기서, 대략 직사각형이란, 1세트의 짧은 변과 1세트의 긴 변을 갖는 형상을 말하고, 코너가 둥글게 되어 있어도 되고, 변의 일부가 만곡되어 있어도 된다.
연료 전지 케이스(100)는 대략 직사각형의 긴 변이 차량의 좌우 방향(Z축 방향)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연료 전지 케이스(100)의 짧은 변 방향으로 리브(116)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연료 전지 케이스(100)의 긴 변 방향으로 리브(116)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연료 전지 케이스(100)의 상하 방향(Y축 방향)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결과, 로어 커버(115)를 얇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차실의 하부라고 하는 상하 방향(Y축 방향)의 스페이스가 비교적 작은 장소에 연료 전지 시스템(10)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리브(116)가 연장되는 방향이 연료 전지 셀의 적층 방향(Z축 방향)과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연료 전지 셀에의 적층 방향의 외력을 흡수할 수 있다.
도 4는 리브(116)에 의한 외력의 흡수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4의 (a)는 리브(116)에 수평 방향의 외력이 가해져 있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의 (b)는 리브(116)에 수평 방향에 있어서 인장 방향의 외력이 가해진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경우, 리브(116)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인장 방향의 외력을 흡수할 수 있다. 도 4의 (c)는 리브(116)에 수평 방향에 있어서 압축 방향의 외력이 가해진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경우, 리브(116)가 수평 방향으로 압축됨으로써, 압축 방향의 외력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아래로 볼록해지도록 리브(116)를 형성함으로써, 로어 커버(115)의 상면에는 오목부가 생긴다. 이로 인해, 연료 전지 케이스(100) 내의 물을 저류시켜 둘 수 있다.
도 5는 로어 커버(115)와 스택 케이스(105)를 조립하는 방법의 설명도이다. 로어 커버(115)는, 연료 전지 케이스(100)의 다른 부재인 스택 케이스(105)와 고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제1 구멍(117A)과, 제1 구멍(117A)과는 상이한 구멍이며, 스택 케이스(105)와의 상대적인 위치 결정에 사용하는 제2 구멍(118A)을 구비한다. 스택 케이스(105)는 제1 구멍(117A)과 대응하는 제3 구멍(117B)과, 제2 구멍(118A)과 대응하는 제4 구멍(118B)을 구비한다. 본 도면에 있어서, 로어 커버(115)의 구멍이며 부호가 부여되어 있지 않은 구멍은, 제1 구멍(117A)이며, 스택 케이스(105)의 구멍이며 부호가 부여되어 있지 않은 구멍은, 제3 구멍(117B)이다. 또한, 스택 케이스(105)에는, 가스킷(107)을 설치하기 위한 홈(106)이 있고, 위치 결정 전에, 스택 케이스(105)의 홈(106)에 가스킷(107)(도 5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삽입해 둔다.
조립 방법으로서는, 먼저, 제2 구멍(118A)과 제4 구멍(118B)을 사용하여, 로어 커버(115)와 스택 케이스(105)의 위치 결정을 행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위치 결정에는, 핀(300)을 사용한다.
도 6은 위치 결정 방법의 설명도이다. 먼저, 스택 케이스(105)의 제4 구멍(118B)에 핀(300)을 삽입한다. 이어서, 핀(300)이 스택 케이스(105)에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 로어 커버(115)의 제2 구멍(118A)에 핀(300)을 삽입한다.
제2 구멍(118A)을 사용한 위치 결정을 행하지 않는 경우, 스택 케이스(105) 상에 로어 커버(115)를 가배치한 후, 로어 커버(115)의 제1 구멍(117A)의 위치와 스택 케이스(105)의 제3 구멍(117B)의 위치를 맞추기 위해, 스택 케이스(105)에 대한 로어 커버(115)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이 조정을 행할 때에, 가스킷(107)이 스쳐 버리거나, 비틀어지거나, 홈으로부터 돌출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 결과, 가스킷(107)이 설계대로 압축되지 않아, 스택 케이스(105)와 로어 커버(115)의 간극의 밀봉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제2 구멍(118A)을 사용한 위치 결정을 행함으로써, 가스킷(107)이 스쳐 버리거나, 비틀어지거나, 홈으로부터 돌출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가스킷(107)이 설계대로 압축되지 않음으로써, 스택 케이스(105)와 로어 커버(115)의 간극의 밀봉성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위치 결정의 이후, 로어 커버(115)의 제1 구멍(117A)과 스택 케이스(105)의 제3 구멍(117B)을 고정한다(도 5 참조).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고정구로서 볼트를 사용한다. 이 공정에 있어서, 로어 커버(115)의 제2 구멍(118A)과 스택 케이스(105)의 제4 구멍(118B)에는, 핀(300)이 삽입되어 있다. 이로 인해, 로어 커버(115)의 제1 구멍(117A)과 스택 케이스(105)의 제3 구멍(117B)의 위치가 맞춰져 있지 않는 것에 의한 무리한 체결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고정 후, 로어 커버(115)의 제2 구멍(118A)과 스택 케이스(105)의 제4 구멍(118B)으로부터 핀(300)을 제거함으로써, 조립이 종료된다.
고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제1 구멍(117A)과, 스택 케이스(105)의 상대적인 위치 결정에 사용하는 제2 구멍(118A)을 동일한 구멍으로 한 경우, 위치 결정에 사용하는 구멍을, 고정구를 사용한 고정에 사용하는 것을 잊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제1 구멍(117A)과 제2 구멍(118A)을 상이한 구멍으로 함으로써, 이와 같은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로어 커버(115)와 스택 케이스(105)를 고정하는 고정구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고정구로서 접시 스프링 와셔(410)가 구비된 볼트(400)를 사용하였다. 도 7A는, 접시 스프링 와셔(410)가 구비된 볼트(400)를 접시 스프링 와셔(410)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7B는, 접시 스프링 와셔(410)가 구비된 볼트(400)를 옆에서 본 도면이다. 접시 스프링 와셔(410)가 구비된 볼트(400)를 사용하는 것의 이점을 이하에 설명한다.
도 8A 및 도 8B는, 접시 스프링 와셔(410)가 구비된 볼트(400)를 사용하는 것의 이점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8A는, 접시 스프링 와셔(410)를 사용하지 않고, 볼트(400)만을 사용하여 로어 커버(115)와 스택 케이스(105)를 고정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8B는, 접시 스프링 와셔(410)가 구비된 볼트(400)를 사용하여 로어 커버(115)와 스택 케이스(105)를 고정한 경우를 도시한다.
가스킷(107)은 통상 압축시켜 사용된다. 이로 인해, 미리 가스킷(107)을 압축해 두지 않는 경우, 가스킷(107)은 스택 케이스(105)의 홈(106)보다도 돌출된다(도 8A 참조). 가스킷(107)이 홈(106)보다도 돌출된 경우,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어 커버(115)가 기운다. 그 결과, 로어 커버(115) 본체나 로어 커버(115)에 도포된 도료를 볼트(400)의 플랜지가 깎기 때문에, 볼트(400)를 체결하는 힘은 마찰력에 빼앗긴다. 또한, 로어 커버(115)의 깎여진 부분이 녹스는 경우가 있다. 이로 인해, 스택 케이스(105)와 로어 커버(115)를 고정할 때에, 가스킷(107)을 압축시키는 설비가 필요해진다.
한편, 접시 스프링 와셔(410)가 구비된 볼트(400)를 사용하여 로어 커버(115)와 스택 케이스(105)를 고정하는 경우 및 고정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한 과제를 억제할 수 있다. 즉, 접시 스프링 와셔(410)를 사용함으로써, 고정 시에, 로어 커버(115)가 기울었다고 해도, 로어 커버(115)는, 볼트(400)의 플랜지가 아닌 접시 스프링 와셔(410)와 접촉하게 된다. 이 결과, 접시 스프링 와셔(410)는 볼트(400)와 별도의 부재이기 때문에, 볼트(400)를 체결할 때에, 로어 커버(115)가 깎여지는 양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 효과는, 접시 스프링 와셔가 구비된 볼트를 사용하는 경우로 한정되지 않고, 평와셔가 구비된 볼트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발휘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스택 케이스(105)는 알루미늄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로어 커버(115)는 철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택 케이스(105)의 열팽창률과 로어 커버(115)의 열팽창률은 상이하다. 이 결과, 장기간에 있어서 스택 케이스(105)와 로어 커버(115)를 고정하고 있었던 경우, 열에 의한 팽창과 수축의 결과로서 볼트(400)가 느슨해진다.
한편, 접시 스프링 와셔(410)가 구비된 볼트(400)를 사용하여 로어 커버(115)와 스택 케이스(105)를 고정하는 경우 및 고정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한 과제를 억제할 수 있다. 즉, 장기간에 있어서 스택 케이스(105)와 로어 커버(115)를 고정하고 있었던 경우, 열에 의한 팽창과 수축의 결과로서 볼트(400)가 느슨해졌다고 해도, 상하 방향으로 접시 스프링 와셔(410)가 힘을 미치기 때문에, 로어 커버(115)와 스택 케이스(105)를 고정하는 힘을 유지할 수 있다.
B. 변형예:
B1. 변형예 1: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위치 결정 시에 핀(300)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핀을 사용하여 위치 결정을 행하는 것 이외의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로어 커버 또는 스택 케이스를 고정하는 지그에 돌기부를 구비시키고, 그 돌기부를 로어 커버 및 스택 케이스의 구멍에 삽입하여 위치 결정을 행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B2. 변형예 2: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고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구멍과, 위치 결정에 사용하는 구멍을 상이한 구멍으로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9는 고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구멍과, 위치 결정에 사용하는 구멍을 동일한 구멍으로 하는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즉, 로어 커버와 스택 케이스 중 한쪽의 구멍에 나사를 형성한 핀(310)을 고정시키고, 핀(310)을 로어 커버와 스택 케이스 중 다른 쪽의 구멍에 삽입함으로써, 고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구멍을 위치 결정에 사용하는 구멍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나 변형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명의 개요의 란에 기재된 각 형태 중의 기술적 특징에 대응하는 실시 형태, 변형예 중의 기술적 특징은, 상술한 과제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해결하기 위해, 또는, 상술한 효과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달성하기 위해, 적절히, 변경이나, 조합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그 기술적 특징이 본 명세서 중에 필수적인 것으로서 설명되어 있지 않으면, 적절히 삭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3)

  1. 차량에 탑재된 연료 전지 시스템이며,
    애노드 가스와 캐소드 가스를 전기 화학 반응시키는 연료 전지와,
    상기 연료 전지를 수용하는 연료 전지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연료 전지 케이스의 바닥면의 형상은, 직사각형이며,
    상기 연료 전지 케이스는, 상기 직사각형의 긴 변이 상기 차량의 좌우 방향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바닥면에는, 상기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만 연장되는 리브가 설치되며,
    상기 리브는 상기 바닥면의 상면에 오목부가 생기도록 아래로 볼록해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오목부에 연료 전지 케이스 내의 물을 저류시켜 둘 수 있는, 연료 전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전지 케이스는, 복수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바닥면을 구비하는 부재는,
    상기 연료 전지 케이스의 다른 부재와 고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제1 구멍과,
    상기 제1 구멍과는 상이한 구멍이며, 상기 연료 전지 케이스의 다른 부재와의 상대적인 위치 결정에 사용하는 제2 구멍을 구비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을 구비하는 부재와 상기 연료 전지 케이스의 다른 부재는, 평와셔가 구비된 볼트 또는 접시 스프링 와셔가 구비된 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연료 전지 시스템.
KR1020150153140A 2014-11-14 2015-11-02 연료 전지 시스템, 연료 전지 케이스 KR1018320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32043A JP6128100B2 (ja) 2014-11-14 2014-11-14 燃料電池システム
JPJP-P-2014-232043 2014-1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7991A KR20160057991A (ko) 2016-05-24
KR101832038B1 true KR101832038B1 (ko) 2018-02-23

Family

ID=55855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3140A KR101832038B1 (ko) 2014-11-14 2015-11-02 연료 전지 시스템, 연료 전지 케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014549B2 (ko)
JP (1) JP6128100B2 (ko)
KR (1) KR101832038B1 (ko)
CN (1) CN105609674B (ko)
CA (1) CA2911554C (ko)
DE (1) DE1020151192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39631B2 (ja) * 2018-02-20 2021-09-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及びそれを搭載した車両
JP7003721B2 (ja) * 2018-02-20 2022-01-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車両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5375A (ja) * 1998-09-11 2000-03-28 Nissan Motor Co Ltd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搭載フロア構造
US20040065492A1 (en) 2002-10-04 2004-04-08 Nissan Motor Co., Ltd. Fuel cell assembly
JP2006221855A (ja) * 2005-02-08 2006-08-24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
US20090101423A1 (en) 2006-12-05 2009-04-23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Moving body
US20100112412A1 (en) 2007-01-16 2010-05-06 Akira Aoto Fuel cell module for vehicles
US20100143766A1 (en) 2008-12-09 2010-06-10 Honda Motor Co., Ltd. Fuel cell stack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1855A (ja) 1999-01-28 2000-08-11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KR100570688B1 (ko) 2004-05-11 2006-04-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 전지용 스택 및 이 스택을 갖는 연료 전지 장치
US7641999B2 (en) 2004-08-27 2010-01-05 Honda Motor Co., Ltd. Fuel cell stack
US7914942B2 (en) 2004-11-26 2011-03-29 Honda Motor Co., Ltd. Fuel cell vehicle
JP5077611B2 (ja) 2009-05-28 2012-11-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および車両
US20110244355A1 (en) 2010-04-01 2011-10-0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Fuel cell stack compression enclosure apparatus
JP2012248339A (ja) * 2011-05-25 2012-12-13 Sanyo Electric Co Ltd 電力用の電源装置及び電源装置を備える車両
CA2836554C (en) 2011-07-12 2016-04-2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Fuel cell system
JP5745574B2 (ja) 2013-05-29 2015-07-08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試験装置およびタイヤ試験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5375A (ja) * 1998-09-11 2000-03-28 Nissan Motor Co Ltd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搭載フロア構造
US20040065492A1 (en) 2002-10-04 2004-04-08 Nissan Motor Co., Ltd. Fuel cell assembly
JP2006221855A (ja) * 2005-02-08 2006-08-24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
US20090101423A1 (en) 2006-12-05 2009-04-23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Moving body
US20100112412A1 (en) 2007-01-16 2010-05-06 Akira Aoto Fuel cell module for vehicles
US20100143766A1 (en) 2008-12-09 2010-06-10 Honda Motor Co., Ltd. Fuel cell st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609674A (zh) 2016-05-25
DE102015119268A1 (de) 2016-05-19
JP6128100B2 (ja) 2017-05-17
CA2911554C (en) 2018-08-07
KR20160057991A (ko) 2016-05-24
US10014549B2 (en) 2018-07-03
JP2016096066A (ja) 2016-05-26
US20160141640A1 (en) 2016-05-19
CA2911554A1 (en) 2016-05-14
CN105609674B (zh) 2018-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9260B1 (ko) 차량의 전방 단부에 대한 원피스 에어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한 차량
EP3920262B1 (en) Battery box, battery pack, and vehicle
US9566876B2 (en) Vehicle with fuel cell mounted therein
JP4754321B2 (ja) 燃料電池自動車
EP3862204A1 (en) Mounting structure for battery pack in vehicle
US20190047419A1 (en) Method for producing an electrically driven vehicle
KR101832038B1 (ko) 연료 전지 시스템, 연료 전지 케이스
JP5706967B2 (ja) 車両駆動用バッテリの搭載構造
KR20150081855A (ko) 연료전지용 스택
JP5998433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CA2911560C (en) Cover configuration for a fuel cell system
KR101886481B1 (ko) 연료 전지 시스템
KR101850190B1 (ko) 연료 전지 케이스
JP2018111354A (ja) 電動車両
CN217918096U (zh) 集成有电池箱的底盘结构
JP2015202697A (ja) 電気デバイス収容体
CN219832926U (zh) 电池箱及电池包
US20230382319A1 (en) Vehicle provided with a sound-deadening element between a floor and an electric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