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0199B1 - 목발의 보행 보조 수단 - Google Patents

목발의 보행 보조 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0199B1
KR101830199B1 KR1020160163790A KR20160163790A KR101830199B1 KR 101830199 B1 KR101830199 B1 KR 101830199B1 KR 1020160163790 A KR1020160163790 A KR 1020160163790A KR 20160163790 A KR20160163790 A KR 20160163790A KR 101830199 B1 KR101830199 B1 KR 101830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crutch
groove
crutches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3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하
김윤재
유상엽
이기만
Original Assignee
이재하
김윤재
유상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하, 김윤재, 유상엽 filed Critical 이재하
Priority to KR1020160163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01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2Cru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2Crutches
    • A61H3/0288Ferrules or tip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2003/001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on steps or stairw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목발에 보행 보조 수단을 탈 부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키, 사용 환경에 따라 보행 보조 수단의 높낮이를 손 쉽게 조절할 수 있고, 보행 보조 수단이 구비된 목발을 사용함에 따라, 계단을 이용 시 기존 목발을 사용할 때와 달리, 사용자에게 편안하고 안정감을 줄 수 있는 보행 보조 수단을 구비한 목발이다.

Description

목발의 보행 보조 수단{AUXILIARY WALKING UNIT FOR CRUTCH}
본 발명은 목발의 보행 보조 수단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목발에 부착하여, 계단을 오르고 내려갈 때,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는 목발의 보행 보조 수단에 관한 것이다.
다리를 다친 환자들이 가장 많이 쓰는 의료용 기구의 대표적인 것이 목발이다. 이러한 목발은 일반적으로 환자의 겨드랑이에 위치하는 상단부와 지면에 위치하는 하단부 사이에 마련된 손잡이를 손으로 잡고, 다친 발 또는 다리를 대신하여 하단부가 지면을 박차도록 손에 힘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목발의 하단부는 지면과 접하는 디딤부는 손으로부터 가해진 힘이 잘 전달될 수 있도록 일자형으로 하나만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디딤부의 구조는 디디어야 할 부분이 하나인 평지에서는 아무런 문제점이 없다.
그러나, 지면이 단차져 있는 계단을 오르내릴 때에는 디디어야 할 부분이 평지와 달리 둘 이상이 되므로 일자형으로 구성되는 하나의 디딤부만으로는 안정적이지 못하고 매우 불안하다.
즉, 환자가 종래의 목발을 이용하여 계단을 오르내리기 위해서는 서로 높이가 다른 지면을 다치지 않은 발과 종래의 목발을 번갈아가면서 어렵게 오르내리거나, 추가적인 사고의 위험성을 감수한 채 폭이 충분히 넓지 않은 한 지면에 다치지 않은 발과 종래의 목발을 동시에 올려서 계단을 오르내려야만 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5-0050078호는 목발을 메인 디딤부와 서브 디딤부로 구성하여, 계단을 오르고 내릴 때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주기 위해 개발되었다.
하지만, 상기 한국 공개 특허의 경우, 서브 디딤부의 높낮이 조절이 불가한 문제로 인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으며, 계단을 내려올 때, 계단에 존재하는 미끄럼 방지부에 의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를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며, 사용자에게 편안한 보행이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목발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목발의 보행 보조 수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존의 목발에 보행 보조 수단을 탈 부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키, 사용 환경에 따라 보행 보조 수단의 높낮이를 손 쉽게 조절할 수 있는 목발의 보행 보조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보행 보조 수단을 사용하여, 계단을 오르고 내릴 때 사용자에게 안정감 및 편리함을 줄 수 있는 목발의 보행 보조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 범위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가정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목발의 보행 보조 수단은,
바닥면에 바퀴수용홈이 형성되는 디딤부;
상기 디딤부의 일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결합하는 부착부; 및,
상기 디딤부의 바닥과 하부 측면을 감싸면서 끼워지되 상기 바퀴수용홈에 연통하도록 관통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디딤부는,
직육면체 형상의 블록으로 이루어지며 일측면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홈 형상의 제2 결합부가 형성되고, 하부면에 두개의 상기 바퀴수용홈이 이격되게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바퀴수용홈에 수용되며 탄성 부재를 통해 상기 본체의 바닥으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되는 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부착부는,
상기 디딤부와 결합시 상기 본체의 일측면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제1 결합부;
상기 제1 결합부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2 결합부에 상하방향으로 결합하도록 상기 제2 결합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고정 돌기부;
상기 제1 결합부의 타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원호형 홈부와 상기 원호형 홈부의 양단으로부터 서로 이격된 상태로 연장되는 결합 플랜지를 구비하는 시트 밴드; 및,
상기 결합 플랜지에 설치되어 상기 원호형 홈부에 설치되는 목발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용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원호형 홈부는 상기 디딤부 본체의 길이방향 중앙 지점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퀴는 제1 바퀴 및 제2 바퀴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바퀴 및 제2 바퀴는 중심축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중심축은 상기 탄성부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기존의 목발에 보행 보조 수단을 탈 부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키, 사용 환경에 따라 보행 보조 수단의 높낮이를 손 쉽게 조절할 수 있고, 보행 보조 수단이 구비된 목발을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안정감 및 편리함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발에 부착할 수 있는 보행 보조 수단에 관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수단의 디딤부에 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수단의 디딤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수단의 부착부에 관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수단이 부착된 목발에 관한 도면이다.
100: 부착부
110: 고정 돌기부
120: 제1 결합부
130: 시트 밴드
140: 체결용 레버
200: 디딤부
210: 제2 결합부
220: 바퀴
220': 제1 바퀴
220": 제2 바퀴
230: 중심축
240: 바퀴수용홈
250: 탄성부재
260: 본체
300: 미끄럼 방지부
본 발명의 보행 보조 수단을 구비한 목발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발에 부착할 수 있는 보행 보조 수단에 관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수단이 부착된 목발에 관한 도면이다.
상기 보행 보조 수단은 바닥면에 바퀴수용홈(240)이 형성되는 디딤부(200), 상기 디딤부(200)의 일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결합하는 부착부(100) 및, 상기 디딤부(200)의 바닥과 하부 측면을 감싸면서 끼워지되 상기 바퀴수용홈(240)에 연통하도록 관통공(310)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부(30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수단은 끼움 결합 방식에 의해 목발에서 쉽게 탈, 부착이 가능함에 따라, 필요에 따라 보행 보조 수단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불 필요한 경우에는 제거하고, 목발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에 서브 디딤부를 포함하는 선행 문헌의 경우, 계단에 사용하기는 용이하지만, 경사로 등에서는 서브 디딤부가 경사로에 부딪히거나, 부딪힘을 방지하기 위해 경사로의 반대 방향으로 서브 디딤부가 위치하도록 목발을 잡아야되는 불편함을 손 쉽게 해소할 수 있다.
상기 미끄럼 방지부(300)는 마찰력을 높일 수 있는 소재의 사용이 가능하며, 고무, PP, PE, PVC, ABS, PS, PC 및 PMM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로 일면을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직물재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직물재층은 합성수지 소재의 원사가 직조되어 형성되며, 강도가 증가되도록 표면에 격자모양의 립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디딤부(200)의 바퀴(220)를 위한 바퀴수용홈이 형성된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수단의 디딤부(200)에 관한 도면으로, 디딤부(200)는 제2 결합부(210); 바퀴(220); 중심축(230); 바퀴수용홈(240); 탄성부재(250); 및 본체(260)을 포함한다.
디딤부(200)의 본체(260)는 직육면체 형상의 블록으로 이루어지며, 부착부(100)와 결합하기 위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홈 형상의 제2 결합부(210)가 일 측면에 형성되어, 부착부(100)의 고정 돌기부(110)와 끼움 결합할 수 있다. 본체(260)의 하부면은 바퀴수용홈(240)이 형성되어 있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바퀴(220)가 상기 본체(260)의 바닥으로부터 일부가 돌출된 상태로 내장되어 있다. 바퀴(220)의 중심은 중심축(230)이 형성되어, 바퀴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중심축(230)은 탄성부재(250)와 결합되어 있어, 외부의 누르는 힘에 의해 바퀴가 본체(260)의 바퀴수용홈(240) 안쪽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탄성부재(250)는 예를 들어, 스프링을 이용할 수 있지만, 중심축(230)과 결합하여, 바퀴의 상하 운동을 도울 수 있다면, 예시에 제한되지 않고 선택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퀴(220)는 제1 바퀴(220') 및 제2 바퀴(220")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바퀴 및 제2 바퀴는 중심축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 바퀴(220') 및 제2 바퀴(220")는 본체의 좌, 우 측면에 위치하게 되고, 중심축(230)은 탄성부재(250)과 결합하게 되고, 탄성부재(250)는 본체의 중심에 위치한다. 목발의 사용에 의해, 외부에서 누르는 힘이 작용하면, 본체의 중심에 위치한 탄성부재(250)로 중심축(230)을 통해 힘이 전달되어, 누르는 힘과 반대 방향으로 탄성부재(250)가 수축하게 되면, 중심축(230)과 제1 바퀴(220') 및 제2 바퀴(220")가 움직이게 된다.
목발의 사용과 관련하면, 목발을 사용하여 계단을 오르고 내릴 때, 목발을 계단에 짚을 때는, 목발을 누르는 힘이 작용하게 되고, 목발을 누르는 힘에 의해, 제1 바퀴(220') 및 제2 바퀴(220")는 본체(260)의 내부로 들어가게 되어, 바퀴(22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체(260)에 결합하는 미끄럼 방지부(300)에 의해 마찰력을 높일 수 있다. 목발을 계단에서 들어, 사용자가 이동하려는 순간에는, 목발을 들면, 제1 바퀴(220') 및 제2 바퀴(220")에 작용하던 힘이 사라지게 되고, 바퀴(220)는 탄성부재(250)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게 되고, 이때, 바퀴(220)의 회전에 의해 목발의 이동을 쉽게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수단의 부착부(100)에 관한 도면으로, 상기 부착부(100)는 고정 돌기부(110); 및 제1 결합부(120)로 구성되며, 상기 제1 결합부(120)는 시트 밴드(130) 및 체결용 레버(140)를 포함할 수 있다.
부착부(100)의 고정 돌기부(110)는 디딤부(200)의 제2 결합부(210)와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제1 결합부(120)는 목발에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부착부(100)의 고정 돌기부(110)에 디딤부(200)를 끼움 결합에 의해 손 쉽게 탈착이 가능하며, 부착부(100)는 목발 사용자에 의해 목발에 고정되는 높낮이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시트 밴드(130) 및 체결용 레버(140)를 포함한다. 즉, 자전거 안장의 높낮이 조절 방식에 따라, 체결용 레버(140)를 사용하여 손쉽게 부착부(100)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착부(100)는, 상기 디딤부(200)와 결합시 상기 본체(260)의 일측면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제1 결합부(120), 상기 제1 결합부(12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2 결합부(210)에 상하방향으로 결합하도록 상기 제2 결합부(21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고정 돌기부(110), 상기 제1 결합부(120)의 타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원호형 홈부(131)와 상기 원호형 홈부(131)의 양단으로부터 서로 이격된 상태로 연장되는 결합 플랜지(132)를 구비하는 시트 밴드(130) 및, 상기 결합 플랜지(132)에 설치되어 상기 원호형 홈부(131)에 설치되는 목발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용 레버(140)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원호형 홈부(131)는 상기 디딤부 본체(260)의 길이방향 중앙 지점에 배치된다.

Claims (6)

  1. 목발의 보행 보조 수단에 있어서,
    바닥면에 바퀴수용홈(240)이 형성되는 디딤부(200);
    상기 디딤부(200)의 일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결합하는 부착부(100); 및,
    상기 디딤부(200)의 바닥과 하부 측면을 감싸면서 끼워지되 상기 바퀴수용홈(240)에 연통하도록 관통공(310)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디딤부(200)는,
    직육면체 형상의 블록으로 이루어지며 일측면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홈 형상의 제2 결합부(210)가 형성되고, 하부면에 두개의 상기 바퀴수용홈(240)이 이격되게 형성되는 본체(260); 및,
    상기 바퀴수용홈(240)에 수용되며 탄성 부재(250)를 통해 상기 본체(260)의 바닥으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되는 바퀴(220)를 포함하며,
    상기 부착부(100)는,
    상기 디딤부(200)와 결합시 상기 본체(260)의 일측면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제1 결합부(120);
    상기 제1 결합부(12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2 결합부(210)에 상하방향으로 결합하도록 상기 제2 결합부(21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고정 돌기부(110);
    상기 제1 결합부(120)의 타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원호형 홈부(131)와 상기 원호형 홈부(131)의 양단으로부터 서로 이격된 상태로 연장되는 결합 플랜지(132)를 구비하는 시트 밴드(130); 및,
    상기 결합 플랜지(132)에 설치되어 상기 원호형 홈부(131)에 설치되는 목발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용 레버(140)를 포함하며,
    상기 원호형 홈부(131)는 상기 디딤부 본체(260)의 길이방향 중앙 지점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발의 보행 보조 수단.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220)는 제1 바퀴(220') 및 제2 바퀴(220")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바퀴(220') 및 제2 바퀴(220")는 중심축(230)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중심축(230)은 상기 탄성부재(250)와 연결되는 목발의 보행 보조 수단.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60163790A 2016-12-02 2016-12-02 목발의 보행 보조 수단 KR101830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790A KR101830199B1 (ko) 2016-12-02 2016-12-02 목발의 보행 보조 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790A KR101830199B1 (ko) 2016-12-02 2016-12-02 목발의 보행 보조 수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0199B1 true KR101830199B1 (ko) 2018-02-21

Family

ID=61524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3790A KR101830199B1 (ko) 2016-12-02 2016-12-02 목발의 보행 보조 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019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0375A (ja) * 1999-09-08 2001-03-21 Nippon Clean Engine Lab Co Ltd 歩行補助用杖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0375A (ja) * 1999-09-08 2001-03-21 Nippon Clean Engine Lab Co Ltd 歩行補助用杖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36369B2 (ja) 介護補助装置
US20070251560A1 (en) Orthopedic knee crutch
KR101439955B1 (ko) 보행기 및 의자로도 사용되는 트랜스포머 지팡이
KR101278720B1 (ko)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
KR101830199B1 (ko) 목발의 보행 보조 수단
KR20120089982A (ko) 목발 및 목발용 완충부재
US8348868B1 (en) Leg sling device
KR102295864B1 (ko) 보행보조기
WO2014029998A1 (en) Wheeled walking aid with sit to stand help
KR101776037B1 (ko) 기능성 목발
CA3023903C (en) Ambulatory assistance apparatus adaptable for a staircase
CN208641212U (zh) 一种助行器
KR200408541Y1 (ko) 높이 조절이 용이한 목발
KR101198247B1 (ko) 충격 흡수용 목발 팁
CN104799511A (zh) 一种方便上下斜坡的拐杖
WO2017007997A1 (en) Orthotic device
WO1996012529A1 (en) Method and device for facilitating the climbing of stairs
JP2010029480A (ja) 腰部負担軽減用具
KR101762897B1 (ko) 보행 보조기
JP3200661U (ja) 発光脚部パッド
KR102164433B1 (ko) 곡선형태의 받침부재를 구비한 목발
KR20150050078A (ko) 계단을 오르내리는데 편리한 목발
CN210903572U (zh) 足弓垫
CN218164453U (zh) 防滑脚垫及具有防滑脚垫的拐杖
KR101355368B1 (ko) 단차부 보행을 할 수 있는 보행 보조수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