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0078A - 계단을 오르내리는데 편리한 목발 - Google Patents

계단을 오르내리는데 편리한 목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0078A
KR20150050078A KR1020130131466A KR20130131466A KR20150050078A KR 20150050078 A KR20150050078 A KR 20150050078A KR 1020130131466 A KR1020130131466 A KR 1020130131466A KR 20130131466 A KR20130131466 A KR 20130131466A KR 20150050078 A KR20150050078 A KR 20150050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sub
length
crutch
usefu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1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성준
진우훈
이정민
이준희
임중연
Original Assignee
안성준
이정민
이준희
진우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성준, 이정민, 이준희, 진우훈 filed Critical 안성준
Priority to KR1020130131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0078A/ko
Publication of KR20150050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00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2Cru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Abstract

본 발명은 계단을 오르내리는데 편리한 목발에 관한 것으로, 환자의 겨드랑이에 위치하는 상단부와 지면에 위치하는 하단부 사이에 마련된 손잡이를 손으로 잡고 다친 발 또는 다리를 대신하여 상기 하단부가 상기 지면을 박차도록 상기 손에 힘을 가하게 마련된 목발에 있어서, 상기 지면에 마련된 계단의 제1면과 접하는 메인디딤부; 및 상기 메인디딤부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1 면에 비해 단차져 있는 상기 계단의 제2 면에과 접하는 서브디딤부를 포함하도록 상기 하단부가 구성된다.

Description

계단을 오르내리는데 편리한 목발 {CRUTCH BEING COMFORTABLE AT GOING UP AND DOWN STAIRS}
본 발명은 계단을 오르내리는데 편리한 목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과 닫는 목발의 하단부의 구성을 다르게 함으로써 계단을 오르내릴 때 편리함을 가져옴은 물론 추가적으로 사고의 위험성도 줄일 수 있는 계단을 오르내리는데 편리한 목발에 관한 것이다.
다리를 다친 환자들이 가장 많이 쓰는 의료용 기구의 대표적인 것이 목발이다. 이러한 목발은 일반적으로 환자의 겨드랑이에 위치하는 상단부(10)와 지면에 위치하는 하단부(20) 사이에 마련된 손잡이(30)를 손으로 잡고, 다친 발 또는 다리를 대신하여 하단부(20)가 지면을 박차도록 손에 힘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목발의 하단부(20)는 지면과 접하는 디딤부는 손으로부터 가해진 힘이 잘 전달될 수 있도록 일자형으로 하나만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디딤부의 구조는 디딪어야 할 부분이 하나인 평지에서는 아무런 문제점이 없다.
그러나, 지면이 단차져 있는 계단을 오르내릴 때에는 디딪어야 할 부분이 평지와 달리 둘 이상이 되므로 일자형으로 구성되는 하나의 디딤부만으로는 안정적이지 못하고 매우 불안하다.
즉, 환자가 종래의 목발을 이용하여 계단을 오르내리기 위해서는 서로 높이가 다른 지면을 다치지 않은 발과 종래의 목발을 번갈아가면서 어렵게 오르내리거나, 추가적인 사고의 위험성을 감수한 채 폭이 충분히 넓지 않은 한 지면에 다치지 않은 발과 종래의 목발을 동시에 올려서 계단을 오르내려야만 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불편함과 사고의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 발명되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지면과 닫는 목발의 하단부의 구성을 다르게 함으로써 계단을 오르내릴 때 편리함을 가져옴은 물론 추가적으로 사고의 위험성도 줄일 수 있는 계단을 오르내리는데 편리한 목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환자의 겨드랑이에 위치하는 상단부와 지면에 위치하는 하단부 사이에 마련된 손잡이를 손으로 잡고, 다친 발 또는 다리를 대신하여 상기 하단부가 상기 지면을 박차도록 상기 손에 힘을 가하게 마련된 목발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를 상기 지면에 마련된 계단의 제1면과 접하는 메인디딤부; 및 상기 메인디딤부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1 면에 비해 단차져 있는 상기 계단의 제2 면에과 접하는 서브디딤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을 오르내리는데 편리한 목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디딤부는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의 높이 차에 따라 길이가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서브디딤부 대비 길이가 조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브디딤부 또한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의 높이 차에 따라 길이가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디딤부 대비 길이가 조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디딤부 및 상기 서브디딤부 각각은, 상호 나사결합되어 있는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부재 내부로 상기 제2 부재가 삽입되어 있어, 상기 제1 부재 내부로 상기 제2 부재가 삽입된 길이를 통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의 높이 차에 따른 상기 메인디딤부 및 상기 서브디딤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디딤부 및 상기 서브디딤부 각각은, 상호 끼움결합되어 있는 제3 부재 및 제4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3 부재 내부로 상기 제4 부재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 제3 부재 내부와 상기 제4 부재 사이에 탄성 부재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탄성 부재가 압축되는 길이를 통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의 높이 차에 따른 상기 메인디딤부 및 상기 서브디딤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브디딤부는,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의 너비 차에 따라 상기 메인디딤부와의 거리가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디딤부와의 거리차가 조절 가능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디딤부으로부터 상기 서브디딤부가 분기되는 일 지점의 하측에 상기 메인디딤부와 상기 서브디딤부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프레임은 길이가 변경 가능하며, 상기 서브디딤부는 상기 연결프레임의 변경되는 길이에 대응하여 형상이 변경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결프레임의 변경되는 길이를 통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의 너비 차에 따른 상기 메인디딤부와 상기 서브디딤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계단을 오르내리는데 편리한 목발에 의하면, 지면과 닫는 목발의 하단부를 과제의 해결수단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메인디딤부와 서브디딤부로 구성함으로써 계단을 오르내릴 때 편리함을 가져옴은, 물론 추가적으로 사고의 위험성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을 오르내리는데 편리한 목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을 오르내리는데 편리한 목발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도 1의 A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을 오르내리는데 편리한 목발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도 1의 A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을 오르내리는데 편리한 목발의 일 실시예가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을 오르내리는데 편리한 목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을 오르내리는데 편리한 목발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도 1의 A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을 오르내리는데 편리한 목발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도 1의 A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을 오르내리는데 편리한 목발의 일 실시예가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먼저,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계단을 오르내리는데 편리한 목발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먼저 설명하면,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계단을 오르내리는데 편리한 목발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목발 하단부에 메인디딤부(100) 및 서브디딤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메인디딤부(100)는 지면에 마련된 계단의 제1 면(S1)과 접하는 구성요소이고, 서브디딤부(200)는 메인디딤부(100)로부터 분기되어 계단의 제1 면(S1)에 비하여 단차져 있는 제2 면(S2)에 접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때, 서브디딤부(200)에 대한 설명 중 메인디딤부(100)로부터 분기된다는 의미는 메인디딤부(100)의 측부로부터 메인디딤부(100)와 유사한 형태의 구조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메인디딤부(100)와 서브디딤부(200) 사이에 연결프레임(300)을 마련하여 구조적인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데, 구조적인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일 방안으로, 연결프레임(300)의 길이를 7cm로 설계할 때 메인디딤부(100)의 하단면과 서브디딤부(200)의 하단면의 높이차가 10cm가 되도록 메인디딤부(100)와 서브디딤부(200)를 설계하는 방안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인디딤부(100)와 서브디딤부(200)의 길이를 전술한 바와 같이 구조적인 안정성을 고려하여 미리 정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나, 계단의 제1 면(S1)과 제2 면(S2) 사이의 높이가 항상 일정하지 않고 계단마다 상이할 수 있으므로, 메인디딤부(100)와 서브디딤부(200)를 상호 대비 그 길이가 조절 가능하게 변경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종래의 목발 하단부에는 메인디딤부(100)와 유사한 형태로 하나의 디딤부만이 존재하므로, 계단의 제1 면(S1)과 제2 면(S2) 사이의 높이 차가 다른 경우에 있어서 큰 의미를 부여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계단을 오르내리는데 편리한 목발의 일 실시예 하단부에는 메인디딤부(100)뿐만 아니라 서브디딤부(200)가 존재하므로, 계단의 제1 면(S1)과 제2 면(S2) 사이의 높이 차가 다르면 메인디딤부(100)와 서브디딤부(200)의 높이 차도 조절되어야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인 계단을 오르내리는데 편리한 바, 이에 대하여는 의미를 부여할 수 있도록 발명된다.
다시 말해서, 메인디딤부(100)를 계단의 제1 면(S1)과 제2 면(S2) 사이의 높이 차에 따라 그 길이가 변경될 수 있도록 서브디딤부(200) 대비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서브디딤부(200)를 계단의 제1 면(S1)과 제2 면(S2) 사이의 높이 차에 따라 그 길이를 변경할 수 있도록 메인디딤부(100) 대비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계단의 제1 면(S1)과 제2 면(S2) 사이의 높이 차가 다르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계단을 오르내리는데 편리한 목발의 일 실시예를 이용하는데 있어서 문제점이 없다고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메인디딤부(100)와 서브디딤부(200)를 상호 대비 그 길이가 조절 가능하게 변경되도록 구성되는 것과 관련하여, 상호 대비 그 길이만 조절 가능하면 그 구성 및 형상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나, 더욱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도 1, 도2 및 도 5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메인디딤부(100)와 서브디딤부(200)를 상호 대비 그 길이가 조절 가능하게 변경되도록 하는 구성은, 메인디딤부(100) 및 서브디딤부(200) 각각이 상호 나사결합되어 있는 제1 부재(110, 210) 및 제2 부재(120, 220)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도 2에 확대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재(110, 210)의 내부로 제2 부재(120, 220)가 삽입되어 있어, 제1 부재(110, 210) 내부로 제2 부재(120, 220)가 삽입된 길이를 통해 계단의 제1 면(S1)과 제2 면(S2) 사이의 높이 차에 따른 메인디딤부(100) 및 서브디딤부(2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물론, 이때 제1 부재(110, 210) 내부로 제2 부재(120, 220)가 삽입된 길이를 조절하는 것은 제2 부재(120, 220)를 좌우방향으로 돌려 나사결합되어 있는 길이를 조절하게 됨은 도 2만 보더라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제1 부재(110, 210)가 제2 부재(120, 220)의 내부로 삽입되는 구조로 변형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변형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이어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계단을 오르내리는데 편리한 목발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계단을 오르내리는데 편리한 목발의 다른 일 실시예 또한 전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하게 메인디딤부(100)와 서브디딤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만, 전술한 일 실시예와 비교할 때, 계단의 제1 면(S1)과 제2 면(S2) 사이의 높이 차에 따른 메인디딤부(100) 및 서브디딤부(200)의 길이를 조절하는 방법에서만 차이가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계단을 오르내리는데 편리한 목발의 다른 일 실시예의 경우, 메인디딤부(100) 및 서브디딤부(200) 각각은 전술한 일 실시예의 제1 부재(110, 210) 및 제2 부재(120, 220)를 대신하여 제3 부재(130, 230) 및 제4 부재(140, 240)를 포함한다.
이때, 제3 부재(130, 230) 및 제4 부재(140, 240)는 상호 끼움결합되어 있으며, 제3 부재(130, 230) 내부로 제4 부재(140, 240)가 삽입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물론, 이 역시 전술한 바와 유사하게 제3 부재(130, 230)가 제4 부재(140, 240)의 내부로 삽입되는 구조로 변형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변형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또한, 후술할 탄성 부재(150, 250)로 인해 상호 끼움결합되어 있는 제3 부재(130, 230)와 제4 부재(140, 240)가 분리되지 않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부재(130, 230)와 제4 부재(140, 240)의 단부에는 단턱이 존재한다.
아울러, 제3 부재(130, 230)와 제4 부재(140, 240) 사이에는 탄성 부재(150, 250)가 마련되는데, 탄성 부재(150, 250)가 압축되는 길이를 통해 계단의 제1 면(S1)과 제2 면(S2) 사이의 높이 차에 따른 메인디딤부(100) 및 서브디딤부(2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제1 면(S1)과 제2 면(S2) 사이의 높이 차가 별로 나지 않는다면 탄성 부재(150, 250)의 압축되는 길이는 짧을 것이며, 제1 면(S1)과 제2 면(S2) 사이의 높이 차가 많이 난다면 탄성 부재(150, 250)의 압축되는 길이는 길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이 탄성 부재(150, 250)가 압축되는 길이를 이용하여 제1 면(S1)과 제2 면(S2) 사이의 높이 차에 대응하는 만큼, 탄성 부재(150, 250)의 압축 강도는 낮아서는 안될 것이다. 즉, 탄성 부재(150, 250)의 압축 강도가 낮음을 가정한다면, 메인디딤부(100)와 서브디딤부(200)가 디딪어질 때 탄성 부재(150, 250)로 인해 흔들림이 발생하게 될 것이고 이로 인해 환자에게 불안함을 가져다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계단을 오르내리는데 편리한 목발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계단을 오르내리는데 편리한 목발의 또 다른 일 실시예 또한 전술한 일 실시예 및 다른 일 실시예와 동일하게 메인디딤부(100)와 서브디딤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만, 전술한 일 실시예 및 다른 일 실시예와 비교할 때, 계단의 제1 면(S1)과 제2 면(S2) 사이의 높이 차에 따른 메인디딤부(100) 및 서브디딤부(200)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 이외에, 계단의 제1 면(S1)과 제2 면(S2) 사이의 너비 차에 따른 메인디딤부(100)와 서브디딤부(200) 사이의 길이를 조절하는 구성을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계단에 있어서 제1 면(S1)과 제2 면(S2)의 높이 차만 다양하게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제1 면(S1)과 제2 면(S2)의 너비 차도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바, 본 발명에 따른 계단을 오르내리는데 편리한 목발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이에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계단의 제1 면(S1)과 제2 면(S2)의 너비 차에 따라 서브디딤부(200)를 메인디딤부(100)와 이격된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면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다시 말해서, 계단의 제1 면(S1)과 제2 면(S2)의 너비 차에 따라 서브디딤부(200)를 메인디딤부(100)와 이격된 거리를 조절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고 할 것이며,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디딤부(100)와 서브디딤부(200)가 분기되는 일 지점의 하측에 전술한 바와 같은 연결프레임(30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계단의 제1 면(S1)과 제2 면(S2)의 너비 차에 따라 연결프레임(300)의 길이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메인디딤부(100)와 서브디딤부(200)의 구조상 단순히 연결프레임(300)의 길이만을 변경할 수는 없으며, 서브디딤부(200)가 연결프레임(300)의 변경되는 길이에 대응하여 형상이 변경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연결프레임(300)을 상호 나사결합되어 있는 제1 프레임(310)과 제2 프레임(320)으로 구성하여 나사결합된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연결프레임(300)의 길이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도 4를 단순하게만 보면 제1 프레임(310)은 메인디딤부(100)에 일단부가 고정되어 있고 제2 프레임(320)은 서브디딤부(200)에 일단부가 고정되어 있어 회전하지 않아 나사결합된 길이를 조절하지 못하는 것으로 오해할 수 있으나, 제2 프레임(310)의 서브디딤부(200)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타단부를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는 구조로 생각한다면 이러한 오해는 쉽게 해결될 것이다.
또한, 연결프레임(300)의 변경되는 길이에 대응하여 서브디딤부(200)의 형상을 변형시키는 것은 서브디딤부(200)의 재질을 연성의 재질로 하거나 또는 샤워기의 연결호스와 같이 일정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변경되는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구현 가능하다. 이때에도, 서브디딤부(200)의 형상이 변형되면 디딤부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것으로 오해할 수 있으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디딤부(200)의 일단부는 메인디딤부(100)에 고정되어 있으며 타단부는 연결프레임(30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연결프레임(300)의 변경되는 길이에 의해서만 그 형상이 변경될 뿐 디딪을 때 그 형상이 변경되지 않음을 생각한다면 이러한 오해 역시 쉽게 해결될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연결프레임(300)의 길이를 변경하거나 서브디딤부(200)의 형상이 변형되도록 하는 구성에 대한 설명으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오히려 이러한 구성이 다양할 수 있음이 당연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을 오르내리는데 편리한 목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목발의 하단부에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메인디딤부(100) 및 서브디딤부(200)가 존재한다는 점에서, 하단부에 하나의 디딤부만이 존재하는 종래의 목발에 비하여 계단을 오르내릴 때 편리함이 증가함은 물론 사고 위험성 또한 매우 줄어들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S1 : 계단의 제1 면
S2 : 계단의 제2 면
10 : 목발의 상단부
20 : 목발의 하단부
30 : 손잡이
100 : 메인디딤부
110 : 메인디딤부의 제1 부재
120 : 메인디딤부의 제2 부재
130 : 메인디딤부의 제3 부재
140 : 메인디딤부의 제4 부재
150 : 메인디딤부의 탄성 부재
200 : 서브디딤부
210 : 서브디딤부의 제1 부재
220 : 서브디딤부의 제2 부재
230 : 서브디딤부의 제3 부재
240 : 서브디딤부의 제4 부재
250 : 서브디딤부의 탄성 부재
300 : 연결프레임
310 : 제1 프레임
320 : 제2 프레임

Claims (7)

  1. 환자의 겨드랑이에 위치하는 상단부와 지면에 위치하는 하단부 사이에 마련된 손잡이를 손으로 잡고, 다친 발 또는 다리를 대신하여 상기 하단부가 상기 지면을 박차도록 상기 손에 힘을 가하게 마련된 목발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는,
    상기 지면에 마련된 계단의 제1면과 접하는 메인디딤부; 및
    상기 메인디딤부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1 면에 비해 단차져 있는 상기 계단의 제2 면에과 접하는 서브디딤부를 포함하는,
    계단을 오르내리는데 편리한 목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디딤부는,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의 높이 차에 따라 길이가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서브디딤부 대비 길이가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을 오르내리는데 편리한 목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디딤부는,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의 높이 차에 따라 길이가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디딤부 대비 길이가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을 오르내리는데 편리한 목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디딤부 및 상기 서브디딤부 각각은,
    상호 나사결합되어 있는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부재 내부로 상기 제2 부재가 삽입되어 있어,
    상기 제1 부재 내부로 상기 제2 부재가 삽입된 길이를 통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의 높이 차에 따른 상기 메인디딤부 및 상기 서브디딤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을 오르내리는데 편리한 목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디딤부 및 상기 서브디딤부 각각은,
    상호 끼움결합되어 있는 제3 부재 및 제4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3 부재 내부로 상기 제4 부재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 제3 부재 내부와 상기 제4 부재 사이에 탄성 부재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탄성 부재가 압축되는 길이를 통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의 높이 차에 따른 상기 메인디딤부 및 상기 서브디딤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을 오르내리는데 편리한 목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디딤부는,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의 너비 차에 따라 상기 메인디딤부와의 거리가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디딤부와의 거리차가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을 오르내리는데 편리한 목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디딤부으로부터 상기 서브디딤부가 분기되는 일 지점의 하측에 상기 메인디딤부와 상기 서브디딤부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프레임은 길이가 변경 가능하며, 상기 서브디딤부는 상기 연결프레임의 변경되는 길이에 대응하여 형상이 변경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결프레임의 변경되는 길이를 통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의 너비 차에 따른 상기 메인디딤부와 상기 서브디딤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을 오르내리는데 편리한 목발.
KR1020130131466A 2013-10-31 2013-10-31 계단을 오르내리는데 편리한 목발 KR201500500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466A KR20150050078A (ko) 2013-10-31 2013-10-31 계단을 오르내리는데 편리한 목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466A KR20150050078A (ko) 2013-10-31 2013-10-31 계단을 오르내리는데 편리한 목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0078A true KR20150050078A (ko) 2015-05-08

Family

ID=53388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1466A KR20150050078A (ko) 2013-10-31 2013-10-31 계단을 오르내리는데 편리한 목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007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1674B1 (ko) * 2017-08-14 2019-01-23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관절 다리를 포함하는 목발
KR200496527Y1 (ko) 2021-08-13 2023-02-17 성준 평지와 계단 겸용 목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1674B1 (ko) * 2017-08-14 2019-01-23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관절 다리를 포함하는 목발
KR200496527Y1 (ko) 2021-08-13 2023-02-17 성준 평지와 계단 겸용 목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83989A (zh) 辅助坐着的人起身至站立位置的助行架组件及其使用方法
US8371320B1 (en) Ataxia balance crutches
US20110232214A1 (en) Method, Component and Structure for Constructing a Dual-Use Staircase
CN107916889A (zh) 一种应急平起折叠梯
KR20150050078A (ko) 계단을 오르내리는데 편리한 목발
US20140114218A1 (en) Method of providing a leg crutch
CN108272601A (zh) 一种用于腿部康复治疗的助步装置
KR102295864B1 (ko) 보행보조기
CA3023903C (en) Ambulatory assistance apparatus adaptable for a staircase
CN205626420U (zh) 一种医疗康复助行器
KR200463663Y1 (ko) 보행 보조기
CN207286601U (zh) 一种线路检修用登杆器
WO2012057595A1 (es) Sistema de escalera y rampa variables para rehabilitación de extremidades inferiores
KR101322061B1 (ko) 보행 보조 기구
GB2425253A (en) Walking aid with curved foot
CN211750863U (zh) 一种新型助行器
WO2014179855A3 (pt) Exoesqueletoesteira apropriado como órtese para o auxílio da locomoção humana
US2785731A (en) Safety foot walker
US20080208096A1 (en) Mobility Aids
CN205924420U (zh) 一种新型防侧倒轮式助行器
TWM504587U (zh) 上下樓梯輔具
KR20120006396U (ko) 회전과 충격흡수가 가능한 의족
US20120007333A1 (en) Wheelchair footpad device
WO2021066104A1 (ja) 義足の足部及び義足
KR101557247B1 (ko) 발목 관절기능 증진을 위한 3d발목 관절 운동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